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318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318B1
KR102431318B1 KR1020170150666A KR20170150666A KR102431318B1 KR 102431318 B1 KR102431318 B1 KR 102431318B1 KR 1020170150666 A KR1020170150666 A KR 1020170150666A KR 20170150666 A KR20170150666 A KR 20170150666A KR 102431318 B1 KR102431318 B1 KR 10243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e
base
display devic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429A (ko
Inventor
표종길
김경동
김재용
김호영
강기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18B1/ko
Priority to PCT/KR2018/002358 priority patent/WO2019093593A1/ko
Publication of KR2019005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01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를 갖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둘레면에 접촉하는 후면과 상기 후면에 대향하는 전면을 갖고,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롤러에 감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롤러에서 펼치거나 롤러에 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롤러에 감거나 롤러에서 푸는 것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롤러에 감긴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로부터 풀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에 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롤러로부터 풀 때, 스프링을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롤러로부터 풀 때, 푸셔를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링크의 연결위치를 개선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리드 스크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롤러에 감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피를 줄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롤러에 완전히 감은 상태에서,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적층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2 베이스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제2 베이스는 제2 베이스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로 인해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보조롤러가 디스플레이부에 접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보조롤러가 디스플레이부에 접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전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센서를 적용하여, 슬라이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센서를 적용하여, 푸셔의 최소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링크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구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를 갖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둘레면에 접촉하는 후면과 상기 후면에 대향하는 전면을 갖고,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롤러에 감긴 제1 파트,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마주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롤러와 대향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제1 보조 롤러의 정사영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롤러의 정사영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제1 보조 롤러의 정사영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롤러의 정사영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롤러와 대향하고, 상기 제1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롤러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광 투과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은, 상기 제2 파트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제2 파트를 마주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홀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이격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롤러에 감기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롤러에 감긴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로부터 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며 롤러에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롤러로부터 풀 때, 스프링을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롤러로부터 풀 때, 푸셔를 이용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링크의 연결위치를 개선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터 어셈블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로드가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링크를 기립시킬 때, 로드와 리드 스크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롤러에 감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롤러에 완전히 감은 상태에서,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의 적층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베이스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제2 베이스는 제2 베이스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로 인해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보조롤러가 디스플레이부에 접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보조롤러가 디스플레이부에 접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전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를 적용하여, 슬라이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를 적용하여, 푸셔의 최소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링크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구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3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0 내지 도 4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상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8 내지 도 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0 내지 도 7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참조 번호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나머지 도면에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제3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높이, 길이, 너비, 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DR1), +x축 방향, -x축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을 +z축, 앞쪽 방향 또는 전방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z축, 뒤쪽 방향 또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DR2), +y축 방향, -y축 방향,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좌우 방향(LR)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고, 상하 방향(UD)은 제2 방향(DR2)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전체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플레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도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은 광 투과성 재질로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수지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결합, 체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모듈 커버(11), 커버(11),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11), 패널 커버(11)라고 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1)는 복수의 홀(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홀(12)이 형성된 영역과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11f, 11g, 11h)을 포함할 수 있다.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11f, 11g, 11h)은 홀(12)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11f, 11g, 11h)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엣지를 보호할 수 있다. 홀(12)은 개구부(12)라 칭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11)의 좌우방향(LR)을 따라,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제1 영역(11g)과 홀(12)이 형성된 영역과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제2 영역(11h)이 순차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11g)의 좌우방향(LR)의 폭은 a2 일 수 있다. 홀(12)이 형성된 영역의 좌우방향(LR)의 폭은 a1 일 수 있다. 제2 영역(11h)의 좌우방향(LR)의 폭은 a3 일 수 있다.
플레이트(11)의 상하방향(UD)을 따라,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제3 영역(11f)과 홀(12)이 형성된 영역이 순차로 위치할 수 있다. 제3 영역(11f)의 상하방향(UD)의 높이는 b2 일 수 있다. 홀이 형성된 영역의 상하방향(UD)의 높이는 b1 일 수 있다.
홀(12)이 형성되지 않은 제3 영역(11f)은 기구물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물은 상부 바일 수 있다. 상부 바는 링크와 결합될 수 있다.
홀(12)은 플레이트(11)를 관통할 수 있다. 홀(12)은 플레이트(11)를 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12)은 슬릿(12a, 12b)일 수 있다. 슬릿(12a, 12b)은 플레이트(11)의 좌우방향(LR)을 따라 긴 형상일 수 있다. 홀(12)은 상대적으로 긴 슬릿(12a)과 상대적으로 짧은 슬릿(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긴 슬릿(12a)는 너비(d8)와 폭(d9)을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슬릿(12b)은 너비(d10)와 폭(d9)을 가질 수 있다.
슬릿(12a, 12b)은 플레이트(11)의 좌우방향(LR)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이웃하는 슬릿(12a, 12b)은 일정 간격(d2)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슬릿(12a, 12b)은 플레이트(11)의 상하방향(UD)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이웃하는 슬릿(12a, 12b)은 일정 간격(d1)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슬릿(12a, 12b) 간 간격(d1, d2)이 작아질수록, 플레이트(11)는 쉽게 말리거나 풀릴 수 있다. 슬릿(12a, 12b) 간 간격(d1, d2)이 커질수록, 플레이트(11)의 탄성이 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얇은 두께로 인해 쉽게 주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얇은 두께로 인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탄성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1)는 슬릿(12a, 12b)을 구비함으로써,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슬릿(12a, 12b)을 구비함으로써,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리더라도 영구 변형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접착층(13) 및 플레이트(12)는 일체로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수 있고,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슬릿(12a, 12b)은 행(row)과 열(column)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홀수 행(r1, r3, r5, r7, r9, r11, r13, r15, r17, r19, r21, r23, r25)은 상대적으로 긴 슬릿(1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수 행(r1, r3, r5, r7, r9, r11, r13, r15, r17, r19, r21, r23, r25)의 슬릿(12a)은 열(t1, t2, t3, t4, t5, t6, t7, t8)을 이룰 수 있다.
짝수 행(r2, r4, r6, r8, r10, r12, r14, r16, r18, r20, r22, r24)은 상대적으로 짧은 슬릿(12b)과 상대적으로 긴 슬릿(1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짝수 행의 슬릿(12a, 12b)은 열을 이룰 수 있다. 짝수 행(r2, r4, r6, r8, r10, r12, r14, r16, r18, r20, r22, r24)의 슬릿(12a, 12b)은 열(s1, s2, s3, s4, s5, s6, s7, s8, s9)을 이룰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슬릿(12b)과 상대적으로 긴 슬릿(12a)은 상하방향(UD)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슬릿(12b)은 짝수 행(r2, r4, r6, r8, r10, r12, r14, r16, r18, r20, r22, r24)의 좌우방향(LR)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행(r22)의 첫 번째 슬릿(12b221)의 중심(c221)과 제22 행(r22)의 두 번째 슬릿(12a222)의 중심(c222)을 잇는 직선(l1)은 제22 행(r22)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제23 행(r23)의 첫 번째 슬릿(12b231)의 중심(c231)과 제23 행(r23)의 두 번째 슬릿(12a232)의 중심(c232)을 잇는 직선(l2)은 제23 행(r23)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제24 행(r24)의 첫 번째 슬릿(12b241)의 중심(c241)과 제24 행(r24)의 두 번째 슬릿(12a242)의 중심(c242)을 잇는 직선(l3)은 제24 행(r24)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제25 행(r25)의 첫 번째 슬릿(12b251)의 중심(c251)과 제25 행(r25)의 두 번째 슬릿(12a252)의 중심(c252)을 잇는 직선(l4)은 제25 행(r25)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짝수 행(r2, r4, r6, r8, r10, r12, r14, r16, r18, r20, r22, r24)의 제1 열(s1)의 열 한번째 슬릿(12b221)의 중심(c221)과 제1 열(s1)의 열 두 번째 슬릿(12b241)의 중심(c241)을 잇는 직선(l5)은 제1 열(s1)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홀수 행(r1, r3, r5, r7, r9, r11, r13, r15, r17, r19, r21, r23, r25)의 제1 열(t1)의 열 두 번째 슬릿(12b231)의 중심(c231)과 제1 열(t1)의 열 세 번째 슬릿(12b251)의 중심(c251)을 잇는 직선(l6)은 제1 열(t1)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짝수 행(r2, r4, r6, r8, r10, r12, r14, r16, r18, r20, r22, r24)의 제2 열(s2)의 열 한번째 슬릿(12b222)의 중심(c222)과 제2 열(s2)의 열 두 번째 슬릿(12b242)의 중심(c242)을 잇는 직선(l7)은 제2 열(s2)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홀수 행(r1, r3, r5, r7, r9, r11, r13, r15, r17, r19, r21, r23, r25)의 제2 열(t2)의 열 두 번째 슬릿(12b232)의 중심(c232)과 제2 열(t2)의 열 세 번째 슬릿(12b252)의 중심(c252)을 잇는 직선(l8)은 제2 열(t2)의 나머지 슬릿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같은 행에서 이웃하는 슬릿(12a232, 12a233)의 중심거리(d11)는 이웃하는 행의 슬릿(12a243)의 너비(d8)보다 클 수 있다.
이웃하는 행(r22, r23)의 슬릿(12a237, 12a246, 12a247) 간 중심거리(d13)는 같은 행(r23)의 슬릿(12a246, 12a247) 간 중심거리(d11)과 이등변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같은 행(r23)의 슬릿(12a246, 12a247) 간 중심거리(d11)는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일 수 있다. 이웃하는 행(r23, r24)간 거리(d12)는 이등변삼각형의 높이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플레이트(1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플레이트(11)를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제1 수지층(14)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수지층(14)과 플레이트(11)는 합지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제1 수지층(14)에 놓일 수 있다. 플레이트(11)와 제1 수지층(14)은 가열장치를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일부가 녹을 수 있다. 녹은 제1 수지층(14)은 플레이트(11)에 접착될 수 있다. 녹은 제1 수지층(14)은 플레이트(11)의 홀(12)을 채울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제1 수지층(14)에 수용될 수 있다.
가열된 플레이트(11)와 제1 수지층(14)이 냉각되면, 플레이트(11)와 제1 수지층(14)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11)와 제1 수지층(14)의 결합체의 전면은 플랫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11)와 제1 수지층(14)의 결합체의 전면은 플랫하기 때문에,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제1 수지층(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연성이 높은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지층(14)은 우레탄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접착층(13), 플레이트(11) 및 제1 수지층(14)은 일체로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수 있고,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수지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2 수지층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플레이트(1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플레이트(11)를 커버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제1 수지층(14)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는 제1 수지층(14)과 제2 수지층(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지층(14), 제2 수지층(16) 및 플레이트(11)는 합지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지층(14), 제2 수지층(16)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수지층(17)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의 재질과 제2 수지층(16)의 재질은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제1 수지층(14)은 일부가 녹아 플레이트(11)의 홀(12)을 채울 수 있다. 제2 수지층(16)은 일부가 녹아 플레이트(11)의 홀(12)을 채울 수 있다. 수지층(17)은 일부가 녹아 플레이트(11)의 홀(12)을 채울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수지층(17)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11), 제1 수지층(14) 및 제2 수지층(16)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11)와 수지층(17)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지층(16)의 전면은 플랫할 수 있다. 수지층(17)의 전면은 플랫할 수 있다.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제2 수지층(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층(13)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수지층(17)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수지층(16)은 연성이 높은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지층(16)은 우레탄 또는 고무일 수 있다.
수지층(17)은 연성이 높은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17)은 우레탄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접착층(13), 제2 수지층(16), 플레이트(11) 및 제1 수지층(14)은 일체로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수 있고,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접착층(13), 수지층(17) 및 플레이트(11)는 일체로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수 있고,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홀(12) 사이의 거리(d31)가 클수록, 제1 수지층(14)과 제2 수지층(16)의 결합면적이 커질 수 있다. 제1 수지층(14)과 제2 수지층(16)의 결합면적이 커질수록, 제1 수지층(14)과 제2 수지층(16)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은 롤러(143)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은 복수의 소스 PCB(120)와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PCB(1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소스 COF(Chip On Film, 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소스 PCB(120)를 연결할 수 있다.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143)는 제1 파트(331)와 제2 파트(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31)와 제2 파트(337)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는(105)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제어신호를 소스 PCB(120)로 전달할 수 있다.
케이블(117)은 소스 PCB(120)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17)은 FFC(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 케이블(117)은 홀(331a)을 통과할 수 있다. 홀(331a)은 안착부(379) 또는 제1 파트(331)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제2 파트(33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379)는 제1 파트(331)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제1 파트(331) 외주의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공간(B)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기면,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에 수용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에 수용됨으로써, 휘거나 굽어지지 않을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케이블(117)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감긴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하우징(30)의 밑면일 수 있다. 롤러(143)는 하우징(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하우징(30)의 측면(30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면, 빔(31a)은 제1 베이스(31)에 형성될 수 있다. 빔(31a)은 제1 베이스(31)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많은 부품이 제1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베이스(31)는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빔(31a)은 프레스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제1 베이스(31)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에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감긴 롤러(143)는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하우징(30)의 측면(30a)에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33)은 제1 베이스(31)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33)은 하우징(30)의 측면(30a)에 체결될 수 있다.
빔(32a)은 제2 베이스(32)에 형성될 수 있다. 빔(32a)은 제2 베이스(32)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빔(32a)은 프레스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32d)는 제1 파트(32b)와 제2 파트(32c)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파트(32e)는 제1 파트(32b)와 제2 파트(32c)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파트(32d)와 제4 파트(32e) 사이에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베이스(32)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3 파트(32d)는 보강 리브(32d) 또는 리브(32d)라고 할 수 있다. 제4 파트(32e)는 보강 리브(32e) 또는 리브(32e)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부품이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베이스(32)는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과 제2 베이스(32)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2 베이스(3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2 베이스(3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제1 베이스(31)의 중앙 부분 또는 제2 베이스(3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판(34)은 곡면부(34a)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34a)는 롤러(143)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34a)는 롤러(143) 또는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부(2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곡면부(34a)는 롤러(14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롤러(143)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와 제1 보강판(34)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보강판(34)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보강판(3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에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판(35)은 제1 베이스(31)의 빔(31a)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2)는 하우징(3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베이스(32f)는 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베이스(32f)가 받는 하중이 크지 않은 경우, 제2 베이스(32f)는 빔(32g)을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빔(31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축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우측 구동축과 좌측 구동축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터는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복수의 모터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높은 토크를 출력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모터 어셈블리(8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리드 스크류(840)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811)은 리드 스크류(840)와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축을 연결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반대일 수 있다.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좌측 리드 스크류(84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좌측 리드 스크류(840)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의 피치는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은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은 리드 스크류(84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830a, 830b)은 모터 어셈블리(810)에 가깝게 위치하는 내측 베어링(830b)과 모터 어셈블리(810)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외측 베어링(830a)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840)는 베어링(830a, 830b)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리드 스크류(840)에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리드 스크류(840)의 회전에 따라 리드 스크류(840)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외측 베어링(830a)과 내측 베어링(830b)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와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드(820)는 좌측 리드 스크류(840)에 맞물릴 수 있다. 우측 슬라이드(820)는 우측 리드 스크류(840)에 맞물릴 수 있다.
좌측 슬라이드(820)와 우측 슬라이드(820)는 모터 어셈블리(810)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의 구동으로 인해, 좌측 슬라이드(820)와 우측 슬라이드(820)는 상호 동일한 거리만큼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810)는 플레이트(81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813)는 마운트 플레이트(813) 또는 모터 마운트 플레이트(813)라고 할 수 있다. 결합부(32h)는 제2 베이스(3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813)는 스크류(S)를 통해 결합부(32h)에 체결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10)는 제2 베이스(32)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와셔(813)는 플레이트(813)의 상면과 스크류(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셔(813)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813)는 모터 어셈블리(8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와셔(8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860)은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60)은 리드 스크류(840)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가이드 레일(860)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스토퍼(861b)는 가이드 레일(86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스토퍼(861a)는 가이드 레일(860)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제1 스토퍼(861b)와 제2 스토퍼(861a)의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스프링(850)은 리드 스크류(840)를 감쌀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스프링(850)을 관통할 수 있다. 스프링(850)은 내측 베어링(830b)과 슬라이드(8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850)의 일 측은 내측 베어링(830b)에 접촉할 수 있고, 스프링(850)의 타 측은 슬라이드(820)에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850)은 슬라이드(8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의 길이는 최소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슬라이드(820)와 내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는 최소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은 최대로 인장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스프링(850)의 길이는 최대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경우, 슬라이드(820)와 내측 베어링(830b) 사이의 거리는 최대일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파트(820a)는 가이드 레일(860)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파트(820a)는 가이드 레일(86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파트(820a)는 가이드 레일(860)의 길이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제2 파트(820b)는 제1 파트(820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트(820a)와 제2 파트(820b)는 스크류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파트(820b)는 가이드 레일(860)과 이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제2 파트(820b)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파트(820b)는 리드 스크류(84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스크류(840)가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드(820)는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 레일(860)을 따라 진퇴할 수 있다.
제3 파트(820c)는 제2 파트(820b)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820c)는 스프링(850)과 접촉할 수 있다. 제3 파트(820c)는 스프링(85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링크 마운트(920)는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일 측은 링크 마운트(9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타 측은 조인트(91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의 타 측은 제2 축(913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의 일 측은 슬라이드(8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드(870)의 타 측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암(915)의 일 측은 링크 마운트(92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암(915)의 타 측은 로드(870)의 타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는 축(9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1)은 축(92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은 링크 캡(951)이라고 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은 탑 케이스(950)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케이스(950)는 케이스 탑(950), 상부 바(950), 탑(950) 또는 바(950)라고 할 수 있다. 탑 케이스(9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탑 케이스(9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일 측은 조인트(91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일 측은 제1 축(913a)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타 측은 링크 브라켓(951) 또는 탑 케이스(95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기어(g1)는 제1 암(911)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g2)는 제2 암(912)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911)의 기어(g1)와 제2 암(912)의 기어(g2)는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외측 베어링(830a)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은 기립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이 기립하는 방향을 기립 방향(DRS)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은 기립 방향(DRS)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14)는 연결부(914)라고 할 수 있다. 제3 암(915)은 기립 방향(DRS)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1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16)는 연결부(916)라고 할 수 있다. 제2 암(912)의 돌출부(914)와 제3 암(915)의 돌출부(916)는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로드(870)의 타 측은 제2 암(912)의 돌출부(914) 또는 제3 암(915)의 돌출부(916)에 체결될 수 있다.
링크(910)는 제1 암(911), 제2 암(912), 제3 암(915) 또는 조인트(9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S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제2 파트(820b)의 상측에 연결되는 경우, 로드(870)가 제2 베이스(32)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A,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a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제2 파트(820b)의 중간에 연결되는 경우, 로드(870)가 제2 베이스(32)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B,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b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제2 파트(820b)의 하측에 연결되는 경우, 로드(870)가 제2 베이스(32)와 이루는 각도를 theta C,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c 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theta S에 대해 theta A < theta B < theta B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theta S에 대해 Fc < Fb < Fa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로드(870)는 제2 파트(820b)의 하측에 연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로드(870’)는 제2 암(912’)의 돌출부 또는 제3 암(915’)의 돌출부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theta S 인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1 이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1 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로드(870)는 제2 암(912)의 돌출부(914) 또는 제3 암(915)의 돌출부(91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theta S 인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2 라고 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theta 2 는 theta 1 보다 클 수 있다.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F1 은 F2 보다 클 수 있다. 제2 암(912, 912’)과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이 동일하다면, 로드(870, 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암(912, 912’)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로드(870)는 돌출부(914, 916)에 연결됨으로써, 로드(870’)가 돌출부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작은 힘으로 제2 암(912)을 기립시킬 수 있다. 로드(870)는 돌출부(914, 916)에 연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은 중심축(CR)을 가질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져 제2 암(912)과 체결되는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3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져 제2 암(912)과 체결되는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4 라고 할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져 제2 암(912)과 체결되는 경우, 로드(870)와 제2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를 theta 2’’ 라고 할 수 있고, 로드(870)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기립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을 F5 라고 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theta 2’’ 는 theta 2’ 보다 클 수 있고, theta 2’ 은 theta 2 보다 클 수 있다. Theta S 가 동일한 경우, F3 는 F4 보다 클 수 있고, F4 는 F5 보다 클 수 있다.
로드(870)가 중심축(CR)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체결될수록, 제2 암(912)을 기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로드(870)는 중심축(CR)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체결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1 암(911)과 제2 암(912)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암(911)과 제2 암(912)이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는 안정적으로 롤러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는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 사이에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922)는 디스플레이부(20)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파트(922)는 제2 파트(923)보다 디스플레이부(2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암(912)은 제1 파트(922)의 전면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암(915)의 일부는 공간(S4)에 수용될 수 있고, 제1 파트(922) 또는 제2 파트(92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로드(870)는 제1 파트(871)와 제2 파트(8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871)는 일 측에 연결부(871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의 제2 파트(820b)는 내부에 공간(S5)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871a)는 공간(S5)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부(871a)는 슬라이드(820)의 제2 파트(820b)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871)의 타 측은 제2 파트(872)의 일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트(872)의 타 측은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871)는 내부에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트(871)는 홀(871b)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840)는 홀(871b) 또는 공간(S3)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파트(872)와 디스플레이부(20) 사이의 거리는 D1 일 수 있다. 제2 암(912)은 두께 W1을 가질 수 있다. 제3 암(915) 중 공간(S4)에 수용된 부분은 두께 W3를 가질 수 있다. 두께 W3는 제1 파트(922)와 제2 파트(92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암(915) 중 공간(S4)에 수용되지 않은 부분은 두께 W2 를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922)는 두께 W4 를 가질 수 있다. 두께 W2 는 두께 W3 보다 클 수 있다. 두께 W2는 두께 W3와 두께 W4의 합과 같을 수 있다. D1은 두께 W1 과 두께 W2 의 합일 수 있다.
제2 암(912)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접촉하거나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3 암(915)은 제2 암(912)과 제2 파트(87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트(872)는 제3 암(915)으로 인해, 제2 암(912)을 기립시키기 위한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파트(872)는 제2 암(912) 또는 제3 암(915)을 안정적으로 기립시키기 위해, 제1 파트(871)의 대칭축(SA)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암(912)과 제2 파트(872)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푸셔(930)는 링크 마운트(920)에 장착될 수 있다. 푸셔(930)는 리프터(930)라고 할 수 있다. 제2 파트(932)는 제1 파트(931)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32)는 링크 브라켓(951)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파트(932)는 탄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931)는 제2 파트(932)보다 탄성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931)는 제2 파트(932)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파트(931)와 제2 파트(932)를 통칭하여 헤드(936)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는 링크 마운트(9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파트(933)는 제1 파트(931)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3 파트(933)는 제1 파트(9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933)는 테일(933)이라고 할 수 있다. 제4 파트(934)는 제3 파트(933)에서 돌출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는 공간(S6)을 형성할 수 있고, 제3 파트(933)는 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공간(S6)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3 파트(933)가 수용되는 공간(S6)은 제3 암(915)이 수용되는 공간(S4)과 이웃할 수 있다. 링크 마운트(920)의 제2 파트(932)는 홀(924)을 포함할 수 있다. 홀(924)은 수직 방향으로 장공일 수 있다. 홀(924)의 길이는 H1일 수 있다. 제4 파트(934)는 홀(924)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935)은 공간(S6)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935)은 제3 파트(93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935)은 제3 파트(933)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S6)은 홀(925)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는 홀(925) 보다 클 수 있다. 헤드(936)가 홀(925)에 걸리는 경우, 제2 베이스로(32)부터 헤드(936)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헤드(936)의 최소 높이는 H2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제4 파트(934)는 홀(925)의 하단에 걸릴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스프링(935)은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스프링(935)이 제공하는 탄성력은 최대일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탑 케이스(95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접촉하는 동안, 링크 브라켓(95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크(910)를 기립시키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810)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링크(910)가 충분히 기립하면,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될 수 있다. 푸셔(930)가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되면, 제2 베이스(32)로부터 헤드(936)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헤드(936)의 최대 높이는 H3라고 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제4 파트(934)는 홀(924)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스프링(935)은 최대로 인장될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스프링(935)이 제공하는 탄성력은 최소일 수 있다. 헤드(936)의 최대 높이 H3는 헤드(936)의 최소 높이 H2와 홀의 길이 H1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전개될 수 있다. 제1 암(911), 제2 암(912) 또는 조인트(913)는 디스플레이부(20)에 상측 방향으로 힘 F6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암(911) 사이의 디스플레이부(20)는 하측 방향으로 반발력 F7을 받을 수 있다. F6과 F7의 불균형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20)는 주름(W) 또는 구김(W)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주름(W) 또는 구김(W)은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는 후방으로 꺾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결합하지 않은 플레이트(11)일 수 있다. 후방으로 꺾인 플레이트(11)의 상부는 밴딩부(11a) 또는 제1 파트(11a)라고 할 수 있다. 밴딩부(11a)와 연결되는 부분은 제2 파트(11i)라고 할 수 있다. 탑 케이스(950)는 밴딩부(11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개스킷(954)은 탑 케이스(950)와 밴딩부(11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바(953)는 밴딩부(11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바(953)는 바(953)라고 할 수 있다. 하부 바(953)는 수평부(953a)와 수직부(953b)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954)은 홀(954a)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11a)는 홀(11b)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953a)는 홀(953e)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954)의 홀(954a)과 밴딩부(11a)의 홀(11b)과 수평부(953a)의 홀(953e)은 상호 마주할 수 있다. 스크류(S)는 수평부(953a)의 홀(953e)과 밴딩부(11a)의 홀(11b)과 개스킷(954)의 홀(954a)을 관통하여 탑 케이스(950)에 체결될 수 있다. 수직부(953b)는 수평부(953a)에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953b)는 플레이트(11)를 지지할 수 있다. 수직부(953b)는 링크 브라켓(951)과 마주할 수 있다. 수직부(953b)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부(953c)와 제2 결합부(95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953d)는 베어링(955)에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955)는 링 베어링(955)이라고 할 수 있다. 베어링(955)은 제1 암(911)의 홀(911a)에 삽입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은 제1 홀(951a)과 제2 홀(951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S)는 제1 홀(951a)을 관통할 수 있고, 제1 결합부(953c)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S)는 제2 홀(951b)을 관통할 수 있고, 제2 결합부(953d)에 체결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951)은 제1 홀(951a), 제1 결합부(953c) 및 스크류(S)에 의해 하부 바(95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암(911)은 제2 결합부(953d), 베어링(955), 제2 홀(951b) 및 스크류(S)에 의해 하부 바(95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의 주름(W) 또는 구김(W)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리어 월(950d)은 제1 파트(950a)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월(950d)은 제2 파트(950d)라고 할 수 있다. 리어 월(950d)은 밴딩부(11a), 개스킷(954) 또는 수평부(953a)를 커버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월(950b)은 제1 파트(950a)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월(950b)은 제3 파트(950c)라고 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월(950b)은 플레이트(11)의 상부 또는 제2 파트(11i)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월(950c)은 제1 프런트 월(950b)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월(950c)은 제4 파트(950c)라고 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월(950c)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프런트 월(950c)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발생할 수 있는 주름(W) 또는 구김(W)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프런트 월(950b)의 두께(W5)는 제2 프런트 월(950c)의 두께(W6)보다 클 수 있다. 제1 프런트 월(950b)의 두께(W5)는 제2 프런트 월(950c)의 두께(W6)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암(911)은 수직부(953b)와 마주하는 제1 파트(911b)와 플레이트(11)와 마주하는 제2 파트(9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911c)의 두께(W9)는 수직부(953b)의 두께(W7)와 제1 파트(911b)의 두께(W8)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파트(911c)가 디스플레이부(20)에 접촉 또는 인접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탑 케이스(962)는 제1 파트(962a), 제1 파트(962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파트(962b), 제1 파트(962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96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962c)는 프런트 월(962c)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파트(962c)는 플레이트(11)를 마주할 수 있다. 하측 바(963)는 디스플레이부(20)를 마주하는 제1 파트(963a), 제1 파트(963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파트(963b), 제2 파트(963b)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96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963a)는 수직부(963a)라고 할 수 있다. 제2 파트(963b)는 수평부(963b)라고 할 수 있다. 제3 파트(963c)는 수직부(963c)라고 할 수 있다. 제1 파트(963a)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96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911d)은 연결부(963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탑 케이스(962)의 제1 파트(962a)와 하부 바(963)의 제2 파트(963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밴딩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탑 케이스(962)의 제2 파트(962b)와 하부 바(963)의 제3 파트(963c)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밴딩부(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딩부(11c)는 제1 파트(11c)라고 할 수 있다. 제2 밴딩부(11d)는 제2 파트(11d)라고 할 수 있다. 제3 파트(11j)는 제1 파트(11c)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S)는 하부 바(963)의 제3 파트(963c)와 제2 밴딩부(11d)를 관통하여 탑 케이스(962)의 제1 파트(962a)에 체결될 수 있다. 개스킷(미도시)은 탑 케이스(962)와 하부 바(96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탑 케이스(964)는 제1 파트(964a), 제1 파트(964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파트(964b), 제1 파트(964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964c) 또는 제3 파트(964c)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4 파트(96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964c)는 제1 프런트 월(964c)이라고 할 수 있고, 제4 파트(964d)는 제2 프런트 월(964d)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파트(964c)의 두께(W10)는 제4 파트(964d)의 두께(W11)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파트(964c)는 플레이트(11)를 마주할 수 있다. 제4 파트(964d)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마주할 수 있다. 하측 바(963)는 디스플레이부(20)를 마주하는 제1 파트(963a), 제1 파트(963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파트(963b), 제2 파트(963b)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96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963a)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96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911d)은 연결부(963d)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탑 케이스(964)의 제1 파트(964a)와 하부 바(963)의 제2 파트(963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밴딩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탑 케이스(964)의 제2 파트(964b)와 하부 바(963)의 제3 파트(963c)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밴딩부(11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S)는 하부 바(963)의 제3 파트(963c)와 제2 밴딩부(11d)를 관통하여 탑 케이스(964)의 제1 파트(964a)에 체결될 수 있다. 개스킷(미도시)은 탑 케이스(964)와 하부 바(96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후방으로 밴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상부 바(972)를 감쌀 수 있다. 상부 바(972)는 바(972), 탑 바(972) 또는 탑(972)이라고 할 수 있다. 하부 바(973)는 상부 바(97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상부 바(972)와 하부 바(97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바(972)와 하부 바(973) 사이에 개스킷(974)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바(972)는 홀(972f)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974)은 홀(974a)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바(973)는 홀(973c)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S)는 하부 바(973)의 홀(973c)과 개스킷(974)의 홀(974a)을 관통하여, 상부 바(972)의 홀(972f)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은 후방으로 밴딩될 수 있다. 상부 바(972)를 따라 둥글게 밴딩된 부분을 밴딩부(20a)라고 할 수 있다. 밴딩부(20a)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밴딩부(10a)와 플레이트(11)의 제1 밴딩부(11e)를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10a)는 제1 파트(10p)와 연결될 수 있다. 밴딩부(10a)는 제2 파트(10a)라고 할 수 있다. 상부 바(972) 또는 하부 바(973)는 디스플레이부(20)에 의해 감싸질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제1 평면부(20P), 제1 평면부(20P)에서 후방으로 둥글게 말리는 밴딩부(20a), 제1 평면부(20P)와 마주하는 제2 평면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972a)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파트(972b)는 제1 파트(972a)에서 연장되어, 제1 평면부(20P)를 마주할 수 있다. 제3 파트(972c)는 제2 파트(972b)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972d)는 제3 파트(972c)에서 연장되어, 제1 평면부(20P)를 마주할 수 있다. 밴딩부(20a)는 제1 파트(972a)를 따라 밴딩될 수 있다. 제2 평면부(20b)는 제2 파트(972b)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부 바(973)의 제1 파트(973a)는 상부 바(972)의 제4 파트(972d)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파트(973b)는 제1 파트(973a)에서 연장되어 제1 평면부(20P)를 마주할 수 있고, 상부 바(97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910)는 제2 파트(973b)의 전면 또는 후면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방을 향하는 제1 파트(10p), 제1 파트(10p)와 연결되고 상부 바(972)의 제1 파트(972a)를 따라 밴딩되는 밴딩부(10a), 상부 바(972)의 제2 파트(972b)를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10b)는 제3 파트(10b)라고 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전방을 향하는 제1 파트(11p), 제1 파트(11p)와 연결되고 상부 바(972)의 제1 파트(972a)를 따라 밴딩되는 제1 밴딩부(11e), 상부 바(972)의 제2 파트(972b)를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11k)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밴딩부(11m)는 수평부(11k)에서 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상부 바(972)의 제3 파트(972c)와 하부 바(973)의 제1 파트(973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밴딩부(11n)는 제2 밴딩부(11m)에서 하측으로 밴딩될 수 있고, 상부 바(972)의 제4 파트(972d)와 하부 바(973)의 제1 파트(973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스킷(974)은 제3 밴딩부(11n)와 하부 바(973)의 제1 파트(973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밴딩부(11e)는 제2 파트(11e)라고 할 수 있다. 수평부(11k)는 제3 파트(11k)라고 할 수 있다. 제2 밴딩부(11m)는 제4 파트(11m)라고 할 수 있다. 제3 밴딩부(11n)는 제5 파트(11n)라고 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 최대로 감긴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8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탑 케이스(95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내측 베어링(830b)에 최대로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상태일 수 있다. 스프링(850)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접촉할 수 있다. 푸셔(930)의 높이는 최소일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절반 정도가 롤러(143)에 감긴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8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절반 정도가 롤러(143)에서 풀린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제1 스토퍼(861b)와 제2 스토퍼(86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될 수 있다. 푸셔(93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 최대로 풀린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8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탑 케이스(95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외측 베어링(830a)에 최대로 근접한 위치일 수 있다. 슬라이드(820)는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상태일 수 있다. 스프링(85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푸셔(930)는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될 수 있다. 푸셔(930)의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면, 제1 센서(980b)와 제2 센서(980a)는 제2 베이스(32)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820)의 제2 파트(820b)는 후면에 피감지부(820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는 슬라이드(820)가 제1 스토퍼(861b)에 걸린 경우, 피감지부(820f)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는 슬라이드(820)가 내측 베어링(830b)에 최대로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피감지부(820f)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는 스프링(850)이 최대로 압축된 경우, 피감지부(820f)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980a)는 슬라이드(820)가 제2 스토퍼(861a)에 걸린 경우, 피감지부(820f)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980a)는 슬라이드(820)가 외측 베어링(830a)에 최대로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피감지부(820f)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980a)는 스프링(850)이 최대로 인장된 경우, 피감지부(820f)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는 피감지부(820f)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센서(980a)는 피감지부(820f)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피감지부(820f)는 슬라이드(820)에 체결되는 제1 파트(820d)와 제1 파트(820d)에서 후방으로 밴딩되는 제2 파트(82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는 제2 파트(820e)를 감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820)가 움직임에 따라, 제2 파트(820e)는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의 상측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는 제2 파트(820e)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가 리미트 스위치인 경우, 피감지부(820f)는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와 접촉할 수 있다.
피감지부(820f)가 제1 센서(980b) 또는 제2 센서(980a)에 감지된 경우, 모터 어셈블리(810)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푸셔(930)가 링크 브라켓(951)과 분리되면, 헤드(936)는 제2 베이스(32)로부터 최대 높이 H3를 가질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 제4 파트(934)는 홀(924)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제4 파트(934)는 피감지부(934) 또는 돌기(934)라고 할 수 있다. 브라켓(990)은 링크 마운트(950)의 제2 파트(923)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991)는 브라켓(990)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991)는 제2 파트(923)와 마주할 수 있다. 센서(991)는 제2 파트(923)와 이격될 수 있다. 센서(991)는 피감지부(934)와 마주하는 경우, 피감지부(934)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991)는 피감지부(934)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센서(991)는 적어도 일부가 홀(924)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991)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 센서(991)가 리미트 스위치인 경우, 센서(991)는 피감지부(934)와 접촉할 수 있다. 센서(991)는 피감지부(934)와 접촉하는 경우, 피감지부(934)를 감지할 수 있다. 피감지부(934)가 센서(991)에 감지된 경우, 모터 어셈블리(810)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54를 참조하면, 헤드(936)가 홀(925)에 걸리는 경우, 헤드(936)는 제2 베이스(32)로부터 최소 높이 H2를 가질 수 있다. 헤드(936)의 높이가 최소인 경우, 피감지부(934)는 홀(924)의 하단에 걸릴 수 있다. 피감지부(934)가 홀(924)의 하단에 걸리는 경우, 센서(991)는 피감지부(934)와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고, 센서(991)는 피감지부(934)를 감지할 수 있다. 피감지부(934)가 센서(991)에 감지된 경우, 모터 어셈블리(810)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1 보조 롤러(180)는 제2 베이스(32)와 롤러(1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롤러(180)라고 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2)의 제1 파트(32b)의 하부에 공간(S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공간(S7)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암(181)에 결합될 수 있다. 암(181)은 핀 볼트(18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암(181)의 하단은 스프링(183)의 일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83)의 타 측은 하우징(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제1 보조 롤러(180)와 롤러(143)에 연결될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제1 보조 롤러(18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천, 직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롤러(143)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143)가 디스플레이부(20)를 풀면, 제1 보조 롤러(180)는 보호 시트(472)를 감을 수 있다. 롤러(143)가 디스플레이부(20)를 감으면, 제1 보조 롤러(180)는 보호 시트(472)를 풀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함께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롤러(143)에 감긴 디스플레이부(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디스플레이부(20)가 마찰로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시트(4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플레이트(11)의 마찰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의 중심(C1)으로부터 D6만큼 떨어진 곳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서 최대로 풀린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의 중심(C1)으로부터 D6만큼 떨어진 곳에서 하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보호 시트(472)가 감긴 제1 보조 롤러(18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183)은 보호 시트(472)가 감긴 제1 보조 롤러(180)가 디스플레이부(20)에 접하도록 암(18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롤러(143)의 중심(C1)과 제1 보조 롤러(180)의 중심(C2)은 D4만큼 떨어질 수 있다.
도 5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최대로 감긴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의 중심(C1)으로부터 D6만큼 떨어진 곳에서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보호 시트(472)가 모두 풀린 제1 보조 롤러(18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183)은 보호 시트(472)가 감긴 제1 보조 롤러(180)가 디스플레이부(20)에 접하도록 암(18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롤러(143)의 중심(C1)과 제1 보조 롤러(180)의 중심(C2)은 D5만큼 떨어질 수 있다. D5는 D4보다 클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자중 또는 탑 케이스(950)의 무게로 인해 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기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전방으로 굴곡지며 휠 수 있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2 보조 롤러(19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조 롤러(190)는 롤러(190)라고 할 수 있다. 제2 보조 롤러(19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보조 롤러(190)는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보조 롤러(190)는 디스플레이부(20)와 마찰로 인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보조 롤러(19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으로 굴곡지며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2 보조 롤러(190)로 인해 굴곡지지 않고, 평면을 이루며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2 보조 롤러(19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제2 베이스(32)와 롤러(1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베이스(32)의 제1 파트(32b)의 하부에 공간(S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조 롤러(180)는 공간(S7)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의 전면으로부터 거리 D3만큼 떨어져서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61을 참조하면, 보조 롤러(181)는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롤러(181)는 롤러(181)라고 할 수 있다. 보조 롤러(181)는 하우징(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부(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보조 롤러(181)로 인해, 거리 D2 만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부(20) 사이의 거리는 D2와 D3의 합일 수 있다.
도 62를 참조하면, 홀(30b)은 하우징(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30b)은 광 투과성 재질로 덮일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수지일 수 있다. 커버(36)는 홀(30b)을 커버(36)할 수 있다. 커버(36)는 셔터(36)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홀(30b) 또는 커버(36)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커버(36)와 마주할 수 있다. 커버(36)가 홀(30b)을 커버하면,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3을 참조하면, 커버(36)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홀(30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최대로 감긴 경우, 탑 케이스(950)는 하우징(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이미지(I1)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홀(30b)을 통해 이미지(I1)를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부(20)는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의 외부로 전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1 이미지(I2)를 표시할 수 있다. 커버(36)는 홀(30b)을 커버(36)할 수 있다.
도 6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홀(30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제2 이미지(I1)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이미지(I2)와 제2 이미지(I1)는 연관성이 없는 독립적인 이미지일 수 있다.
도 67을 참조하면, 창(window, 37)은 하우징(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창(37)은 광 투과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수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창(37)과 마주할 수 있다.
창(37)은 광 투과성 조절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창(37)의 광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창(37)의 광 투과성을 낮출 수 있다.
도 68을 참조하면, 하우징(30c)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30c)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홀(30e)은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30e)은 광 투과성 재질로 덮일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수지일 수 있다. 커버(36a)는 홀(30e)을 커버(36a)할 수 있다. 커버(36a)는 하우징(30c)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커버(36a)와 마주할 수 있다. 커버(36a)가 홀(30e)을 커버하면,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스탠드(30d)는 하우징(30c)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30d)는 하우징(30c)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9를 참조하면, 커버(36a)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홀(30e)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0을 참조하면, 창(36b)은 디스플레이부(20)의 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창(36b)은 광 투과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은 유리 또는 수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은 창(36b)과 마주할 수 있다.
창(36b)은 광 투과성 조절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창(36b)의 광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0c)이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창(36b)의 광 투과성을 낮출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베이스를 갖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외둘레면에 접촉하는 후면과 상기 후면에 대향하는 전면을 갖고, 상기 롤러에 감기거나 풀리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롤러에 감긴 제1 파트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마주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파트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표시하는 이미지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제2 파트와 마주하는 부분이 광투과성 재질 또는 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대향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제1 보조 롤러의 정사영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롤러의 정사영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제1 보조 롤러의 정사영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롤러의 정사영과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대향하고, 상기 제1 파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롤러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홀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광 투과성 재질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롤러는,
    상기 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이격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롤러에 감기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릿 형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70150666A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3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66A KR102431318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8/002358 WO2019093593A1 (ko) 2017-11-13 2018-02-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66A KR102431318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29A KR20190054429A (ko) 2019-05-22
KR102431318B1 true KR102431318B1 (ko) 2022-08-11

Family

ID=6668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66A KR102431318B1 (ko) 2017-11-13 2017-11-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9482A1 (en) * 2019-10-25 2022-11-1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EP4086885A4 (en) * 2020-01-03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24B1 (ko) * 2015-11-27 2022-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1347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KR102454386B1 (ko) * 2016-04-29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29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3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3131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905019B2 (en) Display device
KR10242365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074766B (zh) 显示装置
US11083098B2 (en) Display device
CN106816093B (zh) 显示装置
KR1025913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02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3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547002B2 (en) Display device
US11663933B2 (en) Display device
KR2019011134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90188B2 (en) Display device
US20230030033A1 (en) Display device
KR1024290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337378A1 (en) Display device
US20230109437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