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68B1 -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68B1
KR100664168B1 KR1020040088956A KR20040088956A KR100664168B1 KR 100664168 B1 KR100664168 B1 KR 100664168B1 KR 1020040088956 A KR1020040088956 A KR 1020040088956A KR 20040088956 A KR20040088956 A KR 20040088956A KR 100664168 B1 KR100664168 B1 KR 10066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tray
tray
accommodating par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745A (ko
Inventor
김경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배터리와;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가 단말기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본체의 낙하시 배터리가 단말기본체에서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출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ATTERY TRAY}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말기본체 100 : 본체부
120 : 배터리 트레이 121 : 외곽벽
122 : 가이드 123 : 가이드홈
124 : 관통공 125 : 인출스프링
130 : 배터리 140 : 인출버튼
141 : 고정돌기 142 : 버튼스프링
150 : 배터리 수용부 200 : 폴더부
본 발명은,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판상의 배터리와;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폴더부(20)를 구비한 단말기본체(1)와, 단말기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배터리(1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의 상단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가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배터리(1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터리 수용홈(12)이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홈(12)의 하단에는 접촉단자(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배터리(13)의 상단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배터리(13)를 착탈가능하게 본체부 (10)에 결합시키는 결합버튼(12b)이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13)의 전면 하측에는 접촉단자(12a)와 접촉하여 단말기본체(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판형단자(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 일측에는 결합버튼(12b)의 일부가 삽입되어 배터리(13)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13b)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단말기본체(1)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단말기본체(1)에 외력이 가해지면, 결합홈(13b)에 삽입되어 배터리(13)를 고정하고 있는 결합버튼(12b)이 결합홈(13b)에서 이탈되어 배터리(13)가 쉽게 단말기본체(1)에서 분리되어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가 단말기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단말기본체의 낙하시 배터리가 단말기본체에서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출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상의 배터리와;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판상의 배터리(130)와, 내부에 배터리(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150)를 구비한 단말기본체(1)와, 배터리 수용부(150)의 개구를 통하여 단말기본체(1)의 외부로 인출가능도록 배터리 수용부(150)에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상단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도록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테나(110)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 단면을 관통하여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부(150)가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 수용부(150)의 저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가이드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가이드홈(123)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배터리 트레이(120)가 수납되어 있다.
배터리 트레이(120)는 상단면이 관통된 장방형의 상자형태로 형성되며, 저부면의 주연부에는 배터리(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외곽벽(121)이 배터리(130)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트레이(120)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배터리 트레이(120)가 인출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123)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122)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트레이(120)는 탄성에 의하여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15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 트레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측 외곽벽(121)에 접촉되는 인출스프링(12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트레이(120)가 배터리 수용부(15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배터리 트레이(120)의 길이 방향에 형성된 일측 외곽벽(121)에는 관통공(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관통공(12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41)를 형성한 인출버튼(1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인출버튼(140)은 배터리 트레이(120)가 배터리 수용부(150)에 수용되었을때 관통공(124)에 고정돌기(141)가 삽입될 수 있는 본체부(100)의 일측 단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돌기(141)가 관통공(124)에서 삽입과 이탈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왕복 슬라이드 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인출버튼(140)은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왕복 슬라 이드 운동가능 하도록 인출버튼(140)의 일측에는, 일단은 인출버튼(140)의 일측 단면과 접촉하고 타단은 본체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101)과 접촉하고 있는 버튼스프링(14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130)를 교체시, 인출버튼(140)을 당겨 관통공(124)에서 고정돌기(141)가 이탈되도록 하면, 배터리 트레이(120)는 압축되어 있던 인출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하여 배터리 수용부(150)에서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배터리(130)를 배터리 트레이(120)에서 분리한다.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된 배터리 트레이(120)에 새로운 배터리를 삽입하고 배터리 트레이(120)를 인출 반대 방향으로 배터리 수용부(150)에 밀어 넣으면 인장된 인출스프링(125)은 외곽벽(121)과 접촉하여 다시 압축된다. 이때, 인출버튼(140)의 고정돌기(141)가 관통공(124)에 삽입되면 배터리 트레이(120)는 다시 배터리 수용부(150)에 수용되어 배터리 트레이(120)의 외부 인출을 억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판상의 배터리(130)와, 내부에 배터리(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150)를 구비한 단말기본체(1)와, 배터리 수용부(150)의 개구를 통하여 단말기본체(1)의 외부로 인출가능도록 배터리 수용부(150)에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트레이(120)는 배터리 수용부(150)에 본체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수직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직회전축(160)은 배터리 수용부(150)의 주연부에 구비되어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배터리 트레이(120)의 하단 일측 단면에는 수직회전축(16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형의 고리(127)가 판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트레이(120)는 회동하여 배터리 수용부(15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직회전축(160)에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배터리 트레이(120)의 주연부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배터리 트레이(120)의 길이보다 크지 않도록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수용홈(150)는 인출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있도록, 일측이 배터리 수용부(15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배터리 트레이(120)의 하단에 형성된 외곽벽(121)과 접촉하는 인출스프링(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인출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의 교체시, 인출버튼(140)을 당겨 관통공(124)에서 고정돌기(141)를 이탈시키면 배터리 트레이(120)는 압축된 인출스프링(125)이 탄성에 의하여 배터리 수용부(150)에서 수직회전축(16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배터리(130)를 배터리 트레이(120)에서 분리한다.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된 배터리 트레이(120)에 새로운 배터리를 삽입하고 배터리 트레이(120)를 회동시켜 배터리 수용부(150)에 밀어 넣으면 인장된 인출 스프링(125)은 외곽벽(121)과 접촉하여 다시 압축된다. 이때, 관통공(124)에 인출버튼(140)의 고정돌기(141)가 삽입되면 배터리 트레이(120)는 다시 배터리 수용부(150)에 수용되어 배터리 트레이(120)의 외부 인출을 억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의 배터리와;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가 단말기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단말기본체의 낙하시 배터리가 단말기본체에서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출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12)

  1.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직회전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외부로 인출되고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트레이와;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배터리 수용부에 수납되면 배터리 트레이의 수납된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트레이 고정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트레이는 회동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회전축에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주연부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길이보다 크지 않도록 호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탄성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측벽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측 단부에 접촉되는 인출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고정유지부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일측 단면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단말기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인출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버튼은, 일측이 상기 인출버튼의 단부와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단말기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지지턱과 접촉하는 버튼스프링을 더 포함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40088956A 2004-11-03 2004-11-03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56A KR100664168B1 (ko) 2004-11-03 2004-11-03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956A KR100664168B1 (ko) 2004-11-03 2004-11-03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45A KR20060039745A (ko) 2006-05-09
KR100664168B1 true KR100664168B1 (ko) 2007-01-04

Family

ID=3714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56A KR100664168B1 (ko) 2004-11-03 2004-11-03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06B1 (ko) * 2007-10-26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배터리 탈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691104B1 (ko) * 2010-07-27 2016-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49664B1 (ko) * 2015-03-20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966597A (zh) * 2017-11-16 2018-04-27 重庆华虹仪表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线上的电能表周转托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722A (ko) * 1998-07-16 2000-02-25 가타오카 마사타카 휴대전화기
KR20030056688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젝트 장치
KR20040071924A (ko) * 2003-02-07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47701A (ko) * 2003-11-18 2005-05-23 유경민 이동 통신기기용 2차 전지 수납부를 갖는 작동 기기
KR20050088850A (ko) * 2004-03-03 2005-09-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수납방식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722A (ko) * 1998-07-16 2000-02-25 가타오카 마사타카 휴대전화기
KR20030056688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젝트 장치
KR20040071924A (ko) * 2003-02-07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47701A (ko) * 2003-11-18 2005-05-23 유경민 이동 통신기기용 2차 전지 수납부를 갖는 작동 기기
KR20050088850A (ko) * 2004-03-03 2005-09-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수납방식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45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664168B1 (ko)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216316138U (zh) 手柄机构、用于可移除收纳第一移动电源的设备及手提箱
JP3088349B2 (ja) バッテリ固定構造
JP200611560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5454818B1 (ja)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US7065389B2 (en) Lock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in a handheld radiotelephone
KR200487112Y1 (ko) 여행용 캐리어의 보조배터리 착탈장치
KR100761272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9818639B (zh) 一种卡托和移动终端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US11063627B2 (en) Storage device for portable device used in luggage
KR1006424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4551B1 (ko) 배터리 커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54442B1 (ko) 데이터 저장장치의 케이스
CN215635945U (zh) 带移动终端支架功能的烟盒
CN217039611U (zh) 收纳装置
KR101240267B1 (ko) 배터리 록킹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377543B1 (ko) 카드 수납형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JP2009054335A (ja) 電池カプラーおよび電子機器
KR940008201Y1 (ko) 밧데리팩의 오삽입 방지구조
KR10066157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0690714B1 (ko) 유에스비커넥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8451124B (zh) 一种用于拉杆箱的储物组件、拉杆箱
KR20000004869U (ko)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