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901B1 -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901B1
KR101025901B1 KR1020090063603A KR20090063603A KR101025901B1 KR 101025901 B1 KR101025901 B1 KR 101025901B1 KR 1020090063603 A KR1020090063603 A KR 1020090063603A KR 20090063603 A KR20090063603 A KR 20090063603A KR 101025901 B1 KR101025901 B1 KR 10102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tton
cover
light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114A (ko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신창코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코넥타 filed Critical (주)신창코넥타
Priority to KR102009006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무빙블록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대 고정된 커버 링;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를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상대 고정된 바닥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안내하도록 관 형상으로 된 광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상대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범퍼; 및 상기 범퍼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몸체에 상대 고정된 버튼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for button start and stop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하거나 엔진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시동버튼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버튼 시동장치는 종래에 사용하던 시동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지 않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그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키의 신호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시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엔진이 작동되고, 엔진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다시 누르면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이는 자동차 키와 자동차의 시동장치가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도록 제작된 특수한 키를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시동장치를 소위 스마트 키(smart key) 시스템이라 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의 도난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시스템과 융합하여 차량의 도난방지와 운전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차량에는 키 실린더와 함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그 스위치를 누르면 스타트 모터와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고, 연료펌프가 연료를 실린더에 분사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그 스위치를 누르면 점화플러그의 전원을 차단하고, 연료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켜 엔진을 정지하도록 한다.
버튼 시동용 스위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형태의 하우징(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3)은 상기 하우징(2)에 대해 일정한 거리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의 일단부에는 크롬링(3a)이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3)의 왕복이동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에는 2개의 댐퍼(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3)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3)에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며, 인쇄회로기판(4)의 스위치를 작동하는 고무 재질의 키패드(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5)는 인쇄회로기판(4)과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5)는 2개의 탄성 돌출부(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 돌출부(6)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3)에 외력이 가해진 후 그 외력이 제거되면 그 스위치 하우징(3)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의 하측에는 커넥터(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의 타단부는 하부 하우징(8)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1)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3)의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에서 발생하는 조명 빛을 상기 스위치 하우징(2)의 표면으로 전달하는 광 가이드 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광 가이드 부재(9)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2)과 별도록 제작되어 그 스위치 하우징(2)에 조립되어야 하므로 번거로운 조립공정과 부품의 제조원가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하우징(3)의 이동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된 2개의 댐퍼(2a)는 크기가 매우 작아서 상기 하우징(2)에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댐퍼(2a)가 2개가 설치되어서 부품의 수가 많아지게 되므로 생산성과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치 하우징과 광 가이드 부재 및 댐퍼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개선하여 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제조원가를 낮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무빙블록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대 고정된 커버 링;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를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상대 고정된 바닥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안내하도록 관 형상으로 된 광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상대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범퍼; 및
상기 범퍼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몸체에 상대 고정된 버튼 커버;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범퍼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그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 커버는 상기 걸림턱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버튼 커버와 상기 몸체가 상대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빛을 일정영역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광 가이드 필름; 및
상기 광 가이드 필름에 의해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발광 링;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내의 시동키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는 안테나 코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무빙블록 몸체에 광 가이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몸체에 범퍼와, 버튼 커버를 상대결합하여 무빙블록 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수와 조립공정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서 무빙블록 조립체가 가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Ⅴ-Ⅴ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단면도에서 버튼 커버가 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Ⅶ-Ⅶ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10, 이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라 함)는 하우징(20)과, 무빙블록 조립체(30)와, 키패드(60)와, 인쇄회로기판(65)과, 커버 링(25)과, 바닥 커버(70)와, 발광다이오드(75)와, 광 가이드 필름(84)과, 발광 링(8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무빙블록 조립체(30), 인쇄회로기판(65) 등의 부재가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부근의 대쉬 보드(dash board)에 상대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 이다.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는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는 몸체(31)와, 범퍼(40)와, 버튼 커버(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31)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31)는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31)의 내부에는 광 가이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 가이드부(32)는 관 형상으로써 상기 몸체(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 가이드부(32)는 후술하는 발광다이오드(75)에서 발생된 빛을 안내하여 버튼 커버(50)에 이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의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10)와는 달리 광 가이드부(32)와 상기 몸체(31)를 조립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부(32)와 상기 몸체(31)는 일체로 성형이 되므로 상기 광 가이드부(32)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다는 측면에서 부품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몸체(31)의 측면에는 수용부(34)와 걸림턱(3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4)는 후술하는 범퍼(40)의 가이드부(42)가 수용되는 부위이다. 상기 수용부(34)는 범퍼(40)를 향하는 부분이 개방된 홈 형상이다. 상기 수용부(34)는 2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6)은 상기 몸체(31)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6)은 2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6)은 상기 수용부(34)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6)은 상기 몸체(31)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 턱(36)은 후술하는 버튼 커버(50)의 걸림부(52)가 걸려서 상대 고정되는 부위이다.
상기 범퍼(40)는 상기 몸체(3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범퍼(40)는 고무와 같이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범퍼(40)는 상기 몸체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범퍼(40)는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42)는 상기 수용부(34)에 끼워져 수용된다.
상기 버튼 커버(50)는 상기 범퍼(40)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버튼 커버(50)는 상기 몸체(31)에 상대 고정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 커버(50)는 걸림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52)는 상기 걸림턱(36)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버튼 커버(50)와 상기 몸체(31)가 상대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 커버(50)에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 상기 버튼 커버(50)에 새겨진 문자는 후술하는 발광다이오드(75)에서 발생된 빛에 의해 시인성이 향상된다.
상기 키패드(60)는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키패드(60)는 상기 몸체(3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60)는 2개의 탄성 돌출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 돌출부(62)는 상기 몸체(31)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돌출부(62)는 고무 소재 등과 같이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 돌출부(62)는 상기 몸체(31)가 외력에 의해 눌려진 후 그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상기 몸체(31)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 돌출부(62)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65)에 마련된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키패드(60)는 상기 탄성 돌출부(62)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5)은 상기 키패드(6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5)은 운전자의 시동키의 신호를 인지하고, 후술하는 발광다이오드(75)를 발광하도록 하며, 엔진 스타트 모터나 연료펌프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발생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5)에는 다른 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5)은 후술하는 발광다이오드(75) 점등용 기판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판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65)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에는 좁은 구간에 회로 구성을 위해서 발광다이오드(75)용 기판과 커넥터용 기판을 나누어 핀 헤더(67)와 같은 부품에 의해 전기적으로 두 기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링(25)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커버 링(25)은 상기 버튼 커버(50)의 외측면을 보호하며, 상기 버튼 커버(50)가 움직일 때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 링(25)의 표면은 크롬 소재로 도금되어 있다.
상기 바닥 커버(7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5)의 하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 커버(70)는 상기 하우징에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75)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보빈(80)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5)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7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75)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발광다이오드(75)들 중 일부는 상기 버튼 커버(50)의 문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나머지는 상기 버튼 커버(50)의 주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빈(80)에는 자동차 내의 시동키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는 안테나 코일(8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안테나 코일(82)은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82)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 포브 키(Fob key)에 배터리 출력이 낮을 경우 자동차가 사용자 인증을 위한 포브 키의 근거리 통신용으로 마련된 것이다. 상기 안테나 코일(82)은 코일 커넥터(83)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광 가이드 필름(84, Light Guide Film)은 상기 발광다이오드(75)의 빛을 일정영역에서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광 가이드 필름(84)은 발광다이오드(75)의 균일한 면 발광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투명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 도광 필름의 일종이다. 상기 광 가이드 필름(84)은 공지된 부품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 링(86)은 상기 광 가이드 필름(8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 링(86)은 상기 광 가이드 필름(84)에 의해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부품이다. 상기 발광 링(86)은 외부에서 그 발광 링(86) 부위에서 발광되는 조명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 상기 발광 링(86)은 광 차폐부재(27)에 의해 적절한 부위에서만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10)의 작용을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의 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 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가 조립되는 과정을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는 몸체(31)와, 범퍼(40)와, 버튼 커버(50)를 포함하고 있음은 앞서 서술한바 있다.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를 조립하는 순서는 상기 몸체(31)에 상기 범퍼(4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범퍼(40)에 마련된 가이드부(42)가 상기 몸체(31)에 마련된 수용부(34)에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 커버(50)가 상기 범퍼(40)를 덮도록 상기 버튼 커버(5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버튼 커버(50)에 마련된 걸림부(52)가 상기 몸체(31)에 마련된 걸림턱(36)에 걸리도록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52)가 약간 탄성 변형이 되면서 상기 걸림턱(36)을 타고 넘은 후에 그 걸림턱(36)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버튼 커버(50)가 상기 범퍼(40)를 누르면서 상기 몸체(31)에 상대 고정된다. 그 결과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가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10)를 조립하는 순서는 상기 키패드(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65)을 상호 결합한 후에 상기 하우징(20) 내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를 상기 하우징(2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80), 광 가이드 필름(84), 발광 링(86)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상기 커버 링(25)을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커버(70)를 상기 하우징(20)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10)의 기구적인 작동과정은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10)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 상기 버튼 커버(50)에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한다. 상기 버튼 커버(50)는 상기 범퍼(40) 및 상기 몸체(31)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20)의 내주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가 눌려진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의 하단부는 상기 탄성 돌출부(62)를 눌러서 그 탄성 돌출부(62)를 탄성 변형시킨다. 상기 탄성 돌출부(6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5)에 설치된 스위치 기구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버튼 커버(5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돌출부(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범퍼(40)는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그 외력이 제거된 후에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에 소음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 필름(84)은 상기 발광다이오드(75)에서 발광된 빛을 균일한 면적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10)는 상기 몸체(31)에 광 가이드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조립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부품수를 감속시켜 부품의 제조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범퍼(40)는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크기가 커서 조립시 다루기가 쉽고,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30)로 미리 조립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범퍼(40)는 종래의 2개의 부품을 1개로 통합하였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서 무빙블록 조립체가 가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Ⅴ-Ⅴ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단면도에서 버튼 커버가 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Ⅶ-Ⅶ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20 : 하우징 25 : 커버 링
27 : 광 차폐부재 30 : 무빙블록 조립체
31 : 몸체 32 : 광 가이드부
34 : 수용부 36 : 걸림턱
40 : 범퍼 42 : 가이드부
50 : 버튼 커버 52 : 걸림부
60 : 키패드 62 : 탄성 돌출부
65 : 인쇄회로기판 67 : 핀 헤더
70 : 바닥 커버 75 : 발광다이오드
80 : 보빈 82 : 안테나 코일
83 : 코일 커넥터 84 : 광 가이드 필름
86 : 발광 링

Claims (5)

  1.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무빙블록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대 고정된 커버 링;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를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상대 고정된 바닥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블록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안내하도록 관 형상으로 된 광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상대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범퍼; 및
    상기 범퍼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몸체에 상대 고정된 버튼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그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 커버는 상기 걸림턱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상기 버튼 커버와 상기 몸체가 상대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빛을 일정영역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광 가이드 필름; 및
    상기 광 가이드 필름에 의해 발광된 빛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발광 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내의 시동키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는 안테나 코일이 상기 하우징 내 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20090063603A 2009-07-13 2009-07-13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02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603A KR101025901B1 (ko) 2009-07-13 2009-07-13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603A KR101025901B1 (ko) 2009-07-13 2009-07-13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14A KR20110006114A (ko) 2011-01-20
KR101025901B1 true KR101025901B1 (ko) 2011-03-30

Family

ID=4361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603A KR101025901B1 (ko) 2009-07-13 2009-07-13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387B1 (ko) 2011-12-09 2012-07-30 (주)신창코넥타 방수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261209B1 (ko) 2011-02-24 2013-05-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KR101346419B1 (ko) 2012-11-29 2014-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터 버튼
CN104685205A (zh) * 2012-09-21 2015-06-03 大星电机工业株式会社 按钮类型的汽车点火系统
KR102068573B1 (ko) 2018-07-20 2020-01-21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24B1 (ko) * 2011-07-25 2011-09-22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317311B1 (ko) * 2013-02-26 2013-10-10 임욱빈 블로윙 방식을 이용한 검진 대상물 착상 장치
KR101717038B1 (ko) * 2015-10-23 2017-03-16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658850B1 (ko) * 2015-10-23 2016-09-22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CN106335467A (zh) * 2016-09-05 2017-01-18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带防盗系统的一键启动装置
US20230073675A1 (en) * 2020-02-13 2023-03-09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Vehicle push switch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544598B1 (ko) * 2020-02-13 2023-06-1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푸시 스위치 유니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690A (ja) 2004-06-16 2006-01-05 Asahi Denso Co Ltd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20090062142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 버튼의 후면 조명장치
KR20090114664A (ko) * 2008-04-30 2009-1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690A (ja) 2004-06-16 2006-01-05 Asahi Denso Co Ltd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20090062142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 버튼의 후면 조명장치
KR20090114664A (ko) * 2008-04-30 2009-1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209B1 (ko) 2011-02-24 2013-05-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KR101169387B1 (ko) 2011-12-09 2012-07-30 (주)신창코넥타 방수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CN104685205A (zh) * 2012-09-21 2015-06-03 大星电机工业株式会社 按钮类型的汽车点火系统
CN104685205B (zh) * 2012-09-21 2017-03-15 Ls汽车电子株式会社 按钮类型的汽车点火系统
US9702331B2 (en) 2012-09-21 2017-07-11 Daesung Electric Co., Ltd.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KR101346419B1 (ko) 2012-11-29 2014-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터 버튼
KR102068573B1 (ko) 2018-07-20 2020-01-21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14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901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JP6033447B2 (ja) 自動車のボタン式始動装置
KR101178169B1 (ko)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JP6176733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KR101066924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0966733B1 (ko)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KR20160112184A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장치
US10157715B2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KR101651555B1 (ko) 보빈 일체형 바디를 구비한 시동버튼장치
KR20150092664A (ko) 차량용 엔진 시동 버튼 장치
KR102448721B1 (ko) 차량 시동장치
KR20170019565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KR200445702Y1 (ko) 차량용 스위치 유니트
KR102068573B1 (ko)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JP2020009607A (ja) スイッチ装置
KR101741407B1 (ko)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JP6195244B2 (ja) スイッチ
KR20150103784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20150002203U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