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862A -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862A
KR20210117862A KR1020200034720A KR20200034720A KR20210117862A KR 20210117862 A KR20210117862 A KR 20210117862A KR 1020200034720 A KR1020200034720 A KR 1020200034720A KR 20200034720 A KR20200034720 A KR 20200034720A KR 20210117862 A KR20210117862 A KR 20210117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resent
display device
b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민
우윤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유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유플렉스 filed Critical (주)에이유플렉스
Priority to KR102020003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862A/ko
Priority to PCT/KR2021/003465 priority patent/WO2021187960A1/ko
Publication of KR2021011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한쪽 부분을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슬라이딩되는 한쪽 부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연장되게 펼쳐지도록 구성된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Display Device with Sliding feature}
본 발명은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한쪽 부분을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슬라이딩되는 한쪽 부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연장되게 펼쳐지도록 구성된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기능에 부가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지지하고 증대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추가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 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또는 플렉시블 LCD)는 모양을 마음대로 변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그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상영화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완전히 종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두루마리처럼 가지고 다니기까지는 앞으로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진행되어 사용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과도기적 형태가 많이 사용될 것이며 이 형태는 현재의 단말기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또한,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이동 단말기에 사용될 때 그 사용 형태 및 그 보호방법에 대하여 기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유사한 특허문헌으로는 공개번호 10-2017-0116551, 공개일자 2017년10월19일, 발명의 명칭: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하고자 스마트폰의 한쪽 부분을 외부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슬라이딩되는 한쪽 부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연장되게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영화 등 이미지를 더 넓은 화면으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상부판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뒷부분과 상기 구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바;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뒷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슬라이딩부가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거리 및 속도는 상기 연결링크가 슬라이딩부를 따라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거리 및 속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연결바와 제 2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뒷부분에서 서로 기어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연결바와 제 2 연결바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링크에는 다수개의 관절들이 서로 연결된 링크레일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레일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판넬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부에는 2 개의 웜기어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바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바는 상기 각각의 웜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나사선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웜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하고자 스마트폰의 한쪽 부분을 외부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슬라이딩되는 한쪽 부분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연장되게 펼쳐져서 사용자가 영화 등 이미지를 더 넓은 화면으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바를 4 개로 서로 분리되게 구성하고, 4개의 연결바가 서로 기어결합하게 하여, 2 개의 연결바가 크로스 되는 구조보다 스마트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하부고정 커버와 하부 슬라이딩커버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본체의 슬라이딩부에 기어바와 연결링크를 조립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에 기어바와 연결링크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에 기어바와 연결링크가 조립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이 기어바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이 기어바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을 커버를 이용하여 덮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로 덮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케이스에 상부판넬을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상부판넬과 연결링크에 링크레일의 각각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슬라이딩부의 측면을 덮는 슬라이딩커버와 상부판넬과 구동모듈케이스의 측면을 덮는 고정커버가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완료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슬라이딩부가 열리는 도중의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슬라이딩부가 전부 열려진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왼쪽 측면이 절단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슬라이딩부가 열리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가 열리는 도중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가 전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어바 대신에 싱크바를 슬라이딩부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싱크바에 의하여 슬라이딩부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싱크바에 의하여 슬라이딩부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단된 측면에서 내부를 도시한 내부 절단면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동영상, 이미지 등을 좀 더 넓은 화면으로 보고자 하는 경우에 상부판넬 (10)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를 외부로 이동시켜서 링크레일 (60) 이 슬라이딩부 (20) 를 따라 펼쳐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가 슬라이딩되면서 링크레일 (60) 위에 설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6) 이 함께 펼쳐지면서 사용자는 더 넓은 화면의 영상, 이미지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하부고정 커버와 하부 슬라이딩커버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부에는 슬라이딩부 (20) 와 함께 움직이는 하부슬라이딩커버 (14) 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뒷부분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하부고정커버 (16) 가 설치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본체의 슬라이딩부에 기어바와 연결링크를 조립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의 뒷부분에는 4개의 바 (23, 24) 로 구성된 기어바 (22) 가 설치되고, 본 발명의 기어바 (22) 앞에 위치한 2개의 전면바(bar) (23) 의 단부는 연결링크 (26) 에 구성된 한쌍의 홈 (27) 과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연결링크 (26) 의 한쌍의 홈 (27) 과 각각 연결된 2개의 전면 바 (23) 는 본 발명의 홈 (27) 을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어바 (22) 를 구성하는 각각의 바 (23, 24) 는 한쪽 단부에 톱니기어가 형성되고, 4 개의 바(bar) (23, 24) 의 톱니기어가 서로 기어결합한 상태로 슬라이딩부 (20) 의 뒷부분에 설치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에 기어바와 연결링크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에 기어바와 연결링크가 조립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어바 (22) 를 구성하는 4 개의 바 (23) 의 톱니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이 기어바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이 기어바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동모듈 (40) 이 본 발명의 구동모듈케이스 (41) 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모듈 (40) 은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44) 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한쌍의 웜기어 (42, 142) 및 각각의 웜기어 (42, 142) 의 기어에 맞물리고, 본 발명의 웜기어 (42, 142) 가 회전을 하면 웜기어 (42, 142) 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각각의 래크기어 (46) 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모듈케이스 (41) 에는 본 발명의 웜기어 (42, 142) 가 회전함에 따라 래크기어 (46) 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레일홈 (48) 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에 설치된 기어바 (22) 에서 뒷부분에 위치하는 2개의 후면바 (24) 의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래크기어 (46) 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웜기어 (42, 142) 는 모터 (44) 가 회전을 함께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그러나, 각각의 웜기어 (42, 141) 와 기어결합을 하는 각각의 래크기어 (46) 는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각각의 웜기어 (42, 142) 의 나사선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한쌍의 웜기어 (42, 142) 와 각각 기어결합하는 각각의 래크기어 (46)가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상기의 구조이외에도 구동모터와 연결된 기어 등을 변형하는 것으로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을 구동모듈커버를 이용하여 덮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개방된 부분을 슬라이딩부커버로 덮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동모듈 (40) 이 덮혀지도록 구동모듈커버 (141) 을 구동모듈케이스 (41) 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의 개방된 부분을 덮기 위하여 슬라이딩부 커버 (120) 를 슬라이딩부 (20) 에 고정시킨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케이스에 상부판넬을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판넬 (10) 이 구동모듈케이스 (41) 와 고정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가 슬라이딩하면서 움직이더라도 본 발명의 상부판넬 (10) 은 구동모듈케이스 (41) 에 고정되어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상부판넬과 연결링크에 링크레일의 각각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슬라이딩부의 측면을 덮는 슬라이딩커버와 상부판넬과 구동모듈케이스의 측면을 덮는 고정커버가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완료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커버 (50) 는 슬라이딩부 (20) 의 각각의 측면에 부착되어 슬라이딩부 (20) 와 함께 슬라이딩하고, 본 발명의 고정커버 (52) 는 상부판넬 (10) 및 구동모듈케이스 (41) 와 결합하여 고정되게 구성된다.
다수개의 관절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링크레일 (60) 은 한쪽 단부는 상부판넬 (10) 의 앞부분 (11) 과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연결링크 (26) 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슬라이딩부가 열리는 도중의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슬라이딩부가 전부 열려진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 (40) 의 모터 (44) 가 구동을 하면 웜기어 (42) 가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한쌍의 래크기어 (46) 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레일홈 (48) 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쌍의 래크기어 (46) 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본 발명의 래크기어 (46) 와 연결된 기어바 (22) 펼쳐지면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가 슬라이딩하면서 이동을 하고, 또한, 기어바 (22) 와 연결된 연결링크 (26) 도 이동을 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가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속도 및 거리와 본 발명의 연결링크 (26) 가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속도 및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와 연결링크 (26) 가 이동을 하면서 연결링크 (26) 에 연결된 링크레일 (60) 도 함께 슬라이딩하면서 링크레일 (60) 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윗부분에 펼쳐지게 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상태에서 왼쪽 측면이 절단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슬라이딩부 (20) 를 슬라이딩하면 안쪽에 배치되어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6) 이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20) 의 위부분으로 나오게 되면서 사용자는 더 넓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6) 화면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6) 은 상부판넬 (10) 과 링크레일 (60) 상에 부착되게 구성된다.
도 18 은 본 발명에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슬라이딩부가 열리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가 열리는 도중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가 전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듈 (40) 의 모터 (44) 가 구동을 하면 웜기어 (42, 142) 가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본 발명의 웜기어 (42, 142) 와 기어결합을 하고 있는 한쌍의 래크기어 (46) 가 화살표가 가리키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레일홈 (48) 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쌍의 래크기어 (46) 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본 발명의 래크기어 (46) 와 연결된 기어바 (22) 점차적으로 펼쳐지면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가 이동을 하고, 또한, 기어바 (22) 와 연결된 연결링크 (26) 도 이동을 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가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속도 및 거리와 본 발명의 연결링크 (26) 가 슬라이딩부 (26) 를 따라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속도 및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와 연결링크 (26) 가 이동을 하면서 연결링크 (26) 에 연결된 링크레일 (60) 도 함께 슬라이딩하면서 링크레일 (60) 이 슬라이딩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 (26) 의 슬라이딩부커버 (120) 위에 펼쳐지게 구성된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어바 대신에 싱크바를 슬라이딩부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21 을 참조하면, 2개의 바가 X 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중앙부 (1222) 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본 발명의 싱크바 (122) 의 중앙부 (1222) 가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의 뒷부분 밑면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X 자 형상을 가지는 싱크바 (122) 에서 2개의 전면 단부 (123) 각각은 연결링크 (26) 에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된 2개의 홈 (27) 에 각각 연결되어 본 발명의 각각의 홈 (27) 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바 (122) 의 다른 쪽 2개의 후면 단부 (124) 는 각각 본 발명의 구동모듈 (40) 의 래크기어 (46) 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싱크바에 의하여 슬라이딩부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싱크바에 의하여 슬라이딩부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바 (122) 의 후면단부 (124) 와 연결된 좌우 각각의 래크기어 (46) 가 나사선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웜기어 (42, 142) 의 회전에 의해 서로 근접하려는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본 발명의 싱크바 (122) 의 두개의 바의 후면단부 (124) 가 펼쳐진 상태어서 점차적으로 각각의 래크기어 (46) 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근접하게 이동을 하면서 두개의 바의 후면단부 (124) 와 전면단부 (123) 쪽이 접혀지게 되면서 싱크바 (122) 의 가운데 부분 (1222) 과 연결된 슬라이딩부 (20) 는 본 발명의 상부판넬 (10) 에서 외부로 이탈되도록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링크 (26) 은,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본 발명의 연결링크 (26) 에 연결된 본 발명의 링크레일 (60) 이 함께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의 아래부분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 (20) 의 윗부분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절단된 측면에서 내부를 도시한 내부 절단면도이다.
도 2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동모듈 (40) 의 모터 (44) 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본 발명의 한쌍의 래크기어 (46)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을 하게 되면서 기어바 (22) 도 동시에 움직이게 되면서, 본 발명의 기어바 (22) 또는 싱크바 (122) 와 연결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20) 와 연결링크 (26) 가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링크 (26) 에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링크레일 (60) 은 본 발명의 슬리이딩부 (20) 가 상부판넬 (10) 의 외부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 (20) 의 상부에 펼쳐지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않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10: 상부판넬
20: 슬라이딩부 22: 기어바
23 전면바 24: 후면바
26: 연결링크
40: 구동모듈 41: 케이스
42, 142: 웜기어 48: 레일홈
60: 링크레일
122: 싱크바 123: 전면단부
124: 후면단부 1222: 중앙부

Claims (5)

  1. 상부판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뒷부분과 상기 구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바;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뒷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바;
    상기 상기 슬라이딩부가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거리 및 속도는 상기 연결링크가 슬라이딩부를 따라 단위시간당 이동하는 거리 및 속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바와 제 2 연결바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뒷부분에서 서로 기어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바와 제 2 연결바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에는 다수개의 관절들이 서로 연결된 링크레일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레일의 타단부는 상기 상부판넬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2 개의 웜기어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바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바는 상기 각각의 웜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나사선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웜기어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웜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200034720A 2020-03-20 2020-03-20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117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720A KR20210117862A (ko) 2020-03-20 2020-03-20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21/003465 WO2021187960A1 (ko) 2020-03-20 2021-03-20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720A KR20210117862A (ko) 2020-03-20 2020-03-20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62A true KR20210117862A (ko) 2021-09-29

Family

ID=7777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720A KR20210117862A (ko) 2020-03-20 2020-03-20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7862A (ko)
WO (1) WO20211879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391A1 (ko) * 2021-11-24 2023-06-01 (주)에이유플렉스 화면의 크기가 가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23200116A1 (ko) * 2022-04-14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551A (ko) 2016-04-11 2017-10-19 박현민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04618A (ko) * 2017-07-04 2019-01-14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N209731322U (zh) * 2019-06-18 2019-12-03 陈健 一种折叠屏展开装置和终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551A (ko) 2016-04-11 2017-10-19 박현민 연성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라이딩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391A1 (ko) * 2021-11-24 2023-06-01 (주)에이유플렉스 화면의 크기가 가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23200116A1 (ko) * 2022-04-14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960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606A (ko) 양방향으로 접히는 단말기용 힌지구조
CN112041781A (zh) 设置柔性显示面板的内折叠型铰链结构
KR1021970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20002664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CN112384876A (zh) 双向折叠的终端用铰链结构
KR10203691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102498898B1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2019006597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2000111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구조
KR102504372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KR20210068272A (ko)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117862A (ko) 슬라이딩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08483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KR202000181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WO2011093046A1 (ja) 電子機器、携帯端末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用双眼レンズアダプタ
CN208128321U (zh) 移动终端
KR2021005495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인폴딩타입힌지
CN111937060A (zh) 设置有柔性显示面板的内折叠型铰链结构
KR20190094285A (ko) 탄성구동체
KR20160011140A (ko) 확장화면형 이동 단말기
KR20210107241A (ko) 인폴딩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힌지구조
KR20220069755A (ko) 인폴딩타입 디스플레이장치용 고하중 힌지구조
KR20210106306A (ko)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슬라이딩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116132A (ko) 인폴딩타입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구조
KR20230000166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장치용 인폴딩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