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422B1 -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422B1
KR101016422B1 KR1020080073173A KR20080073173A KR101016422B1 KR 101016422 B1 KR101016422 B1 KR 101016422B1 KR 1020080073173 A KR1020080073173 A KR 1020080073173A KR 20080073173 A KR20080073173 A KR 20080073173A KR 101016422 B1 KR101016422 B1 KR 10101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emitting
interior
u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02A (ko
Inventor
김은성
Original Assignee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08007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4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이 설치된 발광모듈과, 발광모듈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조작키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광원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조작부는 조작키의 사용자의 터치 유무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센서가 적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벼운 터치에 의해서 원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기구적 설계 부담의 완화, 기계적 마모의 억제 및 서지전압 발생을 억제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차량, 실내등, 터치센서, 정전용량 감지형

Description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indoor lighting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센서에 의해 실내등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에는 차량 실내를 조명할 수 있는 실내등이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실내등은 루프 전면 및 루프 중앙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실내등은 통상 백열전구를 광원으로 한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백열전구는 충격에 의해 필라멘트의 단선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대체한 실내등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실내등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종래의 조작스위치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 접점이 온/오프 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스위치 접점의 온/오프 시에 서지전압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서지전압으로부터 타 전자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스위치의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힘 이상을 인가하여야 작동되 도록 되어 있어 조작상의 불편함이 있고, 사용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며, 기계적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복잡한 기구적 설계가 요구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금형의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정정용량 감지형 터치센서를 적용하여 기계적 마모 및 서지전압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이 설치된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키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광원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키는 사용자의 터치 유무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센서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 조명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벼운 터치에 의해서 원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기구적 설계 부담의 완화, 기계적 마모의 억제 및 서지전압 발생을 억제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의 조작키들을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0), 발광모듈(130), 조작부(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발광모듈(130)이 실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으면서 차량 내의 설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된다.
발광모듈(130)은 광원으로서 회로기판에 적, 녹, 청색 발광다이오드(131)(132)(133) 3개를 기본 단위로 하는 발광체(135)가 4개 어레이 되어 있다.
발광모듈(130)에 적용되는 발광체(135)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발광모듈(130)은 단일 색상의 광이 출사되는 광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체(135)는 회로기판에 발광다이오드 칩이 실장된 것이 적용된다. 회로기판은 방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방열용 금속소재 기판에 회로패턴이 절연되게 형성되어 있는 메탈 PCB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발광다이오드칩은 구동회로 패턴에 맞게 실장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루프 전면에 설치된 하우징(110) 내에 맵램프 용으로 설치된 발광모듈(130)을 나타내었고, 루프 중간에 룸램프(미도시)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키 조작부(140)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다수의 조작키(141 내지 147)와 조작키(141 내지 147)의 조작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출력하는 정전용량 변환감지부(148)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7개의 조작키(141 내지 147)가 마련되어 있다.
먼저, 영문자 "ROOM"으로 표기된 제1조작키(141)는 루프 중앙에 마련된 룸램프가 켜지는 온모드와 꺼지는 오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영문자 "DOOR"로 표기된 제2조작키(142)는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룸램프가 켜지고, 도어가 닫히면 룸램프가 꺼지는 도어 연동 모드를 선택 및 해제할 수 있는 키이다.
영문자"COLOR"로 표기된 제3조작키(143)는 사용자가 터치할 때마다 설정된 복수의 색표시 조명모드를 설정된 순번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일 예로서, 4개의 상호 다른 색표시 조명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 초기에 제1색표시 조명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한번 터치할 때는 제2색표시 조명모드, 다시 한번 터치할 때는 제3색표시 조명모드, 다시한번 터치할 때는 제4색표시 조명모드, 다시 한번 터치할 때는 제1색표시 조명모드와 같이 설정된 복수의 색표시 조명모드가 제3조작키(143)를 누를 때마다 설정된 순환순번에 따라 색표시 조명모드가 설정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색표시 조명모드의 일 예로서, 제3조작키(143)에 의해 설정되는 제1색표시 조명모드시 적, 녹, 청색 발광다이오드(131)(132)(133)의 듀티비가 50: 30, 10으로 설정되고, 제2색표시 조명모드시 적, 녹, 청색 발광다이오 드(131)(132)(133)의 듀티비가 30: 20: 20으로 설정된 경우 제1색표시 조명모드시 조합되어 발광되는 광의 색온도 및 제2색표시 조명모드시 발광되는 광의 색온도는 상호 달라지고 그에 따른 시각적 느낌이 달라진다. 여기서 색온도는 복사체의 광의 스펙트럼 분포가 복사체의 온도에 따라 다른 것을 표시색 관점에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색표시 조명모드들의 각 색 표시 조명모드는 적, 녹, 청색 발광다이오드(131)(132)(133)의 구동 듀티를 상호 달리하여 설정되고, 적용되는 모드 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제4조작키(144)는 발광체(135)로 인가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휘도 조작키로서 터치 위치에 따라 다단계로 휘도레벨을 설정되게 되어 있다.
제4조작키(144)인 휘도 조작키는 사각박스 형태로 구획된 영역 내에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 다수개의 도전셀(144a)이 열을 지어 어레이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도전셀(144a)의 배열상의 위치에 따라 휘도레벨이 다단계로 결정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휘도조절용 제4조작키(144)의 사용자가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변화 감지에 의해 파악된 도전셀(144a)의 위치정보 즉,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대응되게 설정된 휘도 레벨의 광이 출사하도록 발광모듈(130)을 제어한다.
이러한 휘도조절 기능구현은 통상 상호 다른 저항값을 갖는 복수의 저항 중 어느 하나로의 전류도통경로를 통해 해당 발광다이오드로 전류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 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3단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게이트를 통해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하여 발광다이오드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동 온 듀티를 조절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MOOD"로 표기된 제5조작키(145)는 발광모듈(130)이 설정된 무드 모드의 색을 표현하거나, 무드 연출용으로 마련된 별도의 발광모듈(미도시)의 구동을 온/오프 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적용된 것이다.
참조부호 146 및 147은 루프 전방에 맴램프용으로 적용된 발광모듈(130) 중 운전석과 조수석용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광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제6 및 제7조작키이다.
이러한 조작부(140)의 각 조작키(141 내지 147)는 사용자의 터치 유무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도전소재로 형성된다.
정전용량 변화 감지부(148)는 도전소재로 형성된 각 조작키(141 내지 147)로의 사용자의 터치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키(141 내지 147)와 정정용량 변화 감지부(148)는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센서 구조로 형성하면 되고,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 감지 센서구조는 국내 공개특허 제2005-0120837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00-0003174호, 국내 공개특허 제2007-0032924호, 국내 공개특허 2008-0041799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조작키(141 내지 147)의 종류 및 개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부만 터치 센서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조작부(140)의 조작키(141 내지 147)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설정된 모드에 대응되게 발광모듈(130)의 각 발광다이오드(131)(132)(133)의 구동 여부 및 구동시의 구동 듀티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설정된 색표시모드들에 대응되는 적, 녹, 청색 발광다이오드(131)(132)(133) 상호간의 구동 듀티 설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일 예로서 룩업테이블(미도시)을 통해 모드 별 적, 녹, 청색 발광다이오드(131)(132)(133) 상호간의 구동 듀티비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50)는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의 출력신호를 제공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의 조작키들을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Claims (2)

  1. 삭제
  2.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이 설치된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키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광원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키의 사용자의 터치 유무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센서이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광원의 휘도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휘도 조작키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휘도 조작키는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로 분할된 도전셀이 열을 지어 어레이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휘도조절용 조작키의 사용자가 터치하는 도전셀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응되게 설정된 휘도 레벨의 광이 출사하도록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KR1020080073173A 2008-07-25 2008-07-25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KR10101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73A KR101016422B1 (ko) 2008-07-25 2008-07-25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73A KR101016422B1 (ko) 2008-07-25 2008-07-25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02A KR20100011802A (ko) 2010-02-03
KR101016422B1 true KR101016422B1 (ko) 2011-02-18

Family

ID=4208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173A KR101016422B1 (ko) 2008-07-25 2008-07-25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99B1 (ko) 2012-11-26 2014-05-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터치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12B1 (ko) * 2009-02-11 2009-09-21 (주)오로라 디자인랩 차량용 무드조명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756262A (zh) * 2016-02-17 2016-07-13 深圳市新天能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环保建筑结构套件
KR102463695B1 (ko) * 2016-12-12 2022-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기구
CN109795295A (zh) * 2019-03-01 2019-05-24 上海岱美汽车内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式汽车遮阳板化妆镜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73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실내등 조명 조절 장치
KR970033005U (ko) * 1995-12-11 1997-07-26 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KR980007500U (ko) * 1996-07-23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의 실내등 광도 조절 장치
KR100824057B1 (ko) 2006-11-10 2008-04-21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조명 장치 및 그것의 휘도 스위칭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005U (ko) * 1995-12-11 1997-07-26 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KR97003773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실내등 조명 조절 장치
KR980007500U (ko) * 1996-07-23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의 실내등 광도 조절 장치
KR100824057B1 (ko) 2006-11-10 2008-04-21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조명 장치 및 그것의 휘도 스위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99B1 (ko) 2012-11-26 2014-05-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터치방식의 차량용 룸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02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616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with multizone proximity control
RU2682103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многоз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на основе приближения
KR101016422B1 (ko)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US20080198613A1 (en) LED driver touch switch circuit
US20070165406A1 (en) Display with an illuminating light
US9285107B2 (en) Retrofit lighting device
WO2015004887A1 (ja) 冷蔵庫
JP2016110775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US9155154B2 (en) Operating device for driving a multicolored light source and illumination device
TWI616630B (zh) refrigerator
CN104584693A (zh) 壁开关
TW201505488A (zh) 壁開關
TWI507088B (zh) 負載控制器
JP5658543B2 (ja) 誘導灯
KR100721610B1 (ko) 차량용 실내등 조명장치
JP5999309B2 (ja) 負荷コントローラ
KR100918211B1 (ko) 디밍 제어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2132948A (zh) 鍵盤裝置
CN216945727U (zh) 电梯
JP5589451B2 (ja) 照明装置
KR10150899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콘트롤러 심볼 조명장치
KR200459778Y1 (ko) 자동차 콘솔용 스위칭 장치
KR200167261Y1 (ko) 텔레비젼 장치의 발광 컨트롤 패널
TWI620106B (zh) Linear touch switch
JP201618576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