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255A -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255A
KR20170018255A KR1020150111828A KR20150111828A KR20170018255A KR 20170018255 A KR20170018255 A KR 20170018255A KR 1020150111828 A KR1020150111828 A KR 1020150111828A KR 20150111828 A KR20150111828 A KR 20150111828A KR 20170018255 A KR20170018255 A KR 2017001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unit
movable member
pedestal
antenna coi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다빈
권대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8255A/ko
Publication of KR2017001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6Assembling or mounting of star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코일이 감겨 지지되는 보빈의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스위치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유닛과, 회로유닛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가동부재와 연결되고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위치 버튼과,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빈과, 보빈에 권취되는 안테나 코일과, 안테나 코일과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회로유닛에 결합되고 가동부재를 회로유닛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회로유닛으로부터 가동부재의 끝단을 향해 돌출되는 받침대를 갖는 탄성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BUTTON INGNITION SWITCH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코일이 감겨 지지되는 보빈의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보안과 안전 등의 이유로 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동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시동 스위치, 엔진 시동유닛, 점화코일, 배전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시동 스위치는 엔진의 시동은 물론 다른 전기장치에 필요한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러한 시동장치는 운전자가 시동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고 시동 위치로 돌려 차량에 초기 시동을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동장치는 시동 키를 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도난 당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장치가 등장하였다. 차량에 적용되는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한 채 차량으로 다가가면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된 엔진 시동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모빌라이저 기능은 ID 코드가 부여된 스마트키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것에 따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가 스마트키의 ID 코드를 인식하여 엔진 시동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갖춘 스마트키 시스템의 엔진 시동 스위치에는 안테나 코일이 설치된다. 안테나 코일은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키에 무선으로 에너지를 공급하여 스마트키를 충전하고, 전자제어장치와 스마트키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는 단순한 신호 전달매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안테나 코일은 스마트키가 엔진 시동 스위치에 근접하는 것에 따라 스마트키에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ID 코드 신호를 중계하여 엔진이 시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엔진 시동 스위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는 커버 링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동 블록과, 가동 블록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위치 버튼과, 안테나 코일이 권취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끼움 장착되는 보빈과, 안테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빈은 안테나 코일과 회로기판 간의 신호 전달을 위해 커넥터 핀을 갖는데, 커넥터 핀은 수지재의 보빈과 함께 인서트 사출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보빈에 일체로 구비된다.
그런데 커넥터 핀이 인서트 사출이나 끼움 결합을 통해 보빈의 내측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내장되지 않으면 안테나 코일과 커넥터 핀 간의 접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이모빌라이저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으므로 제조된 버튼 시동 스위치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6924호 (2011. 09. 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0586호 (2011. 11. 04)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빈 속에 내장하기 까다로운 커넥터 핀을 삭제하여 보빈의 제조 불량을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유닛과, 상기 회로유닛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위치 버튼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안테나 코일과, 상기 안테나 코일과 상기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회로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회로유닛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유닛으로부터 상기 가동부재의 끝단을 향해 돌출되는 받침대를 갖는 탄성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로유닛에 고정되는 베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를 각각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가동부재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받침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의 받침대는 상기 안테나 코일과 상기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안테나 코일과 상기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안테나 코일과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유닛과 접속되도록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가동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의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상기 보빈에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으로 연장되는 상기 안테나 코일의 중간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안테나 코일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상기 스위치 버튼의 표면을 덮도록 상기 스위치 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상기 스위치 버튼의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금속 박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상기 회로유닛에 결합되는 광원 소자와, 상기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금속 박막의 절개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광원 소자에서 상기 금속 박막의 절개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보빈에 권취되는 안테나 코일이 보빈에서 가동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로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안테나 코일과 회로유닛을 연결하기 위해 보빈 속에 커넥터 핀을 내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빈에 커넥터 핀 삽입에 따른 제조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안테나 코일과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지지 유닛으로 가동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가동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러버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립이 쉽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 유닛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의 보빈과 가동부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회로유닛(120)과, 스위치 버튼(135)과, 가동부재(140)와, 보빈(145)과, 안테나 코일(150)과, 탄성 지지 유닛(1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100)는 스마트키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갖는다. 즉,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100)에 설치된 안테나 코일(150)이 스마트키가 접근하는 것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마트키가 ID 코드 신호를 송출하여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은 차량에 마련되는 설치구멍에 삽입되어 차량에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상단부는 외부로 개방되는데,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스위치 버튼(135)이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로유닛(12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회로유닛(130)은 회로기판(121)과 스위치(122)를 구비한다. 회로유닛(130)의 회로기판(121)에는 접속단자(123)가 연결되며, 하우징(110)이 차량에 고정될 때 회로기판(121)은 접속단자(123)를 통해 차량에 설치되는 전자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122)는 가동부재(140)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121)에 결합된다.
회로유닛(120)에는 광원 소자(125)가 설치된다. 광원 소자(125)는 회로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유닛(1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광원 소자(125)로는 LED 등 단색광 또는 다색광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광원 소자(125)에서 출사되는 빛은 광가이드(130)를 통해 스위치 버튼(135) 쪽으로 가이드된다.
광가이드(130)는 광원 소자(125)에서 발생하는 빛을 스위치 버튼(135)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광원 소자(125)에서 스위치 버튼(135)을 향해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광가이드(130)는 그 내측에 가동부재(140)와 보빈(145)이 위치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광가이드(130)의 일측 끝단에는 가이드되는 빛을 스위치 버튼(135) 쪽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광출사부(131)가 마련된다. 광출사부(131)는 스위치 버튼(135)의 표면에 마련되는 금속 박막(137)에 구비된 절개부(138)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광가이드(130)를 이용하여 광원 소자(125)에서 발생하는 빛을 스위치 버튼(135)의 외측으로 조사함으로써,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100)의 위치 파악, 오프/ACC/시동 온 작동 상태에 따른 색상 변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위치 버튼(135)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스위치 버튼(135)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하우징(110)의 끝단에 결합된다. 스위치 버튼(135)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동부재(140)와 연결된다. 운전자가 스위치 버튼(135)을 누를 때, 스위치 버튼(135)에 가해진 가압력이 가동부재(140)에 전달되어 가동부재(140)가 움직이게 된다. 스위치 버튼(135)은 광원 소자(125)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버튼(135)의 표면에는 금속 박막(137)이 코팅되어 스위치 버튼(135)의 심미감을 높여준다. 금속 박막(137)은 절개부(138)를 갖는다. 절개부(138)는 금속 박막(137)을 스위치 버튼(135)에 코팅한 후 금속 박막(137)의 일부분을 레이저로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38)는 금속 박막(137)의 중간에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금속재의 금속 박막(137)은 스위치 버튼(135)의 표면을 덮어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100)를 고급스럽게 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여주지만 광원 소자(125)에서 발생되는 빛을 차단하고, 안테나 코일(150)의 자기장을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전자기 차폐재의 역할을 한다. 금속 박막(137)의 절개부(138)는 광원 소자(125)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고 안테나 코일(150)의 자기장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절개부(138)의 형태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스위치 버튼(135)의 발광 모양이나 안테나 코일(150)의 자기장 방출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광가이드(130)의 광출사부(131)는 금속 박막(137)의 절개부(138)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개부(138)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가동부재(140)는 회로유닛(130)의 스위치(12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부재(140)는 스위치 버튼(135)과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버튼(135)의 누름 조작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중공형의 광가이드(130) 내측에 배치된다.
보빈(145)은 회로유닛(120)과 스위치 버튼(13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보빈(145)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안테나 코일(150)을 일정한 권취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보빈(145)은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에 안테나 코일(150)이 보빈(145)의 외면 둘레를 따라 감기는 형태로 결합된다. 보빈(145)의 중앙에는 가동부재(14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146)이 마련된다. 가동부재(140)가 스위치 버튼(135)에 의해 눌리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가동부재(140)는 관통구멍(146)을 통과하여 보빈(145)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보빈(145)이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안테나 코일(150)은 보빈(145)에 권취되어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안테나 코일(150)은 보빈(145)의 외면 둘레를 따라 권취되어 보빈(145)에 지지됨으로써 일정한 권취 형태를 유지한다. 안테나 코일(150)은 스마트키가 접근하는 것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회로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 코일(150)은 회로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부분이 보빈(145)에서 회로유닛(120) 쪽으로 연장된다. 보빈(145)에서 회로유닛(120) 쪽으로 연장되는 안테나 코일(150)의 중간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가동부재(14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안테나 코일 홀더(155)가 결합된다. 안테나 코일 홀더(155)는 안테나 코일(150)이 삽입되는 삽입홈(156)을 갖는다. 보빈(145)에서 회로유닛(120) 쪽으로 연장되는 안테나 코일(150)의 중간부분은 안테나 코일 홀더(155)의 삽입홈(156)에 삽입됨으로써 유동되지 않도록 안테나 코일 홀더(155)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탄성 지지 유닛(160)은 회로유닛(120)에 결합되어 회로유닛(120)과 안테나 코일(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가동부재(140)를 회로유닛(120)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 지지 유닛(160)은 회로유닛(120)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가동부재(140)의 하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체(161)(162)를 포함한다. 이들 지지체(161)(16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 회로유닛(120)에 고정되는 베이스(163)와, 베이스(163)에 가동부재(140)를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164)를 구비한다.
베이스(163)는 받침대(164)와 결합되어 받침대(164)를 지지하도록 회로유닛(120)에 고정된다. 받침대(164)는 받침부(165)와 연결부(166)로 구성된다. 받침부(165)는 가동부재(1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163)로부터 이격되어 가동부재(140)의 끝단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166)는 베이스(163)로부터 받침부(165)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베이스(163)와 받침부(165)를 연결한다. 가동부재(140)가 외력을 받아 하강하여 스위치(122)를 작동시킬 때 지지체(161)(162)의 받침대(164)가 탄성 변형되고, 가동부재(14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받침대(164)가 탄성 복원되면서 가동부재(1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 지지 유닛(160)을 구성하는 지지체(161)(162)는 회로유닛(120)과 안테나 코일(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지지체(161)(162)는 각각의 베이스(163)가 회로유닛(120)의 회로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받침대(164)가 안테나 코일(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회로유닛(120)과 안테나 코일(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100)는 보빈(145)에 권취되는 안테나 코일(150)이 보빈(145)에서 가동부재(14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로유닛(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안테나 코일과 회로유닛을 연결하기 위해 보빈 속에 커넥터 핀을 내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빈에 커넥터 핀 삽입에 따른 제조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100)는 안테나 코일(150)과 회로유닛(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지지 유닛(160)으로 가동부재(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가동부재(14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러버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립이 쉽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 유닛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탄성 지지 유닛(170)은 한 쌍의 지지체(171)(17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체(171)(17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들 지지체(171)(172)는 상호 마주하도록 회로유닛(120; 도 1 참조)의 회로기판(121; 도 1 참조)에 결합됨으로써 회로유닛(120)과 안테나 코일(150; 도 1 참조)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가동부재(140; 도 1 참조)를 회로유닛(120)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지지체(171)(172)는 각각 회로유닛(120)에 고정되는 베이스(173)와, 베이스(173)에 가동부재(140)를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174)와, 받침대(174)에 결합되는 커넥터(177)를 구비한다.
베이스(173)는 받침대(174)와 결합되어 받침대(174)를 지지하도록 회로유닛(120)에 고정된다. 받침대(174)는 받침부(175)와 연결부(176)로 구성된다. 받침부(175)는 가동부재(1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173)로부터 이격되어 가동부재(140)의 끝단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176)는 베이스(173)로부터 받침부(175)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베이스(173)와 받침부(175)를 연결한다. 가동부재(140)가 외력을 받아 하강할 때 받침대(174)가 탄성 변형되고, 가동부재(14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받침대(174)가 탄성 복원되면서 가동부재(1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베이스(173)와 받침대(174)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커넥터(177)는 회로유닛(120)과 안테나 코일(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단이 회로유닛(120)과 접속되고 타단이 안테나 코일(150)과 접속되도록 받침대(174)에 결합된다. 커넥터(177)는 회로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178)와, 안테나 코일(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179)와, 제 1 단자(178)와 제 2 단자(17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선(180)을 구비한다. 제 1 단자(178)는 베이스(173)의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베이스(173)에 결합되고, 제 2 단자(179)는 받침대(174)의 받침부(175)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받침부(175)에 결합된다. 전도선(180)은 제 1 단자(178)와 제 2 단자(179)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도선(180)은 받침대(174)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받침대(174)의 외부에 배치되어 제 1 단자(178)와 제 2 단자(179)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탄성 지지 유닛(185)은 베이스(186)와, 복수의 받침대(187)와, 한 쌍의 커넥터(177)를 포함한다.
베이스(186)는 회로유닛(120)에 고정된다. 복수의 받침대(187)는 각각 받침부(188)와 연결부(189)로 구성된다. 받침부(188)는 가동부재(1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186)로부터 이격되어 가동부재(140)의 끝단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189)는 베이스(186)로부터 받침부(188)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베이스(186)와 받침부(188)를 연결한다. 복수의 받침대(187)는 각각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가동부재(140)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가동부재(140)가 외력을 받아 하강할 때 복수의 받침대(187)가 탄성 변형되고, 가동부재(14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복수의 받침대(187)가 탄성 복원되면서 가동부재(1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베이스(186)와 받침대(187)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커넥터(177)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으로, 복수의 받침대(187) 중에서 두 개의 받침대(187)에 각각 배치된다. 커넥터(177)는 회로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178)와, 안테나 코일(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179)와, 제 1 단자(178)와 제 2 단자(17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선(180)을 구비한다. 제 1 단자(178)는 베이스(186)의 하면으로 노출되도록 베이스(186)에 결합되고, 제 2 단자(179)는 받침대(187)의 받침부(188)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받침부(188)에 결합된다. 전도선(180)은 제 1 단자(178)와 제 2 단자(179)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면에는 하나의 베이스(186)에 네 개의 받침대(187)가 결합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베이스에 결합되는 받침대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의 구조나, 베이스와 받침대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탄성 지지 유닛(190)은 한 쌍의 지지체(191)(19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체(191)(19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하도록 회로유닛(120; 도 1 참조)의 회로기판(121; 도 1 참조)에 결합된다.
지지체(191)(192)는 각각 회로유닛(120)에 고정되는 베이스(193)와, 베이스(193)에 가동부재(140)를 향해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받침대(194)와, 가동부재(140)를 향해 돌출되도록 받침대(194)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97)를 구비한다. 베이스(193)는 받침대(194)와 결합되어 받침대(194)를 지지하도록 회로유닛(120)에 고정된다. 받침대(194)는 받침부(195)와 연결부(196)로 구성된다. 받침부(195)는 가동부재(1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193)로부터 이격되어 가동부재(140)의 끝단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196)는 베이스(193)로부터 받침부(195)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베이스(193)와 받침부(195)를 연결한다. 결합돌기(197)는 받침대(194)의 받침부(195) 일측에 가동부재(140)를 향해 돌출 구비된다. 결합돌기(197)가 가동부재(140)의 끝단에 구비되는 결합홈(198)에 삽입됨으로써 가동부재(140)와 지지체(191)(192)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체(191)(192)의 베이스(193)와 받침대(194)는 도전체로 이루어져 회로유닛(120)과 안테나 코일(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면에는 지지체(191)(192)의 결합돌기(197)가 받침대(194)의 받침부(195) 일부가 절개되어 상측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결합돌기는 가동부재의 끝단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받침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는 회로유닛과 안테나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가동부재를 회로유닛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 유닛이 회로유닛에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가동부재(140)가 보빈(145)의 중앙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구조로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동부재(140)와 보빈(145)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빈(145)과 가동부재(14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보빈(145)이 가동부재(14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빈(145)에 권취되는 안테나 코일(150)의 보빈(145)에서 회로유닛(120)으로 연장된 부분의 길이를 충분하게 함으로써, 보빈(145)의 이동하더라도 안테나 코일(150)의 중간 부분이 파손되거나, 안테나 코일(150)과 탄성 지지 유닛(190)의 결합 부분이 손상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 유닛을 구성하는 받침대는 가동부재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가동부재의 끝단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받침부를 갖는 구조 이외에, 가동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110...하우징
120...회로유닛 121...회로기판
122...스위치 123...접속단자
125...광원 소자 130...광가이드
131...광출사부 135...스위치 버튼
137...금속 박막 138...절개부
140...가동부재 145...보빈
150...안테나 코일 155...안테나 코일 홀더
160, 170, 185, 190...탄성 지지 유닛
161, 162, 171, 172, 191, 192...지지체 163, 173, 186, 193 ...베이스
164, 174, 187, 194...받침대 165, 175, 188, 195...받침부
166, 176, 189, 196...연결부 177...커넥터
178, 179...제 1, 2 단자 180...전도선
197...결합돌기 198...결합홈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유닛;
    상기 회로유닛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위치 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안테나 코일; 및
    상기 안테나 코일과 상기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회로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회로유닛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유닛으로부터 상기 가동부재의 끝단을 향해 돌출되는 받침대를 갖는 탄성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를 복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로유닛에 고정되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를 각각 복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가동부재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받침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의 받침대는 상기 안테나 코일과 상기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안테나 코일과 상기 회로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안테나 코일과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유닛과 접속되도록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가동부재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의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으로 연장되는 상기 안테나 코일의 중간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안테나 코일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버튼의 표면을 덮도록 상기 스위치 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상기 스위치 버튼의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금속 박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유닛에 결합되는 광원 소자; 및
    상기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금속 박막의 절개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광원 소자에서 상기 금속 박막의 절개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광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KR1020150111828A 2015-08-07 2015-08-07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KR20170018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28A KR20170018255A (ko) 2015-08-07 2015-08-07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28A KR20170018255A (ko) 2015-08-07 2015-08-07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255A true KR20170018255A (ko) 2017-02-16

Family

ID=5826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828A KR20170018255A (ko) 2015-08-07 2015-08-07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2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24B1 (ko) 2011-07-25 2011-09-22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080586B1 (ko) 2009-06-04 2011-11-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86B1 (ko) 2009-06-04 2011-11-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1066924B1 (ko) 2011-07-25 2011-09-22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US6914504B2 (en) Electromagnetic switch for a starter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US9437920B2 (en) Push-button switch
JP5471214B2 (ja) スイッチ装置
JP5444075B2 (ja) スイッチ装置
JP6017348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60053237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WO2015137239A1 (ja)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KR20170018255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KR101651555B1 (ko) 보빈 일체형 바디를 구비한 시동버튼장치
JP7058734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5037B1 (ko)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JP5984216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KR20170019565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JP6132432B2 (ja) アンテナ装置
JP2009508315A (ja) コイルのための改良された電気接続手段を備える熱機関のスタータのためのコンタクタ
KR101651365B1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JP5502975B2 (ja)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KR101680247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651366B1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101634802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CN218849768U (zh) 具有天线模块的紧凑型开关以及机动车辆
JP6017349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50002203U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