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120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8120A KR20220108120A KR1020227022098A KR20227022098A KR20220108120A KR 20220108120 A KR20220108120 A KR 20220108120A KR 1020227022098 A KR1020227022098 A KR 1020227022098A KR 20227022098 A KR20227022098 A KR 20227022098A KR 20220108120 A KR20220108120 A KR 202201081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panel
- arm
- roller
- module cover
- bas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ZLGYJAIAVPVCNF-UHFFFAOYSA-N 1,2,4-trichloro-5-(3,5-di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l)=CC(C=2C(=CC(Cl)=C(Cl)C=2)Cl)=C1 ZLGYJAIAVPVC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H01L51/5237—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길게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모듈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듈커버의 상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를 상기 롤러에서 풀면서 기립시키는 폴더블 링크(a foldable link);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롤러에 감기는 연장시트; 그리고, 상기 모듈 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하단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하여 상기 연장시트의 후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휘거나 롤러에 감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롤러에서 펼치거나 롤러에 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롤러에 감거나 풀기 위한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러에 감기면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롤러에 감기면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모듈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듈커버의 상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를 상기 롤러에서 풀면서 기립시키는 폴더블 링크(a foldable link);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롤러에 감기는 연장시트; 그리고, 상기 모듈 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하단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하여 상기 연장시트의 후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롤러에 감기면서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롤러에 감기면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6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in the other figures)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DR1), +x축 방향, ?x축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을 +z축, 앞쪽 방향 또는 전방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z축, 뒤쪽 방향 또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DR2), +y축 방향, -y축 방향,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좌우 방향(LR)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고, 상하 방향(UD)은 제2 방향(DR2)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전체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은 광 투과성 재질로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성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필름일 수 있다.
플레이트(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결합, 체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15)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5)는 모듈 커버(15), 커버(15),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15), 패널 커버(15), 에이프런(apron, 15)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5)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들(15c)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64)이 세그먼트(15c)의 홈(recess, 118)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8)은 세그먼트(15c)의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8)은 각각의 세그먼트(15c)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홈(118)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마그넷(64)은 세그먼트(15c)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세그먼트(15c)에 접촉되더라도 구겨지지 않고 평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링크(73) 상에 복수의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암(73a) 상에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64)이 위치하며, 제2 암(73b) 상에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64)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암(73a)과 제2 암(73b) 상에 각각 하나의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제1 암(73a)과 제2 암(73b)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넷(64)이 제1 암(73a)과 제2 암(73b)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링크(73)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에 밀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73)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의 밀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마그넷(64)이 링크(73) 상에 형성된 함몰부(321)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321)는 링크(73)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넷(64)은 링크(73)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87)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함몰부(321)가 링크(73)의 내측으로 함몰된 폭(LHW)은 마그넷(64)의 두께(MGW)보다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마그넷(64)의 두께(MGW)가 함몰부(321)의 폭(LHW)보다 크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링크(73)와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구겨지거나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패널보호부(97)가 위치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모듈커버(15)와 마찰로 인해 받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보호부(97)는 약 0.1mm의 두께일 수 있다.
패널보호부(97)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마그넷(64)과 상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보호부(97)와 링크(73) 사이에 위치한 모듈커버(15)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마그넷(64)과 밀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듈커버(15)는 상측의 상부 바(75)와 하측의 가이드 바(234, 도 15 참조)에 의해 링크(73)와 밀착될 수 있다. 링크(73) 중 상부 바(75)와 가이드 바(234) 사이의 부분은 모듈커버(15)와 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링크(73)의 중심부는 모듈커버(15)와 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링크(73)의 중심부는 암 조인트(152) 부근일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커버(15)와 링크(73) 사이의 거리(APRD1, APLD2)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링크(73)의 함몰부(321) 상에 마그넷(64)이 위치하는 경우, 마그넷(64)은 패널보호부(97)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모듈커버(15)도 동시에 마그넷(64)으로 밀착될 수 있다. 즉, 링크(73)의 중심부는 모듈커버(15)와 밀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5b)의 상부면에 비드(136)가 형성될 수 있다. 비드(136)는 세그먼트(15b)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비드(136)는 ?y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드(136)는 세그먼트(15b)가 프레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드(136)는 세그먼트(15b)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36)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비드(136)는 세그먼트(15b)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136)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세그먼트(15b)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그먼트(15b)는 접착부재(7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70)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패널보호부(97, 도 8 참조)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70)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스 PCB(120)는 모듈커버(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롤-업 또는 롤-다운될 때, 모듈커버(15)의 이동과 함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이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커버(1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커버(15)의 양 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세그먼트(15d)는 -z축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함몰부(425)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5)는 세그먼트(15d)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136)는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세그먼트(15d)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은 세그먼트(15d)의 제 3 방향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비드(13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세그먼트(15e)는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관통부(437)가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437)는 세그먼트(15e)의 중심부를 제 2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즉, 관통부(437)는 세그먼트(15e) 내에 위치한 홀일 수 있다. 관통부(437)는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관통부(437)는 세그먼트(15e) 내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함몰부(425)에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것보다 세그먼트(15e)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비드(136)는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세그먼트(15e)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은 세그먼트(15e)의 제 3 방향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비드(13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탑 케이스(167)가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뿐만 아니라 소스 PCB(120)와 상부 바(75)를 커버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일면이 모듈커버(15) 후면과 결합되며, 타면이 소스 PCB(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바(75)는 모듈커버(15)에 고정되어 소스 PCB(120)를 지지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하단은 패널 롤러(143, 도 15 참조) 내부의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도 15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함께 패널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부분(231a)으로 칭할 수 있다. 제1 부분(231a)은 복수의 세그먼트(15d)가 형성하는 함몰부(425)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231a)은 복수의 세그먼트(15d)가 형성하는 함몰부(425)에 수용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세그먼트(15f)를 관통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세그먼트(15f)를 관통하는 부분을 제2 부분(231b)으로 칭할 수 있다. 세그먼트(15f)는 전면에 형성된 제1 홀(521a)과 후면에 형성된 제2 홀(5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521a)과 제2 홀(521b)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홀(521)을 형성할 수 있다. 홀(521)은 세그먼트(15f)를 제 3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부분(231b)은 홀(521)을 통과할 수 있다. 홀(521)은 연결홀(521)이라 칭할 수도 있다.
FFC 케이블(231)의 상단은 소스 PCB(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모듈커버(15)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모듈커버(15)의 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3 부분(231c)으로 칭할 수 있다. 제3 부분(231c)은 소스 PCB(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부분(231c)은 탑 케이스(167)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부분(231c)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 상에 관통홀(615)이 형성될 수 있고, FFC 케이블(231)은 관통홀(615)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615)은 패널 롤러(143)의 일측에 위치하며 패널 롤러(143)의 외주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관통홀(615)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의 외주 상에 위치하여도 관통홀(615)로 인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와 함께 회전하여 꼬이지 않을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패널 롤러(143)에 감기는 부분을 제4 부분(231d)으로 칭할 수 있다. 제4 부분(231d)은 패널 롤러(143)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관통홀(615)을 통과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관통홀(615)을 통과하는 부분을 제5 부분(231e)으로 칭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하단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의 일부는 패널 롤러(14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 중 패널 롤러(143)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6 부분(231f)으로 칭할 수 있다. 제6 부분(231f)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은 롤러(143)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은 복수의 소스 PCB(120)와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PCB(1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소스 COF(Chip On Film, 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소스 PCB(120)를 연결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143)는 제1 파트(331)와 제2 파트(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31)와 제2 파트(337)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는(105)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제어신호를 소스 PCB(120)로 전달할 수 있다.
케이블(117)은 소스 PCB(120)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17)은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 케이블(117)은 홀(331a)을 통과할 수 있다. 홀(331a)은 안착부(379) 또는 제1 파트(331)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제2 파트(33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379)는 제1 파트(331)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제1 파트(331) 외주의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공간(B)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기면,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에 수용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에 수용됨으로써, 휘거나 굽어지지 않을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케이블(117)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감긴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하우징(30)의 밑면일 수 있다. 롤러(143)는 하우징(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하우징(30)의 측면(30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빔(31a)은 제1 베이스(31)에 형성될 수 있다. 빔(31a)은 제1 베이스(31)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많은 부품이 제1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베이스(31)는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빔(31a)은 프레스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제1 베이스(31)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에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감긴 롤러(143)는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하우징(30)의 측면(30a)에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33)은 제1 베이스(31)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33)은 하우징(30)의 측면(30a)에 체결될 수 있다.
빔(32a)은 제2 베이스(32)에 형성될 수 있다. 빔(32a)은 제2 베이스(32)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빔(32a)은 프레스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32d)는 제1 파트(32b)와 제2 파트(32c)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파트(32e)는 제1 파트(32b)와 제2 파트(32c)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파트(32d)와 제4 파트(32e) 사이에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베이스(32)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3 파트(32d)는 보강 리브(32d) 또는 리브(32d)라고 할 수 있다. 제4 파트(32e)는 보강 리브(32e) 또는 리브(32e)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부품이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베이스(32)는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과 제2 베이스(32)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2 베이스(3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2 베이스(3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1 베이스(31)의 중앙 부분 또는 제2 베이스(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곡면부(34a)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34a)는 롤러(143)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34a)는 롤러(143) 또는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부(2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곡면부(34a)는 롤러(14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롤러(143)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와 제1 보강판(34)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보강판(34)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보강판(3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에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의 빔(31a)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하우징(3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베이스(32f)는 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베이스(32f)가 받는 하중이 크지 않은 경우, 제2 베이스(32f)는 빔(32g)을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빔(31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축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터는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복수의 모터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높은 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리드 스크류(840)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811)은 리드 스크류(840)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축을 연결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의 피치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은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은 리드 스크류(84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은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깝게 위치하는 내측 베어링(830b)과 모터 어셈블리(810)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외측 베어링(830a)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베어링(830a, 830b)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리드 스크류(840)에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에 따라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외측 베어링(830a)과 내측 베어링(830b)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드(820)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에 맞물릴 수 있다. 우측 슬라이드(820)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맞물릴 수 있다.
좌측 슬라이드(820)와 우측 슬라이드(820)는 모터 어셈블리(810)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으로 인해, 좌측 슬라이드(820)와 우측 슬라이드(820)는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플레이트(81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813)는 마운트 플레이트(813) 또는 모터 마운트 플레이트(813)라고 할 수 있다. 결합부(32h)는 제2 베이스(3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813)는 스크류(S)를 통해 결합부(32h)에 체결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제2 베이스(32)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와셔(813)는 플레이트(813)의 상면과 스크류(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셔(813)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813)는 모터 어셈블리(8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와셔(8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860)은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60)은 리드 스크류(840)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가이드 레일(860)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스토퍼(861b)는 가이드 레일(86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스토퍼(861a)는 가이드 레일(860)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제1 스토퍼(861b)와 제2 스토퍼(861a)의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스프링(850)은 리드 스크류(840)를 감쌀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스프링(850)을 관통할 수 있다. 스프링(850)은 내측 베어링(830b)과 슬라이드(8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850)의 일 측은 내측 베어링(830b)에 접촉할 수 있고, 스프링(850)의 타 측은 슬라이드(820)에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850)은 슬라이드(8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의 길이는 최소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슬라이드(820)와 내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는 최소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은 최대로 인장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의 길이는 최대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경우, 슬라이드(820)와 내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는 최대일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파트(820a)는 가이드 레일(860)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파트(820a)는 가이드 레일(86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파트(820a)는 가이드 레일(86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제2 파트(820b)는 제1 파트(82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트(820a)와 제2 파트(820b)는 스크류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파트(820b)는 가이드 레일(860)과 이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제2 파트(820b)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트(820b)는 리드 스크류(840)의 암나사산과 맞물리는 수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스크류(840)가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드(820)는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 레일(860)을 따라 진퇴할 수 있다.
제3 파트(820c)는 제2 파트(820b)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820c)는 스프링(850)과 접촉할 수 있다. 제3 파트(820c)는 스프링(85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링크 마운트(920)는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일 측은 링크 마운트(9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타 측은 조인트(91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타 측은 제2 축(913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의 일 측은 슬라이드(8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의 타 측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암(915)의 일 측은 링크 마운트(9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암(915)의 타 측은 로드(870)의 타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는 축(9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1)은 축(92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은 링크 캡(951)이라고 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은 탑 케이스(95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케이스(950)는 케이스 탑(950), 상부 바(950), 탑(950) 또는 바(950)라고 할 수 있다. 탑 케이스(9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탑 케이스(9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일 측은 조인트(91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일 측은 제1 축(913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타 측은 링크 브라켓(951) 또는 탑 케이스(95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기어(g1)는 제1 암(911)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g2)는 제2 암(912)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기어(g1)와 제2 암(912)의 기어(g2)는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외측 베어링(830a)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은 기립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이 기립하는 방향을 기립 방향(DRS)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은 기립 방향(DRS)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14)는 연결부(914)라고 할 수 있다. 제3 암(915)은 기립 방향(DRS)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1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16)는 연결부(916)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의 돌출부(914)와 제3 암(915)의 돌출부(916)는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로드(870)의 타 측은 제2 암(912)의 돌출부(914) 또는 제3 암(915)의 돌출부(916)에 체결될 수 있다.
링크(910)는 제1 암(911), 제2 암(912), 제3 암(915) 및/또는 조인트(9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S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제2 파트(820b)의 상측에 연결되는 경우, 로드(870)가 제2 베이스(32)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A,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a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제2 파트(820b)의 중간에 연결되는 경우, 로드(870)가 제2 베이스(32)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B,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b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제2 파트(820b)의 하측에 연결되는 경우, 로드(870)가 제2 베이스(32)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C,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c 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theta S에 대해 theta A <theta B <theta C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theta S에 대해 Fc <Fb <Fa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로드(870)는 제2 파트(820b)의 하측에 연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로드(870’)는 제2 암(912’)의 돌출부 또는 제3 암(915’)의 돌출부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theta S 인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1 이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1 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로드(870)는 제2 암(912)의 돌출부(914) 또는 제3 암(915)의 돌출부(91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theta S 인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2 라고 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theta 2는 theta 1 보다 클 수 있다.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F1 은 F2 보다 클 수 있다. 제2 암(912, 912’)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로드(870, 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 912’)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로드(870)는 돌출부(914, 916)에 연결됨으로써, 로드(870’)가 돌출부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작은 힘으로 제2 암(912)을 기립시킬 수 있다. 로드(870)는 돌출부(914, 916)에 연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은 중심축(CR)을 가질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져 제2 암(912)과 체결되는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3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져 제2 암(912)과 체결되는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4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져 제2 암(912)과 체결되는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5 라고 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theta 2’’는 theta 2’ 보다 클 수 있고, theta 2’ 은 theta 2 보다 클 수 있다.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F3는 F4 보다 클 수 있고, F4는 F5 보다 클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체결될수록, 제2 암(912)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로드(870)는 중심축(CR)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체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1 암(911)과 제2 암(912)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암(911)과 제2 암(912)이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는 안정적으로 롤러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는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 사이에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922)는 디스플레이부(20)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파트(922)는 제2 파트(923)보다 디스플레이부(2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암(912)은 제1 파트(922)의 전면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암(915)의 일부는 공간(S4)에 수용될 수 있고, 제1 파트(922) 또는 제2 파트(92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로드(870)는 제1 파트(871)와 제2 파트(8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871)는 일 측에 연결부(871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의 제2 파트(872)는 내부에 공간(S5)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871a)는 공간(S5)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871a)는 슬라이드(820)의 제2 파트(820b, 도 36 참조)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871)의 타 측은 제2 파트(872)의 일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872)의 타 측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871)는 내부에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트(871)는 홀(871b)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홀(871b) 또는 공간(S3)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파트(872)와 디스플레이부(20) 사이의 거리는 D1 일 수 있다. 제2 암(912)은 두께 W1을 가질 수 있다. 제3 암(915) 중 공간(S4)에 수용된 부분은 두께 W3를 가질 수 있다. 두께 W3는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암(915) 중 공간(S4)에 수용되지 않은 부분은 두께 W2를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922)는 두께 W4를 가질 수 있다. 두께 W2는 두께 W3 보다 클 수 있다. 두께 W2는 두께 W3와 두께 W4의 합과 같을 수 있다. D1은 두께 W1 과 두께 W2의 합일 수 있다.
제2 암(912)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3 암(915)은 제2 암(912)과 제2 파트(87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트(872)는 제3 암(915)으로 인해, 제2 암(912)을 기립시키기 위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파트(872)는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안정적으로 기립시키기 위해,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축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파트(87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암(912)과 제2 파트(872)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푸셔(930)는 링크 마운트(920)에 장착될 수 있다. 푸셔(930)는 리프터(930)라고 할 수 있다. 제2 파트(932)는 제1 파트(931)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32)는 링크 브라켓(951)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파트(932)는 탄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931)는 제2 파트(932)보다 탄성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931)는 제2 파트(932)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931)와 제2 파트(932)를 통칭하여 헤드(936)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는 링크 마운트(9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파트(933)는 제1 파트(931)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3 파트(933)는 제1 파트(9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933)는 테일(933)이라고 할 수 있다. 제4 파트(934)는 제3 파트(933)에서 돌출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는 공간(S6)을 형성할 수 있고, 제3 파트(933)는 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공간(S6)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3 파트(933)가 수용되는 공간(S6)은 제3 암(915)이 수용되는 공간(S4, 도 37 참조)과 이웃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의 제2 파트(932)는 홀(924)을 포함할 수 있다. 홀(924)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홀(924)의 길이는 H1일 수 있다. 제4 파트(934)는 홀(92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935)은 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935)은 제3 파트(93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935)은 제3 파트(933)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936)는 공간(S6)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헤드(936)가 공간(S6)의 상단에 걸리는 경우, 제2 베이스로(32)부터 헤드(936)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헤드(936)의 최소 높이는 H2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제4 파트(934)는 공간(S6)의 하단에 걸릴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스프링(935)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스프링(935)이 제공하는 탄성력은 최대일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탑 케이스(95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접촉하는 동안, 링크 브라켓(95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크(910)를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링크(910)가 충분히 기립하면,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될 수 있다. 푸셔(930)가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되면, 제2 베이스(32)로부터 헤드(936)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헤드(936)의 최대 높이는 H3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제4 파트(934)는 홀(924, 도 38 참조)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스프링(935)은 최대로 인장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스프링(935)이 제공하는 탄성력은 최소일 수 있다. 헤드(936)의 최대 높이 H3는 헤드(936)의 최소 높이 H2와 홀의 길이 H1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 최대로 감긴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8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탑 케이스(95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내측 베어링(830b)에 최대로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상태일 수 있다. 스프링(850)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접촉할 수 있다. 푸셔(93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절반 정도가 롤러(143)에 감긴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8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절반 정도가 롤러(143)에서 풀린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제1 스토퍼(861b)와 제2 스토퍼(86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될 수 있다. 푸셔(93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 최대로 풀린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8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탑 케이스(95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외측 베어링(830a)에 최대로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상태일 수 있다. 스프링(85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될 수 있다. 푸셔(93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도 43 내지 46을 참조하면,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제1 우측 베어링(830a)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우측 링크 마운트(920a)와 제2 좌측 베어링(830d)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좌측 링크 마운트(920b)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910a, 910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910a, 910b)는 우측 링크 마운트(920a)에 연결되는 우측 링크(910a)와 좌측 링크 마운트(920b)에 연결되는 좌측 링크(91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링크(910a)는 제1 링크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링크(910b)는 제2 링크라 칭할 수도 있다. 우측 링크 마운트(920a)는 제1 링크 마운트(920a)라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링크 마운트(920b)는 제2 링크 마운트(920b)라 칭할 수도 있다.
링크(910a, 910b)는 제1 암(911a, 911b), 제2 암(912a, 912b) 및 암 조인트(913a, 9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의 일측은 링크 마운트(920a, 92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의 타측은 암 조인트(913a, 91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a, 911b)의 일측은 암 조인트(913a, 91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a, 911b)의 타측은 링크 브라켓(951a, 951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a, 951b)은 우측 링크(910a)의 제1 암(911a)에 연결되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과 좌측 링크(910b)의 제1 암(911b)에 연결되는 좌측 링크 브라켓(951b)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a, 951b)은 상부 바(9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바(950)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과 좌측 링크 브라켓(951b)을 연결할 수 있다.
로드(870a, 870b)는 슬라이더(860a, 860b)와 링크(910a, 910b)를 연결할 수 있다. 로드(870a, 870b)의 일측은 슬라이더(860a, 86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a, 870b)의 타측은 제2 암(912a, 91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a, 870b)는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을 연결하는 우측 로드(870a)와 좌측 슬라이더(860b)와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b)을 연결하는 좌측 로드(870b)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는 제1 로드(870a)로 칭할 수도 있다. 좌측 로드(870b)는 제2 로드(870b)로 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우측 링크(910a)가 형성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바디(861a)와 로드 마운트(862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61a)는 내둘레면에 나사산(SS)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861a)에 형성된 나사산은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나사산(RS)과 맞물릴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바디(861a)를 관통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바디(861a)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우측 로드(870a)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 마운트(862a1)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이격될 수 있다.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제1 로드 마운트(862a1)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드 마운트(862a)는 연결부재(C1)를 통해 로드(870a)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C1)는 로드 마운트(862a)와 우측 로드(870a)를 관통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는 연결부재(C2)를 통해 제2 암(912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C2)는 제2 암(912a)과 우측 로드(870a)를 관통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는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과 연결되는 전달부(871a)와 우측 슬라이더(860a)의 로드 마운트(862a)에 연결되는 커버(872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871a)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따라 진퇴함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우측 링크(910a)로 전달할 수 있다.
커버(872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전방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87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는 베이스(3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플레이트(873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마주볼 수 있다.
커버(872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 후방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87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는 베이스(3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플레이트(874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마주볼 수 있다. 또는, 제2 플레이트(874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이격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제2 플레이트(874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872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제2 플레이트(874a)를 연결하는 제3 플레이트(87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875a)는 전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875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872a)는 제1 플레이트(873a)와 제2 플레이트(874a)를 연결하는 제4 플레이트(87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876a)는 제3 플레이트(875a)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876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의 일측은 제1 로드 마운트(862a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와 제1 로드 마운트(862a1)는 연결부재(C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의 타측은 제3 플레이트(875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의 일측은 제2 로드 마운트(862a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와 제2 로드 마운트(862a2)는 연결부재(C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874a)의 타측은 제3 플레이트(875a)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우측 로드(870a)는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우측 로드(870a)가 접촉하면,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우측 슬라이더(860a)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커버(872a)는 내부에 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873a), 제2 플레이트(874a), 제3 플레이트(875a) 및 제4 플레이트(876a)는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가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커버(872a)가 제공하는 공간(S1)으로 수용되거나 도피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커버(872a)가 제공하는 공간(S1)으로 인해, 커버(872a)가 없을 때보다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커버(872a)는 내부에 공간(S1)을 제공함으로써, 우측 슬라이더(860a)의 가동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커버(872a)에 수용됨으로써, 하우징(30, 도 2 참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872a)는 제2 암(912a)과 베이스(31)가 이루는 각도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872a)의 제3 플레이트(875a)는 theta S가 충분히 작아지면, 제2 암(912a)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암(912a)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875a)는 제2 암(912a)을 지지함으로써,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할 수 있고, 제2 암(912a)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872a)는 제2 암(912a)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3 플레이트(875a)는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함으로써, 제2 암(912a)을 기립시키는 초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3 플레이트(875a)는 theta S의 최소값을 제한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로드(870b) 및 좌측 링크(910b)가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로드(870a) 및 우측 링크(910a)가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베어링(830a, 830b, 830c, 830d)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가이드(850a, 850b)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가이드(850c, 850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일측이 제1 우측 베어링(830a)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우측 베어링(830b)을 연결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와 이격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제1 우측 가이드(850a)와 제2 우측 가이드(8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가이드(850a)와 제2 우측 가이드(850b)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a)는 제1 우측 가이드(850a)와 제2 우측 가이드(85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우측 슬라이더(860a)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슬라이더의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우측 슬라이더(860a)의 바디(861a)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출부(미도시)와 슬라이더의 바디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86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가이드(850a)는 후방 돌출부(865a)를 관통할 수 있다. 또는, 후방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홀(863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우측 가이드(850a)는 제1 홀(863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홀(863a)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863a)은 홀(863a)이라 칭할 수도 있다.
제2 우측 가이드(미도시)는 전방 돌출부(미도시)를 관통할 수 있다. 또는, 전방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우측 가이드는 제2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홀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는 우측 슬라이더(860a)가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따라 진퇴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우측 가이드(850a, 850b)가 우측 슬라이더(860a)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함으로써, 우측 슬라이더(860a)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a)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우측 리드 스크류(840a)를 따라 진퇴할 수 있다.
좌측 가이드(850c, 850d),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좌측 슬라이더(860b) 및 좌측 리드 스크류(840b)가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우측 가이드(850a, 850b),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우측 슬라이더(860a) 및 우측 리드 스크류(840a)가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841a, 841b)은 리드 스크류(840a, 840b)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제1 스프링(841a, 841b)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스프링(841a, 841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좌측 스프링(8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일단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타단은 제2 우측 베어링(830b)과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는 거리 RD3 일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리 RD3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x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좌측 스프링(841b), 좌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리드 스크류(840b)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제1 우측 스프링(841a), 우측 베어링(830a, 830b, 830c, 830d),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리드 스크류(84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제2 스프링(851a, 851b)은 가이드(850a, 850b, 850c, 850d)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제2 스프링(851a, 851b)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스프링(851a, 851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우측 스프링(851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2 좌측 스프링(8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제1 우측 가이드(850a)에 삽입되는 스프링(940a, 940b)과 제2 우측 가이드(850b)에 삽입되는 스프링(940a, 94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제1 우측 가이드(850a)가 관통하는 스프링(940a, 940b)과 제2 우측 가이드(850b)가 관통하는 스프링(940a, 940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850a, 850b, 850c, 850d)는 걸림턱(852a, 852b)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852a, 852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걸림턱(852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걸림턱(852b)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걸림턱(852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일단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타단은 우측 걸림턱(852a)과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는 거리 RD4 일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압축되거나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리 RD4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x축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제2 좌측 스프링(851b), 좌측 걸림턱(852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가이드(850c, 850d)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제2 우측 스프링(851a), 우측 걸림턱(852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가이드(850a, 850b)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52를 참조하면, 제2 암(912a)은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아 기립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각도 theta T라고 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가 우측 슬라이더(860a)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FA라고 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가하는 힘을 FB라고 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가하는 힘을 FC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에 전달하는 힘을 FT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과 각도 theta T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이 제2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각도 theta S와 각도 theta T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제1 우측 스프링(84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 FB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FB는 +x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은 최대일 수 있고, 복원력 FB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복원력 FB의 크기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 FC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FC는 +x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은 최대일 수 있고, 복원력 FC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복원력 FC의 크기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에 전달하는 힘 FT는 모터 어셈블리(810)가 우측 슬라이더(860a)를 +x축으로 이동시키는 힘 FA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복원력 FB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복원력 FC의 합력일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제2 암(912a)이 기립하기 시작한 경우,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는 최대일 수 있다. 이 때,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제공하는 복원력 FB의 크기는 최대일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851a, 851b)이 제공하는 복원력 FC의 크기는 최대일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공하는 복원력은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제2 암(912a)이 기립하도록 보조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과 제2 우측 스프링(851a)은 동시에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복원력 FB와 복원력 FC의 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복원력 FB와 복원력 FC의 합력)은,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 RD5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길이와 같아질 때까지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 RD5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길이와 같아지면,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은 0이 될 수 있다.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압축 변위량이 0이 되면, 제2 우측 스프링(85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하는 복원력 FC은 0이 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우측 걸림턱(852a) 사이의 거리 RD5가 제2 우측 스프링(851a)의 길이보다 커지면, 제1 우측 스프링(841a)만 우측 슬라이더(860a)에 복원력 FB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 FB는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 RD6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길이와 같아질 때까지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 RD6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길이와 같아지면,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은 0이 될 수 있다.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압축 변위량이 0이 되면, 제1 우측 스프링(841a)이 우측 슬라이더(860a)에 제공하는 복원력 FB는 0이 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제2 우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 RD6가 제1 우측 스프링(841a)의 길이보다 커지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제1 우측 스프링(841a) 또는 제2 우측 스프링(851a)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지 않고 제2 암(912a)을 기립시킬 수 있다.
제1 좌측 스프링(841b), 제2 좌측 스프링(851b), 좌측 걸림턱(852b), 좌측 슬라이더(860b), 좌측 가이드(850c, 850d), 좌측 리드 스크류(840b), 좌측 로드(870b)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제1 우측 스프링(841a), 제2 우측 스프링(851a), 우측 걸림턱(852a), 우측 슬라이더(860a), 우측 가이드(850a, 850b), 우측 리드 스크류(840a), 우측 로드(870a) 및 제2 암(912a)이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일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푸셔(930a, 930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에 연결될 수 있다. 푸셔(930a, 93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푸셔(930a)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푸셔(930b)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수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A)은 스프링(940a, 940b)과 푸셔(930a, 930b)를 수용할 수 있다. 스프링(940a, 940b)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스프링(940a)과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스프링(940b)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A)은 내부공간(A)으로 칭할 수도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수용공간(A)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1 홀(922a)을 포함할 수 있다(920b에 대응되는 제1 홀은 미도시). 제1 홀(922a)은 링크 마운트(920a, 920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922a)은 홀(922a)이라 칭할 수도 있다.
푸셔(930a, 930b)는 베이스(31)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푸셔(930a, 930b)는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940a, 940b)은 베이스(31)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스프링(940a, 940b)은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푸셔(930a, 930b)는 제1 파트(931a, 931b)와 제2 파트(932a, 9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제1 파트(931a, 931b)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의 하단은 스프링(940a, 94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전부 또는 일부가 링크 마운트(920a, 920b)가 형성하는 수용공간(A)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제1 홀(922a)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거나 제1 홀(922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트(932a, 932b)는 제1 홀(922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마운트(920a, 920b)의 수용공간(A)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는 제1 홀(92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한 경우, 제1 파트(931a, 931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가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하는 경우, 푸셔(930a, 930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으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다. 푸셔(930a, 930b)가 받는 힘은 하측 방향일 수 있다. 또는, 푸셔(930a, 930b)가 받는 힘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링크 브라켓(951a, 951b)은 푸셔(930a, 930b)를 가압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a, 951b)이 푸셔(930a, 930b)를 가압하는 방향은 하측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링크 브라켓(951a, 951b)이 푸셔(930a, 930b)를 가압하는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1 파트(931a, 931b)가 힘을 받으면, 스프링(940a, 940b)은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스프링(940a, 940b)은 푸셔(930a, 930b)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은 제1 파트(931a, 931b)에 가해진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는, 복원력은 +y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a, 920b)는 제2 홀(921a)을 포함할 수 있다(920b에 대응되는 제2 홀은 미도시). 제2 홀(921a)은 수용공간(A)과 외부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스프링(940a, 940b)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홀(9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푸셔(930a, 930b)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홀(9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지 또는 보수 시, 서비스 제공자는 제2 홀(921a)을 통해 푸셔(930a, 930b)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홀(921a)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유지 또는 보수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우측 링크(910a)는 우측 푸셔(930a)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아 기립될 수 있다. 우측 링크(910a)를 기준을 설명한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와 이루는 각도를 각도 theta S라고 할 수 있다. 우측 로드(870a)가 제2 암(912a)에 전달하는 힘을 FT라고 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전달하는 힘을 FP라고 할 수 있다.
도 54를 참조하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푸셔(930a)와 연결된 우측 스프링(940a)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고, 복원력 FP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압축된 우측 스프링(940a)은 우측 푸셔(930a)에 복원력 FP를 제공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는 복원력 FP를 우측 링크 브라켓(951a)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복원력 FP는 +y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베이스(31)에서 우측 푸셔(930a) 상단까지의 거리 HL은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우측 푸셔(930a)의 제1 파트(931a)는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는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수용공간(923a)에 전부 수용될 수 있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립하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각도 theta S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우측 스프링(940a)의 압축 변위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고, 복원력 FP의 크기는 점차 감소할 수 있다.
각도 theta S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는 적어도 일부가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가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된 길이는 길이 HP라 칭할 수 있다. 베이스(31)에서 우측 푸셔(930a) 상단까지의 거리 HL은,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보다 HP만큼 증가할 수 있다.
도 56을 참조하면, 베이스(31)에 대한 제2 암(912a)의 기립이 진행되면, 우측 푸셔(930a)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은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우측 스프링(940a)의 압축 변위량은 0이 될 수 있다. 우측 스프링(940a)의 압축 변위량이 0이 되면, 우측 푸셔(930a)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제공하는 복원력 FP는 0이 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푸셔(930a)의 제2 파트(932a)가 우측 링크 마운트(920a)의 외부로 돌출된 길이 HP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31)에서 우측 푸셔(930a) 상단까지의 거리 HL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우측 푸셔(930a)는 우측 푸셔(930a)와 우측 링크 브라켓(951a)이 접촉하는 동안,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제2 암(912a)이 기립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a, 840b)는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제2 암(912a, 912b)이 대칭을 이루며 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810)로 리드 스크류(840a, 840b)를 구동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을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우측 푸셔(930a)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복원력을 가함으로써, 제2 암(912a)이 기립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한 상태에서 완전히 누워있는 상태로 변하는 경우, 우측 푸셔(930a)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링크(910a)가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우측 푸셔(930a)는 우측 링크 브라켓(951a)에 제공하는 복원력은 링크(910a)가 베이스(31)에 대해 누울 때,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측 푸셔(930a)가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좌측 푸셔(930b), 좌측 스프링(940b), 좌측 링크 브라켓(951b), 좌측 링크 마운트(920b) 및 좌측 로드(870b)가 형성하는 구조는 상술한 우측 푸셔(930a), 우측 스프링(940a), 우측 링크 브라켓(951a), 우측 링크(910a) 마운트 및 우측 로드(870a)가 형성하는 구조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대칭축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일 수 있다.
도 57 내지 도 59를 참조하면, 패널 롤러(143)는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앞쪽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패널 롤러(143)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패널 롤러(143)는 리드 스크류(840a, 840b)와 이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하측은 패널 롤러(143)에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0)의 상측은 상부 바(75)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패널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우측 슬라이더(860a)까지의 거리를 거리 RD라고 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좌측 슬라이더(860b)까지의 거리를 거리 LD라고 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를 거리 SD라고 할 수 있다. 거리 SD는 거리 RD와 거리 LD의 합일 수 있다.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를 거리 HD라고 할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 SD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우측 슬라이더(860a)까지의 거리 RD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으로부터 좌측 슬라이더(860b)까지의 거리 LD는 상호 같을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 HD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스프링(841a, 84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851a, 85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푸셔(930a, 930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1 스프링(841a, 841b)의 압축량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스프링(841a, 841b)이 슬라이더(860a, 860b)에 제공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제2 스프링(851a, 851b)의 압축량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스프링(851a, 851b)이 슬라이더(860a, 860b)에 제공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누워있는 경우, 스프링(940a, 940b)의 압축량은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스프링(940a, 940b)이 푸셔(930a, 930b)에 제공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을 시작하는 경우, 제2 암(912a, 912b)은 제1 스프링(841a, 841b), 제2 스프링(851a, 851b) 및 스프링(940a, 940b)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아 기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58을 참조하면, 베이스(31)에 대한 제2 암(912a, 912b)의 기립이 진행됨에 따라,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 SD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거리 SD가 증가하더라도, 거리 LD와 거리 RD는 상호 같을 수 있다. 즉,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대칭축(ys)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에 대해 우측 링크(910a)의 제2 암(912a, 912b)이 기립하는 정도와 베이스(31)에 대해 좌측 링크(910b)의 제2 암(912a, 912b)이 기립하는 정도는 상호 같을 수 있다.
베이스(31)에 대한 제2 암(912a, 912b)의 기립이 진행됨에 따라,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 HD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패널 롤러(143)로부터 풀릴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는 패널 롤러(143)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충분히 기립하면, 제1 스프링(841a, 84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충분히 기립하면, 제2 스프링(851a, 851b)은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충분히 기립하면, 푸셔(930a, 930b)는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분리될 수 있다.
제1 스프링(841a, 84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제2 스프링(851a, 85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푸셔(930a, 930b)가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분리되는 것은 상호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제1 스프링(841a, 84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제2 스프링(851a, 851b)이 슬라이더(860a, 860b)와 분리되는 것과, 푸셔(930a, 930b)가 링크 브라켓(951a, 951b)과 분리되는 것의 순서는 상호 가변적일 수 있다.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1과 제2 암(912a)이 이루는 각을 theta R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1과 제1 암(911a)이 이루는 각을 theta R’이라 칭할 수 있다. 축 xs1과 x축은 나란할 수 있다.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이 누워 있는 경우,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동안, 또는 제2 암(912a)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을 완료한 경우에 theta R과 theta R’은 상호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2와 제2 암(912b)이 이루는 각을 theta L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31)와 평행한 축 xs2과 제1 암(911b)이 이루는 각을 theta L’이라 칭할 수 있다. 축 xs2과 x축은 나란할 수 있다.
제2 암(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이 누워 있는 경우, 또는 제2 암(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동안, 또는 제2 암(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기립을 완료한 경우에 theta L과 theta L’은 상호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축 xs1과 축 xs2는 상호 동일한 축일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하면, 우측 슬라이더(860a)와 좌측 슬라이더(860b) 사이의 거리 SD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거리 SD가 최대인 경우에도, 거리 LD와 거리 RD는 상호 같을 수 있다.
제2 암(912a, 912b)이 베이스(31)에 대해 완전히 기립하면, 베이스(31)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상단까지의 거리 HD는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0 및 6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모듈커버(15)가 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우방향에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세그먼트(15b,15d,15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세그먼트(15b,15d,15e)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하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시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시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지닐 수 있고,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는 길이를 지닐 수 있다.
도 62를 참조하면, 연장시트(11)의 하단은 패널 롤러(143)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시트(11)의 상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가 회전하면서 연장시트(11)가 패널 롤러에 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시트(11)가 패널 롤러(143)에 감기는 회전수는 1바퀴 이내일 수 있다.
연장시트(11)가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연장시트(11)가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보다 모듈커버(15)가 패널 롤러(143)에 먼저 감길 수 있고, 그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같이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도 있다. 즉, 모듈커버(15)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과 연장시트(11)의 후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연장시트(11)는 2.5 내지 2.7 바퀴로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롤러(143)에 약 2.2 바퀴 감길 수 있다.
도 6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1회전 이상이 되면서 모듈커버(15)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이 중첩될 수 있다. 이때, 패널 롤러(143)에 1회전만큼 감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의 위로 다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가 중첩되어 감기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또는 모듈커버(15)의 두께로 인하여 2회전이 시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꺾이거나 접힐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가 회전하면서 진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모듈커버(15)가 결합될 수 있다. S-PCB(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S-PCB(120)는 COF(Chip On Film, 121)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S-PCB(120)로부터 모듈커버(15)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어 T-con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13 내지 15 참조).
완충부재(16A,16B)는 연장시트(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6A,16B)는 갭 필러(gap filler)라 칭할 수 있다. 완충부재(16A,16B)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16A,16B)는 스펀지 또는 강화 스펀지일 수 있다.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16A)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우변과 FFC 케이블(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 복수개의 완충부재(16B)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변과 FFC 케이블(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16A,16B)는 폴리우레탄일 수 있고, 길이가 200미리미터 일 수 있고, 폭이 10미리미터일 수 있고, 두께가 6미리미터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16A)는 8개이고, 제2 복수개의 완충부재(16B)는 8개일 수 있다.
도 65 및 6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모듈커버(15)가 결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우방향에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세그먼트(15b,15d,15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세그먼트(15b,15d,15e)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하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시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시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지닐 수 있고,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는 길이를 지닐 수 있다.
완충부재(16A,16B)는 연장시트(11) 상에서 FFC 케이블(231)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16A)는 FFC 케이블(23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우측에서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완충부재(16B)는 FFC 케이블(23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측에서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재들(16A,16B)은 외형상 모듈커버(15)와 실질적으로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들(16A,16B)은 모듈커버(15)의 형상을 지니되, 모듈커버(15)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커버(15)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일 수 있고, 완충부재(16A,16B)는 스펀지일 수 있다. 완충부재들(16A,16B)은 연장시트(11)가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함께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들(16A,16B)은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패널 롤러(143)의 곡률에 의해 서로 간격이 멀어질 수 있다.
도 67을 참조하면, 모듈커버(15)는 접착부재(7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시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시트(11)는 접착시트(77)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접착시트(77)는 접착부재(70)와 동일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들(16A)은 접착시트(77) 상에 고정되거나 연장시트(11)의 후면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들(16A)은 모듈커버(15)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접착시트(77) 상에서부터 연장시트(11)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6a)는 모듈커버(15)의 하단에 인접하여 접착시트(77)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16b)는 제1 완충부재(16a)에 이웃하여 접착시트(77)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완충부재(16c)는 제2 완충부재(16b)에 이웃하여 접착시트(77)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완충부재(16d)는 제3 완충부재(16c)에 이웃하고, 접착시트(77) 및/또는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4 완충부재(16d)는 접착력을 지닐 수 있다.
제5 완충부재(16e)는 제4 완충부재(16d)에 이웃하고,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6 완충부재(16f)는 제5 완충부재(16e)에 이웃하고,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7 완충부재(16g)는 제6 완충부재(16f)에 이웃하고,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5 완충부재(16e) 내지 제8 완충부재(16h, 도 64 참조)들은 접착력을 지닐 수 있다.
완충부재들(16A) 각각이 형성하는 간격은 모듈커버(15)의 세그먼트 각각이 형성하는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6a), 제2 완충부재(16b), 제3 완충부재(16c) 및/또는 제4 완충부재(16d)들 간의 간격은 모듈커버(15)의 세그먼트들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5 완충부재(16e), 제6 완충부재(16f) 및/또는 제7 완충부재(16g)들의 간격은 제1 완충부재(16a), 제2 완충부재(16b), 제3 완충부재(16c) 및/또는 제4 완충부재(16d)들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시트(11) 및 완충부재(16A)들이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형성될 수 있는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8을 참조하면, 연장시트(11, 도 66 참조) 및 완충부재들(16A)이 패널 롤러(143)에 감기고,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패널 롤러(143)에 감기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연장시트(11) 및 완충부재(16A)에 중첩되면, 연장시트(11) 상에 고정된 완충부재들(16A)이 압축되면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완충부재들(16A)의 압축은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제8 완충부재(16h), 제7 완충부재(16g), 제6 완충부재(16f)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압축된 제7 완충부재(16g)의 높이는 압축된 제8 완충부재(16h)의 높이 보다 클 수 있고, 압축된 제6 완충부재(16f)의 높이는 압축된 제7 완충부재(16g)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압축된 제5 완충부재(16e)의 높이는 압축된 제 6 완충부재(16f)의 높이 보다 클 수 있고, 압축된 제4 완충부재(16d)의 높이는 압축된 제5 완충부재(16e)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6a)의 높이는 모듈커버(15)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들(16A)은 완만하고 연속적인 경사를 형성하면서 모듈커버(15)의 말단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커버(15)가 1회전 이상 감기면서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패널 롤러(143)의 회전에 따른 진동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모듈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듈커버의 상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커버를 상기 롤러에서 풀면서 기립시키는 폴더블 링크(a foldable link);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롤러에 감기는 연장시트; 그리고, 상기 모듈 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하단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하여 상기 연장시트의 후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2 복수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연장시트의 후면에 고정되는 접착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착시트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접착시트 상에 고정된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모듈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들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된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접착시트 상에 고정된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들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모듈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하단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에 고정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제1 완충부재에 이웃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시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롤러에 감기면, 상기 제1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완충부재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이웃한 상기 모듈커버의 하단 세그먼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완충부재에 이웃하여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3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완충부재의 높이 보다 작고, 상기 제3 완충부재의 상면은 하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상기 모듈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상기 롤러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 길게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모듈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롤러에 감기는 연장시트; 그리고,
상기 모듈 커버의 하단에 이웃하여 위치하여 상기 연장시트의 후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듈 커버의 상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를 상기 롤러에서 풀면서 기립시키는 폴더블 링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하단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2 복수개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연장시트의 후면에 고정되는 접착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착시트 상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 상에 고정된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모듈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들 간의 간격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된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접착시트 상에 고정된 상기 제1 복수개의 완충부재들 간의 간격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모듈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하단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에 고정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제1 완충부재에 이웃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시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롤러에 감기면, 상기 제1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완충부재의 높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이웃한 상기 모듈커버의 하단 세그먼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완충부재에 이웃하여 위치하고, 상기 연장시트 상에 고정되는 제3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완충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완충부재의 높이 보다 작고,
상기 제3 완충부재의 상면은 하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모듈커버의 복수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롤러의 내부로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18638 WO2021132779A1 (ko) | 2019-12-27 | 2019-12-2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8120A true KR20220108120A (ko) | 2022-08-02 |
Family
ID=7654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2098A KR20220108120A (ko) | 2019-12-27 | 2019-12-27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1403974B2 (ko) |
EP (1) | EP4083975A4 (ko) |
KR (1) | KR20220108120A (ko) |
WO (1) | WO20211327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16703A4 (en) * | 2019-01-25 | 2022-11-30 | LG Electronics Inc. | INDICATOR |
EP4083978A4 (en) * | 2019-12-27 | 2023-09-27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EP4083975A4 (en) | 2019-12-27 | 2023-09-27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20230002584A (ko) * | 2020-04-13 | 2023-0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N113724599B (zh) * | 2021-09-02 | 2023-07-28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2360B1 (ko) * | 2015-04-23 | 2022-04-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384576B1 (ko) * | 2015-06-15 | 2022-04-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KR102378758B1 (ko) * | 2015-06-19 | 2022-03-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EP3761293B1 (en) * | 2015-07-07 | 2023-01-04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102382300B1 (ko) * | 2015-07-07 | 2022-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526609B1 (ko) * | 2015-07-30 | 2023-04-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
KR102454386B1 (ko) * | 2016-04-29 | 2022-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
KR102547146B1 (ko) * | 2016-07-07 | 2023-06-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366366B1 (ko) * | 2017-09-28 | 2022-02-2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277928B1 (ko) * | 2018-04-25 | 2021-07-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KR101975188B1 (ko) * | 2018-06-28 | 2019-05-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666752B1 (ko) * | 2019-01-29 | 202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WO2020251191A1 (en) * | 2019-06-14 | 2020-12-17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20220066308A (ko) * | 2019-10-25 | 2022-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325968B1 (ko) * | 2019-11-21 | 2021-1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EP4083975A4 (en) | 2019-12-27 | 2023-09-27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
2019
- 2019-12-27 EP EP19957238.9A patent/EP4083975A4/en active Pending
- 2019-12-27 KR KR1020227022098A patent/KR202201081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12-27 WO PCT/KR2019/018638 patent/WO2021132779A1/ko unknown
-
2020
- 2020-12-28 US US17/135,737 patent/US11403974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7-01 US US17/856,876 patent/US1173507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201714A1 (en) | 2021-07-01 |
US11403974B2 (en) | 2022-08-02 |
US11735072B2 (en) | 2023-08-22 |
US20220335864A1 (en) | 2022-10-20 |
EP4083975A4 (en) | 2023-09-27 |
EP4083975A1 (en) | 2022-11-02 |
WO2021132779A1 (ko) | 2021-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5968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CN109219843B (zh) | 显示设备 | |
KR2022010812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00141773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00041846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EP4083978A1 (en) | Display device | |
EP4113490A1 (en) | Display device | |
KR20220112799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2006630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392955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EP4060649A1 (en) | Display device | |
KR102373730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39501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317145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2006690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710186B1 (ko) | 처짐 방지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EP4138066A1 (en) | Display device | |
KR20210087323A (ko) |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30051251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EP4138065A1 (en) | Display device | |
EP4083976A1 (en) | Display device | |
KR102718470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00143084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