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643A -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643A
KR20230132643A KR1020220029040A KR20220029040A KR20230132643A KR 20230132643 A KR20230132643 A KR 20230132643A KR 1020220029040 A KR1020220029040 A KR 1020220029040A KR 20220029040 A KR20220029040 A KR 20220029040A KR 20230132643 A KR20230132643 A KR 2023013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device
disposed
opening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은경
안이준
이재빈
이강영
장문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643A/ko
Priority to US17/992,234 priority patent/US20230292452A1/en
Priority to PCT/KR2023/000182 priority patent/WO2023171898A1/ko
Priority to CN202380016705.XA priority patent/CN118542086A/zh
Publication of KR2023013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secured to a flexible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부, 및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제2 개구부가 정의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펼쳐 졌을 때,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화되고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부, 및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제2 개구부가 정의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화소,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부, 및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제1 상면은 상기 제1 상면 주변의 제2 상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지지부의 제1 부분 및 복수개의 제2 부분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단계, 기판을 상기 지지부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제2 부분에 중첩하는 상기 기판의 영역 상에 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지지부에, 제1 개구부 및 복수개의 제2 개구부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의 하부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이 사용되지 않고, 표시 패널의 하면에 지지부가 바로 부착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이 생략되므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는 기판의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 및 권취 및 권출되는 기판의 제1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제2 개구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이 용이하게 벤딩되고, 표시 패널의 하면이 지지부에 의해 보호되고, 제1 영역 아래의 지지부의 부분이 용이하게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에 수용되는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권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벤딩 영역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이 롤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이 롤러에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벤딩 영역 및 벤딩 영역 아래의 지지부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벤딩 영역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28은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에 수용되는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권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하우징(HS), 헤드바(HDB), 표시 모듈(DM), 및 복수개의 기능 버튼들(F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에는 제1 방향(DR1)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HS)은 제1 방향(DR1)보다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하우징(HS)은 제3 방향(DR3)보다 제2 방향(DR2)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헤드바(HDB)는 개구부(OP)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바(HDB)는 제1 방향(DR1)으로 하우징(HS)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하우징(HS)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모듈(DM)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 모듈(DM)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기능 버튼들(FB)은 하우징(HS)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 버튼들(FB)은 표시 장치(DD)에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들(FB)에 의해 하우징(HS) 내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외부로 이동하거나, 하우징(HS) 외부의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버튼들(FB)에 의해 표시 모듈(DM)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및 선명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두루마리처럼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모듈(DM)의 일측부터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면(DS)이 외부를 향하도록 말려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방향(DR1)에 대한 표시 모듈(DM)의 상단은 헤드바(HDB)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바(HDB)가 제1 방향(DR1)으로 하우징(HS)과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표시 모듈(DM)이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어 하우징(HS)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반대로, 헤드바(HDB)가 제1 방향(DR1)으로 하우징(HS)과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기능 버튼들(FB) 중 업버튼(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기능 버튼들(FB) 중 다운 버튼(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로 축소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노출면의 면적은 업버튼 및 다운 버튼에 의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의 확장 및 축소 동작을 위해 표시 모듈(DM)의 후면 상에 승강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6에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표시 모듈(DM)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 센싱부(ISP), 반사 방지층(RPL), 및 윈도우(WIN)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입력 센싱부(IS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센싱부(ISP)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부들(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싱부(I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 시, 표시 패널(DP)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센싱부(ISP)는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패널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센싱부(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센싱부(ISP)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입력 센싱부(ISP)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DP)을 향해 진행된 외부광이 표시 패널(DP)에서 반사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될 경우, 거울과 같이, 사용자가 외부광을 시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의 화소들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외부광을 화소들과 동일한 색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반사 방지층(RPL)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입력 센싱부(ISP), 및 반사 방지층(RPL)을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7에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표시 패널(DP)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polyimide)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 상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덮도록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들 및 무기층들 사이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 및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 사이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영역(A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AA2) 및 벤딩 영역(B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개의 화소들(PX), 복수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CSL2), 전원 라인(PL), 복수개의 연결 라인들(CNL), 및 복수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영역(AA1)의 양측들에 각각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2 영역(AA2)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제2 영역(AA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표시 영역(DA)과 발광 구동부(EDV)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라인(PL)은 표시 영역(DA)과 주사 구동부(SDV)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원 라인(PL)은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구동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전원 라인(PL) 및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전압은 서로 연결된 전원 라인(PL) 및 연결 라인들(CNL)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패드들(PD)은 제2 영역(AA2)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 전원 라인(PL),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를 통해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부(DDV)가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각각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들(PD)에 인쇄 회로 기판이 연결되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집적 회로 칩으로 제조되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 생성부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주사 제어 신호,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생성부는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제어 신호는 제1 제어 라인(CSL1)을 통해 주사 구동부(SDV)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제어 신호는 제2 제어 라인(CSL2)을 통해 발광 구동부(EDV)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DDV)에 제공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구동부(DDV)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들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 아래의 지지부(SUP)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UP)는 표시 모듈(DM) 아래에서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패널(DP)과 동일하게,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 사이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제1 영역(A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된 발광 소자(OLED)가 제1 영역(A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덮도록 제1 영역(A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센싱부(ISP)는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A1) 상에 입력 센싱부(ISP), 반사 방지층(RPL), 및 윈도우(WIN)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벤딩 영역(BA)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2 영역(A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구동부로 정의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제1 영역(AA1) 상에 배치되어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 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되어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패드들(PD)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되어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의 일측에 회로 기판(FPC)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FPC)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 생성부는 회로 기판(FP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 상에 벤딩 보호층(BPL)이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1 영역(AA1)의 부분 및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2 영역(AA2)의 부분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배선들을 커버하여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배선들을 보호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의 강성을 보완하여, 벤딩 영역(BA)이 휘어질 때, 벤딩 영역(BA)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보호할 수 있다.
지지부(SUP)는 기판(SUB)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기판(SUB)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을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부(SUP)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지지부(SUP)의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SUP)는 기판(SUB)에 바로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SUP)의 상면은 기판(SUB)의 하면에 바로 접촉하여 기판(SUB)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SUP)의 상면 및 기판(SUB)의 하면은 서로 마주보는 면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지지부(SUP)에는, 평면 상에서 봤을 때, 벤딩 영역(BA)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및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제2 개구부들(OP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벤딩 영역(BA) 아래에 정의되고, 제2 개구부들(OP2)은 제1 개구부(OP1)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제1 영역(AA1) 아래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은 동일층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들(OP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 사이의 지지부(SUP)의 부분들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1 개구부(OP1)의 폭은 제2 개구부들(OP2)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2 개구부들(OP2)에 배치된 복수개의 레진층들(R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진층(RIL)은 제1 개구부(OP1)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레진층들(RIL)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진층들(RIL)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진층들(RIL)은 제2 개구부들(OP2)에서 기판(SUB)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레진층들(RIL)은 기판(SUB)의 하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레진층들(RIL)이 제2 개구부들(OP2)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부(SUP)의 평평한 상면이 제1 영역(AA1)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레진층들(RIL)은 지지부(SUP)보다 유연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부(SUP)는 레진층들(RIL)보다 큰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레진층들(RIL) 각각의 하면은, 지지부(SUP)의 하면보다 기판(SUB)에 인접할 수 있다. 지지부(SUP)의 하면은 지지부(SUP)의 상면에 반대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레진층들(RIL) 각각의 하면은 레진층들(RIL) 각각의 상면에 반대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레진층들(RIL) 각각의 두께는 지지부(SUP)의 두께보다 작고 지지부(SUP)의 두께의 1/2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SUP)에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벤딩 영역(BA) 상에 정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개구부들(OP2)은 제1 영역(AA1) 상에 정의되어,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영역(AA1) 상에서 지지부(SUP)는 제2 개구부들(OP2)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제2 개구부들(OP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영역(AA1)에 중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에 중첩하는 지지부(SUP)의 부분이 제거되어 제1 개구부(OP1)가 형성됨으로써, 벤딩 영역(BA)에 지지부(SUP)가 부착될 때보다 벤딩 영역(BA)의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유사한 이유로,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지지부(SUP)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제2 개구부들(OP2)이 형성됨으로써, 제1 영역(AA1)의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부(SUP)에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벤딩 영역(BA) 상에 정의되고, 제2 개구부들(OP2')은 제1 영역(AA1)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들(OP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개구부들(OP2')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1 개구부들(OP2-1) 및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어 제1 방향(DR1)으로 제2-1 개구부들(OP2-1)에 인접한 복수개의 제2-2 개구부들(OP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향(DR2)은 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1 개구부들(OP2-1)은 h 번째 열로 배열되고, 제2-2 개구부들(OP2-2)은 h+1 번째 열로 배열될 수 있다. h는 자연수이다. 제2-2 개구부들(OP2-2)은 제2-1 개구부들(OP2-1)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지지부(SUP)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제2-1 및 제2-2 개구부들(OP2-1,OP2-2)이 형성됨으로써, 제1 영역(AA1)의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벤딩 영역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은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AA2) 상의 지지부(SUP)의 부분도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과 함께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표시 패널(DP)의 외부를 향해 볼록해지도록 휘어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 아래에 지지부(SUP)가 배치되지 않고 제1 개구부(OP1)가 정의되므로, 벤딩 영역(BA)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도 12에서 제2 영역(AA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제2 영역(AA2) 및 벤딩 영역(BA)은 베젤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의 아래에 배치됨으로 평면 상에서 봤을 때, 표시 패널(DP)의 베젤 영역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이 롤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제1 영역이 롤러에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13 및 도 14에서 하우징(HS)이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표시 패널(DP)이 단층으로 도시되고, 표시 패널(DP) 상의 구성들은 생략되었다. 이하,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지지부(SUP)는 도 10에 도시된 지지바들(SB)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설명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하우징(HS) 내에 배치된 롤러(ROL)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롤러(ROL)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RX)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롤러(ROL)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ROL)의 내부에는 공간(IS)(이하 내부 공간이라 칭함)이 정의될 수 있다. 롤러(ROL)에는 내부 공간(IS)으로 통하는 개구부(R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ROP)는 롤러(ROL)의 외주면(도면 부호 미도시)부터 롤러(ROL)의 내주면(도면 부호 미도시)까지 롤러(ROL)를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롤러(ROL)의 내주면은 개구부(ROP)를 정의하고, 롤러(ROL)의 외주면은 롤러(ROL)의 내주면에 반대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벤딩되어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때, 제2 영역(AA2)은 내부 공간(IS)에 배치되고 벤딩 영역(BA)은 개구부(ROP)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하 구조에 따라, 표시 패널(DP)의 일측이 롤러(ROL)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롤러(ROL)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롤러(ROL)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HS)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하우징(HS)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롤러(ROL)가 회전축(RX)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영역(AA1)은 롤러(ROL)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롤러(ROL)로부터 권출되어 하우징(HS)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롤러(ROL)가 회전축(RX)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영역(AA1)은 롤러(ROL)에 권취될 수 있다. 지지부(SUP)에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들(OP2)이 정의됨으로써, 제1 영역(AA1)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제1 영역(AA1)이 보다 용이하게 롤러(ROL)에 권취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롤러(ROL)에 권취되어 하우징(HS)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이 롤러(ROL)에 최대로 권취될 때, 제1 영역(AA1)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하우징(HS)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구조에 따라, 롤러(ROL)에 의해, 제1 영역(AA1)이 제1 방향(DR1)으로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다.
보다 큰 모듈러스를 갖는 지지바들(SB)은 제1 영역(AA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바들(SB) 사이의 레진층들(RIL)은 지지바들(SB) 사이의 제2 개구부들(OP2)을 채움으로써, 제1 영역(AA1) 아래의 지지부(SUP)가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레진층들(RIL)이 배치되지 않는다면, 제2 개구부들(OP2)에 중첩하는 제1 영역(AA1)의 부분들이 지지부(SUP)를 향해 하부로 쳐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AA1)의 평탄도가 낮아질 수 있다. 평탄도는 면 품위(surface quality)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레진층들(RIL)이 제2 개구부들(OP2)에 배치됨으로서, 지지부(SUP)가 평평한 상면을 제1 영역(AA1) 아래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AA1)의 면 품위가 향상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이 롤러(ROL)에 권취될 때, 지지바들(SB)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어, 제2 개구부들(OP2)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레진층들(RIL)이 지지부(SUP)의 하면까지 배치된다면, 제1 영역(AA1)이 롤러(ROL)에 권취될 때, 제2 개구부들(OP2)의 폭이 좁아지므로, 레진층들(RIL)이 지지부(SUP)의 하면보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레진층들(RIL)은 지지부(SUP)의 하면보다 제2 개구부들(OP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AA1)이 롤러(ROL)에 권취되어 제2 개구부들(OP2)의 폭이 좁아지더라도, 레진층들(RIL)이 지지부(SUP)의 하면보다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기판(SUB)의 하면에 기판(SUB)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와 같은 접착층을 통해 기판(SUB)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도록 보호 필름에 전술한 제1 개구부(OP1)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이 사용될 때, 표시 패널(DP)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바들(SB)을 포함하는 지지부가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보호 필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에는 제1 개구부(OP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 필름 및 접착층이 사용되어 공정이 복잡해지고, 또한, 표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이 사용되지 않고,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지지부(SUP)가 바로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SUP)에 제1 개구부(OP1) 및 제2 개구부들(OP2)이 함께 형성됨으로써, 벤딩 영역(BA)이 보다 용이하게 벤딩되고, 지지바들(SB)에 의해 제1 영역(AA1)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들(SB) 및 레진층들(RIL)이 기판(SUB)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SUB)이 지지바들(SB) 및 레진층들(RIL)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지지부(SUP)가 보호 필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면서, 지지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표시 장치(DD)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이 생략되므로, 표시 장치(DD)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벤딩 영역 및 벤딩 영역 아래의 지지부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15는 도 9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DD-1)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지지부(SUP-1)는 도 10에 도시된 지지바들(SB)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설명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1)는 기판(SUB)의 제1 영역(AA1)과 지지부(SUP-1) 사이에 배치된 접착 보조층(AS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 보조층(ASP)은 아모퍼스 실리콘(a-Si: Amorphous Silicon)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iym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은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의 하면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접착 보조층(ASP)은, 제2 개구부들(OP2)이 형성된 지지부(SUP)의 부분과 중첩하는 제1 영역(AA1)의 하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의 기능은 이하 제조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접착 보조층(ASP)은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아모퍼스 실리콘(a-Si: Amorphous Silicon)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iym oxide)와 같은 접착 보조층(ASP)이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에 배치될 때, 기판(SUB)과 지지부(SUP-1)가 보다 더 강하게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에 접착 보조층(ASP)이 배치될 때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의 접착력은, 기판(SUB)과 지지부(SUP-1)가 서로 직접 접촉할 때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의 접착력보다 클 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에 의해 제1 영역(AA1)에 대한 지지부(SUP-1)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에 대한 지지부(SUP-1)의 접착력은 제1 영역(AA1)보다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펼쳐 졌을 때,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한 지지부(SUP-1)의 상면은 기판(SU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벤딩 됐을 때,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한 지지부(SUP-1)의 상면은 기판(SUB)에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SUP-1)의 상면은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한 제1 상면(US1) 및 제1 상면(US1) 주변에 배치된 제2 상면(US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상면(US1)은 도 15에서 좌우측에 2개로 제공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제1 상면(US1)이 설명될 것이다. 벤딩 영역(BA)이 펼쳐 졌을 때, 제1 상면(US1)은 기판(SUB)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상면(US2)은 기판(SUB)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상면(US1)은 제2 상면(US2)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상면(US1)은 곡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BA)이 펼쳐 졌을 때, 제1 상면(US1)은 기판(SU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상면(US1)과 기판(SUB) 사이의 간격은 제2 상면(US2)과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제1 상면(US1)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벤딩 영역(BA)이 펼쳐 졌을 때, 제1 상면(US1)은 기판(SUB)의 하면과 0보다 크고 30보다 작거나 같은 제1 각도(θ1)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상면(US1)은 제2 상면(US2)과 180도 보다 작고 150도보다 크거나 같은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벤딩 영역의 벤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이 벤딩되어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경사지게 배치된 제1 상면(US1)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제1 상면(US1)은 제2 상면(US2)과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높이는 제3 방향(DR3)으로 측정된 수치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상면(US2)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방향(DR3)은 제2 상면(US2)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상면(US1)에 중첩하는 지지부(SUP-1)의 부분의 두께는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기준으로, 제1 상면(US1)과 제1 상면(US1)에 중첩하는 지지부(SUP-1)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벤딩될 때, 기판(SUB)은 제1 상면(US1)에 접촉할 수 있다. 기판(SUB)이 제1 상면(US1)에 접촉하면서, 벤딩 영역(BA)이 벤딩될 수 있다. 제1 상면(US1)이 도 12와 같이 평평하게 배치될 때보다, 도 17과 같이 제1 상면(US1)이 경사지게 배치될 때, 벤딩 영역(BA)이 제1 상면(US1)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SUP)를 제조하기 위한 모 기판(M-G)이 준비될 수 있다. 모 기판(M-G)은 복수개의 단위 기판들(U-G)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기판들(U-G)이 절단되어 지지부(SUP)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은 도 18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들을 참고하여, 어느 하나의 단위 기판(U-G)이 가공되어 지지부(SUP)가 형성되는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단면도들에서 I-I'선의 단면에 대한 단위 기판(U-G)은 편의상 지지부(SUP)로 지칭될 것이다. 제조 방법에 도시된 지지부(SUP)는 지지바들(S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설명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부(SUP)가 준비되고, 지지부(SUP)에는 제1 부분(OPA1) 및 복수개의 제2 부분들(OPA2)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지지부(SUP)는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이 형성되기 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부분(OPA1)은 도 9에 도시된 제1 개구부(OP1)에 대응되고, 제2 부분들(OPA2)은 도 9에 도시된 제2 개구부들(OP2)에 대응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이 제거되어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레이저 빔(LB)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에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은 피코 레이저 빔 또는 펨토초 레이저 빔을 포함할 수 있다. 피코 레이저 빔 또는 펨토초 레이저 빔은 초고속 레이저(ultrafast laser) 빔으로 정의될 수 있다.
피코 레이저 빔 또는 펨토초 레이저 빔와 같은 레이저 빔이 글래스에 조사될 때, 글래스의 물성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코 레이저 빔 또는 펨토초 레이저 빔과 같은 레이저 빔이 글래스에 조사될 때, 광자(photon)가 열전자(hot electron)로 변형되면서, 글래스에 포함된 Si-O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레이저 빔(LB)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에 조사되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의 물성이 변화될 수 있다. 물성이 변화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은 불산과 같은 식각액에 더 크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의 식각률이 지지부(SUP)의 다른 부분들보다 높아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0에서 물성이 변화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은 지지부(SUP)의 다른 부분들과 다른 해칭으로 도시되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영역(A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을 포함하는 기판(SUB)이 지지부(SUP)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회로 소자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LED)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영역(AA1) 상에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된 발광 소자(OLED)가 제공되고, 제2 영역(AA2) 상에 데이터 구동부(DDV)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 입력 센싱부(ISP), 반사 방지층(RPL), 및 윈도우(WIN)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부(SUP)에 식각액(ETL)이 제공될 수 있다. 식각액(ETL)은 지지부(SUP)를 식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성이 변화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의 식각률이 지지부(SUP)의 다른 부분들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이 먼저 제거되더라도, 지지부(SUP)의 다른 부분들은 제거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다.
지지부(SUP)의 다른 부분들은 식각액(ETL)에 의해 두께가 작아질 수는 있으나,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식각액(ETL)에 의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이 제거되어, 벤딩 영역(BA)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OP1) 및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들(OP2)이 지지부(SUP)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들(OP2)에 의해 지지바들(S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유동성을 갖는 레진(RIN)이 제2 개구부들(OP2)에 제공되어 경화될 수 있다. 레진(RIN)이 경화되어 레진층들(RIL)이 제2 개구부들(OP2)에 제공될 수 있다. 레진층들(RIL)은 잉크쳇 프린팅 방식을 통해 제2 개구부들(OP2)에 제공될 수 있으나, 레진층들(RIL)을 제2 개구부들(OP2)에 제공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AA2)의 일측에 회로 기판(FPC)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1 개구부(OP1)에 중첩하는 벤딩 영역(BA)이 벤딩되어 표시 장치(DD)가 제조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8은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제조 방법과 다른 방법을 위주로, 도 24 내지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DD-1)의 제조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제조 방법에 도시된 지지부(SUP-1)는 지지바들(S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설명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지지부(SUP-1)에 정의된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에 레이저 빔(LB)이 조사되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의 물성이 변화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지지부(SUP-1) 상에 접착 보조층(ASP)이 제공될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은 전술한 기판(SUB)의 제1 영역(AA1)에 중첩하는 지지부(SUP-1)의 상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은 제2 부분들(OPA2)을 덮도록 지지부(SUP-1)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지지부(SUP-1) 상에 표시 패널(DP), 입력 센싱부(ISP), 반사 방지층(RPL), 및 윈도우(WIN)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식각액(ETL)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에 제공되어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들(OPA1,OPA2)이 제거되어 제1 및 제2 개구부들(OP1,OP2)이 지지부(SUP-1)에 정의될 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에 의해, 기판(SUB)의 제1 영역(AA1)과 지지부(SUP-1) 사이의 접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AA1)보다 벤딩 영역(BA)에 대한 지지부(SUP-1)의 접착력은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식각액(ETL)이 제1 개구부(OP1)를 통해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한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에 침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한 지지부(SUP-1)의 상면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전술한 제1 상면(US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언터 컷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상면(US2)은 식각액(ETL)이 침투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기판(SUB)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접착 보조층(ASP)에 의해, 제1 영역(AA1)에 대한 지지부(SUP-1)의 접착력이 강해지므로, 식각액(ETL)은 제2 개구부들(OP2)을 통해 기판(SUB)과 지지부(SUP-1) 사이로 침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A1) 아래에서 지지부(SUP-1)에 언더 컷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레진을 경화시켜 레진층들(RIL)이 제2 개구부들(OP2)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의 일측에 회로 기판(FPC)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되도록, 제1 개구부(OP1)에 중첩하는 벤딩 영역(BA)이 벤딩되어 표시 장치(DD-1)가 제조될 수 있다. 식각액(ETL)에 의해 형성된 제1 상면(US1)에 의해 벤딩 영역(BA)이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SUB: 기판 AA1,AA2: 제1 및 제2 영역
BA: 벤딩 영역 SUP: 지지부
OP1,OP2: 제1 및 제2 개구부 RIL: 레진층
OPA1,OPA2: 제1 및 제2 부분 US1,US2: 제1 및 제2 상면
SB: 지지바 LB: 레이저 빔

Claims (20)

  1.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부; 및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제2 개구부가 정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부 각각에 배치된 레진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보다 상기 기판에 인접한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판에 바로 부착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아래에 배치되도록 벤딩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권취 및 권출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부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제1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부는,
    h 번째 열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1 개구부; 및
    h+1 번째 열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1 개구부와 엇갈리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2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제1 상면; 및
    상기 제1 상면 주변에 배치된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은 상기 제2 상면과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상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접착 보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보조층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치된 화소;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된 구동부; 및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가 정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제1 상면은 상기 제1 상면 주변의 제2 상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지지부의 제1 부분 및 복수개의 제2 부분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단계;
    기판을 상기 지지부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제2 부분에 중첩하는 상기 기판의 영역 상에 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지지부에, 제1 개구부 및 복수개의 제2 개구부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빔은 피코 레이저 빔 또는 펨토초 레이저 빔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부 각각에 레진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구부에 중첩하는 상기 기판의 벤딩 영역을 벤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진층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보다 상기 기판에 인접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부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제1 상면; 및
    상기 제1 상면 주변에 배치된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은 상기 제2 상면과 다른 높이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부분을 덮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면 상에 접착 보조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20029040A 2022-03-08 2022-03-08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30132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40A KR20230132643A (ko) 2022-03-08 2022-03-08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7/992,234 US20230292452A1 (en) 2022-03-08 2022-11-22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23/000182 WO2023171898A1 (ko) 2022-03-08 2023-01-05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202380016705.XA CN118542086A (zh) 2022-03-08 2023-01-05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40A KR20230132643A (ko) 2022-03-08 2022-03-08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643A true KR20230132643A (ko) 2023-09-18

Family

ID=8793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040A KR20230132643A (ko) 2022-03-08 2022-03-08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92452A1 (ko)
KR (1) KR20230132643A (ko)
CN (1) CN118542086A (ko)
WO (1) WO20231718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6607B2 (en) * 2014-12-10 2017-07-1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multiple types of micro-coating layers
KR102547686B1 (ko) * 2016-04-11 2023-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91390B1 (ko) * 2018-11-28 2024-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20008983A (ko) * 2020-07-14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2452A1 (en) 2023-09-14
WO2023171898A1 (ko) 2023-09-14
CN118542086A (zh) 2024-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01800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1004761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81264A (ko) 표시장치
KR20200120845A (ko) 표시 장치
EP394080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202217537A (zh) 驅動可攜式資料處理裝置的方法
TWI550472B (zh) 觸控面板與觸控顯示裝置
US10025090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5835691A (zh) 基板、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KR102674786B1 (ko) 멀티스크린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32643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2006302247A (ja) タブレット液晶表示装置
CN116390596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30134652A (ko) 표시 장치
KR101667055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728059B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JP2008058792A (ja) 電気光学装置
CN114256310A (zh) 显示装置
JP2011082098A (ja) 有機el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04783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200123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4209871A1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30160431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40034904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