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199B1 -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199B1
KR101170199B1 KR1020077011291A KR20077011291A KR101170199B1 KR 101170199 B1 KR101170199 B1 KR 101170199B1 KR 1020077011291 A KR1020077011291 A KR 1020077011291A KR 20077011291 A KR20077011291 A KR 20077011291A KR 101170199 B1 KR101170199 B1 KR 10117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ircular battery
base
cont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342A (ko
Inventor
마티아스 하베케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8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배터리를 위한 지지 및 접촉 장치와, 자동차의 로킹 및 언로킹을 위한 원격 조종 장치 내에서의 상기 유형의 지지 및 접촉 장치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장치들에서, 배터리 케이스는 손상이 되는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전자 부품들로부터 가능한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원형 배터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접촉을 위해, 케이블 및 납땜 연결부에 의해 전자 부품에 연결되는 스프링 클립이 사용된다. 복잡한 조립을 방지하고, 배터리 케이스에 더 양호하게 접근하기 위해, 판 스프링 유형의 접촉 요소들(19, 31, 34; 22, 27, 35)이 사용되며, 이들은 배터리 케이스(11, 13, 14)에 연결되어, 제공될 전자 모듈에 대한 넌포지티브식 결합을 형성한다.
Figure R1020077011291
지지 및 접촉 장치, 원형 배터리, 전자 부품, 접촉 요소, 지지 요소

Description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MAINTAINING AND CONTACTING DEVICE FOR A ROUND CELL BATTER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REMOTE-CONTROL APPARATUS WITH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원형 배터리를 위한 지지 및 접촉 장치 및, 특히 자동차의 로킹 및 언로킹을 위한 원격 조종 장치 내에서의 상기 유형의 지지 및 접촉 장치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접촉 장치는 상기 유형의 원격 조종 장치의 전자 부품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지된 전자식 키는 일반적으로 그 송신기 및 수신기 모듈을 갖는 전자 부품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원형 배터리를 포함하며, 원형 배터리는 부분적으로 직접 지지 장치에 의해서 전자 요소들의 기판 상에 지지된다. 조작자가 배터리를 교체할 경우 키가 분리된 후 노출되는 전자 부품이 실수로, 예컨대 기계적 영향 또는 정전기적 영향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인해, 전자 영역은 하우징 형태의 배터리 홀더에 의해서 차폐된다. 원형 배터리의 교체 시, 조작자는 배터리 하우징에만 접근한다.
원형 배터리는 에너지 전달을 위해서도 사용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며, 각각의 면은 특정의 극성을 띈다. 추가적으로, 돌출 면들은 극의 접촉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DE 34 19 333호에는 절반이 개방된 상기 유형의 하우징이 공지되어 있다. 하우징 베이스를 통해서 전자 부품에 안내되는 전기 접촉부에 의해서 접촉이 실행된다. 전기 접촉부는 하우징의 개방 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기판에 납땜된다. 자동차용 전자 키들의 대량 생산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조립 형태는 복잡하며 고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동차의 잠금부 및 폐쇄부의 로킹/언로킹을 위한 원격 조종 장치 내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및 접촉 장치의 구성에서, 지지 장치 자체의 간단한 조립 및 추후 원격 조종 장치 내로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항에 제시된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1항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를 포함한다.
제12항 및 제13항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배터리를 위한 지지 및 접촉 장치를 포함하며 전자 모듈과 원형 배터리 사이의 전기 접촉을 위해 제공되는 원격 조종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제14항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촉의 구현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15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예이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 내에서 개략적으로 실시된다.
도1은 자동차의 잠금부 및 폐쇄부의 로킹/언로킹을 위한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원형 배터리를 위한 지지 및 접촉 장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장치의 하부면의 사시도이다.
도4는 횡단면 A-A를 통한 지지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5는 제1 접촉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6은 제2 접촉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1은 자동차의 잠금부 및 폐쇄부의 로킹 또는 언로킹을 위한 원격 조종 장치(1)를 조립된 형태의 사시도로 도시한다. 전자식 키(1)는 상부 쉘(2)과 하부 쉘(3) 및, 삽입된 기계식 비상 키(4)로 구성된다. 비상 키(4)의 손잡이 부분은 키 걸이로서 사용되기 위한 리세스(5)를 포함한다. 비상 키는 전자식 키(1) 또는 비상 키의 전방면에 배치된 버튼 또는 슬라이더의 작동 시 언로킹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차량의 정전과 같은 비상 시 원격 조종 장치(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상황의 경우 무선 통신 없이도 차량 내부로 진입하여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 내에 위치한 비상 폐쇄 실린더가 작동된다.
원격 조종 장치(1)의 상부 쉘 위에는, 그 작동에 의해 자동차의 개방 또는 로킹과 같은 소정의 기능들이 개시되는 상응하는 누름 버튼이 위치한다. 또한 상부 쉘(2) 및 하부 쉘(3)의 내부에는 안테나, 송수신기 모듈 및, 경우에 따라서는 코드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하기 위한 평가 유닛과 같은, 필수 전자 부품이 있다.
상기 유형의 전자식 키는 자동차에 아주 근접했을 경우, 버튼 작동 없이도 자동차가 자동 개방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은 자동차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며, 그로 인해 원격 조종 장치(1)와 자동차 사이의 코드 통신이 시작된다. 코드의 성공적인 교환 후, 예컨대 자동차의 제어 유닛에 의해 도어 잠금부가 언로킹된다.
원격 조종 장치는 자동차 내에서 일반적으로 인증된 요소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계기판 내에 있는 점화 시동 스위치 내에 배치된다. 전자식 키(1)의 부착을 위해 전자식 키는 측면에 스냅인 오목부(5)를 포함한다.
하부 쉘(3)에는 지지 및 접촉 장치(7)가 통합된다. 이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배터리 케이스 커버(8)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커버된다. 비상 키(3)가 분리된 후, 배터리 케이스 커버(8)는 원형 배터리가 교체될 수 있도록 간단한 방식으로 빼내질 수 있다.
상부 쉘과 하부 쉘은 전자 부품 및 그 외의 필요한 부품들의 완비 후, 예컨대 접착, 마찰 용접 또는 래칭과 같은 일반적인 연결 방법에 의해서 결합된다.
도2는 상부 쉘에 배치된 전자 모듈에 전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원형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및 접촉 장치(7)가 통합되어 있는 하부 쉘(3)의 부분 영역을 도시한다.
지지 및 접촉 장치(7)는 수용 텁(9, tub)과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부품들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사출 성형 방법으로써 하나의 공정으로 제조된다. 수용 텁(9)에는 탄성의 지지 후크(10)가 배치되고, 이는 수용 텁(9)의 베이스(11)로부터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의 지지 후크(10)에 대해서, 텁 베이스(11)에 직각으로 세워지는 지지벽이 배치되며, 지지벽은 또한 베이스(11)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벽은 다른 구성의 범주 내에서 텁 벽(13)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지지벽(12)은 C자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원형 배터리의 반경 방향 부분을 둘러싸며 이로써 지지 후크(10)를 통해서 원형 배터리에 작용하는 초기 인장력에 대한 버팀부로서 작용한다. 지지벽은 상부 단부에 수용 텁(9)의 중심부를 향하는 돌출 에지를 포함하며, 돌출 에지는 삽입된 원형 배터리를 수용 텁(9)내에 포지티브 결합식으로 고정한다. 이로써 삽입된 원형 배터리는 돌출 에지(20)와 후크 돌출부(21)에 의해서 포지티브 결합식으로 고정된다. 제1 접촉 요소(18)의 스프링 접촉 요소(18)에 의해, 삽입된 원형 배터리는 돌출 에지(20)와 후크 돌출부(21)에 대해서 예비 인장되며, 이로써 원형 배터리에 대한 확실한 접촉이 구현되고 원형 배터리는 충분히 안전하게 위치 설정된다.
원형 배터리를 빼내기 위해, 탄성의 지지 후크(10)는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텁 벽(13)의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포지티브 결합이 해제되고, 원형 배터리는 배터리 케이스 커버가 분리될 때 빼내질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 커버는 면(14)에 지지되고 측면(15)에 의해서 밀착된다.
지지 및 접촉 장치(7)의 베이스(11)에는 긴 슬롯형 베이스 리세스(16)가 제공되며, 이는 지지벽을 따라 연장된다. 슬롯형 베이스 리세스(16)는 텁 벽의, 수용 텁(9) 중심부를 향하는 면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리세스는 제1 접촉 요소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측방향 접촉을 위한 접촉 탭은 지지벽(12) 반대편에 있는, 지지 및 접촉 장치(7)의 베이스(11)의 측면으로부터 원형 배터리를 슬롯(16)을 통해서 텁 벽(13)의 내부 영역으로 밀며 하부로부터 고정시킨다.
도6에서 제1 접촉 요소(18)가 개별 부품으로서 도시된다. 이는 사전에 굽혀진 판 스프링 요소이다. 상기 요소의 구성은 접촉 요소의 조립 후 오목부(25) 내로 삽입되는 고정 돌출부(24)로써 시작된다. 따라서 역방향 운동 즉, 작동 위치로부터 접촉 요소(18)를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정 돌출부에는 스프링 접촉 요소(22)가 연결되며, 이는 소정의 스프링력 하에 원형 배터리와 접촉한다. 이어서 지지 플레이트(26)가 연결되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접촉 요소는 장치(7)의 베이스(11)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큰 면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어서 S자형으로 구부러진 스프링 판 구역(27)이 뒤따르며, 이는 조립된 상태에서 제2 리세스(28)를 통해서, 원격 조종 장치(1)의 전자 모듈에 대한 접촉부를 형성한다.
도5에는 제2 접촉 요소(23)가 도시되고, 이는 원형 배터리의 측면들에 접촉하는, 면적이 큰 2개의 접촉 탭(19)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은 지지 구역(29)이 수용 텁(9)의 외부면에 접할 때까지, 베이스(11)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용 텁(9)의 내부 영역 내에 삽입된다. 홀 리세스(30)를 통해서 수용 텁(9)의 작은 재료 돌출부가 돌출하며, 상기 재료 돌출부는 삽입된 다음, 엠보싱 다이에 의해서 뜨겁게 압축되므로, 플라스틱 재료(32)가 지지 구역을 둘러쌈으로써 제2 접촉 요소는 포지티브 결합식으로 삽입 위치 내에 고정된다.
2개의 접촉 요소들(18, 23)은 수용 텁(9)에 삽입되는, 사전에 굽혀진 부품들이다. 이와 같은 부품들을 사용함으로써, 접촉 스프링 판 구역들의 그 외의 일반적인, 삽입 상태에서의 복잡한 굽힘 과정은 생략된다. 따라서 자동차 분야에서의 대량 제조 시 지지 및 접촉 장치가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3은 완전하게 예비 조립된 하부 쉘(3)의 하부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접촉 요소의 스프링 판 구역(27)은 수용 텁(9)의 베이스(11)에 있는 제2 리세스(28)를 통해서 수용 텁(9)의 내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측방향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도4는 명료함을 위해,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 쉘(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Claims (15)

  1.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부 쪽으로 개방된 하우징(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형 배터리 극들의 접촉을 위한 접촉 요소들(18, 23)이 배치된,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이며, 접촉 요소들(18, 23)은 전자 모듈에 대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3)의 베이스(11) 내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16)를 통해서 하우징(3) 외부로 안내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접촉 요소들(18, 23)은 하우징의 외부에서 전자 모듈에 대한 넌포지티브식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들(18, 23)은 판 스프링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들(18, 23)은 우수한 탄성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 모듈에 접촉되기 위한 단부 영역이 S자형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18, 23)의 원형 배터리 접촉면(33)과 전자 부품 접촉면(34)은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3)의 베이스 영역(11) 내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16, 28)는 슬롯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슬롯은 지지벽(12)을 따라 일부 영역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제2 접촉 요소(18)의 극 접촉부(27)는 하우징(3)의 내부면으로부터 하우징(3)의 베이스 영역(9)의 리세스(28)를 통해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18, 23)는 고정을 위해 베이스부(9)의 플라스틱(32)과 함께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2 접촉 요소(18)는 형태 결합식으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형 배터리를 수용하는 내부 영역에는, 삽입된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의 지지 요소(10)가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는 하우징의 베이스(9)로부터 돌출한 탄성의 후크(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12. 자동차의 잠금부 및 폐쇄부의 로킹/언로킹을 위한 원격 조종 장치에 있어서,
    원격 조종 장치(1)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7) 하부에 전자 모듈이 배치되며, 그 위에는, 배터리의 접촉 요소들의 접촉을 위한 대응 접촉 지점들이 배치되고, 삽입 상태에서 전자 부품 접촉면은 대응 접촉 지점에 대해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 장치.
  14. 상부 쪽으로 개방된 하우징(3) 및, 베이스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접촉 요소들(18, 23)을 구비한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부 쪽으로 개방된 하우징(3)을, 상기 하우징의 리세스들(16, 28)과 함께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 기술로 제조하는 단계와,
    구부러진 접촉 요소들(18, 23)을 제조하는 단계와,
    접촉 요소들(18, 23)을 임의의 순서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18, 23)는 원형 배터리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부품의 반대편 측면으로부터, 베이스 내의 리세스들(16, 28)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는 하우징 베이스(9)와 함께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77011291A 2004-11-23 2005-11-18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KR101170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7809A EP1659659A1 (de) 2004-11-23 2004-11-23 Halte- und Kontaktiervorrichtung für eine Knop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EP04027809.5 2004-11-23
PCT/EP2005/012372 WO2006056369A1 (de) 2004-11-23 2005-11-18 Halte-und kontaktiervorrichtung für eine knop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42A KR20070084342A (ko) 2007-08-24
KR101170199B1 true KR101170199B1 (ko) 2012-07-31

Family

ID=3492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291A KR101170199B1 (ko) 2004-11-23 2005-11-18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1776B2 (ko)
EP (2) EP1659659A1 (ko)
KR (1) KR101170199B1 (ko)
CN (1) CN100492766C (ko)
AT (1) ATE396517T1 (ko)
DE (1) DE502005004227D1 (ko)
WO (1) WO2006056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31Y1 (ko) * 2008-09-18 2011-04-08 주식회사 씨엔텍 배터리 접속단자
DE102010042389B4 (de) 2010-10-13 2018-09-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ernbedienung
DE102012106622A1 (de) * 2012-07-20 2014-01-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lacher Kraftfahrzeugschlüssel
US9524600B2 (en) 2015-05-04 2016-12-20 DigiPas USA, LLC Luggage locking device and baggage handling method
KR101756294B1 (ko) * 2015-06-01 2017-07-26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조 방법
CN107386822A (zh) * 2017-07-18 2017-11-24 上海元阳金属制品有限公司 文件柜锁具
CN113346195B (zh) * 2021-08-06 2021-11-05 国研新能(深圳)技术有限公司 纽扣电池组件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820A (en) 1983-07-25 1984-12-11 Memory Protection Devices, Inc. Battery holder for coin cells
US5980309A (en) 1996-10-31 1999-11-09 The Whitaker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US6436569B1 (en) 1999-04-23 2002-08-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al appliance with battery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0886B1 (de) 1992-07-29 1995-06-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Handsender eines fernsteuerbaren Schliesssystemes, bevorzugt für ein Kfz
JP2999719B2 (ja) * 1996-06-25 2000-01-17 株式会社エーユーイー研究所 電池ホルダ
DE19754193A1 (de) * 1997-12-06 1999-06-10 Heinz Wolter Schlüsselhalter mit Leuchte
US6424301B1 (en) * 2000-03-01 2002-07-2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Combination battery holder and antenna for keyfob
FR2807571B1 (fr) 2000-04-10 2002-05-24 Siemens Automotive Sa Dispositif de maintien et de contact electrique pour une pile bouton
JP2004039347A (ja) 2002-07-01 2004-02-05 Yazaki Corp 電池ホルダ用端子
GB2396248B (en) 2002-12-13 2004-12-15 Giga Byte Tech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coupling batteries to a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820A (en) 1983-07-25 1984-12-11 Memory Protection Devices, Inc. Battery holder for coin cells
US5980309A (en) 1996-10-31 1999-11-09 The Whitaker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US6436569B1 (en) 1999-04-23 2002-08-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al appliance with battery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5004227D1 (de) 2008-07-03
CN100492766C (zh) 2009-05-27
EP1829161B1 (de) 2008-05-21
US8021776B2 (en) 2011-09-20
WO2006056369A1 (de) 2006-06-01
EP1829161A1 (de) 2007-09-05
KR20070084342A (ko) 2007-08-24
ATE396517T1 (de) 2008-06-15
EP1659659A1 (de) 2006-05-24
CN101084606A (zh) 2007-12-05
US20090073001A1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199B1 (ko)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US8653390B2 (en) Engine start/stop switch for a vehicle
KR102225497B1 (ko) 차량용 스마트키
US7041924B2 (en) Housing for an electronic key
EP2913518B1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JP2012112222A (ja)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7009414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6176733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CN104011898A (zh) 电池座
GB2436890A (en) Accumulator Pack
US9443182B2 (en) Card key
JP5558324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装置
US20030168881A1 (en) Lock contro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opening panel and opening panel equipped with same
US6039601A (en) Contact spring having an improved electrical contact
US20200256095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having an antenna
KR100685185B1 (ko) 차량의 트렁크 스위치
KR101858626B1 (ko) 차량용 카드 키
JP2020009607A (ja) スイッチ装置
US20150179369A1 (en) Button assembley of engine start/stop switch for vehicles and engine start/stop switch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KR200485965Y1 (ko) 차량용 카드 키
JP481263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636298B1 (ko) Mid 적용 안테나를 구비한 스마트키
JP2000257313A (ja) 電子部品内蔵キー装置
WO2013137485A1 (en) Housing and Wire Holder Thereof
US8057255B1 (en) Connector with a battery sandwiched between a housing and a printed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