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861U - 벌브홀더 터미널 - Google Patents

벌브홀더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861U
KR20150003861U KR2020140002998U KR20140002998U KR20150003861U KR 20150003861 U KR20150003861 U KR 20150003861U KR 2020140002998 U KR2020140002998 U KR 2020140002998U KR 20140002998 U KR20140002998 U KR 20140002998U KR 20150003861 U KR20150003861 U KR 201500038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bent
contact portion
bending pie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2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861U/ko
Publication of KR20150003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브홀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터미널(30)은 벌브홀더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이 내부공간(12)에 설치되어 일측의 외부접촉부(36)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에는 몸체부(32)가 있는데, 상기 몸체부(32)의 양측에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결합부(14)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32)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외부접촉부(3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벌브접촉부(38)가 형성된다. 상기 벌브접촉부(38)에는 제1절곡편(42)과 제2절곡편(44)이 있는데, 상기 제1절곡편(42)과 제2절곡편(44)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 일측에서 상기 제2절곡편(44)이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와 상기 제2절곡편(44)의 선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벌브접촉부(38)의 탄성복원력이 좋아져 벌브(20)의 장착이 확실하게 되고, 상기 벌브접촉부(38)의 크기가 작아져 벌브홀더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벌브홀더 터미널{Terminal for bulb holder}
본 고안은 벌브홀더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브홀더에서 벌브와 외부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벌브가 벌브홀더에 걸어져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벌브홀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벌브홀더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턴시그널을 제공하는 벌브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벌브홀더의 외관을 하우징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외부 전원과 상기 벌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데, 벌브를 밀어 벌브홀더의 하우징에 걸어지도록 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탄성력은 벌브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선행기술문헌으로 제시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터미널에서 벌브와의 접촉을 하는 벌브접촉부가 'S'자 형상으로 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벌브접촉부는 단순한 'S'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해 벌브를 제대로 밀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벌브접촉부는 터미널을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반복하여 연장되도록 절곡되므로 좌우방향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되어 하우징 내에서 터미널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면서 하우징의 크기가 커져 전체적으로 벌브홀더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0823334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벌브홀더에서 사용되는 터미널에서 벌브의 전극과 접촉되면서 벌브를 밀어주는 벌브접촉부의 탄성복원력을 상대적으로 높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벌브홀더에서 사용되는 터미널에서 벌브의 전극과 접촉되는 벌브접촉부의 구성을 상대적으로 소형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벌브홀더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외부와 벌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벌브홀더 터미널에 있어서, 양측에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접촉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벌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벌브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벌브접촉부는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이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절곡편의 선단부 일측에서 상기 제2절곡편이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제1절곡편의 선단부와 상기 제2절곡편의 선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본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벌브접촉부의 사이에는 받침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된다.
상기 받침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벌브접촉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절곡편이 연장되어 절곡된다.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1절곡편의 선단부와 제2절곡편의 선단부와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편은 터미널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절곡편의 사이는 상기 제1절곡편에 의해 연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벌브홀더용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벌브홀더용 터미널에서는 벌브접촉부가 절곡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절곡편이 높이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구성되었으므로, 상대적으로 탄성복원력이 커지게 되어 벌브를 보다 큰 힘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벌브접촉부를 구성하는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므로 상대적으로 벌브접촉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벌브접촉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어 벌브홀더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벌브홀더용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의 벌브홀더용 터미널이 개략적으로 그려진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터미널만을 설명하지 않고 본 고안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벌브홀더의 하우징 및 벌브에 대해서도 설명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터미널(30)은 벌브홀더의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개략적으로 일부만 도시되었다. 이는 상기 하우징(10)의 구성은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내부공간(12)에 상기 터미널(30)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외부 전원과 벌브(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공간(12)이 대략 원통형으로 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는 터미널결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결합부(14)는 상기 터미널(30)의 일측이 압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으로, 내면 양측에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돌기(34)가 걸어지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관통부(16)가 있어 상기 터미널(30)의 외부접촉부(36)가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일부가 삽입되어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벌브(20)는 벌브몸체(22)에 발광부(2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벌브몸체(2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발광부(24)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광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벌브몸체(22)의 단부, 즉 상기 발광부(24)의 반대쪽에는 벌브전극(26)이 있다. 상기 벌브전극(26)은 상기 터미널(30)의 벌브접촉부(38)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벌브몸체(22)의 외면이 또 하나의 전극으로 되어 본 고안의 터미널 외에 또 다른 터미널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벌브몸체(22)의 일측 외면에는 걸이돌기(2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슬롯(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안내되어 걸이슬롯의 걸이부(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지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를 포함하는 걸이슬롯은 'J'자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에 제시된 벌브(20)는 본 고안의 터미널과 같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이제 상기 터미널(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30)은 금속판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30)에는 몸체부(32)가 있다. 상기 몸체부(32)는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몸체부(3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32)의 폭방향 양측에는 결합돌기(34)가 있다. 상기 결합돌기(34)는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결합부(14) 양측 내면에 걸어져서 터미널(30)이 하우징(1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돌기(34)는 상기 몸체부(32)의 폭방향 양측에 2개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30)이 터미널결합부(14)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가 있다.
상기 몸체부(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외부접촉부(36)가 있다. 상기 외부접촉부(36)는 상기 몸체부(32)에 대해 2회 90도로 절곡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외부접촉부(36)의 선단은 상기 몸체부(32)와 나란히 연장되도록 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외부접촉부(36)에는 상기 몸체부(32)에서 9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상기 내부공간(12)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32)에서 상기 외부접촉부(36)의 반대쪽에는 벌브접촉부(38)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벌브접촉부(38)는 상기 벌브(20)의 벌브전극(26)과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벌브(20)를 밀어서 상기 걸이슬롯의 걸이부에 벌브(20)의 걸이돌기(28)가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벌브접촉부(38)에는 상기 몸체부(32)와 연결된 받침판(40)이 있다. 상기 받침판(40)은 상기 몸체부(32)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상기 받침판(40)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선단부가 상기 받침판(40)과 마주보게 제1절곡편(42)이 형성된다. 일측 방향에서 보면, 상기 제1절곡편(42)과 상기 받침판(40)을 합쳐서 횡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절곡편(42)은 상기 받침판(4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절곡된다. 참고로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라 함은 상기 받침판(40)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받침판(40)이나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절곡편(44)의 선단부와 평행하게 된 부분을 말한다.
한편, 상기 제1절곡편(42)에서 연장되어 제2절곡편(44)이 있는데, 상기 제2절곡편(44)도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와 합쳐서 횡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절곡편(44)은 상기 제1절곡편(4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절곡편(44)이 상기 제1절곡편(42)에서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몸체부(32)의 연장방향과 같다. 상기 제2절곡편(44)의 선단부도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받침판(40)이나 제1절곡편(42)의 선단부와 평행하게 된 부분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와 상기 제2절곡편(44)의 선단부는 공간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편(42)의 선단부의 연장방향과 제2절곡편(44)의 선단부의 연장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30)을 전개했을 때, 상기 몸체부(32)와 상기 제2절곡편(44)은 서로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받침판(40)은 상기 몸체부(3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절곡편(44)과 상기 제1절곡편(42)을 통해 연결된다. 즉, 전체적으로 전개되었을 때는 'ㄷ'자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전개도의 특성상 프레스금형에서 터미널을 만들 때는 상기 몸체부(32)와 제2절곡편(44) 사이의 공간에 다른 터미널의 몸체부(32)나 제2절곡편(44)이 되는 부분이 있도록 하면, 재료의 손실없이 터미널(30)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벌브홀더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벌브홀더 터미널(30)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장착되는데, 상기 몸체부(32)의 결합돌기(34)가 하우징(10)의 터미널결합부(14)에 압입되어 걸어짐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외부접촉부(36)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 위치되어 외부 전원측과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벌브접촉부(38)는 상기 내부공간(12) 내에 위치되어 벌브(20)가 삽입되었을 때, 벌브(20)의 벌브전극(26)과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30)이 내부공간(1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벌브(20)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면, 상기 벌브(20)의 벌브전극(26)이 상기 벌브접촉부(38)의 제2절곡편(44)의 선단부 외면에 안착되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벌브(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벌브(20)의 걸이돌기(28)가 하우징(10)의 걸이슬롯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벌브(20)에 의해 상기 제1절곡편(42)과 제2절곡편(44)의 절곡부가 각각 탄성변형된다. 상기 제1절곡편(42)과 제2절곡편(44)이 탄성변형되면, 상기 받침판(40)쪽으로 각각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하여 받침판(40)과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벌브(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벌브접촉부(38)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벌브(20)에 작업자가 가하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벌브접촉부(3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벌브(20)가 하우징(10)의 외부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이돌기(28)가 걸이슬롯의 걸이부로 이동되어 걸어지면 벌브(20)가 하우징(10)에 걸어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벌브(20)를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벌브(20)를 눌러서 상기 걸이돌기(28)가 상기 걸이슬롯의 걸이부에서 빠져나와 걸이슬롯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벌브(20)를 작업자가 눌러주면 상기 터미널(30)의 상기 벌브접촉부(38)는 벌브(20)의 삽입시에 탄성변형되었던 것과 같이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벌브(20)의 걸이돌기(28)가 상기 걸이부를 빠져나와 걸이슬롯에 안내될 때, 작업자가 벌브(2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벌브접촉부(3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서 상기 벌브(20)가 어느 정도 빠져나오게되고 작업자는 상기 벌브(20)를 하우징(10)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터미널결합부 16: 관통부
20: 벌브 22; 벌브몸체
24: 발광부 26: 벌브전극
28: 걸이돌기 30: 터미널
32: 몸체부 34: 결합돌기
36: 외부접촉부 38: 벌브접촉부
40: 받침판 42: 제1절곡편
44: 제2절곡편

Claims (5)

  1. 벌브홀더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설치되어 외부와 벌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벌브홀더 터미널에 있어서,
    양측에 상기 하우징에 압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접촉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벌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벌브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벌브접촉부는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이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절곡편의 선단부 일측에서 상기 제2절곡편이 연장되어 절곡되고 상기 제1절곡편의 선단부와 상기 제2절곡편의 선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벌브홀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벌브접촉부의 사이에는 받침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는 벌브홀더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벌브접촉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절곡편이 연장되어 절곡되는 벌브홀더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1절곡편의 선단부와 제2절곡편의 선단부와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는 벌브홀더 터미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편은 터미널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절곡편의 사이는 상기 제1절곡편에 의해 연결되는 벌브홀더 터미널.
KR2020140002998U 2014-04-14 2014-04-14 벌브홀더 터미널 KR201500038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98U KR20150003861U (ko) 2014-04-14 2014-04-14 벌브홀더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98U KR20150003861U (ko) 2014-04-14 2014-04-14 벌브홀더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61U true KR20150003861U (ko) 2015-10-22

Family

ID=5443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98U KR20150003861U (ko) 2014-04-14 2014-04-14 벌브홀더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861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484A (ja) * 1996-05-15 1997-11-25 Sato Seiki:Kk 樹脂成形品
KR20090016312A (ko) * 2007-08-10 2009-0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090006791U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100003357U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씨엔텍 배터리 접속단자
KR20130081685A (ko) * 2013-06-20 2013-07-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일형 벌브홀더용 단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484A (ja) * 1996-05-15 1997-11-25 Sato Seiki:Kk 樹脂成形品
KR20090016312A (ko) * 2007-08-10 2009-0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090006791U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100003357U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씨엔텍 배터리 접속단자
KR20130081685A (ko) * 2013-06-20 2013-07-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일형 벌브홀더용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6537890B2 (ja) コネクタ
CN109546424B (zh) 电连接器组件及电连接器
JP5683284B2 (ja) 基板接続用端子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US20150087193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JP2015103372A (ja) コネクタ
JP2013161578A (ja) 電気コネクタ
CN107026337B (zh)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JP6727580B2 (ja)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707144B1 (ko) 커넥터
KR20160001700A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KR20150003861U (ko) 벌브홀더 터미널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JP6613129B2 (ja) 金属端子
KR20160001516A (ko) 기판용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기판과 커넥터 연결장치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TW201340478A (zh) 支座,附帶扁形導體支座及該附帶扁形導體支座與電連接器之組合體
KR20150080040A (ko) 터미널
JP2015216035A (ja) コネクタ
JP2015216049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