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375B1 -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375B1
KR101725375B1 KR1020150091311A KR20150091311A KR101725375B1 KR 101725375 B1 KR101725375 B1 KR 101725375B1 KR 1020150091311 A KR1020150091311 A KR 1020150091311A KR 20150091311 A KR20150091311 A KR 20150091311A KR 101725375 B1 KR101725375 B1 KR 10172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nector
terminal
elastic piece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698A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타케히코 오수가
마사야 무타
세이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Abstract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제1 공간(22) 및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공간(21)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2)에 삽입 및 하우징되는 상기 커넥터 단자(3)는, 단자 몸체(4), 및 상기 단자 몸체에 하우징되는 탄성 피스(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자신의 단부 중 하나(5a)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55)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단자 몸체에 삽입가능한 돌출부(2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딩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55)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표면 상에 단자를 가지는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커넥터에 이용되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자신의 표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단자를 가지는 회로 보드가 삽입되는 커넥터로서, 일본특허번호 제3669268호에 제시된 커넥터가 공지되어있다.
도 18은 일본특허번호 제3669268호에 제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삽입가능한 제2 하우징(1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자신의 표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단자(104)를 가지는 회로 보드(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끼워 맞춤될 때 상기 단자(104)와 접촉하는 금속 단자(105)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단자(105)는 전기 도전성 시트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금속 단자(105)는 자신의 후방 단부에 와이어(W)가 접속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11)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단자(105)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111)의 앞에 있는 공동(hollow) 커넥터(116) 및 상기 공동 커넥터(116)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루프로 만곡되는 탄성 접촉 피스(10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자신의 바닥 내벽(106)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개구를 향해 뻗어있는 한 쌍의 푸셔(pusher)(107)를 포함한다. 각각의 푸셔(107)는 자신의 원단 자유단에서 상기 금속 단자(105)의 탄성 접촉 피스(109)가 푸쉬되는 가이드 표면(108)을 포함한다.
커넥터(100)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 삽입될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보드(103)는 개구(112)를 통해 상기 제2 하우징(102)으로 들어가고, 그런 다음 푸셔(107)가 개구(113)를 통해 공간(114)으로 들어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보드(103)가 상기 제2 하우징(102)에서 전진하면서, 가이드 표면(108)은 탄성 접촉 피스(109)의 일부(115)를 푸쉬한다. 따라서, 탄성 접촉 피스(109)는 회로 보드(103)를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회로 보드(103)가 미리정해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1 및 102)은 서로 완전히 끼워 맞춤되고, 이러한 조건에서, 푸셔(107)는 회로 보드(103)를 향해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의 제1 만곡점(117)을 푸쉬하여,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로 하여금 자신의 접촉부(118)에서 상기 회로 보드(103)의 단자(104)와 접촉하도록 한다.
상술한 종래 커넥터(100)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 끼워 맞춤될 때, 상기 푸셔(107)는 상기 회로 보드(103)를 향해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의 상기 제1 만곡부(117)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접촉 피스(109)로 하여금 상기 회로 보드(103)를 향해 자신의 전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따라서, 내부에 탄성 접촉 피스(100)를 하우징할 공간과 내부에 푸셔(107)를 하우징할 공간 모두를 상기 금속 단자(105) 내에 가지는 것이 상기 커넥터(100)에는 필수적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금속 단자(105)가 반드시 크기가 커야 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상기 금속 단자(105)를 내부에 하우징하는 커넥터(100)가 반드시 크기가 커야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종래 커넥터에서의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표면 상에 단자를 가진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커넥터에 이용되는 소형화된 커넥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기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되는 커넥터 단자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고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전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고 갭이 자신의 단부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자신의 단부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탄성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갭이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마주하도록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고, 자신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는 자신의 다른 단부에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단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돌출부가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통해, 그리고 추가로 상기 탄성 피스의 갭을 통해 상기 탄성 피스로 들어간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와 접촉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돌출부 상에서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탄성 피스로 들어간다. 그 결과, 상기 탄성 피스의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와 접촉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회로 보드가 실제로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 보드의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피스는 만곡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free distal end)를 가지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다른 단부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를 가지는 제3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V자 형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제3 부분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자신의 상기 자유 원단부를 포함하는 자신의 부분이 자신의 상기 자유 원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자유 원단부 사이에서 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자신의 자유 원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3 부분의 부분은 V자 형상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신의 원단부와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3 부분을 향해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탄성 피스가 변형될 때 상기 탄성 피스에서 생성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켜, 회로 보드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피스가 부자연스럽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상기 단자 몸체와 상기 탄성 피스 중 어느 하나가 상승부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단자 몸체의 상승부는 상기 탄성 피스가 자신의 단부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될 때 상기 탄성 피스의 단부 중 하나와 마주하는 관계에 있고, 상기 탄성 피스의 상승부는 상기 탄성 피스가 자신의 단부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될 때 상기 단자 몸체와 마주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상승부는 상기 탄성 피스와 상기 단자 몸체가 서로 접촉할 때 상기 단자 몸체와 상기 탄성 피스 사이에서의 면 접촉 대신에 상기 상승부와 상기 단자 몸체 또는 상기 탄성 피스 사이의 점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 피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회로 보드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피스의 제1 부분의 후퇴(retreat), 즉,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부분의 이동을 구속하여, 상기 탄성 피스가 버클 잠금되는 것(buckled)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진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 및 하우징되는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전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 내부에 하우징되고, 자신의 단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자신의 단부 사이에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갭이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마주하도록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며, 상기 단자 몸체에 자신의 단부 중 하나에서 고정되는 탄성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사이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 상에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자신의 다른 단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획득되는 이점은 하기에서 기술된다.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돌출부는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통해 그리고 추가로 상기 탄성 피스의 갭을 통해 상기 탄성 피스로 들어간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와 접촉하고, 추가로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가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상기 탄성 피스로 들어간다. 따라서, 상기 탄성 피스의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와 상기 접촉부가 접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회로 보드가 실제로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 보드의 단자와 접촉한다.
상기 탄성 피스를 하우징하는 공간만 상기 단자 몸체 내부에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공간은 전술한 공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단자를 소형화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제2 부분의 원단부와 상기 제1 부분의 원단부 사이의 제2 부분에서 형성되는 만곡부는 회로 보드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피스가 부자연스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따라서 상기 커넥터 단자에 개선된 내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단자 몸체 또는 상기 탄성 피스에 형성된 상기 상승부는 상기 탄성 피스와 상기 단자 몸체가 서로 접촉할 때 상기 단자 몸체와 상기 탄성 피스 사이에서의 면 접촉 대신에 상기 상승부와 상기 단자 몸체 또는 상기 탄성 피스 사이의 점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상기 단자 몸체와 상기 탄성 피스 사이의 접촉에서의 신뢰성을 개선한다.
상기 단자 몸체에 포함된 상기 스토퍼는, 회로 보드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탄성 피스의 제1 부분의 후퇴, 즉,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부분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상기 탄성 피스가 버클 잠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와 회로 보다 사이의 전기 접속에 대한 신뢰성 개선을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200)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돌출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단자 몸체가 제조되는 금속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부분(210)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단자 몸체로 조립되기 전의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금속 시트 상에 놓인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후속하여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동안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c는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a는 회로 보드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와 회로 보드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회로 보드가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된 후의 커넥터와 회로 보드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종래 커넥터에서 서로 끼워 맞춤되는 2개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2개의 하우징을 서로 끼워 맞춤하는 프로세스에서의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2개의 하우징을 서로 끼워 맞춤하는 프로세스에서의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Ⅱ-Ⅱ을 따라서 취해진 커넥터 하우징 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분(200)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단자 몸체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돌출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단자 몸체가 제조되는 금속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부분(210)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단자(240)가 자신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 보드(210)가 삽입되는 소위 카드 에지 커넥터이다. 회로 보드(210)는 하우징(230) 내에 고정된다.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 및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전기 접촉하는 커넥터 단자(3)로 구성된다. 케이블(220)은 커넥터 단자(3)로 접속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은 하우징(230)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된 후드(20)를 자신의 단부에 포함한다. 후드(20)는 커넥터 단자(3)가 삽입되는 제1 공간(22), 및 내부에 회로 보드(210)를 고정시키는 하우징(230)이 삽입되는 제2 공간(21)을 가지고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공간(22 및 21)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커넥터 하우징(2)은, 제2 공간(21)에 관해 후드(20)에 대향하는 측 상에서, 커넥터 단자(3)가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는 개구(23)를 포함한다.
커넥터 단자(3)는 도 6에 도시된 제1 단자 부분으로서 단자 몸체(4)를,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제2 단자 부분으로서 탄성 피스(5)를 포함한다.
단자 몸체(4)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되는 방향(250)(도 3 참조)으로 전면 단부에 개구(40)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는 대향하는 단부(5a 및 5b) 사이에 갭(50)이 형성되도록 자신의 단부에서 만곡되어 형성된다. 탄성 피스(5)는 갭(50)이 단자 몸체(4)의 개구(40)를 마주하도록 단자 몸체(4)에 하우징된다.
커넥터 단자(3)는 개구(23)를 통과하여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고, 제1 공간(22)에 하우징된 상태를 유지한다. 커넥터 하우징(2)은 2개의 지그재그 열로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공간(22) 및, 추가적으로 상기 제1 공간(22)의 수직의 2개의 행의 위아래에 배열된 복수의 제2 공간(21)을 가지고 형성된다. 커넥터 단자(3)는 제1 공간(22)의 각각으로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은 제1 공간(22)에 돌출부(24)를 포함한다. 돌출부(24)는 커넥터 단자(3)의 앞쪽에 위치되고, 제1 공간(22)으로 삽입되는 단자 몸체(4)의 탄성 피스(5)의 갭(50)을 향해 돌출한다. 돌출부(24)는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을 가진다. 탑 표면(24a)은 다른 측면(24b)(도 16a 참조)보다 제2 공간(21)으로부터 더 멀리에 위치된 돌출부(24)의 측면이 개구(23)에 더 근접하여 위치되는 방식으로 경사진다.
커넥터 하우징(2)은 탄성 피스(5)가 제2 공간(21)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공간(22 및 21) 사이에 추가로 개구(25)를 가지고 형성된다.
단자 몸체(4)는 도 10에 도시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4a)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금속 시트(4a)는 미리정해진 형상으로 미리 절단된다. 도 10이 단일한 단자 몸체(4)를 제조하는 금속 시트(4a)의 부분만을 도시하지만, 복수의 단자 몸체(4)를 제조하는 금속 시트(4a)의 부분들이 단자 몸체(4) 각각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위치된 캐리어(6a 및 6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4)는 탄성 피스(5)가 하우징되는 덮개부(41) 및 케이블(220)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 번들부(42)를 포함한다. 번들부(42)는 케이블(22)의 외부 전기 절연체를 고정시키는 제1 섹션(42a) 및 케이블(220)로 하여금 덮개부(41)와 전기 접촉할 수 있도록 케이블(220)을 유지하는 제2 섹션(42b)을 포함한다.
단자 몸체(4)는 탄성 피스(5)로 하여금 덮개부(41)와 전기 접속할 수 있도록 덮개부(41)에 탄성 피스(5)를 고정시키는 고정 섹션(43)을 더 포함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섹션(43)은 탄성 피스(5)를 마주하는 돌출 부분(44a) 및 단자 몸체(4)의 측벽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고정부(44b)를 포함한다. 탄성 피스(5)는 탄성 피스(5) 상으로 고정부(44b)를 접음(collapsing)으로써 돌출 부분(44a)과 고정부(44b) 사이에서 고정된다.
덮개부(4)는 탄성 피스(5)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후방에 스토퍼(stopper)(45)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45)는 단자 몸체(4)의 측벽에서 절단부를 만들고 단자 몸체(4)의 내부로 측벽을 수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스토퍼(45)는 탄성 피스(5)의 만곡 또는 아치형 제1 부분(51)(도 9 참조)과 인접하거나 또는 그 근방에 있도록 위치된다. 단자 몸체(4)는, 고정 섹션(43)을 마주하는 벽에서, 탄성 피스(5)가 개구(25)를 통과하고 추가적으로 개구(46)를 통과하여 제2 공간(22)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개구(46)(도 7 참조)를 가지고 형성된다.
돌출 부분(44a)은 금속 시트(4a)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된다. 돌출 부분(44a)은 단자 몸체(4) 대신에 탄성 피스(5)에서 형성될 수 있다. 요약하여, 돌출 부분(44a)은 단자 몸체(4)가 돌출 부분(44a)을 포함할 때 탄성 피스(5)를 마주하도록 설계되는 반면, 돌출 부분(44a)은 탄성 피스(5)가 돌출 부분(44a)을 포함할 때 단자 몸체(4)를 마주하도록 설계된다. 탄성 피스(5)는 고정부(44b)를 변형시키는 대신에 탄성 피스(5)를 단자 몸체(4)로 용접시킴으로써 단자 몸체(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는 만곡 또는 아치형 제1 부분(51), 제1 부분(51)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5a)를 가진 제2 부분(53), 및 제1 부분(51)의 다른 단부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5b)를 가진 제3 부분(56)을 포함한다.
원단부(5a 및 5b)는 서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자신들의 사이에 상술한 갭(50)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2 부분(53)은 원단부(5a)와 제1 부분(51) 사이에 만곡부(54)를 포함한다. 만곡부(54)는 제3 부분(56)을 향해 아치형태로 돌출한다.
제2 부분(53)은 원단부(5a)와 만곡부(54)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3 부분(56)은 제1 공간(22)으로부터 제2 공간(21)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55)를 포함한다. 접촉부(55)는 외부를 향해 V자 형상으로 돌출한다.
제3 부분은 자신의 자유 원단부(5b)를 포함하는 부분(52)을 포함한다. 부분(52)은 V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제2 부분(53)을 향해 돌출한다. 부분(52)은 돌출부(24)의 탑 표면(24a)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딩부로서 기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는 2개의 자유 원단부(5a 및 5b)가 자신들의 사이에 갭(50)을 형성하고 제1 부분(51)이 커넥터 단자(3)의 후방을 향해 아치형으로 돌출하도록 금속 시트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탄성 피스(5)가 고정 섹션(43)을 통해 단자 몸체(4)에 고정되는 원단부(5a)를 마주하는 원단부(5b)를 포함하는 부분 또는 슬라이딩부(52)는 커넥터 단자(3)가 제1 공간(22)으로 삽입될 때 슬라이딩부(52)가 돌출부(24)의 탑 표면(24a) 상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역 V자 형상을 가진다.
제2 부분(53)은 단자 몸체(4)의 내벽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커넥터 단자(3)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2는 단자 몸체로 조립되기 전의 탄성 피스(5)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금속 시트(4a) 상에 놓인 탄성 피스(5)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3)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후속하여 조립되는 커넥터 단자(3)의 사시도이다.
탄성 피스(5) 제조 프로세스에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가 미리정해진 형상으로 펀칭되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만곡된다. 상술한 단자 몸체(4)와 유사하게, 도 12가 단일하게 탄성 피스(5)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시트의 부분을 도시할 지라도, 복수의 탄성 피스(5)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시트의 부분들이 캐리어(7)를 통해 서로 실제로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탄성 피스(5)가 도 10에 도시된 금속 시트 상에 놓인 후에, 금속 시트(4a)는 미리정해진 부분에서 만곡되고, 그에 의해 단자 몸체(4)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4)와 탄성 피스(5)가 여전히 캐리어(6a, 6b 및 7)에 연결된 상태로 만든다. 그런 다음, 캐리어(6a, 6b 및 7)는 잘라내어진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몸체(4) 및 단자 몸체(4)에 고정된 탄성 피스(5)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3)가 완성된다. 커넥터 단자(3)에서, 탄성 피스(5)는 단자 몸체(4)의 개구(40)에 근접한 위치에서 단자 몸체(4)로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 피스(5)는 단자 몸체(4)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추가로, 탄성 피스(5)가 단자 몸체(4)로 조립된 후에 탄성 피스(5)의 캐리어를 잘라낼 수 있다.
추가로, 탄성 피스(5) 및 단자 몸체(4)는 탄성 피스(5)의 표면과 단자 몸체(4)의 표면 사이의 면 접촉을 통해서가 아니라 탄성 피스의 표면과 돌출 부분(44a)의 꼭지점(summit) 사이의 점 접촉을 통해서 서로 접촉하여, 탄성 피스(5)와 단자 몸체(4) 사이의 접촉에서의 신뢰성 개선을 보장한다.
이하에서, 도 16a 내지 16c를 참조하여 커넥터 단자(3)를 커넥터 하우징(2)으로 조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6a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 단자(3)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되는 동안의 커넥터 단자(3)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c는 커넥터 단자(3)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된 후의 커넥터 단자(3)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넥터 단자(3)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개구(23)를 통해서 제1 공간(22)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24)는 단자 몸체(4)의 개구(40)를 통해서 커넥터 단자(3)로 들어가고, 돌출부(24)의 탑 표면(24a)은 단자 몸체(4) 내에 하우징된 탄성 피스(5)의 갭(50)에 면한다. 추가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단자(3)를 삽입하면서, 탄성 피스(5)의 슬라이딩부(52)는 돌출부(24)의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과 접촉하고, 제2 공간(21)을 향해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을 따라서 푸쉬된다.
그 결과,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개구(25)를 통해 제1 공간(22)으로부터 제2 공간(21)으로 돌출하도록 강제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피스(5)의 슬라이딩부(52)가 돌출부의 테이퍼링된 탑 표면(24a)의 하부 단부를 벗어나서 지나가 돌출부(24)의 하부 표면(24b)에 도달할 때, 개구(25)를 통해 제2 공간(22)으로 돌출된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슬라이딩부(52)가 제2 공간(21)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210) 상에 형성된 단자(240)와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놓인다.
이하에서, 도 17a 및 17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회로 보드(210)를 커넥터(1)로 조립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7a는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완전히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1)와 회로 보드(2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으로 삽입된 후의 커넥터(1)와 회로 보드(2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내부에 회로 보드(210)를 유지하는 하우징(230)은 커넥터 단자(3)가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드(20)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보드(210)는 커넥터 하우징(2)의 제2 공간(21)으로 들어간다. 그런다음,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5)를 통해 제2 공간(21)으로 돌출한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한다.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3)는 개구(23)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2)의 제1 공간(21)으로 삽입되고, 그런다음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푸쉬되어 개구(25)를 통해 제1 공간(22)으로부터 제2 공간(21)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접촉부(55)는 접촉부(55)가 추후에 제2 공간(21)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접촉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회로 보드(210)가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접촉부(55)는 실제로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와 접촉한다. 따라서, 탄성 피스(5)가 하우징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단자 몸체(4)가 설계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2)의 돌출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탄성 피스(5) 내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커넥터 단자(3)를 소형화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커넥터(1)가 내부에 커넥터 단자(3)를 하우징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서,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의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개구(25)를 통해 제2 공간(21)으로 돌출하는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제1 공간(22)을 향해 푸쉬되어, 따라서, 탄성 피스(5)의 제1 부분(51)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제1 부분(51)에 의해 발생된 반응력(reaction force)은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와 회로 보드(210)의 단자(240) 사이의 고 접촉 로드를 보장하고, 이 경우, 탄성 피스(5)의 내부 스트레스가 3개의 섹션으로 분리되며, 구체적으로, 접촉부(55), 제1 부분(51), 및 만곡부(54)로 분리되기 때문에, 탄성 피스(5)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커넥터 단자(3)는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탄성 피스(5)가 만곡부(54)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경우, 평평한 제2 부분(53)은 단자 몸체(4)의 내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탄성 피스(5)의 내부 스트레스는 2개의 섹션, 구체적으로는 접촉부(55) 및 제1 부분(51)으로만 분할된다. 따라서, 만곡부(54)가 없는 탄성 피스(5)는 만곡부(54)를 가진 탄성 피스(5)의 스트레스 보다 더 큰 최대 스트레스를 가질 것이다.
회로 보드(210)가 커넥터 하우징(2)의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탄성 피스(5)의 접촉부(55)는 제2 공간(21)으로부터 제1 공간(22) 또는 개구(25)를 향해 푸쉬되어, 구체적으로는 도 17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7b에 도시된 상태로 푸쉬된다. 그 결과, 만곡 또는 아치형 제1 부분(51)이 개구(23)를 향해 후퇴하도록 힘을 받더라도, 덮개부(41)의 후방에 위치된 스토퍼(45)가 탄성 피스(5)의 제1 부분(45)의 후퇴를 방지한다. 따라서, 탄성 피스(5)의 원단부(5b) 및 슬라이딩부(52)가 제2 공간(21)으로 당겨져, 회로 보드(210)가 제2 공간(21)으로 삽입될 때 버클 잠금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넥터 단자(3)와 회로 보드(210) 사이의 접촉에 대한 신뢰성 개선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 접속에 모두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 및 커넥터에 유용하다.

Claims (7)

  1. 커넥터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되는 커넥터 단자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공간; 및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고,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공간;
    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전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고, 갭이 자신의 단부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자신의 단부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탄성 피스;
    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갭이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마주하도록 상기 단자 몸체 내에 하우징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자신의 단부들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슬라이딩부를 자신의 다른 단부에서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만곡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를 가지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다른 단부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를 가지는 제3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V자 형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제3 부분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자신의 상기 자유 원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자유 원단부 사이에서 갭을 형성하도록 자신의 자유 원단부를 포함하는 자신의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자신의 원단부와 제1 부분 사이에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3 부분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자신의 상기 자유 원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3 부분의 부분은 V자 형상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와 상기 탄성 피스 중 어느 하나가 상승부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단자 몸체의 상승부는 상기 탄성 피스가 단부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될 때 상기 탄성 피스의 단부 중 하나와 마주하는 관계에 있고,
    상기 탄성 피스의 상승부는 상기 탄성 피스가 자신의 단부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될 때 상기 단자 몸체와 마주하는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탄성 피스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5.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단자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개구를 가진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회로 보드가 끼워 맞춤되는 제2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 및 하우징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방향으로 전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에 하우징되고, 자신의 단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자신의 단부 사이에 루프를 형성하는 탄성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갭이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마주하도록 상기 단자 몸체에 하우징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자신의 단부 중 하나에서 상기 단자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피스는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자 몸체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 몸체로 삽입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사이에서 개구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탄성 피스의 다른 단부는 상기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 상에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자신의 다른 단부가 상기 돌출부 상에서 미끄러질 때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 피스는:
    만곡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를 가지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다른 단부로부터 뻗어있고 자유 원단부를 가지는 제3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V자 형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제3 부분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자신의 상기 자유 원단부와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자유 원단부 사이에서 갭을 형성하도록 자신의 자유 원단부를 포함하는 자신의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자신의 원단부와 제1 부분 사이에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3 부분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KR1020150091311A 2014-06-27 2015-06-26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1725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3015 2014-06-27
JP2014133015A JP5754533B1 (ja) 2014-06-27 2014-06-27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98A KR20160001698A (ko) 2016-01-06
KR101725375B1 true KR101725375B1 (ko) 2017-04-10

Family

ID=5375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311A KR101725375B1 (ko) 2014-06-27 2015-06-26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25093B2 (ko)
JP (1) JP5754533B1 (ko)
KR (1) KR101725375B1 (ko)
CN (1) CN105226424B (ko)
DE (1) DE102015211002B4 (ko)
FR (1) FR3023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1725B4 (de) * 2014-06-27 2020-10-08 Dai-Ichi Seiko Co., Ltd. Verbinderanschluss und Verbinder hiermit
JP5754533B1 (ja) * 2014-06-2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6319665B2 (ja) * 2014-08-08 2018-05-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6534213B2 (ja) 2015-10-27 2019-06-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検査機構を有した基板接続コネクタ
JP6534212B2 (ja) 2015-10-27 2019-06-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6387440B1 (ja) * 2017-05-30 2018-09-05 Connect Fusion 合同会社 接触端子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6387448B1 (ja) * 2017-09-05 2018-09-05 Connect Fusion 合同会社 ハーネス側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6816074B2 (ja) 2018-08-29 2021-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7307885B2 (ja) * 2019-12-02 2023-07-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23A (ja) 2000-03-03 2001-09-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JP2003045536A (ja) 2001-08-01 2003-02-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JP2011100652A (ja) 2009-11-06 2011-05-19 Daiichi Seiko Kk 基板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972A (ja) 1991-09-03 1993-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598581Y2 (ja) *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880059B2 (ja) * 1993-12-29 1999-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JP3468880B2 (ja) 1994-10-06 2003-11-17 菱星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JP3075461B2 (ja) 1994-12-09 2000-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接触端子
US6062918A (en) * 1996-07-01 2000-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receptacle contact assembly
JP3728639B2 (ja) * 1997-05-09 2005-12-21 日本モレックス株式会社 雌型電気端子
JP3669268B2 (ja) * 2000-11-30 2005-07-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54995B2 (en) * 2001-11-07 2005-02-15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for detachably connect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foil to a contact
US6619979B1 (en) * 2002-06-01 2003-09-16 Yen Yu-Feng Top-contacting insertion socket for flat cable
US6644995B1 (en) * 2002-08-05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KR100832178B1 (ko) * 2003-10-16 2008-05-2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평면 회로 커넥터
US7563118B1 (en) * 2008-06-20 2009-07-21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temperature connector
US8641438B2 (en) * 2011-07-11 2014-02-04 Denso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card edge connector
JP5201253B2 (ja) 2011-10-24 2013-06-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JP5541305B2 (ja) * 2012-03-16 2014-07-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US8998629B2 (en) * 2013-05-31 2015-04-07 Dai-Ichi Seiko Co., Ltd.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5754533B1 (ja) * 2014-06-2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23A (ja) 2000-03-03 2001-09-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JP2003045536A (ja) 2001-08-01 2003-02-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JP2011100652A (ja) 2009-11-06 2011-05-19 Daiichi Seiko Kk 基板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11002A1 (de) 2015-12-31
US20150380873A1 (en) 2015-12-31
CN105226424B (zh) 2017-11-17
DE102015211002B4 (de) 2020-11-12
FR3023072A1 (fr) 2016-01-01
JP2016012451A (ja) 2016-01-21
KR20160001698A (ko) 2016-01-06
US9325093B2 (en) 2016-04-26
CN105226424A (zh) 2016-01-06
FR3023072B1 (fr) 2018-10-26
JP5754533B1 (ja)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375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US711838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342608B2 (ja) 雌端子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US8801451B2 (en) Connector
CN103765699A (zh) 插头件以及使用了该插头件的连接器
EP3229321A1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CN104810644A (zh) 连接器
EP2827459A1 (en) Connector
EP2479849A1 (en) Connector
KR101725380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JP2021500713A (ja) 偏平型電気コネクタ
WO2014136010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CN110649410B (zh) 端子金属配件
US11114795B2 (en) Male terminal, male connector, jig and method for assembling male connector
JP2014093197A (ja) 雌端子及びその成形方法
US2018036685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6613129B2 (ja) 金属端子
EP3553896A1 (en) Connector
JP6219123B2 (ja) アウター付きメス端子
US11626683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JP4413836B2 (ja) 雌型端子および端子同士の接続構造
JP2010118150A (ja) コネクタ
JP581083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