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33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337A
KR20200114337A KR1020190035917A KR20190035917A KR20200114337A KR 20200114337 A KR20200114337 A KR 20200114337A KR 1020190035917 A KR1020190035917 A KR 1020190035917A KR 20190035917 A KR20190035917 A KR 20190035917A KR 20200114337 A KR20200114337 A KR 20200114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otor
frame
vertical fra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종길
강승규
김재용
진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337A/ko
Priority to PCT/KR2019/009391 priority patent/WO2020196997A1/ko
Priority to EP19920767.1A priority patent/EP3951753B1/en
Priority to US17/283,514 priority patent/US11723160B2/en
Publication of KR2020011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거나 개방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히든(hidden)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패널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납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거나 개방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바;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가 말리거나 풀리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단은 상기 바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프레임들과 교차하며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움직이고, 상기 바가 고정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롤러에 인접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측 풀리;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측 풀리; 그리고, 상기 하측 풀리와 상기 상측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벨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측 풀리와 상기 하측 풀리 사이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롤러는, 상기 벨트를 당기거나 밀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하측 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터와 상기 하측 풀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하측 풀리에 전달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 그리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내지 제4 기어의 감속비는 6내지 8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터와 상기 하측 풀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풀리와 함께 회전하며,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는 로테이터;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의 복수개의 돌기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직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사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바의 일부를 덮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벨트를 덮는 제2 파트; 상기 제2 파트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파트와 대향하는 제3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 또는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와 연결되고, 상기 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폴더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링크는: 상기 바와 피봇연결되는 상부 링크; 상기 상부 링크와 피봇연결되는 하부 링크; 그리고, 상기 하부 링크를 기립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 링크를 밀어내는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더블 링크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폴더블 링크는, 상기 프런트 커버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브릭 소재의 프런트 커버(2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화상 정보가 가려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런트 커버(200)는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런트 커버(200)는 금속과 패브릭 소재의 합성물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부일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하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의 일부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비율은 48: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의 일부에 오디오 채널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하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비율은 16: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의 전면에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하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측에 인접하게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뿐만 아니라 스피커 모듈(120), 셋탑박스 모듈(130), 그리고 커넥터 모듈(140)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 및 11을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도 4 참조)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수평프레임(310,320,330,340), 그리고 수직프레임(350,360,370,38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310,320,330,340,345)은 복수개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350,360,370,380)은 복수개일 수 있다. 프레임들(30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평프레임(3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평프레임(320)은 제1 수평프레임(310)과 평행하고, 제1 수평프레임(3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평프레임(330)은 제2 수평프레임(320)과 평행하고, 제2 수평프레임(32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수평프레임(340)은 제3 수평프레임(330)과 평행하고, 제3 수평프레임(33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은 제1 수평프레임(310) 내지 제4 수평프레임(34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수직프레임(360)은 제1 수평프레임(310) 내지 제4 수평프레임(34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직프레임(370) 및/또는 제4 수직프레임(380)은 제1 수평프레임(310)과 제2 수평프레임(3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바(390)는 제1 수직프레임(350)으로부터 제2 수직프레임(360)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 수직프레임(350)과 제2 수직프레임(360)의 전면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4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들(300)은 바텀 프레임(345)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및 11을 참조하면, 모터(412)는 제2 수직프레임(36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12)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어박스(414)는 모터(412)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조인트(416)는 일측이 기어박스(414)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412)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은 기어박스(414)를 통해 감속비가 조절되어 조인트(416)에 전달될 수 있다.
풀리(402)는 모터(412)에 인접하여 제2 수직프레임(3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풀리(402)는 하측풀리(402)라 칭할 수 있다. 풀리(408)는 하측풀리(402)와 이격되어 제2 수직프레임(36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풀리(408)는 중간풀리(408)라 칭할 수 있다. 조인트(416)는 풀리(402)와 연결되어 풀리(40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텐션롤러(406)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405)는 벨트(4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더(405)는 벨트(4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제2 수직프레임(36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센서(407)는 하풀리(402)에 인접하여 제2 수직프레임(36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407)는 슬라이더(40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420)의 회전에 따른 프런트 커버(200, 도 1 내지 3 참조)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롤러(430)에 감길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및 11을 참조하면, 풀리(401)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상단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풀리(401)는 상측풀리(401)라 칭할 수 있다. 텐션롤러(406)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바(390)는 제2 수직프레임(36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404)는 바(390)의 일단 및/또는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404)는 바(390)와 함께 제2 수직프레임(360) 상을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 도 1 내지 3 참조)는 바(39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 7및 11을 참조하면, 벨트(420)는 상측풀리(401), 중간풀리(408) 및/또는 하측풀리(402)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420)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벨트(420)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풀리들(401,402,408)에 걸리면서 텐션롤러(406)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420)는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및 11을 참조하면, 로테이터(440)는 조인트(416)와 풀리(4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조인트(416) 및/또는 풀리(402)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로테이터(440)는 원주를 따라서 복수개의 돌기(443)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444)는 로테이터(440)의 외면에 인접하여 제2 수직프레임(36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444)는 로테이터(44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00, 도 5 참조)의 좌우에 설치되는 모터들(412)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도 9및 11을 참조하면, 모터(412)는, 예를 들면, 스텝모터일 수 있다. 엔코더(4121)는 모터(412)에 설치될 수 있다. 엔코더(4121)는 모터(41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300, 도 5 참조)의 좌우에 설치되는 모터들(412)의 싱크(sync)를 맞출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터(412)는 기어들(412G)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들(412G)은 제1 기어(412a), 제2 기어(412b), 제3 기어(412c), 및/또는 제4 기어(41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412a)는 모터(412)의 회전축에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어(412a)와 제2 기어(412b)의 기어비는 2.08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기어(412b)와 제3 기어(412c)의 기어비는 1.87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3 기어(412c)와 제4 기어(412d)의 기어비는 1.87일 수 있다. 제1 기어(412a) 내지 제4 기어(412d)의 감속비는, 예를 들면, 7.2일 수 있다. 제1 기어(412a) 내지 제4 기어(412d)의 감속비는 6 내지 8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450)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사이드 커버(450)는 제1 파트(451), 제2 파트(452), 그리고 제3 파트(4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451)는 제1 방향(DR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452)는 제3 방향(DR3)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1 파트(4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파트(453)는 제1 방향(DR1)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 파트(4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트(451)는 바(390)의 전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452)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제3 파트(453)는 제2 수직프레임(36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50)는 가이드리브들(454,45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들(454,455)은 가이드 롤러(404)에 인접하여 제1 파트(451) 및/또는 제2 파트(452)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390) 및 프런트 커버(2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에도 동일한 구성 및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는 바(950)에 결합될 수 있다. 바(950)는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바(950)는, 탑 바(950, top bar)라 칭할 수 있다.
우측 어셈블리(RA)는 마운트(920), 모터(800), 기어, 가스스프링(850) 또는 링크(912RL)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912RL)는 하부링크(912), 상부링크(911) 또는 조인트(91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912RL)는 폴더블 링크(912RL, foldable link), 리프트(912RL, lift), 리프트 어셈블리(912RL, lift assembly), 폴더블 리프트(912RL, foldable lift), 폴더블 리프트 어셈블리(912RL, foldable lift assembly)라고 칭할 수 있다.
좌측 어셈블리(LA)는 우측 어셈블리(RA)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어셈블리(LA)와 우측 어셈블리(RA)는 대칭일 수 있다. 좌측 어셈블리(LA)는 마운트(920L), 모터(800L), 기어, 가스스프링(850L), 또는 링크(912LL)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912LL)는 하부링크(912L), 상부링크(911L) 또는 조인트(913L)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912LL)는 폴더블 링크(912LL), 리프트(912LL), 리프트 어셈블리(912LL), 폴더블 리프트(912LL), 폴더블 리프트 어셈블리(912LL)라고 칭할 수 있다. 링크(912RL, 912LL)는 접히거나(fold) 펼쳐질(unfold) 수 있다.
마운트(920, 920L)는 베이스(3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32)는 바텀 프레임(32)이라 칭할 수 있다. 모터(800, 800L)는 마운트(920, 920L)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링크(912, 912L)의 하부는 마운트(920, 920L)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하부링크(912, 912L)의 상부는 조인트(913, 913L)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링크(911, 911L)의 하부는 조인트(913, 913L)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부링크(911, 911L)의 상부는 바(95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기어는 하부링크(912, 912L)의 하부에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다. 모터(850, 850L)는 기어박스를 통해 하부링크(912, 912L)의 기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하부링크(912, 912L)는 모터(850, 850L)에 의해 피봇 될 수 있다.
가스스프링(850, 850L, gas spring)은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를 따라 왕복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실린더의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실린더는 내부에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는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기체는 압축될 수 있다. 기체가 압축되면, 기체는 피스톤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원력은 기체가 팽창하려는 힘일 수 있다. 기체가 압축되면, 기체는 피스톤을 밀어낼 수 있다. 가스 스프링(850, 850L)은 유압실린더(oil hydraulic cylinder), 공압실린더(에어실린더, pneumatic cylinder 또는 air cylinder)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제2 베이스(32)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베이스(31)는 제2 베이스(3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35)는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35)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1 베이스(31)에 체결될 수 있다. 서포터(35)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2 베이스(32)에 체결될 수 있다.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의 일부는 롤러(143)에 감길 수 있고, 프런트 커버(20)의 일부는 롤러(143)에서 풀릴 수 있다. 롤러(143)에서 풀린 프런트 커버(20)는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롤러(143)는 마운트(36)에 설치될 수 있다. 마운트(36)는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롤러(143)는 마운트(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950)의 y축 방향 높이는 최대일 수 있다. 바(950)의 y축 방향 높이가 최대인 경우, 하부링크(912, 912L)와 상부링크(911, 911L)가 이루는 각도 E는 최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E는 180도 일 수 있다. 바(950)의 y축 방향 높이가 최대인 경우, 가스스프링(850, 850L)의 길이는 최대일 수 있다. 바(950)의 y축 방향 높이가 최대인 경우, 프런트 커버(20)는 롤러(143)에서 최대로 풀린 상태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터(800, 800L)는 하부링크(912, 912L)를 회전 또는 피봇시킬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하부링크(912, 912L)와 상부링크(911, 911L)가 이루는 각도 D는 증가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하부링크(912, 912L)와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는 증가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바(950)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프런트 커버(20)는 롤러(143)에서 풀릴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가스스프링(850, 850L)의 길이는 연장될 수 있다. 가스스프링(850, 850L)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하부링크(912, 912L)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하부링크(912, 912L)와 상부링크(911, 911L)가 이루는 각도 D는 감소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하부링크(912, 912L)와 베이스(32)가 이루는 각도 D는 감소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바(950)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프런트 커버(20)는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모터(800, 800L)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시킴에 따라, 가스스프링(850, 850L)의 길이는 줄어들 수 있다. 가스스프링(850, 850L)은 하부링크(912, 912L)를 베이스(32)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하부링크(912, 912L)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링크(912, 912L)가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함에 따라, 조인트(913, 913L)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하부링크(912, 912L)가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함에 따라, 조인트(913, 913L)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거나 개방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바;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가 말리거나 풀리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단은 상기 바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프레임들과 교차하며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움직이고, 상기 바가 고정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인접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측 풀리;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측 풀리; 그리고,
    상기 하측 풀리와 상기 상측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풀리와 상기 하측 풀리 사이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롤러는,
    상기 벨트를 당기거나 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하측 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하측 풀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상기 하측 풀리에 전달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 그리고,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내지 제4 기어의 감속비는 6내지 8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하측 풀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풀리와 함께 회전하며,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는 로테이터;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의 복수개의 돌기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4 항에 있어서,
    수직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사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바의 일부를 덮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벨트를 덮는 제2 파트;
    상기 제2 파트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파트와 대향하는 제3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 또는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와 연결되고, 상기 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폴더블 링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링크는:
    상기 바와 피봇연결되는 상부 링크;
    상기 상부 링크와 피봇연결되는 하부 링크; 그리고,
    상기 하부 링크를 기립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크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 링크를 밀어내는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링크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폴더블 링크는,
    상기 프런트 커버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035917A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14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17A KR20200114337A (ko)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19/009391 WO2020196997A1 (ko) 2019-03-28 2019-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9920767.1A EP3951753B1 (en) 2019-03-28 2019-07-29 Display device
US17/283,514 US11723160B2 (en) 2019-03-28 2019-07-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17A KR20200114337A (ko)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37A true KR20200114337A (ko) 2020-10-07

Family

ID=7261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917A KR20200114337A (ko)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23160B2 (ko)
EP (1) EP3951753B1 (ko)
KR (1) KR20200114337A (ko)
WO (1) WO2020196997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02799A1 (ko) * 2020-11-10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477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44895A1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7A1 (ko)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08600A1 (ko) * 2021-07-28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54746A1 (ko) * 2021-09-29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58787A1 (ko) * 2021-10-06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36377A1 (ko) * 2022-01-14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34446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10104A1 (ko) * 2022-07-05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7820B (zh) * 2017-12-06 2022-07-19 索尼公司 发光装置、显示装置和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1829B2 (en) 2002-10-11 2004-12-14 Sharut Furniture Furniture with vertically movable flat panel display screen
KR100495216B1 (ko) 2003-03-18 2005-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커버 장치
US20070159035A1 (en) * 2006-01-06 2007-07-12 Anthro Corporation Wall desk
KR20100123009A (ko) 2009-05-14 201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304781A1 (en) 2010-06-15 2011-12-15 Rowell John R Video display concealment and viewing apparatus
KR20150031525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748456B2 (en) * 2018-07-30 2020-08-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297725B2 (en) * 2018-09-11 2022-04-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00114329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799A1 (ko) * 2020-11-10 2022-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477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74386A (ko) * 2020-11-27 2022-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52777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44895A1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7A1 (ko)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08600A1 (ko) * 2021-07-28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54746A1 (ko) * 2021-09-29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58787A1 (ko) * 2021-10-06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36377A1 (ko) * 2022-01-14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34446A1 (ko)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10104A1 (ko) * 2022-07-05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1753A1 (en) 2022-02-09
US20210392765A1 (en) 2021-12-16
WO2020196997A1 (ko) 2020-10-01
EP3951753B1 (en) 2023-10-04
US11723160B2 (en) 2023-08-08
EP3951753A4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4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57117B2 (en) Display device
US10687428B2 (en) Display device
KR102627272B1 (ko) 롤러블 표시장치
KR1026506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543129B (zh) 捲軸式顯示裝置
US11229128B2 (en) Display device
EP354382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US11632866B2 (en) Display device
US11663933B2 (en) Display device
US20220346249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2021001756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6233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558969B2 (en) Display device
US20220382329A1 (en) Display device
KR10264800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500550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요성 캐리어
KR10231772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90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247892A1 (en) Display device
CN1220023A (zh) 显示装置
US20230380084A1 (en) Display device
US20230092290A1 (en) Display device
KR20240005283A (ko) 시인성을 개선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33737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