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1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17A
KR20230135717A KR1020220032760A KR20220032760A KR20230135717A KR 20230135717 A KR20230135717 A KR 20230135717A KR 1020220032760 A KR1020220032760 A KR 1020220032760A KR 20220032760 A KR20220032760 A KR 20220032760A KR 20230135717 A KR20230135717 A KR 20230135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otating shaft
flexible cabl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규
진병진
김재일
박병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717A/ko
Priority to US17/988,139 priority patent/US20230297139A1/en
Priority to PCT/KR2023/095010 priority patent/WO2023177278A1/ko
Publication of KR2023013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및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대화면 양산 기술 수준까지 공정 기술이 발전되어 액정표시장치와 경쟁하면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방식, 발광구조, 구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방식에 따라 형광발광, 인광발광으로 나뉠 수 있고, 발광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 Emission) 구조와 배면발광 (Bottom Emission) 구조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구동방식에 따라 PMOLED(Passive Matrix OLED)와 AMOLED(Active Matrix OLED)로 나뉘어질 수 있다.
최근,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상용화되었다.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플라스틱 OLED가 형성된 표시 패널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할 수 있다. 플라스틱 OLED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내구성에 장점이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표시 장치,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세트 크기가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중첩부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이격된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된 제1 플렉시블 케이블과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2 커넥터와 연결된 제2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일측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제1 플렉시블 케이블, 및 상기 제2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세트 크기가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칩 온 필름, 및 인쇄 회로 보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롤링/언롤링(Rolling/Unrolling)을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6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 플렉시블 케이블, 및 메인 보드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 플렉시블 케이블, 및 메인 보드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칩 온 필름(Chip On Film), 및 인쇄 회로 보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회전 샤프트(300), 플렉시블 케이블(500), 및 메인 보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엣지들(LEG1, LEG2),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제2 엣지들(SEG1, SE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과 제3 방향(DR3)은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무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또는 양자점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00)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0)에는 소정의 연성이 부여되어, 상술한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따라 감거나(rolling, 또는 winding), 펴는(unrolling, 또는 unwinding) 동작이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일면은 표시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구체적인 적층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ED), 및 박막 트랜지스터(T)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1)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기판(101)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1)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표시 기판(101) 상에는 버퍼막(102)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막(102)은 투습에 취약한 표시 기판(101)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T)와 발광 소자(ED)를 보호하기 위한 막이다. 버퍼막(102)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102)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 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 옥사이드층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1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의 액티브층(ACT)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의 액티브층(ACT)은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저온 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액티브층(ACT)은 실리콘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에 이온 또는 불순물이 도핑되어 도전성을 갖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ACT)은 표시 기판(101)의 두께 방향에서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하며,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은 두께 방향에서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의 액티브층(ACT)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03)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03)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 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03)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두께 방향에서 액티브층(ACT)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 상에는 층간 절연막(104)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04)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 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04) 상에는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이 배치될 수 있디.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각각 층간 절연층(104), 및 게이트 절연층(103)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ACT)의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각각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상에는 비아층(105)이 배치될 수 있다. 비아층(105)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아층(105) 상에는 발광 소자(ED)들과 뱅크(106)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들 각각은 발광 화소 전극(AE), 발광층(EL), 및 발광 공통 전극(CE)을 포함한다.
발광 화소 전극(AE)은 비아층(1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 화소 전극(AE)은 비아층(105)을 관통하여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층(EL)을 기준으로 발광 공통 전극(CE)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구조에서 발광 화소 전극(AE)은 예를 들어, ITO/Ag/ITO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뱅크(106)는 발광 영역(EA)을 정의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비아층(105) 상에서 발광 화소 전극(AE)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뱅크(106)는 발광 화소 전극(AE)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뱅크(106)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영역(EA)은 발광 화소 전극(AE), 발광층(EL), 및 발광 공통 전극(CE)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발광 화소 전극(AE)으로부터의 정공과 발광 공통 전극(CE)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EL)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발광 화소 전극(AE) 상에는 발광층(EL)이 형성된다. 발광층(EL)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소정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L)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물질층,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한다. 발광층(EL)은 적어도 하나의 칼라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 공통 전극(CE)은 발광층(EL) 상에 형성된다. 발광 공통 전극(CE)은 발광층(EL)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 공통 전극(CE)은 모든 발광 영역(EA)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발광 공통 전극(CE) 상에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발광 구조에서 발광 공통 전극(CE)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Indium Tin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공통 전극(CE) 상에는 봉지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70)은 발광 소자층(EML)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한다. 또한, 봉지층(170)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ED)를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봉지층(170)은 제1 봉지 무기막(171), 봉지 유기막(172), 및 제2 봉지 무기막(173)을 포함한다.
패드 전극(PE)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 전극(PE)은 상술한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에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의 제3 방향(DR3) 타측 단부(제1 엣지(LEG2))에 부착된 칩 온 필름(COF), 및 칩 온 필름(COF)의 단부에 부착된 인쇄 회로 보드(M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칩 온 필름(COF)은 표시 패널(100)의 패드 전극(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칩 온 필름(COF)은 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FF), 제1 및 제2 리드 전극(LE1, LE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FF)의 배면에는 구동 칩(IC)이 실장될 수 있다. 제1 리드 전극(LE1)은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패드 전극(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리드 전극(LE2)은 인쇄 회로 보드(M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보드(M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로부터 일 방향(도 1의 제2 방향(DR2))을 따라 더 돌출될 수 있다. 인쇄 회로 보드(MB)의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로부터 일 방향(도 1의 제2 방향(DR2))을 따라 더 돌출된 영역에는 커넥터(CN)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CN)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500)과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단부는 메인 보드(70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00)는 상술한 인쇄 회로 보드(MB)가 내장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中空)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00)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절개홈(C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개홈(CH1)은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관통하며, 회전 샤프트(300)의 외부와 회전 샤프트(300)의 내부의 중공을 연결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제1 절개홈(CH1)을 관통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00)는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표시 패널(100)을 말리거나 펴지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롤링/언롤링(Rolling/Unrolling)을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롤링/언롤링(Rolling/Unrolling)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표시 패널(100)과 마찬가지로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롤링/언롤링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회전 샤프트(300)가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표시 패널(100)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말려지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 샤프트(300)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표시 패널(100)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말려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 샤프트(300)가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표시 패널(100)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말려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300)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표시 패널(100)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회전 샤프트(300)로부터 펴질 수 있다.
회전 샤프트(300)의 시계/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표시 패널(100)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말리고 펴지는 것은, 표시 패널(100)과 칩 온 필름(COF)을 통해 연결된 인쇄 회로 보드(MB)가 회전 샤프트(300) 내부(또는 중공)에 고정되어 내장되어 있고,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인쇄 회로 보드(MB)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도 7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 샤프트(300)가 실장되는 별도의 제1 하우징, 및 메인 보드(700)가 실장되는 별도의 제2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상대적인 움직임(예컨대,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3 방향(DR3)으로 가까워지거나, 제3 방향(DR3)으로 멀어지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일단부는 회전 샤프트(300)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인쇄 회로 보드(MB)와 커넥터(CN)를 통해 연결되어 있지만,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타단부는 메인 보드(700)와 연결되어 있고, 메인 보드(700)는 회전 샤프트(300)와 동일한 상기 제1 하우징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보드(700)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보드(700a) 및 인쇄 회로 보드(MBa)는 각각 플렉시블 케이블(500a)과 연결되고, 표시 패널(100a)은 칩 온 필름(COF)을 통해 인쇄 회로 보드(MBa)와 연결될 수 있다. 종래 구조에 의해서도 인쇄 회로 보드(MBa)는 회전 샤프트(300a) 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300a)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 패널(100a)과 플렉시블 케이블(500a)은 롤링/언롤링하게 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a)과 플렉시블 케이블(500a)이 중첩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100a)과 플렉시블 케이블(500a)이 롤링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a)과 플렉시블 케이블(500a) 간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00a)과 플렉시블 케이블(500a)이 중첩하면서 함께 롤링됨에 따라 전체적인 세트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300)를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보다 제2 방향(DR2)을 따라 돌출하도록 설계하고, 해당 돌출 영역에서 인쇄 회로 보드(MB)와 플렉시블 케이블(5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플렉시블 케이블(500) 및 메인 보드(700) 각각이 표시 패널(100)과 간섭하지 않도록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해당 돌출 영역의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따라 말려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회전 샤프트(300) 자체 직경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 샤프트(30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 전체적인 세트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 플렉시블 케이블, 및 메인 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의 일부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샤프트(300)는 제3 방향(DR3)을 따라 표시 패널(100)과 중첩하는 중첩부(OVP)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표시 패널(100)과 중첩하지 않는 돌출부(PT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PTP)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를 중심으로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회전 샤프트(300)의 제1 절개홈(CH1)은 중첩부(OVP)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00)의 내부에 위치한 인쇄 회로 보드(MB)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를 중심으로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이하, 보드 돌출부). 상기 보드 돌출부는 회전 샤프트(300)의 돌출부(PTP)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드 돌출부에는 커넥터(CN)가 위치하고, 커넥터(CN)는 플렉시블 케이블(5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넥터(CN) 및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회전 샤프트(300)의 돌출부(PT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500)은 커넥터(CN)와 연결된 일단부(500b)를 포함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평탄하게 연장된 케이블 평탄부(500c)와 케이블 평탄부(500c)로부터 절곡되어(제3 방향(DR3)을 따라 절곡),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따라 말려진 케이블 절곡부(50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평탄부(500c)는 회전 샤프트(300)의 돌출부(PTP)에 형성된 제2 절개홈(CH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상기 케이블 절곡부(500d)는 회전 샤프트(300)의 돌출부(PTP)에 2겹으로 말려질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상기 케이블 절곡부(500d)의 타단부(500e)는 메인 보드(7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절개홈(CH1)과 제2 절개홈(CH2)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절개홈(CH1)과 제2 절개홈(CH2)은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절개홈(CH1)의 연장 라인에 제2 절개홈(CH2)이 위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개홈(CH1)과 제2 절개홈(CH2)은 같은 절개홈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제1 절개홈(CH1)과 제2 절개홈(CH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300)는 제1샤프트부(310), 제2샤프트부(320), 및 제2 샤프트부(320)와 인쇄 회로 보드(MB) 사이에 위치한 안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부(310)는 안착부(330)를 사이에 두고 제2 샤프트부(320)와 이격되고, 제1 샤프트부(310)와 안착부(330)의 사이 공간은 상술한 회전 샤프트(300)의 중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샤프트부(310)와 제2 샤프트부(320)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도면상 제1 샤프트부(310)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샤프트부(320)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보드(MB)는 안착부(3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샤프트부(310)는 제2 샤프트부(320)와 두께 방향(예컨대, 제3 방향(DR3))을 따라 제1 이격 거리(d1)를 갖고 이격된 제1 서브 샤프트부(311), 제2 샤프트부(320)와 두께 방향(예컨대, 제3 방향(DR3))을 따라 제2 이격 거리(d2)를 갖고 이격된 제2 서브 샤프트부(312), 및 제2 샤프트부(320)와 두께 방향(예컨대, 제3 방향(DR3))을 따라 제3 이격 거리(d3)를 갖고 이격된 제3 서브샤프트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샤프트부(312)는 제1 서브샤프트부(311)와 제3 서브 샤프트부(3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개홈(CH2)은 제1 샤프트부(310)와 제2 샤프트부(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격 거리(d2)는 제1 이격 거리(d1)와 제3 이격 거리(d3) 사이의 값을 갖고, 제1 이격 거리(d1)는 제3 이격 거리(d3)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회전 샤프트(300)를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보다 제2 방향(DR2)을 따라 돌출하도록 설계하고, 해당 돌출 영역에서 인쇄 회로 보드(MB)와 플렉시블 케이블(5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플렉시블 케이블(500) 및 메인 보드(700) 각각이 표시 패널(100)과 간섭하지 않도록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해당 돌출 영역의 회전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따라 롤링/언롤링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 전체적인 세트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 플렉시블 케이블, 및 메인 보드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샤프트부(310)와 제2 샤프트부(3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 평탄부를 고정하는 고정핀(FM)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8 및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술한 메인 보드(700)가 표시 장치(1) 내부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실시예에서 변형된 것이다. 즉, 고정핀(FM)은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회전 샤프트(300)의 회전에 따라 일부 롤링되거나, 언롤링되는 것(예컨대, 유동)을 최대한 방지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샤프트부(310)와 제2 샤프트부(3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 평탄부(500c)를 고정하는 고정핀(F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FM)은 제2 서브 샤프트부(312)와 제2 샤프트부(320_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샤프트부(320_1)는 안착부(330)와 연결된 제4 서브 샤프트부(320), 및 제4 서브 샤프트부(320)를 사이에 두고 안착부(330)와 이격된 제5 서브 샤프트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샤프트부(320)의 상면은 제5 서브 샤프트부(322)의 상면보다 하부로 만입될 수 있다.
고정핀(FM)은 제2 서브 샤프트부(312)와 제2 샤프트부(320_1)의 제4 서브샤프트부(320) 사이에 위치하여, 위아래에서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케이블 평탄부(500c)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케이블 절곡부(500d)를 제1 샤프트부(310) 또는 제2 샤프트부(320)에 고정하는 고정핀(FM_1)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케이블 절곡부(500dc)를 제1 샤프트부(310) 또는 제2 샤프트부(320)에 고정하는 고정핀(FM_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고정핀(FM_1)이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케이블 절곡부(500d)를 제2 샤프트부(320)에 고정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고정핀(FM_1)은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케이블 절곡부(500d)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플렉시블 케이블(500)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1에 따른 고정핀(FM)과 도 12에 따른 고정핀(FM_1)이 함께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1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그 외 설명은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회전 샤프트(300_1)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제2 엣지(SEG1)보다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PTP_1)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7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회전 샤프트(300_1)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제2 엣지(SEG1)보다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PTP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PTP_1)에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3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3 절개홈은 제2 절개홈(CH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인쇄 회로 보드(MB_1)는 제2 커넥터(CN_1)를 더 포함하고, 제2 커넥터(CN_1)는 돌출부(PTP_1)와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부가 인쇄 회로 보드(MB_1)의 제2 커넥터(CN_1)와 연결된 제2 플렉시블 케이블(500_1)을 더 포함하고, 제2 플렉시블 케이블(500_1)은 회전 샤프트(300_1)의 돌출부(PTP_1)의 외주면에 말려져 있음으로써, 도 1 및 도 7에 따른 표시 장치와 같이, 돌출부(PTP)가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 대비 돌출된 폭(이하, 제1 폭)을 돌출부(PTP)의 돌출 폭(이하, 제2 폭), 및 돌출부(PTP_1)의 돌출 폭(이하, 제3 폭)이 나누어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반적인 표시 장치의 세트의 구조적인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회전 샤프트, 회전 샤프트의 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인쇄 회로 보드(MB_1)의 제2 커넥터(CN_2)가 인쇄 회로 보드(MB_1)를 사이에 두고 커넥터(CN)와 이격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7 및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쇄 회로 보드(MB_1)의 제2 커넥터(CN_2)가 인쇄 회로 보드(MB_1)를 사이에 두고 커넥터(CN)와 이격될 수 있다. 커넥터(CN)에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연결되고, 제2 커넥터(CN_2)에는 제2 플렉시블 케이블(500_2)이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500)과 제2 플렉시블 케이블(500_2)은 각각 돌출부(PTP)의 외주면을 따라 말려지고 함께 메인 보드(700)에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500)과 제2 플렉시블 케이블(500_2)은 각각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면서 돌출부(PTP)의 외주면을 따라 말려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 회로 보드(MB_1)의 제2 커넥터(CN_2)가 인쇄 회로 보드(MB_1)를 사이에 두고 커넥터(CN)와 이격되고, 커넥터(CN)에는 플렉시블 케이블(500)이 연결되고, 제2 커넥터(CN_2)에는 제2 플렉시블 케이블(500_2)이 연결되어, 돌출부(PTP)의 표시 패널(100)의 제2 엣지(SEG2) 대비 돌출된 폭(제1 폭)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7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300: 회전 샤프트
500: 플렉시블 케이블
700: 메인 보드

Claims (21)

  1.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절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절개홈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절개홈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중첩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절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제2 절개홈을 관통하며 연장된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홈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1 돌출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돌출부 내에 수용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내부에 고정되어 내장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첩부의 외주면에 말리거나 펴지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면에 말리거나 펴지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타단부와 연결된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회전 샤프트가회전하는 경우, 유동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9.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중첩부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 및 상기 메인 보드는 각각 동일한 하우징에 실장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각각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절개홈 상에 배치된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상에 위치한 제1 샤프트부,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샤프트부와 이격된 제2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부와 상기 제2 샤프트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평탄부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절곡부를 상기 제1 샤프트부와 상기 제2 샤프트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엣지들,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2 엣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이격된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상기 인쇄 회로 보드가 내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 및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된 제1 플렉시블 케이블과 일단부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2 커넥터와 연결된 제2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중첩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일측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제1 플렉시블 케이블, 및 상기 제2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말리고 펴지는 방식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절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절개홈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절개홈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중첩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절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제2 절개홈을 관통하며 연장되되,
    상기 제2 절개홈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1 돌출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돌출부 내에 수용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내부에 고정되어 내장된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엣지보다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2 돌출부에 위치한 제3 절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제2 커넥터와 연결된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중첩하되,
    상기 인쇄 회로 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이격된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제2 플렉시블 케이블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032760A 2022-03-16 2022-03-16 표시 장치 KR20230135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60A KR20230135717A (ko) 2022-03-16 2022-03-16 표시 장치
US17/988,139 US20230297139A1 (en) 2022-03-16 2022-11-16 Display device
PCT/KR2023/095010 WO2023177278A1 (ko) 2022-03-16 2023-03-07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60A KR20230135717A (ko) 2022-03-16 2022-03-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17A true KR20230135717A (ko) 2023-09-26

Family

ID=8802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760A KR20230135717A (ko) 2022-03-16 2022-03-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7139A1 (ko)
KR (1) KR20230135717A (ko)
WO (1) WO20231772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373B1 (ko) * 2015-11-27 2023-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7742B1 (ko) * 2016-04-29 2022-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연성표시장치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37325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3730B1 (ko) * 2020-06-23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7139A1 (en) 2023-09-21
WO2023177278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8125A1 (en)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US1051611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01045B1 (ko) 폴더블 표시장치
CN111244320B (zh) 显示设备
US7893610B2 (en) Tandem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10010624B (zh) 显示装置
EP3565005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8274219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island patterns serving as an encapsulation film
US7348655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700716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245936B2 (en) Multi-display apparatus
US20070035239A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212300A1 (en) Dual-scre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CN117241618A (zh) 显示装置
KR1026399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3053947B (zh) 柔性显示装置
US20230263005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232553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20230135717A (ko) 표시 장치
US20230051536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20220069043A1 (en) Display device
CN112786652A (zh) 柔性显示装置
KR20210034335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10058333A (ko) 표시 장치
US20240023413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cover layer and method of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