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208B1 -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208B1
KR102015208B1 KR1020177036916A KR20177036916A KR102015208B1 KR 102015208 B1 KR102015208 B1 KR 102015208B1 KR 1020177036916 A KR1020177036916 A KR 1020177036916A KR 20177036916 A KR20177036916 A KR 20177036916A KR 102015208 B1 KR102015208 B1 KR 10201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on
virtual
virtual target
rang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984A (ko
Inventor
융 탕
창옌 랴오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automaticall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player, e.g. automatic braking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예이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역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들
본 출원은 2015년 6월 16일자 출원되고,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ACTION WITH VIRTUAL TARGET"이라고 하는 중국 특허 출원 201510332892.X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상 타깃(virtual target)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들의 급속한 발달로, 컴퓨터 기술들은 사람의 생활을 매우 편리하게 하고, 사람의 생활의 질을 개선시키고 있다. 생활의 편의를 즐기면서, 사람은 또한 오락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에, 다양한 게임 제품들이 개발된다. 게임 과정 중에, 제어형 가상 캐릭터(controlled virtual character)가 게임 시나리오에서,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들을 상호작용을 위한 대상들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게임 시나리오에서, 상호작용 명령이 획득된 후에,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이 상호작용을 위한 디폴트에 의해 선택된다. 선택된 가상 타깃이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호작용하기를 시도하는 가상 타깃이 아니면,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위치는 다른 명령을 획득함으로써 조정될 필요가 있고, 결국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발생하고 리소스 낭비를 초래한다.
그것에 기초하여, 전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해,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복수의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복수의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복수의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한다.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고,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예이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상기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는 종래의 방법에서 상호작용을 위한 디폴트에 의해 제어형 가상 타깃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것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상호작용을 위한 보다 적절한 가상 타깃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리소스 낭비를 줄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또는 기존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분명히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 실시예들 또는 기존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단히 소개한다. 분명히,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 노력들 없이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해 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의 구현의 응용 환경의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특정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 후의 단계들의 특정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게임 시나리오에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스킬 캐스팅 명령(skill casting instruction)을 수행하는 논리적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정상 공격 명령(normal attack instruction)을 수행하는 논리적 플로우차트이고;
도 9는 특정한 게임 시나리오에서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구조의 블록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구조의 블록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모듈의 내부 구조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들, 기술적 해결책들, 및 장점들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이 첨부 도면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에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들은 단지 제1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의 구현의 응용 환경의 도면이다. 응용 환경은 단말기(102) 및 서버(104)를 포함한다. 단말기(102)는 이동 전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단말기(102)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서버(104)와 통신한다.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에서의 단말기(102)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다. 단말기(102)는 시스템 버스를 사용하여 접속된 프로세서, 저장 매체,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단말기의 저장 매체는 운영 체제를 저장하고,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를 더 포함한다.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는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계산 및 제어 능력들을 제공하고, 전체 단말기(102)의 가동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102) 내의 메모리는 저장 매체 내에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의 가동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서버(104)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가상 캐릭터 및 가상 타깃의 데이터를 서버(104)에 업로드하고, 가상 캐릭터 및 서버(104)에 의해 반환된 가상 타깃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102)의 디스플레이는 게임 시나리오 등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덮는 터치 층일 수 있거나, 단말기(102)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버튼, 트랙 볼, 또는 터치 보드일 수 있거나, 외부 키보드, 터치 보드, 또는 마우스 등일 수 있다. 종래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도 2에 도시한 구조는 단지 본원의 해결책에 관련된 구조의 일부의 블록도이고, 본원의 해결책이 적용되는 단말기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특정한 단말기는 도면에 도시한 소자들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소자들을 조합할 수 있거나, 상이한 소자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의 단말기(102)에서 도 3에 도시한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것이 설명을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302: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한다.
상호작용 명령은 여기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명령을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호작용 명령은 제공된 조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획득된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호작용 명령은 게임 시나리오에서 조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상호작용 명령은 다양한 공격 명령들, 다이얼로그 명령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명령은 I/O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I/O 디바이스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스킬 버튼 또는 가상 타깃을 클릭할 때, 상호작용 명령이 발생된다.
단계 S304: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예이면, 단계 S306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308을 수행한다.
상호작용 거리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작용 명령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거리 범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명령들은 상이한 상호작용 거리 범위들에 대응한다. 상호작용 명령이 획득된 후에, 먼저, 시나리오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 및 각각의 가상 타깃의 위치 데이터가 획득될 필요가 있고,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는 가상 타깃 및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계산된다.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이하이면, 가상 타깃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들고, 그렇지 않으면, 가상 타깃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를 넘어간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가 5미터이고,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는 7미터이므로,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정상 공격 명령일 때, 시나리오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와 각각의 가상 캐릭터의 위치 데이터가 획득되고, 각각의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는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위치 데이터에 따라 계산되고, 시나리오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로부터 5미터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가 검출된다.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스킬 캐스팅 명령일 때, 시나리오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로부터 7미터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가 검출된다.
단계 S306: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는 다양한 유형들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하는 우선순위 조건 데이터를 말하고, 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조건은 실제 요건들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셋업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조건을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제공된 셋업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게임 시나리오에서, 거리 우선순위, 타깃 속성 값 우선순위 등으로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우선순위 조건을 설정한다. 우선순위 데이터는 보다 작은 거리를 갖는 가상 타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거나, 보다 작은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것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셋업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식별자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 내에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식별자 및 대응하는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을 위해 서버의 저장 디바이스에 더 업로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가 우선순위 데이터를 근거리에서 획득할 수 없을 때, 단말기는 서버의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가 가상 타깃의 선택 동안, 보다 작은 거리를 갖는 가상 타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표시하면,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이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2개보다 많은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들이 있으면, 가상 타깃은 무작위로 선택되거나, 최소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이 2개보다 많은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된다.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가 가상 타깃의 선택 동안, 보다 작은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표시하면, 최소 속성 값이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2개보다 많은 최소 속성 값들이 있으면, 가상 타깃은 무작위로 선택되거나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이 2개보다 많은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된다.
단계 S308: 상호작용 명령의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 명령을 종료하거나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는 경우에, 상호작용 명령들의 일부 유형들이 더 수행될 수 있지만, 상호작용 명령들의 일부 유형들은 수행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정상 공격 명령 또는 단일 타깃 공격 스킬 명령일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2개의 명령이 수행될 수 없고, 바로 종료되고;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방향성 스킬 명령일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상호작용 명령은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향하는 방향으로 수행되고;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지정된 스킬 명령일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상호작용 명령은 디폴트 위치에서 수행된다.
단계 S310: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타깃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선택된 후에,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 밖에, 가상 타깃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된 데이터 및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함으로써 발생된 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음으로써, 데이터 동기화를 구현한다.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고,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예이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전술한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서 상호작용을 위한 디폴트에 의해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것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상호작용을 위한 보다 적절한 가상 타깃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리소스 낭비를 줄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S402: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가상 타깃들에 대응하는 레벨들을 획득하고, 최고 레벨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 데이터는 가상 타깃의 레벨 및 상이한 레벨들의 가상 타깃들에 대해 설정된 선택 우선순위 조건을 포함한다. 가상 타깃들은 상이한 레벨들로 분류되고,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이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등이다. 시나리오에서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다수의 가상 타깃들이 있을 때, 첫째로,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가상 타깃들 내에 포함된 레벨들이 획득될 필요가 있고, 둘째로,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가상 타깃들은 가상 캐릭터, 가상 동물, 및 가상 기기와 같은 상이한 타깃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캐릭터는 제1 레벨 가상 타깃이고, 가상 동물은 제2 레벨 가상 타깃이고, 가상 기기는 제3 레벨 가상 타깃이다.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가상 타깃들이 제1 레벨 가상 타깃, 제2 레벨 가상 타깃,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을 동시에 포함하면, 최고 레벨을 갖는 제1 레벨 가상 타깃이 3개의 유형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가상 타깃들이 단지 제2 레벨 가상 타깃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을 포함하면, 최고 레벨을 갖는 제2 레벨 가상 타깃이 2개의 유형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된다. 선택 규칙이 다른 경우들에 적용가능하고, 상세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 S404: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최고 레벨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 또는 최고 레벨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최소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최고 레벨을 갖는 다수의 가상 타깃들이 단계 S402에서 선택될 수 있고, 여기서, 가상 타깃이 최고 레벨을 갖는 다수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이 최고 레벨을 갖는 다수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최소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이 최고 레벨을 갖는 다수의 가상 타깃들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셋업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와 제1 파리미터 및 제2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들이 더 포함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 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단계 S502: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호작용 명령은 제공된 조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획득된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호작용 명령은 게임 시나리오에서 조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상호작용 명령은 다양한 공격 명령들, 다이얼로그 명령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504: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를 넘어가는지를 검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506을 수행하고; 예이면, 단계 S508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명령이 획득된 후에, 먼저,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이 획득되고; 또한, 미리 저장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가 획득되고; 제1 범위 및 제2 범위가 계산에 의해 획득된다.
제1 범위는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제1 파라미터의 합이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상호작용 거리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제2 범위는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제2 파라미터의 합이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가상 타깃에 대해 탐색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들이 그 상호작용 범위들에 따라,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들과 장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들로 분류될 수 있다.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단거리 가상 캐릭터이면,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제1 범위 및 제2 범위는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장거리 가상 캐릭터이면, 장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제1 범위 및 제2 범위는 장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506: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을 계속한다.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 내에 들면, 그것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든다는 것을 표시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는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계속된다.
단계 S508: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출하고, 예이면, 단계 S51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512를 수행한다.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를 넘어가면, 그것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상호작용 거리 범위를 넘어가는 것을 표시하고,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드는지가 더 검출되고, 즉, 제2 범위 내에서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에 대한 탐색이 수행된다.
단계 S510: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들면,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제어가 수행된다.
단계 S512: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514를 수행하고, 예이면, 단계 S516을 수행한다.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를 넘어가면,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은 폐기되어야 하고,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또 하나의 가상 타깃이 있는지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검출된다.
단계 S514: 상호작용 명령의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 명령을 종료하거나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는 경우에, 일부 유형들의 상호작용 명령들은 더 수행될 수 있지만, 일부 유형들의 상호작용 명령들은 수행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게임 시나리오에서,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정상 공격 명령 또는 단일 타깃 공격 스킬 명령일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2개의 명령이 수행될 수 없고, 바로 종료되고;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방향성 스킬 명령일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상호작용 명령은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향하는 방향으로 수행되고;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지정된 스킬 명령일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상호작용 명령은 디폴트 위치에서 수행된다.
단계 S516: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다고 검출되면, 단계 S516이 수행된다.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는 가상 타깃들의 다양한 유형들을 선택하는 우선순위 조건 데이터를 참조하고, 가상 타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조건은 실제 요건들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셋업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조건을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제공된 셋업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게임 시나리오에서, 거리 우선순위, 타깃 속성 값 우선순위 등으로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우선순위 조건을 설정한다. 우선순위 데이터는 보다 작은 거리를 갖는 가상 타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거나, 보다 작은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셋업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식별자에 따라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식별자 및 대응하는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을 위해 서버에 더 업로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가 우선순위 데이터를 근거리에서 획득할 수 없을 때,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18: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타깃이 선택된 후에,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 밖에, 가상 타깃을 선택함하고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함으로써 발생된 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음으로써, 데이터 동기화를 구현한다.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전술한 방법을 보다 분명히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게임 시나리오에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시나리오 M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 A는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이고,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호작용 명령은 게임 시나리오에서 조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게임 시나리오 M에서, 가상 타깃들 B, C, 및 D는 제1 레벨 가상 타깃들이고; 가상 타깃들 a, b, 및 c는 제2 레벨 가상 타깃들이고; 가상 타깃들 β 및 ε는 제3 레벨 가상 타깃들이다.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스킬 캐스팅 명령일 때, 범위 내의 점과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 간의 거리를 갖는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R(예를 들어, R=20미터) 이하인지가 검출된다. 도 6으로부터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제1 레벨 가상 타깃들 B 및 C, 제2 레벨 가상 타깃들 a 및 b,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들 β가 있고;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를 넘어 제1 레벨 가상 타깃들 D, 제2 레벨 가상 타깃들 c,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들 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모든 가상 타깃들의 레벨이 획득된 후에, 최고 레벨을 갖는 제1 레벨 가상 타깃들 B 및 C가 가상 타깃들로서 선택되고;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에 가장 가까운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B 및 C 내의 가상 타깃, 또는 최소 속성 값을 갖는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B 및 C 내의 가상 타깃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에 가장 가까운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B 및 C 내의 가상 타깃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선택되면, 제1 레벨 가상 타깃 B와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 간의 거리는 1.5미터이고, 제1 레벨 가상 타깃 C와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 간의 거리는 3미터이고, 제1 레벨 가상 타깃 B가 가상 타깃으로서 선택되고,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제1 레벨 가상 타깃 B와 상호작용하도록 제어된다. 제1 레벨 가상 타깃은 없고,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제2 레벨 가상 타깃들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들만이 있다고 가정하면, 제2 레벨 가상 타깃들이 먼저 선택되고,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에 가장 가까운 제2 레벨 가상 타깃들 내의 가상 타깃 또는 최소 속성 값을 갖는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내의 가상 타깃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다.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으면, 상호작용 명령은 스킬의 추가 분류 결과에 따라 종료 또는 수행된다. 스킬 캐스팅 명령을 수행하는 논리적 플로우차트에 대해 도 7을 참조한다.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이 정상 공격 명령일 때,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범위 내의 점과 단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 A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거리 r(예를 들어, r=5미터) 이하인, 가상 타깃이 있는지가 검출된다. 도 6으로부터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제2 레벨 가상 타깃 a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 β가 있고;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를 넘어 제1 레벨 가상 타깃들 B, C, 및 D, 제2 레벨 가상 타깃들 b 및 c, 및 제3 레벨 가상 타깃 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모든 가상 타깃들의 레벨이 획득된 후에, 최고 레벨을 갖는 제2 레벨 가상 타깃 a가 가상 타깃들로서 선택된다.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고, 정상 공격 명령이 바로 종료된다고 가정한다. 정상 공격 명령을 수행하는 논리적 플로우차트에 대해 도 8을 참조한다.
또한, 제어형 가상 캐릭터 A가 장거리 상호작용 가상 캐릭터이면, 상이한 검출 범위를 제외하고,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 A를 제어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고, 상세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온라인 게임들, 및 특히,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Games,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 게임들) 유형의 게임들에 적용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게임 시나리오에서, 히어로(902)는 제어형 가상 캐릭터이고, 사용자는 게임 시나리오에서 조작 인터페이스 내의 정상 공격 버튼(904)을 클릭함으로써 정상 공격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스킬 버튼(906)을 클릭함으로써 스킬 캐스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게임 시나리오에서, 히어로(908)는 히어로(902)에 적대하는 제1 레벨 가상 타깃이고, 몬스터(910)는 히어로(902)에 적대하는 제2 레벨 가상 타깃이고, 빌딩(912)은 히어로(902)에 적대하는 제3 레벨 가상 타깃이다.
사용자가 정상 공격 버튼(904)을 클릭할 때, 상호작용 거리 범위가 게임 시나리오에서 형성되고,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가 검출된다. 스킬 캐스팅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히어로(908)만이 있고, 그러므로, 히어로(902)는 가상 타깃으로서 최고 레벨을 갖는 히어로(908)를 선택한다는 것을 도 9로부터 알 수 있다. 정상 공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없고, 그러므로, 정상 공격 명령이 바로 종료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게임 시나리오에서 제어형 가상 캐릭터 및 각각의 가상 타깃은 대응하는 속성 값들을 갖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프레임(914)은 블러드 값 및 경험 값과 같은, 히어로(902)의 속성 값들을 보일 수 있다. 히어로(902)의 상호작용 범위 내에 최고 레벨을 갖는 다수의 가상 타깃들이 있을 때, 히어로(902)에 가장 가까운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내의 가상 타깃, 또는 최소 속성 값을 갖는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내의 가상 타깃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을 위해 선택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1000)는 상호작용 명령 획득 모듈(1002), 검출 모듈(1004), 선택 모듈(1006), 및 상호작용 제어 모듈(1008)을 포함한다.
상호작용 명령 획득 모듈(1002)은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1004)은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모듈(1006)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호작용 제어 모듈(1008)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장치(1100)는 상호작용 명령 획득 모듈(1102), 검출 모듈(1104), 선택 모듈(1106), 상호작용 제어 모듈(1108), 파라미터 획득 모듈(1110) 및 저장 모듈(1112)을 포함한다.
상호작용 명령 획득 모듈(1102)은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1104)은 획득된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모듈(1106)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호작용 제어 모듈(1108)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파라미터 획득 모듈(1110)은 셋업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모듈(1112)은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과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호작용 명령 획득 모듈(1102)은 상호작용 제어 모듈(1108)이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 후에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검출 모듈(1104)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를 넘어가는지를 검출하도록 더 구성되고, 예이면,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드는지가 검출 모듈(1104)을 사용하여 검출되고, 예이면,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호작용 제어 모듈(1108)을 사용하여,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제어된다.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제1 범위 내에 들면,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호작용 제어 모듈(1108)을 사용하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더 제어된다.
제1 범위는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제1 파라미터의 합이고; 제2 범위는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제2 파라미터의 합이다.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1104)은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제2 범위를 넘어갈 때,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더 구성되고, 예이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가 선택 모듈(1106)을 사용하여 획득되고;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가상 타깃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선택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호작용 제어 모듈(1108)을 사용하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선택 모듈(1200)은 레벨 획득 유닛(1202) 및 선택 유닛(1204)을 포함한다.
레벨 획득 유닛(1202)은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가상 타깃 내에 포함된 레벨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유닛(1204)은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내의 가상 타깃, 또는 최소 속성 값을 갖는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들 내의 가상 타깃이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방법들의 과정들의 모두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할 때, 전술한 실시예들의 방법들의 과정들이 수행된다.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몇 가지 구현 방식들을 설명하고, 그들의 설명은 특정적이고 상세하지만,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의 특허 범위로의 제한이라고 이해될 수 없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변형들 및 개선들을 더 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드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의 특허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1)

  1. 가상 타깃(virtual target)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I/O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호작용 명령(interaction instruction)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된 후에,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controlled virtual character)를 제어하는 단계; 및
    셋업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과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를 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범위를 넘을 때,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기 제2 범위 내에 들 때,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상기 제1 파라미터의 합이고;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와 상기 제2 파라미터의 합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상기 가상 타깃들의 레벨들을 획득하는 단계;
    최고 레벨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최고 레벨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에서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 또는 상기 최고 레벨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에서 최소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기 제2 범위를 넘을 때,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가상 타깃을 선택하고,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셋업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과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를 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범위를 넘을 때,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기 제2 범위 내에 들 때,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상기 제1 파라미터의 합이고;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와 상기 제2 파라미터의 합인,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의 상기 가상 타깃들의 레벨들을 획득하고, 최고 레벨을 갖는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최고 레벨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에서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에 가장 가까운 가상 타깃, 또는 상기 최고 레벨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타깃에서 최소 속성 값을 갖는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기 제2 범위를 넘을 때,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가상 타깃을 선택하고,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기.
  7.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 가상 타깃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가상 타깃들이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검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상호작용 거리 범위 내에서 가상 타깃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셋업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의 유형과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간의 대응관계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상기 상호작용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 간의 거리가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1 범위를 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범위를 넘을 때,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제2 범위 내에 드는지를 검출하는 단계(S508);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이 상기 제2 범위 내에 들 때,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가 상기 현재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상 타깃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제어형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S506)
    를 더 수행하게 하고,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거리와 상기 제1 파라미터의 합이고;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상호작용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상호작용 거리와 상기 제2 파라미터의 합인, 비휘발성 저장 매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7036916A 2015-06-16 2016-05-10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KR102015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332892.X 2015-06-16
CN201510332892.XA CN104915117B (zh) 2015-06-16 2015-06-16 控制与虚拟目标进行交互的方法和装置
PCT/CN2016/081484 WO2016202119A1 (zh) 2015-06-16 2016-05-10 控制与虚拟目标进行交互的方法、终端和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984A KR20180013984A (ko) 2018-02-07
KR102015208B1 true KR102015208B1 (ko) 2019-08-27

Family

ID=5408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16A KR102015208B1 (ko) 2015-06-16 2016-05-10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53960B2 (ko)
EP (1) EP3311894B1 (ko)
JP (1) JP6685539B2 (ko)
KR (1) KR102015208B1 (ko)
CN (1) CN104915117B (ko)
CA (1) CA2989209C (ko)
WO (1) WO2016202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5117B (zh) * 2015-06-16 2017-03-22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控制与虚拟目标进行交互的方法和装置
CN105194873B (zh) 2015-10-10 2019-01-04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69819B1 (ko) * 2016-04-11 2018-06-21 (주) 덱스인트게임즈 사용자 캐릭터의 자동 공격 제어 방법
CN106178508A (zh) * 2016-07-07 2016-12-07 深圳市豹风网络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网络游戏的游戏角色数据记录方法
JP6143934B1 (ja) * 2016-11-10 2017-06-07 株式会社Cygames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850884B2 (ja) * 2017-01-05 2021-03-31 テンセント・テクノロジー・(シェンジェ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CN106914019B (zh) * 2017-03-17 2018-09-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服务器
CN107564510A (zh) * 2017-08-23 2018-01-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语音虚拟角色管理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US10748342B2 (en) * 2018-06-19 2020-08-18 Google Llc Interaction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objects
CN109471712B (zh) * 2018-11-21 2023-03-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环境中的虚拟对象的调度方法、装置及设备
US10786734B2 (en) * 2019-02-20 2020-09-29 Supercell Oy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s in gaming environment
CN111481932B (zh) * 2020-04-15 2022-05-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589126B (zh) * 2020-04-23 2023-07-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779433A (zh) 2020-06-05 2023-03-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控制虚拟对象释放技能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672117B (zh) * 2020-06-05 2021-07-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选择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672113B (zh) * 2020-06-05 2022-03-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选择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057849A (zh) * 2020-09-15 2020-12-1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场景渲染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55516A (zh) * 2021-01-26 2021-05-0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交互控制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1484793B1 (en) * 2021-09-02 2022-11-01 Supercell Oy Game control
CN113827969A (zh) * 2021-09-27 2021-12-2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对象的交互方法和装置
CN114917587B (zh) * 2022-05-27 2023-08-25 北京极炬网络科技有限公司 虚拟角色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952A (ja) 2001-09-14 2003-03-18 Square Co Ltd 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
JP2004174017A (ja) * 2002-11-28 2004-06-24 Sega Corp アクションゲー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122123A (ja) * 2004-10-26 2006-05-18 Game Republic:Kk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5705B2 (ja) * 1999-11-30 2004-03-15 株式会社光栄 記録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02066131A (ja) * 2000-09-04 2002-03-05 Koei:Kk キャラクタ移動制御方法、記録媒体、ゲーム装置
JP4974321B2 (ja) * 2001-09-19 2012-07-11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サーバ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5019897B2 (ja) * 2007-02-07 2012-09-05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CN101515373B (zh) * 2009-03-26 2011-01-19 浙江大学 竞技性交互式动画生成方法
US10449457B2 (en) * 2011-04-20 2019-10-22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atchmaking population herding
CN103593546B (zh) * 2012-08-17 2015-03-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无动态阻挡网络游戏系统及其处理方法
CN103729533A (zh) * 2012-10-16 2014-04-16 人人游戏网络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用于处理游戏的方法和装置
US10350487B2 (en) * 2013-06-11 2019-07-16 We Made I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rgeting target objects in a computer game
JP6313937B2 (ja) * 2013-07-19 2018-04-18 株式会社カプコン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015039386A (ja) *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03501287B (zh) * 2013-09-03 2017-02-2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运行中确定动作命中对象的方法和设备
US11465040B2 (en) * 2013-12-11 2022-10-11 Activision Publish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video games on touchscreen-based devices
JP6031471B2 (ja) * 2014-05-30 2016-11-24 グリー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CN104635925A (zh) * 2015-01-05 2015-05-20 徐杨 一种滑动手势锁定目标的方法及装置
CN104915117B (zh) * 2015-06-16 2017-03-22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控制与虚拟目标进行交互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952A (ja) 2001-09-14 2003-03-18 Square Co Ltd 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
JP2004174017A (ja) * 2002-11-28 2004-06-24 Sega Corp アクションゲーム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40176163A1 (en) 2002-11-28 2004-09-09 Yoshifumi Ishihata Control program for action game
JP2006122123A (ja) * 2004-10-26 2006-05-18 Game Republic:Kk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2119A1 (zh) 2016-12-22
CN104915117A (zh) 2015-09-16
JP6685539B2 (ja) 2020-04-22
EP3311894A4 (en) 2018-04-25
CA2989209C (en) 2021-04-20
KR20180013984A (ko) 2018-02-07
EP3311894A1 (en) 2018-04-25
US10653960B2 (en) 2020-05-19
JP2018525056A (ja) 2018-09-06
US20170361230A1 (en) 2017-12-21
EP3311894B1 (en) 2021-06-30
CN104915117B (zh) 2017-03-22
CA2989209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08B1 (ko) 가상 타깃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저장 매체
KR102018212B1 (ko) 정보 처리 방법, 단말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10814221B2 (en) Method for locking target in game scenario and terminal
CN108465238B (zh) 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95075B1 (ko) 클라우드 기반 게임 시스템에서의 부하 균형
KR10139808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KR101869819B1 (ko) 사용자 캐릭터의 자동 공격 제어 방법
CN108211349B (zh) 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AU2021250929A1 (en) Virtual objec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076343A1 (en) Virtual item selection interface
US202202661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virtual object interaction mode, device, medium, and product
US20230356075A1 (en)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virtual object switching
CN112784985A (zh) 神经网络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图像识别方法及装置
WO2018043693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96700A (ja) プログラム
US20240017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task,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WO2023226569A9 (zh) 虚拟场景中的消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JP6931807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157132B2 (en) Immersive experience password authentication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KR101492248B1 (ko) 온라인 게임에 출현하는 객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1832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71970B1 (ko) 게임 내에서 가이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14104340A (ja) ゲーム方法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101440480B1 (ko) 게임에서 블럭들을 제거하는 방법, 블럭 제거 방법을 이용하여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모바일 단말
CN117753007A (zh) 虚拟场景的互动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