KR101469789B1 - 자동차 인디게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인디게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789B1
KR101469789B1 KR20130083754A KR20130083754A KR101469789B1 KR 101469789 B1 KR101469789 B1 KR 101469789B1 KR 20130083754 A KR20130083754 A KR 20130083754A KR 20130083754 A KR20130083754 A KR 20130083754A KR 101469789 B1 KR101469789 B1 KR 10146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rib
led
pres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2013008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LED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PCB와 상기 LED의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측에는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PCB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LED의 광을 차폐하여 전원공급상태와 작동상태가 단계별로 작동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게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인디게이터{An indigat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기기의 작동여부를 외부로 표출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자동차의 인디게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한편,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 내지 탑승자의 조작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또는 센터페시아 등에 장착된 시트 열선 기능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경우,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시트 열선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가 작동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해당 스위치 장치의 온/오프 상태가 인식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램프에 의한 빛은 특히 야간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 장치인 경우,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빛이 출사되는 동작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이 수행되는 버튼 노브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중에서, 히터와 같이 사용자가 장치작동의 레벨 정도를 높거나 낮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부에 적용되는 노브 스위치의 경우에는, 그 노브 표면에 조작단계별 레벨의 변화를 사용자가 주야간 시간대에 관계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 투시창의 형태 등으로 표시해주는 조명식 인디케이터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단계별로 작동 상태를 나타내주는 복수개의 표시부에 각각 LED가 배치되었는데, 이 때 표시부에 조사되는 LED의 광이 다른 표시부로 누광되어 조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히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인디게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히터가 1단계로 작동 되었을 경우에 1단계를 나타내는 표시부만이 아니라 2단계를 나타내는 표시부에도 1단계 작동을 나타내는 LED의 광이 조사되어 히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오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비된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복수개의 표시부에 배치된 각각의 LED에서 조사되는 광이 누광되어 주변의 다른 표시부에서 누광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하여 사용자가 작동상태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자동차 인디게이터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다른 기구 및 장치의 추가 없이 표시부사이의 누광을 막아 생산상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자동차 인디게이터를 그 목적이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LED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PCB와 상기 LED의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측에는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PCB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전, 후 방향의 폭이 상기 LED의 전, 후 방향 폭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전, 후방향의 폭이 상기 LED의 전, 후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상기 PCB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CB의 상측에는 상기 PCB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리브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있어서, 본발명은 단계별로 또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에 작동중인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LED 사이를 구획하는 리브는 광의 누광을 막아 표시부에 LED의 광이 조사되는 표시부와 조사되지 않는 표시부를 사용자가 명확히 인식하게 되어 작동상태여부를 알 수 있게 되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동차 인디게이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일실시예의 자동차 인디게이터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자동차 인디게이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 인디게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인디게이터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자동차 인디게이터가 도시된 사시도와 도 2는 일실시예의 자동차 인디게이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자동차 인디게이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PCB(20)와 적어도 하나의 격벽(31)이 형성된 홀더(30)와 리브(32)를 포함한다.
상기 PCB(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LED(21)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LED(21)는 제1 LED(21a), 제2 LED(21b), 제3 LED(21c)가 배치되고, 이격된 공간에는 구멍(22)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지는 않으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은 베이스(5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홀더(30)가 배치되도록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LED(21)의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3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격벽(31)은 제1 격벽(31a)과 제2 격벽(31b)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 되지는 않는다.
상기 홀더(30)의 상기 제1 격벽(31a) 하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리브(32a)와 상기 제2 격벽(31b) 하측에 돌출 형성된 제2 리브(32b)는 상기 PCB(20)에 형성된 구멍(2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브(32)는 전, 후 방향의 폭(t1)이 상기 LED(21)의 전, 후 방향 폭(t2) 이상으로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상기 PCB(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20)를 지지하는 베이스(50)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50)에는 상기 리브(32)가 삽입되는 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2)는 상기 PCB(20)를 관통하여 상기 홈(51)에 삽입되어 상기 LED(21)의 광의 누광을 막고 상기 PCB(20)의 일면을 지지해 줄 수 있다.
상기 PCB(20)의 상측에는 상기 PCB(20)를 상기 베이스(5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60)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부재(60)에는 상기 리브(32)가 관통되는 구멍(61)이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0)의 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상기 PCB(20)에 형성된 홀(22)과 상기 베이스(50)에 형성된 홀(52)을 관통하여 상기 PCB(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PCB(20)는 상기 홀더(30)가 지지한 일면과 상기 돌출부(62)가 지지하는 타면으로 상기 PCB(2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인디게이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인디게이터는, 자동차의 전원이 들어오게 됨으로써, 상기 제3 LED(21c)가 작동을 하게 되어, 상기 제3 표시부(41c)에서 광이 조사되어 조작 가능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상기 노브(40)를 작동하여 상기 자동차 인디게이터의 on/off 또는 강도 등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노브(40)를 눌러 상기 홀더(30)가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격벽(31b)이 컨택트부(63)를 누르게 되어 상기 컨택트부(63)가 상기 PCB(20)와 접하게 되어 상기 제1 LED(21a)가 작동되어 광이 조사된다.
이때 상기 제1 프리즘(33a)이 광을 집중하여 상기 제1 표시부(41a)에서 발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브(40)를 다시 누르게 되면, 상기 홀더(30)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제2 격벽(31b)이 컨택트부를 누르게 되어 상기 컨택트부(63)가 상기 PCB(20)와 접하게 되어 상기 제2 LED(21b)가 작동되어 광이 조사된다.
상기 제2 LED(21b)에서 광을 조사되면, 상기 제2 프리즘(33b)이 광을 집중하여 제2 표시부(41b)에서 발산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표시부(41)가 누광되지 않고 LED(21)에서 조사되는 광이 각각의 상기 표시부(41)에서 표출되도록하는 상기 리브(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리브(32)는 상기 표시부(41)에서 조사되는 광을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인식 정도를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케이스
20: PCB 23: 홀
24: LED
30: 홀더 32: 격벽
33: 리브
40: 노브 41: 표시부

Claims (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LED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PCB와;
    상기 LED의 광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자동차 인디게이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측에는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PCB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PCB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리브가 삽입되게 형성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PCB의 상측에는 상기 PCB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리브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자동차 인디게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전, 후 방향의 폭이 상기 LED의 전,후 방향 폭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자동차 인디게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전, 후방향의 폭이 상기 LED의 전,후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 자동차 인디게이터.



  4. 삭제
  5. 삭제
KR20130083754A 2013-07-16 2013-07-16 자동차 인디게이터 KR10146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754A KR101469789B1 (ko) 2013-07-16 2013-07-16 자동차 인디게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754A KR101469789B1 (ko) 2013-07-16 2013-07-16 자동차 인디게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789B1 true KR101469789B1 (ko) 2014-12-05

Family

ID=5267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3754A KR101469789B1 (ko) 2013-07-16 2013-07-16 자동차 인디게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351B1 (ko) * 2020-01-09 2021-07-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108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구조
KR20050090641A (ko) * 2004-03-09 2005-09-14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0673481B1 (ko) * 2005-11-25 2007-01-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버튼의 빛샘 방지장치
KR20100005302U (ko) * 2008-11-14 2010-05-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108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구조
KR20050090641A (ko) * 2004-03-09 2005-09-14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0673481B1 (ko) * 2005-11-25 2007-01-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버튼의 빛샘 방지장치
KR20100005302U (ko) * 2008-11-14 2010-05-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351B1 (ko) * 2020-01-09 2021-07-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4651B2 (ja) 電気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7036948B1 (en) Illuminated electrical outlet and light switch
US9616812B2 (en) Light emission structure for indication symbol in interior space of vehicle
CN106080312B (zh) 具有环境照明的座椅
CN105034939B (zh) 带有低光强设置的车辆阅读灯
JP5753515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US7482547B2 (en) Push button switch with backlight function
KR101198497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9659719B2 (en) Display switch
US20160035508A1 (en) Lighting switch for display unit
KR101469789B1 (ko) 자동차 인디게이터
KR101670366B1 (ko)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JP4494052B2 (ja) 室内照明灯
KR101198094B1 (ko)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JP6021451B2 (ja) 車両用内装装置における光源配置構造
JP5783534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3237385A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200391981Y1 (ko) 스위치 패널의 조명장치
KR20160003946U (ko) 차량의 인디케이터
JP5227155B2 (ja) 車室内照明装置
JP2007149610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装置
KR100593167B1 (ko) 조명 빛 간섭 차단 버튼을 갖춘 히터콘트롤
JP2019079693A (ja) 車両用内装部材
KR200478607Y1 (ko) 매립형 전등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