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132Y1 - 배터리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배터리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132Y1
KR200453132Y1 KR2020080012589U KR20080012589U KR200453132Y1 KR 200453132 Y1 KR200453132 Y1 KR 200453132Y1 KR 2020080012589 U KR2020080012589 U KR 2020080012589U KR 20080012589 U KR20080012589 U KR 20080012589U KR 200453132 Y1 KR200453132 Y1 KR 200453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ent
connecting pi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358U (ko
Inventor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텍
Priority to KR2020080012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단순히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하여 충전 또는 배터리 전원의 공급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단자가 일정압력으로 눌려졌을 때 이를 감지하는 별도의 접속핀을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와 인접하여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되 접속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 개의 접속핀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내부 접속핀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후방으로 밀렸을 때 그 일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접속단자

Description

배터리 접속단자{The terminal for a battery}
본 고안은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접속단자가 단순한 전기적인 연결 이외에도 또 하나의 연결을 확인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배터리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을 포함하여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장치의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때 이러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은 장착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는 장치와 가동상태, 배터리의 성능 등에 따라 그 차이는 있으나 그 용량에 한계가 있어 하나의 배터리로 짧게는 1시간에서 길게는 10시간 이상 사용을 한 후에는 재충전 또는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와 멀티미디어장치 또는 충전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와 접속하는 수단으로 배터리 접속단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종래의 접속단자는 그 형상에 미차는 있으나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와 인접하여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되 접속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 개의 접속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접속단자의 경우 단순히 전기적인 접속만을 위한 것으로 내구성 및 단자에 밀착하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핀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 이외에는 특이할 구성이 없는 상황이다.
가령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작업시 일반적으로 충전중일 때는 빨간 등이 켜지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 등이 켜지도록 하여 그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전원 자체는 지속적으로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돌출되어 있는 접속핀을 가압하지 않고 손이나 기타 기구로 만지는 것 만으로 통전이 되는 상태이므로 이로 인한 전기적 쇼트 및 단락으로 인해 충전기의 회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접속단자가 적용되는 충전기의 경우, 다수개로 형성된 접속핀 중 어느 하나라도 배터리 접속단자와 접속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회로의 구조적 특성상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하는 배터리 접속단자가 단순한 전원의 연결 이외에도 배터리의 완전한 장착에 따른 부가적인 신호를 활용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와 인접하여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되 접속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 개의 접속핀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내부 접속핀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후방으로 밀렸을 때 그 일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속핀은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절곡부와, 상기 접촉절곡부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접속핀은 상기 접속핀의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의 사이 구간과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압력을 받아 변형된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 제2접속핀의 절곡부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의 사이 구간과 접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응하며 접속되는 접속핀과 제2 접속핀이 복수개로 구성된 배터리 접속단자를 충전기에 적용시킴으로써, 충전기에 배터리가 장착될 경우 복수개의 접속핀 중 단수개만 접속이 이루어지더라도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져 배터리 충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금속성 물체 등이 접속핀에 단순 접촉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배터리 접속단자를 이루는 접속핀과 제2 접속핀은 평상시 소정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통전에 의한 전기적 쇼트 및 단락으로 인해 충전기의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와 인접하여 장착되는 브라켓(1) 과, 상기 브라켓(1)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되 접속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 개의 접속핀(2)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 내부 접속핀(2)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2)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후방으로 밀렸을 때 그 일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핀(3)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를 나타내었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접속핀(2)과 제2 접속핀(3)과는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유지하다가 상기 접속핀(2)이 눌려져 후방으로 굽혀질 때 상기 제2 접속핀(3)과 접속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는 전원이 상기 제2 접속핀(3)과 연결될 경우 상기 접속핀(2)이 눌려졌을 때 즉 배터리가 완전히 장착되었을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응하며 접속되는 접속핀과 제2 접속핀을 복수개로 구성하여 충전기에 적용시킴으로써, 충전기에 배터리가 장착될 경우 복수개의 접속핀 중 단수개만 접속이 이루어지더라도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져 배터리 충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금속성 물체 등이 접속핀에 단순 접촉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배터리 접속단자를 이루는 상기 접속핀과 제2 접속핀은 평상시 소정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통전에 의한 전기적 쇼트 및 단락으로 인해 충전기의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은 접속핀(2)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접속핀(3)은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별도의 신호에 이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별도의 장치와 연결되어 배터리와의 전원 연결을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활용의 도구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속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브라켓(1)은 일측에 개방되어 접속핀(2)의 접촉절곡부(21)가 돌출되도록 하는 홈(11)이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서는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훅(12)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또 하나의 실시 예로 상기 접속핀(2)은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절곡부(21)와, 상기 접촉절곡부(21)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21)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22)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22)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제2 탄성절곡부(23)와 연결된 구간은 상기 브라켓(1)의 내부에 매립 고 정되고 브라켓(1)의 형태에 따라 절곡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진 경우 수직 또는 다른 방향의 압력에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22, 23)가 절곡되면서 브라켓(1)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변형이 된다.
이때 상기 제1접촉절곡부(21)와 제1 탄성절곡부(22)의 사이 구간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보조날개(24)는 상기 노출된 접촉절곡부(21)의 틈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접속핀(3)은 상기 접속핀(2)의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22, 23)의 사이 구간과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절곡된 절곡부(31)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1)에 고정되도록 매립되는 매립부(32)가 형성되고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접속핀(2)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압력을 받아 도 3과 같이 변형된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 상기 제2접속핀(3)의 절곡부(31)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22, 23)의 사이 구간과 접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접속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켓
11 : 홈 12 : 훅
2 : 접속핀
21 : 접촉절곡부 22 : 제1 탄성절곡부
23 : 제2 탄성절곡부 24 : 보조날개
3 : 제2 접속핀
31 : 절곡부 32 : 매립부

Claims (2)

  1.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와 인접하여 장착되는 브라켓(1)과, 상기 브라켓(1)에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되 접속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 개의 접속핀(2)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 내부 접속핀(2)의 후방에는 상기 접속핀(2)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후방으로 밀렸을 때 상기 접속핀(2)의 일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핀(3)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2)은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절곡부(21)와, 상기 접촉절곡부(21)의 절곡된 전방 끝단에서 일체로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접촉절곡부(21)와 예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제1 탄성절곡부(22)와, 상기 제1 탄성절곡부(22)의 후방 끝단에서 수직 아래로 절곡되는 제2 탄성절곡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접속핀(3)은 상기 접속핀(2)의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22, 23)의 사이 구간과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절곡된 절곡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2)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속하여 압력을 받아 변형된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 상기 제2접속핀(3)의 절곡부(31)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절곡부(22,23)의 사이구간과 접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단자.
KR2020080012589U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KR200453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89U KR200453132Y1 (ko)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89U KR200453132Y1 (ko)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58U KR20100003358U (ko) 2010-03-26
KR200453132Y1 true KR200453132Y1 (ko) 2011-04-08

Family

ID=4419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589U KR200453132Y1 (ko) 2008-09-18 2008-09-18 배터리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68B1 (ko) * 2013-08-23 2015-06-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고전류 전기 커넥터
KR101438582B1 (ko) * 2013-08-23 2014-09-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고전류 전기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1459A (ko) * 1992-05-12 1995-03-23 이. 디. 메디슨 배터리 단자 접속기(a battery termin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1459A (ko) * 1992-05-12 1995-03-23 이. 디. 메디슨 배터리 단자 접속기(a battery termin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58U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3647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US20160254616A1 (en) Power supply system having magnetic connector
CN103051003A (zh) 充电器
CN103988334A (zh) 电池组件用的连接器、以及具备该连接器的电池组件
CN101931145B (zh) 一种电性连接器
CN101783520B (zh) 充电器以及用于检测小型电器的安装的检测构造
US8317528B2 (en) Intelligent electrical connector
US9755210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battery pack
CN104300323A (zh) 连接器组合
KR200453132Y1 (ko) 배터리 접속단자
CN110677766A (zh)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
CN101950710B (zh) 陶瓷底板继电器
CN105762582A (zh) 一种usb连接插头
CN101636878A (zh) 用于发光器的装置
US20190067977A1 (en) Magnet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KR20100003357U (ko) 배터리 접속단자
CN209804946U (zh) 充电接口装置及电子设备
CN107453117B (zh) 数据线插拔方法、数据线插拔装置及移动终端
CN102479933B (zh) 一种电池及具有该电池的电子装置
CN206099386U (zh) 一种车载充电器
CN101834395A (zh) 电池连接器、电池容置结构及电池
CN214901530U (zh) 一种充电线可拆卸的移动电源
CN112864737B (zh) 一种防水电源连接器
US20100075526A1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CN200976368Y (zh) 电性导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