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524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524B1
KR102009524B1 KR1020180112281A KR20180112281A KR102009524B1 KR 102009524 B1 KR102009524 B1 KR 102009524B1 KR 1020180112281 A KR1020180112281 A KR 1020180112281A KR 20180112281 A KR20180112281 A KR 20180112281A KR 102009524 B1 KR102009524 B1 KR 10200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isplay panel
roller
motor assembly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065A (ko
Inventor
강기태
김도현
김경동
김호영
노창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암, 그리고 상기 제1 암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암을 구비하는 링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 상에서 움직이는 슬라이더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암과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은, 상기 제2 암의 기립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롤러에 감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롤러에서 펼치거나 롤러에 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롤러에 감거나 롤러에서 푸는 것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롤러에 감긴 디스플레이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로부터 풀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에 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롤러로부터 풀 때, 스프링을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롤러로부터 풀 때, 푸셔를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링크의 연결위치를 개선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리드 스크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롤러에 감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피를 줄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암, 그리고 상기 제1 암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암을 구비하는 링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 상에서 움직이는 슬라이더 그리고,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암과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은, 상기 제2 암의 기립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그리고, 일측이 상기 커버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더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공간에 상기 리드 스크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리드 스크류가 관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로드 마운트 그리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로드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 마운트와 상기 제2 로드 마운트는, 상기 리드 스크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상기 커버는, 일측이 상기 제1 로드 마운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일측이 상기 제2 로드 마운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제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바 상기 하우징의 밑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푸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상기 푸셔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밑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푸셔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상부 바가 상기 하우징에 근접하면, 상기 상부 바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암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마운트는, 내부공간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하단이 상기 링크 마운트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푸셔는, 상기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는, 제1 리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로부터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와 상기 제2 리드 스크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와 상기 제2 리드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리드 스크류 상에서 움직이는 제1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제2 리드 스크류 상에서 움직이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피치와 상기 제2 리드 스크류의 피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 그리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는, 상기 제1 스프링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드 스크류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리드 스크류가 관통하는 바디 그리고,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홀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돌출부의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스프링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리드 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는 제1 암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는 제2 암의 상부와 암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의 하부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암의 상부는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암의 기어와 상기 제2 암의 기어는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1 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제1 로드와 연결되는 제1 링크 그리고, 상기 제2 로드와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의 제1 암과 상기 제2 링크의 제1 암을 연결하는 상부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에 배치되는 소스 PCB, 상기 롤러 내부에 배치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 그리고, 상단이 상기 소스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FC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FFC 케이블은, 상기 롤러에 감길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고정되고, 후면에 소스 PCB가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모듈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FFC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모듈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모듈커버를 관통하는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스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커버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어느 일 세그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마주보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연결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과 마주하고, 상기 링크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롤러에 감긴 디스플레이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로부터 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에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롤러로부터 풀 때, 스프링을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롤러로부터 풀 때, 푸셔를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링크의 연결위치를 개선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리드 스크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롤러에 감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7k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0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5 내지 도 6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7k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우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 또는 우측면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좌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 또는 좌측면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상측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하측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전방 방향 또는 앞쪽 방향 또는 전면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후방 방향 또는 뒤쪽 방향 또는 후면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제 1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y축 방향은 제 2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z축 방향은 제 3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신축성을 가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15)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커버(15)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거나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은 모듈커버(1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PCB를 차폐할 수 있다. 즉, 모듈커버(15)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덮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PCB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너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을 덮는 아우터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우징(30)은 하나의 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30)이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에 위치한 여러가지 구동장비나 구동회로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제 1, 3 방향으로의 폭은 디스플레이부(20)를 내부에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0)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하우징(30)의 제 2 방향으로의 폭은 디스플레이부(20)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에는 하우징(3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한 제 1 상태와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된 제 2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에 차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0) 내에 위치한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감겨있는 제 1 상태에서 롤러가 풀어져 디스플레이부(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가 풀어져 있다 감기면 제 2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롤러와 디스플레이부(20)의 자세한 구조 및 작동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할 때만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3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 단에 패널 롤러(143)가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1 상태에 또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롤러(143)라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2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20)의 일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활성 영역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의 외주에 안착부(379)가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379)는 패널 롤러(143) 외주의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수용공간(B)를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패널 롤러(143)가 권취되면서 소스 PCB(120)가 패널 롤러(143)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379)는 패널 롤러(143)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패널 롤러(143)가 감길 때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가 형성하는 수용공간(B)로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가 감겨도 소스 PCB(120)에 손상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FFC 케이블(117)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은 스크류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의 사이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스크류는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FFC 케이블(117)은 상부 패널 롤러(331)에 위치한 홀(331a)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및 소스 PCB(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FFC 케이블(117)이 꼬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승강하는 하우징(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되어 있고, 타측에는 메인 보드(109)와 파워 서플라이(107)가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와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와 배선 전극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배선 전극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파워 서플라이(107)를 연결해주는 제 1 배선 전극(307)과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메인 보드(109)를 연결해주는 제 2 배선전극(30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배선 전극(307)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 전극(307)은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307)은 패널 롤러(143) 회전축 중심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파워 서플라이(107)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배선 전극(309)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가 연결되는 FFC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배선 전극(309)은 패널 롤러(143) 회전축 중심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메인 보드(109)를 연결할 수 잇다.
제 1 배선 전극(307)과 제 2 배선 전극(309)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307)이 통과하는 개구부와 과 제 2 배선 전극(309)이 통하는 개구부는 상호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되며 파워 서플라이(107)와 메인 보드(109)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30) 내부에 패널 롤러(143), 모터 어셈블리(137) 및 링크(7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73)는 지지부(73)라고 칭할 수도 있다.
모듈커버(15)는 복수의 세그먼트(15a)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15a)는 에이프런(apron)으로 칭할 수도 있다.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30)의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다.
링크(73)는 하우징(30)에 설치될 수 있다. 링크(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링크(73)는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바(75, 도 9a 참조)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상단 상부 바에 연결되고, 하단이 패널 롤러(143)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과 하단 사이는 쉽게 휠 수 있다. 링크(73)는 모듈커버(15)가 휘지 않도록 모듈커버(15)의 후면에서 모듈커버(15)를 지지할 수 있다.
링크(73)가 연결되는 부분에 모터 어셈블리(137)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링크(73)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전기신호를 받아 물리적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링크(73)에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의 자세한 구조 및 구동 원리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링크(73)가 하우징(30) 내부로 승강하는 입구(30a)에 가이드 바(234)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바(234)는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입구(30a)는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는 링크(7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바(234a)는 링크(73)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 2 가이드 바(234b)는 링크(7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나의 롤러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5a)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15a)는 서로 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복수의 세그먼트(15a)로 구성되어,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는 접착층(7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층(70)에 의해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함께 권취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각각의 세그먼트(15a) 상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70)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15)가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제 2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구겨지지 않고, 패널 롤러(143, 도 7 참조)에 자연스럽게 풀리거나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15a)는 제 2 방향의 폭이 클수록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접착층(70)의 제 2 방향의 폭이 세그먼트(15a)의 제 2 방향의 폭의 30%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이 적게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김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의 제 2 방향의 폭이 세그먼트(15a)의 제 2 방향의 폭의 15% 이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김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은 제 3 방향의 폭이 두꺼울수록 외력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이 적을 수 있다. 상세하게, 접착층(70)은 제 3 방향의 폭이 두꺼울수록 유연성이 좋아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15a)는 제 3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김을 줄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세그먼트(15a)는 제 3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70)의 제 3 방향의 폭이 세그먼트(15a)의 제 3 방향의 폭의 3% 이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김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의 제 3 방향의 폭이 세그먼트(15a)의 제 3 방향의 폭의 6%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김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듈커버(15)가 복수개의 세그먼트(15a)를 포함하며, 접착층(70)이 각각의 세그먼트(15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듈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상부 바(75)에 체결될 수 있다. 모듈커버(15),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상부 바(75)는 스크류(115a, 115b)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115a, 115b)는 상부 바(75), 모듈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함께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류(115a)는 상부 바(75)와 모듈커버(15)를 체결할 수 있다. 또는, 스크류(115b)는 상부 바(7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체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a, 115b)는 모듈커버(15), 상부 바(7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함께 체결할 수도 있다.
모듈커버(15)의 상부는 상부 바(75)와 결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세그먼트(15t)는 모듈커버(15)의 최상부에 위치한 세그먼트일 수 있다. 상부 세그먼트(15t)는 타 세그먼트(15a)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상부 세그먼트(15t)는 상부 모듈커버(15t)로 칭할 수도 있다.
상부 세그먼트(15t)는 타 세그먼트(15a)와 연결되는 제1 바디(15ta)와 상부 바(75)와 결합하는 제2 바디(15t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5ta)의 하단은 타 세그먼트(15a)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바디(15tb)는 제1 바디(15t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바(75)는 +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7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5tb)는 홈(75a)에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115a)는 제2 바디(15tb)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바디(15ta)의 z축 방향 두께는 제2 바디(15tb)의 z축 방향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탑 케이스(167)는 상부 바(75), 모듈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덮을 수 있다. 상부 바(75), 모듈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탑 케이스(167)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탑 케이스(167)은 스크류에 의해 상부 바(75), 모듈커버(15)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체결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부 바(75)의 양측을 링크(73)가 지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바(75)는 링크(73)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링크(73)는 제1 암(73a)과 제2 암(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73a)은 상부 링크(73a)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2 암(73b)은 하부 링크(73b)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1 암(73a)과 제2 암(73b)은 암 조인트(1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암 조인트(152)는 힌지(152) 또는 조인트(152)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1 암(73a)의 상단은 상부 바(75)와 체결될 수 있고, 제1 암(73a)의 타단은 암 조인트(152)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암(73b)의 상단은 모터 어셈블리와 체결될 수 있고, 제2 암(73b)의 하단은 암 조인트(152)에 체결될 수 있다.
링크(73)가 하우징(30) 내부로 승강하는 입구(30a)에 가이드 바(234)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바(234)는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입구(30a)는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는 링크(7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바(234a)는 링크(73)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 2 가이드 바(234b)는 링크(7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링크(73)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 베이스(31)는 복수의 브라켓(22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는 바닥면(31)이라 칭할 수도 있다.
복수의 브라켓(221)은 패널 롤러(143)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브라켓(221)은 패널 롤러(1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브라켓(221)은 베이스(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브라켓(221)은 스크류를 통해 베이스(3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암 조인트(152) 내부에 위치한 제1 암(73a)의 타측과 제2 암(73b)의 일측이 상호 대응되어 맞물리는 기어 형상일 수 있다. 암 조인트(152)는 연결부(152)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1 암(73a)은 상부 지지 링크(73a)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2 암(73b)은 하부 지지 링크(73b)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1 암(73a)은 암 조인트(15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73b)은 암 조인트(15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73a)의 하부는 기어(st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암(73b)의 상부는 기어(st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73a)의 기어(st1)와 제2 암(73b)의 기어(st2)는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제1 암(73a)의 각도(HRA1)와 지면으로부터 제2 암(73b)의 각도(HRA2)는 제1 암(73a)과 제2 암(73b)가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이기 때문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양 측의 제1 암(73a)과 제2 암(73b) 사이의 각도 또한 제1 암(73a)과 제2 암(73b)가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이기 때문에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의 양측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 상부 바(75)의 높이와 관계없이 각각의 링크(73)의 제1 암(73a)과 제2 암(73b)사이의 각도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하우징(30) 내에 패널 롤러(143)뿐만 아니라 모듈커버 롤러(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 롤러(141)은 에이프런 롤러(141)라고 칭할 수도 있다.
링크(73) 전방에 패널 롤러(143)가 위치하며 후방에 모듈커버 롤러(141)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링크(73)를 기준으로 패널 롤러(143)와 모듈커버 롤러(141)는 상호 마주볼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할 수 있고, 모듈커버 롤러(141)는 모듈커버(15)를 권취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모듈커버(15)가 감긴 모듈커버 롤러(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감긴 패널 롤러(143)보다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137)는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유가 있는 링크(73)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어셈블리(137)는 링크(73)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우징(3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분리되어 권취되기 때문에 패널 롤러(143)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감는 힘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의 부착력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 롤러(141)가 모듈커버(15)를 감는 힘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의 부착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롤러에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모두 감기는 것에 비해, 각각의 롤러에 더 작은 무게가 권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널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쳐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 롤러(141)에 감긴 모듈커버(15)의 쳐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널 롤러(143)와 모듈커버 롤러(141)는 링크(73)을 기준으로 상호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롤러(143)와 모듈커버 롤러(141)는 링크(7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패널 롤러(143)와 모듈커버 롤러(141)는 링크(73)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모듈커버 롤러(141)는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커버(15)가 감긴 모듈커버 롤러(141)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감긴 패널 롤러(143)는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커버 롤러(141)는 패널 롤러(143)와 제 1 간격(PGD) 이상 이격됨으로써,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간격(PGD)은 패널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 롤러(141)에 감긴 모듈커버(15)의 간섭이 방지되는 거리일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패널 롤러(143)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모듈커버(15)가 패널 롤러(143)와 간섭되지 안도록 모듈커버(15)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압 롤러(147)는 패널 롤러(143)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커버(15)가 링크(73)에 접하도록 모듈커버(15)를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15)의 쳐짐이나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링크(73)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모듈커버(15)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가이드 롤러(145)와 가압 롤러(147)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모듈커버(15)가 패널 롤러(143)와 간섭되지 안도록 모듈커버(15)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커버(15)가 링크(73)에 접하도록 모듈커버(15)를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커버(15)의 쳐짐이나 휘어짐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호 간섭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듈커버의 양 측에 위치한 세그먼트(15c)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될 수 있다. 세그먼트(15c)는 제 3 모듈커버(15c)라고 칭할 수도 있다.
마그넷(64)은 세그먼트(15c)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64)은 양면 테이프를 통해 세그먼트(15c)에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64)은 각 세그먼트(15c)마다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마그넷(64)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넷(64)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세그먼트(15c)가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후면에 Fe-Ni 인바(Invar)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마그넷(64)과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의 양 측에만 위치한 마그넷(64)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부착되기 때문에, 마그넷(64)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마그넷(64)이 세그먼트(15c)의 홈(recess, 118)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8)은 세그먼트(15c)의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8)은 각각의 세그먼트(15c)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홈(118)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마그넷(64)은 세그먼트(15c)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세그먼트(15c)에 접촉되더라도 구겨지지 않고 평탄할 수 있다.
마그넷(64)이 홈(118)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세그먼트(15c)의 두께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상부 바(75)가 상승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양 단에 연결된 링크(73)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일 때 제1 암(73a)과 제2 암(73b) 사이의 각도(HRA)가 아주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가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가 패널 롤러에 감겨있을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 어셈블리(137)가 회전하면서, 제1 암(73a)과 제2 암(73b) 사이의 각도(HRA)가 커질 수 있다. 제1 암(73a)과 제2 암(73b) 사이의 각도(HRA)가 커지면서 상부 바(75)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에 감겨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가 점차 풀릴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일 때 제1 암(73a)과 제2 암(73b)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암(73a)과 제2 암(73b) 사이의 각도(HRA)가 180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는 최대 높이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가 패널 롤러에서 풀릴 수 있다.
도 1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암(73a)과 제2 암(73b)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암(73a)은 제 1 상부 암(73Ca)과 제 2 상부 암(73F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암(73b)은 제 1 하부 암(73Cb)과 제 2 하부 암(73F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부 암(73Ca)은 제 1 상부 링크(73Ca)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 2 상부 암(73Fa)은 제 2 상부 링크(73Fa)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 1 하부 암(73Cb)은 제 1 하부 링크(73Cb)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 2 하부 암(73Fb)은 제 2 하부 링크(73Fb)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1 암(73a)은 암 조인트(15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73b)은 암 조인트(15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상부 암(73Fa)은 제 1 상부 암(73Ca)보다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하부 암(73Fb)은 제 1 하부 암(73Cb)보다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상부 암(73Ca)의 하부는 기어(st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부 암(73Cb)의 상부는 기어(st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상부 암(73Ca)의 기어(st3)와 제 1 하부 암(73Cb)의 기어(st4)는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제 1 상부 암(73Ca)의 각도(HRA1)와 지면으로부터 제 1 하부 암(73Cb)의 각도(HRA2)는 제 1 상부 암(73Ca)과 제 1 하부 암(73Cb)이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양 측의 제 1 상부 암(73Ca)과 제 1 하부 암(73Cb) 사이의 각도 또한 제 1 상부 암(73Ca)과 제 1 하부 암(73Cb)이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는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지면으로부터 상부 바(75)의 높이와 관계없이 양 측의 제 1 상부 암(73Ca)과 제 1 하부 암(73Cb) 사이의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은 기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상부 암(73Fa)과 제 2 하부 암(73Fb) 사이의 각도는 제 1 상부 암(73Ca)과 제 1 하부 암(73Cb) 사이의 각도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도 17e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 하부 암(73a, 73b)이 하나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에 외력(F)이 가해지면 양측의 상, 하부 암(73a, 73b) 사이의 각도(HLA)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부 암(73Ca)의 기어(st3)와 제 1 하부 암(73Cb)의 기어(st4)는 상호 맞물리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측에 외력(F)이 가해지더라도, 상, 하부 암(73a, 73b) 사이의 각도(HLA)가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편향에 의한 파손을 방지될 수 있다.
도 17g를 참조하면,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의 일 변이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은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방에서 링크(73)을 바라보면,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은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을 전면에서 차폐할 수 있다. 또는, 제1 상부 암(73Ca)와 제2 상부 암(73Fa)은 상호 포개질 수 있다. 또는, 제1 하부 암(73Cb)와 제2 하부 암(73Fb)은 상호 포개질 수 있다.
제1 상부 암(73Ca)의 회전축, 제2 상부 암(73Fa)의 회전축, 제1 하부 암(73Cb)의 회전축 및 제2 하부 암(73Fb)의 회전축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과 연결되는 부분의 암 조인트(152)의 수직방향 높이는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과 연결되는 부분의 암 조인트(152)의 수직방향 높이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 또한 일 변이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는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은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를 전면에서 차폐할 수 있다.
도 17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은 적어도 일부의 폭이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과 중첩되거나 포개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은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과 일정 거리(SLD) 이격되어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제1 암(73a)의 폭(HLW)은 제 2 상부 암(73Fa)의 폭 또는 제 1 상부 암(73Ca)의 폭(CLW)보다 클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i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 하부 암(73Ca, 73Cb)은 전체 폭이 제 2 상, 하부 암(73Fa, 73Fb)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제1 암(73a)의 폭(HLW)은 제 2 상부 암(73Fa)의 폭 또는 제 1 상부 암(73Ca)의 폭(CLW)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7j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부 암(73Ca)의 일 변이 연장되지 않았을 때, 제 1 상부 암(73Ca)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상부 암(73Ca)과 제 2 상부 암(73Fa)은 일정 간격(LD) 벌어질 수 있다. 제 1 상태로 변화할수록 제 1 상부 암(73Ca)과 제 2 상부 암(73Fa) 사이의 간격(LD)은 더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제 1 상부 암(73Ca)과 제 2 상부 암(73Fa) 사이에 끼어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도 17k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부 암(73Ca)의 일변이 연장되어 제 2 상부 암(73Fa)과 중첩될 때, 제 1 상부 암(73Ca)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하여도 여전히 제 1 상부 암(73Ca)과 제 2 상부 암(73Fa) 사이의 간격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 제 1 상부 암(73Ca)과 제 2 상부 암(73Fa)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는 위험으로부터 막아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링크(73) 상에 복수의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암(73a) 상에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64)이 위치하며, 제2 암(73b) 상에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64)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마그넷(64)에 의해 링크(73)와 상호 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64)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넷(64)의 자력이 약해지더라도 나머지 마그넷(64)의 자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가 링크(73)에 밀착되는 것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암(73a)과 제2 암(73b) 상에 각각 하나의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64)은 제1 암(73a)과 제2 암(73b)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넷(64)이 제1 암(73a)과 제2 암(73b)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링크(73)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와 밀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73)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의 밀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마그넷(64)이 링크(73) 상에 형성된 함몰부(321)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321)는 링크(73)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넷(64)은 링크(73)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87)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함몰부(321)가 링크(73)의 내측으로 함몰된 폭(LHW)은 마그넷(64)의 두께(MGW)보다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마그넷(64)의 두께(MGW)가 함몰부(321)의 폭(LHW)보다 크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링크(73)와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구겨지거나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패널보호부(97)가 배치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모듈커버(15)과 마찰로 인해 받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보호부(97)는 약 0.1mm의 두께일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마그넷(64)과 상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와 링크(73) 사이에 위치한 모듈커버(15)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마그넷(64)과 밀착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링크(73) 상에 마그넷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모듈커버(15)는 상측의 상부 바(75)와 하측의 가이드 바(도 10a의 234)에 의해 링크(73)와 밀착될 수 있다. 링크(73) 중 상부 바(75)와 가이드 바 사이의 부분은 모듈커버(15)와 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링크(73)의 중심부는 모듈커버(15)와 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링크(73)의 중심부는 암 조인트(152) 부근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커버(15)와 링크(73) 사이의 거리(APRD1, APLD2)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링크(73)의 함몰부(321) 상에 마그넷(64)이 위치하는 경우, 마그넷(64)은 패널보호부(97)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모듈커버(15)도 동시에 마그넷(64)으로 밀착될 수 있다. 즉, 링크(73)의 중심부는 모듈커버(15)와 밀착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모듈커버(15)의 양단은 +z축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듈커버(15)의 밴딩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 양 단의 +z축 방향으로 밴딩된 길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접착층(70)의 두께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즉, 모듈커버(15)의 밴딩된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z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AD1)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x축 방향에서 모듈커버(15)를 바라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차폐될 수 있다.
도 23a를 참조하면, 접착층(70)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체가 모듈커버(15)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강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접착층(70)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7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접착층(70)은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접착층(70) 적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접착층(70)을 통해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마그넷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세그먼트(15b)의 상부면에 비드(136)가 형성될 수 있다. 비드(136)는 세그먼트(15b)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비드(136)는 -y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비드(136)는 세그먼트(15b)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36)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비드(136)는 세그먼트(15b)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드(136)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세그먼트(15b)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소스 PCB(120)는 모듈커버(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모듈커버(15)의 이동과 함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이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커버(1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FFC 케이블(231)은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커버(15)의 양 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5d)는 -z축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함몰부(425)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5)는 세그먼트(15d)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136)는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세그먼트(15d)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은 세그먼트(15d)의 제 3 방향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비드(13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에도 비드(136)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5e)는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관통부(437)가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437)는 세그먼트(15e)의 중심부를 제 2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즉, 관통부(437)는 세그먼트(15e) 내에 위치한 홀일 수 있다. 관통부(437)는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관통부(437)는 세그먼트(15e) 내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함몰부(425)에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것보다 세그먼트(15e)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비드(136)는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세그먼트(15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은 세그먼트(15e)의 제 3 방향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비드(13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에도 비드(136)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탑 케이스(167)가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뿐만 아니라 소스 PCB(120)와 상부 바(75)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PCB(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상부 바(75)는 일면이 모듈커버(15) 후면과 결합되며, 타면이 소스 PCB(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바(75)는 모듈커버(15)에 고정되어 소스 PCB(120)를 지지해줄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하단은 패널 롤러(143, 도 29 참조) 내부의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도 29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함께 패널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부분(231a)으로 칭할 수 있다. 제1 부분(231a)은 복수의 세그먼트(15d)가 형성하는 함몰부(425)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231a)은 복수의 세그먼트(15d)가 형성하는 함몰부(425)에 수용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세그먼트(15f)를 관통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세그먼트(15f)를 관통하는 부분을 제2 부분(231b)으로 칭할 수 있다. 세그먼트(15f)는 전면에 형성된 제1 홀(521a)과 후면에 형성된 제2 홀(5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521a)과 제2 홀(521b)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홀(521)을 형성할 수 있다. 홀(521)은 세그먼트(15f)를 제 3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부분(231b)은 홀(521)을 통과할 수 있다. 홀(521)은 연결홀(521)이라 칭할 수도 있다.
FFC 케이블(231)의 상단은 소스 PCB(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모듈커버(15)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모듈커버(15)의 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3 부분(231c)으로 칭할 수 있다. 제3 부분(231c)은 소스 PCB(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부분(231c)은 탑 케이스(16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부분(231c)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 상에 관통홀(615)이 위치할 수 있고, FFC 케이블(231)은 관통홀(615)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615)은 패널 롤러(143)의 일측에 위치하며 패널 롤러(143)의 외주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관통홀(615)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의 외주 상에 위치하여도 관통홀(615)로 인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와 함께 회전하여 꼬이지 않을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패널 롤러(143)에 감기는 부분을 제4 부분(231d)으로 칭할 수 있다. 제4 부분(231d)은 패널 롤러(143)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관통홀(615)을 통과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관통홀(615)을 통과하는 부분을 제5 부분(231e)으로 칭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하단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패널 롤러(14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패널 롤러(143)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6 부분(231f)으로 칭할 수 있다. 제6 부분(231f)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부 바(75)의 양단에 제1 암(73a)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73a)은 제1 암(73a)에 위치한 결합홀(77)을 통해 링크 브라켓(277)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277)은 상부 바(75)의 연결부(275)와 결합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277)은 탑 케이스(167)에서 하측(-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277)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제1 암(73a)를 연결부(27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부 바(75)에 모듈커버(15), 소스 PCB(120)와 제1 링크(73a)가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작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1a 및 도 31b를 참조하면, 보조 롤러(556)은 패널 롤러(143)와 이격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와 연결될 수 있다. 보호시트(472)는 일단이 보조 롤러(556)에 연결되며, 타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가 감거나 풀 수 있다. 보호시트(472)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패널 롤러(143)가 권취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패널 롤러(143)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43)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풀 때,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를 감을 수 있다. 또한, 패널 롤러(143)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감을 때,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를 풀 수 있다.
도 31a을 참조하면, 보호시트(47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패널 롤러(143)가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함에 따라,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호 마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듈커버(15)와 마찰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도 31b를 참조하면, 패널 롤러(143)에 디스플레이 패널(10), 모듈커버(15) 및 보호시트(472)가 함께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모듈커버(15) 및 보호시트(472)가 패널 롤러(154)에 감기면, 보호시트(472)는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시트(472)는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시트(472)는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마찰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2을 참조하면, 보조 롤러(556)는 고정캡(521), 회전캡(523), 샤프트(547), 코일스프링(573), 롤러커버(58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573)은 보조 롤러(55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573)의 길이 방향과 보조 롤러(556)의 길이 방향은 평행할 수 있다.
고정캡(521)은 보조 롤러(556)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캡(521)은 코일스프링(573)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캡(521)은 롤러커버(58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캡(521)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캡(523)은 보조 롤러(556)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캡(523)은 코일스프링(573)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캡(523)은 롤러커버(582)가 회전하면, 롤러커버(58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가 회전하면, 일측의 고정캡(521)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캡(523)은 롤러커버(582)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코일스프링(573)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573)은 탄성 변형되면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회전캡(523)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573)의 복원력은 회전캡(52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시트(472)가 보조 롤러(556)에서 풀릴수록, 보호시트(472)를 보조 롤러(556)에 다시 감으려는 힘이 보조 롤러(556)에 작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패널 롤러에서 풀리면, 보호시트(472)는 보조 롤러(556)에 감길 수 있다.
또한, 보호시트(472)가 보조 롤러(556)에 감길수록, 보호시트(472)를 보조 롤러(556)에서 다시 풀려는 힘이 보조 롤러(556)에 작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패널 롤러로 감기면, 보호시트(472)는 보조 롤러(556)로부터 풀릴 수 있다.
샤프트(547)는 보조 롤러(556)의 중심축일 수 있다. 샤프트(547)는 고정캡(521)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573)은 샤프트(547)에 끼워질 수 있다. 샤프트(547)는 코일스프링(573)이 보조 롤러(556)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는 보조 롤러(556)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는 고정캡(521), 회전캡(523), 샤프트(547) 및 코일스프링(573)을 수용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는 보호시트(47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보호시트(472)는 롤러커버(582)에 감길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패널 롤러(143)와 패널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형성하는 직경은 R1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패널 롤러(143)에 감기는 정도에 따라 R1의 값은 변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의 직경은 R2라 칭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30, 도 7 참조)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통과하는 하우징의 입구(30a, 도 7 참조)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에서 패널 롤러(143)에서 풀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베이스(31, 도 10a 참조)가 이루는 각도는, R1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패널 롤러(143)로부터 충분히 풀린 경우, 패널 롤러(143)와 패널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형성하는 직경은 패널 롤러(143)의 직경은 R2일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베이스는 각도 A1 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베이스에 대해 기울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승강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가이드 어셈블리(731)은 보조 롤러(556)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베이스(31, 도 10a 참조)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패널 롤러(143)에서 풀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롤러(556)와 보조 롤러(556)에 감긴 보호시트(472)가 형성하는 직경은 보호시트(472)가 보조 롤러(556)에 감기는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가이드 어셈블리(731)는 보조 롤러(556)에 결합되어, 보호시트(472)가 보조 롤러(556)에 감기는 정도에 따라 보조 롤러(55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 롤러(556)는 보조 롤러(556)와 보조 롤러(556)에 감긴 보호시트(472)가 형성하는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패널 롤러(143)에서 풀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어셈블리(731)는 가이드 암(752), 핀볼트(761), 인장스프링(764), 서포터(7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암(752)은 일단이 보조 롤러(556)와 연결되며 타단이 인장스프링(764)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암(752)은 핀볼트(76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핀볼트(761)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가이드 암(752)과 연결되어, 핀볼트(76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764)은 일단이 가이드 암(762)과 연결되며, 타단이 서포터(772)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772)는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풀리면,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가 감길 수 있고, 보조 롤러(556)와 보조 롤러(556)에 감긴 보호시트(472)가 형성하는 직경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롤러(556)는 핀볼트(7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인장스프링(764)은 가이드 암(75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764)은 보조 롤러(556)가 핀볼트(7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지나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143)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감기면, 보호시트(472)는 보조 롤러(556)에서 풀릴 수 있고, 보조 롤러(556)와 보조 롤러(556)에 감긴 보호시트(472)가 형성하는 직경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롤러(556)는 핀볼트(76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인장스프링(764)은 보조 롤러(556)가 핀볼트(7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상이한 구성 및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하우징(30, 도 19 참조)의 밑면일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축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터는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1 모터(811), 제2 모터(812), 제3 모터(813) 및 제4 모터(814)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은 제1 모터(81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 구동축은 제4 모터(814)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는 높은 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와 연결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연결되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연결되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리드 스크류(840a)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b)는 제2 리드 스크류(840b)라 칭할 수도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은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우측 커플링(820a)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모터(811)의 구동축은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모터(811)의 구동축과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우측 커플링(820a)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은 제1 구동축이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구동축은 제2 구동축이라 칭할 수도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 구동축은 좌측 리드 스크류(840b)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 구동축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는 좌측 커플링(820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4 모터(814)의 구동축은 좌측 리드 스크류(840b)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4 모터(814)의 구동축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는 좌측 커플링(820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820a, 820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연결하는 우측 커플링(820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 구동축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를 연결하는 좌측 커플링(820b)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또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베이스(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지지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지지할 수 있다.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지지할 수 있다.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우측을 지지하는 제1 우측 베어링(830a)과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좌측을 지지하는 제2 우측 베어링(8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베어링(830a)은 제1 베어링(830a)이라 칭할 수도 있다. 제2 우측 베어링(830b)은 제2 베어링(830b)이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좌측 리드 스크류(840b)를 지지할 수 있다.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은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우측을 지지하는 제1 좌측 베어링(830c)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좌측을 지지하는 제2 좌측 베어링(830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커플링(820a, 820b) 및 모터 어셈블리(810)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1 우측 베어링(830a), 제2 우측 베어링(830b), 우측 커플링(820a), 모터 어셈블리(810), 좌측 커플링(820b), 제1 좌측 베어링(830c) 및 제2 좌측 베어링(830d)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슬라이더(860a, 86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860a, 860b)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에 결합될 수 있고,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슬라이더(860a, 860b)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a, 860b)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a, 860b)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결합하는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리드 스크류(840b)와 결합하는 좌측 슬라이더(86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제1 슬라이더(860a)라 칭할 수도 이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제2 슬라이더(860b)라 칭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860a, 860b)는 내둘레면에 나사산(SS, 도 43 참조) 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860a, 860b)의 내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SS)과 리드 스크류(840a, 840b)에 형성된 나사산(RS, LS)은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더(860a, 860b)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회전에 따라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맞물릴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회전에 따라, 제1 우측 베어링(830a)과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를 진퇴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b)와 맞물릴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회전에 따라, 제1 좌측 베어링(830c)과 제2 좌측 베어링(830d) 사이를 진퇴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거리 RD1과 거리 LD1는 상호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을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우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좌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상호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나사산(RS)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나사산(LS)의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좌측 슬라이더(860b)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좌측 슬라이더(860b)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나사산(RS)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나사산(LS)의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피치 PL을 가질 수 있고, 좌측 리드 스크류(840b)는 피치 PR을 가질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피치 PL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피치 PR은 상호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우측 구동축의 출력과 좌측 구동축의 출력을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a)과 좌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a)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우측 구동축의 단위 시간당 회전 수와 좌측 구동축의 단위 시간당 회전 수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우측 구동축의 토크와 좌측 구동축의 토크의 방향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우측 구동축의 토크와 좌측 구동축의 토크의 크기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RD1과 거리 LD2는 (회전 수 n)*(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좌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LD1과 거리 RD2는 (회전 수 n)*(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과 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이 상호 동일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의 변위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변위는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초기 위치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이루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유지하며 상호 멀어질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b)과 좌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b)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RD1과 거리 LD2는 (회전 수 n)*(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좌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LD1과 거리 RD2는 (회전 수 n)*(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과 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이 상호 동일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의 변위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변위는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초기 위치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이루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유지하며 상호 가까워 질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우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a)과 좌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b)을 상호 반대로 출력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나사산(RS)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나사산(LS')의 방향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좌측 슬라이더(860b)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좌측 슬라이더(860b)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피치 PL을 가질 수 있고, 좌측 리드 스크류(840b)는 피치 PR을 가질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피치 PL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b)의 피치 PR은 상호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우측 구동축의 출력과 좌측 구동축의 출력을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좌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우측 구동축의 단위 시간당 회전 수와 좌측 구동축의 단위 시간당 회전 수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우측 구동축의 토크와 좌측 구동축의 토크의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우측 구동축의 토크와 좌측 구동축의 토크의 크기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RD1과 거리 LD2는 (회전 수 n)*(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좌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LD1과 거리 RD2는 (회전 수 n)*(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과 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이 상호 동일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의 변위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변위는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초기 위치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이루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유지하며 상호 멀어질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우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b)과 좌측 구동축의 회전 방향(Ra)을 상호 반대로 출력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우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RD1과 거리 LD2는 (회전 수 n)*(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RD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좌측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좌측 구동축이 n회 회전한 경우,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거리 L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LD1과 거리 RD2는 (회전 수 n)*(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 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의 피치 PL과 좌측 슬라이더(860b)의 피치 PR이 상호 동일한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의 변위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변위는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의 초기 위치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이루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로부터 대칭을 유지하며 상호 가까워 질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4b를 참조하면,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제1 우측 베어링(830a)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우측 링크 마운트(920a)와 제2 좌측 베어링(830d)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좌측 링크 마운트(920b)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910a, 910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910a, 910b)는 우측 링크 마운트(920a)에 연결되는 우측 링크(910a)와 좌측 링크 마운트(920b)에 연결되는 좌측 링크(91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링크(910a)는 제1 링크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링크(910b)는 제2 링크라 칭할 수도 있다. 우측 링크 마운트(920a)는 제1 링크 마운트(920a)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링크 마운트(920b)는 제2 링크 마운트(920b)라 칭할 수도 있다.
링크(910a, 910b)는 제1 암(911a, 911b), 제2 암(912a, 912b) 및 암 조인트(913a, 9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의 일측은 링크 마운트(920a, 92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의 타측은 암 조인트(913a, 91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a, 911b)의 일측은 암 조인트(913a, 91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a, 911b)의 타측은 링크 브라켓(951a, 951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a, 951b)은 우측 링크(910a)의 제1 암(911a)에 연결되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과 좌측 링크(910b)의 제1 암(911b)에 연결되는 좌측 링크 브라켓(951b)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a, 951b)은 상부 바(9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바(950)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과 좌측 링크 브라켓(951b)을 연결할 수 있다.
로드(870a, 870b)는 슬라이더(860a, 860b)와 링크(910a, 910b)를 연결할 수 있다. 로드(870a, 870b)의 일측은 슬라이더(860a, 86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a, 870b)의 타측은 제2 암(912a, 91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a, 870b)는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을 연결하는 우측 로드(870a)와 좌측 슬라이더(860b)와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b)을 연결하는 좌측 로드(87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는 제1 로드(870a)로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로드(870b)는 제2 로드(870b)로 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우측 링크(910a)가 형성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바디(861a)와 로드 마운트(862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61a)는 내둘레면에 나사산(SS)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861a)에 형성된 나사산은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나사산(RS)과 맞물릴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바디(861a)를 관통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바디(861a)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우측 로드(870a)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 마운트(862a1)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이격될 수 있다.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제1 로드 마운트(862a1)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연결부재(C1)를 통해 로드(870a)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C1)는 로드 마운트(862a)와 우측 로드(870a)를 관통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는 연결부재(C2)를 통해 제2 암(912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C2)는 제2 암(912a)과 우측 로드(870a)를 관통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는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과 연결되는 전달부(871a)와 우측 슬라이더(860a)의 로드 마운트(862a)에 연결되는 커버(872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871a)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따라 진퇴함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우측 링크(910a)로 전달할 수 있다.
커버(872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전방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87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는 베이스(3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플레이트(873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마주볼 수 있다.
커버(872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87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는 베이스(3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플레이트(874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마주볼 수 있다. 또는, 제2 플레이트(874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이격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제2 플레이트(874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872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제2 플레이트(874a)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87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875a)는 전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875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872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제2 플레이트(874a)를 연결하는 제4 플레이트(87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876a)는 제3 플레이트(875a)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876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의 일측은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와 제1 로드 마운트(862a1)는 연결부재(C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의 타측은 제3 플레이트(875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의 일측은 제2 로드 마운트(862a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연결부재(C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의 타측은 제3 플레이트(875a)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우측 로드(870a)는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우측 로드(870a)가 접촉하면,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우측 슬라이더(860a)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커버(872a)는 내부에 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 제2 플레이트(874a), 제3 플레이트(875a) 및 제4 플레이트(876a)는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커버(872a)가 제공하는 공간(S1)으로 수용되거나 도피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커버(872a)가 제공하는 공간(S1)으로 인해, 커버(872a)가 없을 때보다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커버(872a)는 내부에 공간(S1)을 제공함으로써, 우측 슬라이더(860a)의 가동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커버(872a)에 수용됨으로써, 하우징(30, 도 2 참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872a)는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872a)의 제3 플레이트(875a)는 theta S가 충분히 작아지면, 제2 암(912a)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암(912a)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875a)는 제2 암(912a)을 지지함으로써,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할 수 있고, 제2 암(912a)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872a)는 제2 암(912a)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3 플레이트(875a)는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함으로써, 제2 암(912a)을 기립시키는 초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3 플레이트(875a)는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로드(870b) 및 좌측 링크(910b)가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우측 링크(910a)가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돌출부(914a)에 우측 로드(870a)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돌출부(914a)는 연결부(914a)라고 칭할 수도 있다.
연결부의 위치에 따라 우측 로드(870a)와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는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가동범위 내에서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0 도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다고 할 수 있다. 또는,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다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가동범위 내에서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장 멀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각도 theta S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와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는 90도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각도 theta S)가 커지는 방향을 기립방향(S)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방향을 기립방향(S)이라고 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가 바디(861a)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A,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a라고 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가 바디(861a)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B,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b라고 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가 바디(861a)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C,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c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각도 theta S에 대해 theta A < theta B < theta B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각도 theta S에 대해 Fc < Fb < Fa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즉,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우측 로드(870a)와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우측 로드(870a)의 커버(872a, 도 43 참조)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1, 도 43 참조)을 제공하여, 로드 마운트(862a)가 바디(861b)의 하측 또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에 가깝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우측 로드(870a)와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로드(870b) 및 제2 암(912b)이 형성하는 구조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47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제2 암(912a)은 바(915a)와 돌출부(914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7은 바(915a)에 우측 로드(870a)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8은 돌출부(914a)에 우측 로드(870a)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돌출부(914a)는 연결부(914a)라 칭할 수도 있다.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는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가동범위 내에서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0 도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다고 할 수 있다. 또는,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다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가동범위 내에서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장 멀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각도 theta S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와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는 90도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각도 theta S)가 커지는 방향을 기립방향(S)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방향을 기립방향(S)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우측 로드(870a)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이루는 각도는 각도 theta 1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1은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는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축이 회전하면, 우측 슬라이더(860a)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우측 로드(870a)에 힘을 가할 수 있고, 로드(870a)는 제2 암(912a)의 바(915a)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암(912a)은 우측 로드(870a)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기립방향(S)으로 회전할 수 있다. 우측 링크(910a)가 기립하게 되면 각도 theta S와 각도 theta 1은 증가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1이라고 할 수 있다. 즉, F1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의 바(915a)에 전달해야 하는 최소의 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우측 로드(870a)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이루는 각도는 각도 theta 2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2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는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축이 회전하면, 우측 슬라이더(860a)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좌측 슬라이더(860b)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860a, 860b)는 로드(870a, 870b)에 힘을 가할 수 있고, 로드(870a, 870b)는 제2 암(912a)의 바(915a)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암(912a)은 로드(870a, 870b)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기립방향(S)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링크(910a, 910b)가 기립하게 되면 각도 theta S와 각도 theta 2는 증가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2라고 할 수 있다. 즉, F2는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의 바(915a)에 전달해야 하는 최소의 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7과 도 48을 참조하여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의 바(915a)에 연결되는 경우와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의 돌출부(914a)에 연결되는 경우를 대비하면,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 theta S가 동일한 경우, 제2 암(912a)의 돌출부(914a)에 연결된 우측 로드(870a)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이루는 각도 theta 2는 제2 암(912a)의 바(915a)에 연결된 우측 로드(870a)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이루는 각도 theta 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 theta S가 동일하다면,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의 바(915a)에 연결된 경우에 요구되는 힘 F1이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의 돌출부(914a)에 연결된 경우에 요구되는 힘 F2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우측 로드(870a)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우측 로드(870a)는 돌출부(914a)에 연결됨으로써, 우측 로드(870a)가 바(915a)에 연결되는 것에 비해 작은 힘으로 제2 암(912a)을 기립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우측 로드(870a)는 제2 암(912a)의 돌출부(914a)에 연결됨으로써, 우측 로드(870a)와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 수 있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로드(870b) 및 제2 암(912b)이 형성하는 구조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돌출부(914a)에 우측 로드(870a)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돌출부(914a)는 연결부(914a)라 칭할 수도 있다.
돌출부(914a)와 우측 로드(870a)가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우측 로드(870a)와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는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가동범위 내에서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0 도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다고 할 수 있다. 또는,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다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가동범위 내에서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장 멀게 위치하는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각도 theta S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제2 암(912a)은 베이스(31)와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는 90도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각도 theta S)가 커지는 방향을 기립방향(S)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방향을 기립방향(S)이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1)와 돌출부(914a)가 제2 암(912a)의 중심축 CR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져 체결되는 경우,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3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2)와 돌출부(914a)가 제2 암(912a)의 중심축 CR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져 체결되는 경우,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우측 로드(870a2)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4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3)와 돌출부(914a)가 제2 암(912a)의 중심축 CR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져 체결되는 경우, 우측 로드(870a3)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우측 로드(870a3)가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5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각도 theta S에 대해 theta 2 < theta 2' < theta 2''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각도 theta S에 대해 F5 < F4 < F3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즉,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우측 로드(870a)와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로드(870b) 및 제2 암(912b)이 형성하는 구조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가이드(850a, 850b)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가이드(850c, 850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일측이 제1 우측 베어링(830a)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우측 베어링(830b)을 연결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이격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제1 우측 가이드(850a)와 제2 우측 가이드(8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가이드(850a)와 제2 우측 가이드(850b)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우측 가이드(850a)와 제2 우측 가이드(85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우측 슬라이더(860a)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슬라이더의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우측 슬라이더(860a)의 바디(861a)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부(미도시)와 슬라이더의 바디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86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가이드(850a)는 후방 돌출부(865a)를 관통할 수 있다. 또는, 후방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홀(863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우측 가이드(850a)는 제1 홀(863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홀(863a)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863a)은 홀(863a)이라 칭할 수도 있다.
제2 우측 가이드(미도시)는 전방 돌출부(미도시)를 관통할 수 있다. 또는, 전방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우측 가이드는 제2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홀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따라 진퇴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가 우측 슬라이더(860a)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함으로써, 우측 슬라이더(860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따라 진퇴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850c, 850d),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좌측 슬라이더(860b) 및 좌측 리드 스크류(840b)가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우측 가이드(850a, 850b),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우측 슬라이더(860a) 및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841a, 841b)은 리드 스크류(840a, 840b)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제1 스프링(841a, 841b)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스프링(841a, 841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좌측 스프링(8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일단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타단은 제2 우측 베어링(830b)과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는 거리 RD3 일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리 RD3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x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좌측 스프링(841b),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리드 스크류(840b)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제1 우측 스프링(841a),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리드 스크류(84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4를 참조하면, 제2 스프링(851a, 851b)은 가이드(850a, 850b, 850c, 850d)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제2 스프링(851a, 851b)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스프링(851a, 851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우측 스프링(851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 좌측 스프링(8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제1 우측 가이드(850a)에 삽입되는 스프링(940a, 940b)과 제2 우측 가이드(850b)에 삽입되는 스프링(940a, 94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제1 우측 가이드(850a)가 관통하는 스프링(940a, 940b)과 제2 우측 가이드(850b)가 관통하는 스프링(940a, 940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걸림턱(852a, 852b)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852a, 852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걸림턱(852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걸림턱(852b)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걸림턱(852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일단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타단은 우측 걸림턱(852a)과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는 거리 RD4 일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리 RD4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x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제2 좌측 스프링(851b), 좌측 걸림턱(852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가이드(850c, 850d)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제2 우측 스프링(851a), 우측 걸림턱(852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가이드(850a, 850b)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5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 제2 암(912a)은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아 기립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각도 theta T라고 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가 우측 슬라이더(860a)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FA라고 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가하는 힘을 FB라고 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가하는 힘을 FC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에 전달하는 힘을 FT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과 각도 theta T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이 제2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각도 theta S와 각도 theta T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 FB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FB는 +x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은 최대일 수 있고, 복원력 FB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복원력 FB의 크기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 FC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FC는 +x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은 최대일 수 있고, 복원력 FC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복원력 FC의 크기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에 전달하는 힘 FT는 모터 어셈블리(810)가 우측 슬라이더(860a)를 +x축으로 이동시키는 힘 FA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복원력 FB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복원력 FC의 합력일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2 암(912a)이 기립하기 시작한 경우,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는 최대일 수 있다. 이 때,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공하는 복원력 FB의 크기는 최대일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851a, 851b)이 제공하는 복원력 FC의 크기는 최대일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동시에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복원력 FB와 복원력 FC의 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복원력 FB와 복원력 FC의 합력)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 RD5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길이와 같아질 때까지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 RD5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길이와 같아지면,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은 0이 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이 0이 되면,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하는 복원력 FC은 0이 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 RD5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길이보다 커지면, 제1 우측 스프링(841a)만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 FB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FB는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 RD6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길이와 같아질 때까지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 RD6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길이와 같아지면,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은 0이 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이 0이 되면,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하는 복원력 FB는 0이 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 RD6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길이보다 커지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제1 우측 스프링(841a) 또는 제2 우측 스프링(851a)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지 않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킬 수 있다.
제1 좌측 스프링(841b), 제2 좌측 스프링(851b), 좌측 걸림턱(852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가이드(850c, 850d),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로드(870b)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제1 우측 스프링(841a), 제2 우측 스프링(851a), 우측 걸림턱(852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가이드(850a, 850b),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로드(87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8을 참조하면, 푸셔(930a, 930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에 연결될 수 있다. 푸셔(930a, 93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푸셔(930a)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푸셔(930b)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수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A)은 스프링(940a, 940b)과 푸셔(930a, 930b)를 수용할 수 있다. 스프링(940a, 940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스프링(940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스프링(940b)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A)은 내부공간(A)으로 칭할 수도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수용공간(A)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 홀(922a)을 포함할 수 있다(920b에 대응되는 제1 홀은 미도시). 제1 홀(922a)은 링크 마운트(920a, 920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922a)은 홀(922a)이라 칭할 수도 있다.
푸셔(930a, 930b)는 베이스(31)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푸셔(930a, 930b)는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940a, 940b)은 베이스(31)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스프링(940a, 940b)은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푸셔(930a, 930b)는 제1 파트(931a, 931b)와 제2 파트(932a, 9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제1 파트(931a, 931b)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의 하단은 스프링(940a, 94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전부 또는 일부가 링크 마운트(920a, 920b)가 형성하는 수용공간(A)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제1 홀(922a)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거나 제1 홀(922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제1 홀(922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의 수용공간(A)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는 제1 홀(92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가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하는 경우, 푸셔(930a, 930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으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다. 푸셔(930a, 930b)가 받는 힘은 하측 방향일 수 있다. 또는, 푸셔(930a, 930b)가 받는 힘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링크 브라켓(951a, 951b)은 푸셔(930a, 930b)를 가압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a, 951b)이 푸셔(930a, 930b)를 가압하는 방향은 하측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링크 브라켓(951a, 951b)이 푸셔(930a, 930b)를 가압하는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가 힘을 받으면, 스프링(940a, 940b)은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스프링(940a, 940b)은 푸셔(930a, 930b)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은 제1 파트(931a, 931b)에 가해진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복원력은 +y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제2 홀(921a)을 포함할 수 있다(920b에 대응되는 제2 홀은 미도시). 제2 홀(921a)은 수용공간(A)과 외부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스프링(940a, 940b)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홀(9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푸셔(930a, 930b)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홀(9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지 또는 보수 시, 서비스 제공자는 제2 홀(921a)을 통해 푸셔(930a, 930b)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홀(921a)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유지 또는 보수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61을 참조하면, 우측 링크(910a)는 우측 푸셔(930a)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아 기립될 수 있다. 우측 링크(910a)를 기준을 설명한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에 전달하는 힘을 FT라고 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전달하는 힘을 FP라고 할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푸셔(930a)와 연결된 우측 스프링(940a)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고, 복원력 FP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압축된 우측 스프링(940a)은 우측 푸셔(930a)에 복원력 FP를 제공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는 복원력 FP를 우측 링크 브라켓(951a)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복원력 FP는 +y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베이스(31)에서 우측 푸셔(930a) 상단까지의 거리 HL은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푸셔(930a)의 제1 파트(931a)는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는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수용공간(923a)에 전부 수용될 수 있다.
도 60을 참조하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우측 스프링(940a)의 압축 변위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복원력 FP의 크기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각도 theta S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는 적어도 일부가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가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된 길이는 길이 HP라 칭할 수 있다. 베이스(31)에서 우측 푸셔(930a) 상단까지의 거리 HL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보다 HP만큼 증가할 수 있다.
도 61을 참조하면, 베이스(31)에 대한 제2 암(912a)의 기립이 진행되면, 우측 푸셔(930a)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은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우측 스프링(940a)의 압축 변위량은 0이 될 수 있다. 우측 스프링(940a)의 압축 변위량이 0이 되면, 우측 푸셔(930a)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제공하는 복원력 FP는 0이 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가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된 길이 HP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31)에서 우측 푸셔(930a) 상단까지의 거리 HL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우측 푸셔(930a)는 우측 푸셔(930a)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이 접촉하는 동안,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제2 암(912a)이 기립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우측 푸셔(930a)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제2 암(912a)이 기립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우측 푸셔(930a)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링크(910a)가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우측 푸셔(930a)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링크(910a)가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가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좌측 푸셔(930b), 좌측 스프링(940b), 좌측 링크 브라켓(951b), 좌측 링크 마운트(920b) 및 좌측 로드(870b)가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우측 푸셔(930a), 우측 스프링(940a), 우측 링크 브라켓(951a), 우측 링크(910a) 마운트 및 우측 로드(870a)가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일 수 있다.
도 62 내지 도 64를 참조하면, 패널 롤러(143)는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앞쪽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패널 롤러(143)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패널 롤러(143)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와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하측은 패널 롤러(143)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0)의 상측은 상부 바(75)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패널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우측 슬라이더(860a)까지의 거리를 거리 RD라고 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좌측 슬라이더(860b)까지의 거리를 거리 LD라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를 거리 SD라고 할 수 있다. 거리 SD는 거리 RD와 거리 LD의 합일 수 있다.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를 거리 HD라고 할 수 있다.
도 62를 참조하면,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 SD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우측 슬라이더(860a)까지의 거리 RD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좌측 슬라이더(860b)까지의 거리 LD는 상호 같을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 HD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스프링(841a, 84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851a, 85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푸셔(930a, 930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스프링(841a, 841b)의 압축량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스프링(841a, 841b)이 슬라이더(860a, 860b)에 제공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스프링(851a, 851b)의 압축량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스프링(851a, 851b)이 슬라이더(860a, 860b)에 제공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스프링(940a, 940b)의 압축량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스프링(940a, 940b)이 푸셔(930a, 930b)에 제공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을 시작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은 제1 스프링(841a, 841b), 제2 스프링(851a, 851b) 및 스프링(940a, 940b)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아 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63을 참조하면, 베이스(31)에 대한 제2 암(912a, 912b)의 기립이 진행됨에 따라,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 SD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거리 SD가 증가하더라도, 거리 LD와 거리 RD는 상호 같을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에 대해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 912b)이 기립하는 정도와 베이스(31)에 대해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a, 912b)이 기립하는 정도는 상호 같을 수 있다.
베이스(31)에 대한 제2 암(912a, 912b)의 기립이 진행됨에 따라,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 HD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패널 롤러(143)로부터 풀릴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는 패널 롤러(143)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충분히 기립하면, 제1 스프링(841a, 84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충분히 기립하면, 제2 스프링(851a, 85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충분히 기립하면, 푸셔(930a, 930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분리될 수 있다.
제1 스프링(841a, 84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제2 스프링(851a, 85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푸셔(930a, 930b)가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분리되는 것은 상호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841a, 84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제2 스프링(851a, 85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푸셔(930a, 930b)가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분리되는 것의 순서는 상호 가변적일 수 있다.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1과 제2 암(912a)이 이루는 각을 theta R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1과 제1 암(911a)이 이루는 각을 theta R'이라 칭할 수 있다. 축 xs1과 x축은 나란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이 누워 있는 경우,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동안,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을 완료한 경우에 theta R과 theta R'은 상호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2와 제2 암(912b)이 이루는 각을 theta L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2과 제1 암(911b)이 이루는 각을 theta L'이라 칭할 수 있다. 축 xs2과 x축은 나란할 수 있다.
제2 암(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이 누워 있는 경우, 또는 제2 암(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동안, 또는 제2 암(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을 완료한 경우에 theta L과 theta L'은 상호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축 xs1과 축 xs2는 상호 동일한 축일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하면,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 SD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거리 SD가 최대인 경우에도, 거리 LD와 거리 RD는 상호 같을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하면,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 HD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은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 내부로부터 롤-업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에 대하여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 내부로부터 롤-다운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축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을 포함하는 모듈 커버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모듈 커버;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듈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는 상부 바;
    상기 상부 바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PCB;
    상기 상부 바에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바를 상하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 그리고,
    상기 소스 PCB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자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은 제1 에이프런과 상기 제1 에이프런에 인접하는 제2 에이프런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에이프런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에이프런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모듈 커버의 밴딩되지 않은 부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의 전면방향으로 밴딩된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전면방향으로 일정 거리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의 상부 면의 중앙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비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복수개이며,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PCB는 상기 상부 바 상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은,
    전면에 후면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외주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롤러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의 상기 관통홀의 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평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스 PCB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되감기거나 연장될 때, 상기 소스 PCB의 위치가 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복수의 에이프런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PCB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자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에이프런에 형성되고 정렬된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에이프런에 둘러싸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듈 커버는 복수의 에이프런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PCB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자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될 때, 상기 복수의 에이프런에 형성되고 수직으로 정렬된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에이프런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면, 상기 제1 에이프런의 관통홀과 상기 제2 에이프런의 관통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렬되고 서로 마주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에이프런의 관통홀과 상기 제2 에이프런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12281A 2016-09-05 2018-09-1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9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94 2016-09-05
KR20160113894 2016-09-05
KR20160144452 2016-11-01
KR1020160144452 2016-11-01
US201662429070P 2016-12-01 2016-12-01
US62/429,070 2016-12-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857A Division KR102019509B1 (ko) 2016-09-05 2017-03-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065A KR20180107065A (ko) 2018-10-01
KR102009524B1 true KR102009524B1 (ko) 2019-08-12

Family

ID=61281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857A KR102019509B1 (ko) 2016-09-05 2017-03-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80112281A KR102009524B1 (ko) 2016-09-05 2018-09-1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857A KR102019509B1 (ko) 2016-09-05 2017-03-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390443B2 (ko)
EP (2) EP3507788B1 (ko)
KR (2) KR102019509B1 (ko)
CN (2) CN109074766B (ko)
DE (1) DE202017007042U1 (ko)
WO (2) WO2018044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1366B (zh) * 2015-05-29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019509B1 (ko)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88902B1 (ko) * 2017-05-26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EP3723070B1 (en) * 2017-12-07 2022-02-09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08445991B (zh) * 2018-03-30 2021-01-29 深圳市麦凯莱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主机箱
US10410549B1 (en) * 2018-06-0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04315B2 (en) * 2018-06-28 2022-04-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1966787B1 (ko) * 2018-06-28 2019-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8444B1 (ko) * 2018-07-03 2022-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D900761S1 (en) * 2018-08-2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monitor
KR102647358B1 (ko) * 2018-09-12 202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5247B1 (ko) * 2018-09-17 2023-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8967363U (zh) * 2018-09-19 2019-06-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折叠柔性显示屏的装置
KR102573780B1 (ko) * 2018-09-28 2023-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737224B2 (en) * 2018-09-28 2023-08-22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and container
TWD200861S (zh) * 2018-10-16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電視機
KR102519817B1 (ko) * 2018-11-08 2023-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462956B (zh) * 2018-11-28 2020-12-01 曾骁 一种信息服务牌的电源控制盒
KR102657039B1 (ko) * 2018-12-19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8877B1 (ko) * 2018-12-24 2024-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6852B1 (ko) * 2018-12-26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83544B (zh) * 2018-12-29 2022-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终端及显示方法
CN111489642B (zh) * 2019-01-29 2023-02-21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648006B1 (ko) * 2019-02-15 202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14337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062545A (zh) * 2019-04-24 2019-07-26 彭青珍 一种高效组合使用的自动化控制中心操作控制台
DE102019206935A1 (de) * 2019-05-14 2020-11-19 Audi Ag Anzeige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WO2020237618A1 (zh) * 2019-05-31 2020-12-0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支撑机构、柔性屏显示装置及电子装置
WO2020237620A1 (zh) * 2019-05-31 2020-12-0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升降机构、柔性屏显示装置及电子装置
KR20200141773A (ko) * 2019-06-1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43084A (ko) 2019-06-14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04379A (ko) * 2019-07-04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7082A (ko) 2019-07-09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64333B2 (en) * 2019-07-09 2024-01-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012390A (ko) * 2019-07-25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2737A (ko) * 2019-07-26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20264755A1 (en) * 2019-07-26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US20220303373A1 (en) * 2019-08-06 2022-09-22 Lg Electronics Inc. Roll-slide mobile terminal
US20220279668A1 (en) * 2019-08-07 2022-09-01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EP4027322A4 (en) * 2019-09-03 2023-05-10 LG Electronics Inc. ROLL-UP DISPLAY
KR20210029428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066213A1 (ko) * 2019-09-30 202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751907B (zh) * 2019-10-21 2022-03-0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卷曲式显示装置
EP4050589A4 (en) 2019-10-25 2023-11-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EP4050591A4 (en) * 2019-10-25 2023-08-02 LG Electronics Inc. INDICATOR
KR20220066308A (ko) * 2019-10-25 202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67354B1 (ko) * 2019-11-01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55229A (ko) * 2019-11-07 2021-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095911A1 (ko) * 2019-11-13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782798B (zh) * 2019-11-19 2022-07-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20210062338A (ko) * 2019-11-21 202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102019131505B4 (de) * 2019-11-21 2021-08-12 Audi Ag Anordnung für ein Bauelement
KR20210076760A (ko) * 2019-12-16 2021-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500704A (zh) * 2019-12-24 2022-05-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037898B (zh) * 2019-12-24 2022-06-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WO2021132782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37456A1 (en) * 2019-12-30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823596B2 (en) * 2019-12-31 2023-11-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37325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3132512B (zh) * 2019-12-31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WO2021137327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112799A (ko) * 2019-12-31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1161636B (zh) * 2020-01-02 2021-07-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EP4086885A4 (en) * 2020-01-03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661629B1 (ko) * 2020-01-31 2024-04-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추출 시 디스플레이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자기 수단을 포함하는 롤링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WO2021157757A1 (ko) * 2020-02-05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17862A (ko) * 2020-03-20 2021-09-29 (주)에이유플렉스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119223A (ko) 2020-03-24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247892A1 (en) * 2020-04-13 2023-08-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183884B1 (ko) * 2020-04-21 2020-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2518B1 (ko) * 2020-06-02 2021-10-14 한국과학기술원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11333A (ko) * 2020-06-12 2023-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3852703B (zh) * 2020-06-28 2023-11-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495703A (zh) * 2020-10-27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20059051A (ko) * 2020-11-02 2022-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63488A (ko) * 2020-11-10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77685A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27324A1 (en) * 2021-01-11 2022-07-13 Alps Alpine Co., Ltd.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N113099655B (zh) * 2021-03-31 2022-11-1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20151464A (ko) * 2021-05-06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22136A1 (en) 2021-05-06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CN115529365A (zh)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驱动机构及电子设备
KR20230020595A (ko) * 2021-08-03 202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38376B (zh) * 2021-09-02 2024-03-19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拉伸式可变屏宽的移动设备
CN113824822A (zh) * 2021-09-02 2021-12-2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拉伸组件及移动设备
CN113888969B (zh) * 2021-09-23 2023-10-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23075152A1 (ko) * 2021-10-29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35717A (ko) * 2022-03-16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40018302A (ko) * 2022-08-02 2024-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8301A (ko) * 2022-08-02 2024-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18303A (ko) * 2022-08-02 2024-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
KR20240025800A (ko) * 2022-08-19 202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995A1 (en) * 2008-06-06 2011-06-16 Polymer Vision Limited Protection of Flexible Displays
US20120002357A1 (en) * 2008-11-10 2012-01-05 Pix2O Corporation Large Screen Portable L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1515B2 (ja) * 1998-08-20 2003-06-03 泉株式会社 可搬式スクリーン
GB0019306D0 (en) * 2000-08-08 2000-09-27 D & D Displays & Exhibitions L Display apparatus
KR101049240B1 (ko) * 2002-11-21 2011-07-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N100363960C (zh) * 2002-11-21 2008-01-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
JP2005249828A (ja)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3863172B2 (ja) * 2004-03-09 2006-12-27 千三 小林 情報表示装置
CN100565622C (zh) * 2004-10-05 2009-12-0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可滚动显示装置
KR101122196B1 (ko) * 2004-10-05 2012-03-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말아 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7449759B2 (en) * 2005-08-30 2008-11-11 Uni-Pixel Displays, Inc. Electromechanical dynamic force profile articulating mechanism
WO2007072234A1 (en) * 2005-12-20 2007-06-28 Polymer Vision Limited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able flexible screen rollable around a batter
TWI283377B (en) * 2006-04-18 2007-07-0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JP2007108785A (ja) * 2006-12-25 2007-04-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US2008024712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Retractab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08127103A1 (en) * 2007-04-16 2008-10-23 Polymer Vision Limited A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rollers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163948A3 (en) * 2007-05-09 2011-11-23 Bright Supply Corporation Retractable frame of projection screen
CN101952873B (zh) * 2007-11-21 2014-11-12 创造者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
CN101640990A (zh) * 2008-08-01 2010-02-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JP5245677B2 (ja) 2008-09-24 2013-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JP2012508402A (ja) * 2008-11-10 2012-04-05 ピックス2オ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大画面携帯型ledディスプレイ
JP2011128338A (ja) * 2009-12-17 2011-06-30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CN102262845A (zh) * 2010-05-31 2011-11-30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可提供显示面板平面支撑的电子装置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5790008B2 (ja) * 2011-02-10 2015-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KR101780419B1 (ko) * 2011-02-15 2017-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KR101870889B1 (ko) * 2011-11-18 2018-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2376209B (zh) * 2011-11-18 2014-04-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及立体显示装置
WO2013076950A1 (ja) * 2011-11-24 2013-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JP6102075B2 (ja) * 2012-03-30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ー素子チップおよびプローブ並びに電子機器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KR20130143199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스마트테크 터치 타입 휴대폰용 윈도우 패널 제조 방법
KR102016119B1 (ko) * 2012-08-01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GB2508194A (en) * 2012-11-23 2014-05-28 Averly Ip Ltd Memory material frame to cause flexible display panel to become rigid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CN204066057U (zh) * 2014-07-30 2014-12-31 优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轻便型电子显示屏模块单元结构
WO2016046974A1 (ja) * 2014-09-26 2016-03-31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58329A (ko) * 2014-11-14 2016-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WO2016093502A1 (ko) * 2014-12-10 201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5328B1 (ko) * 2015-01-15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25924B1 (ko) * 2015-07-3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509B1 (ko)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995A1 (en) * 2008-06-06 2011-06-16 Polymer Vision Limited Protection of Flexible Displays
US20120002357A1 (en) * 2008-11-10 2012-01-05 Pix2O Corporation Large Screen Portable L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0443B2 (en) 2019-08-20
CN109219843A (zh) 2019-01-15
EP3507788B1 (en) 2023-11-15
US20180070467A1 (en) 2018-03-08
KR20180027318A (ko) 2018-03-14
CN109219843B (zh) 2021-06-01
US20200068728A1 (en) 2020-02-27
US11357117B2 (en) 2022-06-07
EP3507788A1 (en) 2019-07-10
KR102019509B1 (ko) 2019-09-09
DE202017007042U1 (de) 2019-04-05
EP3549122A1 (en) 2019-10-09
WO2018101734A1 (en) 2018-06-07
EP3507788A4 (en) 2020-04-08
US20180160554A1 (en) 2018-06-07
CN109074766A (zh) 2018-12-21
WO2018044031A1 (en) 2018-03-08
US10506726B2 (en) 2019-12-10
KR20180107065A (ko) 2018-10-01
EP3549122A4 (en) 2020-07-29
CN109074766B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52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4177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365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4308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083098B2 (en) Display device
EP3796074B1 (en) Display device
KR1025913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02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4184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050590A1 (en) Display device
KR2022010812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086880A1 (en) Display device
KR202200418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373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138065A1 (en) Display device
KR2022005165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