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357U - 배터리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배터리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357U
KR20100003357U KR2020080012588U KR20080012588U KR20100003357U KR 20100003357 U KR20100003357 U KR 20100003357U KR 2020080012588 U KR2020080012588 U KR 2020080012588U KR 20080012588 U KR20080012588 U KR 20080012588U KR 20100003357 U KR20100003357 U KR 201000033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ent
terminal
contact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131Y1 (ko
Inventor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텍
Priority to KR2020080012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3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또는 별도의 배터리 충전팩 등에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배터리의 단자에 밀착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단자는 수직 방향으로의 힘에는 탄성작용이 용이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최초 배터리를 삽입하거나 이탈시킬 때 작용하는 측방향 힘을 효과적으로 탄성지지하지 못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하여 장치에 장착 일부가 돌출되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접속단자에 있어서;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절곡되어 양측은 단자홈으로 삽입되되, 후방은 접촉된 상기 단자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전방은 삽입된 배터리의 수직위치보다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접촉절곡부와;
상기 접촉절곡부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단자

Description

배터리 접속단자{The terminal for a battery}
본 고안은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폰 또는 휴대폰용 충전팩 등 일정한 규격의 배터리와 접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장치의 접속단자가 삽입 또는 분리할 때의 힘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각종 배터리는 휴대성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사용되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일반 일회용 배터리가 아닌 충전이 가능한 다양한 모양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일면에 평판 형태의 단자가 수 개 형성되어 휴대용 장치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용 장치로 충전을 하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충전팩에 형성된 접속단자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배터리(1)를 수직 위에서 삽입하면 접속단자(2)가 접촉하도록 하는 충전팩(3)을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배터리(1)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게 되면 그 힘과 상기 접속단자(2)의 반발력에 의하여 접속하여 충전이 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배터리(1)가 장착되는 휴대폰 등에도 동일한 원리를 가진 접속단자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2)는 제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접속단자(2)가 배터리(1)와 접촉되는 부분만 돌출되어 장치에 조립되는 베이스(4)에 내장되는 경우가 많다.
도 6은 종래 접속단자와 베이스의 조립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종래 접속단자의 힘에 의한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접속단자(2)는 하나의 탄성복원력을 위한 절곡부(21)를 구성하여 수직방향의 압력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충전팩이나 휴대폰 등에 배터리를 삽입할 때 수직 아래 방향으로 즉, 상기 접속단자(2)의 배터리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즉, 상기 배터리가 충전팩 등에 최초 삽입될 경우에는, 배터리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촉부(미도시)가 상기 접속단자(2)와 대응하며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동작에서 배터리가 기울어진 형태로 최초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 상기 접속단자(2)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 아닌 경사를 이루며 작용하게 되며 그 방향은 최종적으로 충전팩에 수직방향을 이루며 끼워지면서 상기 화살표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종래와 같은 형상에서는 측방향의 힘에 대하여 상기 접속단자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는 도 7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절곡부(21)에 힘이 작용하기 보다는 다른 부분에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탄성 복원력이 적어 접속단자가 변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터리 접속단자의 형상을 개선하여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의 힘에도 접속단자가 변형되지 않고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접속단자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하여 장치에 장착 일부가 돌출되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접속단자에 있어서;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절곡되어 양측은 단자홈으로 삽입되되, 후방은 접촉된 상기 단자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전방은 삽입된 배터리의 수직위치보다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접촉절곡부와;
상기 접촉절곡부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탄성절곡부의 수직인 부분은 장치 또는 장치에 장착되는 베이스에 매립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절곡부와 제2 탄성절곡부의 절곡된 각의 합은 180도 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터리 접속단자가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의 힘에도 변형되지 않고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 장치의 사용에 따른 접촉불량 등의 결함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인서트 사출방식이 아닌 별도로 제조되는 베이스에 접속단자를 결합시킴으로 단자의 정령이 용이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절곡되어 양측은 단자홈(41)으로 삽입되되, 후방은 접촉된 상기 단자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전방은 삽입된 배터리의 수직위치보다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접촉절곡부(22)와;
상기 접촉절곡부(22)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22)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23)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23)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속단자(2)이다.
이때 상기 접촉절곡부(22)의 배터리과 밀착하는 부분은 돌출된 돌출부(25)가 형성되어 보다 원활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돌출부(25)를 형성하는 실시 예는 기존에도 있던 것이나 상기 돌출절곡부(25)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절곡부(22)에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여 측방향 힘에 대하여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 하나의 절곡부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힘에만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하는 경우 측방향의 힘에 변형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탄성절곡부(24)의 수직인 부분은 장치 또는 장치에 장착되는 베이스(4)에 매립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때 양측면에 날개 형상의 리브(26)를 수 개 형성하여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보다 상세한 실시 예로 상기 제1 탄성절곡부(23)와 제2 탄성절곡부(24)의 절곡된 각의 합은 180도 보다 작게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두 개의 탄성절곡부(23, 2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절곡되는 각도 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탄성절곡부(23)와 제2 탄성절곡부(24)를 연결하는 부분이 수평일 경우에는 수직방향의 탄성복원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이들의 각도는 60~70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는 사출 금형에 의하여 제조되었으나 본 고안은 단자와 베이스(4)간의 상호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시 단자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종래보다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5는 충전팩에 설치된 단자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종래 접속단자와 베이스의 조립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종래 접속단자의 힘에 의한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접속단자
21 : 절곡부 22 : 접촉절곡부
23 : 제1 탄성절곡부 24 : 제2 탄성절곡부
25 : 돌출부 26 : 리브
3 : 충전팩
4 : 베이스
41 : 단자홈

Claims (3)

  1.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하여 장치에 장착 일부가 돌출되되 탄성력에 의하여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접속단자에 있어서;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절곡되어 양측은 단자홈(41)으로 삽입되되, 후방은 접촉된 상기 단자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전방은 삽입된 배터리의 수직위치보다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접촉절곡부(22)와;
    상기 접촉절곡부(22)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22)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23)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23)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절곡부(24)의 수직인 부분은 장치 또는 장치에 장착되는 베이스(4)에 매립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절곡부(23)와 제2 탄성절곡부(24)의 절곡된 각의 합은 180도 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
KR2020080012588U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KR200453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88U KR200453131Y1 (ko)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88U KR200453131Y1 (ko)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57U true KR20100003357U (ko) 2010-03-26
KR200453131Y1 KR200453131Y1 (ko) 2011-04-08

Family

ID=4419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588U KR200453131Y1 (ko)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3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2375A (zh) * 2014-06-25 2014-09-03 深圳格力浦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端子及高密度多功能电源连接器
KR20150003861U (ko) * 2014-04-14 2015-10-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터미널
KR20220027671A (ko) * 2020-08-27 2022-03-08 박관식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
KR20220078972A (ko) * 2020-12-04 2022-06-13 박관식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52041A (en) * 1992-05-12 1996-08-27 Matson Automotive Ind Pty Ltd Snap-lock battery terminal with ends of slit annular post clamping ring being drawn together by toggle clamp
EP1659659A1 (de) * 2004-11-23 2006-05-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lte- und Kontaktiervorrichtung für eine Knop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61U (ko) * 2014-04-14 2015-10-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터미널
CN104022375A (zh) * 2014-06-25 2014-09-03 深圳格力浦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端子及高密度多功能电源连接器
CN104022375B (zh) * 2014-06-25 2016-04-27 深圳格力浦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端子及高密度多功能电源连接器
KR20220027671A (ko) * 2020-08-27 2022-03-08 박관식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
KR20220078972A (ko) * 2020-12-04 2022-06-13 박관식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131Y1 (ko) 201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254B2 (en) Electrical power connector and a terminal assembly
US9537242B2 (en) Electrical power connector and a terminal assembly
CN102918692B (zh) 连接器及燃料电池
US7625254B2 (en) Battery connector with a block portion defined a curved surface
KR20100003357U (ko) 배터리 접속단자
CN109361078B (zh) 一种接线结构及开关插座
CN202121113U (zh) 电连接器
US20160197427A1 (en) Battery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3196817A (ja) 端子機構
CN201038388Y (zh) 电源连接器
TWM493761U (zh) 彈片式電池連接器
CN210517092U (zh) 一种线对板连接器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CN209993822U (zh) 音源插座的改良型端子结构
JP4269493B2 (ja) バッテリ使用機器用レセプタクル
JP5404957B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KR200453132Y1 (ko) 배터리 접속단자
JP5065002B2 (ja) 充電台
CN220710668U (zh) 一种Type-c接口
CN107579377B (zh) Usb插头结构及连接器结构
CN204927617U (zh) 电池连接器
CN218385642U (zh) 一种电池装置
CN209993821U (zh) 音源插座的改良型端子结构
CN219575433U (zh) 一种动态防水安防开关
CN202602014U (zh) 电连接器的金属壳体、电连接器及电连接器与电路板的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