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59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595A
KR20230020595A KR1020210101689A KR20210101689A KR20230020595A KR 20230020595 A KR20230020595 A KR 20230020595A KR 1020210101689 A KR1020210101689 A KR 1020210101689A KR 20210101689 A KR20210101689 A KR 20210101689A KR 20230020595 A KR20230020595 A KR 2023002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gear
disposed
centr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병진
심진규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595A/ko
Priority to US17/828,287 priority patent/US20230044285A1/en
Priority to CN202280046953.4A priority patent/CN117597648A/zh
Priority to PCT/KR2022/009171 priority patent/WO2023013884A1/ko
Priority to EP22853263.6A priority patent/EP4365706A1/en
Publication of KR2023002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단에 연결된 롤러,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블록, h 번째 블록에 연결된 제1 기어, h+1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은 롤러에 연결되어 롤러에 권취되거나 롤러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이 권취 및 권출될 때, 표시 패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을 보다 정밀하게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단에 연결된 롤러,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블록, h 번째 블록에 연결된 제1 기어, h+1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단에 연결된 롤러,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블록, h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기어, 및 h+1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는 표시 모듈의 후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블록들은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기어들, 제1 및 제2 풀리들, 및 구동 벨트에 의해 정밀하게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이 보다 정밀하게 승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에 수용되는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롤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동부, 롤러,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 및 스피커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된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9에서 표시 모듈을 삭제하여, 승강부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표시 모듈을 삭제하여, 승강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 및 제1 중앙 블록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 및 제1 중앙 블록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임의의 2개의 제1 블록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의 후면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제1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의 측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레일부 및 레일부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 및 도 26은 도 19에 도시된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이 제1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이 제1 방향으로 하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들을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롤러들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들을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롤러들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우측 제1 블록들, 우측 제1 중앙 블록, 우측 제2 블록들, 및 우측 제2 중앙 블록의 정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에 수용되는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롤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하우징(HS), 상단 지지부(HND), 및 표시 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에는 제1 방향(DR1)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HS)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상단 지지부(HND)는 개구부(OP)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 지지부(HND)는 제1 방향(DR1)으로 하우징(HS)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바닥부(BP), 상면부(UP), 및 측벽부들(SP)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상면부(UP)에 정의될 수 있다. 바닥부(BP) 및 상면부(UP)는 제2 및 제3 방향들(DR2,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BP) 및 상면부(UP)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측벽부들(SP)은 바닥부(BP)의 테두리로부터 상면부(UP)의 테두리로 연장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하우징(HS)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모듈(DM)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 모듈(DM)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능 버튼들이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 버튼들은 표시 장치(DD)에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들의 조작들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외부로 이동하거나, 하우징(HS)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버튼들의 조작들에 의해 표시 모듈(DM)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및 선명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두루마리처럼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모듈(DM)의 일측부터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면(DS)이 내부를 향하도록 말려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표시 모듈(DM)의 상단은 상단 지지부(HND)에 연결될 수 있다. 상단 지지부(HND)가 제1 방향(DR1)으로 하우징(HS)과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표시 모듈(DM)이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단 지지부(HND)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어 하우징(HS)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전면(FS)이 하우징(HS)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전면(FS)은 전술한 표시면(DS)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전면(FS)의 반대면은 표시 모듈(DM)의 후면(BS)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전면(FS) 및 후면(BS)은 제3 방향(DR3)으로 서로 반대하는 표시 모듈(DM)의 면들일 수 있다.
상단 지지부(HND)가 제1 방향(DR1)으로 하우징(HS)과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6에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표시 모듈(DM)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반사 방지층(RPL), 윈도우(WIN), 및 패널 보호 필름(P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부들(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 시, 표시 패널(DP)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패널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감지부(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감지부(ISP)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입력 감지부(ISP)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DP)을 향해 진행된 외부광이 표시 패널(DP)에서 반사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될 경우, 거울과 같이, 사용자가 외부광을 시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의 화소들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외부광을 화소들과 동일한 색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반사 방지층(RPL)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및 반사 방지층(RPL)을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7에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표시 패널(DP)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polyimide)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덮도록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들 및 무기층들 사이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복수개의 데이터 구동부들(DDV)(data driver), 복수개의 연성 회로 기판들(FPCB), 복수개의 인쇄 회로 기판들(PCB), 및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장변들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표시 패널(DP)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개의 화소들(PX), 복수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복수개의 발광 라인들(EL1~ELm)을 포함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표시 패널(DP)의 단변들에 각각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들(DDV)은 표시 패널(DP)의 장변들 중 하나의 장변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DP)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들(PCB)은 표시 패널(DP)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들(FPCB)은 표시 패널(DP)의 상측과 인쇄 회로 기판들(PCB)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들(DDV)은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연성 회로 기판들(FPCB) 상에 각각 실장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화소들(PX) 및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화소들(PX) 및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화소들(PX) 및 데이터 구동부들(DDV)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들(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인쇄 회로 기판들(PCB)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인쇄 회로 기판들(PCB) 및 연성 회로 기판(FPCB)을 통해 데이터 구동부들(DDV),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들(DDV)은 복수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고,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복수개의 발광 신호들을 생성하고,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동부, 롤러,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 및 스피커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된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9, 도 10, 및 11에는 하우징(HS)의 바닥부(BP)가 도시되었으며, 하우징(HS)의 상면부(UP) 및 측벽부들(SP)은 생략되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복수개의 구동부들(DRP), 롤러(ROL),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 복수개의 롤러 지지부들(RSP), 벨트(BLT), 및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들(DRP), 롤러(ROL),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 롤러 지지부들(RSP), 벨트(BLT), 및 스피커(SPK)는 하우징(H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 롤러(ROL),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 롤러 지지부들(RSP), 벨트(BLT), 및 스피커(SPK)는 바닥부(B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제2 방향(DR2)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표시 모듈(DM)의 양단들 중 표시 모듈(DM)의 일단은 롤러(ROL)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양단들 중 표시 모듈(DM)의 타단은 상단 지지부(HND)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표시 모듈(DM)의 일단부터 표시 모듈(DM)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롤러(ROL)에 권취되거나, 롤러(ROL)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상단 지지부(HND)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상단 지지부(HND1) 및 제3 방향(DR3)으로 제1 상단 지지부(HND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상단 지지부(HND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타단은 제1 상단 지지부(HND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연성 회로 기판들(FPCB) 및 인쇄 회로 기판들(PCB)은 표시 모듈(DM)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 상단 지지부(HND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단 지지부(HND2)는 표시 모듈(DM)의 후면(B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단 지지부(HND2)는 제1 상단 지지부(HND1)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롤러(ROL)와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되고, 롤러(ROL)보다 바닥부(BP)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롤러(ROL)보다 표시 모듈(DM)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은 롤러(ROL)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은 제2 방향(DR2)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ROL)에 말려진 표시 모듈(DM)은 제1 가이드 롤러(GR1) 및 제2 가이드 롤러(GR2) 사이를 지나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GR1) 및 제2 가이드 롤러(GR2)는 표시 모듈(DM)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롤러 지지부들(RSP)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롤러 지지부들(RSP)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표시 모듈(DM)의 양측들보다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HS) 내에서 표시 모듈(DM)은 롤러 지지부들(R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은 롤러 지지부들(RSP)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 지지부들(RSP)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의 일측들은 롤러 지지부들(RSP)을 통과하여 롤러 지지부들(RSP)의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롤러 지지부들(RSP)의 외곽은 서로 마주보는 롤러 지지부들(RSP)의 일면들에 반대하는 롤러 지지부들(RSP)의 타면들 바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롤러(ROL) 및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은 롤러 지지부들(RSP)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 지지부들(RSP)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롤러(ROL)의 양측들은 롤러 지지부들(RSP)을 통과하여 롤러 지지부들(RSP)의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벨트(BLT)는 폐루프 형상을 갖고 구동부들(DRP) 및 롤러(ROL)를 연결할 수 있다. 벨트(BLT)는 롤러 지지부들(RSP)의 외곽에서 폐루프 형상으로 구동부들(DRP) 및 롤러(ROL)를 둘러쌀 수 있다. 벨트(BLT)는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의 회전력은 벨트(BLT)를 통해 롤러(ROL)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구동부들(DRP)의 회전력이 벨트(BLT)를 통해 롤러(ROL)에 전달되어 롤러(ROL)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ROL)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 모듈(DM)이 롤러(ROL)에 권취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롤러(ROL)에 권취될 때, 제1 가이드 롤러(GR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가이드 롤러(GR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표시 모듈(DM)이 제1 가이드 롤러(GR1) 및 제2 가이드 롤러(GR2) 사이를 지날 수 있다.
구동부들(DRP)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구동부들(DRP)의 회전력이 벨트(BLT)를 통해 롤러(ROL)에 전달되어 롤러(ROL)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ROL)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 모듈(DM)이 롤러(ROL)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롤러(ROL)로부터 권출될 때, 제1 가이드 롤러(GR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가이드 롤러(GR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표시 모듈(DM)이 제1 가이드 롤러(GR1) 및 제2 가이드 롤러(GR2)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스피커들(SPK)은 구동부들(DR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들(SPK)은 소리를 생성하는 음향 소자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의 후면(BS) 상에 배치된 승강부(ELP) 및 바닥부(BP)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하단 지지부(SU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2 상단 지지부(HND2)는 하단 지지부(SUP) 위에 배치되고, 승강부(ELP)는 제2 상단 지지부(HND2)와 하단 지지부(SU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부(ELP)의 일단은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되고, 승강부(ELP)의 타단은 제2 상단 지지부(HND2)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부(ELP)는 하우징(HS) 외부로 표시 모듈(DM)을 확장시키거나, 하우징(HS) 내부로 표시 모듈(DM)을 축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승강부(ELP)는 하우징(HS)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승강부(ELP)는 표시 모듈(DM)의 후면(BS)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다. 승강부(ELP)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상단 지지부(HND)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부(ELP)가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어, 상단 지지부(HND)가 표시 모듈(DM)을 하우징(HS)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승강부(ELP)가 하우징(HS) 내부로 축소되어, 상단 지지부(HND)가 표시 모듈(DM)을 하우징(HS)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승강부(ELP)는 표시 모듈(DM)의 후면(BS)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블록들(BK) 및 블록들(BK)에 연결된 복수개의 구동 벨트들(DBT)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들(BK)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블록들(BK)은 구동 벨트들(DBT)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ELP)의 구조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블록들(BK)은 하단 지지부(SUP) 및 제2 상단 지지부(HND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들(BK)은 표시 모듈(DM)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최 좌우측 및 최 상단에 배치된 블록들(BK)이 제2 상단 지지부(HND2)에 연결되고, 제2 상단 지지부(HND2)가 표시 모듈(DM)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상단 지지부(HND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서로 연결된 블록들(BK)이 표시 모듈(DM)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록들(BK)은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최 좌우측 및 최 하단에 배치된 블록들(BK)이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서로 연결된 블록들(BK)이 하단 지지부(SUP)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록들(BK)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확장될 수 있다. 블록들(BK)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때,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로 축소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9에서 표시 모듈을 삭제하여, 승강부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표시 모듈을 삭제하여, 승강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승강부(ELP)의 구성을 보다 더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도 13 및 도 14에서, 표시 모듈(DM)의 권취 및 권출 동작에 관련된 구성들로서, 구동부들(DRP), 롤러(ROL),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1,GR2), 롤러 지지부들(RSP), 벨트(BLT), 및 스피커(SPK)는 삭제되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승강부(ELP)는 복수개의 블록들(BK), 복수개의 구동 벨트들(DBT), 복수개의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복수개의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pulley), 및 복수개의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들(BK)은 제1 중앙 블록(CBK1), 복수개의 제1 블록들(BK1), 제2 중앙 블록(CBK2), 및 복수개의 제2 블록들(BK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위" 및 "아래"는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블록들(BK)은 하단 지지부(SUP)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 및 제2 중앙 블록(CBK2)은 하단 지지부(SUP)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앙 블록(CBK1)은 제2 중앙 블록(CBK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CBK2)은 제1 중앙 블록(CBK1)에 접촉하여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은 제2 블록들(BK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들(HND1,HND2)은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 및 제2 중앙 블록(CBK2)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제1 중앙 블록(CBK1) 및 제1 블록들(BK1)이 표시 모듈(DM)을 하우징 외부로 확장하기 위해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또한, 제2 중앙 블록(CBK2) 및 제2 블록들(BK2)이 표시 모듈(DM)을 하우징 외부로 확장하기 위해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이동 상태에 따라, 블록들(BK)은 "X" 자 형태로 배열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에 배치될 경우, 제1 중앙 블록(CBK1) 및 제1 블록들(BK1)은 하우징(HS) 내부로 이동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에 배치될 경우, 제2 중앙 블록(CBK2) 및 제2 블록들(BK2)은 하우징(HS) 내부로 이동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 상태는 이하,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될 것이다.
제1 블록들(BK1)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중앙 블록(CBK1)의 양측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은 제1 중앙 블록(CBK1)의 양측들에 결합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중앙 블록(CBK2)의 양측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은 제2 중앙 블록(CBK2)의 양측들에 결합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1 블록들(BK1)은 제2 상단 지지부(HND2) 아래에 배치되어 제2 상단 지지부(HND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은 하단 지지부(SUP) 위에 배치되어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은 블록들(BK)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은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벨트들(DBT)은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은 제3 방향(DR3)에 평행한 회전축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블록들(BK)은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 및 구동 벨트들(DBT)에 의해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 세부적인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 쌍의 제1 기어(GIR1) 및 제2 기어(GIR2)는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1 블록들(BK1)을 제외한 제1 블록들(BK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1 블록들(BK1) 각각에는 제1 기어(GIR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중앙 블록(CBK1)의 양측들 각각에 제2 기어(GIR2)가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가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1 블록들(BK1)을 제외한 제1 블록들(BK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중앙 블록(CBK1)의 양측들 각각에 인접하도록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제1 중앙 블록(CBK1)의 양측들 각각에 인접한 제1 중앙 블록(CBK1)의 부분의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기준으로, 제1 중앙 블록(CBK1)의 일측에 결합된 제1 블록들(BK1)은 좌측 제1 블록들(BK1)로 정의되고, 제1 중앙 블록(CBK1)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블록들(BK1)은 우측 제1 블록들(BK1)로 정의된다. 제2 중앙 블록(CBK2)의 일측에 결합된 제2 블록들(BK2)은 좌측 제2 블록들(BK2)로 정의되고, 제2 중앙 블록(CBK2)의 타측에 결합된 제2 블록들(BK2)은 우측 제2 블록들(BK2)로 정의된다.
또한, 제1 중앙 블록(CBK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중앙 블록(CBK1)의 좌우측들은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 및 우측 제1 중앙 블록(CBK1)으로 정의된다. 제2 중앙 블록(CBK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 중앙 블록(CBK2)의 좌우측들은 좌측 제2 중앙 블록(CBK2) 및 우측 제2 중앙 블록(CBK2)으로 정의된다. 제1 중앙 블록(CBK1)의 좌우측들 및 제2 중앙 블록(CBK2)의 좌우측들은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더미 풀리들(DPL1)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어 제1 중앙 블록(CBK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더미 풀리들(DPL1)은 제1 중앙 블록(CBK1)의 중앙 및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더미 풀리들(DPL1)은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 및 우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각각 1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더미 풀리들(DPL1)은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보다 제1 중앙 블록(CBK1)의 중심에 인접할 수 있다.
좌측 제1 블록들(BK1)은 우측 제1 블록들(BK1)과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은 우측 제1 중앙 블록(CBK1)과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좌측 제1 블록들(BK1) 및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및 제1 더미 풀리(DPL1)는 우측 제1 블록들(BK1) 및 우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및 제1 더미 풀리(DPL1)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기어(GIR1) 및 제2 기어(GIR2)는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을 제외한 제2 블록들(BK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 각각에 제1 기어(GIR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중앙 블록(CBK2)의 양측들 각각에 제2 기어(GIR2)가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가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을 제외한 제2 블록들(BK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중앙 블록(CBK2)의 양측들 각각에 인접하도록 제2 중앙 블록(CBK2)에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제2 블록들(BK2) 각각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는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제2 중앙 블록(CBK2)의 양측들 각각에 인접한 제2 중앙 블록(CBK2)의 부분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더미 풀리들(DPL2)은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 각각에 1 개씩 연결될 수 있다. 제2 더미 풀리들(DPL2)은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의 상단들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좌측 제2 블록들(BK2)은 우측 제2 블록들(BK2)과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좌측 제2 중앙 블록(CBK2)은 우측 제2 중앙 블록(CBK2)과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좌측 제2 블록들(BK2) 및 좌측 제2 중앙 블록(CBK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및 제2 더미 풀리(DPL2)는 우측 제2 블록들(BK2) 및 우측 제2 중앙 블록(CBK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및 제2 더미 풀리(DPL2)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CBK2)은 제1 중앙 블록(CBK1)과 실질적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블록들(BK2)은 제1 블록들(BK1)과 실질적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풀리들(PUL2)의 위치에 일부 차이가 있을 뿐,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2 기어들(GIR2)은 실질적으로, 제2 중앙 블록(CBK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2 기어들(GIR2)과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CBK2)과 달리 제1 중앙 블록(CBK1)에는 제1 더미 풀리들(DPL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PUL1,PUL2)은 표시 모듈(DM)과 마주보는 블록들(BK)의 전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은 실질적으로, 제2 블록들(BK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과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블록들(BK1)과 달리 최 좌우측들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에 제2 더미 풀리들(DPL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블록들(BK)의 구조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 일부 제1 블록들(BK1), 일부 제1 블록들(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및 일부 제1 블록들(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의 구조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구동 롤러들(DRL) 및 가이드 롤러들(GRL)은 블록들(BK) 아래에 배치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어,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롤러들(DRL) 및 가이드 롤러들(GRL)은 표시 모듈(DM)과 마주보는 하단 지지부(SUP)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들(GRL)은 구동 롤러들(DRL)과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구동 롤러들(DRL)은 하단 지지부(SUP)의 중심부에 인접하고, 가이드 롤러들(GRL)은 하단 지지부(SUP)의 양측들에 인접할 수 있다. 구동 롤러들(DRL) 및 가이드 롤러들(GRL)은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벨트들(DBT)은 폐루프 형상을 갖고 구동 롤러들(DRL), 가이드 롤러들(GRL),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벨트들(DBT)은 구동 롤러들(DRL), 가이드 롤러들(GRL),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구동 벨트들(DBT)은 구동 롤러들(DRL), 가이드 롤러들(GRL),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 롤러들(DRL) 및 가이드 롤러들(GRL)은 제3 방향(DR3)에 평행한 회전축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벨트들(DBT)은 타이밍 벨트 또는 체인 벨트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롤러들(DRL)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1,DRL2,DRL3,DR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롤러들(DRL1,DRL2)은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3,DRL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롤러(DRL1)는 제2 및 제3 구동 롤러들(DRL2,DRL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 롤러(DRL2)는 제1 및 제4 구동 롤러들(DRL1,DRL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들(GRL)은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1,GRL2,GRL3,GRL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 가이드 롤러들(GRL1,GRL3)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하단 지지부(SUP)의 양측들 중 하단 지지부(SUP)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GRL1)가 제3 가이드 롤러(GRL3)보다 하단 지지부(SUP)의 일측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제2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2,GRL4)은 하단 지지부(SUP)의 양측들 중 하단 지지부(SUP)의 타측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롤러(GRL2)가 제4 가이드 롤러(GRL4)보다 하단 지지부(SUP)의 타측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3 가이드 롤러들(GRL1,GRL3)은 좌측 제2 블록들(BK2) 아래에 배치되고, 제2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2,GRL4)은 우측 제2 블록들(BK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벨트들(DBT)은 각각 폐루프 형상을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벨트들(DBT1,DBT2,DBT3,DBT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1 구동 롤러(DRL1), 제1 가이드 롤러(GRL1), 좌측 제1 블록들(BK1)과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더미 풀리(DPL1)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2 구동 벨트(DBT2)는 제2 구동 롤러(DRL2), 제2 가이드 롤러(GRL2), 우측 제1 블록들(BK1)과 우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우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더미 풀리(DPL1)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롤러들(DRL1,DRL2)은 하단 지지부(SUP) 내에 배치된 모터들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롤러들(DRL1,DRL2)이 회전하여 제1 및 제2 구동 벨트들(DBT1,DBT2)이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롤러들(DRL1,DRL2)의 회전력은 제1 및 제2 구동 벨트들(DBT1,DBT2)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L1,GRL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더미 풀리들(DPL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 벨트들(DBT1,DBT2)은 제1 및 제2 구동 롤러들(DRL1,DRL2)에 의해 이동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GRL1,GRL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더미 풀리들(DPL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구동 벨트(DBT3)는 제3 구동 롤러(DRL3), 제3 가이드 롤러(GRL3), 좌측 제2 블록들(BK2)과 좌측 제2 중앙 블록(CBK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최 좌측 제2 블록(BK2)에 연결된 제2 더미 풀리(DPL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4 구동 벨트(DBT4)는 제4 구동 롤러(DRL4), 제4 가이드 롤러(GRL4), 우측 제2 블록들(BK2)과 우측 제2 중앙 블록(CBK2)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최 우측 제2 블록(BK2)에 연결된 제2 더미 풀리(DPL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3,DRL4)은 하단 지지부(SUP) 내에 배치된 모터들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3,DRL4)이 회전하여 제3 및 제4 구동 벨트들(DBT3,DBT4)이 이동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3,DRL4)의 회전력은 제3 및 제4 구동 벨트들(DBT3,DBT4)에 의해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3,GRL4),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2 더미 풀리들(DPL2)에 전달될 수 있다. 제3 및 제4 구동 벨트들(DBT3,DBT4)은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3,DRL4)에 의해 이동되어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3,GRL4),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2 더미 풀리들(DPL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구동 벨트(DBT3)는 제1 구동 벨트(DBT1)의 페루프 형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구동 벨트(DBT4)는 제2 구동 벨트(DBT2)의 폐루프 형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 및 제1 중앙 블록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 및 제1 중앙 블록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일부 제1 블록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및 제1 더미 풀리(DPL1)는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들(GIR1)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양측면들 중 일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최 일측에 배치된 제1 블록(BK1)을 제외하고, 제2 기어들(GIR2) 각각은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양측면들 중 타측면에 인접한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전면(F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들(GIR2)은 제1 블록들(BK1)의 상단들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5 및 도 16에서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우측면 및 좌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은 제1 블록들(BK1)의 전면들(FS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의 전면(F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최 일측에 배치된 제1 블록(BK1)을 제외하고, 제1 풀리들(PUL1) 각각은 제1 블록들(BK1) 각각의 타측면 및 상단에 인접하고, 제2 풀리들(PUL2) 각각은 제1 블록들(BK1) 각각의 일측면 및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풀리들(PUL1)은 제2 기어들(GIR2)에 각각 중첩할 수 있다.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에서, 제1 풀리(PUL1)는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의 일측 및 상단에 인접하고, 제2 풀리(PUL2)는 제1 풀리(PUL1)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에 연결된 제1 더미 풀리(DPL1) 및 제2 풀리(PUL2)에서, 제1 더미 풀리(DPL1)는 제2 풀리(PUL2)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좌측 제1 중앙 블록(CBK1)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1 풀리들(PUL1) 및 제2 풀리들(PUL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풀리들(PUL1) 및 제2 풀리들(PUL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는 서로 인접한 제1 더미 풀리(DPL1) 및 제2 풀리(PUL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더미 풀리(DPL1) 및 제2 풀리(PUL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2 구동 벨트(DBT2)도, 제1 구동 벨트(DBT1)와 동일하게, 서로 인접한 제1 더미 풀리(DPL1) 및 제2 풀리(PUL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더미 풀리(DPL1) 및 제2 풀리(PUL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제3 구동 벨트(DBT3)(또는 제4 구동 벨트(DBT4))는 서로 인접한 제1 풀리(PUL1) 및 제2 더미 풀리(DPL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풀리(PUL1) 및 제2 더미 풀리(DPL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의 제1 방향(DR1)에 대한 이동 거리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은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의 제1 방향(DR1)에 대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들(STP1,STP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들(STP1,STP2)의 구조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임의의 2개의 제1 블록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의 후면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제1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의 측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h 번째 제1 블록(BK1_h)에 연결된 제1 기어(GIR1),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 연결된 제2 기어(GIR2), 및 h 번째 제1 블록(BK1_h)에 연결된 레일부(RAL),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 연결된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h 번째 제1 블록(BK1_h)에서 돌출된 제1 스토퍼(STP1),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서 돌출된 제2 스토퍼(STP2)의 구조들이 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2개의 제1 블록들(BK1)은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으로 정의된다. h는 자연수이다.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 연결된 제2 기어(GIR2)는 h 번째 제1 블록(BK1_h)에 연결된 제1 기어(GIR1)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GIR1)는 직선 기어를 포함하고, 제2 기어(GIR2)는 원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GIR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기어(GIR1)는 h+1 번째 제1 블록(BK1_h+1)과 마주보는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 상에 배치되어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에 연결될 수 있다. 일측면(OS1)과 마주보는 제1 기어(GIR1)의 일면에 반대하는 제1 기어(GIR1)의 타면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원 형상을 갖고, 제2 기어(GIR2)의 외주면은 톱니 바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2 방향(DR2)으로 제1 기어(GIR1)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GIR2)의 톱니 바퀴가 제1 기어(GIR1)의 톱니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3 방향(DR3)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기어(GIR1)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부(ELP)는 레일부(RAL) 및 제1 및 제2 스토퍼들(STP1,ST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RAL)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3 방향(DR3)으로 제1 기어(GIR1)와 이격될 수 있다. 레일부(RAL)는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 상에 배치되어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에 연결될 수 있다.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은 레일부(RAL)에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과 마주보는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일측면(OS2)이 레일부(RAL)에 결합될 수 있다.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은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일측면(OS2)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2 스토퍼(STP2)에 의해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일측면(OS2)이 레일부(RAL)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측면들(OS1,OS2)은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좌측 중앙 블록(CBK1) 및 좌측 중앙 블록(CBK1)에 인접한 제1 블록(BK1)도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과 같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최 일측에 배치된 제1 블록(BK1) 및 최 일측에 배치된 제1 블록(BK1)에 인접한 제1 블록(BK1)도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과 같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블록들(BK)에서,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블록들(BK)의 측면들은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승강부(ELP)는 h 번째 제1 블록(BK1_h)에서 돌출된 제1 스토퍼(STP1)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서 돌출된 제2 스토퍼(ST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STP1)는 h 번째 제1 블록(BK1_h)의 일측면(OS1)의 하단에서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기어(GIR1) 및 레일부(RAL)는 제1 스토퍼(STP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토퍼(STP2)는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일측면(OS2)의 상단에서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2 스토퍼(STP2)는 제1 스토퍼(STP1)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스토퍼(STP2)는 레일부(RAL)에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좌측 중앙 블록(CBK1) 및 제1 블록들(BK1)에도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과 동일하게 제1 및 제2 스토퍼들(STP1,STP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2 스토퍼(STP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3 방향(DR3)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스토퍼(STP2)의 양측면들 중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 기어(GIR1)에 맞물릴 수 있다. 제2 스토퍼(STP2)의 일측면은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전면(FS1)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FS1)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FS1)은 제1 전면(FS1_1) 및 제1 전면(FS1_1)보다 함몰된 제2 전면(FS1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FS1_2)은 제2 스토퍼(STP2)의 일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2 스토퍼(STP2)가 형성된 제2 전면(FS1_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좌측 중앙 블록(CBK1)의 전면(FS1)도 도 19에 도시된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전면(FS1)과 같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풀리(PUL1)는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풀리(PUL1)는 제2 스토퍼(STP2)의 일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풀리(PUL1)는 제2 기어(GIR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풀리(PUL1)는 제2 기어(GIR2)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풀리(PUL1)는 제2 기어(GIR2)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풀리(PUL1)는 제2 기어(GIR2)를 통해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PUL2)는 h+1 번째 제1 블록(BK1_h+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PUL2)는 제1 전면(FS1_1) 상에 배치되어 제1 전면(FS1_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GIR2)가 보다 함몰된 제2 전면(FS1_2)에 배치되고, 제1 풀리(PUL1)가 제2 기어(GIR2) 상에 배치되므로, 제2 풀리(PUL2)는 제1 풀리(PUL1)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풀리(PUL2)는 제1 풀리(PUL1)와 이격되어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 각각에는 가이드 홈(GG)이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홈들(GG)은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각각의 외주면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은 실질적으로, 제2 풀리(PUL2)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레일부 및 레일부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3 및 도 24에는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및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은 생략되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레일 결합부(RCP)가 제2 스토퍼(STP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RCP)는 제3 방향(DR3)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스토퍼(STP2)의 양측들로부터 레일부(RAL)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RCP)는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일 결합부(RCP)는 제3 방향(DR3)으로 서로 반대하는 레일부(RAL)의 양측면들에 정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레일홈들(RG)에 삽입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RCP)는 레일홈들(RG)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이 서로 맞물여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레일 결합부(RCP)가 레일홈들(RG)에 삽입되어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블록들(BK1) 및 제1 중앙 블록(CBK1)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제2 블록들(BK2) 및 제2 중앙 블록(CBK2)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도 19에 도시된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6에는 제1 및 제2 스토퍼들(STP1,STP2)을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구동 벨트(DBT1), 및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이 생략되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동할 때, 제2 스토퍼(STP2)가 제1 스토퍼(STP1)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이 제1 방향(DR1)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스토퍼(STP1) 및 제2 스토퍼(STP2)에 의해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의 제1 방향(DR1)에 대한 이동량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이 제1 방향으로 상승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도 19에 도시된 제1 블록들이 제1 방향으로 하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에 역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1 풀리(PUL1)의 상부 곡면에 배치되어 제1 풀리(PUL1)에서 위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2 풀리(PUL2)의 하부 곡면에 배치되어 제2 풀리(PUL2)에서 아래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는 제1 구동 벨트(DBT1)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에 정의된 가이드 홈들(GG)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 벨트(DBT1)가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에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GIR2)는 제1 풀리(PUL1)를 통해 제1 구동 벨트(DBT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에 의해 제1 풀리(PUL1) 및 제2 풀리(PUL2)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는 제1 풀리(PUL1)를 통해 제2 기어(GIR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에 의해 제1 풀리(PUL1)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1 풀리(PUL1)의 회전력이 제2 기어(GIR2)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3,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제1 구동 롤러(DRL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구동 롤러(DRL1)의 회전력이 제1 구동 벨트(DBT1)를 통해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구동 롤러(DRL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풀리(PUL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풀리(PUL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풀리(PUL1)에 의해 제2 기어(GIR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기어(GIR1)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제2 스토퍼(STP2)가 레일부(RAL)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다가 제1 스토퍼(STP1) 및 제2 스토퍼(STP2)가 서로 접촉할 때,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도 13,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제1 구동 롤러(DRL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 롤러(DRL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풀리(PUL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풀리(PUL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풀리(PUL1)에 의해 제2 기어(GIR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기어(GIR1)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제2 스토퍼(STP2)가 레일부(RAL)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 번째 제1 블록(BK1_h) 및 h+1 번째 제1 블록(BK1_h+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31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들을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롤러들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1 구동 롤러(DRL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롤러(DRL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구동 롤러(DRL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 구동 롤러(DRL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1,DRL2,DRL3,DRL4)의 회전력은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벨트들(DBT1,DBT2,DBT3,DBT4)에 의해,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 및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1,GRL2,GRL3,GRL4)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구동 벨트(DBT1)에 연결된 제1 더미 풀리(DPL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구동 벨트(DBT1)에 연결된 제2 풀리들(PUL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제1 구동 벨트(DBT1)에 연결된 제1 풀리들(PUL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구동 벨트(DBT1)에 연결된 제1 가이드 롤러(GRL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 벨트(DBT2)에 연결된 제1 더미 풀리(DPL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벨트(DBT2)에 연결된 제2 풀리들(PUL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벨트(DBT2)에 연결된 제1 풀리들(PUL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벨트(DBT2)에 연결된 제2 가이드 롤러(GRL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구동 벨트(DBT3)에 연결된 제2 풀리들(PUL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구동 벨트(DBT3)에 연결된 제1 풀리들(PUL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구동 벨트(DBT3)에 연결된 제2 더미 풀리(DPL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구동 벨트(DBT3)에 연결된 제3 가이드 롤러(GRL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4 구동 벨트(DBT4)에 연결된 제2 풀리들(PUL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 구동 벨트(DBT4)에 연결된 제1 풀리들(PUL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 구동 벨트(DBT4)에 연결된 제2 더미 풀리(DPL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 구동 벨트(DBT4)에 연결된 제4 가이드 롤러(GRL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과 제1 중앙 블록(CBK1)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과 제1 중앙 블록(CBK1)의 이동량은 제1 및 제2 스토퍼들(STP1,SPT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의 이동량은 제1 및 제2 스토퍼들(STP1,SPT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과 제2 블록들(BK2) 사이의 거리는 제1 및 제2 중앙 블록들(CBK1,CBK2)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표시 모듈(DM)이 권출될 때, 제1 및 제2 중앙 블록들(CBK1,CBK2)과 제1 및 제2 블록들(BK1,BK2)은 "X" 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도 13에 도시된 블록들을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롤러들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우측 제1 블록들, 우측 제1 중앙 블록, 우측 제2 블록들, 및 우측 제2 중앙 블록의 정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1 구동 롤러(DRL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롤러(DRL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구동 롤러(DRL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 구동 롤러(DRL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롤러들(DRL1,DRL2,DRL3,DRL4)의 회전력은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벨트들(DBT1,DBT2,DBT3,DBT4)에 의해,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 및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1,GRL2,GRL3,GRL4)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 및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들(GRL1,GRL2,GRL3,GRL4)의 회전 방향은 도 31과 반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블록들(BK1)과 제1 중앙 블록(CBK1)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고,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이 최대로 권취될 때, 제1 블록들(BK1)과 제1 중앙 블록(CBK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한 후,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한 후,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블록들(BK1)과 제1 중앙 블록(CBK1)은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최대로 권취될 때, 제1 블록들(BK1)은 제2 블록들(BK2)의 상면들에 접촉하여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은 제1 블록들(BK1)과 제1 중앙 블록(CBK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은 하단 지지부(SUP)의 상면에 접촉하여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SUP)는 제2 블록들(BK2)과 제2 중앙 블록(CBK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록들(BK)을 사용하지 않고, 접철식 링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접철식 링크들이 제2 상단 지지부(HND2)의 양단들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방향(DR1)으로 접혔다 펼쳐지면서, 표시 모듈(DM)이 제1 방향(DR1)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접철식 링크들이 사용될 경우, 좌측의 접철식 링크와 우측의 접철 링크의 상하 이동 속도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 표시 모듈(DM)의 좌우측의 상하 이동 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접철식 링크의 상하 이동속도에 맞도록 제어하는 동작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구동 롤러들(DRL1~DRL4)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구동 벨트들(DBT1~DBT4)에 의해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2 기어들(GIR2), 및 제1 및 제2 더미 풀리들(DPL1,DPL2)이 동일하게 회전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톱니로 서로 맞물린 기어 형태로 구현된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에 의해 블록들(BK)이 이동되므로, 블록들(BK)의 이동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DR1)에 대한 블록들(BK)의 상하 이동 속도가 동일하게 그리고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접철식 링크를 사용할 때보다, 구동 롤러들로 구현된 구동부들(DRP) 및 제1 내지 제4 구동 롤러들(DRL1~DRL4)은 서로 회전 속도가 매칭되도록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시적으로 도 35 및 도 36에는 블록들(BK_1,BK_2)의 정면이 도시되었다.
도 35를 참조하면, 승강부(ELP_1)는 복수개의 블록들(BK_1), 복수개의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복수개의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복수개의 구동 벨트들(BLT1,BLT2), 복수개의 구동 롤러들(DRL1,DRL2),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들(GRL1,GRL2), 및 복수개의 스토퍼들(STP1,STP2)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들(BK_1)은 제1 중앙 블록(CBK1_1) 및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중앙 블록(CBK1_1)의 양측들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 블록들(BK1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 블록(CBK1_1) 및 제1 블록들(BK1_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중앙 블록(CBK1_1)은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되고,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1 블록들(BK1_1)은 제2 상단 지지부(HND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블록들(BK_1)의 구조는, 제1 중앙 블록(CBK1_1)에 제1 더미 풀리(DPL1)와 제2 풀리(PUL2)가 배치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도 13에서 제1 중앙 블록(CBK1)과 제1 블록들(BK1)의 연결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구동 벨트들(BLT1,BLT2), 구동 롤러들(DRL1,DRL2), 가이드 롤러들(GRL1,GRL2), 및 스토퍼들(STP1,STP2)은 실질적으로, 앞서 설명된 승강부(ELP)의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구동 벨트들(BLT1,BLT2), 구동 롤러들(DRL1,DRL2), 가이드 롤러들(GRL1,GRL2), 및 스토퍼들(STP1,STP2)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승강부(ELP_2)는 복수개의 블록들(BK_2), 복수개의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복수개의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복수개의 더미 풀리들(DPL2), 복수개의 구동 벨트들(BLT3,BLT4), 복수개의 구동 롤러들(DRL3,DRL4),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들(GRL3,GRL4), 및 복수개의 스토퍼들(STP1,STP2)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들(BK_2)은 제2 중앙 블록(CBK2_1) 및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중앙 블록(CBK2_1)의 양측들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 블록들(BK2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CBK2_1) 및 제2 블록들(BK2_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CBK2_1)은 제2 상단 지지부(HND2)에 연결되고,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2 블록들(BK2_1)은 하단 지지부(SUP)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블록들(BK_2)의 구조는, 제2 중앙 블록(CBK2_1)에 배치된 제2 풀리(PUL2)의 위치가 보다 위로 이동된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도 13에서 제2 중앙 블록(CBK2)과 제2 블록들(BK2)의 연결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더미 풀리들(DPL2), 구동 벨트들(BLT3,BLT4), 구동 롤러들(DRL3,DRL4), 가이드 롤러들(GRL3,GRL4), 및 스토퍼들(STP1,STP2)은 실질적으로, 앞서 설명된 승강부(ELP)의 제1 및 제2 기어들(GIR1,GIR2), 제1 및 제2 풀리들(PUL1,PUL2), 제2 더미 풀리들(DPL2), 구동 벨트들(BLT3,BLT4), 가이드 롤러들(GRL3,GRL4), 및 스토퍼들(STP1,STP2)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ELP: 승강부 BK: 블록
CBK1,CBK2: 제1 및 제2 중앙 블록 BK1,BK2: 제1 및 제2 블록
GIR1,GIR2: 제1 및 제2 기어 PUL1,PUL2: 제1 및 제2 풀리
DPL1,DPL2: 제1 및 제2 더미 풀리 STP1,STP2: 제1 및 제2 스토퍼
DBT: 구동 벨트 DRL: 구동 롤러
GRL: 가이드 롤러
DBT1,DBT2,DBT3,DBT4: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벨트
DRL1,DRL2,DRL3,DRL4: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롤러
GRL1,GRL2,GRL3,GRL4: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롤러

Claims (21)

  1.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단에 연결된 롤러;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블록;
    h 번째 블록에 연결된 제1 기어;
    h+1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고, h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직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원형 기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블록의 측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와 이격된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레일부는 상기 h+1 번째 블록과 인접하는 상기 h 번째 블록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h+1 번째 블록은 상기 레일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h 번째 블록의 상기 일측면의 하단에서 돌출된 제1 스토퍼; 및
    상기 h 번째 블록과 인접하는 상기 h+1 번째 블록의 일측면의 상단에서 돌출된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로부터 상기 레일부를 향해 돌출된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레일부의 양측면 각각에 정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홈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2 스토퍼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는 표시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풀리; 및
    상기 h+1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풀리와 이격되어, 상기 h+1 번째 블록의 하단에 인접한 제2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벨트는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역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구동 벨트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벨트는 상기 제1 및 제2 풀리 각각의 외주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블록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구동 벨트에 연결된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벨트는 폐루프 형상을 갖고, 상기 구동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를 따라 연장되는 표시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제1 중앙 블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블록;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중앙 블록 아래에 배치된 제2 중앙 블록;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2 중앙 블록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중앙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하단 지지부; 및
    상기 하단 지지부 위에 배치된 상단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 및 상기 상단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상기 제1 중앙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1 블록은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되고,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2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이 상기 롤러로부터 권출될 때,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과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과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중앙 블록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표시 모듈이 상기 롤러에 최대로 권취될 때,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과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좌우측은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일측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 블록은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타측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 블록과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중앙 블록의 일측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 블록은 상기 제2 중앙 블록의 타측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 블록과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18. 제 3 항에 있어서,
    하단 지지부; 및
    상기 하단 지지부 위에 배치된 상단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 및 상단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중앙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1 블록은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하단 지지부; 및
    상기 하단 지지부 위에 배치된 상단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 및 상기 상단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제2 중앙 블록;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2 중앙 블록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앙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상기 상단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최 좌우측에 배치된 제2 블록은 상기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20.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단에 연결된 롤러;
    상기 표시 모듈의 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타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블록;
    h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기어; 및
    h+1 번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h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와 이격되어 상기 h+1 번째 블록에 연결된 풀리; 및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풀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풀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 벨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101689A 2021-08-03 2021-08-03 표시 장치 KR20230020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89A KR20230020595A (ko) 2021-08-03 2021-08-03 표시 장치
US17/828,287 US20230044285A1 (en) 2021-08-03 2022-05-31 Display device
CN202280046953.4A CN117597648A (zh) 2021-08-03 2022-06-28 显示装置
PCT/KR2022/009171 WO2023013884A1 (ko) 2021-08-03 2022-06-28 표시 장치
EP22853263.6A EP4365706A1 (en) 2021-08-03 2022-06-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89A KR20230020595A (ko) 2021-08-03 2021-08-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595A true KR20230020595A (ko) 2023-02-13

Family

ID=8515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89A KR20230020595A (ko) 2021-08-03 2021-08-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44285A1 (ko)
EP (1) EP4365706A1 (ko)
KR (1) KR20230020595A (ko)
CN (1) CN117597648A (ko)
WO (1) WO20230138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102438A1 (en) * 2014-01-03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EP2940552B1 (en) * 2014-04-29 2020-04-22 LG Display Co., Ltd. Adjustable display device
KR102300024B1 (ko) * 2014-10-23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480755B2 (en) * 2015-03-02 2019-11-1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 plate assembly with variable curvatures and backlight unit thereof
US10347160B2 (en) * 2015-04-30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429119B1 (ko) * 2015-12-30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578091B (zh) * 2016-01-06 2018-11-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可曲直转换的柔性屏及电视机
EP3400590A4 (en) * 2016-06-01 2019-08-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68284B1 (ko) * 2018-08-29 2023-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6466B1 (ko) * 2018-12-26 2024-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88324B (zh) * 2019-08-02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摺疊式電子裝置
JP7243565B2 (ja) * 2019-10-17 2023-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10053100A (ko) * 2019-11-01 2021-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3884B1 (ko) * 2020-04-21 2020-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14266A1 (ko) * 2020-11-26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220400562A1 (en) * 2020-12-15 2022-12-1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device
CN113163034B (zh) * 2021-04-20 2023-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组件和电子装置
US11526198B1 (en) * 2021-07-29 2022-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Rollable displays with tension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884A1 (ko) 2023-02-09
EP4365706A1 (en) 2024-05-08
US20230044285A1 (en) 2023-02-09
CN117597648A (zh)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771B1 (ko) 광학-간섭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08598A1 (zh) 电子设备
GB2571424A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rolla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00120845A (ko) 표시 장치
US200600771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devices into an interconnected array
WO2014165251A2 (en) Displays with local dimming elements
US10025090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05338155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14235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20073772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58428B1 (ko) 폴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96664B2 (en) Display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WO2022068025A1 (zh) 背光模组、液晶显示屏幕及液晶显示屏幕的使用方法
WO2021227775A1 (zh) 电子设备及显示屏
CN111064829A (zh) 一种显示装置及终端设备
US20210335919A1 (en) Display panel and terminal device thereof
WO2021016851A1 (zh) 一种指纹识别组件、光学指纹显示模组及电子装置
KR20150047800A (ko) Oca를 이용한 방수구조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20230020595A (ko) 표시 장치
KR20220134854A (ko) 표시 장치
KR20230030066A (ko) 표시 장치
US20230189458A1 (en) Display module driv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9843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4973979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132643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