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479B1 -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479B1
KR100340479B1 KR1019990028603A KR19990028603A KR100340479B1 KR 100340479 B1 KR100340479 B1 KR 100340479B1 KR 1019990028603 A KR1019990028603 A KR 1019990028603A KR 19990028603 A KR19990028603 A KR 19990028603A KR 100340479 B1 KR100340479 B1 KR 10034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rame body
mother substrate
box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722A (ko
Inventor
사이토요시오
스즈키노부유키
와타나베요시키요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1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종래의 휴대 전화기는 송수신 유닛(26)과 배터리(29)가 케이스(21, 22)내에 병설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펙터가 나쁘고,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마더기판(4)과 배터리(9)와의 사이에 송수신 유닛 (6)의 프레임체(7)에 일부를 개재시켜 프레임체(7)를 마더기판(4)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마더기판(4)과 배터리(9)와의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공간 펙터가 좋아, 소형의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소형이고 고장이 적은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를 도 2에 의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커버(21)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지주(21a)를 가지고, 또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22)는 본체부(22a)와, 이 본체부(22a)에 대하여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22b)를 가지며, 상기 하부커버(2l)와 상부커버(22)는 서로 조합되어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마더기판(24)은 도전패턴(도시 생략)을 가지며, 각종 전기부품(도시 생략)이 이 도전패턴에 접속된 상태로 마더기판(24)에 설치됨과 동시에, 이 마더기판(24)의 상면에는 커넥터(25)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마더기판(24)은 수용부(23)에 수용되며, 지주(21a)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송수신 유닛(26)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체(27)와, 프레임체(27)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도시 생략)과, 프레임체 (27)내에 설치되고 이들 전기부품을 마더기판(24)쪽의 커넥터(2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2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송수신 유닛(26)은, 수용부(23)내에서 마더기판(24)에 설치됨과 동시에, 설치되었을때 커넥터(28)가 마더기판(24)쪽의 커넥터(25)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타입의 배터리(29)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 배터리(29)는 수용부(23)내에 송수신 유닛(26)과 가로방향으로 병설한 상태로 수납되어, 적절한수단에 의하여 수용부(25)내에서 유지됨과 동시에, 덮개부(22b)를 벗겨내면 배터리 (29)의 교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스위치부재(30)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복수개의 누름버튼부(31) 등을 가지고, 이 스위치부재(30)는 마더기판(24)의 이면측에서 배터리(29)와 대향하는위치로부터 커넥터(25)와 대향하는 위치에 걸쳐져 배치되어 있고, 푸시버튼부(31)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번호 등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는, 송수신 유닛(26)과 배터리(29)가 케이스(21, 22)내에 병설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펙터가 나쁘고,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커넥터(25)의 근방에 위치하는 푸시버튼부(31)를 눌렀을 때, 마더기판 (24)과 프레임체(27)가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커넥터(25 와 28)가 이 이동에 의하여 휘어지고, 이에 의하여 커넥터(25, 28)사이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25, 28)가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커버 1a : 지주
2 : 상부커버 2a : 본체부
2b : 덮개부 4 : 마더기판
5 : 커넥터 6 : 송수신 유닛
7 : 프레임체 7a, 7b : 박스형상부
8 : 커넥터 9 : 배터리
10 : 스위치부재 11 : 푸시버튼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l의 해결수단으로서, 케이스내에 설치된 마더기판과,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고, 박스형의 프레임체와 그 프레임체내에 수납한 각종의 전기부품을 가지는 송수신 유닛과,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된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의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프레임체의 하부를 상기 마더기판상에 올려 놓은 상태로 상기 마더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마더기판과 반대쪽의 상기프레임체의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올려 놓아 상기 마더기판과 상기 배터리와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체의 일부를 개재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송수신 유닛에는 제 1 커넥터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마더기판에는 상기 제 l 커넥터부와 결합하는 제 2 커넥터부를 설치하고, 상기 마더기판과 상기 배터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체의 일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 l 커넥터부와 상기 제 2 커넥터부를 결합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체는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와, 높이가 높은 박스형상부로 구성하고, 높이가 낮은 상기 박스형상부를 상기 마더기판과 상기 배터리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의 요부 단면도이고, 이 도 1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커버(1)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지주(la)를 가지며, 또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2)는 본체부(2a)와, 이 본체부(2a)에 대하여 끼우고 빼는 것이 가능한 덮개부(2b)를 가지고, 그리고 하부커버(1)와 상부커버(2)는 서로 조합되어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수용부(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마더기판(4)은 도전패턴(도시생략)을 가지고, 각종 전기부품(도시생략)이 이 도전패턴에 접속된 상태로 마더기판(4)에 설치됨과 동시에 이 마더기판(4)의 상면에는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마더기판(4)은 수용부(3)에 수용되며, 지주(1a)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송수신 유닛(6)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높이가 높은 박스형상부(7a)와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7b)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체 (7)와, 프레임체(7)내에 배치된 각종 전기부품(도시생략)과, 프레임체(7)의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7b)내에 배치되고, 이들 전기부품을 마더기판(4)쪽의 커넥터(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송수신 유닛(6)은 수용부(3)내에서 마더기판(4)의 상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설치되었을 때 커넥터(8)가 마더기판(4)쪽의 커넥터(5)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다.
또 카트리지타입의 배터리(9)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이 배터리(9)는 수용부(3)내에 수납되며, 배터리(9)의 일부가 송수신 유닛(6)의 프레임체(7)의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7b)상에 올려 놓여진 상태로 배터리(9)가 수용부(3)내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터리(9)로 박스형상부(7b)를 누름과 동시에 배터리(9)와 마더기판(4)과의 사이에 박스형상부(7b)를 개재시켜 박스형상부(7b)를 끼워 유지하고, 또 이 배터리(9)는 덮개부(2b)를 벗겨내면 교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스위치부재(10)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는 복수개의 푸시버튼부(11)등을 가지며, 이 스위치부재(10)는 마더기판(4)의 뒤면측에서 배터리(9)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커넥터(5)와 대향하는 위치에 걸쳐져 배치되어 있고, 푸시버튼부(11)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번호 등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마더기판(4)과 배터리(9)와의 사이에 송수신 유닛 (6)의 프레임체(7)에 일부를 개재시켜 프레임체(7)를 마더기판(4)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마더기판(4)과 배터리(9)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공간 펙터가 좋고, 소형의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마더기판(4)과 배터리(9)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 프레임체(7)의 일부의 내부에 커넥터(8)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8)를 마더기판(4)쪽의 커넥터(5)에 결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커넥터(5) 근방의 푸시버튼부(11)를 눌렀을 때 마더기판 (4)과 프레임체(7)의 일부는 배터리(9)에 의하여 그 변형이 저지되어 커넥터(5 ,8)의 휘어짐이 없으므로 양자의 접속이 안정됨과 동시에 커넥터(5, 8)가 파손이 없고, 수명이 긴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프레임체(7)를 높이가 높은 박스형상부(7a)와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 (7b)로 구성하고,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7b)를 마더기판(4)과 배터리 (9)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프레임체(7)를 편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박형의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내에 설치되고, 이면쪽에 누름버튼을 가지는 스위치부재가 설치된 마더기판과,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고 박스형상의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내에 수납한 각종의 전기부품을 가지는 송수신 유닛과,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된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송수신 유닛의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프레임체의 하부를 상기 마더기판 표면쪽에 올려 놓은 상태로 상기 마더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마더기판과 반대쪽의 상기 프레임체의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상기 프레임체와 간극없이 올려 놓아,
    상기 마더기판과 상기 배터리와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체의 일부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제 1 커넥터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마더기판에는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결합하는 제 2 커넥터부를 설치하고, 상기 마더기판과 상기배터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체의 일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부와 상기 제 2 커넥터부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높이가 낮은 박스형상부와 높이가 높은 박스형상부로 구성하고, 높이가 낮은 상기 박스형상부를 상기 마더기판과 상기 배터리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KR1019990028603A 1998-07-16 1999-07-15 휴대전화기 KR100340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02144 1998-07-16
JP20214498A JP3720588B2 (ja) 1998-07-16 1998-07-16 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22A KR20000011722A (ko) 2000-02-25
KR100340479B1 true KR100340479B1 (ko) 2002-06-12

Family

ID=1645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603A KR100340479B1 (ko) 1998-07-16 1999-07-15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56768B1 (ko)
JP (1) JP3720588B2 (ko)
KR (1) KR100340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7062B2 (en) * 2000-07-03 2004-04-06 Rohm Co.,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case used for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6050054A (ja) * 2004-08-02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消費電流制御方法
KR100664168B1 (ko) * 2004-11-0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EP2046105A4 (en) * 2006-07-25 2012-09-26 Panasonic Corp PCB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685A (ja) 1994-03-30 1995-10-20 Canon Inc 無線装置の筺体
JP3493808B2 (ja) * 1995-05-23 2004-02-03 ソニー株式会社 電磁波遮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0588B2 (ja) 2005-11-30
JP2000036857A (ja) 2000-02-02
US6356768B1 (en) 2002-03-12
KR20000011722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5209B2 (ja) 電池ホルダ
US20120073944A1 (en) Switch integrated casing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casing
EP2194550B1 (en) Side ke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69747B2 (en) Card connector
KR920003585A (ko) 일체형 접지 시일드를 갖는 층형 소켓 어셈블리
WO2001016864A1 (en) Carrier element for an electronic media apparatus
JP2000020192A (ja) Icカード
KR10071676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위치 모듈
KR900019295A (ko) 인쇄 회로 기판 에지 커넥터
KR100340479B1 (ko) 휴대전화기
JPH09306576A (ja) バッテリィ用端子
US7747009B2 (en)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CN2916975Y (zh) 电连接器
CN108174512B (zh) 电子设备
EP0601711B1 (en) A battery pack
US5993231A (en) Electric connector
US6166337A (en) Devic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contacted by depressing a key located at a housing wall which makes an angle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US6431883B2 (en) Input/output connector for a mobile electric device
KR100463909B1 (ko) 소형 택트 스위치
CN101752765B (zh) 电连接器
JPH11225192A (ja) 電子機器の実装構造
CN214254193U (zh) 智能墙壁开关
KR100300362B1 (ko) 푸시버튼 스위치
CN219164709U (zh) 一种用于无线耳机的触控组件及无线耳机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