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700A -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700A
KR20160001700A KR1020150091346A KR20150091346A KR20160001700A KR 20160001700 A KR20160001700 A KR 20160001700A KR 1020150091346 A KR1020150091346 A KR 1020150091346A KR 20150091346 A KR20150091346 A KR 20150091346A KR 20160001700 A KR20160001700 A KR 2016000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ace
terminal
elastic piece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380B1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타케히코 오수가
마사야 무타
세이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330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5453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380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2201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2)에 하우징되는 커넥터 단자(2)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은 커넥터 단자(3)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23)를 가지는 제1 공간(22) 및 상기 제1 공간(22)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회로 보드(210)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21)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인 단자 몸체(4), 및 상기 단자 몸체(4)에 하우징되고 상기 제1 공간(22)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21)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탄성 피스(5)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몸체(4)는 상기 커넥터 단자(3)가 상기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 피스(5)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45)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단자의 부분으로서의 탄성 피스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신의 표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단자를 가지는 회로 보드가 삽입되는 커넥터로서, 일본특허번호 제3669268호에 제시된 커넥터가 공지되어있다.
도 18은 일본특허번호 제3669268호에 제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삽입가능한 제2 하우징(1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자신의 표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단자(104)를 가지는 회로 보드(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끼워 맞춤될 때 상기 단자(104)와 접촉하는 금속 단자(105)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단자(105)는 전기 도전성 시트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금속 단자(105)는 자신의 후방 단부에 와이어(W)가 접속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11)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단자(105)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111)의 앞에 있는 공동(hollow) 커넥터(116) 및 상기 공동 커넥터(116)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루프로 만곡되는 탄성 접촉 피스(1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자신의 바닥 내벽(106)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개구를 향해 뻗어있는 한 쌍의 푸셔(pusher)(107)를 포함한다. 각각의 푸셔(107)는 자신의 원단 자유단에서 상기 금속 단자(105)의 탄성 접촉 피스(109)가 푸쉬되는 가이드 표면(108)을 포함한다.
커넥터(100)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 삽입될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보드(103)는 개구(112)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102)으로 들어가고, 그런 다음 푸셔(107)가 개구(113)를 통해 공간(114)으로 들어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보드(103)가 상기 제2 하우징(102)에서 전진하면서, 가이드 표면(108)은 탄성 접촉 피스(109)의 일부(115)를 푸쉬한다. 따라서, 탄성 접촉 피스(109)는 회로 보드(103)를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회로 보드(103)가 미리정해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1 및 102)은 서로 완전히 끼워 맞춤되고, 이러한 조건에서, 푸셔(107)는 회로 보드(103)를 향해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의 제1 만곡점(117)을 푸쉬하여,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로 하여금 자신의 접촉부(118)에서 상기 회로 보드(103)의 단자(104)와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커넥터(100)는 상기 회로 보드(103)가 개구(112)로 깊이 들어갈 때 가이드 표면(108)이 탄성 접촉 피스(109)의 일부(115)를 푸쉬하여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로 하여금 상기 회로 보드(103)를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개구(112)의 바닥으로 자신의 전체에서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를 푸쉬하여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가 버클 잠금되도록(buckled)) 하는 문제가 수반된다. 탄성 접촉 피스(109)가 버클 잠금되면, 탄성 접촉 피스(109)는 자신의 최초 위치로 다시 되돌아갈 수 없고, 커넥터(100)가 완벽하게 작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종래 커넥터에서의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보드가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 맞춤될 때 버클 잠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기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기 커넥터 단자의 부분으로서 탄성 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되는 커넥터 단자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인(hollow) 단자 몸체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는 탄성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 피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가 제공된다.
회로 보드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탄성 피스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탄성 피스가 상기 제2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공간으로 푸쉬되는 결과를 가진다.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개구를 향해 상기 탄성 피스가 후퇴하게 될지라도,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 피스와 접촉하여 상기 탄성 피스의 후퇴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에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와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의 근방에 있도록 상기 스토퍼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 몸체는 자신의 측벽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의 내부 에지로부터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를 향해 뻗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단자 몸체의 측벽에 절단부를 만들고,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를 향해 상기 측벽을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피스는 만곡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free distal end)를 가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다른 단부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를 가진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V자 형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제3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부분은 자신의 자유 원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자유 원단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자신의 자유 원단부를 포함하는 자신의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부분의 부분은 V자 형상으로 만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분은 자신의 원단부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3 부분을 향해 돌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인 단자 몸체에 하우징되고, 커넥터 하우징으로 상기 단자 몸체와 함께 삽입되는 탄성 피스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단자 몸체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와 상기 단자 몸체는 모두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공간내에 하우징되며,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탄성 피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 내에 하우징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인(hollow) 단자 몸체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는 탄성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 피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으로 획득되는 이점은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상기 탄성 피스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에 의해 푸쉬될 때 상기 탄성 피스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피스가 버클로 잠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와 회로 보드 사이의 전기 접속의 개선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200)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돌출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단자 몸체가 제조되는 금속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부분(210)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단자 몸체로 조립되기 전의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금속 시트 상에 놓인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후속하여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동안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c는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a는 회로 보드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와 회로 보드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회로 보드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의 커넥터와 회로 보드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 커넥터에서 서로 끼워 맞춤되는 2개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2개의 하우징을 서로 끼워 맞춤하는 프로세스에서의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2개의 하우징을 서로 끼워 맞춤하는 프로세스에서의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200)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돌출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단자 몸체가 제조되는 금속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부분(210)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단자(240)가 자신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 보드(210)가 삽입되는 소위 카드 에지 커넥터이다. 회로 보드(210)는 하우징(230) 내에 고정된다.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 및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전기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3)로 구성된다. 케이블(220)은 커넥터 단자(3)로 접속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은 하우징(230)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된 후드(20)를 자신의 단부에 포함한다. 후드(20)는 커넥터 단자(3)가 삽입되는 제1 공간(22), 및 내부에 회로 보드(210)를 고정시키는 하우징(230)이 삽입되는 제2 공간(21)을 가지고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공간(22 및 21)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커넥터 하우징(2)은, 제2 공간(21)에 관해 후드(20)에 대향하는 측 상에서, 커넥터 단자(3)가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는 개구(23)를 포함한다.
커넥터 단자(3)는 도 6에 도시된 제1 단자 부분으로서 단자 몸체(4)를,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제2 단자 부분으로서 탄성 피스(5)를 포함한다.
단자 몸체(4)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되는 방향(250)(도 3 참조)으로 전면 단부에 개구(40)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는 대향하는 단부(5a 및 5b) 사이에 갭(50)이 형성되도록 자신의 단부에서 만곡되어 형성된다. 탄성 피스(5)는 갭(50)이 단자 몸체(4)의 개구(40)를 마주하도록 단자 몸체(4)에 하우징된다.
커넥터 단자(3)는 개구(23)를 통과하여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고, 제1 공간(22)에 하우징된 상태를 유지한다. 커넥터 하우징(2)은 2개의 지그재그 열로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공간(22) 및, 추가적으로 상기 제1 공간(22)의 수직의 2개의 행의 위아래에 배열된 복수의 제2 공간(21)을 가지고 형성된다. 커넥터 단자(3)는 제1 공간(22)의 각각으로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은 제1 공간(22)에 돌출부(24)를 포함한다. 돌출부(24)는 커넥터 단자(3)의 앞쪽에 위치되고,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는 단자 몸체(4)의 탄성 피스(5)의 갭(50)을 향해 돌출한다. 돌출부(24)는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을 가진다. 탑 표면(24a)은 다른 측면(24b)(도 16a 참조)보다 제2 공간(21)으로부터 더 멀리에 위치된 돌출부(24)의 측면이 개구(23)에 더 근접하여 위치되는 방식으로 경사진다.
커넥터 하우징(2)은 탄성 피스(5)가 제2 공간(21)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공간(22 및 21) 사이에 추가로 개구(25)를 가지고 형성된다.
단자 몸체(4)는 도 10에 도시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4a)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금속 시트(4a)는 미리정해진 형상으로 미리 절단된다. 도 10이 단일한 단자 몸체(4)를 제조하는 금속 시트(4a)의 부분만을 도시하지만, 복수의 단자 몸체(4)를 제조하는 금속 시트(4a)의 부분들이 단자 몸체(4) 각각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위치된 캐리어(6a 및 6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4)는 탄성 피스(5)가 하우징되는 덮개부(41) 및 케이블(220)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 번들부(42)를 포함한다. 번들부(42)는 케이블(22)의 외부 전기 절연체를 고정시키는 제1 섹션(42a) 및 케이블(220)로 하여금 덮개부(41)와 전기 접촉할 수 있도록 케이블(220)을 유지하는 제2 섹션(42b)을 포함한다.
단자 몸체(4)는 탄성 피스(5)로 하여금 덮개부(41)와 전기 접속할 수 있도록 덮개부(41)에 탄성 피스(5)를 고정시키는 고정 섹션(43)을 더 포함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섹션(43)은 탄성 피스(5)를 마주하는 돌출 부분(44a) 및 단자 몸체(4)의 측벽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고정부(44b)를 포함한다. 탄성 피스(5)는 탄성 피스(5) 상으로 고정부(44b)를 접음(collapsing)으로써 돌출 부분(44a)과 고정부(44b) 사이에서 고정된다.
덮개부(4)는 탄성 피스(5)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후방에 스토퍼(stopper)(45)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45)는 단자 몸체(4)의 측벽에서 절단부를 만들고 단자 몸체(4)의 내부로 측벽을 수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스토퍼(45)는 탄성 피스(5)의 만곡 또는 아치형 제1 부분(51)(도 9 참조)과 인접하거나 또는 그 근방에 있도록 위치된다. 단자 몸체(4)는, 고정 섹션(43)을 마주하는 벽에서, 탄성 피스(5)가 개구(25)를 통과하고 추가적으로 개구(46)를 통과하여 제2 공간(22)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개구(46)(도 7 참조)를 가지고 형성된다.
돌출 부분(44a)은 금속 시트(4a)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된다. 돌출 부분(44a)은 단자 몸체(4) 대신에 탄성 피스(5)에서 형성될 수 있다. 요약하여, 돌출 부분(44a)은 단자 몸체(4)가 돌출 부분(44a)을 포함할 때 탄성 피스(5)를 마주하도록 설계되는 반면, 돌출 부분(44a)은 탄성 피스(5)가 돌출 부분(44a)을 포함할 때 단자 몸체(4)를 마주하도록 설계된다. 탄성 피스(5)는 고정부(44b)를 변형시키는 대신에 탄성 피스(5)를 단자 몸체(4)로 용접시킴으로써 단자 몸체(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는 만곡 또는 아치형 제1 부분(51), 제1 부분(51)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5a)를 가진 제2 부분(53), 및 제1 부분(51)의 다른 단부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5b)를 가진 제3 부분(56)을 포함한다.
원단부(5a 및 5b)는 서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자신들의 사이에 상술한 갭(50)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2 부분(53)은 원단부(5a)와 제1 부분(51) 사이에 만곡부(54)를 포함한다. 만곡부(54)는 제3 부분(56)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한다.
제2 부분(53)은 원단부(5a)와 만곡부(54)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3 부분(56)은 제1 공간(22)으로부터 제2 공간(21)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55)를 포함한다. 접촉부(55)는 외부를 향해 V자 형상으로 돌출한다.
제3 부분은 자신의 자유 원단부(5b)를 포함하는 부분(52)을 포함한다. 부분(52)은 V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제2 부분(53)을 향해 돌출한다. 부분(52)은 돌출부(24)의 탑 표면(24a)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딩부로서 기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는 2개의 자유 원단부(5a 및 5b)가 자신들의 사이에 갭(50)을 형성하고 제1 부분(51)이 커넥터 단자(3)의 후방을 향해 아치형으로 돌출하도록 금속 시트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탄성 피스(5)가 고정 섹션(43)을 통해 단자 몸체(4)에 고정되는 원단부(5a)를 마주하는 원단부(5b)를 포함하는 부분 또는 슬라이딩부(52)는 커넥터 단자(3)가 제1 공간(22)으로 삽입될 때 슬라이딩부(52)가 돌출부(24)의 탑 표면(24a) 상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역 V자 형상을 가진다.
제2 부분(53)은 단자 몸체(4)의 내벽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커넥터 단자(3)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2는 단자 몸체로 조립되기 전의 탄성 피스(5)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금속 시트(4a) 상에 놓인 탄성 피스(5)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3)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후속하여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3)의 사시도이다.
탄성 피스(5) 제조 프로세스에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가 미리정해진 형상으로 펀칭되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만곡된다. 상술한 단자 몸체(4)와 유사하게, 도 12가 단일하게 탄성 피스(5)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시트의 부분을 도시할 지라도, 복수의 탄성 피스(5)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시트의 부분들이 캐리어(7)를 통해 서로 실제로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탄성 피스(5)가 도 10에 도시된 금속 시트 상에 놓인 후에, 금속 시트(4a)는 미리정해진 부분에서 만곡되고, 그에 의해 단자 몸체(4)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4)와 탄성 피스(5)가 여전히 캐리어(6a, 6b 및 7)에 연결된 상태로 만든다. 그런 다음, 캐리어(6a, 6b 및 7)는 잘라내어진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4) 및 단자 몸체(4)에 고정된 탄성 피스(5)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3)가 완성된다. 커넥터 단자(3)에서, 탄성 피스(5)는 단자 몸체(4)의 개구(40)에 근접한 위치에서 단자 몸체(4)로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 피스(5)는 단자 몸체(4)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추가로, 탄성 피스(5)가 단자 몸체(4)로 조립된 후에 탄성 피스(5)의 캐리어를 잘라낼 수 있다.
추가로, 탄성 피스(5) 및 단자 몸체(4)는 탄성 피스(5)의 표면과 단자 몸체(4)의 표면 사이의 면 접촉을 통해서가 아니라 탄성 피스의 표면과 돌출 부분(44a)의 꼭지점(summit) 사이의 점 접촉을 통해서 서로 접촉하여, 탄성 피스(5)와 단자 몸체(4) 사이의 접촉에서의 신뢰성 개선을 보장한다.
이하에서, 도 16a 내지 16c를 참조하여 커넥터 단자(3)를 커넥터 하우징(2)으로 조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6a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 단자(3)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되는 동안의 커넥터 단자(3)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c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된 후의 커넥터 단자(3)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넥터 단자(3)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개구(23)를 통해서 제1 공간(22)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24)는 단자 몸체(4)의 개구(40)를 통해서 커넥터 단자(3)로 들어가고, 돌출부(24)의 탑 표면(24a)은 단자 몸체(4) 내에 하우징된 탄성 피스(5)의 갭(50)에 면한다. 추가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3)를 삽입하면서, 탄성 피스(5)의 슬라이딩부(52)는 돌출부(24)의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과 접촉하고, 제2 공간(21)을 향해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을 따라서 푸쉬된다.
그 결과,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개구(25)를 통해 제1 공간(22)으로부터 제2 공간(21)으로 돌출하도록 강제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의 슬라이딩부(52)가 돌출부의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의 하부 단부를 벗어나서 지나가 돌출부(24)의 하부 표면(24b)에 도달할 때, 개구(25)를 통해 제2 공간(22)으로 돌출된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슬라이딩부(52)가 제2 공간(21)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210) 상에 형성된 단자(240)와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놓인다.
이하에서, 도 17a 및 17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회로 보드(210)를 커넥터(1)로 조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7a는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1)와 회로 보드(2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된 후의 커넥터(1)와 회로 보드(2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내부에 회로 보드(210)를 유지하는 하우징(230)은 커넥터 단자(3)가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드(20)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보드(210)는 커넥터 하우징(2)의 제2 공간(21)으로 들어간다. 그런다음,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5)를 통해 제2 공간(21)으로 돌출한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한다.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3)는 개구(23)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2)의 제1 공간(21)으로 삽입되고, 그런다음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푸쉬되어 개구(25)를 통해 제1 공간(22)으로부터 제2 공간(21)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접촉부(55)는 접촉부(55)가 추후에 제2 공간(21)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접촉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회로 보드(210)가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접촉부(55)는 실제로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접촉한다. 따라서, 탄성 피스(5)가 하우징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단자 몸체(4)가 설계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2)의 돌출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탄성 피스(5) 내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커넥터 단자(3)를 소형화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커넥터(1)가 내부에 커넥터 단자(3)를 하우징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서,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의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개구(25)를 통해 제2 공간(21)으로 돌출하는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제1 공간(22)을 향해 푸쉬되어, 따라서, 탄성 피스(5)의 제1 부분(51)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제1 부분(51)에 의해 발생된 반응력(reaction force)은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와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 사이의 고 접촉 로드를 보장하고, 이 경우, 탄성 피스(5)의 내부 스트레스가 3개의 섹션으로 분리되며, 구체적으로, 접촉부(55), 제1 부분(51), 및 만곡부(54)로 분리되기 때문에, 탄성 피스(5)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커넥터 단자(3)는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탄성 피스(5)가 만곡부(54)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경우, 평평한 제2 부분(53)은 단자 몸체(4)의 내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탄성 피스(5)의 내부 스트레스는 2개의 섹션, 구체적으로는 접촉부(55) 및 제1 부분(51)으로만 분할된다. 따라서, 만곡부(54)가 없는 탄성 피스(5)는 만곡부(54)를 가진 탄성 피스(5)의 스트레스 보다 더 큰 최대 스트레스를 가질 것이다.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의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제2 공간(21)으로부터 제1 공간(22) 또는 개구(25)를 향해 푸쉬되어, 구체적으로는 도 17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7b에 도시된 상태로 푸쉬된다. 그 결과, 만곡 또는 아치형 제1 부분(51)이 개구(23)를 향해 후퇴하도록 힘을 받더라도, 덮개부(41)의 후방에 위치된 스토퍼(45)가 탄성 피스(5)의 제1 부분(45)의 후퇴를 방지한다. 따라서, 탄성 피스(5)의 원단부(5b) 및 슬라이딩부(52)가 제2 공간(21)으로 당겨져, 회로 보드(210)가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버클로 잠금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넥터 단자(3)와 회로 보드(210) 사이의 접촉에 대한 신뢰성 개선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 접속에 모두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 및 커넥터에 유용하다.

Claims (7)

  1.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되는 커넥터 단자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고,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공간;
    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인(hollow)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는 탄성 피스;
    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 피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 사이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에 인접하거나 또는 근방에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는 자신의 측벽에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의 내부 에지로부터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를 향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단자 몸체의 측벽에 절단부를 만들고 상기 측벽을 상기 단자 몸체의 내부를 향해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6.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고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 내에 하우징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인(hollow)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는 탄성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 피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 사이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KR1020150091346A 2014-06-27 2015-06-26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1725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3015 2014-06-27
JP2014133015A JP5754533B1 (ja) 2014-06-27 2014-06-27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14138062A JP5892201B2 (ja) 2014-07-03 2014-07-03 コネクタ端子
JPJP-P-2014-138062 2014-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00A true KR20160001700A (ko) 2016-01-06
KR101725380B1 KR101725380B1 (ko) 2017-04-10

Family

ID=5484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346A KR101725380B1 (ko) 2014-06-27 2015-06-26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09070B2 (ko)
KR (1) KR101725380B1 (ko)
CN (1) CN105281080B (ko)
DE (1) DE102015211725B4 (ko)
FR (1) FR3023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9665B2 (ja) * 2014-08-08 2018-05-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6265295B1 (ja) * 2017-06-14 2018-01-24 Smk株式会社 コンタクト
JP6816074B2 (ja) * 2018-08-29 2021-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230A (ja) * 1994-12-09 1996-06-21 Yazaki Corp 基板用接触端子
JP2003045536A (ja) * 2001-08-01 2003-02-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JP2011100652A (ja) * 2009-11-06 2011-05-19 Daiichi Seiko Kk 基板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972A (ja) 1991-09-03 1993-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598581Y2 (ja) *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880059B2 (ja) * 1993-12-29 1999-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JP3468880B2 (ja) 1994-10-06 2003-11-17 菱星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JP2001351714A (ja) * 2000-06-05 2001-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3669268B2 (ja) * 2000-11-30 2005-07-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84502A (ja) *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CN101232134B (zh) * 2007-01-26 2011-1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1570658U (zh) * 2009-10-31 2010-09-0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音频插座连接器
JP5201253B2 (ja) 2011-10-24 2013-06-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CN202906002U (zh) * 2012-09-26 2013-04-24 蔡周贤 电连接器
JP6161409B2 (ja) * 2013-05-31 2017-07-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754533B1 (ja) * 2014-06-2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230A (ja) * 1994-12-09 1996-06-21 Yazaki Corp 基板用接触端子
JP2003045536A (ja) * 2001-08-01 2003-02-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JP2011100652A (ja) * 2009-11-06 2011-05-19 Daiichi Seiko Kk 基板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9070B2 (en) 2016-11-29
CN105281080B (zh) 2017-11-17
CN105281080A (zh) 2016-01-27
DE102015211725A1 (de) 2015-12-31
FR3023073A1 (fr) 2016-01-01
FR3023073B1 (fr) 2018-11-16
DE102015211725B4 (de) 2020-10-08
KR101725380B1 (ko) 2017-04-10
US20150380852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375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JP6342608B2 (ja) 雌端子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US9666957B2 (en) Connector terminal
EP3229321A1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US9356386B2 (en) Connector
US9859645B2 (en) Connector including a terminal retainer
JP5510346B2 (ja) コネクタ
JP6002626B2 (ja) コネクタ
KR101725380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JP2021500713A (ja) 偏平型電気コネクタ
US11114795B2 (en) Male terminal, male connector, jig and method for assembling male connector
US2018036685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6613129B2 (ja) 金属端子
US11626683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JP6219123B2 (ja) アウター付きメス端子
JP201906177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JP2010027259A (ja) コネクタ
JP4413836B2 (ja) 雌型端子および端子同士の接続構造
JP2010118150A (ja) コネクタ
JP2007080656A (ja) 端子収容部材
JP2016015294A (ja) コネク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