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329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329A
KR20200114329A KR1020190035907A KR20190035907A KR20200114329A KR 20200114329 A KR20200114329 A KR 20200114329A KR 1020190035907 A KR1020190035907 A KR 1020190035907A KR 20190035907 A KR20190035907 A KR 20190035907A KR 20200114329 A KR20200114329 A KR 20200114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규
표종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329A/ko
Priority to US17/275,541 priority patent/US11477898B2/en
Priority to PCT/KR2019/009389 priority patent/WO2020196996A1/ko
Priority to EP19921263.0A priority patent/EP3951486A4/en
Publication of KR2020011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3Arrangements to protect the display from incident light, e.g. h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02F2001/13332
    • G02F2001/133322
    • G02F2001/1333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모듈커버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하우징을 덮거나 개방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대하여 피봇운동을 하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패널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납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모듈커버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하우징을 덮거나 개방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대하여 피봇운동을 하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캐비닛이 피봇운동을 하면서 접촉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주위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의 주위면과 상기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약 20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의 상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마그넷;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금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변 또는 우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교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는 커넥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전면에 배치되는 단자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파워서플라이;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변에 인접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수평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변에 인접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평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4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4 수직프레임에 접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모듈을 향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콘센트를 연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단자들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4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내지 제4 수평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수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브릭 소재의 프런트 커버(2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화상 정보가 가려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부일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하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의 일부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비율은 48: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의 일부에 오디오 채널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하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비율은 16: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의 전면에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00)는 하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하측에 인접하게 내려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뿐만 아니라 스피커 모듈(120), 하우징(130), 그리고 커넥터 모듈(140)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20), 하우징(130), 그리고 커넥터 모듈(140)은 프레임(300, 도 5 및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도 4 참조)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수평프레임(310,320,330,340), 그리고 수직프레임(350,360,370,38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310,320,330,340,345)은 복수개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350,360,370,380)은 복수개일 수 있다. 프레임들(30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평프레임(3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평프레임(320)은 제1 수평프레임(310)과 평행하고, 제1 수평프레임(3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평프레임(330)은 제2 수평프레임(320)과 평행하고, 제2 수평프레임(32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수평프레임(340)은 제3 수평프레임(330)과 평행하고, 제3 수평프레임(33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직프레임(350)은 제1 수평프레임(310) 내지 제4 수평프레임(34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수직프레임(360)은 제1 수평프레임(310) 내지 제4 수평프레임(34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직프레임(370) 및/또는 제4 수직프레임(380)은 제1 수평프레임(310)과 제2 수평프레임(3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바(390)는 제1 수직프레임(350)으로부터 제2 수직프레임(360)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 수직프레임(350)과 제2 수직프레임(360)의 전면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4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들(300)은 바텀 프레임(345)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내지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은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고정된 모듈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150)는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모듈커버(150)는 수평프레임(310,320,330,340) 및/또는 수직프레임(350,360,370,38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51)는 모듈커버(150) 후면에 장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151)는 팸넛(pem nut)일 수 있다. 고정부재(151)는 모듈커버(150)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프레임(300)까지 도달할 수 있다. 고정부재(151)는 모듈커버(150)를 프레임(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151)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51)는 모듈커버(150)의 상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51)는 제1 수평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부재(151)는 제1 수평프레임(31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고정부재(151)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고정부재(151)는 제1 수평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52)는 모듈커버(150)의 우변 및/또는 좌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52)는 제2 수직프레임(360) 및/또는 제1 수직프레임(35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부재(152)는 제2 수직프레임(360) 및/또는 제1 수직프레임(35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은 프레임(3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153)는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53)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153)는 탄성력을 지닌 합성수지일 수 있고, 제3 수직프레임(370) 및/또는 제4 수직프레임(38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벽 등의 구조물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30)은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프레임(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의 후면 및/또는 하우징(13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파워서플라이(162), 제1 제어부(164), 그리고 제2 제어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162)는 모듈커버(150)와 제3 수직프레임(3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162)는 모듈커버(15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4)는 하우징(130)과 제4 수직프레임(3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4)는 하우징(13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4 수직프레임(380)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부(164)는 main PCB일 수 있다. 제2 제어부(166)는 모듈커버(15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제어부(166)는 T-con board 일 수 있다.
스피커 모듈(120)은 모듈커버(150)와 하우징(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20)은 모듈커버(150) 및/또는 하우징(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4)는 고용량의 영상 정보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64)에 입력되는 커넥터 모듈(140)의 단자들(142, 도 4 참조)에 대응하기 위해 하우징(1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64)는 제4 수직프레임(38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부(164)와 제4 수직프레임(380)의 접촉은 스크류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162)는 제1 제어부(16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20)과 제1 제어부(164)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4)와 제2 제어부(166)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140)의 콘센트(144)와 파워서플라이(16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하우징(130)은 베이스(132), 그리고 캐비닛(1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사운드모듈(120)과 커넥터모듈(140) 사이에 위치하고, 사운드모듈(120) 및/또는 커넥터모듈(140)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32)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32)의 좌측 및/또는 우측은 하우징(130) 내측(131)에 와셔(133) 및/또는 스크류(1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2 및 14를 참조하면, 서포터(139)는 베이스(13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베이스(132)를 하우징(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서포터(139)는 하우징(130) 내측(131)에 고정된 핀(135)과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139)는 핀(135)의 상측에서 베이스(132)를 하우징(130)에 고정할 수 있다. 서포터(139)는, 예를 들면, 스크류(SC)에 의해 베이스(131)에 고정될 수 있고, 서포터(139)와 핀(135)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2, 15 및 16을 참조하면, 캐비닛(134)은 베이스(132)에 대하여 피봇운동을 할 수 있다. 캐비닛(134)은 베이스(131)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캐비닛(134)은 수용공간(136)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비닛(134)의 수용공간(136)에 셋탑박스, 인터넷모듈, 모뎀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베이스(132)는 스토퍼(137)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37)는 베이스(132)에서 캐비닛(134)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137)는 캐비닛(134)의 피봇팅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37)는 일정한 각도(theta)로 기울어진 경사면(137S)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각도(theta)는 20도일 수 있다. 일정한 각도(theta)는 스토퍼(137)의 주위면과 경사면(137S)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도 12, 17 및 18을 참조하면, 커플러는 마그넷(135)과 금속부재(133)를 구비할 수 있다. 커플러는 베이스(132)와 케비닛(134)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넷(135)은 캐비닛(134)에 고정될 수 있고, 금속부재(133)는 베이스(13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미도시)를 들면, 마그넷(135)은 베이스(132)에 고정될 수 있고, 금속부재(133)는 캐비닛(13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넷(135)은 복수개일 수 있고, 캐비닛(134)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부재(133)는 마그넷(135)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금속부재(133)는 복수개의 마그넷(135)에 대응되는 복수개일 수 있고, 베이스(132)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134)은 베이스(132)에 대하여 피봇운동을 하면서 하우징(130) 및/또는 베이스(132)가 케비닛(134)을 홀딩할 수 있다.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하우징(130)은 개구(130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130P)는 하우징(1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0P)는 하우징(130)과 커넥터모듈(140)을 연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에서 필요한 전력은 전력케이블(CD)이 개구(130P)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10,150)과 콘센트(14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10,150)의 전력케이블(CD)은 콘센트(144)에 끼워질 수 있다(도 10 참조). 예를 들면, 콘센트(144)는 멀티 탭일 수 있다.
단자들(142)은 커넥터모듈(14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들(142)은 커넥터모듈(1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단자들(142)은, 예를 들면, USB단자, HDMI단자, 공중파단자, 랜선단자 등일 수 있다. 단자들(142)은 제1 제어부(16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10 참조).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모듈커버;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가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모듈커버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하우징을 덮거나 개방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대하여 피봇운동을 하고,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캐비닛이 피봇운동을 하면서 접촉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주위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주위면과 상기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약 20도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마그넷;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변 또는 우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교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는 커넥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전면에 배치되는 단자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는 파워서플라이;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변에 인접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수평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변에 인접하고, 상기 모듈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평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4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4 수직프레임에 접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모듈을 향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콘센트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단자들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4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내지 제4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035907A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114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07A KR20200114329A (ko)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7/275,541 US11477898B2 (en) 2019-03-28 2019-07-29 Display device
PCT/KR2019/009389 WO2020196996A1 (ko) 2019-03-28 2019-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19921263.0A EP3951486A4 (en) 2019-03-28 2019-07-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07A KR20200114329A (ko)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29A true KR20200114329A (ko) 2020-10-07

Family

ID=7261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907A KR20200114329A (ko) 2019-03-28 2019-03-2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77898B2 (ko)
EP (1) EP3951486A4 (ko)
KR (1) KR20200114329A (ko)
WO (1) WO202019699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57A (ko) * 2021-04-15 202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155755A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44895A1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5A1 (ko)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7A1 (ko)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14457A (ko) * 2021-07-21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37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380091A1 (en) * 2020-10-06 2023-11-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50A (ja) 1992-08-26 1994-03-18 Hitachi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表示装置
KR200187964Y1 (ko) 1999-10-29 2000-07-15 최해용 붙박이형 스크린장치
KR100625777B1 (ko) 2004-06-25 2006-09-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dp필터 글래스의 스피커 장착 프로텍터
US20070159035A1 (en) * 2006-01-06 2007-07-12 Anthro Corporation Wall desk
KR20070077657A (ko) 2006-01-24 2007-07-27 주식회사 경도이엔이 벽걸이 텔레비전 수납장
US20110235249A1 (en) * 2010-01-29 2011-09-29 Rubbermaid Incorporated Work surface articulation
US8662605B2 (en) * 2011-02-18 2014-03-04 Rubbermaid Incorporated Mobile technology cabinet
US8441782B2 (en) * 2011-02-28 2013-05-14 Enovate It Wall-mounted computer work station
US9170446B2 (en) * 2011-11-18 2015-10-2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Joined back panel structure of display device
US8919894B1 (en) 2013-06-18 2014-12-30 Michael Barry Pachmayr Flat panel console/cabinet entertainment center
KR20150031525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57A (ko) * 2021-04-15 202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02071B2 (en) 2021-04-15 2023-03-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20155755A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44895A1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5A1 (ko)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55507A1 (ko) * 2021-06-0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14457A (ko) * 2021-07-21 202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1486A4 (en) 2023-01-18
US20220039275A1 (en) 2022-02-03
WO2020196996A9 (ko) 2020-11-12
WO2020196996A1 (ko) 2020-10-01
EP3951486A1 (en) 2022-02-09
US11477898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432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40004236A1 (en) Display apparatus
US8576551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3645578B (zh) 显示设备
CN202631902U (zh) 显示装置
CN202907072U (zh) 显示装置
EP3136714B1 (en) Display device
CN203054391U (zh) 显示装置
CN102087434B (zh) 液晶显示装置
CN103021296A (zh) 显示装置
CN106792287A (zh) 扬声器模块及其电子设备以及包含该电子设备的显示设备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KR102227016B1 (ko) 표시장치
CN203337944U (zh) 一种显示装置
EP3249493B1 (en) Display device
KR102514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3415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10103186A1 (en) Display device
US20130062121A1 (en) Electronic unit
KR20060058860A (ko) 평판표시장치모듈용 마운팅프레임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658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210038610U (zh) 交互智能平板
US20230247812A1 (en) Display device
KR10245546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