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678B1 -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 - Google Patents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678B1
KR102002678B1 KR1020167036421A KR20167036421A KR102002678B1 KR 102002678 B1 KR102002678 B1 KR 102002678B1 KR 1020167036421 A KR1020167036421 A KR 1020167036421A KR 20167036421 A KR20167036421 A KR 20167036421A KR 102002678 B1 KR102002678 B1 KR 102002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oltage source
constant level
output
main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998A (ko
Inventor
히예우 반 트란
투안 부
안 리
헝 큐옥 구엔
Original Assignee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0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8Details of power up or power down circuits, standby circuits or recover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내에서의 개선된 전력 시퀀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IMPROVED POWER SEQUENCING FOR EMBEDDED FLASH MEMORY DEVICES}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내에서의 개선된 전력 시퀀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를 사용하여 전하들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들 및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그러한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의 메모리 어레이들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 셀들은 분리형 게이트 유형(split gate type) 또는 적층형 게이트 유형(stacked gate type)의 것이었다.
종래 기술의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1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분리형 게이트 수퍼플래시(SF) 메모리 셀(10)은 P형과 같은 제1 전도성 유형의 반도체 기판(1)을 포함한다. 기판(1)은 N형과 같은 제2 전도성 유형의 제1 영역(2)(소스 라인(SL)으로도 알려져 있음)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을 갖는다. 또한 N형과 같은 제2 전도성 유형의 제2 영역(3)(드레인 라인으로도 알려져 있음)이 기판(1)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제1 영역(2)과 제2 영역(3) 사이에는 채널 영역(4)이 있다. 비트 라인(BL)(9)이 제2 영역(3)에 접속된다. 워드 라인(WL)(8)(선택 게이트로도 지칭됨)이 채널 영역(4)의 제1 부분 위에 위치되고 그로부터 절연된다. 워드 라인(8)은 제2 영역(3)과 거의 또는 전혀 중첩되지 않는다. 플로팅 게이트(FG)(5)가 채널 영역(4)의 다른 부분 위에 있다. 플로팅 게이트(5)는 그로부터 절연되고, 워드 라인(8)에 인접한다. 플로팅 게이트(5)는 또한 제1 영역(2)에 인접한다. 커플링 게이트(CG)(7)(제어 게이트로도 알려져 있음)가 플로팅 게이트(5) 위에 있고 그로부터 절연된다. 소거 게이트(EG)(6)가 제1 영역(2) 위에 있고, 플로팅 게이트(5) 및 커플링 게이트(7)에 인접하며, 그들로부터 절연된다. 소거 게이트(6)는 또한 제1 영역(2)으로부터 절연된다.
종래 기술의 비휘발성 메모리 셀(10)의 소거 및 프로그램에 대한 한가지 예시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셀(10)은 다른 단자들이 0 볼트인 상태에서 소거 게이트(EG)(6) 상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파울러-노드하임(Fowler-Nordheim) 터널링 메커니즘을 통해 소거된다. 전자들은 플로팅 게이트(FG)(5)로부터 소거 게이트(EG)(6) 내로 터널링하여 플로팅 게이트(FG)(5)가 포지티브로 대전되게 하여, 셀(10)을 판독 상태에서 턴온시킨다. 생성된 셀 소거 상태는 '1' 상태로 알려져 있다. 소거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소거 게이트(EG)(6) 상에 포지티브(positive) 전압(Vegp)을, 커플링 게이트(CG)(7) 상에 네거티브(negative) 전압(Vcgn)을, 그리고 다른 단자에는 0 볼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네거티브 전압(Vcgn)은 플로팅 게이트(FG)(5)에 네거티브로 커플링하며, 이 때문에 소거에 더 적은 포지티브 전압(Vcgp)이 요구된다. 전자들은 플로팅 게이트(FG)(5)로부터 소거 게이트(EG)(6) 내로 터널링하여 플로팅 게이트(FG)(5)가 포지티브로 대전되게 하여, 셀(10)을 판독 상태에서 턴온(셀 상태 '1')시킨다. 대안적으로, 워드 라인(WL)(8)(Vwle) 및 소스 라인(SL)(2)(Vsle)은 네거티브여서 소거에 필요한 소거 게이트(FG)(5) 상의 포지티브 전압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네거티브 전압(Vwle, Vsle)의 크기는 p/n 접합을 포워드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다. 셀(10)은, 커플링 게이트(CG)(7) 상에 고전압을, 소스 라인(SL)(2) 상에 고전압을, 소거 게이트(EG)(6) 상에 중간 전압을, 그리고 비트 라인(BL)(9) 상에 프로그래밍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소스측 열전자 프로그래밍 메커니즘을 통해 프로그래밍된다. 워드 라인(WL)(8)과 플로팅 게이트(FG)(5) 사이의 갭을 가로질러 유동하는 전자들 중 일부가 플로팅 게이트(FG)(5) 내에 주입할 충분한 에너지를 획득하여 플로팅 게이트(FG)(5)가 네거티브로 대전되게 하여, 셀(10)을 판독 상태에서 턴오프시킨다. 생성된 셀 프로그래밍 상태는 '0' 상태로 알려져 있다.
셀(10)은 비트 라인(BL)(9) 상에 억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그의 로우(row) 내의 다른 셀은 프로그래밍될 것이지만 셀(10)은 프로그래밍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 프로그래밍이 금지될 수 있다. 분리형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동작 및 다양한 회로가 Hieu Van Tra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7,990,773호 "Sub Volt Flash Memory System", 및 Hieu Van Tra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8,072,815호 "Array of Non-Volatile Memory Cells Including Embedded Local and Global Reference Cells and Systems"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2차원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에 대한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다이(12)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 - 메모리 어레이는 도 1에서와 같은 메모리 셀(10)을 선택적으로 활용함 -; 다이(12)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전형적으로 와이어 본드들(도시되지 않음) - 와이어 본드들은, 이어서, SOC(system on chip) 상의 다른 매크로들에 상호접속하기 위한 패키징된 칩 또는 매크로 인터페이스 핀들(도시되지 않음) 외부로부터 집적 회로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핀들(도시되지 않음) 또는 패키지 범프들에 접속함 - 사이의 전기적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패드(35) 및 패드(80); 시스템에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 서플라이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고전압 회로(75); 리던던시 및 빌트인 자가 테스팅과 같은 다양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로직(70); 아날로그 회로(65);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감지 회로들(60, 61); 판독 또는 기록될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 내의 로우에 액세스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로우 디코더 회로(45) 및 로우 디코더 회로(46); 판독 또는 기록될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 내의 컬럼(column)에 액세스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컬럼 디코더(55) 및 컬럼 디코더(56);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에 프로그램 및 소거 동작들을 위한 증가된 전압들을 제공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전하 펌프 회로(50) 및 전하 펌프 회로(51); 판독 및 기록(소거/프로그램) 동작들을 위해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에 의해 공유되는 고전압 드라이버 회로(30); 판독 및 기록 동작들 동안에 메모리 어레이(15)에 의해 사용되는 고전압 드라이버 회로(25), 및 판독 및 기록(소거/프로그램) 동작들 동안에 메모리 어레이(20)에 의해 사용되는 고전압 드라이버 회로(26); 및 메모리 어레이(15) 및 메모리 어레이(20)에 대한 기록 동작 동안에 프로그래밍되도록 의도되지 않는 비트 라인들을 선택해제하는 데 각각 사용되는 비트 라인 금지 전압 회로(40) 및 비트 라인 금지 전압 회로(41)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며, 도 2에 도시된 블록 레이아웃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00)은 전력 관리 유닛(101), 마이크로제어기 유닛 코어(102), 주변기기들(103)(USBx, SPI, I2C, UART, ADC, DAC, PWM, MC, HMI), SRAM(104),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105), 및 전원 버스(106)를 포함한다.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105)는, 선택적으로,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설계를 따를 수 있다. 전력 관리 유닛(101)은 전원 버스(106)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전압들을 생성한다. 전원 버스(106) 상에 제공되는 전압들의 세 가지 예들은 VDD, VDDCORE, 및 VDDFLASH이다. VDD는, 보통, 2.5 V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고, VDDCore는 1.2 V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고, VDDFLASH는 2.5 V와 같이 또한 상대적으로 높고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는 VDDCORE와 같다. VDDCORE는, 종종,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00)의 제어 로직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VDD는, 종종, 모든 다른 기능부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00)에 대한 전형적인 전력 시퀀스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전력 인가(power-up) 시퀀스 동안, 시간 TU0에서, 전압(401)에 대한 전압이 램프업(상승, ramp up)하기 시작한다. 시간 TU1에서, 전압(402)에 대한 전압이 램프업하기 시작한다. 시간 TU2에서, 전압(401)에 대한 전압이 안정상태를 유지(plateau)하기 시작한다. 시간 TU3에서, 전압(402)에 대한 전압이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전압(401)은 VDD일 수 있고, 전압(402)은 VDDFLASH일 수 있다.
전력 차단(power-down) 시퀀스 동안, 시간 TD0에서, 전압(402)에 대한 전압이 램프다운(하강, ramp down)하기 시작한다. 시간 TD1에서, 전압(401)에 대한 전압이 램프다운하기 시작한다. 시간 TD2에서, 전압(402)에 대한 전압이 0 V에 도달한다. 시간 TD3에서, 전압(401)에 대한 전압이 0 V에 도달한다.
도 4의 종래 기술의 전력 시퀀싱은 문제가 많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TU0과 TU1 사이의 기간 내에서, 전압(401)은 충분한 동작 레벨에 도달할 수 있지만, 전압(402)은 충분한 동작 레벨에 있지 않다. 유사하게, 시간 TU1과 TU2 사이의 기간 내에서, 전압(401)은 충분한 동작 레벨에 있을 수 있지만, 전압(402)은 아직 충분한 동작 레벨에 있지 않다. 시간 TD0과 TD1 사이의 기간 내에서, 전압(401)은 여전히 충분한 동작 레벨에 있을 것이지만, 전압(402)은 충분한 동작 레벨 미만으로 감소할 수 있다. 시간 TD1과 TD2 사이에서, 전압(402)은 그 기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충분한 동작 레벨 미만일 것이지만, 전압(401)은 여전히 충분한 동작 레벨 초과일 것이다. 시간 TD2와 TD3 사이에서, 전압(402)은 충분한 동작 레벨 미만일 것이고, 전압(401)은 여전히 그 기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충분한 동작 레벨에 있을 수 있다. 전압(401) 및 전압(402)에 대한 이들 상태 불일치들은 종래 기술의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00)의 동작 시에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 회로들은 다른 회로들(예컨대, 전하 펌프)이 동작할 준비가 되기 전에 동작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복수의 전압원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을 생성하기 위한 개선된 전력 관리 유닛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분리형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셀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 내에서의 2개의 전압원들에 대한 종래 기술의 전력 시퀀싱을 도시한다.
도 5는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전력 시퀀싱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전력 시퀀싱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른 전력 시퀀싱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른 전력 시퀀싱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른 전력 시퀀싱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른 전력 시퀀싱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전력 준비 회로를 도시한다.
도 13은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를 도시한다.
도 14는 전압 레벨 시프터(shifter)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5는 전력 디스에이블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5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500)은 전력 관리 유닛(501), 마이크로제어기 유닛 코어(502), 주변기기들(503), SRAM(504),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505), 및 전원 버스(506)를 포함한다.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505)는, 선택적으로, 전술된 도 1 및 도 2의 설계를 따를 수 있다. 전력 관리 유닛(501)은 VDD(주 전원, 전형적으로 최고 전압 레벨, 전형적으로 IO 전압 레벨, 예컨대, 2.5 V 또는 1.8 V)를 생성하는 전압원(507), VDDFLASH(전형적으로 IO 전압 레벨, 예컨대, 2.5 V 또는 1.8 V)를 생성하는 전압원(509), VDDCORE(전형적으로 코어 로직 전압 레벨, 예컨대, 1.2 V 또는 0.8 V)를 생성하는 전압원(508), 및 VDDCOREFLASH(전형적으로 코어 로직 전압 레벨, 예컨대, 1.2 V 또는 0.8 V)를 생성하는 전압원(510)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전원 버스(506) 상에 제공된다. VDDCOREFLASH 및 VDDFLASH는, 종종,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505)의 코어 로직 및 (혼합된 전압 또는 IO 전압) 회로들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고, VDDCORE는, 종종,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500)의 모든 다른 코어 제어 로직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고, VDD는, 종종, 아날로그 기능부들 및 IO 기능부들과 같은 모든 다른 기능부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도 5의 실시예는 도 3의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와는 상이한 전력 시퀀싱을 따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시퀀싱 모드(6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원(507)은 전압(601)(VDD) 및 전압(603)(VDDFLASH)을 생성하고, 전압원(508)은 전압(602)(VDDCORE)을 생성한다. 여기서, VDD 및 VDDFLASH는 동일하다. 시간 TU0과 TU4 사이의 기간은 전력 인가(power-on)(power-up으로도 알려져 있음) 시퀀스를 나타내고, 시간 TD0과 TD3 사이의 기간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와는 달리, 전압(601)(VDD, VDDFLASH) 및 전압(602)(VDDCORE)이 전력 인가 시퀀스 동안 시간 TU0에서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램프업하기 시작하고, 전압(601)(VDD, VDDFLASH) 및 전압(602)(VDDCORE)이 시간 TD3에서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0 V에 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램프업 기간 동안, 전압(602)(VDDCORE)은 NMOS 소스 팔로워 회로에 의해 전압(601)(VDD)을 따른다. 일 실시예에서, 램프다운 기간 동안, 전압(602)(VDDCORE)은 PMOS 소스 팔로워 회로 또는 다이오드 접속 회로(VDDCORE와 VDD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에 의해 전압(601)(VDD)을 따른다. 전압(602)(VDDCORE)은 시간 TU1과 시간 TU2 사이 그리고 시간 TD1과 시간 TD2 사이의 중간 레벨 VDDCOREINT에서 안정상태로 유지된다. 중간 레벨 VDDCOREINT는 기본 로직 게이트들(예컨대, NAND, NOR, INV, DFF 등)이 디지털식으로 기능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레벨은, 적어도, Vtn(NMOS 임계 전압) 또는 Vtp(PMOS 임계 전압) 값의 최대치 이상, 예를 들어 = ~ 0.3 내지 0.7 볼트이다. TU3과 TD1 사이에서, 전압(602)(VDDCORE)은 정밀도 조절 회로에 의해 최종 희망 전압 레벨로 조절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력 시퀀싱 모드(7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원(507)은 전압(701)(VDD)을 생성하고, 전압원(508)은 전압(702)(VDDCORE)을 생성하고, 전압원(509)은 전압(703)(VDDFLASH)을 생성한다. 시간 TU0과 TU5 사이의 기간은 전력 인가 시퀀스를 나타내고, 시간 TD0과 TD2 사이의 기간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와는 달리, 전압(701)(VDD) 및 전압(703)(VDDFLASH)이 전력 차단 시퀀스 동안 시간 TD0에서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램프다운하기 시작하고, 전압(701)(VDD), 전압(702)(VDDCORE), 및 전압(703)(VDDFLASH)이 시간 TD1에서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램프다운하고, 시간 TD2에서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0 V에 도달한다. 램프업 동안, 전압(702)(VDDCORE)이 램프업하여 시간 TU3에서 최종 희망 전압으로 되고, 이어서, 얼마 뒤, TU4에서, 전압(703)(VDDFLASH)이 램프업하기 시작하여 시간 TU5에서 최종 희망 전압으로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압(702)(VDDCORE)은 전압(703)(VDDFLASFH)에 앞서 활성화되는데, 이는 전압(703)이 램프업하기 시작하기 전에 전압(702)이 희망 레벨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압(703)(VDDFLASH)의 회로들이 기능하기 시작하기 전, 임베디드 플래시(505)의 제어 로직이 기능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런 이유로 칩 기능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전압(703)(VDFLASH)의 회로들은, 주로, 전압(702)(VDDCORE)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제어 로직에 의해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서, 램프업 시간 TU0 및 TU4 동안, 전압(703)(VDDFLASH)은 부동 레벨(floating level)(하이 Z, 구동되지 않음)에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력 시퀀싱 모드(8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원(507)은 전압(801)(VDD)을 생성하고, 전압원(508)은 전압(802)(VDDCORE)을 생성하고, 전압원(509)은 전압(803)(VDDFLASH)을 생성한다. 시간 TU0과 TU3 사이의 기간은 전력 인가 시퀀스를 나타내고, 시간 TD0과 TD2 사이의 기간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와는 달리, 전압(801)(VDD) 및 전압(803)(VDDFLASH)이 전력 인가 시퀀스 동안 시간 TU0에서 동시에 램프업하기 시작하고, 전압(801)(VDD), 전압(802)(VDDCORE), 및 전압(803)(VDDFLASH)이 시간 TD2에서 동시에 0 V에 도달한다. 전력 인가 단계 동안, 전압(801, 803)(VDDFLASH)은 시간 TU0과 TU1 사이에서 램프업하여 최종 전압에서 안정화되지만, 전압(802)(VDDCORE)은 본질적으로 0 볼트에서 유지되고, 시간 TU2에서 램프업하기 시작하고 시간 TU3에서 안정화된다. 시간 TU0 및 TU3 동안, 전압(803)(VDDFLASH)의 회로들 및 전압(802)(VDDCORE)의 회로들은 전압(801)(VDD)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VDD 제어 로직에 의해 인에이블링되거나 디스에이블링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802)(VDDCORE)은 전압(801)(VDD)이 TU0과 TU1 사이의 기간에서 램프업하는 동안에 부동 레벨(하이 Z)에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로서, 전압(801)(VDD)가 먼저 램프업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전압(801, 803)(VDDFLASH)와 전압(802)(VDDCORE)가 램프업되었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력 시퀀싱 모드(9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원(507)은 전압(901)(VDD)을 생성하고, 전압원(508)은 전압(902)(VDDCORE)을 생성하고, 전압원(509)은 전압(903)(VDDFLASH)을 생성한다. 시간 TU0과 TU5 사이의 기간은 전력 인가 시퀀스를 나타내고, 시간 TD0과 TD4 사이의 기간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나타낸다. 전력 인가 시퀀스는 전력 인가 시퀀스 모드(700)와 유사하다. 전력 차단 시퀀스는 전력 인가 시퀀스의 미러링된 시퀀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력 시퀀싱 모드(10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원(507)은 전압(1001)(VDD)을 생성하고, 전압원(508)은 전압(1002)(VDDCORE)을 생성하고, 전압원(509)은 전압(1003)(VDDFLASH)을 생성하고, 전압원(510)은 전압(1004)(VDDCOREFLASH)을 생성한다. 시간 TU0과 TU4 사이의 기간은 전력 인가 시퀀스를 나타내고, 시간 TD0과 TD4 사이의 기간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와는 달리, 전압(1001)(VDD) 및 전압(1002)(VDDCORE)은 시간 TD4에서 동시에 0 V에 도달한다. 전압(1003)(VDDFLASH) 및 전압(1004)(VDDCOREFLASF) 및/또는 전압(1001)(VDD) 및/또는 전압(1002)(VDDCORE)은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505)에 공급된다. 전압(1003)(VDDFLASH) 및 전압(1004)(VDDCOREFLASF)은 양측 모두가 동시에(또는 거의 동시에) 램프업 및 램프다운하고 있다.
전술된 전력 시퀀스 모드들(600, 700, 800, 900, 1000, 1100)에서, 임베디드 플래시 디바이스(505)는 전압(603/703/803/903/1003/1103)(VDDFLASH), 전압(1004)(VDDCOREFLASH), 및/또는 전압(601/701/801/901/1001/1101)(VDD) 및/또는 전압(602/702/802/902/1002/1102)(VDDCORE)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래밍 및 소거와 같은 플래시에 필요한 고전압 전하 펌프 회로들은 전압(601/701/801/901/1001/1101)(VDD)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그래밍 및 소거와 같은 플래시에 필요한 고전압 전하 펌프 회로들은 전압(603/703/803/903/1003/1103)(VDDFLASH)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력 시퀀싱 모드(11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압원(507)은 전압(1101)(VDD)을 생성하고, 전압원(508)은 전압(1102)(VDDCORE)을 생성하고, 전압원(509)은 전압(1103)(VDDFLASH)을 생성한다. 시간 TU0과 TU4 사이의 기간은 전력 인가 시퀀스를 나타내고, 시간 TD0과 TD4 사이의 기간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와는 달리, 전압(1102)(VDDCORE) 및 전압(1103)(VDDFLASH)은 전력 인가 시퀀스 동안 시간 TU2에서 동시에 램프업하기 시작하고, 전력 차단 시퀀스 동안 시간 TD3에서 동시에 램프다운하기 시작하고, 전압(1101)(VDD), 전압(1102)(VDDCORE), 및 전압(1103)(VDDFLASH)은 시간 TD2에서 동시에 0 V에 도달한다. 전력 차단 시퀀스는 전력 인가 시퀀스에 미러링된다. 전압(1103)(VDDFLASH)은 전압(1102)(VDDCORE)이 안정화된 후에 램프업하기 시작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 유닛(501)에 대한 제어 시스템(1200)이 도시되어 있다. 리셋 신호(1210)가 전압원(507), 전압원(508), 전압원(509), 및 전압원(510)에 커플링된다. 리셋 신호(1210)가 활성 상태인 경우, 전압원(507), 전압원(508), 전압원(509), 및 전압원(510)은 리셋되는데, 이는 전력 차단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 회로(1207)는 전압원(507)으로부터 전압(VDD)을 수신하고, 검출기 회로(1208)는 전압원(508)으로부터 전압(VDDCORE)을 수신하고, 검출기 회로(1209)는 전압원(509)으로부터 전압(VDDFLASH)을 수신하고, 검출기 회로(1210)는 전압원(510)으로부터 전압(VDDCOREFLASH)을 수신한다.
검출기 회로(1207)는 전압원(507)으로부터의 전압이 임계치들 V1A 및 V1B(V1B > V1A) 초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 준비 신호들(1217A, 1217B)을 각각 출력한다. 신호(1217A/1217B)가 하이인 경우, 전압원(507)으로부터의 전압(VDD)은 임계치 V1A/V1B 초과이다.
검출기 회로(1208)는 전압원(508)으로부터의 전압이 임계치들 V2A 및 V2B(V2B > V2A) 초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 준비 신호들(1218A, 1218B)을 각각 출력한다. 신호(1218A/1218B)가 하이인 경우, 전압원(508)으로부터의 전압(VDDCORE)은 임계치 V2A/V2B 초과이다.
검출기 회로(1209)는 전압원(509)으로부터의 전압이 임계치들 V3A 및 V3B(V3B > V3A) 초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 준비 신호들(1219A, 1219B)을 각각 출력한다. 신호(1219A/1219B)가 하이인 경우, 전압원(509)으로부터의 전압(VDDFLASH)은 임계치 V3A/V3B 초과이다.
검출기 회로(1210)는 전압원(510)으로부터의 전압이 임계치들 V4A 및 V4B(V4B > V4A) 초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 준비 신호들(1220A, 1220B)을 각각 출력한다. 신호(1220A/1220B)가 하이인 경우, 전압원(510)으로부터의 전압(VDDCOREFLASH)은 임계치 V4A/V4B 초과이다.
신호들(1217A/1217B, 1218A/1218B, 1219A/1219B, 1220A/1220B)은, 예컨대 회로 컨텐션(contention) 및 바람직하지 못한 전력 소비를 피하도록, 전력 인가 시퀀스의 램프업 동안 그리고 전력 차단 시퀀스의 램프다운 동안 회로들 및 칩 기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1300)가 도시되어 있다.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1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된, PMOS 트랜지스터(1301), NMOS 트랜지스터(1302), NMOS 트랜지스터(1303), 및 선택적인 NMOS 트랜지스터(1304)를 포함한다. VDD(1306)가 존재하고 ENVDDFLASH_N(1307)이 활성 상태인 경우, VDDFLASH(1305)가 생성된다. VDDFLASH(1305)는 PMOS 트랜지스터(1301)에 걸친 전압 강하에 기초하여 VDD(1306) 미만이 될 것이다. ENVDDFLASH_N(1307)이 활성 상태가 아닌 경우, VDDFLASH(1305)는 VDDFLASH-BIAS(1308) 및 NMOS 트랜지스터(1302)에 걸친 전압 강하에 의해 결정되는 더 작은 전압으로 강하할 것이다. 따라서, VDDFLASH(1305)는 0 V가 아니라 VDDFLASH-BIAS(1308) 근처의 전압으로 강하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VDDFLASH-BIAS(1308)는 전력 시퀀싱 모드(700)의 전압(702)(VDDCORE)과 같은 코어 로직 전원 VDD와 같다. 다른 실시예에서, VDDFLASH-BIAS(1308)는 부동(하이 Z)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들(1302, 1303, 1304)은 접속되지 않는데, 이는 PMOS 트랜지스터(1301)가 인에이블링되지 않는 경우에 VDDFLASH(1305)가 부동(하이 Z)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VDD 레벨 시프터 시스템(1400)이 도시되어 있다. VDD 레벨 시프터 시스템(1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1402)에 커플링된 PMOS 트랜지스터(1401)를 포함한다. VDD 레벨 시프터 시스템(1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된, NMOS 트랜지스터(1403), PMOS 트랜지스터(1404), NMOS 트랜지스터(1405), PMOS 트랜지스터(1406), NMOS 트랜지스터(1407), PMOS 트랜지스터(1408), NMOS 트랜지스터(1409), PMOS 트랜지스터(1410), 및 NMOS 트랜지스터(1411)를 추가로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1410) 및 NMOS 트랜지스터(1411)는 코어 로직 전원(1414)(VDDCORE)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PMOS 트랜지스터(1401) 및 NMOS 트랜지스터(1402)는 IO 전원(1415)(VDD)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PMOS 트랜지스터들(1404/1406) 및 NMOS 트랜지스터들(1405/1407)은 IO 전원(1415)(VDD)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트랜지스터들(1401, 1402, 1403, 1409, 1408)은 VDD 레벨 시프터(1400)에 대한 전력 제어 요소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들(1404, 1406, 1405, 1407, 1410, 1411)은 일반 레벨 시프터를 구성한다. DIS_VDD(1412)가 "1"로 설정되는 경우, OUT_VDD(1413)는 VDD가 될 것이고, OUTB_VDD(1414)는 0이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1401) 및 신호 DIS_VDD(1412)에 대한 전원 레벨은 트랜지스터들(1404, 1406, 1408)에 대한 전원 레벨 이상이다. 이러한 회로 구성에 의해, 출력들(1414, 1413)은 공지된 상태에 있고, 이때 제어 신호 DIS_VDD(1412)는 활성 상태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력 디스에이블링 시스템(1500)이 도시되어 있다. 전력 디스에이블링 시스템(1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된, PMOS 트랜지스터(1501) 및 NMOS 트랜지스터(1502)를 포함한다. 전력 디스에이블링 시스템(1500)은, 전원 레벨 시프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된, PMOS 트랜지스터(1503), NMOS 트랜지스터(1504), NMOS 트랜지스터(1505), NMOS 트랜지스터(1506), PMOS 트랜지스터(1507), NMOS 트랜지스터(1508), PMOS 트랜지스터(1509), NMOS 트랜지스터(1510), 및 PMOS 트랜지스터(1511)를 추가로 포함한다. 트랜지스터(1501, 1502, 1504, 1506, 1511)는 유사한 전력 제어 요소들로 인해 이러한 레벨 시프터의 출력들이 회로(1400)의 것과 유사한 공지된 상태에 있게 할 것이다. 전력 디스에이블링 시스템(1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된, PMOS 트랜지스터(1512)(그의 벌크(bulk)는 그의 소스에 접속됨), PMOS 트랜지스터(1513)(그의 벌크는 그의 드레인에 접속됨), PMOS 트랜지스터(1514)(그의 벌크는 그의 소스에 접속됨), 및 PMOS 트랜지스터(1515)(그의 벌크는 그의 드레인에 접속됨)를 추가로 포함한다. DIS_VDD(1516)가 "1"인 경우, VDDxVDDCORE(1517)는 VDDCORE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에 대한 언급은 임의의 청구항 또는 청구항 용어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대신,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포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일 뿐이다. 전술된 재료들, 공정들, 및 수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 위에" 및 "~ 상에" 양측 모두는 포괄적으로 "~ 상에 직접적으로"(사이에 어떠한 중간의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도 배치되지 않음)와 "~ 상에 간접적으로"(사이에 중간의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이 배치됨)를 포함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인접한"은 "직접적으로 인접한"(사이에 어떠한 중간의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도 배치되지 않음) 및 "간접적으로 인접한"(사이에 중간의 재료들, 요소들 또는 공간이 배치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판 위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은 어떠한 중간의 재료들/요소들도 사이에 두지 않고 기판 상에 직접적으로 요소를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중간의 재료들/요소들을 사이에 두어 기판 상에 간접적으로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8)

  1. 전력 인가(power-on)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압원 및 제2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유닛으로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업(ramp upward)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업하고;
    상기 제1 기간 직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기간 직후의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업하고;
    상기 제3 기간 직후의 제4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는, 전력 관리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및 상기 제2 전압원은 전력 차단(power-down)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5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ramp downward)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5 기간 직후의 제6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이어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6 기간 직후의 제7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는, 전력 관리 유닛.
  3. 전력 인가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압원, 제2 전압원, 및 제3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유닛으로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1 기간 직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기간 직후의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기간 직후의 제4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기간 직후의 제5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는, 전력 관리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상기 제2 전압원, 및 상기 제3 전압원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6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6 기간 직후의 제7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는, 전력 관리 유닛.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상기 제2 전압원, 및 상기 제3 전압원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6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6 기간 직후의 제7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7 기간 직후의 제8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8 기간 직후의 제9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는, 전력 관리 유닛.
  6. 전력 인가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압원, 제2 전압원, 및 제3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유닛으로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1 기간 직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기간 직후의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는, 전력 관리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상기 제2 전압원, 및 상기 제3 전압원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4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4 기간 직후의 제5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램프다운하는, 전력 관리 유닛.
  8. 전력 인가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압원, 제2 전압원, 제3 전압원, 및 제4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유닛으로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1 기간 직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기간 직후의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이어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기간 직후의 제4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는, 전력 관리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상기 제2 전압원, 상기 제3 전압원, 및 상기 제4 전압원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5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어서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5 기간 직후의 제6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6 기간 직후의 제7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7 기간 직후의 제8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4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는, 전력 관리 유닛.
  10. 전력 인가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전압원, 제2 전압원, 및 제3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유닛으로서,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1 기간 직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기간 직후의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이어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이어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기간 직후의 제4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고 이어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업하는, 전력 관리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상기 제2 전압원, 및 상기 제3 전압원은 전력 차단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5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5 기간 직후의 제6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6 기간 직후의 제7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제7 기간 직후의 제8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고, 상기 제3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램프다운하는, 전력 관리 유닛.
  12. 주 전원, 코어 로직 전원, 및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제어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결정된 제1 레벨을 통과하는 경우에 제1 검출 준비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어 로직 전원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결정된 제2 레벨을 통과하는 경우에 제2 검출 준비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출 준비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주 전원으로부터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로의 전력 공급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검출 준비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코어 로직 전원으로부터 상기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로의 전력 공급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주 전원으로부터 전하 펌프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로서,
    PMOS 트랜지스터;
    상기 PMOS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됨-; 및
    전력 인가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로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압원을 포함하며,
    전력 인가(power up)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제2 전압원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향해 램프업하고,
    전력 차단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압원을 향하여 램프업된 전압은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0 볼트 초과의 중간 전압을 향해 램프다운하는,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원 및 제2 전압원에 대한 인에이블링 회로를 제어하는 전력 관리 제어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검출 준비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여 상기 인에이블링 회로를 제어하는,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압은 부동(floating)인, 전력 시퀀스 인에이블링 회로
  18. 삭제
KR1020167036421A 2014-05-29 2015-05-03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 KR102002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90,779 2014-05-29
US14/290,779 US9417675B2 (en) 2014-05-29 2014-05-29 Power sequencing for embedded flash memory devices
PCT/US2015/028976 WO2015183473A1 (en) 2014-05-29 2015-05-03 Improved power sequencing for embedded flash memory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998A KR20170009998A (ko) 2017-01-25
KR102002678B1 true KR102002678B1 (ko) 2019-07-23

Family

ID=532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421A KR102002678B1 (ko) 2014-05-29 2015-05-03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417675B2 (ko)
EP (2) EP3416168B1 (ko)
JP (2) JP6500095B2 (ko)
KR (1) KR102002678B1 (ko)
CN (2) CN106463159B (ko)
TW (1) TWI597598B (ko)
WO (1) WO2015183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675B2 (en) * 2014-05-29 2016-08-16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Power sequencing for embedded flash memory devices
US9882566B1 (en) * 2017-01-10 2018-01-30 Ememory Technology Inc. Driving circuit for non-volatile memory
KR20180085418A (ko) 2017-01-18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CN109188941B (zh) * 2018-09-14 2020-06-09 北京空间机电研究所 空间遥感相机ccd电源硬时序控制电路
US11257549B2 (en) * 2020-05-08 2022-02-22 Micron Technology, Inc. Sequential voltage control for a memory device
US11776587B2 (en) * 2021-02-11 2023-10-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ower ramping sequence control for a memory device
KR20230118630A (ko) 2021-11-17 2023-08-11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 및 무정전 전원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94A (ja) * 2002-10-15 200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内部供給電圧のパワーアップ傾きを制御するための内部電圧変換器構造
JP2007012134A (ja) * 2005-06-29 2007-01-18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090230770A1 (en) 2007-07-30 2009-09-17 Fujitsu Limited Internal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 Cascode Current Mirror Circuit
US20100066339A1 (en) 2008-05-12 2010-03-18 Fujitsu Microelectronics Limited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WO2014085266A1 (en) 2012-11-30 2014-06-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ference voltages for a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6694A (ja) * 1991-05-07 1994-08-23 Intel Corp 高電圧レベル変換回路
WO1995009483A1 (en) * 1993-09-30 1995-04-0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mproved supply voltage detection circuit
DE69331766D1 (de) * 1993-09-30 2002-05-02 Macronix Int Co Ltd Speisespannungsdetektorschaltung
JP3180662B2 (ja) * 1996-03-29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切り替え回路
KR0181358B1 (ko) * 1996-04-18 1999-05-15 이대원 복수의 정전압원 발생장치
US5936892A (en) * 1996-09-30 1999-08-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mory cell DC characteriz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55161B1 (ko) * 1996-12-24 2000-05-01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셀의 섹터 보호 회로
JPH1195877A (ja) * 1997-09-22 1999-04-09 Hitachi Ltd コントローラ用パワーシーケンス回路装置
CA2230681C (en) * 1998-02-27 2003-07-15 Hong Seok Kim Power-up/power-down detection circuit
JP2000152497A (ja) * 1998-11-05 2000-05-30 Hitachi Ltd パワーシーケンス回路装置
JP4057756B2 (ja) * 2000-03-01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6507173B1 (en) * 2001-06-22 2003-01-14 02 Micro International Limited Single chip power management unit apparatus and method
JP4132795B2 (ja) * 2001-11-28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3957560B2 (ja) 2002-05-23 2007-08-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977833B2 (en) * 2003-10-28 2005-12-20 Lsi Logic Corporation CMOS isolation cell for embedded memory in power failure environments
JP2005269812A (ja) * 2004-03-19 2005-09-29 Nec Corp パワーシーケンス回路
US7180363B2 (en) * 2004-07-28 2007-02-20 United Memories, Inc. Powerga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635204B1 (ko) * 2004-12-29 2006-10-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외부 전압에 무관하게 안정된 자동 독출 기능을 가지는플래쉬 메모리 장치 및 그 자동 독출 제어 방법
US20060145749A1 (en) * 2004-12-30 2006-07-06 Dipankar Bhattacharya Bias circuit having reduced power-up delay
US7167017B2 (en) * 2005-03-24 2007-01-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solation cell used as an interface from a circuit portion operable in a power-down mode to a circuit portion in a power-up mode
US7568115B2 (en) * 2005-09-28 2009-07-28 Intel Corporation Power delivery and power management of many-core processors
US7639540B2 (en) * 2007-02-16 2009-12-29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having multiple external power supplies
US7697365B2 (en) 2007-07-13 2010-04-13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ub volt flash memory system
US7925910B2 (en) * 2007-07-19 2011-04-12 Micron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current consumption upon power-up
KR100909636B1 (ko) 2008-03-18 2009-07-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파워 업 신호 발생 회로
US8169839B2 (en) * 2009-02-11 2012-05-01 Stec, Inc. Flash backed DRAM module including logic for isolating the DRAM
US8018773B2 (en) 2009-03-04 2011-09-13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Array of non-volatile memory cells including embedded local and global reference cells and system
US8836166B2 (en) * 2010-10-15 2014-09-1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US8892922B2 (en) * 2010-11-30 2014-11-18 Apple Inc. Voltage detection
CN102082502B (zh) * 2011-01-19 2013-03-13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快速启动的电源转换电路
DE102012203043A1 (de) * 2011-03-03 201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auf-Chip,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System sowie Betriebsverfahren
US8705282B2 (en) * 2011-11-01 2014-04-22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ixed voltage non-volatile memory integrated circuit with power saving
KR20130050795A (ko) 2011-11-08 2013-05-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WO2013106906A1 (en) * 2012-01-17 2013-07-25 Ecamion Inc. A control, protection an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KR101939701B1 (ko) * 2012-02-14 2019-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회로 및 전원 공급 방법
US8436674B1 (en) * 2012-03-23 2013-05-07 Altasens, Inc. Self-scaled voltage booster
US9197086B2 (en) * 2012-04-30 2015-11-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oosting input power
US9190854B2 (en) * 2012-06-15 2015-11-17 Broadcom Corporation Charger external power device gain sampling
US9417675B2 (en) * 2014-05-29 2016-08-16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Power sequencing for embedded flash memory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94A (ja) * 2002-10-15 200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内部供給電圧のパワーアップ傾きを制御するための内部電圧変換器構造
JP2007012134A (ja) * 2005-06-29 2007-01-18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090230770A1 (en) 2007-07-30 2009-09-17 Fujitsu Limited Internal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 Cascode Current Mirror Circuit
US20100066339A1 (en) 2008-05-12 2010-03-18 Fujitsu Microelectronics Limited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WO2014085266A1 (en) 2012-11-30 2014-06-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ference voltages for a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3159A (zh) 2017-02-22
US9678553B2 (en) 2017-06-13
EP3149731A1 (en) 2017-04-05
EP3149731B1 (en) 2018-09-26
US20160218716A1 (en) 2016-07-28
CN109887530B (zh) 2023-03-07
TW201610655A (zh) 2016-03-16
US20150346791A1 (en) 2015-12-03
CN109887530A (zh) 2019-06-14
EP3416168A1 (en) 2018-12-19
JP6944479B2 (ja) 2021-10-06
US9417675B2 (en) 2016-08-16
JP6500095B2 (ja) 2019-04-10
KR20170009998A (ko) 2017-01-25
WO2015183473A1 (en) 2015-12-03
EP3416168B1 (en) 2019-12-25
CN106463159B (zh) 2019-03-05
JP2017518600A (ja) 2017-07-06
JP2019133736A (ja) 2019-08-08
US20170269662A1 (en) 2017-09-21
US10216242B2 (en) 2019-02-26
TWI597598B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678B1 (ko)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전력 시퀀싱
TWI618069B (zh) 全空乏絕緣體上覆矽快閃記憶體設計
KR101538284B1 (ko)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2948B1 (ko) 비휘발성 분리형 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US8705282B2 (en) Mixed voltage non-volatile memory integrated circuit with power saving
JP6208895B2 (ja) 低電力ナノメートル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において使用される改良型感知回路
KR20190002711A (ko) 개선된 플래시 메모리 셀 및 연관된 디코더들
JP6768776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のハイブリッドチャージポンプ並びに調節手段及び方法
KR101459506B1 (ko) Mtp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