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407B1 -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407B1
KR101741407B1 KR1020150117509A KR20150117509A KR101741407B1 KR 101741407 B1 KR101741407 B1 KR 101741407B1 KR 1020150117509 A KR1020150117509 A KR 1020150117509A KR 20150117509 A KR20150117509 A KR 20150117509A KR 101741407 B1 KR101741407 B1 KR 10174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push
push portion
contact
p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479A (ko
Inventor
이호준
임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신창코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코넥타 filed Critical (주)신창코넥타
Priority to KR102015011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6Assembling or mounting of star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푸쉬 동작시키는 푸쉬부를 2단계 푸쉬 작동되도록 구비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2단계 푸쉬 동작에 따른 소정의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다단 절도산을 구비하고, 상기 다단 절도산에 의한 작동감 부여에서 더 나아가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푸쉬부의 스트로크 마다 접점부의 길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A Switch apparatus for Igni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동감을 부여함은 물론, 특히, 사용자에게 2단계의 작동감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신호처리 로직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버튼 타입 시동장치는, 종래에 사용되던 시동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지 않고,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무선통신기의 신호를 감지하여, 정상 사용자 인증 후 운전자가 상기 시동장치의 버튼부를 푸쉬하는 동작으로 차량에의 전원 작동 온(ON) 및 차량의 엔진 시동 작동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이 작동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를 다시 누르면 상기 엔진의 작동이 오프(OFF)되도록 함과 아울러, 동시에 상기 차량에의 전원 작동이 오프(OFF)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버튼 타입 시동장치는, 상기 전원 작동 온(ON), 상기 엔진 작동 온(ON) 및 상기 전원 작동 오프(OFF)와 상기 엔진 작동 오프(OFF)를 위한 상기 버튼부의 푸쉬 스트로크가 모두 동일하게 설정됨으로써, 반드시 전원 작동 온(ON) - 엔진 작동 온(ON) - 전원 및 엔진 작동 오프(OFF)를 위한 전기적 신호가 순서대로 발생되어야 하고, 특히, 안전을 위해 상기 엔진 작동 온(ON)을 위해서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를 다시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동감을 부여함은 물론, 특히, 사용자에게 2단계의 작동감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신호처리 로직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된 푸쉬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푸쉬부의 푸쉬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쉬부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점되는 복수개의 접점부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푸쉬될 때, 제1스트로크 만큼 푸쉬되어 차량의 전원을 작동 온(ON)시키고, 상기 제1스트로크에서 더 푸쉬되는 제2스트로크 만큼 푸쉬되어 차량의 엔진의 시동을 작동 온(ON)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크 만큼 상기 푸쉬부가 푸쉬될 때 상기 푸쉬부와의 1차 걸림에 의한 소정 세기의 제1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제2스트로크만큼 상기 푸쉬부가 더 푸쉬될 때 상기 푸쉬부와의 2차 걸림에 의한 소정 세기의 제2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다단 절도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부에는, 상기 다단 절도산을 향하여 개구되게 구비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내부에 개재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다단 절도산에 구름 접촉되게 구비된 디텐트 볼을 포함하는 디텐트 피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절도산은, 상기 제1스트로크 내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심을 향하여 소정거리 절곡 돌출된 제1절도산부와, 상기 제2스트로크 내에 형성되되, 상기 제1절도산부의 일측에 상기 내부 공간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1절도산부의 돌출 길이만큼 절곡 돌출된 제2절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는, 상기 제1스트로크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 중 어느 하나(이하, '제1접점부'라 칭함)와 접점되는 제1이동단자와, 상기 제2스트로크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 중 다른 하나(이하, '제2접점부'라 칭함)와 접점되는 제2이동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제2접점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2단계 푸쉬 작동시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동감을 부여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서도 차량의 엔진 작동 온(ON)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신호처리 로직 전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하우징에 구비된 절도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푸쉬부에 구비된 디텐트 피스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푸쉬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하우징에 구비된 절도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푸쉬부에 구비된 디텐트 피스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5)과, 상기 케이싱(5)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입입 가능하게 구비된 푸쉬부(30)와, 상기 케이싱(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푸쉬부(30)의 푸쉬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쉬부(30)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점되는 복수개의 접점부(21,23)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푸쉬부(30)는, 상기 케이싱(5)의 내부 공간의 벽면에 밀착 설치된 메인 하우징(10A)과 서브 하우징(10B)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로 푸쉬 및 리턴 복귀하는 동작으로 소정의 스트로크 만큼 푸쉬 작동된다.
상기 메인 하우징(10A)과 상기 서브 하우징(10B)은, 상술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하우징(10A)에 형성된 후크 돌기 결합부(15A)와, 상기 서브 하우징(10B)에 형성된 후크 걸림단(15B)이 상호 후크 결합되는 동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10A)과 상기 서브 하우징(10B)의 일측은 상기 푸쉬부(30)가 푸쉬 동작되도록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10A)과 상기 서브 하우징(10B)의 타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2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 소켓부(2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타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20)는, 각종 전장 소자(미도시)가 솔더링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21,23)가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20')과, 상기 인쇄회로 기판(20')에 복수개의 접속핀(27)에 의하여 솔더 접속되는 상기 전원 연결 소켓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5)은 상기 메인 하우징(10A) 및 상기 서브 하우징(10B)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일측으로는 상기 푸쉬부(30)가 삽입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메인 하우징(10A) 및 서브 하우징(10B)의 타측 개구된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전원 연결 소켓부(29)가 설치되는 바, 양측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메인 하우징(10A)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푸쉬부(30)의 푸쉬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7)이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30)에는 미도시의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레일(17)과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부(30)의 선단에는 푸쉬 버튼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버튼부(110)는,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 등으로 외력을 가하는 부분으로써,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기능에 따른 작동 상태가 인쇄된 문자 패턴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 작동 상태에 따라 소정의 빛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개의 인디케이터(90)로부터 빛을 투과시키는 복수개의 투광부(111a,111b,11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쉬 버튼부(110)와 상기 푸쉬부(30)의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평면 배치된 이물질 차단 쉴드판(100)과 상기 복수개의 인디케이터(9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부(30)의 선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2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부(25)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인디케이터(90) 측으로 향하도록 개구되게 형성되되,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설치 리브(39)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 리브(39)에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5)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90)로 가이드하는 리플렉터(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60)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25)로부터 수렴된 빛을 반사시켜 상기 인디케이터(90)가 구비된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쉬 버튼부(110)의 근접되는 내부 공간에는 링 형태의 안테나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부(70)는, 대략 'ㄷ'자 형상의 외측으로 개구된 수직 단면의 홈을 가진 보빈(70A)과, 상기 보빈(70A)에 권취된 코일(70B)을 포함하고, 운전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키(미도시)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엔진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테나부(70)의 외측으로는 데코 링(80)이 설치되어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푸쉬부(30)는, 상기 푸쉬부(30)의 선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10A)에 형성된 지지단(13)의 스프링 설치부(14)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푸쉬부(30)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37)에 타단이 지지되는 리턴 스프링(38)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푸쉬부(30)는, 상기 케이싱(5)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푸쉬될 때, 제1스트로크(S1) 만큼 푸쉬되어 차량의 전원을 작동 온(ON)시키고, 상기 제1스트로크(S1)의 선단에서 더 푸쉬되는 제2스트로크(S2) 만큼 푸쉬되어 차량의 엔진의 시동을 작동 온(ON)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운전자)는 상기 엔진의 작동 오프(OFF)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한 후에 먼저 상기 푸쉬부(30)를 상기 제1스트로크(S1) 만큼 푸쉬 작동시켜 상기 차량의 전원을 작동 온(ON)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푸쉬부(30)를 상기 제1스트로크(S1)의 선단에서 상기 제2스트로크(S2) 만큼 더 푸쉬 작동시켜 상기 엔진의 시동을 작동 온(ON)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트로크(S1) 및 상기 제2스트로크(S2) 만큼의 상기 푸쉬부(30)가 푸쉬 작동된 후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각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 중 상기 메인 하우징(10A)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크(S1) 만큼 상기 푸쉬부(30)가 푸쉬될 때 상기 푸쉬부(30)와의 1차 걸림에 의한 소정 세기의 제1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트로크(S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스트로크(S2) 만큼 상기 푸쉬부(30)가 더 푸쉬될 때 상기 푸쉬부(30)와의 2차 걸림에 의한 소정 세기의 제2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다단 절도산(11a,1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부(30)에는,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과 접촉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제1작동감 및 상기 제2작동감을 부여하기 위한 디텐트 피스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31,32,35,37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피스부는,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을 향하여 개구되게 구비된 보스부(31)와, 상기 보스부(31)의 내부 홈(32)에 개재된 탄성부재(33)와, 상기 탄성부재(33)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에 구름 접촉되게 구비된 디텐트 볼(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볼(35)은 미도시의 리테이너에 의하여 상기 보스부(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에 직접적으로 구름 접촉됨으로써 상기 푸쉬부(30)로 소정의 걸림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디텐트 볼(35)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디텐트 볼(35)이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을 따라 구름 접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트로크(S1) 내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심을 향하여 소정거리 절곡 돌출된 제1절도산부(11a)와, 상기 제2스트로크(S2) 내에 형성되되, 상기 제1절도산부(11a)의 일측에 상기 내부 공간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1절도산부(11a)의 돌출 길이 만큼 절곡 돌출된 제2절도산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30)의 푸쉬 동작으로, 상기 푸쉬부(30)가 상기 제1스트로크(S1) 내에서 이동하면, 상기 디텐트 피스부의 디텐트 볼(35)이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의 상기 제1절도산부(11a)를 타고 구름 접촉 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1작동감을 부여하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푸쉬부(30)를 상기 제1스트로크(S1)의 선단으로부터 더 푸쉬 작동시켜 상기 푸쉬부(30)가 상기 제1스트로크(S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스트로크(S2)로 진입 이동하면, 상기 디텐트 피스부의 디텐트 볼(35)이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 중 상기 제2스트로크(S2) 내에 형성된 상기 제2절도산부(11b)를 타고 구름 접촉 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상기 제2작동감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1작동감을 부여받은 경우, 상기 차량에의 전원이 작동 온(ON) 된 것을 의미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작동감을 부여받은 경우, 상기 차량의 엔진의 작동 온(ON)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20)의 인쇄회로 기판(20')에 인쇄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21,23) 및 상기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40)를 먼저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4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21,23)에 대해 접점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차량에의 전원의 작동 온(ON) 및 작동 오프(OFF), 상기 차량의 엔진 작동 온(ON) 및 작동 오프(OFF)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40)는, 상기 차량의 전원의 작동 온(ON) 및 작동 오프(OFF)에 관여하는 한 쌍의 제1이동 단자(41a,41b)와, 상기 차량의 엔진의 시동 작동 온(ON) 및 작동 오프(OFF)에 관여하는 한 쌍의 제2이동 단자(43a,4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 단자(41a,41b)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20')에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21,23) 중 제1접점부(21a,21b)와 접점되고, 상기 제2이동 단자(43a,43b)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20')에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21,23) 중 제2접점부(23a,23b)에 접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접점부(21a,21b) 및 제2접점부(23a,23b)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제1이동 단자(41a,41b) 또는 제2이동 단자(43a,43b)가 접점되는 경우 상술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둘 중 다른 하나에 접점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접점부(21a,21b) 및 상기 제2접점부(23a,23b)는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이동 단자(41a,41b) 및 상기 제2이동 단자(43a,43b)의 선단부는 상기 푸쉬부(3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도 5의 도면부호 "P1지점" 참조).
상기 제1스트로크(S1) 내에서 상기 제1이동 단자(41a,41b)가 접점되는 상기 제1접점부(21a,21b)는, 상기 디텐트 피스부의 디텐트 볼(35)이 도 6a 및 도 6b의 도면상 "Ⅰ지점"에서 "Ⅱ지점"으로 상기 제1절도산부(11a)를 타고 넘은 후 상기 제1이동 단자(41a,41b)가 "P2지점"으로 이동되어 먼저 접점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트로크(S2) 내에서 상기 제2이동 단자(43a,43b)가 접점되는 상기 제2접점부(23a,23b)는, 상기 디텐트 피스부의 디텐트 볼(35)이 도 6b 및 도 6c의 도면상 "Ⅱ지점"에서 "Ⅲ지점"으로 상기 제2절도산부(11b)를 타고 넘은 후 상기 제2이동 단자(43a,43b)가 "P3지점"으로 이동되어 접점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접점부(21a,21b) 및 상기 제2접점부(23a,23b)의 길이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작동감 부여 뿐만 아니라, 2단계 작동되는 상기 푸쉬부(30)의 푸쉬 동작에 따른 안정적인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푸쉬부(30)의 2단계 푸쉬 작동시 소정의 작동감을 부여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종래 차량에의 전원 작동 온(ON) 상태에서도 차량의 엔진의 시동 작동 온(ON)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단 절도산(11a,11b)을 통한 사용자에 대한 푸쉬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2단계 푸쉬 작동 구현에 따라 다양한 신호처리 로직 전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5: 케이싱 10A: 메인 하우징
10b: 서브 하우징 20: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21,23: 복수개의 접점부 21a,21b: 제1접점부
23a,23b: 제2접점부 25: 발광부
27: 접속 핀 29: 전원 연결 소켓부
30: 푸쉬부 31: 보스부
33: 탄성부재 35: 디텐트 볼
40: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 60: 리플렉터
70: 안테나부 80: 데코 링
90: 인디케이터 100: 이물질 차단 쉴드판
110: 푸쉬 버튼부

Claims (4)

  1.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된 푸쉬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푸쉬부의 푸쉬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쉬부에 구비되어 연동되는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점되는 복수개의 접점부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푸쉬될 때, 제1스트로크 만큼 푸쉬되어 차량의 전원을 작동 온(ON)시키고, 상기 제1스트로크의 선단에서 더 푸쉬되는 제2스트로크 만큼 푸쉬되어 차량의 엔진의 시동을 작동 온(ON)시키도록 구성되며,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스트로크 만큼 상기 푸쉬부가 푸쉬될 때 상기 푸쉬부와의 1차 걸림에 의한 소정 세기의 제1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트로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스트로크만큼 상기 푸쉬부가 더 푸쉬될 때 상기 푸쉬부와의 2차 걸림에 의한 소정 세기의 제2작동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다단 절도산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 단자부는,
    상기 제1스트로크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 중 어느 하나(이하, '제1접점부'라 칭함)와 접점되는 제1이동단자와;
    상기 제2스트로크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 중 다른 하나(이하, '제2접점부'라 칭함)와 접점되는 제2이동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점부는, 상기 제2접점부보다 길게 형성된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에는,
    상기 다단 절도산을 향하여 개구되게 구비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내부에 개재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다단 절도산에 구름 접촉되게 구비된 디텐트 볼을 포함하는 디텐트 피스부가 형성된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단 절도산은,
    상기 제1스트로크 내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중심을 향하여 소정거리 절곡 돌출된 제1절도산부와;
    상기 제2스트로크 내에 형성되되, 상기 제1절도산부의 일측에 상기 내부 공간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1절도산부의 돌출 길이만큼 절곡 돌출된 제2절도산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4. 삭제
KR1020150117509A 2015-08-20 2015-08-20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174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09A KR101741407B1 (ko) 2015-08-20 2015-08-20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509A KR101741407B1 (ko) 2015-08-20 2015-08-20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479A KR20170022479A (ko) 2017-03-02
KR101741407B1 true KR101741407B1 (ko) 2017-06-15

Family

ID=5842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509A KR101741407B1 (ko) 2015-08-20 2015-08-20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4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51B1 (ko) * 2008-08-11 2011-03-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스타트버튼
KR101270478B1 (ko) * 2011-12-29 2013-06-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51B1 (ko) * 2008-08-11 2011-03-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스타트버튼
KR101270478B1 (ko) * 2011-12-29 2013-06-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479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331B2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KR101025901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US8168899B2 (en) Engine starter switch device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JP6017348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8026270A (ja) スイッチ装置
KR20120050040A (ko)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JP6000719B2 (ja) 中継用コネクタ
KR101741407B1 (ko)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WO1998045903A1 (fr) Groupe batterie de voiture
US20140183015A1 (en) Push switch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KR20150092664A (ko) 차량용 엔진 시동 버튼 장치
JP7514945B2 (ja) アンテナ付き自動車用小型スタートスイッチ
CN110970775A (zh) 同轴开关
CN101393810A (zh) 独立按压式控制开关
US10411332B2 (en) Vehicle starting apparatus
JP2021150043A (ja) スイッチ装置
JPH1021996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KR20180017922A (ko) 절곡부를 구비하는 스톱 램프 스위치
KR20150003861U (ko) 벌브홀더 터미널
JP2009129818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