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573B1 -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573B1
KR102068573B1 KR1020180084518A KR20180084518A KR102068573B1 KR 102068573 B1 KR102068573 B1 KR 102068573B1 KR 1020180084518 A KR1020180084518 A KR 1020180084518A KR 20180084518 A KR20180084518 A KR 20180084518A KR 102068573 B1 KR102068573 B1 KR 10206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ody
stopper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석
장지석
설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Priority to KR102018008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버튼 몸체의 편심 눌림이 방지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일단을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반대편면에 스위치가 구비된 PCB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푸시될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돌출부가 형성된 키 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코일이 배치되는 안테나 링과,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링을 관통하며 슬라이딩 시 상기 탄성돌출부를 푸시하는 버튼 몸체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는 버튼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링에는 제1 스토퍼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제1 스토퍼와 대향되는 제2 스토퍼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탄성돌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턴될 시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버튼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AN IGNITION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키를 소지하거나 차실 내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는 경우 엔진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시동 또는 정지시키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구동수단의 종류에 따라, 화석 연료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을 탑재한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탑재한 전기 자동차와, 상기 엔진 및 상기 모터를 모두 탑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구별된다.
종래에는 기구적인 키를 키 홈에 삽입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을 시동하거나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가 대부분이었으나, 근래에는 스마트키를 소지하거나 차실 내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한 후, 푸시 타입의 스타트 스탑 버튼을 눌러서 상기 구동수단을 시동하거나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가 대부분이다.
상기 스타트 스탑 버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590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라는 명칭으로 공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스타트 스탑 버튼은, 하우징(20)과, 하우징(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몸체(31)와, 몸체(31) 결합된 버튼 커버(5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버튼 커버(50)를 푸시하는 경우 몸체(31)가 하우징(2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하우징(20) 내의 키패드(60)에 형성된 탄성 돌출부(62)를 탄성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 돌출부(62)가 하우징(20) 내의 PCB(인쇄회로기판;65)에 구비된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엔진 스타트 신호 또는 엔진 스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스타트 스탑 버튼은 몸체(3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 커버(50)를 푸시하여 몸체(31)가 슬라이딩될 시, 몸체(31)가 편심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 커버(50)에 사용자의 푸시력이 해제되는 경우 몸체(31)는 탄성 돌출부(6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리턴되게 되는데, 원위치로 리턴되는 순간 몸체(31)가 스토퍼에 부딪혀 타격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5901호(2011.03.30.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버튼 몸체의 편심 눌림이 방지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버튼 몸체의 리턴시 타격음이 방지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일단을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반대편면에 스위치가 구비된 PCB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푸시될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돌출부가 형성된 키 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코일이 배치되는 안테나 링과,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링을 관통하며 슬라이딩 시 상기 탄성돌출부를 푸시하는 버튼 몸체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는 버튼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링에는 제1 스토퍼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제1 스토퍼와 대향되는 제2 스토퍼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탄성돌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턴될 시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버튼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가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측에는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안테나 링의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제1 스토퍼와 각각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에는 푸셔부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셔부는 상기 탄성돌출부와 접촉 배치되어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 시 상기 탄성돌출부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버튼 몸체가 관통하며, 상기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되는 무드 링과, 상기 무드링의 길이방향의 타단이 삽입되는 데코 링과, 상기 무드 링 및 상기 데코 링을 내측에 노출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무드 링 및 상기 데코 링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고정하는 커버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캡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상기 버튼 캡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쉴드부재와, 상기 쉴드부재에 의해 상기 버튼 캡에 설치되고, 상기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되어 상기 버튼 캡에 구비된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캡에는 상기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되는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몸체 및 상기 키 패드에는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는 광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스위치가 구비된 제1 PCB와, 상기 제1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PCB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안테나 링에 형성된 제1 스토퍼와, 버튼 몸체에 형성된 제2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버튼 몸체가 슬라이딩될 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버튼 몸체의 편심이동을 방지하여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은 가이드 돌기가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은 상기 버튼 몸체가 원위치로 리턴될 시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1 스토퍼에 접촉되지 않게 하므로, 상기 버튼 몸체가 원위치로 리턴될 시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1 스토퍼에 부딪치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튼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링, 버튼 몸체, 키 패드, PCB 및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로서, 버튼 몸체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로서, 버튼 몸체가 원위치로 리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튼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링, 버튼 몸체, 키 패드, PCB 및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로서, 버튼 몸체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로서, 버튼 몸체가 원위치로 리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10)과, 커버(20)와, PCB(인쇄회로기판;30)와, 키 패드(40)와, 안테나 링(50)과, 버튼(60)과, 무드 링(70)과, 데코 링(80)과, 커버 링(90)을 포함한다.
버튼(60)은 버튼 몸체(61)와, 버튼 캡(62)과, 쉴드부재(63)와, 인디케이터(64)를 포함한다. 버튼 몸체(61)는 하우징(10) 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사용자가 버튼 캡(62)을 푸시하는 경우 버튼 몸체(61)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버튼(60)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버튼(60)이 하우징(10) 내로 삽입되는 경우 PCB(30)에 구비된 스위치(31A,31B)가 버튼 몸체(61)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PCB(30)는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엔진 스타트 신호 또는 엔진 스탑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차에 구비된 엔진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10)은 내부가 빈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다. 하우징(10)은 자동차에 구비된 대시보드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상기 대시보드의 내측에 형성된 후크홀에 체결되는 후크돌기(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상기 대시보드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후크돌기(11)가 상기 후크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도용 스위치 장치는 상기 대시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20)는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일단을 덮으며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커버(20)는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일단을 덮을 수 있다.
PCB(30)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되고 커버(20)의 반대편면에 상기 스위치가 구비된다. PCB(30)는 커버(20) 및 키 패드(40) 사이에 배치된다. PCB(30)는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는 경우 엔진 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스위치 오프(OFF)되는 경우 엔진 스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PCB(30)에는 커버(20)의 반대편면에 인디케이터(64)를 발광시키는 광원(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어 빛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광원이 생성된 빛에 의해 인디케이터(64)는 발광되어 버튼 캡(62)의 푸시면부(62A)에 형성된 표시부(62C)를 발광시킬 수 있다.
PCB(3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PCB(31) 및 제2 PCB(32)를 포함한다. 제1 PCB(31) 및 제2 PCB(32)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제1 PCB(31)는 키 패드(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PCB(32)는 커버(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PCB(32)는 커버(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PCB(31)는 상기 스위치가 구비되고 인디케이터(64)를 발광시키는 광원(미도시)이 구비된다. 제1 PCB(31) 및 제2 PCB(32)는 복수의 핀(36)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PCB(32)는 안테나 링(50)에 구비된 안테나 코일(51)과 복수의 핀(5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PCB(32)에는 자동차에 구비된 엔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 핀(37)이 구비된다. 커버(20)에는 복수의 커넥터 핀(37)을 수용하는 핀 수용돌기(21)가 형성되고, 핀 수용돌기(21)는 상기 엔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는 내부공간(22)이 형성된다.
또한, 버튼 캡(62)에는 문자(62D)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버튼 캡(62)의 푸시면부(62A)에는 'ENGINE START STOP'이라는 상기 문자(62D)가 구비된다. 제1 PCB(31)에는 커버(20)의 반대편면에 문자(62D)를 발광시키는 광원(31C)이 더 배치된다. 버튼 몸체(61) 및 키 패드(40)에는 제1 PCB(31)에 구비된 광원(31C)의 빛을 상기 문자로 안내하는 광 가이드 홀(61A,4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홀(61A)은 버튼 몸체(61)의 내부에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광 가이드 홀(46A)은 키 패드(40) 중 커버(20)의 반대편면에 돌출된 돌기(46)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 패드(40)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푸시될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돌출부(41,42)가 형성된다. 키 패드(4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캡(62)을 푸시하는 경우 버튼 몸체(61)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탄성돌출부(41,42)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돌출부(41,42)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버튼 몸체(61)가 한번 푸시되는 경우 전원 작동 온(ACC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버튼 몸체(61)가 다시 한번 푸시되는 경우 엔진 작동 온(ENGINE START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 다시 한번 푸시되는 경우 엔진 오프(ENGINE OFF)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안테나 링(5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에 설치된다. 안테나 링(5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 링(50)의 외주면에는 제2 PCB(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 형상의 안테나 코일(51)이 배치된다. 안테나 코일(51)은 스마트 키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엔진이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 링(50)에는 하우징(10)에 삽입된 선단에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부(53)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걸림부(53)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안테나 링(50)이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에 삽입되면, 한 쌍의 걸림부(53)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홀에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돌기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안테나 링(5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링(50)에는 하우징(10)에 삽입된 선단에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향해 돌출되는 핀 설치부(54)가 형성되고, 핀 설치부(54)에는 안테나 코일(51)을 제2 PCB(32)에 인쇄된 회로에 연결하는 복수의 핀(52)이 구비된다. 복수의 핀(52)이 안테나 코일(51)을 제2 PCB(32)에 인쇄된 회로에 연결함으로써, 안테나 코일(51)은 제2 PCB(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PCB(31) 및 제2 PCB(32)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실시되어 하나의 PCB(30)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PCB(31) 및 제2 PCB(32)가 구성되는 경우, 하우징(10)의 협소한 내부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
버튼 몸체(61)는 하우징(10) 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버튼 몸체(61)는 안테나 링(50)을 관통한다. 버튼 몸체(61)는 슬라이딩 시 탄성돌출부(41,42)를 푸시하여 탄성돌출부(41,42)를 탄성변형시킨다.
버튼 캡(62)은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결합된다. 버튼 캡(62)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직접적으로 푸시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버튼 캡(62)을 푸시하는 경우 버튼 몸체(61)는 하우징(1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하우징(1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버튼 캡(62)을 손가락으로 푸시하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 버튼 몸체(61)는 탄성돌출부(4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0)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리턴된다.
버튼 캡(62)은 버튼 몸체(61)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버튼 캡(62)의 개구된 면을 통해 버튼 캡(62)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버튼 캡(62)은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는 원형의 푸시면부(62A)와, 푸시면부(62A)의 테두리에서 버튼 몸체(61)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 측면부(62B)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측면부(62B)에 형성된 홀에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버튼 캡(62)은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결합된다. 버튼 캡(62)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부재(63)는 버튼 캡(62) 내에 삽입되어,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버튼 캡(62) 사이의 틈을 밀폐한다. 쉴드부재(6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버튼 캡(62) 내에서 버튼 캡(62)의 푸시면부(62A)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쉴드부재(63)는 버튼 캡(62) 내에서 버튼 캡(62)의 푸시면부(62A)과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다.
인디케이터(64)는 쉴드부재(63)에 의해 버튼 캡(62)에 설치된다. 인디케이터(64)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64A)가 형성된다. 인디케이터(64)는 쉴드부재(63)를 관통하고, 한 쌍의 돌기(64A)는 버튼 캡(62) 내에서 버튼 캡(62)의 푸시면부(62A) 및 쉴드부재(63) 사이에 배치되어, 인디케이터(64)가 버튼 캡(62) 내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인디케이터(64)는 제1 PCB(31)에 구비된 광원(미도시)의 빛에 의해 발광되어 버튼 캡(62)에 구비된 표시부(62C)를 발광시킨다. 표시부(62C)는 상기 엔진 작동 온 상태에서 점등되고, 상기 엔진 오프 상태에서 소등되어, 사용자에게 엔진의 현재 작동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무드 링(70)은 하우징(10) 내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된다. 무드 링(70)은 버튼 몸체(61)가 관통한다. 무드 링(70)은 안테나 링(50)을 관통할 수 있다. 무드 링(70)은 제1 PCB(31)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미도시)의 빛에 의해 발광된다. 무드 링(70)은 제1 PCB(31)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광원의 빛에 발광되어, 버튼 캡(62)의 주변을 은은하게 비추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준다.
데코 링(80)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무드 링(70)의 길이방향의 타단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즉, 테코 링(80)에는 무드 링(70)의 길이방향의 타단이 삽입된다.
커버 링(90)은 무드 링(70) 및 데코 링(80)을 내측에 노출시키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결합되어, 무드 링(70) 및 데코 링(80)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무드 링(70) 및 데코 링(80)을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고정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동용 스위치 장치가 결합된 상태일 때, 버튼 캡(62)은 커버 링(90)의 중심에 배치되고, 무드 링(70)의 길이방향의 타단은 버튼 캡(62)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버튼 캡(62)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시 무드 링(7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 캡(62)을 푸시할 시 버튼 몸체(61)가 하우징(10) 내에서 편심되어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버튼 몸체(61)의 슬라이딩 이동 가이드 구조가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 캡(62)을 푸시한 후 버튼 캡(62)에서 푸시력을 제거하면, 버튼 몸체(61)가 탄성돌출부(4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게 되는데, 이 때 버튼 몸체(61)가 스토퍼에 부딪치는 타격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도 적용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 링(50)에는 제1 스토퍼(56,57)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 몸체(61)에는 제1 스토퍼(56,57)와 대향되는 제2 스토퍼(66,67)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스토퍼(56,57) 및 제2 스토퍼(66,67)는 버튼 몸체(61)가 탄성돌출부(4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턴될 시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즉, 버튼 몸체(61)가 탄성돌출부(4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턴될 시 제2 스토퍼(66,67)가 제1 스토퍼(56,57)에 접촉될때까지 버튼 몸체(61)는 리턴될 수 있다. 제1 스토퍼(56,57)는 안테나 링(50)의 길이방향의 일단의 내주면에서 안테나 링(5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제2 스토퍼(66,67)는 버튼 몸체(61)의 외측면에서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스토퍼(66,67)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스토퍼(56,57)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삽입되어 버튼 몸체(61)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가이드 돌기(68,69)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58,59)이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 돌기(68,69)는 제2 스토퍼(66,67)에 형성되지 않고 제1 스토퍼(56,57)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 스토퍼(66,67)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 홀(58,5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돌기(68,69) 및 가이드 홀(58,59)이 형성되는 위치는 제1 스토퍼(56,57) 및 제2 스토퍼(66,67)에서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토퍼(56,57) 및 제2 스토퍼(66,67)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68,69)가 삽입되어 버튼 몸체(61)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가이드 돌기(68,69)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58,5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8,69)에는 스프링(65A,65B)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65A,65B)은 가이드 돌기(68,69)의 외주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65A,65B)은 가이드 돌기(68,69)가 관통하고, 제1 스토퍼(56,57) 및 제2 스토퍼(66,67)에 의해 양단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몸체(61)가 탄성돌출부(4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리턴될 시, 제2 스토퍼(66,67)가 제1 스토퍼(56,57)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타격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8,69)의 외측에는 스프링(65A,65B)을 고정하는 고정돌기(68A,69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68A,69A)는 가이드 돌기(68,69)에 서로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68A,69A)는 스프링(65A,65B)이 가이드 돌기(68,69)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돌기(68,69)를 가이드 홀(58,59)에 조립시 스프링(65A,65B)이 가이드 돌기(68,69)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 돌기(68,69)를 가이드 홀(58,59)에 조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돌기(68A,69A)는 제1 가이드 돌기(68)의 외측에 형성되어 제1 스프링(65A)을 고정하는 제1 고정돌기(68A)와, 제2 가이드 돌기(69)의 외측에 형성되어 제2 스프링(65B)을 고정하는 제2 고정돌기(69A)를 포함한다. 제1 고정돌기(68A)는 제1 가이드 돌기(68)에 서로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68B)는 제2 가이드 돌기(69)에 서로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토퍼(56,57)는 안테나 링(50)의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 스토퍼(66,67)는 상기 한 쌍의 제1 스토퍼(56,57)와 각각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제1 스토퍼(56,57)는 제1-1 스토퍼(56) 및 제1-2 스토퍼(57)를 포함한다. 제1-1 스토퍼(56) 및 제1-2 스토퍼(57)는 안테나 링(50)의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이격된다. 가이드 홀(58,59)은 제1-1 스토퍼(56)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홀(58) 및 제1-2 스토퍼(57)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홀(59)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스토퍼(66,67)는 제2-1 스토퍼(66) 및 제2-2 스토퍼(67)를 포함한다. 제2-1 스토퍼(66) 및 제2-2 스토퍼(67)는 버튼 몸체(61)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1 스토퍼(66)는 제1-1 스토퍼(56)와 대향되고, 제2-2 스토퍼(67)는 제1-2 스토퍼(57)와 대향된다. 가이드 돌기(68,69)는 제2-1 스토퍼(66)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돌기(68)와, 제2-2 스토퍼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돌기(69)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돌기(68)는 제1 가이드 홀(58)로 삽입되고, 제2 가이드 돌기(69)는 제2 가이드 홀(59)로 삽입된다. 제1-1 스토퍼 및 제2-1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가이드 돌기(68)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1 가이드 돌기(68)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홀(5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 스토퍼 및 제2-2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가이드 돌기(69)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2 가이드 돌기(69)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홀(59)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65A,65B)은 제1 가이드 돌기(68)가 관통하고 제1-1 스토퍼(56) 및 제2-1 스토퍼에 양단이 지지되는 제1 스프링(65A)과, 제2 가이드 돌기(69)가 관통하고 제1-2 스토퍼(57) 및 제2-2 스토퍼에 양단이 지지되는 제2 스프링(65B)을 포함한다.
제2 스토퍼(66,67)에는 푸셔부(61B,61C)가 버튼 몸체(6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푸셔부(61B,61C)는 탄성돌출부(41,42)와 접촉 배치되어 버튼 몸체(61)의 슬라이딩 시 탄성돌출부(41,42)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푸셔부(61B,61C)는 탄성돌출부(41,42)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탄성돌출부(41,42)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탄성돌출부(41) 및 제2 탄성돌출부(42)를 포함한다. 그리고, 푸셔부(61B,61C)도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탄성돌출부(41)와 접촉 배치되어 버튼 몸체(61)의 슬라이딩 시 제1 탄성돌출부(41)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 제1 푸셔부(61B)와, 제2 탄성돌출부(42)와 접촉 배치되어 버튼 몸체(61)의 슬라이딩 시 제2 탄성돌출부(42)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 제2 푸셔부(61C)를 포함한다. 스위치(31A,31B)는 제1 탄성돌출부(41)의 탄성변형시 제1 탄성돌출부(41)에 의해 작동되는 제1 스위치(31A)와, 제2 탄성돌출부(42)의 탄성변형시 제2 탄성돌출부(42)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스위치(31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는, 안테나 링(50)에 형성된 제1 스토퍼(56,57)와, 버튼 몸체(61)에 형성된 제2 스토퍼(66,67)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 돌기(68,69)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가이드 돌기(68,69)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58,59)이 형성되어, 버튼 몸체(61)가 슬라이딩될 시 가이드 돌기(68,69)가 가이드 홀(58,59)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버튼 몸체(61)의 편심이동을 방지하여 스위치(31A,31B)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65A,65B)은 가이드 돌기(68,69)가 관통하고, 제1 스토퍼(56,57) 및 제2 스토퍼(66,67)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기 때문에, 스프링(65A,65B)은 버튼 몸체(61)가 원위치로 리턴될 시 제2 스토퍼(66,67)가 제1 스토퍼(56,57)에 접촉되지 않게 하므로, 버튼 몸체(61)가 원위치로 리턴될 시 제2 스토퍼(66,67)가 제1 스토퍼(56,57)에 부딪치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20 : 커버
30 : PCB 31 : 제1 PCB
31A,31B : 스위치 32 : 제2 PCB
40 : 키 패드 41,42 : 탄성돌출부
50 : 안테나 링 51 : 안테나 코일
56,57 : 제1 스토퍼 58,59 : 가이드 홀
60 : 버튼 61 : 버튼 몸체
61A,46A : 광 가이드 홀 61B,61C : 푸셔부
62 : 버튼 캡 62C : 표시부
62D : 문자 63 : 쉴드부재
64 : 인디케이터 65A,65B :스프링
66,67 : 제2 스토퍼 68,69 : 가이드 돌기
68A,69A : 고정돌기 70 : 무드 링
80 : 데코 링 90 : 커버 링

Claims (9)

  1.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일단을 덮으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반대편면에 스위치가 구비된 PCB;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푸시될 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탄성돌출부가 형성된 키 패드;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길이방향의 타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코일이 배치되는 안테나 링;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링을 관통하며, 슬라이딩 시 상기 탄성돌출부를 푸시하는 버튼 몸체; 및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는 버튼 캡;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링에는 제1 스토퍼가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제1 스토퍼와 대향되는 제2 스토퍼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탄성돌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턴될 시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버튼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측에는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서로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안테나 링의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제1 스토퍼와 각각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에는 푸셔부가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푸셔부는 상기 탄성돌출부와 접촉 배치되어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 시 상기 탄성돌출부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버튼 몸체가 관통하며, 상기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되는 무드 링;
    상기 무드링의 길이방향의 타단이 삽입되는 데코 링; 및
    상기 무드 링 및 상기 데코 링을 내측에 노출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무드 링 및 상기 데코 링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고정하는 커버 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상기 버튼 캡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쉴드부재; 및
    상기 쉴드부재에 의해 상기 버튼 캡에 설치되고, 상기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되어 상기 버튼 캡에 구비된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에는 상기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되는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몸체 및 상기 키 패드에는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문자 및 문양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는 광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는,
    상기 스위치가 구비된 제1 PCB와,
    상기 제1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PCB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20180084518A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206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18A KR102068573B1 (ko)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18A KR102068573B1 (ko)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73B1 true KR102068573B1 (ko) 2020-01-21

Family

ID=6936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18A KR102068573B1 (ko)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538A (ja) * 2001-12-28 2003-09-1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100034068A (ko) * 2008-09-23 2010-04-01 유형래 차량용 시동버튼
KR20100095789A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이지컴 차량용 스타트 버튼
KR20110006114A (ko) * 2009-07-13 2011-01-20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538A (ja) * 2001-12-28 2003-09-1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100034068A (ko) * 2008-09-23 2010-04-01 유형래 차량용 시동버튼
KR20100095789A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이지컴 차량용 스타트 버튼
KR20110006114A (ko) * 2009-07-13 2011-01-20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025901B1 (ko) 2009-07-13 2011-03-30 (주)신창코넥타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KR101025901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EP2913518B1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966733B1 (ko)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KR101178169B1 (ko)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US20100051425A1 (en) Engine starter switch device
JP6176733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KR102068573B1 (ko)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20160112184A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장치
KR20160053237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KR102005037B1 (ko)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KR101755938B1 (ko)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170019565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JP2020009607A (ja) スイッチ装置
KR20150002590U (ko)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버튼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US10411332B2 (en) Vehicle starting apparatus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20180000612U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658850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1717038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JP2021150043A (ja) スイッチ装置
KR101741407B1 (ko)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