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784A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784A
KR20150103784A KR1020140025059A KR20140025059A KR20150103784A KR 20150103784 A KR20150103784 A KR 20150103784A KR 1020140025059 A KR1020140025059 A KR 1020140025059A KR 20140025059 A KR20140025059 A KR 20140025059A KR 20150103784 A KR20150103784 A KR 2015010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ock
housing
detent
main boar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원
한수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3784A/ko
Publication of KR2015010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는 가동 블록에 접촉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 리브에 의해 작동하는 디텍터 스위치가 메인기판에 실장되어 제조가 쉽고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유닛{switch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는 가동 블록에 접촉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 리브에 의해 작동하는 디텍터 스위치가 메인기판에 실장되어 제조가 쉽고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보안과 안전 등의 이유로 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동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시동 스위치, 엔진 시동유닛, 점화코일, 배전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시동 스위치는 엔진의 시동은 물론 다른 전기장치에 필요한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러한 시동장치는 운전자가 시동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고 시동 위치로 돌려 차량에 초기 시동을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동장치는 시동 키를 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도난당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장치가 등장하였다. 차량에 적용되는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한 채 차량으로 다가가면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된 엔진 시동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여 차량에 시동을 걸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키에 ID 코드가 부여되고, 이렇게 ID 코드가 부여된 스마트 키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것에 따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가 스마트 키의 ID 코드를 인식하여 엔진 시동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엔진 시동 스위치에는 코일안테나가 설치되어 스마트 키의 전원이 방전되거나 또는 고장 등의 이유로 ID 코드 신호가 자동으로 송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스마트 키가 엔진 시동 스위치에 근접하는 것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시켜 ID 코드 신호를 송출하여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엔진 시동 스위치의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80586호의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가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버튼 스위치 노브,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는 버튼 스위치부로 이루어진다.
특히, 선행기술은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에 구비된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가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의 가동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버튼 스위치 고정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상태가 변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는 버튼 스위치 고정부와 통전에 유리하도록 금 도금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를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에 고정하기 위해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를 사출 성형할 때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생산하거나 또는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에 형성된 구조물에 위치시킨 후 히팅 지그를 통해 열 압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버튼 스위치 고정부와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를 금도금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과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른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박막의 형태로 이루어진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는 취급 중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생산된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에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인서트 사출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와 인서트 사출 중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가 열변형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80586호(등록일, 2011.10.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의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와 인쇄회로기판의 버튼 스위치 고정부에 의한 접점구조를 배제하고 버튼 스위치 슬라이드의 가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품 수를 최소화시키며 단순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와 상기 버튼 노브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과 대면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가동 블록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디텍터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으로 상기 디텍터 스위치에 대향하고 가동 블록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텍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접촉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가동 블록의 동일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텍터 스위치는 상기 접촉 리브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디텍터 스위치가 상기 메인기판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스위치는 상기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디텐트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디텐트 및 상기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상기 디텐트와 접촉하여 디텐팅 동작을 이루는 디텐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텐트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압구간 및 상기 가압구간의 정점에서 하우징을 내측면을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해제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구간의 경사면은 상기 해제구간의 경사면보다 급경사를 형성하는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텐트 탄성부재는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서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텐트 탄성부재는 상기 디텐트와 접촉하는 자유단에 상기 디텐트를 향하여 돌출된 밴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딩부는 상기 디텐트 탄성부재의 자유단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디텐트의 외면에 부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가동 블록에 접촉 리브가 형성되고, 접촉 리브와 대응하여 메인기판에 디텍터 스위치가 실장되어 버튼 노브를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접촉 리브가 디텍터 스위치를 가압하여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기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면과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 디텐트부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버튼 노브를 누름 조작할 때 조작감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작동상태를 촉감을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누름 조작에 따른 디텍터 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디텍트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로, 가동 블록의 이동에 따른 디텐트부의 작동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상단에 노츨되도록 설치되는 버튼 노브(200),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200)와 동일하게 가동되는 가동 블록(300), 가동 블록(300)과 대면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기판(400), 메인기판(400)에 실장되어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디텍터 스위치(500),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디텍터 스위치(500)를 터치하는 접촉 리브(310)로 구성되어 통전을 위한 금속부재를 가동 블록(300)에 인서트 사출할 필요가 없어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커버(120)로 이루어지는데,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커버(120)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져 결합되었을 때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버튼 노브(2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커버(120)로 구성되는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커버(120)가 결합되었을 때 일단이 개방된 원통을 갖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버튼 노브(200)가 하우징(100)의 일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버튼 노브(200)의 타단에는 가동 블록(500)이 설치되어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5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직선이동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단 외경으로는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커버(120)가 결합되었을 때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커버(1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링(700)이 설치된다. 이때, 고정 링(700)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링(700)의 하단에는 걸림 홈(710)이 형성되며 고정 링(700)의 걸림 홈(710)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일단 외경에는 후크와 같은 형태의 걸림 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몸체(110)가 결합된 후에는 하우징(100)의 일단 외경에 고정 링(700)이 삽입되고 이때, 고정 링(700)에 형성된 걸림 홈(710)이 하우징 몸체(110) 또는 하우징 커버(120)에 형성된 걸림 턱(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 링(700)은 본 발명의 스위치 유닛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 고정 링(7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버튼 노브(200)는 하우징(100) 내측면에 접촉하여 직선이동 경로가 가이드되도록 하우징(100)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로 원통의 형상을 갖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300)이 연동되어 버튼 노브(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가동 블록(300)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 노브(200)의 타단 둘레에는 복수의 연장부(210)가 형성되어 가동 블록(300)과 연결된다.
또한, 버튼 노브(200)의 타단에는 광학부(800)가 마련되는데, 광학부(800)는 리플렉터 보빈(810), 렌즈(830), 렌즈 가이드(820)로 구성되어 메인기판(400)에 실장된 광출력부(미도시)에서 출사되는 빛이 광학부(800)를 거쳐 버튼 노브(200)를 투광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기판(400)에 실장되는 광출력부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버튼 노브(200)를 향해 빛을 출력할 수 있으면 그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리플렉터 보빈(810)은 가동 블록의 일단 내부에 수용되도록 가동 블록(300)의 내경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리플렉터 보빈(810)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렌즈(830), 렌즈 가이드(8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메인기판(400)에 실장된 광출력부에서 출사되는 빛이 리플렉터 보빈(810)의 내부 공간으로 입사되고 렌즈(830)를 통해 확산된 빛이 버튼 노브(200)를 투광시킬 수 있게 리플렉터 보빈(810)은 관통된 관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리플렉터 보빈(810)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통신할 수 있도록 코일 안테나(840)를 권선하여 코일 안테나(840)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아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즉, 리플렉터 보빈(810)의 일단 외주면에는 코일 안테나(840)를 권선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코일 안테나 장착부(8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리플렉터 보빈(810)은 외주면에 코일 안테나가 권선되는 보빈의 기능을 함께 담당하여 일반적으로 코일 안테나를 권선하는 보빈과 버튼 노브를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리플렉터를 일체화시켜 공정단계를 감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 보빈(810)의 타단에는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 안테나(840)가 메인 기판(40)과 연결되는 코일기판 단자(850)와, 권선된 코일 안테나(840)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통신하는 안테나 단자(860)가 배치되는데, 안테나 단자(860)는 바람직하게 "L"자 형태로 절곡되어 메인기판(400)에 코일기판 단자(850)를 납땜 장착하는 과정 시 발생하는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메인기판(400)이 배치되는데, 메인기판(400)에는 디텍터 스위치(500)가 실장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가동 블록(300)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직선이동하는 것에 따라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접촉 리브(310)가 디텍터 스위치(500)를 터치하여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메인기판(400)은 하우징 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하우징 커버(120)의 내측면 중 어느 한곳에 대면하게 배치되며, 메인기판(400) 상에는 가동 블록(300)의 접촉 리브(310)와 접촉 또는 단락되는 디텍터 스위치(500)가 실장된다. 이러한 디텍터 스위치(500)는 하우징(100) 내부로 접촉 리브(310)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되어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접촉 리브(310)와 접촉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즉,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300)이 하우징(100)의 타단을 향해 이동하면서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접촉 리브(310)가 메인기판(400)에 구비된 디텍터 스위치(500)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기판(400)은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터미널(미도시)이 형성되며 이러한 터미널은 메인기판(400)에서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0)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 터미널을 통해 외부 장치와 메인기판(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기판(400)은 하우징(100)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메인기판(400)이 하우징 커버(120) 또는 하우징 몸체(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곳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00)의 타단에 메인기판(400)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기판(400)이 배치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버튼 노브(200)와 연동되는 가동 블록(300)이 배치된다. 가동 블록(3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경에 준하는 지름을 갖거나 또는 이보다 작은 지름을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가동 블록(300)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이 가동 블록(300)의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가동 블록(300)은 하우징 몸체(110) 또는 하우징 커버(120)의 내측면과 대면하게 배치된 메인기판(400)과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메인기판(400)의 일측면이 하우징 몸체(110) 또는 하우징 커버(120)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경우 메인기판(400)의 타측면으로 가동 블록(300)이 배치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동 블록(300)의 타면에는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320)가 형성되는데,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320)는 탄성 반발부재(900)를 수용하고 탄성 반발부재(90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 반발부재(900)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탄성 반발부재(900)는 일단이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320)에 위치되고 타단이 하우징(100)의 폐쇄된 타단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가동 블록(300)이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가동 블록(300)이 탄성 반발부재(9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 버튼 노브(200)를 통하여 가압력이 가동 블록(300)에 인가될 때 가동 블록(300)도 함께 가압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하여 탄성 반발부재(900)를 탄성 압축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버튼 노브(200)에 가압력이 제거되면 버튼 노브(200) 및 가동 블록(300)이 탄성 반발부재(900)에서 발휘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메인기판(400)에 디텍터 스위치(500)가 실장되고, 가동 블록(300)에 접촉 리브(310)가 형성되어 가동 블록(300)의 직선이동에 따라 접촉 리브(310)가 디텍터 스위치(500)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디텍터 스위치(500)는 스위칭 소자가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키는 레버(510)가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선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리드선이 메인기판(400)에 형성된 회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접촉 리브(310)는 메인기판(400)에 실장된 디텍터 스위치(500)와 대향하도록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가동 블록(300)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동 블록(300)이 직선이동하는 것에 따라 접촉 리브(310)가 디텍터 스위치(500)를 가압하여 디텍터 스위치(500)가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디텍터 스위치(5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디텍터 스위치(500)는 가동 블록(30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터 스위치(500)의 레버(5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타원형, 반원형 등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디텍터 스위치(500)의 레버(510)가 롤러와 같은 회전체로 이루어져 가동 블록(300)의 직선이동에 따라 레버(510)가 접촉 리브(310)에 가압된 상태로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디텍터 스위치(500)는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접촉 리브(310)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도록 메인기판(400)에 실장되어 가동 블록(300)의 직선이동에 따라 접촉 리브(310)가 디텍터 스위치(500)의 레버(510)를 가압하여 디텍터 스위치(5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디텍터 스위치(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 양측에 대응하도록 메인기판(400)에 실장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접촉 리브(310)가 배치되고 이와 대응하여 디텍터 스위치(500)가 메인기판(400)에 실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리브(310)는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과 반대편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접촉 리브(310)의 배치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디텍터 스위치(500)는 접촉 리브(310)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메인기판(400)에 실장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촉 리브(310)가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과 반대편의 내측면에 배치될 때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과 반대편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촉 리브(310)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이러한 접촉 리브(310)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디텍터 스위치(500)가 메인기판(400)에 실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300)의 내측면에 접촉 리브(310)가 배치되고, 이와 대응하여 디텍터 스위치(500)가 메인기판(400)에 실장되되, 상기 디텍터 스위치(500)에 다수의 레버(5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가동 블록(300)의 직선이동에 따라 다수의 레버(510)가 순차적으로 가압되면서 스위칭 소자를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가동 블록(300)에 접촉 리브(310)가 형성되고, 접촉 리브(310)에 대응하여 메인기판(400)에 디텍터 스위치(500)가 실장되면 종래와 같이 금 도금된 버튼 스위치 가동접점부를 가동 블록(300)에 인서트 사출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른 생산 시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 디텐트부(600)가 마련되어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조작감을 발생시켜 이를 사용자가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로, 가동 블록의 이동에 따른 디텐트부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텐트부(60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디텐트(610)와,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디텐트(610)와 접촉하여 디텐팅 동작을 이루는 디텐트 탄성부재(620)로 구성된다.
즉, 디텐트(610)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가동 블록(300)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디텐트 탄성부재(620)는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서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디텐트 탄성부재(62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가동 블록(300)이 사출 성형될 때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 인서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도록 디텐트 탄성부재(62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특히,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디텐트(610)는 가압구간(612)과 해제구간(614)을 형성하게 되는데, 가압구간(61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해제구간(614)은 가압구간(612)의 정점에서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디텐트(610)에 가압구간(612)과 해제구간(614)이 형성될 때 가압구간(612)의 경사면은 상기 해제구간(614)의 경사면보다 급경사를 형성하는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디텐트(610)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가압구간(612)과 해제구간(614)을 형성하게 되면 가동 블록(300)의 직선이동에 따라 디텐트 탄성부재(620)가 디텐트(610)의 표면을 타고 넘을 때 발생하는 마찰 압력이 다르게 되고 이러한 마찰 압력이 가동 블록(300)을 통해 버튼 노브(20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디텐트 탄성부재(620)는 바람직하게 가동 블록(300)의 외측면에서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디텐트 탄성부재(620)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디텐트 탄성부재(620)의 가압력을 적정하게 할 수 있어 디텐트 탄성부재(620)와 디텐트(610) 간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피로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가동 블록(300)의 거동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여 버튼 노브(2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300)이 직선이동하게 될 때 조작감을 발생시키게 되는 디텐트 탄성부재(620)의 자유단에는 디텐트(610)와 원활하게 미끄러지며 접촉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밴딩부(622)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밴딩부(6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610)를 향해 둥글게 말려 돌출된 형태로 디텐트 탄성부재(620)가 디텐트(610)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때 마찰을 최소화시켜 디텐트(610) 또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디텐트(610)와 접촉하게 되는 밴딩부(622)는 경우에 따라서 디텐트 탄성부재(620)의 자유단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디텐트 탄성부재(620)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밴딩부(622)가 디텐트 탄성부재(620)의 자유단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밴딩부(622)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디텐트(610)로 슬라이딩하게 될 때 밴딩부(622)가 디텐트(610)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조작감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작동상태를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밴딩부(622)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과 함께 디텐트(610)의 외면에 부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밴딩부(622)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때 밴딩부(622)의 일부가 디텐트(610)의 외면에 부합하는 함몰과 돌출을 갖는 곡선구간을 형성하여 밴딩부(622)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디텐트(610)로 진입하여 슬라이딩될 때 함몰과 돌출을 갖는 곡선구간이 디텐트(610)의 외면과 접촉/이격되면서 밴딩부(622)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딩할 때와 다른 조작감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작동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하우징 몸체
120 : 하우징 커버 200 : 버튼 노브
300 : 가동 블록 310 : 접촉 리브
320 :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 400 : 메인기판
500 : 디텍터 스위치 510 : 레버
600 : 디텐트부 610 : 디텐트
612 : 가압구간 614 : 해제구간
620 : 디텐트 탄성부재 622 : 밴딩부
700 : 고정 링 710 : 걸림 홈
800 : 광학부 810 : 리플렉터 보빈
820 : 렌즈 가이드 830 : 렌즈
900 : 탄성 반발부재

Claims (12)

  1.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
    상기 버튼 노브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과 대면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기판;
    상기 메인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가동 블록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디텍터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으로 상기 디텍터 스위치에 대향하고 가동 블록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텍터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접촉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가동 블록의 동일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가동 블록의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스위치는 상기 접촉 리브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디텍터 스위치가 상기 메인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위치는 상기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디텐트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디텐트; 및
    상기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상기 디텐트와 접촉하여 디텐팅 동작을 이루는 디텐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압구간; 및
    상기 가압구간의 정점에서 하우징을 내측면을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해제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구간의 경사면은 상기 해제구간의 경사면보다 급경사를 형성하는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탄성부재는 가동 블록의 외측면에서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탄성부재는 상기 디텐트와 접촉하는 자유단에 상기 디텐트를 향하여 돌출된 밴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디텐트 탄성부재의 자유단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디텐트의 외면에 부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KR1020140025059A 2014-03-03 2014-03-03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20150103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059A KR20150103784A (ko) 2014-03-03 2014-03-03 차량용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059A KR20150103784A (ko) 2014-03-03 2014-03-03 차량용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784A true KR20150103784A (ko) 2015-09-14

Family

ID=5424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059A KR20150103784A (ko) 2014-03-03 2014-03-03 차량용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3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JP6230536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025901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EP2913518A1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JP6607573B2 (ja) スイッチ装置
JP6176733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KR20160052896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N111919274B (zh) 带发声功能的按钮开关
KR101170199B1 (ko)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KR20150103784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102005037B1 (ko)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
JP5866425B2 (ja)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20009607A (ja) スイッチ装置
US8993906B2 (en) Vehicle switch
KR101680247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102068573B1 (ko) 자동차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JP4812635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50002203U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101658850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스위치
KR20170051701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JP4439390B2 (ja) 操作つまみ
KR101268607B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150106743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