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573B1 - 자체-일치형 에어백 - Google Patents

자체-일치형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573B1
KR101996573B1 KR1020177013522A KR20177013522A KR101996573B1 KR 101996573 B1 KR101996573 B1 KR 101996573B1 KR 1020177013522 A KR1020177013522 A KR 1020177013522A KR 20177013522 A KR20177013522 A KR 20177013522A KR 101996573 B1 KR101996573 B1 KR 10199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airbag
vehicle
seat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224A (ko
Inventor
커트 에프. 피셔
로이 턴불
더글라스 엠. 고울드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1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with inflatable support compartments creating an internal suction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5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승객(20)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16 또는 22)을 구비한 차량(12)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10)는 반응 표면(19, 23, 36)에 인접한 차량(12)에서의 저장 상태로부터 반응 표면과 차량 승객(20) 사이의 전개 상태로 팽창할 수 있는 팽창가능한 보호 장치(14)를 포함한다. 보호 장치(14)는 상기 보호 장치(14)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침투 승객(20)을 받기 위한 팽창가능한 체적과 좌석(22)을 향하여 있는 전방부(62)를 포함한다. 전방부(62)와 연결된 후방부(64)는 전방부(62)로부터 공간(110)에 의해 이격된 팽창가능한 체적을 갖는다.

Description

자체-일치형 에어백{SELF-CONFORMING AIRBAG}
본 출원은 2014년 10월 21일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2/066605호 및 2014년 10월 22일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2/067075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4년 12월 29일 출원한 미국 출원 제14/583856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반응 표면과 차량 좌석의 승객 사이에서 팽창가능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에어백과 같은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나의 특별한 유형의 에어백은 차량의 앞좌석의 승객과 차량의 계기판 사이에 팽창가능한 전방 에어백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운전자 에어백 또는 승객 에어백일 수 있다. 팽창할 때, 운전자 및 승객 에어백들은 차량의 계기판 및/또는 핸들과 같은 차량의 부분들과의 충돌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한다.
일반적으로 승객 에어백들은 차량 계기판에 장착되는 하우징에 수축된 상태로 저장된다. 저장된 상태로 에어백을 둘러싸고 감추는 데 도움을 주도록 에어백 도어가 하우징 및/또는 계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승객 에어백의 전개 시, 에어백 도어는 개방되어 에어백이 평창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도어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에어백 도어가 개방된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에어백은 차량 핸들에 장착되는 하우징에 수축된 상태로 저장된다. 저장된 상태로 에어백을 둘러싸고 감추는 데 도움을 주도록 에어백 커버는 하우징 및/또는 핸들과 연결될 수 있다. 운전자 에어백의 전개 시, 에어백 커버는 개방되어 에어백이 평창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커버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에어백 커버가 개방된다.
다른 유형의 에어백은 차량의 측면 구조물과 차량 승객 사이에서 팽창가능한 측면 충돌 에어백이다. 측면 충돌 에어백은 예컨대 좌석 장착식, 측면 구조물 장착식 또는 도어 장착식일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에어백은 계기판 및/또는 차량의 운전대(steering column)와 차량 승객 사이에서 팽창가능한 무릎 보호 에어백이다. 무릎 보호 에어백은 예컨대 계기판 또는 운전대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수석 및 전방 에어백들은 키가 큰 차량 승객의 머리와 차량의 앞유리 사이에 장벽을 제공하는 차량 내의 높이로 연장하도록 디자인된다. 이 에어백 높이는 에어백에 체적을 추가하고 에어백 체적의 일부를 키가 작은 승객의 어깨 위에 놓이게 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키가 큰 승객 및 키가 작은 승객의 어깨 위의 에어백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에어백 구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을 구비한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 따라, 상기 장치는 저장 상태로부터 보호 장치가 팽창되고 차량의 반응 표면과 차량 좌석의 승객 사이에 위치되는 전개 상태로 팽창할 수 있는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치를 포함한다. 보호 장치는 상기 보호 장치가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반응 표면에 인접하거나 가까이 위치되는 후방부와, 상기 보호 장치가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차량 좌석의 승객과 후방부 사이에 위치되는 전방부를 포함한다. 전방부와 후방부는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팽창가능한 체적 외부에 빈 공간이 있는 이격된 형태를 갖는다. 전방부는 승객 침투에 응답하여 그리고 보호 장치 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빈 공간 내로 후방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방부는 전후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후방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의 전방부는 전방부가 후방부로부터 이격될 때 주로 가압력으로 인해 승객 침투에 대해 제1 구속도(degree of restraint)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 장치는 침투 승객이 전방부를 후방부와 결합하게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승객 침투에 대해 제1 구속도보다 큰 제2 구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제1 구속도는 침투 승객의 초기 충격력의 일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전방부와 후방부 내에 상이한 챔버를 한정하도록 전방부 및 후방부의 팽창 깊이를 제어하는 이음매(s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들은 승객 침투에 대해 상이한 저항도(degree of resistance)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위치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보호 장치가 대체로 곡선의 U자 형상 또는 후크 형상 형태가 되도록, 연결부가 전방부 및 후방부의 상부, 하부, 안쪽, 바깥쪽 중의 하나에서 전방부와 후방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연결부는 대체로 U자 형상 또는 후크 형상 형태의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부 및 후방부는 대체로 U자 형상 또는 후크 형상 형태를 완성하도록 중앙부로부터 연장하며 이에 의해 전방부와 후방부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의 개별적인 팽창가능한 체적을 한정하는 각 쌍의 대향하는 패널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측정된 팽창되는 두께를 갖는다. 전방 패널이 후방부와 결합하게 수축될 때 전방부의 후방 패널은 후방부의 전방 패널과 결합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전방부 및 후방부의 상부와 하부, 또는 보호 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호 장치는 폐쇄 고리(closed loop)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여기에서 공간은 보호 장치를 중앙으로 관통하여 연장하며 보호 장치에 의해 형성된 폐쇄 고리에 의해서 경계 지어진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연결부들을 서로에 대해 기설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들 사이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팽창성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가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비-팽창성 지지 부재는 연결부들을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간의 양측에 한 쌍의 비-팽창성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전방부의 측면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팽창가능한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삼각형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호 장치는 대체로 전도된 U자 형상 형태일 수 있고, 전방부의 하부는 후방부의 하부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켓이 후방부를 향하여 전방부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좌석은 차량의 뒷좌석일 수 있고 보호 장치는 좌석의 앞쪽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좌석 뒷부분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보호 장치는 승객과 좌석 뒷부분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좌석은 차량의 뒷좌석일 수 있고 보호 장치는 차량의 루프(roof)에 저장될 수 있다. 좌석 뒷부분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보호 장치는 승객의 좌석 앞쪽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과 승객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좌석은 차량의 앞좌석일 수 있고 보호 장치는 차량의 계기판에 저장될 수 있다. 계기판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보호 장치는 승객과 계기판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좌석은 차량의 앞좌석일 수 있고 보호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저장될 수 있다. 계기판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보호 장치는 승객과 차량의 계기판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임의의 다른 양태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좌석은 차량의 운전석일 수 있고 보호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저장될 수 있다. 핸들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보호 장치는 승객과 차량의 핸들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벨트 착용 차량 승객의 상이한 상태들을 나타내는, 도 1의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벨트 착용 차량 승객의 상이한 뒷자석 상태들을 나타내는, 도 1의 장치의 개략 측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의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좌석의 승객과 차량의 반응 표면 사이에서 팽창가능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차량(12)의 승객(20)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장치(10)는 에어백(14) 형태인 팽창가능한 승객 보호 장치(1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에어백(14)은 차량의 앞좌석 뒤에 차량(12)의 한쪽(24)의 뒷좌석(22)의 승객(20)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승객 에어백이다. 앞좌석(16)은 계기판(36) 뒤에 위치되며 계기판을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한쪽(24)은 차량(12)의 운전석(도시된 바와 같은) 또는 조수석(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다. 차량(12)은 차량 승객(20)을 보호하도록 조력하는 뒷좌석(22)에 연결된 안전벨트(18) 및 루프(19)를 또한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14)은 팽창기(32) 및 하우징(34)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30)의 일부일 수 있다. 에어백(14)은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된 저장 상태에 있는데, 저장 상태에서 에어백은 하우징(34) 내에 접혀져서 배치된다. 모듈(30)은 차량(12)의 앞좌석(16)의 좌석 뒷부분(23)에 또는 좌석 뒷부분(23) 내에 장착된다. 하우징(34)은 좌석 뒷부분(23)에 에어백(14) 및 팽창기(32)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대안으로, 모듈(30)은 차량(12)의 B-필러, 도어, 뒷좌석 쿠션, 센터 콘솔, 계기판(36) 또는 루프(19)에 장착될 수 있다(도시 생략).
모듈(30) 도어(도시 생략)는 좌석 뒷부분(23) 및/또는 하우징(34)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폐쇄 상태(도시 생략)에서, 도어는 모듈(30)을 위한 커버를 형성하고 좌석 뒷부분(23) 내의 하우징(34)에 저장 상태로 에어백(14)을 둘러싸는 것을 도와준다. 도어는 하우징(34) 및 좌석 뒷부분(23)의 개구(44)를 노출하는 개방 상태로 이동가능한데, 개구를 통하여 에어백(14)은 하우징(34) 내의 저장 상태로부터 팽창 상태 혹은 전개 상태로 전개될 수 있다. 도어는 차량(12)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플라스틱 힌지부, 스트랩(strap) 또는 테더(tether)와 같은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직접 또는 하우징(34)을 통해서 좌석 뒷부분(23)에 연결된다.
팽창기(32)는 에어백(14)을 팽창 상태로 전개하기 위하여 에어백(14)의 팽창가능한 체적(60)에 팽창 유체를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팽창기(32)는 예컨대 저장 가스, 고체 추진제, 증폭제 또는 혼성체와 같은 임의의 공지된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장치(10)는 충돌과 같이 에어백(14)의 팽창이 요망되는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도면부호 5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센서를 포함한다. 팽창기(32)는 도선(52)을 통해 센서(5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에어백(14)은 나일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백(14)은 재료의 하나 이상의 피스 또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피스 또는 패널이 사용될 경우, 피스들 또는 패널들은 에어백을 형성하기 위해 스티칭, 초음파 용접, 가열 접합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에어백(14)은 코팅되지 않은 것, 또는 가스 투과성 우레탄과 같은 재료로 코팅된 것, 또는 가스 투과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4)은 기밀 구조 또는 실질적으로 기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폴리에스터 얀과 같은 대안적인 재료 및 실리콘과 같은 대안적인 코팅이 에어백(14)을 형성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에어백(14)은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형태를 가진 에어백의 팽창가능한 체적(60)을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팽창 에어백(14)은 뒷좌석(22)의 승객(20)을 향해 뒤쪽으로 좌석 뒷부분(23)에서 멀어지게 하우징(34)으로부터 전개한다. 따라서 좌석 뒷부분(23)은 에어백(14)을 전개하기 위한 차량(12)의 반응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에어백(14)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도된 U-형상이며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이다(도시 생략). 팽창 에어백(14)은 승객(20)에 인접한 전방부(20) 및 좌석 뒷부분(23)에 인접한 후방부(64)를 포함한다.
전개 상태에서, 전방부(62)는 앞좌석(1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뒷좌석(22)의 승객(20)을 향하도록 표시된 전방 패널(즉, 전방 표면)(70)을 포함한다. 후방부(64)는 좌석 뒷부분(23)에 인접하며 모듈(34)과의 연결을 통해서 좌석 뒷부분(23)에 연결된다. 표면(70)은 차량(1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거리 또는 깊이(D1) 만큼 좌석 뒷부분(23)으로부터 이격된다. 측면부(80, 82)들이 전방부(62)와 후방부(64) 사이에 연장한다. 측면부(80, 82)들은 에어백(14)의 양쪽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팽행하게 연장한다. 측면부(80)는 차량(12)에서 바깥쪽으로 위치되고 측면부(82)는 차량에서 안쪽으로 위치된다.
상부(90)는 차량 루프(19)를 향하도록 도시되고 전방부(62)를 후방부(64)에 연결한다. 하부(92)는 뒷좌석(22)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전방부(62), 후방부(64), 측면부(80, 82), 상부(90) 및 하부(92)는 에어백(14)의 팽창가능한 체적(60)을 형성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서로 협력한다. 전방부(62), 후방부(64), 측면부(80, 82), 상부(90) 및 하부(92) 각각은 개별적인 팽창가능한 부분 이외에 팽창하지 않은 부분(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음매(100)가 팽창가능한 체적(60)을 복수의 챔버(102)로 분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방부(62)에서 후방부(64)로 에어백(14)의 길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팽창가능한 체적(60) 내로 각 이음매(100)의 깊이는 원하는 단면 및/또는 가압을 나타내는 챔버(102)를 형성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즉, 이음매들은 동일한 것 또는 이음매들은 챔버가 상이한 속도로 팽창 및 가압되도록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이음매(100)들은 챔버(102)의 체적을 제어하도록 또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에어백(14)을 완전 팽창 및 전개하기 위해 필요한 팽창기(32)의 크기를 제어한다. 챔버(102)의 체적을 제어하는 것은 원하는 성능 기준을 충족하도록 에어백(14)의 강성을 또한 제어한다. 일례에서, 안쪽-바깥쪽 방향에서의 중간 챔버(102)는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더 안쪽 및 더 바깥쪽 챔버들의 강성에 비해 감소한 강성을 제공한다.
에어백(14)은 팽창가능한 체적(60) 외부에 팽창하지 않거나 가압되지 않는 체적을 한정하는 공간(11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공간(110)은 하부(92)로부터 상부(90)를 향해 연장한다. 공간(110)은 측면부(80, 82)들 사이에 완전히 연장하며 상부(90)의 내부 표면(112)에서 종료한다. 결국, 에어백(14)은 하부(92)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팽창가능한 로브(lobe)(120)들로 분기되며 공간(110)의 형상을 한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상부(9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에어백(14)이 상부(90)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각각의 로브(120)는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에어백(14)은 아치 형상 또는 전도된 U자 형상이다.
중간선(midline)(98)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에어백(14)을 통해 연장한다. 중간선(98)은 에어백(14)의 최상단 에지와 최하단 에지로부터 등거리 이격되어 있다. 즉, 중간선은 H1으로 표시된 에어백 높이를 따라 중간에 위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공간(110)이 중간선(98) 위로 연장하도록 즉, 공간이 팽창 에어백(14)의 높이(H1)의 절반보다 큰 에어백(14)의 최하단 에지로부터의 깊이를 갖도록 전방부(62), 상부(90) 및 후방부(64)의 크기가 선택된다. 대안으로, 공간(110)은 에어백(14)의 높이(H1)의 절반 또는 절반보다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도시 생략). 에어백(14)에 공간(110)이 있는 것은 원하는 팽창 성능 기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팽창가능한 체적(60)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차량 충돌과 같이 에어백(14)의 팽창이 요망되는 상황의 발생을 감지할 때, 센서(50)는 도선(52)을 통해 팽창기(32)에 신호를 제공한다. 센서(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팽창기(32)가 작동되며 공지된 방식으로 팽창가능한 체적(60)에 팽창 유체를 제공한다. 팽창하는 에어백(14)은 좌석 뒷부분을 파열시키도록 앞좌석(16)의 좌석 뒷부분(23)에 힘을 가하며 에어백이 저장 상태로부터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완전히 팽창, 전개 및 가압 상태와 같은 전개 상태로 팽창할 수 있게 한다. 전개될 때 에어백(14)은, 차량 승객(20)이 앞좌석(16)에 충돌하는 것과 같은 차량(12)의 부분들과 충돌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전개될 때 에어백(14)은, 승객(20)에 의해 에어백(14)에 부여되는 충돌이 힘을 흡수하도록 조력함으로써 승객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객(20)이 에어백(14)에 충돌할 때, 승객이 에어백으로 침투하게 되는데, 이것은 에어백의 면적 및 체적에 걸쳐 충격력을 흡수하고 분배한다. 에어백(14)으로 "침투"한다는 것은, 차량(12)에 대한 전방 충돌의 경우에 도 2에 화살표 도면부호 42 및 점선 도면부호 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20)이 에어백과 접촉하게 앞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에어백(14) 내로 승객(20)의 침투는,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과 처음으로 접촉 즉, 전방부(62)의 표면(70)과 접촉하는 지점과 관련하여 승객이 에어백의 팽창된 깊이 내로 이동하는 거리 또는 정도이다.
환언하면, 침투 정도는 표면(70)의 소정 지점이 침투하는 승객(20')에 의해서 앞좌석(16) 쪽으로 이동되는 거리로서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침투 정도는 전체 에어백(14)의 완전 팽창 깊이(D1)와 좌석 뒷부분(23)에 대한 전체 에어백의 침투 깊이(도시 생략) 사이의 차이로 계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침투는 표면(70)의 하나의 지점과 승객과 면하는 앞좌석(16) 상의 고정 지점 사이, 또는 승객의 하나의 지점 예컨대 승객의 가슴과 승객이 처음으로 에어백(14)과 접촉하기 시작하는 좌석 뒷부분(23)의 고정 지점(도시 생략) 사이의 거리 변화로 측정될 수 있다.
몇 가지 인자들이 승객(20)이 에어백(14)에 침투하는 정도를 결정한다. 예컨대, 승객(20)의 크기 또는 체중, 승객이 에어백(14)에 충돌하는 속도, 및 에어백의 가압화는 소정의 전개 시나리오에서 승객이 에어백에 침투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20)이 벨트를 착용한 경우에 안전벨트(18)는 승객의 구속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벨트를 착용한 승객(20), 특히 승객의 하부 몸통(122) 및 엉덩이(130)가 앞좌석(16)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것은 에어백(14)이 승객(20)으로부터 비교적 적은 저항 및 방해를 받으면서 팽창 및 전개할 수 있게 한다. 도면부호 20'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를 착용한 승객의 머리(124)가 에어백(14)의 전방부(62)에 침투, 더 구체적으로 상부(90) 부근의 에어백의 표면(70)에 침투한다. 벨트를 착용한 승객의 머리(124)는 승객의 크기 및/또는 에어백의 높이(H1)에 따라, 에어백(14)의 상부(90)를 또한 침투할 수 있다. 벨트를 착용한 승객의 상부 몸통(126)은 전방 로브(120)에서 에어백(14)의 하부(92)를 침투한다.
에어백(14)의 형상으로 인해, 전방부(62)는 앞좌석(16)을 향한 방향에서 침투하는 승객(20)에 의해 굴절되고, 따라서 전방부는 에어백의 후방부(64) 쪽으로 굴절된다. 공간(110)이 전방부(62)와 후방부(64) 사이에 이완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전방부는 공간 내로 굴절되며 후방부에 더욱 가까워진다. 승객(20')이 에어백(14)에 침투하는 정도 또는 거리는 비교적 또는 상대적으로 작다. 벨트를 착용한 승객(20)이 전방부 내로 완전 침투하는 동안에 전방부(62)가 후방부(64)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에어백(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14)의 강성은 승객(20)이 에어백에 침투할 때 공간(110)의 체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전방부(62)와 후방부(64) 사이의 공간(110)으로 인해, 전방부가 상부(90)에 대한 결합 구역을 통해 피벗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공간 내로 굴절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14)의 아랫부분들에 의해 제공되는 구속력은 윗부분들에 의해 제공되는 구속력보다 작다(약하다). 환언하면, 전체 깊이(D1)에 걸쳐 연속적인 체적이 에어백(14)에 있을 때 공간(110)이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승객(20)과 상호 작용하는 팽창가능한 체적(60)의 크기는 감소하며, 따라서 에어백(14)의 아랫부분에 의한 구속은 연속적인 에어백 디자인에 비해 초기에 더욱 약하다. 전방부(62)가 후방부(64)와 접촉하기에 충분하도록 승객(20)이 에어백(14)에 침투한다면, 침투하는 승객(20')과 앞좌석의 결합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접촉 부분들에 의한 구속은 더욱 강해질 것이다.
반대로, 에어백(14)의 상부(90)는 앞좌석(16)의 뒷부분으로부터 승객(20)에게 약간의 개방 공간을 두고 또는 전혀 개방 공간을 두지 않고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로브(120)에 의해 승객의 하부 몸통(122)에 제공되는 구속과 비교하여 상부(90)는 침투하는 환자의 머리(124) 및 상부 몸통(126)에 더욱 강한 구속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백(14)은 바람직한 성능 기준을 충족하기 위하여 침투하는 승객(20')에게 가변적인 구속을 제공하는 데에 유리하다.
더욱이, 이음매(100)의 수직 형상으로 인해 각각의 챔버(102)는 최상단 에지와 최하단 에지 사이에서 전방부(62)를 따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속을 제공한다. 결국, 상이한 머리 위치 또는 높이를 갖는 승객(20)들은 전방부(62)의 높이를 따라 어디에 머리(124)가 충돌하는지에 관계없이 비슷한 구속을 받는다. 그러므로, 전방부(62)의 각각의 챔버(102)의 높이는 뒷좌석(22)의 승객(20)의 예상 크기에 기초한 승객 머리(124)의 가능한 위치 범위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벨트를 착용한 승객(20)이 전방부(62)가 후방부(64)와 결합을 일으키기 충분하도록 에어백(14) 내로 침투한다면, 즉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의 공간(110)이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사라진다면, 두 개의 더 작은 체적의 에어백들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맞닿게 위치되므로 본 발명의 에어백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승객 구속을 초래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단일 체적 에어백(14)이 압박되지 않는 공간(110)을 구비하므로 이러한 이중 에어백 형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균일한 승객(20) 구속을 초래할 수 있다.
전방부(62)가 후방부(64)와 결합하는 것은 더욱 큰 승객(20) 및/또는 더욱 고속의 충돌 상황에서 일어난다. 결국, 충돌 상황의 후기 단계들 중에 이런 결과적인 강한 구속은 승객 대 앞좌석(16)의 접촉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하다. 머리(124) 및 상부 몸통이 앞좌석(16)에 충분히 근접하게 되어 공간(110)이 제로 체적 또는 제로 체적 가까이 붕괴하는 경우,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공간(110)은 에어백(14)이 가변적인 승객(20)에게 구역으로, 즉 머리(124)와 몸통(122, 126)에 구속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즉 강해지는 구속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백(14)의 이격되고, 이동가능한 챔버 형태는 승객의 각도 운동과 관련한 종래의 에어백의 다른 문제들을 또한 해결한다. 이격되고, 이동가능한 챔버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의도한 반응 표면과 직접 인접하게 또는 결합하게 전개된다. 승객이 종래의 에어백과 결합하자마자(또는 그 후에 곧), 에어백은 승객과 반응 표면 사이에 꼼짝 못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에어백의 측면 이동에 대한 저항은 상당히 감소 또는 완전히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에어백의 각도 이동 또는 측면 이동에 대한 저항은 승객, 특히 승객의 머리의 회전 이동을 초래할 수 있고 목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에어백(14)의 이격되고, 이동가능한 챔버 형태에 따라, 전방부(62)가 후방부(64)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부에 대해 각도를 이룬 방향으로 또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각도를 이룬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과 같이, 전적으로 순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승객(20)을 에어백(14)과 결합하도록 하는 상황에서, 후방부(64)로부터 이격되어 초기에 결합하는 전방부(62)는 각도를 이룬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승객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각도 또는 오프셋 차량 충격이나 충돌의 상황인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에어백(14)의 전개가 일어나는 상황의 시점에서 승객이 일반적인 착석 위치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는 경우일 수 있다.
전방부가 후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반응 표면과 자체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후방부에 대해 이동하는 전후 자유도 이외에 어느 정도의 측방향 자유도를 갖는다. 초기에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승객과 함께 이동하는 것은 에어백(14)에 대한 충격으로 승객의 머리를 회전시키고 목의 비틀림을 유발하는 정도 및 격렬함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감소한 체적의 에어백(14)은 연속 체적의 에어백에 비해 더욱 신속하게 위치되고 충전될 수 있으므로, 에어백(14)의 작은 체적 형태는 구속의 더욱 이른 개시를 또한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팽창기(32)의 필요한 크기 및 비용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팽창기(32), 에어백(14)의 상부(90), 전방부(62) 및 공간(110)은 바람직한 성능 파라미터들 내에서 도 2의 팽창 상태로 에어백을 팽창, 전개 및 가압하기 충분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제공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벨트를 착용한 승객(20)은 예상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상부(90), 전방부(62) 및 공간(110)의 형태는 장치의 신뢰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에어백(14)의 작은 체적 구조는 에어백이 승객(20')에 대한 가변적인 구속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능동적인 또는 적응적인 분출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14)의 적은 체적 구조는 가변적인 승객 구속을 제공하는 에어백의 능력을 절충하는 일없이 더 큰 승객을 수용하도록 루프(19)와 결합하는 데 충분하도록 에어백의 전방부(62)의 높이가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어백(14)의 구조는 에어백이 다양한 앞좌석 상태에 기초하여 뒷좌석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앞좌석(16) 및/또는 뒷좌석(22)의 다양한 위치에 유리하게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에어백(14)은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에 전후 방향의 거리가 변화할 때 승객(20)에게 유사한 구속을 제공하는 데 조력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에어백(14)의 전방부(62)와 후방부(64) 사이의 공간(110)은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의 전후 거리와 상관없이, 팽창된 에어백이 동일한 대체로 아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의 전후 거리가 증가할 때(이에 의해 승객(20)을 앞좌석으로부터 더욱 이동시킨다), 전방부(62)는 앞좌석에 고정된 후방부(64)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팽창하고 전개한다. 결과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공간(110)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에 의해 에어백(14)의 높이(H1)를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의 전후 거리가 감소할 때(이에 의해 승객(20)을 앞좌석에 더 가까이 이동시킨다), 전방부(62)는 앞좌석에 고정된 후방부(64)에 더 가까이 전개한다. 결과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공간(110)의 크기가 감소하고, 이에 의해 에어백(14)의 높이(H1)를 증가시킨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에어백(14)의 아치 형상의 형태가 앞좌석(16)과 뒷좌석(22) 간의 상이한 공간 관계와 일치하도록 팽창 또는 붕괴한다.
에어백(14)은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의 전후 간격과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좌석 뒷부분(23)은 전개 및 침투 승객(20')으로 인해 에어백(14)의 순방향 이동에 대항하는 주요한 반응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각 경우에 전방부(62)는 승객(20)과 결합하기 전에 완전히 팽창되고 승객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및 승객과 결합할 때 완전 팽창된 상태를 유지한다. 침투 승객(20')은 그 후에 전방부(62)를 후방부(64) 쪽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부와 후방부가 에어백(14)을 강경하게 하도록 서로 접촉할 때 증가하는 승객에 대한 구속을 제공한다.
도 3a는 앞좌석(16)으로부터 제1 거리(d1)로 이격되어 있는 뒷좌석(22)의 승객(20)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컨대 앞좌석(16)이 더욱 작은 또는 짧은 앞좌석 승객(20)을 수용하도록 뒷좌석(22)으로부터 멀어지고 계기판(36) 쪽으로 이동될 때 일어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14)의 전후 깊이는 에어백이 아치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의 거리(d1)와 동일하다. 도 3a에서 에어백(14)은 높이(H1)를 갖는다.
도 3b는 앞좌석(16)으로부터 제1 거리(d1)보다 작은 제2 거리(d2)로 이격되어 있는 뒷좌석(22)의 승객(20)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컨대 앞좌석(16)이 일반적인 크기의 앞좌석 승객(20)을 수용하도록 계기판(36)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동될 때 일어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14)의 전후 깊이는 거리(d2)와 동일하며 따라서, 도 3b의 아치형 에어백(14)은 도 3a의 에어백(14)에 비해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도 3b에서 에어백(14)은 높이(H1)보다 큰 높이(H2)를 갖는다.
도 3c는 앞좌석(16)으로부터 제2 거리(d2)보다 작은 제3 거리(d3)로 이격되어 있는 뒷좌석(22)의 승객(20)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컨대 앞좌석(16)이 더욱 큰 또는 더욱 긴 앞좌석 승객(20)을 수용하도록 계기판(36)으로부터 멀어지고 뒷좌석(22) 쪽으로 이동될 때 일어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14)의 전후 깊이는 거리(d3)와 동일하며 따라서, 도 3c의 아치형 에어백(14)은 도 3a 및 도 3b의 에어백(14)들에 비해 전후 방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도 3c에서 에어백(14)은 높이(H2)보다 큰 높이(H3)를 갖는다.
도 3a 내지 도 3c의 어느 좌석 상태에서 에어백(14)의 전개 중에, 팽창된 전방부(62)는 표면(70)이 승객(20)과 인접할 때까지 전방부(64)로부터 멀어져 뒷좌석(22) 쪽으로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전방부(62)는 완전 팽창되고 승객은 에어백(14)에 침투하지 않는다. 그 후에 승객(20)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전개된 에어백(14)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에어백들은 에어백이 완전히 전개하도록 허용될 때, 즉 승객이 에어백에 침투하지 않을 때 전후 방향으로 오직 하나의 팽창 깊이만을 갖는다. 환언하면, 승객이 앞좌석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이격되면 종래 기술의 에어백은 동일한 팽창 깊이까지 완전히 팽창하고, 전개된 에어백과 승객 사이에 간극을 남긴다. 이러한 간극은 승객이 에어백과 결합하기 전에 에어백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속도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에어백에서 필요로하는 구속의 정도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환언하면,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에어백들은 승객이 에이백과 결합하게 간극을 통해 이동하는 시간 동안 승객의 지연된 구속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이 시간 동안 승객이 속도를 얻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이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승객이 최적 방식보다 적게 에어백과 충돌하는 것을 초래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에어백(14)은 전개 중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또는 확장하는 것에 의해서 뒷좌석(22)의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거나 맞추어진다. 에이백(14)에 의한 이러한 전후 이동은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의 거리와 무관하게 에어백이 승객과 확실하게 결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전히 전개되어 일치하는 에어백(14)과 뒷좌석(22)의 승객(20) 사이에 간극이 전혀 없다. 결과적으로, 에어백(14)은 침투 승객(20')에 대한 즉각적인 구속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즉각적인 구속은 승객이 앞좌석(16)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승객이 에어백과 상호 작용하는 동안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기회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a)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c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이들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c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된다. 다른 한편, 도 1 내지 도 3c의 구성요소와 다른 도 4a 및 도 4b의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에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미사 "a"가 추가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에어백(14a)의 하부(92)의 최하단 에지는 중간선(98)에 대해 상부(90)의 최하단 에지로부터 오정렬 되어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62)의 하부는 후방부(64)의 하부 아래로 연장한다. 따라서, 팽창된 에어백(14a)은 대체로 곡선이며,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형태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 및 후방부(62, 64)의 하부는 에어백(14a)의 나머지 부분과 관련하여 외부로(안쪽 및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전방부 및 후방부(62, 64)의 하부들은 실질적으로 절두 원뿔형(frustoconical shape)이고, 반면에 에어백(14a)의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에어백(14)의 길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 내지 도 3c의 에어백(14)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a)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a)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4a 및 도 4b의 에어백(14a)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b)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하부(92)는 팽창가능한 체적(6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리세스 또는 포켓(125)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더욱 작은 팽창기(32)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전방부(62)의 하부는 리세스(125)의 측면에서 안쪽 및 바깥쪽으로 확대된다. 에어백(14b)은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앞좌석(16)에 부착되는 후방부(64)의 하부는 후방부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확대된 둥근 형상이다.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에어백(14b)의 길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4a 및 도 4b의 에어백(14)과 마찬가지로, 에어백(14b)은 대체로 곡선이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형태이며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b)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b)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5a 및 도 5b의 에어백(14a)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c)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도 4a 및 도 4b의 에어백(14a)과 마찬가지로 에어백(14c)은 대체로 곡선이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형태이다. 그러나, 공간(110)이 상부(90)를 통해 하부(92) 쪽으로 연장하고 하부(92)의 내부 표면(128)에서 종료하도록 에어백(14c)은 에어백(14b)에 비해 뒤집어져 있다. 에어백(14c)은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전방부(62)의 상부는 후방부(64)의 상부 위로 연장한다. 전방부 및 후방부(62, 64)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 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방부 및 후방부가 더욱 대칭적인 아치 또는 U자 형상 에어백(14c)(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도록 택일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에어백(14c)의 길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 내지 도 3c의 에어백(14)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c)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c)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6a 및 도 6b의 에어백(14c)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d)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 전방부(62)와 후방부(64)는 상부(90) 및 하부(92) 모두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환언하면, 팽창된 에어백(14d)은 둥근 고리 또는 다각형 고리를 형성하며, 공간(110)은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에어백(14d)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한다. 따라서, 공간(110)은 상부(90) 또는 하부(92)를 통해 연장하지 않는다.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이음매들이 공간(110)을 둘러싸도록 에어백(14d)의 부분(62, 64, 90, 92)들 따라 연장한다. 이음매(100)들은 챔버(102)를 한정하도록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에어백(14d)은 전방부(6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140)들은 에어백(14)의 각 측면부(80, 82)에 인접한 전방 표면(70)으로부터 연장하는 팽창가능한 부분들을 구성한다. 각각의 유지부(140)는 전방부(62)를 따라 수직 방향에서 세로로 연장한다. 유지부(140)들은 서로에 대해 외부로(안쪽 및 바깥쪽으로) 연장하거나 서로 평행일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유지부(140)들은 에어백(14d) 내로 침투하는 동안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도록 전방부(62)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유지부(140)들은 에어백(14d)과 측방향으로 경사진 충돌을 처리함으로써 승객 머리(124)의 회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1 내지 도 3c의 에어백(14)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d)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d)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7a 내지 도 7c의 에어백(14d)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e)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 팽창된 에어백(14e)은 둥근 고리 또는 다각형 고리를 형성하며, 공간(110)은 전체 에어백(14d)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공간(110)은 측면부(80, 82)를 통해 또는 측면부로 연장하지 않고 오히려 측면부에 의해 감싸진다. 이 실시예에서, 유지부들은 생략되지만 대안적으로 전방부(62)에 제공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위에서 보았을 때 에어백(14e)이 둥근 모서리를 갖는 대체로 삼각형이 되도록 측면부(80, 82)들은 후방부(64)로부터 외부로(안쪽 및 바깥쪽으로) 그리고 서로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측면부(80, 82) 사이의 각도는 성능 기준을 충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전방부(62)는 전후 방향으로 후방부(64)보다 두껍다.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이음매들이 공간(110)을 둘러싸도록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각각의 부분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한다. 추가적인 이음매(100)들이 챔버(102)를 한정하고 맞추는 것을 또한 도와주도록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c의 에어백(14)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e)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e)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8a 내지 도 8c의 에어백(14e)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f)을 도시한다. 에어백(14f)은 도 8a 내지 8c의 에어백(14e)과 유사하다. 그러나, 에어백(14f)은 서로로부터 기설정된 방위 또는 각도에 측면부(80, 82)들을 유지하기 위해 측면부들을 사이에 연장하며 측면부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150)들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150)들은 예컨대 탄성 또는 비탄성 테더 혹은 패브릭 피스와 같은 비-팽창성 부분들을 구성할 수 있거나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들은 에어백(14f)의 최상단 에지 및/또는 에어백의 최하단 에지에 위치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지지 부재(150)들은 측면부(80, 82)들을 서로 평행하게 더욱 가까워지게 하는데, 이것은 에어백(14f)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측면부(80, 82)들을 더욱 가까워지게 함께 당김으로써 공간(11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의 깊이가 감소되고, 측면부들은 차량(12)의 전후 방향을 따른 방향에 가까워지게 연장한다. 소정 각도에서 압축되는 것과 반대로 이러한 구조에서 측면부(80, 82)들은 그 길이를 따라 승객(20) 침투가 더욱 진행되는 동안 압축된다. 지지 부재(150)들은 승객(20) 구속 중에 측면부(80, 82)들이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또한 도움을 준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지지 부재(150)들은 동일한 목적을 제공하기 위해 이음매(100)들 사이에 연장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이음매들이 공간(110)을 둘러싸도록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부분(62, 64, 80, 82, 90, 92)들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한다. 추가 이음매(100)들은 챔버(102)를 한정하고 맞추는 데 또한 도움을 주도록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음매(100)들은 에어백(14f)의 챔버(102)들이 오목형이 되도록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에어백(14f)의 챔버(102)들은 공간(110)을 향하여 안쪽으로 곡선을 이루며, 이에 의해 에어백의 팽창 체적을 감소시킨다.
도 1 내지 도 3c의 에어백(14)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f)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f)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9a 내지 도 9c의 에어백(14f)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10a 및 10b와 도 11a 및 11b는 도 9a 내지 도 9c의 에어백(14f)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 에어백(14g, 14h)을 도시한다. 에어백(14g, 14h) 모두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150)들을 포함하며, 에어백(14g, 14h)에서의 공간(110)은 에어백(14f)에서의 공간(110)으로부터 약간 변경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4i)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상부(90)는 전방부(62) 또는 후방부(64)의 두께보다 큰 두께(t1), 즉 챔버(102) 두께를 갖는다. 상부(90)에서 증가한 두께는 침투 승객(20')에게 더욱 큰 구속을 제공한다. 에어백(14i)은 위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챔버(102)들을 한정하는 이음매(100)들은 에어백(14b)의 길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음매(100)들은 로브(120)의 체적에 비해 확대된 체적을 갖는 상부(90)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승객(20)에게 가장 가까운 로브(120)는 상부(90)로부터 승객의 하부 몸통(122)에 인접한 최하단 에지까지 그 길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t2)를 갖는다.
도 4a 및 도 4b의 에어백(14a)과 마찬가지로, 에어백(14i)은 대체로 곡선이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형태이며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i)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추가로, 도 12a 및 도 12b의 에어백(14i)은 승객(20)과 앞좌석(16)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에어백(14')은 차량(12)의 루프(19)에 고정되고 차량의 루프로부터 전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에서 차량(12)의 루프(19)는 전개하는 에어백(14')을 위한 반응 표면으로서 작용하며 거리(D1)는 전후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의 요소이다. 에어백(14')은 앞서 설명한 에어백(14 - 14c)들 중의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30)은 에어백(14')이 앞좌석(16)과 뒷좌석(22) 사이의 승객(20)을 향해 아래로 전개하도록 루프(19) 내에 위치된다. 에어백(14')은 도 1, 도 4a, 도 5a 또는 도 6a에서의 에어백(14 - 14c)들과 유사할 수 있고, 에어백은 후크 형상, 아치 형상 또는 U자 형상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에어백(14')은 다양한 좌석(16, 22) 상태들과 일치하도록 에어백을 전개할 수 있는 공간(110)을 포함한다. 전방부(62)가 뒷좌석 승객과 인접할 때까지 전방부가 후방부(64)에 대해 차량의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에어백(14')은 승객(20)을 향한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환언하면, 루프 장착식 에어백(14')은 앞좌석 장착식 에어백(14 - 14c)과 유사하게 거동한다. 하나 이상의 테더(도시하지 않음)가 에어백(14')의 전개 및 후방부(64)에 대한 전방부(6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루프(19)에 전방부(62)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계기판(36)에 고정되고 계기판으로부터 전개할 수 있는 에어백(14j, 14k)들을 도시하며, 한쪽(24)이 차량(12)의 조수석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 계기판(36)은 전개하는 에어백(14j, 14k)을 위한 반응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대안으로, 에어백(14j, 14k)은 차량(12)의 운전석의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고 핸들로부터 전개할 수 있으며, 핸들이 반응 표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에어백(14j) 또는 에어백(14k)은 앞서 설명한 에어백(14 - 14i)들 중의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도시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30)은 에어백(14j)이 계기판과 앞좌석(16) 사이의 승객(20)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전개하도록 계기판(36) 내에 위치된다. 후방부(64)의 로브(120)가 하우징(34)의 개구(44)로부터 이격되며 계기판(36)의 뒤에 위치된다.
에어백(14j)은 다양한 앞좌석(16) 상태를 계기판(36)에 대해 일치시키도록 에어백을 전개할 수 있는 공간(110)을 포함한다. 전방부(62)가 승객과 인접할 때까지 전방부가 후방부(64)에 대해 차량의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에어백(14j)은 앞좌석 승객(20)을 향한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환언하면, 도 14의 계기판 장착식 에어백(14j)은 앞좌석 승객(20)과 계기판(36) 반응 표면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2b의 에어백(14 - 14i)들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j)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j)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30)은 에어백(14k)이 계기판과 앞좌석(16) 사이의 승객(20)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전개하도록 계기판(36) 내에 위치된다. 후방부(64)의 로브(120)가 하우징(34)의 개구(44)를 통해서 차량(12)의 루프(19)를 향하여 연장한다.
에어백(14k)은 다양한 앞좌석(16) 상태를 계기판(36)에 대해 일치시키도록 에어백을 전개할 수 있는 공간(110)을 포함한다. 전방부(62)가 앞좌석 승객과 인접할 때까지 전방부가 후방부(64)에 대해 차량의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에어백(14k)은 앞좌석 승객(20)을 향한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환언하면, 도 15의 계기판 장착식 에어백(14k)은 앞좌석 승객(20)과 계기판(36) 반응 표면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까지 전후 방향으로 자동으로 연장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2b 및 도 14의 에어백(14 - 14j)들과 마찬가지로, 침투 승객(20')에 작용하는 에어백(14k)의 구속력은 전방부(62)와 후방부(64)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감소된다. 에어백(14k) 내로 추가적인 승객(20) 침투는 에어백에 의한 더욱 큰 구속을 초래한다.
도 16a 내지 도 20b는 여기에서 설명된 에어백 형태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에어백 모듈/하우징이 장착될 수 있는 차량의 다양한 위치와 이들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에어백의 전반적인 형태 및 배향을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20b에 도시된 에어백 형태들은 전반적인 모듈/하우징 장착 위치와 전반적인 에어백 형태 및 배향을 보여주고 있다. 도 16a 내지 도 20b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이들 도면에 도시된 특정 위치, 형태, 형상, 크기 및 규모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a 내지 도 20b에 도시된 에어백은 그 형태가 개별적인 각각의 실시예에 도시된 전반적인 실시예와 일치한다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에어백 모듈을 위한 좌석 및 계기판 장착 위치와 이들 장착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반적인 에어백 형태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에서, 차량(12)의 조수석(28)의 앞좌석(16)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도록, 에어백 모듈(30m)이 계기판(36)에 장착된다. 뒷좌석(22),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도록, 에어백 모듈(30m)은 뒷좌석 승객의 전방에 위치된 좌석(도 16a 및 도 16b에서 조수석)의 좌석 뒷부분(23)에 장착된다. 도 16a 및 도 16b에서, 에어백(14m)은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전도된 곡선의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형태이다. 도 16b에서, 에어백(14m)은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대체로 위쪽으로 면한 곡선의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형태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에어백 모듈을 위한 좌석 및 계기판 장착 위치와 이들 장착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반적인 에어백 형태를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도시되어 있는 승객은 운전석을 제외한 곳에 착석한 승객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특정 차량 구조는 상이한 차량 좌석 위치를 포괄하도록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a는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곡선인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14n)을 도시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조수석의 앞좌석(16)에 착석하는 경우, 모듈(30n)은 계기판(36)에 장착되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n)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조수석의 뒷좌석(16)에 착석하는 경우, 모듈(30n)은 승객(20)의 전방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23)에 장착되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n)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운전석의 뒷좌석(16)에 착석하는 경우, 모듈(30n)은 승객(20)의 전방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23)에 장착되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n)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도 17b는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곡선인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14n)을 도시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조수석의 앞좌석(16)에 착석하는 경우, 모듈(30n)은 계기판(36)에 장착되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n)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승객(20)이 차량의 조수석의 뒷좌석(16)에 착석하는 경우, 모듈(30n)은 승객(20)의 전방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23)에 장착되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n)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승객(20)이 차량의 운전석의 뒷좌석(16)에 착석하는 경우, 모듈(30n)은 승객(20)의 전방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23)에 장착되고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n)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에어백 모듈을 위한 루프 장착 위치와 이들 장착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반적인 에어백 형태를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차량의 조수석(28)의 앞좌석(16)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도록, 에어백 모듈(30p)이 앞유리(38)에 인접한 또는 가까운 계기판(36) 위의 차량 루프(19)에 장착된다. 뒷좌석(22),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도록, 에어백 모듈(30p)은 뒷좌석 승객과 그 승객의 전방에 위치한 좌석 사이의 공간의 대체로 위의 차량 루프(19)에 장착된다. 도 18a에서, 에어백(14p)은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위쪽으로 면한 곡선의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형태이다. 도 16b에서, 에어백(14p)은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대체로 전도된 곡선의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형태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에어백 모듈을 위한 추가적인 루프 장착 위치와 이들 장착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반적인 에어백 형태를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에서, 에어백 모듈(30r) 및 에어백(14r)은 차량(12)의 운전석(24) 의 앞좌석(16)의 승객(20)을 보호하는 데 조력한다. 이들 도면에서, 에어백 모듈(30r)은 앞유리(38)에 인접한 또는 가까우며 계기판(36) 및 핸들(48) 위의 차량 루프(19)에 장착된다. 도 19a에서, 에어백(14r)은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위쪽으로 면한 곡선의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형태이다. 도 19b에서, 에어백(14r)은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대체로 전도된 곡선의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형태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에어백 모듈을 위한 루프 장착 위치와 이들 장착 위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전반적인 에어백 형태를 나타낸다. 도 20a 및 도 20b에서, 도시되어 있는 승객은 운전석(24) 또는 조수석(28), 운전석을 포함한 차량의 어느 곳에 착석한 승객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특정 차량 구조는 상이한 차량 좌석 위치를 포괄하도록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0a는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곡선인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14s)을 도시한다. 모듈(30s)은 차량 루프(19)에 장착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조수석에 착석하는 경우,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s)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운전석에 착석하는 경우,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s)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도 20b는 앞서 설명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곡선인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14s)을 도시한다. 모듈(30s)은 차량 루프(19)에 장착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조수석에 착석하는 경우,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s)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승객(20)이 차량(12)의 운전석에 착석하는 경우, 후크 형상 또는 U자 형상 에어백(30s)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연장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개선, 변경 및 변형을 인지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에어백 구조의 작동 및 기능적인 장점들은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임의의 변경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범주 내에서의 이들 및 다른 개선, 변경 및 변경들은 청구범위에 의해서 보호되도록 의도한 것이다.

Claims (20)

  1. 차량 승객을 수용하기 위한 좌석을 구비한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로서, 저장 상태로부터 차량 승객 보호 장치가 팽창되고 차량의 반응 표면과 차량 좌석의 승객 사이에 위치되는 전개 상태로 팽창할 수 있는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치를 포함하며,
    보호 장치는 상기 보호 장치가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반응 표면에 인접하거나 가까이 위치되는 후방부와, 상기 보호 장치가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차량 좌석의 승객과 후방부 사이에 위치되는 전방부를 포함하고,
    전방부와 후방부는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팽창가능한 체적 외부에 빈 공간이 있는 이격된 형태이며, 전방부는 승객 침투에 응답하여 그리고 보호 장치 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빈 공간 내로 후방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보호 장치는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위치된 연결부를 또한 포함하며, 팽창 및 전개 상태에 있을 때 보호 장치가 곡선의 U자 형상 또는 후크 형상 형태가 되도록, 연결부가 전방부 및 후방부의 상부, 하부, 안쪽, 바깥쪽 중의 하나에서 전방부와 후방부를 상호 연결하고,
    보호 장치는 전도된 U자 형상 형태이며, 전방부의 하부는 후방부의 하부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부는 전후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후방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의 전방부는 전방부가 후방부로부터 이격될 때 가압력으로 인해 승객 침투에 대해 제1 구속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보호 장치는 침투 승객이 전방부를 후방부와 결합하게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승객 침투에 대해 제1 구속도보다 큰 제2 구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구속도는 침투 승객의 초기 충격력의 일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전방부가 후방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전방부와 후방부 내에 상이한 챔버를 한정하도록 전방부 및 후방부의 팽창 깊이를 제어하는 이음매들을 또한 포함하며, 챔버들은 승객 침투에 대해 상이한 저항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U자 형상 또는 후크 형상 형태의 중앙부를 포함하며 전방부 및 후방부는 U자 형상 또는 후크 형상 형태를 완성하도록 중앙부로부터 연장하며 이에 의해 전방부와 후방부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의 개별적인 팽창가능한 체적을 한정하는 각 쌍의 대향하는 패널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측정된 팽창되는 두께를 가지며, 전방 패널이 후방부와 결합하게 수축될 때 전방부의 후방 패널은 후방부의 전방 패널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위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후방부를 향하여 전방부 내로 연장하는 포켓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좌석은 차량의 뒷좌석이고, 보호 장치는 그 좌석의 앞쪽에 위치된 좌석 뒷부분에 저장되며 좌석 뒷부분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승객과 좌석 뒷부분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좌석은 차량의 앞좌석이고, 보호 장치는 차량의 계기판에 저장되며 계기판이 보호 장치를 위한 반응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승객과 계기판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조력하는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13522A 2014-10-21 2015-10-21 자체-일치형 에어백 KR101996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6605P 2014-10-21 2014-10-21
US62/066,605 2014-10-21
US201462067075P 2014-10-22 2014-10-22
US62/067,075 2014-10-22
US14/583,856 2014-12-29
US14/583,856 US9707921B2 (en) 2014-10-21 2014-12-29 Self-conforming rearseat air bag
PCT/US2015/056543 WO2016064936A1 (en) 2014-10-21 2015-10-21 Self-conforming air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224A KR20170070224A (ko) 2017-06-21
KR101996573B1 true KR101996573B1 (ko) 2019-07-04

Family

ID=5574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522A KR101996573B1 (ko) 2014-10-21 2015-10-21 자체-일치형 에어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07921B2 (ko)
EP (1) EP3209527B1 (ko)
JP (1) JP6718441B2 (ko)
KR (1) KR101996573B1 (ko)
CN (1) CN107148374B (ko)
WO (1) WO2016064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1952B4 (de) * 2014-02-12 2019-01-24 Daimler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US10525927B2 (en) * 2014-10-21 2020-01-07 Trw Automotive Gmbh Self-conforming rearseat air bag
JP6299710B2 (ja) * 2015-09-04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902361B2 (en) * 2016-02-29 2018-02-27 Toyoda Gosei Co., Ltd. Center airbag device
JP2017222331A (ja) * 2016-06-17 2017-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6885046B2 (ja) 2016-07-12 2021-06-09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6801379B2 (ja) * 2016-11-04 2020-12-16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後席用エアバッグ
DE102016122592A1 (de) * 2016-11-23 2018-05-24 Trw Automotive Gmbh Gassack zum Schutz eines Fahrzeuginsassen, Gassackmodul und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solchen Gassack
US10035484B2 (en) * 2017-01-03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US10703323B2 (en) * 2017-01-11 2020-07-07 Zoox, Inc. Occupant protection system including expandable curtain and/or expandable bladder
JP6579128B2 (ja) * 2017-02-22 2019-09-25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624115B2 (ja) * 2017-02-22 2019-12-25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597681B2 (ja) * 2017-03-15 2019-10-30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597682B2 (ja) * 2017-03-15 2019-10-30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8150013A (ja) * 2017-03-15 2018-09-27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601804B2 (ja) * 2017-03-27 2019-11-06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US10632956B2 (en) * 2017-05-03 2020-04-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safety restraint system for protecting a rear seat occupant
EP3421301A1 (en) * 2017-06-27 2019-01-02 Volvo Car Corporation Rear seat airbag system
US10518737B2 (en) * 2017-08-17 2019-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US10414371B2 (en) * 2017-08-23 2019-09-17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US10814823B2 (en) * 2017-08-29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ergy absorber
US10464518B2 (en) 2017-09-12 2019-1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system
JP6764452B2 (ja) * 2017-10-10 2020-09-30 ゼット・エフ・パッシブ・セーフティ・システムズ・ユーエ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合致後方シート用エアバッグ
US10407018B2 (en) 2017-10-10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of mounted airbag
JP6761400B2 (ja) * 2017-10-20 2020-09-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3483012B1 (en) * 2017-11-09 2020-05-27 Autoliv Development AB Frontal airbag unit and motor vehicle
US10703321B2 (en) * 2017-11-20 2020-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US10688954B2 (en) * 2017-11-29 2020-06-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with tethered reaction surface and cushion configured to permit forward head rotation
WO2019135861A1 (en) * 2018-01-03 2019-07-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ver airbag
US10625701B2 (en) * 2018-01-04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JP2019137108A (ja) * 2018-02-06 2019-08-22 マツダ株式会社 後席エアバッグ装置
CN111819113A (zh) * 2018-03-01 2020-10-23 Zf被动安全系统美国公司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US10710539B2 (en) * 2018-03-23 2020-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mounted restraint system
DE102018208941B4 (de) * 2018-06-06 2023-05-25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eines Kraftfahrzeugs
KR102064844B1 (ko) * 2018-06-07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1186248B2 (en) * 2018-06-08 2021-11-30 Toyoda Gosei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2614144B1 (ko) * 2018-10-17 2023-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테이블용 에어백
US10960840B2 (en) 2018-10-31 2021-03-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notched deployment controlling flap
US11059449B2 (en) 2019-05-17 2021-07-13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JP7223333B2 (ja) * 2019-09-26 2023-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7223334B2 (ja) * 2019-09-26 2023-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7180577B2 (ja) * 2019-09-27 2022-11-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21126363A1 (en) * 2019-12-20 2021-06-24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Roof mounted occupant safety system
US11479201B2 (en) * 2020-02-20 2022-10-25 Schroth Safety Products Llc Chamber adjustable stiffness airbag
CN113428106B (zh) * 2020-03-04 2023-05-05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框架式空心安全气囊和安全气囊装置
US11491943B2 (en) 2020-03-30 2022-11-08 Toyoda Gosei Co., Ltd. Front passenger seat airbag
JP7223344B2 (ja) * 2020-03-30 2023-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
US11351946B1 (en) * 2021-02-12 2022-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inflatable behind seatback of front seat
US11685328B2 (en) * 2021-04-29 2023-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having multiple inflation chambers supported on a dash
US11685330B2 (en) * 2021-07-21 2023-06-27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Roof mounted airbag module
DE102021004054A1 (de) 2021-08-05 2023-02-09 Mercedes-Benz Group AG Airbagvorrichtung zum Anordnen an einem Rückenteil einer verschiebbaren Sitz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Sitzvorrichtung
US11975674B2 (en) 2021-12-17 2024-05-07 Waymo Llc Airbag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0515A1 (en) 2005-11-24 2007-05-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apparatus
KR100757626B1 (ko) * 2006-06-23 2007-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20120193896A1 (en) * 2011-01-31 2012-08-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duced volume air bag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4606A (en) 1955-10-05 1958-05-13 Harry A Bertrand Safety device for passengers
US3617073A (en) 1969-09-17 1971-11-02 Irving Landsman Automobile safety system
US3791667A (en) 1972-05-04 1974-02-12 H Haviland Retractable vehicle passenger cushioning system
JPS63301144A (ja) * 1987-06-01 1988-12-08 Kyoko Mizoguchi 気体緩衝体
JPH04212652A (ja) * 1990-04-27 1992-08-04 Daicel Chem Ind Ltd 補助バッグ
JPH06344844A (ja) * 1993-06-07 1994-12-20 Takata Kk エアバッグ
DE19525441C2 (de) 1995-07-13 2000-05-11 Van Riesen Gmbh U Co Kg Airbaganordnung
EP1156949A1 (en) * 1999-01-12 2001-11-28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and a method of deploying an air-bag
GB2362139B (en) * 2000-05-10 2003-07-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DE10033937C2 (de) * 2000-07-05 2002-09-26 Takata Petri Ag Gassack für eine Insassen-Schutzeinrichtung
US6588793B2 (en) * 2001-09-19 2003-07-08 Autoliv Asp, Inc. Thin airbag module design for overhead applications
JP2003160016A (ja) * 2001-11-22 2003-06-03 Takata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24138A1 (de) * 2002-05-24 2003-12-11 Takata Petri Ag Fahrer- oder Beifahrerairbag
US7025376B2 (en) * 2003-03-04 2006-04-11 Autoliv Asp, Inc. One piece cushion for personal airbag
DE10325124B4 (de) * 2003-06-04 2006-03-16 Autoliv Development Ab Frontairbag mit nachgiebiger Aufprallzone
JP2006117235A (ja) * 2004-10-21 2006-05-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7900939B2 (en) 2004-11-16 2011-03-08 Douglas Robinson Wheelbarrow
JP2007276536A (ja) * 2006-04-03 2007-10-25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7607683B2 (en) * 2006-05-11 2009-10-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ith po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006962A (ja) * 2006-06-29 2008-01-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WO2008030144A1 (en) * 2006-09-04 2008-03-13 Autoliv Development Ab AN AlRBAG
DE102007007010B4 (de) * 2007-02-08 2011-06-16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modul und Kraftfahrzeug
DE102007052246B4 (de) * 2007-11-02 2020-06-04 Daimler Ag Airba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WO2010036162A1 (en) * 2008-09-26 2010-04-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nd method of forming an airbag
US8196955B2 (en) * 2009-07-01 2012-06-12 Tk Holdings Inc. Airbag system
JP5513044B2 (ja) * 2009-09-11 2014-06-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11099158A1 (ja) * 2010-02-15 201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219694B1 (ko) * 2010-08-30 2013-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5470222B2 (ja) * 2010-11-05 2014-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241157B1 (ko) * 2010-11-29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장 에어백 장치
US8622417B1 (en) * 2012-07-05 2014-01-07 Autoliv Asp, Inc. Airbag with low-volume structure
DE102012213284A1 (de) * 2012-07-27 2014-02-13 Takata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14001952B4 (de) * 2014-02-12 2019-01-24 Daimler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US9308883B1 (en) * 2015-03-16 2016-04-12 Autoliv Asp, Inc. Low-volume seat-mounted airbag with knee restrai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0515A1 (en) 2005-11-24 2007-05-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apparatus
KR100757626B1 (ko) * 2006-06-23 2007-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20120193896A1 (en) * 2011-01-31 2012-08-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educed volume ai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8441B2 (ja) 2020-07-08
US9707921B2 (en) 2017-07-18
US20170334387A1 (en) 2017-11-23
KR20170070224A (ko) 2017-06-21
WO2016064936A1 (en) 2016-04-28
EP3209527B1 (en) 2020-05-06
US10336282B2 (en) 2019-07-02
CN107148374A (zh) 2017-09-08
US20160107598A1 (en) 2016-04-21
EP3209527A1 (en) 2017-08-30
EP3209527A4 (en) 2018-04-11
JP2017531592A (ja) 2017-10-26
CN107148374B (zh)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573B1 (ko) 자체-일치형 에어백
US11305720B2 (en) Self-conforming rearseat air bag
US8876156B2 (en) Reduced volume air bag
JP6624308B2 (ja) 乗員の頭部の回転速度を低下させるための前面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
JP2017531592A5 (ko)
JP6634450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11345305B2 (en) Adaptiv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US20200406852A1 (en)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0363898B2 (en) Air-bag device
JP6373547B2 (ja) 乗員拘束システム
CN109318850A (zh) 具有安全气囊的座椅
EP3470273B1 (en) Self-conforming rearseat air bag
CN111886160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US20130015642A1 (en) Bonnet airbag
CN111284441A (zh) 用于车辆的乘客保护系统
CN114763120A (zh) 乘员约束系统
US11628791B2 (en) Driver airbag
US10710543B2 (en) Central passenger air bag
US10960840B2 (en) Airbag with notched deployment controlling flap
JP5369732B2 (ja) 車両の内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