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37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373B1
KR102591373B1 KR1020150185197A KR20150185197A KR102591373B1 KR 102591373 B1 KR102591373 B1 KR 102591373B1 KR 1020150185197 A KR1020150185197 A KR 1020150185197A KR 20150185197 A KR20150185197 A KR 20150185197A KR 102591373 B1 KR102591373 B1 KR 10259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ver
roller
panel
display pan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343A (ko
Inventor
허진하
한지훈
류인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60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73855B1/en
Priority to EP20207543.8A priority patent/EP3796074B1/en
Priority to US15/092,291 priority patent/US9844152B2/en
Priority to PCT/KR2016/003601 priority patent/WO2017090840A1/en
Priority to CN201610422883.4A priority patent/CN106816093B/zh
Publication of KR2017006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와 연동하여 상기 모듈 커버를 권취하는 에이프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모듈커버와, 상기 1,3 모듈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3 모듈 커버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함으로써, 지지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3 모듈 커버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함으로써, 지지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와 연동하여 상기 모듈 커버를 권취하는 에이프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모듈커버와, 상기 1,3 모듈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1,3 모듈 커버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3 모듈 커버 사이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는 중심부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양 측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 3 모듈 커버의 플랫 영역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 측이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된 상부 링크와, 상기 상부 지지링크의 타 측에 연결된 힌지와, 일 측은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연결된 하부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 1 모듈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인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상기 접착부가 이동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궤적부는 상기 접착부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을 띄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롤러와 상기 에이프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롤러와 상기 에이프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에이프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3 모듈 커버는 상기 상부 바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결합하며, 상기 제 2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3 모듈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3 모듈 커버의 전면은 상기 제 2 모듈 커버의 전면보다 일정 거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 3 모듈 커버 상에 위치한 마그넷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 1,3 모듈 커버 상에 위치한 마그넷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롤러는 상기 모듈 커버를 상기 패널 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 1,3 모듈 커버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함으로써, 지지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2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부(20)와 하우징(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커버(15)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은 모듈 커버(1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PCB를 차폐할 수 있다. 즉, 모듈 커버(15)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덮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PCB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너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을 덮는 아우터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우징(30)은 하나의 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이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에 위치한 여러가지 구동장비나 구동회로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제 1, 3 방향으로의 폭은 디스플레이부(20)를 내부에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0)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하우징(30)의 제 2 방향으로의 폭은 사용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에는 하우징(3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더 얇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에 몰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한 제 1 상태와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된 제 2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에 차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0) 내에 위치한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감겨있는 제 1 상태에서 롤러가 풀어져 디스플레이부(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가 풀어져 있다 감기면 제 2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한 롤러와 디스플레이부(20)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때만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30)외부로 노출시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 단에 패널 롤러(143)가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1 상태에 또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2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20)의 일 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활성 영역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의 외주에 안착부(379)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43)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져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롤러9143)가 권취되면서 소스 PCB(120)가 패널 롤러(143)의 접하는 부분에 안착부(379)가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379)는 패널 롤러(143)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패널 롤러(143)가 감길 때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 내에 안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패널 롤러(143)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가 감겨도 소스 PCB(120)에 손상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실장하여 소스 PCB(120)와 연결되는 FFC 케이블(117)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은 상호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의 사이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는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를 결합하면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도 같이 결합할 수 있다. FFC 케이블(117)은 상부 패널 롤러(331)에 위치한 홀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및 소스 PCB(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FFC 케이블(117)이 꼬이지 않고 결합될 수 있으며,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승강하는 하우징(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 측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되어 있고, 타 측에는 메인 보드(109)와 파워 서플라이(107)가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와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와 배선 전극(1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배선 전극(113)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파워 서플라이(107)를 연결해주는 제 1 배선 전극(307)과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메인 보드(109)를 연결해주는 제 2 배선전극(30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배선 전극(307)은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 전극(307)은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307)은 패널 롤러(143) 회전축 중심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파워 서플라이(107)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배선 전극(309)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가 연결되는 FFC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배선 전극(309)은 패널 롤러(143) 회전축 중심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메인 보드(109)를 연결할 수 잇다.
제 1 배선 전극(307)과 제 2 배선 전극(309)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307)과 제 2 배선 전극(309)이 통하는 개구부 역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되며 파워 서플라이(107)와 메인 보드(109)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 내부에 패널 롤러(143), 모터 어셈블리(137) 및 지지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30)의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두껍기 때문에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패널 롤러(143)의 직경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30)의 각 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73)는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지지부(73)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바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지지부(73)의 상세한 구동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는 상부만 상부 바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이 쉽게 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73)는 모듈커버(15)의 후면에서 모듈커버(15)가 휘지 않도록 받쳐줄 수 있다. 지지부(73)는 제 1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계속 이동하므로 모듈커버(15)에 결합되지는 않지만 모듈커버(15)를 받쳐줄 수 있다.
지지부(73)가 연결되는 부분에 모터 어셈블리(137)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전기신호를 받아 물리적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에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여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의 자세한 구조 및 구동 원리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롤러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30)의 두께가 줄어들어 화면을 더 잘 감상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듈 커버(15)는 복수의 에이프런(apron)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프런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에이프런은 서로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복수의 에이프런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는 접착층(7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층(70)에 의해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함께 권취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각각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70)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가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접착층(70)은 제 2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외력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이 적을 수 있다. 상세하게, 접착층(70)은 제 2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유연성이 좋아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의 전달이 적게될 수 있다.
또한, 에이프런은 제 2 방향의 폭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에이프런은 제 2 방향의 폭이 클수록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70)의 제 2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2 방향의 폭의 30%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이 적게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덜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의 제 2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2 방향의 폭의 15% 이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랙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은 제 3 방향의 폭이 두꺼울수록 외력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이 적을 수 있다. 상세하게, 접착층(70)은 제 3 방향의 폭이 두꺼울수록 유연성이 좋아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의 전달이 적게될 수 있다.
또한, 에이프런은 제 3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에이프런은 제 3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70)의 제 3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3 방향의 폭의 3% 이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이 적게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덜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의 제 3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3 방향의 폭의 6%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랙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15)가 복수개의 에이프런을 포함하며, 접착층(70)이 각각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에 감길 때, 모듈 커버(15)가 하나로 구성될 때보다 더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에이프런이 평행사변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에이프런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형 형상임을 의미한다. 에이프런이 평행사변형 형상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은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2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에이프런에 권취 방향의 반대 방향(351)으로 외력을 가하면 각각의 에이프런이 서로 면과 면이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에이프런에 권취 방향(353)으로 외력을 가하면 각각의 에이프런의 면과 면이 맞닿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은 쉽게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에이프런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외력을 가해도 화면이 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상부 바(75)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부 바(75)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의 승강에 따라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탈되지 않고 같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와 모듈 커버(15)를 체결하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체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함께 체결할 수도 있다.
모듈 커버(15)는 상부 바(75)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 모듈 커버(15t)의 형상이 다른 부분과 다를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는 최상부에 위치한 에이프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최상부에 위치한 에이프런의 형상이 다른 에이프런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는 적어도 일부가 제 3 방향으로의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의 두께가 다른 부분은 상부 바(75)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의 두께가 다른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를 통하여 상부 바(75)와 체결될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가 상부 바(75)로 삽입되기 때문에 모듈 커버(15)는 상부 바(75)에 더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탑 케이스(167)가 덮을 수 있다. 탑 케이스(167)는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양 측과 상부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함께 탑 케이스(167)를 체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탑 케이스(167)는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바(75)와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탈되지 않고 쉽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탑 케이스(167)가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외관으로 보기에 더 깔끔하다고 느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바(75)의 양 측을 지지부(73)가 받쳐주는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바(75)는 지지부(73)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지지부(73)는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는 힌지(1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링크(73a)의 일 단은 상부 바(75)와 체결되고 타 단은 힌지(152)에 체결되며, 하부 링크(73b)의 일 단은 모터 어셈블리와 체결되고 타 단은 힌지(152)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73)가 하우징 내부로 승강하는 입구에 가이드 바(234)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바(234)는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는 지지부(73)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바(234a)는 지지부(73)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2 가이드 바(234b)는 지지부(7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73) 전방 하단부에 패널 롤러(143)가 위치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 바닥면의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은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은 각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은 스크류를 통해 하우징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여러가지 구동을 위한 구조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승강하여도 고장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가이드 바(234a)는 패널 롤러(143)에 감겨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를 하우징(30)의 승강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는 패널 롤러(143)가 승강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모두 하우징(30)의 출입구 부분에서 제 1 가이드 바(234a)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떤 경우라도 동일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에서 승강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의 하부면에 브라켓(221)이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221)은 패널 롤러(143)와 마주보는 면이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브라켓(221)은 패널 롤러(143)에 감겨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하우징(30) 바닥면에 끌리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221)의 함몰된 부분의 직경(BD)은 패널 롤러(143)의 직경(RD)보다 클 수 있다. 브라켓(221)의 함몰된 부분의 직경(BD)이 패널 롤러(143)의 직경(RD)보다 크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브라켓(221)에서 벗어나 하우징(30)의 바닥면에 끌릴 수 있다. 브라켓(221)은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와의 마찰에서 오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라켓(221)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패널 롤러(143)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풀렸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하우징(30) 바닥면에 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모듈 커버(15)에 크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자유롭게 감기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브라켓(221)이 위치하는 경우, 패널 롤러(143)에서 풀린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브라켓(221)에 접할 수 있다. 브라켓(221)은 함몰된 부분이 반원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감겨있는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하우징(30)에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상부 바(75)가 상승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양 단에 위치한 지지부(73)가 밀어줌에 따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일 때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LA)가 아주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가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가 패널 롤러에 감겨있을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 어셈블리(137)가 회전하면서,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LA)가 커질 수 있다.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LA)가 커지면서 상부 바(75)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에 감겨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가 점차 풀릴 수 있다.
도 1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일 때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가 일직선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LA)가 180도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가 가장 높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가 패널 롤러에서 풀릴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어셈블리(137)의 후방에 스탠드 고정부(315)와 스탠드(317)가 위치할 수 있다.
스탠드 고정부(315)는 모터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모터 어셈블리(137)를 차폐할 수 있다. 스탠드 고정부(315)는 모터 어셈블리(137) 및 하우징(30)에 체결되어 스탠드(317)가 하우징(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탠드 고정부(315) 및 스탠드(317)는 모터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탠드(317)는 스탠드 고정부(315)와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탠드(317)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측에 위치하는 스탠드(317)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리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스탠드(317)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탠드(317)는 스탠드 고정부(315)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탠드(317)를 회전시켜 하우징(30)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탠드(317)가 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회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눈높이에 맞춰 스탠드(317)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 링크(73a)는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2 상부 링크(73F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링크(73b)는 제 1 하부 링크(73Cb)와 제 2 하부 링크(73F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힌지(152)의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는 힌지(152)의 양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152) 내부에 위치한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상호 대응되어 맞물리는 기어 형상일 수 있다. 힌지(152)는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의 마주보는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1 하부 링크(73Cb)를 고정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제 1 상부 링크(73Ca)의 각도(HRA1)와 지면으로부터 제 1 하부 링크(73Cb)의 각도(HRA2)는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1 하부 링크(73Cb)가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이기 때문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양 측의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1 하부 링크(73Cb) 사이의 각도 또한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1 하부 링크(73Cb)가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이기 때문에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의 양 측이 틀어지지 않고 동일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태와 관계없이 양 측의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1 하부 링크(73Cb)사이의 각도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는 내측에서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는 기어 형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73Fa)와 제 2 하부 링크(73Fb) 사이의 각도는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1 하부 링크(73Cb) 사이의 각도와 동일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 하부 링크(73a, 73b)가 하나의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측에 외력(F)이 가해지면 일 측의 상, 하부 링크(73a, 73b) 사이의 각도(HLA)가 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양 측의 상, 하부 링크(73a, 73b) 사이의 각도(HLA)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 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측에 외력(F)이 가해져도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 가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 하부 링크(73a, 73b) 사이의 각도(HLA)가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편향되지 않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편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의 일 변이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를 전면에서 차폐할 수 있다.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와 회전축이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의 회전 축은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의 회전 축과 제 3 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의 일 변이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 또한 일 변이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는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는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를 전면에서 차폐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적어도 일부의 폭이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와 일정 거리(SLD) 이격되어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상부 링크(73a)의 폭(HLW)은 제 2 상부 링크(73Fa)의 폭 또는 제 1 상부 링크(73Ca)의 폭(CLW)보다 클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 하부 링크(73Ca, 73Cb)는 전체 폭이 제 2 상, 하부 링크(73Fa, 73Fb)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상부 링크(73a)의 폭(HLW)은 제 2 상부 링크(73Fa)의 폭 또는 제 1 상부 링크(73Ca)의 폭(CLW)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부 링크(73Ca)의 일 변이 연장되지 않았을 때, 제 1 상부 링크(73Ca)는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2 상부 링크(73Fa)는 일정 간격(LD) 벌어질 수 있다. 제 1 상태로 변화할수록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2 상부 링크(73Fa) 사이의 간격(LD)은 더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2 상부 링크(73Fa) 사이에 끼어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도 2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부 링크(73Ca)의 일변이 연장되어 제 2 상부 링크(73Fa)와 중첩될 때, 제 1 상부 링크(73Ca)는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하여도 여전히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2 상부 링크(73Fa) 사이의 간격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여도 제 1 상부 링크(73Ca)와 제 2 상부 링크(73Fa)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는 위험으로부터 막아줄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137)는 모터(138)와 감속기(139)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8)는 전기 신호를 받아 물리적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터(138)는 회전 에너지를 감속기(139)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138)는 하우징(30)의 양 측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감속기(139)는 모터(138)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감속기(139)는 모터(138)와 다른 덮개에 덮여있을 수 있다. 감속기(139)는 모터(138)와 다른 덮개에 덮여있어 서로 불필요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감속기(139)는 모터(138)와 같이 하나의 덮개에 덮여있을 수도 있다.
감속기(139)는 모터(13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같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며, 모터(13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같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감속기(139)는 모터(1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속도를 줄이면서 회전 에너지를 크게 전달할 수 있다.
감속기(139)와 연결되어 있는 하부 링크(73b)는 감속기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면으로부터의 각도가 커지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면으로부터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조 링크(191)에 연결된 전달부(126)를 통해 하부 링크(73b)를 밀어줄 수 있다. 보조 링크(191)는 체결부(151), 기둥부(153) 및 스프링부(179)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126)는 일 단이 제 1 하부 링크(73Cb)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제 1 하부 링크(73Cb)를 밀어줄 수 있다. 전달부(126)는 보조 링크(191)로부터 전달된 에너지를 제 1 하부 링크(73Cb)로 전달해줄 수 있다. 전달부(126)는 타 단이 보조 링크(191)의 체결부(151)와 연결될 수 있다.
전달부(126)와 보조 링크(191)가 연결된 부분은 가이드 휠(241)이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휠(241)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전달부(126)와 보조 링크(191)가 제 3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휠(241)이 전달부(126)와 보조 링크(191)가 제 3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때문에, 보조 링크(191)의 힘이 정확하게 제 1 하부 링크(73Cb)로 전달될 수 있다.
체결부(151)는 보조 링크(191)와 전달부(126)를 결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체결부(151)는 전달부(126)에 탄성력을 전달해줄 수 있다.
스프링부(179)는 체결부(151)를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부(179)는 하부 링크(73b)가 하강할 때 압축되고 하부 링크(73b)가 상승할 때 이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링크(73b)가 상승할 때 탄성력에 의해 힘을 가할 수 있다.
기둥부(153)는 체결부(151)의 적어도 일부와 스프링부(179)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179)가 탄성력에 의해 이완할 때 이탈하지 않고 체결부(151)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조 링크(191)가 탄성력에 의해 하부 링크(73b)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의 상승이 더 쉬워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가이드 휠(241)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37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72)은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가이드 휠(241)은 가이드 레일(372)의 함몰된 부분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태일 때, 체결부(151)의 대부분이 기둥부(15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프링부가 압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체결부(151)가 전달부(126)를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전달부(126)는 지면으로부터 각도가 작을 수 있다. 가이드 휠(241)은 가이드 레일(372)의 기둥부(153)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체결부(151)가 기둥부(153)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체결부(151)가 전달부(126)를 가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스프링부는 점점 이완되면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체결부(151)가 전달부(126)를 가압하기 때문에 전달부(126)는 지면으로부터의 각도가 점점 커질 수 있다. 가이드 휠(241)은 가이드 레일(372)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상태일 때, 체결부(151)의 대부분이 기둥부(153)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스프링부가 이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체결부(151)가 전달부(126)를 가압하기 때문에 전달부(126)는 지면으로부터 각도가 클 수 있다. 가이드 휠(241)은 가이드 레일(372)의 하부 링크(73b)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휠(241)이 가이드 레일(372)을 타고 이동하며 하부 링크(73b)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의 탄성력이 더 쉽고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스프링부(179)는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스프링 상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스프링(179c)은 제 1,2 스프링(179a, 179b)보다 스프링 상수가 클 수 있다. 즉, 제 3 스프링(179c)은 제 1,2 스프링(179a, 179b)보다 변형하는데 더 힘이 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내지 3 스프링은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터(182)는 제 1,2 사이드 서포터(182a, 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 서포터(182a)는 제 1 스프링(179a)의 일 단에 위치하며, 제 2 사이드 서포터(182b)는 제 3 스프링(179c)의 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2 사이드 서포터(182a)의 돌출된 부분이 제 1,3 스프링(179a, 179c)에 끼워질 수 있다.
메인 서포터(184)는 제 1,2 메인 서포터(182a, 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인 서포터(182a)는 제 1 스프링(179a)과 제 2 스프링(179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2 메인 서포터(182a, 182b)는 양 측이 돌출될 수 있다. 제 1 메인 서포터(182a)의 돌출된 부분은 제 1 스프링(179a)의 타 단과 제 2 스프링(179b)의 일 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인 서포터(182b)의 돌출된 부분은 제 2 스프링(179b)의 타 단과 제 3 스프링(179c)의 일 단에 끼워질 수 있다.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은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에 의해 변위 구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은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에 의해 압축량이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프링부(179)가 스프링 상수가 다른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를 상승 또는 하강할 때 필요한 비선형 힘과의 균형이 맞을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 2 상태에서 스프링부(179)가 이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179)는 제 1 길이(SD1)를 가질 수 있다. 제 1 길이(SD1)는 스프링부(179)가 최대로 늘어난 상태일 수 있다. 늘어난 스프링부(179)가 체결부(151)를 가압하여 지지부(73)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하부 링크(73b)의 지면으로부터 각도가 작아지면서 전달부(126)을 중심부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151)로 힘이 전달되어 체결부(151)가 스프링부(179)를 압축할 수 있다. 스프링부(179)는 제 2 상태일 때의 제 1 길이(SD1)보다 압축된 제 2 길이(SD2)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부(179)는 제 2 상태일 때 기둥부(153)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프링부(179)는 어떤 상태에서도 기둥부(153)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스프링부(179)는 기둥부(153)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기둥부(153)에서 이탈되지 않고 하부 링크(73b)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79)가 기둥부(153)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력이 분산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외관이 깔끔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 사이에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가 위치하지 않을 때, 제 1 상태에서 스프링 상수가 작은 제 1,2 스프링(179a, 179b)은 과도하게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에서 스프링 상수가 큰 제 3 스프링(179c)은 압축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2 스프링(179a, 179b)은 과도한 압축 때문에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 3 스프링(179c)은 압축량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제 1,2 스프링(179a, 179b)의 소성 변형 때문에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제 1,2 스프링(179a, 179b)의 길이가 원래대로 이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2 스프링(179a, 179b)의 길이가 소성 변형전 길이보다 일정 거리(SDD) 짧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179)가 결합부(151)를 가압하지 않아 하부 링크(73b)가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 사이에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가 위치할 때, 제 1 상태에서 제 1 내지 3 스프링(179a-179c)은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에 의해 압축량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2 스프링(179a, 179b)은 일정 길이 이상 압축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 1,2 스프링(179a, 179b)는 압축되어도 소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2 스프링(179a, 179b)에 압축이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179)의 길이는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가 있는 경우에 더 짧아질 수 있다.
제 1,2 스프링(179a, 179b)은 사이드 서포터(182)와 메인 서포터(184)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제 1,2 스프링(179a, 179b)의 길이가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179)가 결합부(151)를 정상적으로 가압하여 하부 링크(73b)가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프링 사이에 사이드 서포터(182) 및 메인 서포터(184)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179)가 소성변형되지 않아 하부 링크(73b)로 힘이 쉽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양 측의 패널 롤러(143)와 대응되는 부분에 롤러 허브(278)가 위치할 수 있다. 롤러 허브(278)는 패널 롤러(143)의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허브(278)는 후술할 전달벨트(314)가 쉽게 권취될 수 있도록 원주 부분이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롤러 허브(278)와 이격되어 콘스탄트스프링(316)이 위치할 수 있다. 전달벨트(314)는 콘스탄트스프링(316)과 롤러 허브(278)에 감겨 있을 수 있다. 전달벨트(314)는 콘스탄트스프링(316)에 감겨있는 상태를 유지하려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벨트(314)가 콘스탄트스프링(316)에서 풀리는 경우, 다시 감기는 방향으로 힘이 형성될 수 있다.
콘스탄트스프링(316)은 롤러 허브(278)보다 제 2 방향으로 제 1 거리(CSD)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콘스탄트스프링(316)이 롤러 허브(278)보다 동일 높이 또는 위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더 힘이 크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도 2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를 감기 위해 패널 롤러(143)에 제 1 토크(T1)가 가해질 수 있다. 제 1 토크(T1)가 약하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길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패널 롤러(143)의 회전량이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쳐지면서 정확히 권취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감기 위해 패널 롤러(143)에 제 2 토크(T2)가 가해질수 있다. 제 2 토크(T2)는 제 1 토크(T1)보다 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길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패널 롤러(143)의 회전량이 일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패널 롤러(143)와 맞물려서 정확히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패널 롤러(143)와 맞물려 정확히 권취되기 위하여 일정 토크 이상의 토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도 3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패널 롤러(143)와 함께 롤러 허브(278)가 반시계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전달벨트(3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롤러 허브(278)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달벨트(314)는 롤러 허브(278)에서 풀리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패널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콘스탄트스프링(316)은 시계 방향으로 일정 토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롤러 허브(278)에 감길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롤러 허브(278)가 감기는데 콘스탄트스프링(316)의 토크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롤러 허브(278)와 연결된 패널 롤러(143)가 감길 때 또한 토크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패널 롤러(143)에 정확히 맞물려서 감길 수 있다.
반대로, 도 3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패널 롤러(143)와 함께 롤러 허브(278)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전달벨트(3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롤러 허브(278)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달벨트(314)는 롤러 허브(278)에 감기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패널 롤러(143)에서 풀릴 수 있다.
콘스탄트스프링(316)은 시계 방향으로 일정 토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롤러 허브(278)에서 풀릴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승시키는 힘이 콘스탄트스프링(316)의 토크보다 더 강해야 패널 롤러(143)와 롤러 허브(278)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 및 롤러 허브(278)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콘스탄트스프링(316)의 토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빠르게 감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패널 롤러(143)에서 쳐지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롤러 허브의 회전수에 따른 기존의 토션 스프링의 토크 변화는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롤러 허브의 회전수에 따른 콘스탄트스프링의 토크 변화는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패널 롤러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을 때 필요한 토크는 회전수에 따라 변동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토션 스프링의 경우 회전수가 많아질수록 가해지는 토크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토크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한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른 기구가 필요할 수 있으며, 다른 구조물의 추가로 인하여 소음이 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콘스탄트스프링의 경우 일정 회전수를 넘어가면 가해지는 토크가 일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토크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음이 적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부(73) 전방에 패널 롤러(143)가 위치하며 후방에 에이프런 롤러(141)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부(73)를 기준으로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는 반대측에서 마주볼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를 권취하며, 에이프런 롤러(141)는 모듈 커버(15)를 권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는 다른 롤러에 권취되기 때문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비교하여 더 두껍기 때문에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의 권취에 방해되지 않도록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우징(3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분리되어 권취되기 때문에 패널 롤러(143) 및 에이프런 롤러(141)의 권취력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의 부착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롤러에 더 작은 무게가 권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쳐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가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는 지지부(7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는 지지부(73)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에이프런 롤러(141)는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두껍기 때문에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에이프런 롤러(141)의 직경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이프런 롤러(141)는 패널 롤러(143)와 접하지 않기 위하여 제 1 간격(PGD) 이상 떨어질 수 있다. 제 1 간격(PGD)는 에이프런 롤러(141)가 제 1상태에 있을 때 패널 롤러(143)와 접하지 않을 수 있는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에이프런 롤러(141)가 펼쳐지는 라인 상에 가이드 롤러(145)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모듈 커버(15)가 제 1상태 및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 패널 롤러(143)에 접하지 안도록 모듈 커버(15)의 위치를 가이드해줄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하여 모듈 커버(15)가 패널 롤러(143)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과 에이프런 롤러(141)가 같은 측 상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가 다른 측에 위치할 때보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롤러 대신에 가압 롤러(147)가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 커버(15)가 지지부(73)에 접하도록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가 휘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 커버(15)가 지지부(73)에 접하도록 지지부(73)와 제 3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 커버(15)와 패널 롤러(143)가 접하지 않을 수 있도록 모듈 커버(15)를 가이드해주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압 롤러(147)가 모듈 커버(15)를 지지부(73)에 접하도록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평평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더 몰입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롤러(145)와 가압 롤러(147)이 모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패널 롤러(143)에 접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지부(73)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작동이 덜해지고 사용자들은 평평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15)가 제 1 내지 3 모듈 커버(15a-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는 모듈 커버(1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는 상부 바(75)에 결합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의 자세한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 3 모듈 커버(15c)는 모듈 커버(15)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3 모듈 커버(15c)는 모듈 커버(15c)의 각 변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변에 위치하는 제 3 모듈 커버(15c)는 상부 바(75)와 결합할 수 있다.
2 모듈 커버(15b)는 제 1 모듈 커버(15a)와 제 3 모듈 커버(15c)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 1,3 모듈 커버(15a, 15c)와 결합할 수 있다. 제 2 모듈 커버(15b)의 중심부는 제 1 모듈 커버(15a)와 결합하며, 제 2 모듈 커버(15b)의 양 측은 제 3 모듈 커버(15c)와 결합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 와 제 3 모듈 커버(15c)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모듈 커버(15a) 및 제 3 모듈 커버(15c)의 전면은 제 2 모듈 커버(15b)의 전면보다 일정 거리(LMD) 돌출될 수 있다. 즉, 제 1 모듈 커버(15a)와 제 3 모듈 커버(15c) 사이에 공간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모듈 커버(15a)와 제 3 모듈 커버(15c) 사이의 공간에 지지부(73)가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듈 커버(15)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의해 전면에서 차폐되고 제 2 모듈 커버(15b)에 의해 후면에서 차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부(73)가 구동되는 것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집중할 수 있으며, 외관이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도 3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모듈 커버(15a)가 위치하지 않았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양 측의 제 3 모듈 커버(15c)에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 2 모듈 커버(15b)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의해 중심부가 외력에 의해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평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패널(10)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함몰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모듈 커버(15a)가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양 측이 제 3 모듈 커버(15c)와 결합되며, 중심부가 제 1 모듈 커버(15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제 2 모듈 커버(15b)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제 2 모듈 커버(15b)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줄어들 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의 양 측에 위치한 제 3 모듈 커버(15c)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될 수 있다.
제 3 모듈 커버(15c)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한 마그넷(64)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64)은 에이프런과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64)은 각각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가 롤러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마그넷(64)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마그넷(64)에 접하는 면이 Fe-Ni 인바(Invar)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마그넷(64)과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의 양 측에만 위치한 마그넷(64)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부착되기 때문에, 마그넷(64)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그넷(64)이 제 3 모듈 커버(15c)의 홈(recess, 117)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7)은 제 3 모듈 커버(15c)의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7)은 각각의 에이프런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홈(117)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에이프런의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접하는 면이 평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어 외관상 더 깔끔해질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모듈 커버(15c) 뿐만 아니라 제 1 모듈 커버(15a) 상에도 마그넷(64)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 1 모듈 커버(15a)에 홈이 위치하여 홈 내부에 마그넷(64)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3 모듈 커버(15c) 상에만 마그넷(64)이 위치할 때 보다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외력이 가해져도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바(75)와 모듈 커버(15)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제 1 홀(331)을 통해 제 3 모듈 커버(15c)와 결합할 수 있다. 제 3 모듈 커버(15c)의 상변이 상부 바(75)의 후면을 감쌀 수 있다. 상부 바(75)의 후면을 감싸는 제 3 모듈 커버(15c)와 상부 바(75)가 제 1 홀(331)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 1 홀(331)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도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제 2 홀(333)을 통해 제 1 모듈 커버(15a)와 결합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모듈 커버(15a)의 최상부에 위치한 에이프런의 두께가 다른 부분이 상부 바(75)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홀(333)은 제 1 홀(331)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와 제 3 모듈 커버(15c)가 서로 다른 홀에 의해 상부 바(75)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와 상부 바(75)가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 및 제 3 모듈 커버(15c)는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15b)와 제 3,4 홀(335, 337)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 1 모듈 커버(15a)는 각각의 에이프런에 위치한 제 3 홀(335)를 통해 제 2 모듈 커버(15b)와 결합하며, 제 3 모듈 커버(15c)는 각각의 에이프런에 위치한 제 4 홀(337)을 통해 제 2 모듈 커버(15b)와 결합할 수 있다.
각각의 에이프런이 제 3,4홀(335, 337)을 통해 제 2 모듈 커버(15b)와 결합하기 때문에 제 1,3 모듈 커버(15a)와 제 2 모듈 커버(15b)가 결합한 상태로 쉽게 권취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상부 바(75)는 중심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75a)와 양 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7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75a)는 제 1 모듈 커버(15a)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75b)는 지지부(73)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바(75)는 모듈 커버(15)의 에이프런과 달리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권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75a)와 제 2 돌출부(75b) 또한 권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의 제 1,2 돌출부(75a, 75b)와 대응되는 제 3 모듈 커버(15c)의 플랫 영역은 제 1 상태에서 에이프런 롤러(141)에 권취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모듈 커버(15c)의 플랫 영역은 최상층의 에이프런과 그 아래층의 에이프런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152)가 바디(152a)와 접착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52a)는 상술한 것과 같이, 상부 링크(73b)와 하부 링크(73a)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착부(152b)는 바디(152a)와 연결될 수 있다. 접착부(152b)는 바디(152a)에서 제 1 모듈 커버(15a)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접착부(152b)는 제 1 상태에서 제 1 모듈 커버(15a)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73)는 접착부(152b)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접착부(152b)가 이동하는 영역의 제 2 모듈 커버(15b) 상에 궤적부(367)가 위치할 수 있다. 궤적부(367)는 제 2 모듈 커버(15b)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궤적부(367)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궤적부(367)는 제 2 모듈 커버(15b)의 좌측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심부로부터 제 1 모듈 커버(15b)와 인접한 부분의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측까지 원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궤적부(367)는 제 2 모듈 커버(15b)의 우측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심부로부터 제 1 모듈 커버(15b)와 인접한 부분의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측까지 원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152b)는 제 2 모듈 커버(15b)와 마주보는 면에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52b)는 궤적부(367)와 다른 극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52b)는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하면서 궤적부(36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접착부(152b) 및 궤적부(367)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동중에 힌지(152)가 제 2 모듈 커버(15b)에 부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152)는 어떤 상태에서도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궤적부(367)가 힌지(152)가 이동할 부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 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일 측이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된 상부 링크와,
    상기 상부 링크의 타 측에 연결된 힌지와,
    일 측은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연결된 하부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링크는 제1 상부 링크와 제2 상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링크는 제1 하부 링크와 제2 하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상부 링크와 상기 제1 하부 링크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태로 상기 힌지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상부 링크와 상기 제2 하부 링크는 상기 힌지의 양 측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모듈커버와,
    상기 1,3 모듈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3 모듈 커버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3 모듈 커버 사이의 상기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는,
    중심부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양 측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 3 모듈 커버의 플랫 영역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 1 모듈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인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접착부가 이동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궤적부는,
    상기 접착부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성을 띄는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와 연동하여 상기 모듈 커버를 권취하는 에이프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롤러와 상기 에이프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같은 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롤러와 상기 에이프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와 연동하여 상기 모듈 커버를 권취하는 에이프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에이프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모듈 커버는,
    상기 상부 바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결합하며,
    상기 제 2 모듈 커버는,
    상기 제 1,3 모듈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모듈커버와,
    상기 1,3 모듈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3 모듈 커버의 전면은,
    상기 제 2 모듈 커버의 전면보다 일정 거리 돌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모듈커버와,
    상기 1,3 모듈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 3 모듈 커버 상에 위치한 마그넷을 통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 3 모듈커버와,
    상기 1,3 모듈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모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 1,3 모듈 커버 상에 위치한 마그넷을 통해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와 연동하여 상기 모듈 커버를 권취하는 에이프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커버를 상기 패널 롤러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85197A 2015-11-27 2015-12-2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0093.7A EP3173855B1 (en) 2015-11-27 2016-03-14 Rollable display device
EP20207543.8A EP3796074B1 (en) 2015-11-27 2016-03-14 Display device
US15/092,291 US9844152B2 (en) 2015-11-27 2016-04-06 Display device
PCT/KR2016/003601 WO2017090840A1 (en) 2015-11-27 2016-04-06 Display device
CN201610422883.4A CN106816093B (zh) 2015-11-27 2016-06-1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7365 2015-11-27
KR1020150167365 2015-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343A KR20170062343A (ko) 2017-06-07
KR102591373B1 true KR102591373B1 (ko) 2023-10-20

Family

ID=5922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197A KR102591373B1 (ko) 2015-11-27 2015-12-2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711B1 (ko) *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15270B1 (ko) * 2017-09-01 2022-07-0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319B1 (ko) * 2017-11-13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9133014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031910B1 (ko) 2018-06-01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US11304315B2 (en) 2018-06-28 2022-04-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66787B1 (ko) * 2018-06-28 2019-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256295B2 (en) 2018-06-28 2022-02-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7272B1 (ko) * 2018-07-31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656466B1 (ko) * 2018-12-26 2024-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48006B1 (ko) * 2019-02-15 202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20187874A1 (en) * 2019-03-26 2022-06-16 Lg Electronics Inc. Rollable mobile terminal
KR20210012737A (ko) 2019-07-26 2021-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1665A (ko)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모듈 지지부의 제조 방법
WO2021080053A1 (ko) * 2019-10-25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95911A1 (ko) * 2019-11-13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2466213B (zh) * 2020-12-03 2022-08-1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30135717A (ko) * 2022-03-16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406A1 (en) * 2005-03-15 2006-09-21 Hae-Yong Choi Portable screen device with dual shaft structure
US20110011542A1 (en) * 2009-07-14 2011-01-20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US20110132557A1 (en) * 2009-12-07 2011-06-09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unit
US20120206801A1 (en) * 2011-02-10 2012-08-16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un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828A (ja) * 2004-03-01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406A1 (en) * 2005-03-15 2006-09-21 Hae-Yong Choi Portable screen device with dual shaft structure
US20110011542A1 (en) * 2009-07-14 2011-01-20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US20110132557A1 (en) * 2009-12-07 2011-06-09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unit
US20120206801A1 (en) * 2011-02-10 2012-08-16 Seiko Epson Corporation Scree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343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3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83098B2 (en) Display device
KR1024402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796074B1 (en) Display device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50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785726B2 (en) Display device
US10362690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3131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4308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823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404872A1 (en) Display device
KR1024313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