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247B1 -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247B1
KR101680247B1 KR1020150147873A KR20150147873A KR101680247B1 KR 101680247 B1 KR101680247 B1 KR 101680247B1 KR 1020150147873 A KR1020150147873 A KR 1020150147873A KR 20150147873 A KR20150147873 A KR 20150147873A KR 101680247 B1 KR101680247 B1 KR 10168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slide
button
guide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유진
이봉규
오주동
Original Assignee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6Assembling or mounting of star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 시동 스위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PCB와 제2PCB의 사이에 보빈이 설치되고, 보빈에 코일안테나가 설치된다.
코일안테나가 형성하는 전기장으로부터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 구동 전원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스마트키 배터리 방전시에도 비상 시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Engine start switch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을 눌러 엔진을 시동하는 버튼 타입 엔진 시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시동 및 정지는 시동 키를 시동 스위치에 연결된 키실린더의 키홈에 삽입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래에는 보다 간편한 엔진 시동 및 정지 조작을 위하여 키를 삽입 및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단순히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시동 및 정지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된 버튼 타입의 시동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튼 타입의 시동 스위치를 SSB(Start Stop Button)로 지칭한다.
한편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목적으로 정상적인 키 인증이 이루어져야만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 전자제어유니트와 스마트키(포브키,카드키)의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키 고유의 인증코드를 스마트키 전자제어유니트가 확인함으로써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엔진 시동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근래에는 상기 버튼 타입 시동 스위치와 함께 적용되고 있다.
즉 스마트키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버튼 타입 시동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시동신호를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고 PDM(Power distribution module)이 시동릴레이에 전원을 인가토록 함으로써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스마트키의 내장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하여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엔진을 시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비상 시동을 위해 별도의 스마트키홀더를 마련하고, 비상시에는 스마트키홀더에 스마트키를 삽입하면 스마트키홀더의 코일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으로부터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가 구동 전원을 얻음으로써 스마트키가 스마트키 전자제어유니트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별도의 스마트키홀더를 차량 실내(주로 스티어링컬럼이나 센터페시아의 일측면)에 추가 설치해야만 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레이아웃 설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스마트키홀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해 주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에 결합된 버튼과, 상기 바디에 압입 설치되고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PCB 및 제2PCB와, 상기 제1PCB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에 의해 눌렸을 때 제1PCB의 누름 감지부를 눌러 버튼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 복원되어 슬라이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버튼러버와, 상기 제2PCB의 일측면에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제1PCB와 제2PCB의 사이에 설치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형성된 코일설치홈에 설치되고 제1PCB와 제2PC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장을 형성하여 스마트키 접근시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에 비상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코일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보빈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으로서 제1PCB와 제2PCB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은 보빈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제1PCB와 제2PCB 상의 면적에 설치된다.
상기 바디의 일단 내주면에 리어케이스가 압입 설치되어 바디와 커넥터 사이의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리어케이스에는 관 형상의 커넥터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지지부가 커넥터를 감싸 지지한다.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바디의 일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라이트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이 축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버튼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면에 연결되되 제1가이드면보다 축소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의 내경이 상기 제1가이드면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의 내주면이 버튼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바디의 제2가이드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의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고 원주방향 회동은 억제된다.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버튼러버의 면적 내에 한 쌍의 눌림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눌림부에 대응되는 제1PCB 상의 위치에 상기 누름 감지부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러버의 중앙에 관 형상의 통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는 슬라이드의 일측면에 형성된 중앙홀에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시동 스위치에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코일안테나가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방전시 스마트키의 비상 작동을 위해 별도의 스마트키홀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키홀더의 제조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고, 차량 실내에 스마트키홀더를 설치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는 설계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코일안테나가 설치되는 보빈이 기존에 빈 공간으로 존재하던 제1PCB와 제2PCB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므로 보빈의 추가 설치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빈이 제1PCB와 제2PCB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코일안테나와 PCB의 거리가 매우 가까우므로 코일안테나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고, 코일안테나와 PCB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레이아웃 설정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시동 스위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시동 스위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시동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는 원통형의 바디(10)에 슬라이드(20), 버튼(30), 라이트(40), 커버(50), PCB(Printed circuit board)(60,70), 버튼러버(80), 커넥터(90), 리어케이스(100) 등의 다수 부품이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10)가 원통형이므로 그에 내장되는 부품들도 기본적으로 원통 또는 원판형의 형상을 갖는다.
바디(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단(11)과, 지지단(11)이 축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1가이드면(12) 및 제1가이드면(12)에 대해 단차를 두고 제2가이드면(13)이 연장 형성된다. 즉 제1가이드면(12)과 제2가이드면(13)은 원주면이며 제1가이드면(12)에 비해 제2가이드면(13)의 직경이 작다. 상기 제1가이드면(12)은 상기 버튼(3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버튼(3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드(20)는 상기 제2가이드면(13)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2가이드면(13)의 내경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제2가이드면(13)은 슬라이드(2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2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드(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돌기(21)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1)는 슬라이드(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10)의 제2가이드면(13)에는 축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돌기(21)와 같은 수의 가이드홈(14)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14)과 가이드돌기(21)는 일대일 대응한다. 가이드돌기(21)는 가이드홈(14)에 삽입되며 이에 슬라이드(20)의 축방향 직선 이동이 정확하고 안정적인 경로를 가지도록 안내된다. 가이드돌기(21)와 가이드홈(14)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20) 및 이에 장착된 버튼(30)은 축방향 이동시 바디(10)의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슬라이드(20)의 일측 단부는 전체적으로 개구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이후 설명할 버튼러버(80)의 통기구(82)가 관통 삽입되는 중앙홀(22)을 제외한 부분은 막혀 있다.
버튼(30)은 축방향의 일측 단부는 막히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 원형 캡(cap) 형상의 부품으로서 슬라이드(20)의 개방된 단부 외주부에 압입되어 슬라이드(20)에 장착된다. 버튼(30)의 외경은 바디(10)의 상기 제1가이드면(12)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버튼(30)이 축방향 이동시 제1가이드면(12)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제1가이드면(12)과 제2가이드면(13) 사이의 단차부에 의해 눌림 방향(버튼러버(80)쪽 방향으로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제한된다.
라이트(40)는 상기 버튼(30)에 대응되는 내측 부분이 개구된 원형 링 형상의 부품으로서 외경의 일부가 바디(1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바디(10)의 내주부에 압입 결합된다. 라이트(40)에서 바디(10)의 내주부에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바디(10)의 내경보다 크고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그 단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바디(10)의 단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바디(10)의 내주부로 삽입된 라이트(40)의 단부는 바디(10)의 상기 지지단(11)에 의해 지지된다.
라이트(40)의 내경은 상기 바디(10)의 제1가이드면(12)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라이트(40)의 내경과 제1가이드면(12)의 내경은 단차 없이 동일한 원형면을 형성하며, 이에 버튼(30)은 라이트(40)의 내주면과 제1가이드면(12)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된다.
라이트(40)는 제1PCB(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50)는 바디(10)와 라이트(40)의 연결부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원형 링 형상 부품으로서 내주면의 일부는 바디(10)의 외경에 접하는 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라이트(40)의 외경에 접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두 면 사이의 단차부가 바디(10)의 단부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20)의 일측 방향(버튼 눌림 방향으로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PCB(60)가 설치되고, 제1PCB(6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제2PCB(70)가 설치된다. 제1PCB(60)와 제2PCB(70)는 원판 형상으로 바디(10)의 내주에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PCB(60)와 제2PCB(70)는 내부 커넥터로 연결된다.
제1PCB(60)의 슬라이드(20)쪽 면에는 버튼러버(80)가 설치된다. 버튼러버(80)는 제1PCB(60)와 동일한 크기의 원판형이며 슬라이드(20)쪽 방향으로 한 쌍의 눌림부(81)와 통기구(82)가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81)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돌출부의 하부는 원추형으로 확장되어 원형 돌출부를 탄성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눌림부(81)는 버튼러버(80)에서 서로 180°반대쪽 위치에 형성되되, 양측 눌림부(81) 모두 슬라이드(20) 일측면의 면적 범위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드(20)가 버튼러버(80)쪽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였을 때 양측 눌림부(81)가 모두 슬라이드(20)의 측면(도1에서 오른쪽면)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버튼(30)이 눌리지 않은 보통 상태에서 버튼(30)은 라이트(40)와 동일 면을 형성하며, 이때 슬라이드(20)의 막힌 일측면과 상기 양측 눌림부(81)는 서로 단순 접촉하고 있다.
통기구(82)는 양측 눌림부(81)의 사이 즉, 버튼러버(80)의 중심 부분에 직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중앙홀(22)로 삽입되어 있게 된다.
통기구(82)는 상기 버튼러버(80)의 내부(버튼러버와 제1PCB 사이의 공간)와 외부(버튼러버 내측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슬라이드 내부의 공간) 사이의 공기 소통을 원활히 함으로써 상기 눌림부(81)의 눌림과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눌림부(81)의 내측면에는 별도의 누름부재(고무, 스펀지, 탄소접점고무 등)가 구비되거나 누름돌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드(20)에 의해 눌려졌을 때 제1PCB(60)의 대응 부분에 구비된 압전소자 등의 누름 감지소자를 가압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2PCB(70)의 일측면에는 커넥터(90)가 장착된다. 도면에는 커넥터(90)의 하우징만을 도시하였으나, 커넥터(90)의 내부에 단자가 구비됨은 물론이며, 단자는 제2PCB(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90)는 도면의 우측에서 보아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즉, 커넥터(90)는 일측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커넥터(90)와 바디(10)의 사이에는 원형의 리어케이스(100)가 삽입 장착되어 바디(10)의 개구된 후단을 차폐한다. 리어케이스(100)의 전방측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는 상기 리어케이스(100)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며, 이때 리어케이스(100)는 바디(10)의 단부에 걸려서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리어케이스(100)의 후면에는 직사각형 관 형상의 커넥터지지부(10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지지부(101)가 커넥터(90)의 외부를 감싸서 지지한다.
상기 제1PCB(60)와 제2PCB(70)의 사이에는 원형 링 형상의 보빈(110)이 설치된다. 보빈(110)은 제1PCB(60)와 제2PCB(7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110)은 전방측(제1PCB(60)측) 단부와 후방측(제2PCB(70)측) 단부에 각각 반경 방향 외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형상으로서, 양측 플랜지에 의해 그 사이에는 코일을 감을 수 있는 코일설치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코일설치홈(111) 즉 보빈(110)의 외주에는 코일이 다수 회 권선되어 코일안테나(200)를 형성한다. 코일안테나(200)는 상기 제1PCB(60) 또는 제2PCB(7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자유 의도에 따를 것이나 스위치로 전원이 입력되는 커넥터(90)와 가까운 제2PCB(70)에 연결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트(40) 역시 제1PCB(60) 또는 제2PCB(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라이트(40)는 설치 위치상 거리가 가까운 제1PCB(6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PCB(60)와 제2PCB(70)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연결부재(상기 내부 커넥터)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PCB(60)와 제2PCB(70)에는 상기 라이트(40)와 코일안테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여러 전자 소자들이 분산 실장되어 있다. 보빈(110)은 내측 부분이 비어 있는 관통된 링 형상의 부품이므로 그 비어 있는 공간에 대응되는 제1PCB(60)와 제2PCB(70)상의 면적에 필요한 전자 소자들을 실장하면 되므로 보빈(110)에 의해 전자 소자들을 PCB상에 실장하기 곤란하게 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보통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버튼(30)을 누르면, 버튼(30)이 슬라이드(20)를 밀어 슬라이드(20)가 제1PCB(60)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드(20)의 일측면이 버튼러버(80)의 눌림부(81)를 눌러 줌으로써 제1PCB(60)의 누름 감지소자에서 버튼 조작 신호가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제2PCB(70)와 커넥터(90)를 통해 이에 연결된 스마트키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된다. 스마트키 전자제어유니트는 스마트키의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PDM(Power distribution module)을 제어하여 시동릴레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엔진을 시동한다.
눌렸던 버튼(30)을 놓으면 상기 버튼러버(80) 눌림부(8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20)와 버튼(3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슬라이드(20)와 버튼(30)의 복귀는 눌림부(81)가 원형으로 복원되는 지점까지만 이루어져서 그 복귀 위치가 일정하며, 복귀시 버튼(30)의 표면은 라이트(40)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20)와 버튼(30)의 축방향 이동시, 슬라이드(20)의 외주면이 바디(10)의 제2가이드면(13)에 가이드되고, 버튼(30)의 외주면이 라이트(40)의 내주면에 가이드되며, 특히 슬라이드(20) 외주면의 가이드돌기(21)가 제2가이드면(13)에 형성된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기 때문에 슬라이드(20)와 버튼(30)의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매우 안정되게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1)와 가이드홈(14)의 결합에 의하여 슬라이드(20)가 원주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되며, 이에 슬라이드(20)의 외주부에 압입된 버튼(30) 역시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의 내장 배터리가 방전되어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와 차량 실내의 LF안테나간 통신이 불가한 경우, 사용자는 비상 시동을 위해 스마트키를 손에 쥔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버튼(30)을 누르거나 또는 스마트키로 직접 버튼(30)을 눌러 준다.
이와 같이 스마트키가 엔진 시동 스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즉 스마트키가 상기 코일안테나(200)에 근접하게 되면, 코일안테나(200)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으로부터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에 전류가 유도되고, 이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가 인증신호를 발신한다.
따라서 차량 실내에 설치된 LF안테나가 상기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키 전자제어유니트에 전달함으로써 인증을 실시하게 되고, 인증이 성공하면 버튼(30)이 눌림으로써 발생한 버튼 눌림 신호를 유효한 시동 신호로 판단하고 전술한 과정을 거쳐 엔진을 시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키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시동 스위치에 내장된 코일안테나에 의해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가 비상 구동되어 스마트키 인증이 가능하므로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시동 스위치는 슬라이드(20)와 버튼(30) 조립체가 바디(10)의 제1가이드면(12)과 제2가이드면(13) 및 라이트(40)의 내주면에 의해 가이드되며, 특히 슬라이드(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가 상기 제2가이드면(13)에 형성된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므로 슬라이드(20)와 버튼(30) 조립체의 누름과 복귀 작동이 회전 없이 정확한 직선으로 매우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이 제1PCB(60)와 제2PCB(70)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므로 보빈(110)을 추가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보빈(110)이 제1PCB(60)와 제2PCB(70)에 직접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코일안테나(200)와 제1PCB(60) 또는 제2PCB(70)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서 코일안테나(200)와 PCB의 연결이 용이하다. 즉, 코일안테나(200)로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고, 스위치내 다른 부품과의 간섭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코일안테나(200)와 PCB의 연결선 레이아웃 설정이 매우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바디 11 : 지지단
12 : 제1가이드면 13 : 제2가이드면
14 : 가이드홈 20 : 슬라이드
21 : 가이드돌기 22 : 중앙홀
30 : 버튼 40 : 라이트
50 : 커버 60 : 제1PCB
70 : 제2PCB 80 : 버튼러버
81 : 눌림부 82 : 통기구
90 : 커넥터 100 : 리어케이스
101 : 커넥터지지부 110 : 보빈
111 : 코일설치홈 200 : 코일안테나

Claims (8)

  1.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에 결합된 버튼과;
    상기 바디에 압입 설치되고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PCB 및 제2PCB와;
    상기 제1PCB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에 의해 눌렸을 때 제1PCB의 누름 감지부를 눌러 버튼작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 복원되어 슬라이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버튼러버와;
    상기 제2PCB의 일측면에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제1PCB와 제2PCB의 사이에 설치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형성된 코일설치홈에 설치되고, 제1PCB와 제2PC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장을 형성하여 스마트키 접근시 스마트키의 트랜스폰더에 비상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코일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바디의 일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라이트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이 축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버튼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면에 연결되되 제1가이드면보다 축소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면이 형성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으로서 제1PCB와 제2PCB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들은 보빈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제1PCB와 제2PCB 상의 면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단 내주면에 리어케이스가 압입 설치되어 바디와 커넥터 사이의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리어케이스에는 관 형상의 커넥터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지지부가 커넥터를 감싸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의 내경이 상기 제1가이드면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의 내주면이 버튼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제2가이드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드의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고 원주방향 회동은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버튼러버의 면적 내에 한 쌍의 눌림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눌림부에 대응되는 제1PCB 상의 위치에 상기 누름 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튼러버의 중앙에 관 형상의 통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는 슬라이드의 일측면에 형성된 중앙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20150147873A 2015-10-23 2015-10-23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68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873A KR101680247B1 (ko) 2015-10-23 2015-10-23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873A KR101680247B1 (ko) 2015-10-23 2015-10-23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247B1 true KR101680247B1 (ko) 2016-11-28

Family

ID=5770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873A KR101680247B1 (ko) 2015-10-23 2015-10-23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4857A (zh) * 2018-09-27 2018-12-18 杭州先锋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ipex天线与ipex板载天线座的自动安装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12B1 (ko)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JP2015050077A (ja) * 2013-09-03 2015-03-16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12B1 (ko)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JP2015050077A (ja) * 2013-09-03 2015-03-16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4857A (zh) * 2018-09-27 2018-12-18 杭州先锋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ipex天线与ipex板载天线座的自动安装装置
CN109014857B (zh) * 2018-09-27 2024-01-19 杭州先锋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ipex天线与ipex板载天线座的自动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020B1 (ko)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US9543089B2 (en) Switch device
EP1637403B1 (en) Rotary connector
KR100943928B1 (ko) 엔진 스위치 장치
EP2461015B2 (en) Engine starting/stopping switch device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KR101178169B1 (ko)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KR20110006114A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680247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20160053237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101658850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717038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651555B1 (ko) 보빈 일체형 바디를 구비한 시동버튼장치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WO2015077459A1 (en) Short circuit protection for electric cigar lighter and power outlet socket
KR102005037B1 (ko)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KR20150092664A (ko) 차량용 엔진 시동 버튼 장치
JP5984216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5502975B2 (ja)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WO2020008959A1 (ja) スイッチ装置
KR101651366B1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US20150179369A1 (en) Button assembley of engine start/stop switch for vehicles and engine start/stop switch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KR20170019565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JP6017349B2 (ja) スイッチ装置
US10411332B2 (en) Vehicle sta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