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664A -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664A
KR20090114664A KR1020080040420A KR20080040420A KR20090114664A KR 20090114664 A KR20090114664 A KR 20090114664A KR 1020080040420 A KR1020080040420 A KR 1020080040420A KR 20080040420 A KR20080040420 A KR 20080040420A KR 20090114664 A KR20090114664 A KR 2009011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utton
stop switch
vehicl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733B1 (ko
Inventor
염재덕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6Assembling or mounting of star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엔진시동 및 정지를 시키기 위해 차량의 키박스에 키를 삽입하고 ACC/IGN/OFF로 키를 돌려서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정확히 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현상이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을 작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내통(310)과 외통(320)으로 이루어지되 내통(310)의 내주면 사방에는 보턴안내홈(330)이 형성되고, 내통(310)의 내주면 후단에는 홀더걸림턱(350)이 구비된 홀더안내홈(340)이 다수 형성되며, 외통(320)의 후미 내부에 커버삽입공간이 구비된 몸체(300);와 보턴안내홈(330)에 끼워지는 안내돌기(210)가 외주면에 구비된 통체형의 삽입부(220)가 내통(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쪽으로 슬라이드 출입되며,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표시창(230)이 전면에 구비된 보턴(200);과 보턴(200)의 삽입부(220) 후미에 결합되어 보턴(200)과 함께 이동되도록 내통(310) 후미에서 끼워지며, 외주면 양쪽에는 홀더안내홈(340)에 끼워져 안내되는 단자누름부(410)가 형성된 링형의 홀더(400);와 중앙에는 램프통과홀(510)이 구비되고, 전면 양쪽에는 홀더(400)의 단자누름부(410)와 접촉되어 눌리는 단자설치봉(520)이 돌출되며, 단자설치봉(520) 내부에는 후면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푸쉬단자(530)를 하향 노출되게 설치한 러버포인트(500);와 램프통과홀(510)을 통해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에 표시창조명용 LED(610)가 놓이도록 하는 LED 홀더(620)가 돌출형으로 설치되고, 푸쉬단자(530)에 의해 서로 접지가 되면 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회로접점(630)(640)이 양단에 구비된 PCB 기판(600);과 몸체(300)의 커버삽입공간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면에는 PCB 기판(600)과 러버포인트(500)가 적층되어 설치되는 수납부(710)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외부 소켓과 연결되는 PCB 기판(600)의 커넥터(720)가 형성된 후면커버(700);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삽입부(220) 내부 공간에 PCB 기판(600)의 표시창조명용 LED(610)가 설치되는 보턴(200)은, 반투명 소재로 형성하되 표시창(230)과는 같은 색광 또는 다른 색광으로 표출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80040420
보턴, 몰딩캡, 러버포인트, PCB 기판, LED, 후면커버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engine start and stop switch for a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내부에 표시창조명용 LED와 무드조명용 LED를 구비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보턴의 일측에는 표시창조명용 LED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표시창을 형성하고 보턴의 타측에는 무드조명용 LED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반투명소재로 형성하여 표시창과 보턴으로 통과되어 보여지는 색광에 의해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컬럼에 구비되어 있는 키박스에 차량의 키를 삽입하여 단계별로 ACC/IGN/OFF로 나뉘어진 각각의 위치로 키를 돌려 엔진을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정보를 차량의 키 내부 칩에 입력시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키를 키박스에 삽입하지 않아도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가 키 내부 칩을 인지하여 키박스에 키 삽입홀 대신 구비된 다이얼의 조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키(smart key)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운전자가 엔진시동 위해 키박스에 키를 삽입하고 엔진스타트 위치로 키를 돌려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킬 때, 엔진시동이 걸린 이후에 즉시 엔진온 상태로 되돌리지 않고 계속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켜 스타트 모터와 배터리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차량 자체의 방음 성능과 엔진의 정숙성이 향상되면서 엔진의 작동음이 운전자에게 잘 전달되지 않아 차량의 운행중 정차시와 같이 시동이 걸린 상태로 차량이 정지해 있을 경우, 엔진시동 상태를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므로 다시 시동을 걸기 위해 키를 돌려 차량에 엔진 등에 무리를 주어 고장을 유발하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운행중 시동이 꺼지는 등의 고장을 육안으로 바로 확인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여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내부에 차량의 시동 및 정지 등과 같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색광이 달라지는 LED를 스위치 내부에 구비하여 운전자가 쉽게 육안으로 차량의 엔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을 작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지되 내통의 내주면 사방에는 보턴안내홈이 형성되고, 내통의 내주면 후단에는 홀더걸림턱이 구비된 홀더안내홈이 다수 형성되며, 외통의 후미 내부에 커버삽입공간이 구비된 몸체;와 보턴안내홈에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외주면에 구비된 통체형의 삽입부가 내통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쪽으로 슬라이드 출입되며, 삽입부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표시창이 전면에 구비된 보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턴의 삽입부 후미에 결합되어 보턴과 함께 이동되도록 내통 후미에서 끼워지며, 외주면 양쪽에는 홀더안내홈에 끼워져 안내되는 단자누름부가 형성된 링형의 홀더;와 중앙에는 램프통과홀이 구비되고, 전면 양쪽에는 홀더의 단자누름부와 접촉되어 눌리는 단자설치봉이 돌출되며, 단자설치봉 내부에는 후면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푸쉬단자를 하향 노출되게 설치한 러버포인트;와 램프통과홀을 통해 삽입부의 내부 공간에 표시창조명용 LED가 놓이도록 하는 LED 홀더가 돌출형으로 설치되고, 푸쉬단자에 의해 서로 접지가 되면 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회로접점이 양단에 구비된 PCB 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몸체의 커버삽입공간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면에는 PCB 기판과 러버 포인트가 적층되어 설치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외부 소켓과 연결되는 PCB 기판의 커넥터가 형성된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삽입부 내부 공간에 PCB 기판의 표시창조명용 LED가 설치되는 보턴은, 반투명 소재로 형성하되 표시창과는 같은 색광 또는 다른 색광으로 표출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내부에 LED를 구비하고 보턴에 표시창조명용 LED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표시창을 형성하고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쉽게 육안으로 스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엔진시동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턴을 무드조명용 LED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반투명소재로 형성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엔진시동 등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주행중 엔진정지 등과 같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별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을 작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내통(310)과 외통(320)으로 이루어지되 내통(310)의 내주면 사방에는 보턴안내홈(330)이 형성되고, 내통(310)의 내주면 후단에는 홀더걸림턱(350)이 구비된 홀더안내홈(340)이 다수 형성되며, 외통(320)의 후미 내부에 커버삽입공간이 구비된 몸체(300);와 보턴안내홈(330)에 끼워지는 안내돌기(210)가 외주면에 구비된 통체형의 삽입부(220)가 내통(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쪽으로 슬라이드 출입되며,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표시창(230)이 전면에 구비된 보턴(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턴(200)의 삽입부(220) 후미에 결합되어 보턴(200)과 함께 이동되도록 내통(310) 후미에서 끼워지며, 외주면 양쪽에는 홀더안내홈(340)에 끼워져 안내되는 단자누름부(410)가 형성된 링형의 홀더(400);와 중앙에는 램프통과홀(510)이 구비되고, 전면 양쪽에는 홀더(400)의 단자누름부(410)와 접촉되어 눌리는 단자설치봉(520)이 돌출되며, 단자설치봉(520) 내부에는 후면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푸 쉬단자(530)를 하향 노출되게 설치한 러버포인트(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램프통과홀(510)을 통해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에 표시창조명용 LED(610)가 놓이도록 하는 LED 홀더(620)가 돌출형으로 설치되고, 푸쉬단자(530)에 의해 서로 접지가 되면 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회로접점(630)(640)이 양단에 구비된 PCB 기판(600);과 몸체(300)의 커버삽입공간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면에는 PCB 기판(600)과 러버포인트(500)가 적층되어 설치되는 수납부(710)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외부 소켓과 연결되는 PCB 기판(600)의 커넥터(720)가 형성된 후면커버(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삽입부(220) 내부 공간에 PCB 기판(600)의 표시창조명용 LED(610)가 설치되는 보턴(200)은, 반투명 소재로 형성하되 표시창(230)과는 같은 색광 또는 다른 색광으로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가 엔진시동 및 전지를 위해 보턴(200)을 누르면 몸체(300)의 내통(310)에서 보턴(200)과 결합 되어있는 홀더(400)가 보턴(200)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때 홀더(400)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누름부(410)가 러버포인트(500)의 단자설치봉(520)을 누르면 단자설치봉(520) 후면에 구비되는 푸쉬단자(530)는 PCB기판(600)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나뉘어있는 스위치회로접점(630)(640)을 연결시켜 PCB기판(600)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창조명용 LED(610)와 무드조명용 LED(650)를 점등하게 되고 동시에 엔진은 시동 및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엔진 시동 및 정지를 위해 작동되는 보턴(200) 작동에 의해 점등된 표시창조명용 LED(610)와 무드조명용 LED(650)는 홀더(660)에 구비되는 차단판(420)에 의해 표시창조명용 LED(610)는 보턴(200)의 상측 공간부(240)에 구비되는 표시창(230)을 통해, 무드조명용 LED(650)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보턴(200)의 하측 공간부(250)를 통해 색광을 발산하게 된다.
이렇게 스위치의 작동과 함께 각각의 LED(540)(650)가 색광을 발산함으로써 운전자가 쉽게 차량의 시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오작동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몰딩캡 200 : 보턴
300 : 몸체부 310 : 내통
320 : 외통 400 : 홀더
410 : 단자누름부 500 : 러버포인트
520 : 단자설치봉 600 : PCB 기판
620 : LED 홀더 700 : 후면커버
720 : 커넥터

Claims (8)

  1. 차량의 엔진을 작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내통(310)과 외통(320)으로 이루어지되 내통(310)의 내주면 사방에는 보턴안내홈(330)이 형성되고, 내통(310)의 내주면 후단에는 홀더걸림턱(350)이 구비된 홀더안내홈(340)이 다수 형성되며, 외통(320)의 후미 내부에 커버삽입공간이 구비된 몸체(300);
    보턴안내홈(330)에 끼워지는 안내돌기(210)가 외주면에 구비된 통체형의 삽입부(220)가 내통(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쪽으로 슬라이드 출입되며,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표시창(230)이 전면에 구비된 보턴(200);
    보턴(200)의 삽입부(220) 후미에 결합되어 보턴(200)과 함께 이동되도록 내통(310) 후미에서 끼워지며, 외주면 양쪽에는 홀더안내홈(340)에 끼워져 안내되는 단자누름부(410)가 형성된 링형의 홀더(400);
    중앙에는 램프통과홀(510)이 구비되고, 전면 양쪽에는 홀더(400)의 단자누름부(410)와 접촉되어 눌리는 단자설치봉(520)이 돌출되며, 단자설치봉(520) 내부에는 후면에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푸쉬단자(530)를 하향 노출되게 설치한 러버포인트(500);
    램프통과홀(510)을 통해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에 표시창조명용 LED(610)가 놓이도록 하는 LED 홀더(620)가 돌출형으로 설치되고, 푸쉬단자(530)에 의해 서 로 접지가 되면 시동신호를 보내는 스위치회로접점(630)(640)이 양단에 구비된 PCB 기판(600);
    몸체(300)의 커버삽입공간에 끼워져 결합되며, 전면에는 PCB 기판(600)과 러버포인트(500)가 적층되어 설치되는 수납부(710)가 형성되고, 이면에는 외부 소켓과 연결되는 PCB 기판(600)의 커넥터(720)가 형성된 후면커버(7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20) 내부 공간에 PCB 기판(600)의 표시창조명용 LED(610)가 설치되는 보턴(200)은,
    반투명 소재로 형성하되 표시창(230)과는 같은 색광 또는 다른 색광으로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보턴(200)의 삽입부(220)에 결합되는 홀더(400)에는,
    삽입부(220)의 내부 공간을 표시창(230)이 위치된 상측 공간부(240)와 하측 공간부(250)로 격리시키는 차단판(420)을 설치하고,
    러버포인트(500)가 설치되는 PCB 기판(600)에는,
    무드조명용 LED(650)가 설치되는 LED 홀더(660)를 함께 설치하되 표시창조명용 LED(610)는 표시창(230)이 위치된 상측 공간부(240)에 놓이게 하며, 무드조명용 LED(650)는 하측 공간부(250)에 놓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4.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CB 기판(600)에는 다수개의 고정용 홈(670)을 형성하고,
    러버포인트(500) 후면에는 PCB 기판(600)의 고정용 홈(670)에 끼워져 걸려서 PCB 기판(60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용 돌기(5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턴(200)의 삽입부(220) 양쪽에는 체결공(260)을 형성하고, 삽입부(220)의 후미 테두리에는 홀더(400)의 단자누름부(410)가 끼워지는 홈부(270)를 형성하며,
    홀더(400) 양단에는 위 체결공(26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스냅돌기(430)를 형성하여 보턴(200)과 홀더(4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300)의 후미 양 측벽에는 커버고정공(340)이 구비된 고정부(350)를 절결부(3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게 형성하고,
    후면커버(700)의 양쪽 주벽에는 커버고정공(34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730)를 형성하여 몸체(300)와 후면커버(7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300)를 구성하는 외통(320)의 양쪽 주벽에는,
    절결부(370)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스냅돌기(380)를 형성하여 몸체(300)를 차량 내부의 스위치설치공(8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300)의 전면부에는 외통(320)과 내통(310) 사이에 캡결합홈(390)을 형성하여 외통(320) 내면에 형성한 캡결합용 돌기(391)가 캡결합홈(390) 내에 돌출되게 하고,
    돌기(391)에 끼워지는 돌기삽입공(110)이 후면 지지부(120)에 형성된 몰딩캡(100)을 몸체(300) 전면에 설치하여 외통(320)과 내통(310) 사이를 가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KR1020080040420A 2008-04-30 2008-04-30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KR10096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420A KR100966733B1 (ko) 2008-04-30 2008-04-30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420A KR100966733B1 (ko) 2008-04-30 2008-04-30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664A true KR20090114664A (ko) 2009-11-04
KR100966733B1 KR100966733B1 (ko) 2010-06-29

Family

ID=4155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420A KR100966733B1 (ko) 2008-04-30 2008-04-30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01B1 (ko) * 2009-07-13 2011-03-30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20110059117A (ko) * 2009-11-27 2011-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중공 타입 노브의 조명 구조체
KR101066924B1 (ko) * 2011-07-25 2011-09-22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244012B1 (ko) *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101346419B1 (ko) * 2012-11-29 2014-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터 버튼
KR101658850B1 (ko) * 2015-10-23 2016-09-22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717038B1 (ko) * 2015-10-23 2017-03-16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CN108447717A (zh) * 2018-05-18 2018-08-24 广东森下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腰部支撑开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169B1 (ko) 2010-11-10 2012-08-29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KR101261209B1 (ko) 2011-02-24 2013-05-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261U (ko) * 1998-03-23 1999-10-25 김재숙 버튼에의한 시동제어장치
JP4094869B2 (ja) 2002-03-01 2008-06-04 株式会社アルファ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4705317B2 (ja) * 2003-04-16 2011-06-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542061B2 (ja) 2006-04-10 2010-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電源操作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01B1 (ko) * 2009-07-13 2011-03-30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20110059117A (ko) * 2009-11-27 2011-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중공 타입 노브의 조명 구조체
KR101244012B1 (ko) *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101066924B1 (ko) * 2011-07-25 2011-09-22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346419B1 (ko) * 2012-11-29 2014-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터 버튼
KR101658850B1 (ko) * 2015-10-23 2016-09-22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717038B1 (ko) * 2015-10-23 2017-03-16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CN108447717A (zh) * 2018-05-18 2018-08-24 广东森下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腰部支撑开关
CN108447717B (zh) * 2018-05-18 2023-12-29 广东森下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座椅腰部支撑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733B1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33B1 (ko)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US9543089B2 (en) Switch device
JP4692604B2 (ja) 車両室内用光源装置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KR101601393B1 (ko) 차량용 비상 버튼
US20120199461A1 (en) Engine start/stop switch for a vechicle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KR101025901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JP5038267B2 (ja) エンジンスタータースイッチ装置
KR101080586B1 (ko)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1261209B1 (ko)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KR20160112184A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장치
KR101042025B1 (ko) 차량용 버튼식 시동장치
JP5444075B2 (ja) スイッチ装置
JP6049074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構造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KR20100034068A (ko) 차량용 시동버튼
KR101088370B1 (ko) 차량용 스타트 버튼
KR102068573B1 (ko)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CN219277599U (zh) 用于方向盘的开关结构、方向盘以及车辆
KR20150098438A (ko) 차량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CN218826783U (zh) 一种带导光按键结构的方向盘开关
US10411332B2 (en) Vehicle starting apparatus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2014207196A (ja) スイッチ装置
JP201909902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