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203U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2203U KR20150002203U KR2020130009940U KR20130009940U KR20150002203U KR 20150002203 U KR20150002203 U KR 20150002203U KR 2020130009940 U KR2020130009940 U KR 2020130009940U KR 20130009940 U KR20130009940 U KR 20130009940U KR 20150002203 U KR20150002203 U KR 2015000220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housing
- vehicle
- antenna substrate
- button kno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가 접근하는 것에 따라 상기 스마트 키의 ID 코드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안테나가 패턴된 안테나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제품 조립 중 안테나의 단선 등과 같은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박막 형태의 안테나가 패턴된 안테나기판이 버튼 노브의 가동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제품 조립 중 안테나의 단선 등과 같은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보안과 안전 등의 이유로 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동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시동 스위치, 엔진 시동유닛, 점화코일, 배전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시동 스위치는 엔진의 시동은 물론 다른 전기장치에 필요한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러한 시동장치는 운전자가 시동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고 시동 위치로 돌려 차량에 초기 시동을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동장치는 시동 키를 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도난당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장치가 등장하였다. 차량에 적용되는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한 채 차량으로 다가가면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된 엔진 시동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키에 ID 코드가 부여되고, 이렇게 ID 코드가 부여된 스마트 키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것에 따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가 스마트 키의 ID 코드를 인식하여 엔진 시동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엔진 시동 스위치에는 코일안테나가 설치되어 스마트 키의 전원이 방전되거나 또는 고장 등의 이유로 ID 코드 신호가 자동으로 송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스마트 키가 엔진 시동 스위치에 근접하는 것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시켜 ID 코드 신호를 송출하여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엔진 시동 스위치의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57863호의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가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행기술은 일단부가 차량의 대시보드 외부로 노출되고 그 타측이 대시보드 내부에 내장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엔진의 스타트 스톱을 위해 가압되는 버튼(20)과, 상기 버튼(2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선단부에 밀접되고, 피시비(41) 및 상기 피시비(41)의 상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30)의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가압 및 가압 해제되면서 피시비(41)와 접점되어 엔진 스타트 스톱 신호를 동작시키는 접점돌기(42a)가 마련된 탄성판(42)으로 이루어진 회로부(40) 및 상기 버튼(20)과 슬라이더(30) 사이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기(스마트 키)의 트랜스폰더에 구동전파를 송신하는 코일안테나(5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선행기술은 보빈과 같은 형태의 구조물에 코일안테나를 감아서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선행기술은 코일안테나(50)를 권선하기 위한 보빈을 제작해야 하고 이러한 보빈에 코일안테나가 끊어지지 않게 감아야 하는 제조기술 및 제조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은 코일안테나(50)가 감긴 보빈을 슬라이더(30) 및 버튼(20)과 연계시켜 설치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엔진 시동 스위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엔진 시동 스위치의 복잡한 구조와 부피 증가는 대시보드에서 엔진 시동 스위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증가시키게 되며 따라서, 엔진 시동 스위치 이외의 다른 장치들이 대시보드에 설치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대시보드 및 대시보드에 설치될 다른 장치들의 설계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안테나가 보빈에 감기는 형태를 갖지 않도록 하여 코일안테나의 제조 및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가 접근하는 것에 따라 상기 스마트 키의 ID 코드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안테나가 패턴된 안테나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안테나가 평판형으로 패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기판에는 상기 버튼 노브를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기판이 버튼 노브의 가동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의 빛을 통과시키는 출사공이 안테나기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버튼 노브의 내부 또는 가동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통신하게 되는 안테나가 원판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박막의 형태로 패턴되어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테나기판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린트방식, 에칭방식 등에 의해 신속하게 대량 생산되는 안테나기판을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적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제조공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메인기판에 안테나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메인기판에 안테나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기판(300)과, 상기 메인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가 접근하는 것에 따라 상기 스마트 키의 ID 코드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안테나(420)가 패턴된 안테나기판(400)으로 구성되어, 스마트 키와 통신하게 되는 안테나가 평판형의 구조를 갖게 된다.
부연하자면,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몸체(120)로 이루어지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몸체(120)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져 결합되었을 때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버튼 노브(2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몸체(120)로 구성되는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몸체(120)가 결합되었을 때 일단이 중공된 원통을 갖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버튼 노브(200)가 하우징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버튼 노브(200)의 타단으로 가동 블록(500)이 설치되어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5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직선이동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단 외경으로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몸체(120)가 결합되었을 때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몸체(1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링(600)이 설치된다. 이때, 고정 링(600)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링(600)의 하단에는 걸림 홈(610)이 형성되며 고정 링(600)의 걸림 홈(610)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일단 외경에는 후크와 같은 형태의 걸림 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 몸체(120)와 하우징 커버(110)가 결합된 후에는 하우징(100)의 일단 외경에 고정 링(600)이 삽입되고 이때, 고정 링(600)에 형성된 걸림 홈(610)이 하우징 몸체(120) 또는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된 걸림 턱(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 링(600)은 본 고안의 스위치 유닛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 고정 링(6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버튼 노브(200)는 하우징(100) 내측면에 접촉하여 직선이동 경로가 가이드되도록 하우징(100)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로 원통의 형상을 갖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500)이 연동되어 버튼 노브(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가동 블록(500)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 노브(200)의 타단 둘레에는 복수의 연장부(210)가 형성되어 가동 블록(5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메인기판(300)이 배치되는데, 메인기판(300)에는 고정 단자(미도시)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가동 블록(5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직선이동하는 것에 따라 가동 단자(미도시)가 고정 단자를 향해 이동하여 고정 단자와 접촉되거나 또는 단락되어 전기적으로 단속된다.
이러한 메인기판(300)은 하우징 몸체(120)의 내측면 또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곳에 대면하게 배치되며, 메인기판(300) 상에는 가동 블록(500)의 가동 단자와 접촉 또는 단락되는 고정 단자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단자는 하우징(100) 내부로 가동 단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되어 가동 블록(500)의 가동에 따라 가동 단자와 접촉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즉,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500)이 하우징(100)의 타단을 향해 이동하면서 가동 블록(500)에 구비된 가동 단자가 메인기판(300)에 구비된 고정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기판(300)은 하우징(100)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메인기판(300)이 하우징 커버(110) 또는 하우징 몸체(12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곳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00)의 타단에 메인기판(300)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기판(300)이 배치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버튼 노브(200)와 연동되는 가동 블록(500)이 배치된다. 가동 블록(5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경에 준하는 지름을 갖거나 또는 이보다 작은 지름을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가동 블록(500)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가동 블록(500)의 외측면에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이 가동 블록(500)의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가동 블록(500)은 하우징 몸체(120) 또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면과 대면하게 배치된 메인기판(300)과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메인기판(300)의 일측면이 하우징 몸체(120) 또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경우 메인기판(300)의 타측면으로 가동 블록(500)이 배치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기판(300)의 타측면에 고정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단자와 마주하는 가동 블록(500)의 일측면에 가동 단자가 형성되어 가동 블록(500)의 직선이동에 따라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가 접촉 또는 단락된다. 이때, 가동 블록(50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가동 단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가동 블록(500)과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동 블록(500)의 타면에는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510)가 형성되는데,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510)는 탄성 반발부재(700)를 수용하고 탄성 반발부재(70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 반발부재(700)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탄성 반발부재(700)는 일단이 가동 블록(500)에 형성된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510)에 위치되고 타단이 하우징(100)의 폐쇄된 타단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가동 블록(500)이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가동 블록(500)이 탄성 반발부재(7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 버튼 노브(200)를 통하여 가압력이 가동 블록(500)에 인가될 때 가동 블록(500)도 함께 가압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하여 탄성 반발부재(700)를 탄성 압축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버튼 노브(200)에 가압력이 제거되면 버튼 노브(200) 및 가동 블록(500)이 탄성 반발부재(700)에서 발휘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평판형의 안테나기판(400)이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키와 통신하게 된다. 이러한 안테나기판(40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가동 블록(500)의 직선이동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기판(400)은 버튼 노브(200)의 타단과 가동 블록(50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기판(400)이 버튼 노브(200)와 동일하게 직선이동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안테나기판(400)이 버튼 노브(20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가동 블록(5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안테나기판(4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의 형태를 갖고 원판의 일면(버튼 노브와 마주하는 면) 또는 타면(가동 블록과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안테나(420)가 패턴된다.
여기서, 안테나기판(400)의 원판(410)은 도면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안테나(420)가 박막 형성되는 원판은 원형, 타원형, 비대칭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원판(4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안테나(420)는 원판(41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원판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다수의 동심원으로 패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원판(410)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은 이외에도 지그재그의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안테나 패턴이 구비되는 원판(410)은 바람직하게 인쇄회로기판에 박막의 형태로 안테나(420)가 프린트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안테나(420)를 형성하는 물질을 코팅하고 인쇄회로기판에 코팅된 물질을 안테나(420)의 패턴에 맞게 식각하는 에칭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원판(410)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버튼 노브(200)의 타단에는 버튼 노브(200)를 향해 빛을 출력시키는 광출력부(310)가 메인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광출력부(31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버튼 노브(200)를 향해 빛을 출력할 수 있으면 그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광출력부(310)는 버튼 노브(200)의 타단에 배치되거나 또는 가동 블록(500)의 일단에 배치되어 버튼 노브(200)를 향해 빛을 출력시켜 버튼 노브(200)를 투광한 빛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광출력부(310)와 버튼 노브(200) 사이에 안테나기판(4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메인기판에 안테나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광출력부(310)가 메인기판(300)에 실장되는 경우 광출력부(310)와 버튼 노브(200) 사이에 안테나기판(400)이 배치된다. 이렇게 광출력부(310)와 버튼 노브(200) 사이에 안테나기판(400)이 배치되면 광출력부(310)에서 출력되는 빛이 안테나기판(400)에 가로막혀 버튼 노브(200)를 투광할 수 없게 된다.
즉, 광출력부(310)가 메인기판(300)에 실장되고, 광출력부(310)와 버튼 노브(200) 사이에 안테나기판(400)이 버튼 노브(200)의 가동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면 광출력부(310)에서 출력되는 빛이 버튼 노브(200)를 투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광출력부(310)에서 출력되는 빛이 안테나기판(400)을 통과하여 버튼 노브(20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안테나기판(400)에는 출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출사공(430)을 통해 광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빛이 버튼 노브(200)에 도달하여 투광하게 된다.
이렇게, 안테나기판(400)에 형성되는 출사공(430)은 광출력부(310)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사공(430)은 메인기판(300)에 실장된 광출력부(310)에 대응하여 안테나기판(40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기판(300)에 복수의 광출력부(310)가 실장되어 버튼 노브(200)를 향해 빛을 조사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광출력부(310)에서 조사되는 빛이 버튼 노브(200)를 투광할 수 있게 복수의 출사공(430)이 안테나기판(4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통신하게 되는 안테나(420)가 원판(410)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박막의 형태로 패턴되어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테나기판(400)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린트방식, 에칭방식 등에 의해 신속하게 대량 생산되는 안테나기판(400)을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적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제조공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하우징 커버
120 : 하우징 몸체 200 : 버튼 노브
210 : 연장부 300 : 메인기판
310 : 광출력부 400 : 안테나기판
410 : 원판 420 : 안테나
430 : 출사공 500 : 가동 블록
510 :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 600 : 고정 링
610 : 걸림 홈 700 : 탄성 반발부재
120 : 하우징 몸체 200 : 버튼 노브
210 : 연장부 300 : 메인기판
310 : 광출력부 400 : 안테나기판
410 : 원판 420 : 안테나
430 : 출사공 500 : 가동 블록
510 :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 600 : 고정 링
610 : 걸림 홈 700 : 탄성 반발부재
Claims (5)
-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가 접근하는 것에 따라 상기 스마트 키의 ID 코드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안테나가 패턴된 안테나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안테나가 평판형으로 패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에는 상기 버튼 노브를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기판이 버튼 노브의 가동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의 빛을 통과시키는 출사공이 안테나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버튼 노브의 내부 또는 가동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940U KR20150002203U (ko) | 2013-12-02 | 2013-12-02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940U KR20150002203U (ko) | 2013-12-02 | 2013-12-02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2203U true KR20150002203U (ko) | 2015-06-10 |
Family
ID=5351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940U KR20150002203U (ko) | 2013-12-02 | 2013-12-02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2203U (ko) |
-
2013
- 2013-12-02 KR KR2020130009940U patent/KR2015000220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13518B1 (en) |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 |
KR101025901B1 (ko) |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 |
WO2014017324A1 (ja) | スイッチ装置 | |
US9437920B2 (en) | Push-button switch | |
KR101178169B1 (ko) |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 |
KR20040071648A (ko) | 엔진 스위치 장치 | |
US10026545B2 (en) |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coil device | |
KR20160053237A (ko) |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 |
US20150337788A1 (en) | Engine start switch | |
KR101170199B1 (ko) |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 |
US20110018684A1 (en) | Remote keyless ignition system and method | |
KR20150002203U (ko)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
KR101651555B1 (ko) | 보빈 일체형 바디를 구비한 시동버튼장치 | |
JP5866425B2 (ja) |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 |
JP2020009607A (ja) | スイッチ装置 | |
JP6132432B2 (ja) | アンテナ装置 | |
KR20170019565A (ko) |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 |
JP2009121279A (ja) | エンジン始動停止スイッチ装置 | |
JPH1191510A (ja) | イモビライザキー | |
JP2015115224A (ja) | 押ボタンスイッチ | |
KR101680247B1 (ko) |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 |
KR101651366B1 (ko) |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 |
US9812271B2 (en) | Push type switch | |
JP3151128B2 (ja) | 車両用キー装置 | |
KR20150103784A (ko)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