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497B1 - 차량용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497B1
KR102225497B1 KR1020200017640A KR20200017640A KR102225497B1 KR 102225497 B1 KR102225497 B1 KR 102225497B1 KR 1020200017640 A KR1020200017640 A KR 1020200017640A KR 20200017640 A KR20200017640 A KR 20200017640A KR 102225497 B1 KR102225497 B1 KR 10222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act
pressing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0001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497B1/ko
Priority to CN202010205607.9A priority patent/CN113258183B/zh
Priority to US17/167,500 priority patent/US115695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8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f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37Printed or non-printed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93Clamping a component by an element or a set of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배터리의 제1전극에 접촉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와, 제1단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배터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배터리의 제2전극에 접촉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와, 제2단자부로부터 베이스부로 연장되고, 배터리의 측면에 접하여 배터리가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배터리에 접촉 가능하도록 제2단자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터리와 이탈방지부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키{SMART KE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는 차량의 도어를 잠금이나 잠금해제 상태로 만들며,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기 위해 원거리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키는 포브 키(Fob key) 및 카드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키는 내장되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된다.
스마트키의 배터리의 고정 구조는 단자에 형성된 하드컨택리브등에 의해 배터리의 측면을 강제로 누르면서 억지끼움결합되어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쉽게 단자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의 사이즈가 배터리의 고정 구조에 비해 큰 경우, 배터리가 고정 구조에 삽입될 수 없어 배터리의 조립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사이즈가 배터리의 고정 구조보다 작은 경우에는 배터리 고정이 불가하여 유동이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0974호(2010.09.01 등록, 발명의 명칭: 버튼 시동 차량의 스마트 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터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배터리의 제1전극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 상기 제1단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의 제2전극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 상기 제2단자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상기 배터리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제2단자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부의 최대반경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단자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관통홀이 구비되는 가압부몸체;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부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압부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측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림부와 접하여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와 접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에서는 배터리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에서는 가압부의 탄성가압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 형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알맞은 힘으로 배터리를 고정함에 따라 단자 또는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탄성변형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결합된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결합된 차량용 스마트키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차량용 스마트키는 베이스부(10), 제1단자부(20), 제2단자부(30), 이탈방지부(40), 가압부(1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또는 양측면에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장착되며, 전자부품의 전기신호를 안내하도록 회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판형의 인쇄회로기판(PCB)로 이루어져 하나 이상의 스위치(12)의 조작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소자, 안테나와 같은 전자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케이스(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1)는 베이스부(10)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에 (-)극을 갖는 제1전극(2)이, 상부면에 (+)극을 갖는 제2전극(3)이 형성된다. 그러나 배터리(1)는 이러한 형상, 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전극(2)과 제2전극(3)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전극을 갖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단자부(20)는 베이스부(10)에 결합되고, 제1전극(2)에 접촉되어 배터리(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단자부(20)는 배터리(1)와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자부(20)는 저융점 삽입 금속을 녹여 두 이종재료를 접합하는 솔더링(soldering) 방식에 의해 베이스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단자부(20)는 베이스부(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배터리(1)의 전력을 베이스부(10)의 전자부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자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부(20)는 배터리(1)의 제1전극(2)과 접촉된 상태에서 배터리(1)로 향하는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도록 형성되어, 배터리(1)와 보다 안정된 전기적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단자부(20)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부(11)에 결합되어 배터리(1)의 제1전극(2)에 접촉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2단자부(30)는 배터리(1)의 제2전극(3)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단자부(30)는 베이스부(10)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할 이탈방지부(40) 또는 가압부(100)에 의해 간접적으로 베이스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단자부(30)는 제1단자부(20)와 마찬가지로 배터리(1)와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솔더링방식에 의해 베이스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단자부(30)는 베이스부(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배터리(1)의 전력을 베이스부(10)의 전자부품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단자부(30)는 제1단자부(20)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삽입부(11)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1)는 배터리(1)의 형상에 대응되어 대략 원통형상의 빈 공간을 마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11)의 높이, 너비는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1)의 형상,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단자부(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고, 수평하게 배치되어 배터리(1)의 상측면, 즉 제2전극(3)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2단자부(30)는 후술할 이탈방지부(40) 또는 가압부(1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을 통해 베이스부(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베이스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단자부(30)에는 배터리(1)의 제2전극(3)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배터리(1)의 제2전극(3)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자부(3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부(10)에 결합되어 제2전극(3)에 접촉되고, 삽입부(11)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탈방지부(40)는 제2단자부(30)로부터 베이스부(10)로 연장되고, 배터리(1)의 측면에 접하여 배터리(1)가 삽입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40)는 제2단자부(30)의 단부에서 베이스부(1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배터리(1)의 측면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40)는 배터리(1)의 삽입경로를 제2단자부(30)의 단부에서 가로막아 배터리(1) 삽입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4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지점에서 배터리(1)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40)의 형상은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단자부(30)로부터 베이스부(10)로 연장되고, 배터리(1)의 측면에 접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압부(100)는 배터리(1)에 접촉 가능하도록 제2단자부(30)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터리(1)와 이탈방지부(40)의 접촉을 유지시킨다. 가압부(100)는 삽입부(11)의 방향, 즉 배터리(1)의 측면을 향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가 삽입부(11)에 조립된 경우 배터리(1)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100)는 제2단자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단자부(3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부(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100)는 배터리(1)를 여러지점에서 가압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배터리(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40)와 가압부(100)는 삽입부(11)의 최대반경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방향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의 최대반경은 삽입부(11)가 배터리(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배터리(1) 자체의 최대반경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부(11)가 이에 대응되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면, 삽입부(11)의 최대반경은 배터리(1)의 지름길이에 대응된다. 이 경우 배터리(1)의 지름을 기준으로, 이탈방지부(40)는 배터리(1)의 일측의 반원둘레를 가로막도록 형성되고, 가압부(100)는 나머지 반원둘레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가 삽입부(11)에 삽입된 경우, 배터리(1)가 가압부(100)에 의해 받는 가압력의 벡터방향이 이탈방지부(40)를 향하도록 할 수 있어 배터리(1)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압부(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00)의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00)의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00)는 가압부몸체(110), 탄성부(120),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가압부몸체(110)는 제2단자부(30)로부터 베이스부(10)를 향해 연장되어 배터리(1)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가압부몸체(110)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부(120)가 관통홀(111)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가압부몸체(110)는 제2단자부(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단자부(3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몸체(1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부(30)로부터 베이스부(1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몸체(110)의 하단부에는 베이스부(1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112)가 형성되어 제2단자부(30)를 베이스부(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가압부몸체(110)에는 배터리(1)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가압부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의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가압부몸체(1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단자부(30)로부터 베이스부(10)를 향해 연장되고,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탄성부(120)는 관통홀(111)을 통해 이동가능하도록 가압부몸체(110)에 연결되고, 배터리(1)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탄성부(120)는 가압부몸체(11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가압부몸체(11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120)는 관통홀(11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관통홀(111)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부(120)는 배터리(1)가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고분자 소재 등의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20)는 벤딩부(bending부)(121), 접촉부(122), 걸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121)는 가압부몸체(110)의 단부에서 상기 이탈방지부(40)측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부(121)는 가압부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가압부몸체(110)의 단부로부터 헤밍(hemming)공정을 통해 180도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벤딩부(121)는 탄성부(120)로 하여금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며 가압부몸체(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접촉부(122)는 벤딩부(121)로부터 연장되고, 배터리(1)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22)는 벤딩부(121)에서 삽입부(11)를 향해 연장되어 배터리(1)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촉부(122)는 배터리(1)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배터리(1)의 측면곡률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단턱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122)는 배터리(1)가 삽입부(11)에 삽입된 경우, 단턱에 의해 배터리(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접촉부(122)의 형상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부(121)로부터 연장되고, 배터리(1)와 접촉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걸림부(123)는 접촉부(122)로부터 관통홀(111)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123)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부(122)의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배터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관통홀(111)을 향하도록 연장딘다. 걸림부(123)의 단부는 후술할 지지부(130)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부(130)의 면과 평행하도록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될 수 있다. 걸림부(123)의 형상은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촉부(122)로부터 관통홀(111)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지지부(130)는 배터리(1)가 삽입부(11)로 이탈, 삽입되거나 배터리(1)가 삽입부(11)에 삽입된 채로 유동이 발생하여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 걸림부(123)와 접하여 상기 걸림부(123)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120)를 지지한다. 지지부(130)는 걸림부(123)에 접하여 배터리(1)의 삽입 과정 중 또는 삽입 후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적당한 강성을 지닌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0)는 가압부(100)의 외측, 즉 가압부(100)의 바깥면으로부터 배터리(1)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걸림부(123)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123)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30)는 가압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가압부(10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30)의 폭은 걸림부(123)와의 접촉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걸림부(123)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림부(123)와 접하여 상기 걸림부(123)의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1)가 삽입부(11)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 배터리(1)는 가압부(100)의 접촉부(122)와 접촉되면서 슬라이드된다. 배터리(1)가 삽입됨에 따라 접촉부(122)는 관통홀(111)을 향해 벌어지고, 이러한 벌어지는 동작은 배터리(1)의 최대직경에 도달할 때까지 일어난다. 또한, 배터리(1)의 최대직경에 도달하기 전에 접촉부(122)와 연결된 걸림부(123)가 지지부(130)에 접하는 경우, 탄성부(120)는 탄성변형되어 배터리(1)의 삽입을 허용한다.
이후 배터리(1)가 완전히 삽입되면, 접촉부(122)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배터리(1)의 측면을 가압한다. 배터리(1)에 가해진 가압력은 이탈방지부(40)를 향해 전달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1)는 이탈방지부(40)와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스마트키의 사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배터리(1)가 삽입부(11) 내에서 요동되는 경우, 배터리(1)는 일측으로 쏠리게 되고, 접촉부(122)를 관통홀(111)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접촉부(122)가 이동됨에 따라 접촉부(122)와 연결된 걸림부(123) 역시 관통홀(111)을 통해 이동된다. 걸림부(123)가 소정의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걸림부(123)는 가압부몸체(110)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부(130)에 접하게 되어 그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배터리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탄성가압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다양한 배터리의 크기, 형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알맞은 힘으로 배터리를 고정함에 따라 단자 또는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탄성변형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배터리 2 : 제1전극
3 : 제2전극 10 : 베이스부
11 : 삽입부 20 : 제1단자부
30 : 제2단자부 40 : 이탈방지부
100 : 가압부 110 : 가압부몸체
111 : 관통홀 112 : 결합돌기
120 : 탄성부 121 : 벤딩부
122 : 접촉부 123 : 걸림부
130 : 지지부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배터리의 제1전극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
    상기 제1단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의 제2전극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
    상기 제2단자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배터리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상기 배터리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제2단자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단자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관통홀이 구비되는 가압부몸체;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이동가능하도록 폭이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압부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측으로 벤딩되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림부와 접하여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압부의 외측에서 배터리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와 접하고,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걸림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부의 최대반경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8. 제 1항, 제 2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KR1020200017640A 2020-02-13 2020-02-13 차량용 스마트키 KR10222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640A KR102225497B1 (ko) 2020-02-13 2020-02-13 차량용 스마트키
CN202010205607.9A CN113258183B (zh) 2020-02-13 2020-03-23 车辆用智能钥匙
US17/167,500 US11569598B2 (en) 2020-02-13 2021-02-04 Smart ke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640A KR102225497B1 (ko) 2020-02-13 2020-02-13 차량용 스마트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497B1 true KR102225497B1 (ko) 2021-03-09

Family

ID=7518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640A KR102225497B1 (ko) 2020-02-13 2020-02-13 차량용 스마트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69598B2 (ko)
KR (1) KR102225497B1 (ko)
CN (1) CN1132581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97B1 (ko) * 2020-02-13 2021-03-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스마트키
JP1678224S (ko) * 2020-03-11 2021-02-01
JP1673639S (ko) * 2020-03-11 2020-11-30
JP1682616S (ko) * 2020-05-13 2021-04-05
JP1679297S (ko) * 2020-05-13 2021-02-15
JP1686595S (ko) * 2020-09-03 2021-05-31
JP1686593S (ko) * 2020-09-03 2021-05-31
JP1686594S (ko) * 2020-09-03 2021-05-31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78A (ko) * 2010-07-30 2012-02-09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CN206388754U (zh) * 2016-12-20 2017-08-08 欧姆龙(上海)有限公司 电池座和电池安装单元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6547A3 (fr) 1985-12-20 1988-07-06 Maillefer S.A. Dispositif de commande d'une opération de trancannage
JPH08102309A (ja) * 1994-09-30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ホルダ
JP3670792B2 (ja) * 1997-04-03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扁平形電池用の電池ホルダー
JP3673456B2 (ja) * 2000-08-21 2005-07-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池ホルダ
JP3811609B2 (ja) * 2000-10-02 2006-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釦型電池の収納装置
US6722916B2 (en) * 2001-08-30 2004-04-2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urface battery clip
US7499283B2 (en) * 2004-07-29 2009-03-03 Delphi Technologies, Inc. Key fob for an automobile
US20070103850A1 (en) * 2005-09-28 2007-05-10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Inc. Cage type battery terminal
JP5027056B2 (ja) * 2008-06-04 2012-09-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
KR100980974B1 (ko) 2008-12-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시동 차량의 스마트 키
JP2012036668A (ja) 2010-08-10 2012-02-23 Denso Corp 携帯型無線キー
US8789965B2 (en) * 2011-11-10 2014-07-29 Carmen Rapisarda mSolder-less electrical assembly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5685209B2 (ja) * 2012-01-24 2015-03-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池ホルダ
JP2014156700A (ja) 2013-02-14 2014-08-28 Denso Corp 電子タグおよび車両ドア施解錠システム
BR112016007684A2 (pt) * 2013-10-07 2017-08-01 Dae Dong Co Ltd chave em cartão inteligente fina para um veículo e um método de controle da mesma
KR101576476B1 (ko) 2014-06-13 2015-12-10 주식회사 오토피엠테크 자동차의 스마트키용 단자
CN204696181U (zh) * 2015-06-30 2015-10-07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一种钮扣电池座及汽车遥控钥匙
JP6644981B2 (ja) * 2016-01-27 2020-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ッテリー取付構造
KR101853763B1 (ko) 2017-11-24 2018-05-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카드형 스마트키
JP7132094B2 (ja) * 2018-03-29 2022-09-06 株式会社シマノ バッテリホルダ
KR101994176B1 (ko) * 2018-07-03 2019-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키
KR102225497B1 (ko) * 2020-02-13 2021-03-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스마트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78A (ko) * 2010-07-30 2012-02-09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CN206388754U (zh) * 2016-12-20 2017-08-08 欧姆龙(上海)有限公司 电池座和电池安装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7760A1 (en) 2021-08-19
CN113258183B (zh) 2023-06-09
CN113258183A (zh) 2021-08-13
US11569598B2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497B1 (ko) 차량용 스마트키
AU2012367474B2 (en) Battery holder
US5664973A (en) Conductive contact
KR100782243B1 (ko) 무선 송수신기 및 그 제조 방법
EP2194550B1 (en) Side ke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2288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스위치 모듈
US7641508B2 (en) Battery connector with reinforcing members
US7396238B2 (en)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US7238038B2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70199B1 (ko) 원형 배터리를 지지하여 접촉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정 장치
US20020039676A1 (en) Battery holder for button-type battery
KR101912622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US7252529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2004134835A (ja) 携帯機
US20040023720A1 (en) Controller
US20080102658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 multitude of terminals
US7179098B2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100340479B1 (ko) 휴대전화기
JP4812635B2 (ja) スイッチ装置
CN212783182U (zh) 一种安装方便的开关结构
JP3658872B2 (ja) 電池収納装置及び携帯用電子機器
KR100617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KR10242003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0213234Y1 (ko) 무선전화기 충전용 거치대의 인쇄회로기판 조립구조물
JPH10336906A (ja) 充電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