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930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930B1
KR102017930B1 KR1020157001790A KR20157001790A KR102017930B1 KR 102017930 B1 KR102017930 B1 KR 102017930B1 KR 1020157001790 A KR1020157001790 A KR 1020157001790A KR 20157001790 A KR20157001790 A KR 20157001790A KR 102017930 B1 KR102017930 B1 KR 10201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nob
lens member
coil antenna
sli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878A (ko
Inventor
도시노리 기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15003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2Light conductor only an illuminated ring around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6Lens

Abstract

홀더(2)와, 조작 노브(3)와,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19)와, 코일 안테나(19)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 및 상기 조작 노브(3)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스위치부)이 배치된 회로 기판(8)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광원을 회로 기판(8)에 배치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여 상기 조작 노브(3)의 외연을 조명하는 광투과성의 렌즈 부재(4)를 조작 노브(3)의 외연에 배치하고, LED(광원)(13)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5)를 조작 노브(3)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홀더(2)에 수용하고, 코일 안테나(19)를 렌즈 부재(4)에 일체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렌즈 부재(4)의 중앙 구멍 내에 조작 노브(3)와 슬라이더(5)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조작 노브의 링 조명을 실현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등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차량에는, 휴대기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ID 신호에 의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스마트 점화 시스템(smart ignition system)을 탑재한 것이 있다. 이 스마트 점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를 조작하면, 차량의 인증 장치로부터 휴대기를 향해 리퀘스트 신호가 송신되고, 이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 휴대기로부터는 차량의 인증 장치에 대해 자기의 ID 신호가 송신된다. 그러면, 차량의 인증 장치는, 수신한 ID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대조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 OK로서 엔진을 시동 가능하게 해,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엔진이 시동된다.
이러한 스마트 점화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기의 전지 등이 소모되어 통신 불능이 된 경우의 보조 통신 수단으로서, 휴대기에 있어서 전지 등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차량의 인증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이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은, 차량의 인증 장치에 설치된 코일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전파를 휴대기가 수신하면, 휴대기의 트랜스폰더 내의 코일부에 의해서 기전력이 발생하고, 그 전력에 의해서 차량의 인증 장치를 향해 ID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의 인증 장치와 휴대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코일 안테나에 휴대기를 근접시킨 상태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있는데, 그 코일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코일 안테나의 배치에 관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도 11의 파단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안테나(119)를 스위치 장치(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101)의 조작 노브(103)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도 12의 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3)의 내연을 따라서 코일 안테나(219)를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705317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표 2011-525455호 공보
코일 안테나를 구비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등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조작 노브의 외주부를 링 조명하기 위해서는, 코일 안테나를 링 조명 위치로부터 피해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허 문헌 1에서 제안된 도 11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조작 노브(103)의 외연에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조명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이 인디케이터 조명을 코일 안테나(119)의 더 외측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 장치(101)의 외형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제안된 도 12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코일 안테나(219)가 조작 노브(203)의 내연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안테나(219)보다도 조작 노브(203)를 크게 해야 하며, 역시 스위치 장치(201)의 외형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조작 노브의 링 조명을 실현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홀더와, 표시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노브와,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코일 안테나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 및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배치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광원을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여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을 조명하는 광투과성의 렌즈 부재를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에 배치하고,
광원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를 상기 조작 노브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수용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렌즈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렌즈 부재의 중앙 구멍 내에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슬라이더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의 상기 조작 노브가 배치되는 전면측에, 상기 코일 안테나를 수용하는 제1 링부와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을 링형상으로 조명하는 제2 링부를 형성하고, 후면측에,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원통형상의 광도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를 그 중심축선이 제2 링부의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그 중심축선이 상기 조작 노브의 작동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일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배치하고, 그 외주연의 타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및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광투과성의 렌즈 부재에 코일 안테나를 일체적으로 설치했으므로, 코일 안테나에 의한 광 불투과부를 억제할 수 있고, 조작 노브의 외연을 발광시키기 위한 링 조명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스위치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조작 노브의 링 조명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와의 간섭을 피해 슬라이더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코일 안테나의 일부를 관통시켰으므로, 데드 스페이스인 관통 구멍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코일 안테나의 일부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스위치 장치의 소형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렌즈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제1 링부의 외주연 중, 소정의 스페이스가 필요한 일변측이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링부를 오프셋시켜 배치함으로써, 코일 안테나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조작 노브의 표시부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의 (a), (b)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2 슬라이더와 러버 컨택 및 회로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렌즈 부재와 이것에 장착된 코일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렌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특허 문헌 1에서 제안된 스위치 장치의 파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특허 문헌 2에서 제안된 스위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의 (a), (b)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7은 제2 슬라이더와 러버 컨택 및 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8은 렌즈 부재와 이것에 장착된 코일 안테나의 사시도, 도 9는 렌즈 부재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스마트 점화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이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의 홀더(2)의 내부에, 조작 노브(3)와, 렌즈 부재(4)와, 슬라이더(5)와, 제2 슬라이더(6)와, 러버 컨택(7) 및 회로 기판(8)을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2), 조작 노브(3), 렌즈 부재(4), 슬라이더(5), 제2 슬라이더(6) 및 회로 기판(8)은 비도전성의 수지에 의해서 각각 일체로 성형되고, 러버 컨택(7)은 비도전성 고무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의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더(2)의 원통형의 본체(2A)의 선단부 외주의 둘레방향 4개소에는 걸어맞춤 클로(2a)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2A)의 후단부 외주의 둘레방향 4개소(도 2에는 2개소만 도시)에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2)의 본체(2A)의 내부는 이중 통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의 축 중심부에는 직사각형 덕트형상의 가이드 통(2B)이 전후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측의 상하에는 원호곡면형상의 렌즈 고정부(2C, 2D)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통(2B)의 좌우의 측면과 하면에는 가이드 홈(2c)이 전후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의 본체(2A)와 상방의 렌즈 고정부(2C) 사이에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d)에 의해서 직사각형 덕트형상의 3개의 렌즈 수납부(2e)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렌즈 수납부(2e)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투명한 도광부재인 인디케이터 렌즈(9)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그리고, 홀더(2)의 후단 개구부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에 직사각형의 절결 구멍(10a)(도 2 참조)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커버(10)가 피착되어 있고, 이 커버(10)의 하부의 상기 절결 구멍(10a)에는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커넥터(11)가 삽입 통과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0)의 외주의 둘레방향 4개소(홀더(2)의 걸어맞춤 구멍(2b)에 대응하는 4개소)에는 걸어맞춤 돌기(10b)(도 2에는 3개만 도시)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측부에는 절결형상의 끼워맞춤 구멍(10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있어서, 커넥터(11)는, 그 좌우의 측부(커버(10)의 좌우의 끼워맞춤 구멍(10c)에 대응하는 개소)에 돌출 설치된 끼워맞춤 돌기(11a)를 커버(10)의 양측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10c)에 전방에서부터 끼워맞춤으로써 커버(10)에 위치 결정되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통과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11)가 삽입 통과 유지된 커버(10)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의 본체(2A)의 후단부 내주에 끼워넣고, 그 외주의 4개소에 돌출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돌기(10b)를 홀더(2)의 본체(2A)의 후단부 외주에 형성된 4개의 상기 걸어맞춤 구멍(2b)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커버(10)가 홀더(2)에 그 후단 개구부를 덮도록 피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10)와 커넥터(11)는 비도전성의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커넥터(11)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계 11개의 금속제의 접속 단자(12)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통과 지지되고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 내의 후단부 근방의 가이드 통(2B)과 렌즈 고정부(2C, 2D)의 후단과 커버(10)의 전단 사이에는, 서로 접합된 상기 러버 컨택(7)과 상기 회로 기판(8)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8)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전면의 폭방향 중앙 상부의 3개소(홀더(2)의 렌즈 수납부(2e) 및 이것에 수용된 인디케이터 렌즈(9)에 대응하는 3개소)에는 광원인 3개의 LED(13)가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중심부에는 광원인 1개의 LED(14)가 배치되고, 그 주위에는 동일하게 광원인 4개의 LED(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8)의 상기 LED(14)를 사이에 끼우고 이것의 좌우에는 고정 접점(16)(검지 수단)이 배치되고, LED(14)의 상방에는 좌우 2개의 삽입 구멍(8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8)의 좌우와 하부의 11개소(커넥터(11)에 설치된 합계 11개의 접속 단자(12)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삽입 구멍(8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삽입 구멍(8b)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1)의 합계 11개의 상기 접속 단자(12)가 삽입되고, 회로 기판(8)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배선부(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러버 컨택(7)의 상부의 둘레방향 3개소(회로 기판(8)의 LED(13)에 대향하는 개소)에는 직사각형 주머니형상의 얇은 투광부(7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횡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의 관통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러버 컨택(7)의 중앙부의 LED(14)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직사각형 주머니형상의 얇은 투광부(7c)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회로 기판(8)의 좌우 2개의 고정 접점(16)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검지 수단인 스위치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17)의 주위(회로 기판(8)의 4개의 LED(15)에 대응하는 4개소)에는, LED(15)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주머니형상의 얇은 투광부(7d)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러버 컨택(7)의 하부와 양측부에는, 커넥터(11)에 설치된 상기 접속 단자(1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직사각형 주머니형상의 볼록부(7e, 7f)가 각각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러버 컨택(7)에 설치된 좌우의 각 스위치부(17)는 돔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17)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되어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과 회로 기판(8)의 고정 접점(16)이 접촉하면, 양자가 도통하여 상기 스위치부(17)가 ON이 된다.
상기 슬라이더(5)는, 홀더(2) 내의 가이드 통(2B)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부재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주의 좌우와 하부의 합계 3개소(가이드 통(2B)의 3개의 가이드 홈(2c)에 대응하는 3개소)에는 가이드 레일(5a)이 길이 방향(전후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5)의 전단부의 좌우에는 걸어맞춤 돌기(5b)가 형성되고, 후단부의 좌우에도 걸어맞춤 돌기(5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5)의 상부에는, 전방과 좌우가 개구하는 관통 구멍(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5)의 내부에는 홀더(2)의 가이드 통(2B)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들은 회로 기판(8)에 배치된 상기 LED(14)로부터의 광을 전방의 조작 노브(3)로 유도하는 도광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5)의 후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슬라이더(6)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슬라이더(6)는,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로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그 양측부(슬라이더(5)의 걸어맞춤 돌기(5c)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슬라이더(6)의 후단부의 좌우에는 원기둥형상의 보스(6A)와 스위치 조작부(6B)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2개의 각 보스(6A)에 형성된 원 구멍(6b)에는 도 2에 나타낸 스톱 러버(18)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좌우 2개의 스위치 조작부(6B)는, 러버 컨택(7)에 배치된 좌우의 상기 스위치부(17)(도 2 참조)에 맞닿고 있다.
그리고, 제2 슬라이더(6)는, 그 좌우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6a)에 슬라이더(5)의 후단부의 좌우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5c)를 걸어맞춤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5)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렌즈 부재(4)는, 투명한 광투과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도 8~도 10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노브(3)가 배치되는 전면측에, 코일 안테나(19)를 수용하는 편평한 비원형의 제1 링부(4A)와, 조작 노브(3)의 외연을 링형상으로 조명하기 위한 원통형의 제2 링부(4B)를 구비하고, 제2 링부(4B)의 후면측에는, 상기 LED(15)에 대향하는 테이퍼 원통형상의 광도입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링부(4A)는, 그 중심(중심)축선(C1)이 제2 링부(4B)의 중심축선(C2)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오프셋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또, 광도입부(4C)의 둘레방향 복수 개소에는 복수의 슬릿(4a)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 안테나(19)는, 운전자가 소유하는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과 같은 형상의 안테나 홀더(20)의 외주에 형성된 홈(20a)(도 10 참조)에 안테나선(19a)(도 8 참조)을 권회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 홀더(20)의 상부 좌우로부터는 좌우 2개의 금속제의 접속 단자(21)가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접속 단자(21)의 일단에는 안테나선(19a)의 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9)를 유지하는 안테나 홀더(20)는, 렌즈 부재(4)의 성형시에 상기 렌즈 부재(4)의 제1 링부(4A)에 일체로 장착된다. 그리고, 제1 링부(4A)에 안테나 홀더(20)와 이것에 유지된 코일 안테나(19)가 일체로 장착된 렌즈 부재(4)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 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데, 이 때, 그 제1 링부(4A)의 일부(편평부)는, 슬라이더(5)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5d)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부재(4)가 홀더(2) 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링형상으로 형성된 코일 안테나(19)와 이것을 유지하는 안테나 홀더(20)는, 그 중심축선(C3)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축선(C4)에 대해 수직 방향 하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고, 그 일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5)에 형성된 관통 구멍(5d)을 관통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안테나(19)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일변측(도 6의 편평한 상변측)은 조작 노브(3)의 외연보다도 내주 측에 배치되고, 그 외주연의 타변측(도 6의 원호형상의 하변측)은 조작 노브(3)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에 형성된 관통 구멍(5d)은, 코일 안테나(19)와 안테나 홀더(20)의 일부를 관통시킴으로써 슬라이더(5)와 이것에 고정된 조작 노브(3)와 제2 슬라이더(6)의 전후방향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또, 렌즈 부재(4)가 홀더(2) 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안테나 홀더(20)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좌우 2개의 상기 접속 단자(21)는, 러버 컨택(7)에 형성된 관통 구멍(7b)(도 4 및 도 7 참조)을 관통하여 회로 기판(8)의 좌우 2개의 삽입 구멍(8a)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안테나(19)는, 좌우 2개의 접속 단자(21)를 통해 회로 기판(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슬라이더(5)의 전단에는 원판형상의 상기 조작 노브(3)가 고정되고, 양자는 제2 슬라이더(6)와 함께 홀더(2)의 내부를 전후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슬라이드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노브(3)의 외주의 좌우 2개소(도 2에는 1개소만 도시)로부터는 걸어맞춤편(3A)이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 설치되어 있고, 각 걸어맞춤편(3A)에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노브(3)의 표면에는 「ENGINE START STOP」이라는 문자 표시(표시부)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조작 노브(3)는, 그 좌우의 걸어맞춤편(3A)을 슬라이더(5)의 전단 외주에 끼워맞추고, 각 걸어맞춤편(3A)에 각각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3a)에 슬라이더(5)의 전단 외주의 좌우 2개소에 돌출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돌기(5b)를 걸어맞춤으로써 슬라이더(5)의 전단 외주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착된 조작 노브(3)와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5)의 외주에 형성된 3개의 가이드 레일(5a)을 홀더(2)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통(2B)의 내주의 3개소에 형성된 가이드 홈(2c)에 맞춘 상태에서, 슬라이더(5)를 이것에 고정된 제2 슬라이더(6)와 함께 홀더(2)의 내부에 전방에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가이드 통(2B)의 가이드 홈(2c)을 따라서 제2 슬라이더(6)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부재(4)의 중앙 구멍 내에 조작 노브(3)와 슬라이더(5)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노브(3)가 슬라이더(5)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홀더(2)에 수용되면,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조작 노브(3)의 외주에는 투명한 수지 성형품인 노브 링(22)이 끼워넣어지고, 이 노브 링(22)의 외주에는 수지에 의해서 링형상으로 성형된 베젤(23)이 끼워넣어져 고정된다. 이 베젤(23)의 외주는, 상기 홀더(2)의 전단 외주에 끼워넣어져 고정되는 링형상의 베젤 커버(24)에 의해서 덮여진다. 여기서, 베젤 커버(24)는, 비도전성의 수지에 의해서 링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그 외주의 둘레방향 4개소(홀더(2)의 걸어맞춤 클로(2a)에 대응하는 4개소)에는 직사각형 구멍형상의 걸어맞춤 구멍(24a)(도 2에는 2개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젤 커버(24)는, 이것을 홀더(2)의 전단 외주에 끼워넣고, 그 외주에 형성된 4개의 걸어맞춤 구멍(24a)에 홀더(2)의 전단 외주에 돌출 설치된 4개의 각 걸어맞춤 클로(2a)를 걸어맞춤으로써 홀더(2)의 전단 외주부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베젤(23)의 상부의 둘레방향 3개소(홀더(2)의 3개의 렌즈 수납부(2e) 및 이들에 수용된 인디케이터 렌즈(9)에 대응하는 개소(도 6(b) 참조)에는, 「OFF」, 「ACC」및 「ON」의 영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전자가 조작 노브(3)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위치 장치(1)는 비동작 상태에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조작 노브(3)와 일체로 슬라이드하는 제2 슬라이더(6)의 후단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스위치 조작부(6B)가 러버 컨택(7)의 스위치부(17)를 가압하고 있지 않고, 스위치부(17)의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은 회로 기판(8)측의 고정 접점(16)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양자는 비도통 상태에 있으며, 스위치부(17)는 OFF 상태에 있다.
상기 상태로부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 노브(3)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 노브(3)를 밀어넣으면, 상기 조작 노브(3)와 함께 슬라이더(5)와 이것에 고정된 제2 슬라이더(6)가 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제2 슬라이더(6)의 후단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스위치 조작부(6B)가 러버 컨택(7)의 스위치부(17)를 밀어넣으므로, 각 스위치부(17)의 가동 접점이 회로 기판(8)측의 고정 접점(16)에 접촉하여 양자가 도통해, 2개의 스위치부(17)가 동시에 ON이 되어 라디오나 CD 등의 부속 기기(액세서리)에 통전되어, 이들이 작동 상태가 된다. 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조작 노브(3)를 밀어넣으면, 마찬가지로 러버 컨택(7)의 스위치부(17)가 밀어넣어져 가동 접점이 회로 기판(8)의 고정 접점(16)에 접촉하여 양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므로, 스위치부(17)가 ON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작 노브(3)를 가압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서 회로 기판(8)의 LED(13)가 선택적으로 기동되고, 이들 1개로부터 출사하는 광이 러버 컨택(7)의 투광부(7a, 7c, 7d) 중 어느 한 쪽을 투과한 후에 인디케이터 렌즈(9)를 지나 전방으로 나아가고, 베젤(23)에 표시된 「OFF」, 「ACC」 또는 「ON」의 영문자를 발광시켜, 운전자에 의해서 어느 조작이 이루어졌는지가 표시된다.
또, 야간 등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8) 상의 LED(14)가 기동되고, 상기 LED(14)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이 홀더(2)의 내부에 형성된 도광 경로를 거쳐 전방의 조작 노브(3)로 도달하여, 상기 조작 노브(3)의 「ENGINE START STOP」이라는 표시를 점등시킨다. 또한, 회로 기판(8) 상의 복수의 LED(15)가 기동되고, 이들 LED(15)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렌즈 부재(4)의 광도입부(4C)로부터 렌즈 부재(4)의 내부에 도입되고, 광도입부(4C)로부터 렌즈 부재(4) 내를 반사하여 확산된다. 그리고, 렌즈 부재(4)에 도입된 광은, 투명한 상기 렌즈 부재(4) 자체를 발광시키고, 상기 렌즈 부재(4)의 광은 투명한 노브 링(22)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므로, 야간 등에 있어서는 조작 노브(3)의 주위가 링형상으로 빛나는 링 조명이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조작 노브(3)를 가압 조작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8)의 2개의 스위치부(17)가 동시에 ON이 되면, 차량의 인증 장치는, 엔진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차 실내에 배치된 송수신 장치의 안테나부로부터 리퀘스트 신호가 차 실내로 송신된다. 그러면, 운전자가 소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기에 설치된 송수신부가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인증 장치를 향해 ID 신호가 송신된다.
다음에, 차량의 인증 장치는, 코일 안테나(19)로부터 수신한 ID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대조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 OK라 하고, 엔진을 시동 가능 상태로 하여 엔진을 시동시킨다. 또, 엔진이 시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 장치(1)의 2개의 스위치부(17)가 동시에 ON이 되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그 후, 운전자가 스위치 장치(1)의 조작 노브(3)로부터 손을 떼면, 러버 컨택(7)의 스위치부(17)와 스톱 러버(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조작 노브(3)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원래의 비조작 위치로 되돌아오므로, 제2 슬라이더(6)의 스위치 조작부(6B)가 러버 컨택(7)의 스위치부(17)로부터 떨어져 상기 스위치부(17)가 OFF가 된다. 또한, 조작 노브(3)가 원래의 비조작 위치로 되돌아올 때에 스톱 러버(18)가 홀더(2)에 맞닿으므로, 타음의 발생이 스톱 러버(18)에 의해서 방지된다.
이상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1)에 의하면, 광투과성의 렌즈 부재(4)에 코일 안테나(19)를 안테나 홀더(20)를 통해 일체적으로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안테나(19)에 의한 광 불투과부를 작게 할 수 있어, 노브 링(22)에 의해서 조작 노브(3)의 외연을 발광시키기 위한 링 조명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스위치 장치(1)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조작 노브(3)의 둘레 가장자리의 링 조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코일 안테나(19) 및 안테나 홀더(20)와의 간섭을 피해 슬라이더(5)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더(5)에 관통 구멍(5d)를 형성하여, 이 관통 구멍(5d)에 코일 안테나(19)와 안테나 홀더(20)의 일부를 관통시켰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인 관통 구멍(5d)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코일 안테나(19)와 안테나 홀더(20)의 일부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스위치 장치(1)의 소형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렌즈 부재(4)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제1 링부(4A)의 외주연 중, 소정의 스페이스가 필요한 일변측(도 6의 하변측)이 조작 노브(3)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링부(4A)를 제2 링부(4B)에 대해 오프셋시켜 배치했기 때문에, 코일 안테나(19)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조작 노브(3)의 표시부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9)를 그 중심축선(C3)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축선(C4)에 대해 수직 방향 하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스위치 장치(1)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었을 때나, 사용자가 카드형의 휴대기를 소지한 채로 조작 노브(3)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했을 때의 코일 안테나(19)와 휴대기의 통신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9)를 그 중심축선(C3)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축선(C4)에 대해 수직 방향 하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코일 안테나(19)의 오프셋 방향은 상방 혹은 좌우의 어느 방향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코일 안테나(19)를 그 중심축선(C3)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축선(C4)에 대해 수직 방향 상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스위치 장치(1)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측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측에서부터 휴대기가 가려지므로, 양자의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9) 및 이것을 유지하는 안테나 홀더(20)를 편평한 비원형의 링형상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코일 안테나(19)와 안테나 홀더(20)를 타원 형상으로 하거나, 진원 링형상으로 해도 되고, 이들을 그 중심축선(C3)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축선(C4)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 혹은 동심 위치에 배치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은 본 발명을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로서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 적용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동종의 구성을 갖는 다른 임의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1:스위치 장치
2:홀더
2A:홀더의 본체
2B:홀더의 가이드 통
2C, 2D:홀더의 렌즈 고정부
2a:홀더의 걸어맞춤 클로
2b:홀더의 걸어맞춤 구멍
2c:홀더의 가이드 홈
2d:홀더의 리브
2e:홀더의 렌즈 수납부
3:조작 노브
3A:조작 노브의 걸어맞춤편
3a:조작 노브의 걸어맞춤 구멍
4:렌즈 부재
4A:렌즈 부재의 제1 링부
4B:렌즈 부재의 제2 링부
4C:렌즈 부재의 광도입부
4a:렌즈 부재의 슬릿
5:슬라이더
5a:슬라이더의 가이드 레일
5b, 5c:슬라이더의 걸어맞춤 돌기
5c:슬라이더의 렌즈 수납부
5d:슬라이더의 관통 구멍
6:제2 슬라이더
6A:제2 슬라이더의 보스
6B:제2 슬라이더의 스위치 조작부
6a:제2 슬라이더의 걸어맞춤 구멍
6b:제2 슬라이더의 원 구멍
7:러버 컨택
7a:러버 컨택의 투광부
7b:러버 컨택의 관통 구멍
7c, 7d:러버 컨택의 투광부
7e, 7f:러버 컨택의 볼록부
8:회로 기판
8a, 8b:회로 기판의 삽입 구멍
9:인디케이터 렌즈
10:커버
10a:커버의 절결 구멍
10b:커버의 걸어맞춤 돌기
10c:커버의 끼워맞춤 구멍
11:커넥터
11a:커넥터의 끼워맞춤 돌기
12:접속 단자
13~15:LED(광원)
16:고정 접점(검지 수단)
17:스위치부(검지 수단)
18:스톱 러버
19:코일 안테나
19a:안테나선
20:안테나 홀더
20a:안테나 홀더 홈
21:접속 단자
22:노브 링
23:베젤
24:베젤 커버
24a:베젤 커버의 걸어맞춤 구멍

Claims (4)

  1. 홀더와, 표시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노브와,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코일 안테나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 및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배치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광원을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하여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을 조명하는 광투과성의 렌즈 부재를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에 배치하고,
    광원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를 상기 조작 노브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수용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렌즈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렌즈 부재의 중앙 구멍 내에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슬라이더를 배치하며,
    상기 조작 노브가 배치되는 상기 렌즈 부재의 전면측에, 상기 코일 안테나를 수용하는 제1 링부와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을 링형상으로 조명하는 제2 링부를 형성하고, 후면측에,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원통형상의 광도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를 제1 링부의 중심축선이 제2 링부의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코일 안테나의 중심축선이 상기 조작 노브의 작동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일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배치하고, 상기 렌즈 부재의 제1 링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타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57001790A 2012-07-25 2013-07-12 스위치 장치 KR102017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4575 2012-07-25
JPJP-P-2012-164575 2012-07-25
PCT/JP2013/069196 WO2014017325A1 (ja) 2012-07-25 2013-07-12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878A KR20150037878A (ko) 2015-04-08
KR102017930B1 true KR102017930B1 (ko) 2019-09-03

Family

ID=4999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790A KR102017930B1 (ko) 2012-07-25 2013-07-12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43089B2 (ko)
JP (1) JP6230537B2 (ko)
KR (1) KR102017930B1 (ko)
CN (1) CN104488055B (ko)
DE (1) DE112013003653B4 (ko)
WO (1) WO2014017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18406A1 (en) 2013-02-04 2016-07-28 John R. Sanford Coaxial rf dual-polarized waveguide filter and method
ES2767051T3 (es) 2013-10-11 2020-06-16 Ubiquiti Inc Optimización de sistema de radio inalámbrica mediante análisis de espectro persistente
CN104981941B (zh) 2014-04-01 2018-02-02 优倍快网络公司 天线组件
JP6176733B2 (ja) * 2014-05-23 2017-08-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WO2016003864A1 (en) 2014-06-30 2016-01-07 Ubiquiti Networks, Inc. Wireless radio device alignment tools and methods
JP6486667B2 (ja) * 2014-11-28 2019-03-20 株式会社ユーシン コイル装置の結線構造
US10451019B2 (en) * 2015-07-09 2019-10-22 Caterpillar Inc. Starter device for a prime mover
JP6628087B2 (ja) * 2015-11-18 2020-01-08 株式会社ユーシン 操作装置
FR3058550B1 (fr) * 2016-11-08 2021-02-12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signalisation visuelle pour organe de commande et/ou de visualisation
JP6941023B2 (ja) * 2017-10-10 2021-09-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KR102448721B1 (ko) * 2017-12-19 2022-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동장치
JP7058734B2 (ja) * 2018-06-26 2022-04-2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エンジンスター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227655B (zh) 2018-10-18 2022-12-13 美国佳诺公司 燃气器具点火模块
USD880433S1 (en) * 2019-01-21 2020-04-07 Group Intellect Technology Limited Switch
US10998148B1 (en) * 2019-09-26 2021-05-04 David Worsham Display cover apparatus for a push button switch
USD939456S1 (en) * 2019-10-18 2021-12-28 Channel Products, Inc. Gas appliance ignition switch
JP2021169289A (ja) * 2020-04-17 2021-10-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US11143372B1 (en) * 2021-06-10 2021-10-12 Steve Wriggle Safety device cabinet with a safety switch having an integrated light
US11869737B2 (en) 2021-12-08 2024-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ush-button switch assembly and diagnosic method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806A (ja) * 2003-04-16 2004-11-1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スイッチ操作方法
US6941779B2 (en) 2002-07-30 2005-09-13 Kabushiki Kaisha Honda Lock Steerage locking system for vehicle
JP2007303171A (ja) * 2006-05-11 2007-11-22 Tokai Rika Co Ltd キーシリン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151A (en) 1992-02-26 1992-10-06 Eaton Corporation Measuring evaporator load in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pressor clutch control
JPH0640246U (ja) * 1992-10-30 1994-05-27 株式会社アルファ 電磁誘導式ロック装置
JP2003242863A (ja) * 2002-02-20 2003-08-29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KR101028455B1 (ko) * 2007-11-05 2011-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동버튼장치
DE102008035243B4 (de) 2008-07-29 2016-12-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alt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JP5187903B2 (ja) 2009-02-16 2013-04-2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11027085A (ja) * 2009-07-29 2011-02-10 Honda Lock Mfg Co Ltd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KR200457863Y1 (ko) * 2009-10-28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5444075B2 (ja) 2010-03-26 2014-03-19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US20120140457A1 (en) * 2010-12-06 2012-06-07 Mcquade Shayne Laurence Waterproof lens switch assembly for portable lighting unit
JP5876316B2 (ja) * 2012-02-07 2016-03-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JP6230536B2 (ja) * 2012-07-25 2017-11-15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1779B2 (en) 2002-07-30 2005-09-13 Kabushiki Kaisha Honda Lock Steerage locking system for vehicle
JP2004314806A (ja) * 2003-04-16 2004-11-1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スイッチ操作方法
JP2007303171A (ja) * 2006-05-11 2007-11-22 Tokai Rika Co Ltd キーシリン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88055B (zh) 2016-11-23
DE112013003653T5 (de) 2015-04-23
JP6230537B2 (ja) 2017-11-15
CN104488055A (zh) 2015-04-01
US20150170850A1 (en) 2015-06-18
KR20150037878A (ko) 2015-04-08
WO2014017325A1 (ja) 2014-01-30
JPWO2014017325A1 (ja) 2016-07-11
US9543089B2 (en) 2017-01-10
DE112013003653B4 (de)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US9702331B2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JP5649829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025901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US9562507B2 (en) Engine start switch
JP6607573B2 (ja) スイッチ装置
JP5444075B2 (ja) スイッチ装置
JP6017348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60112184A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장치
JP5317943B2 (ja) スイッチ装置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JP5537182B2 (ja) スイッチ装置
JP6017349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068573B1 (ko)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JP2022143149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