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626B1 - 에어백 장치의 쿠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626B1
KR100757626B1 KR1020060056755A KR20060056755A KR100757626B1 KR 100757626 B1 KR100757626 B1 KR 100757626B1 KR 1020060056755 A KR1020060056755 A KR 1020060056755A KR 20060056755 A KR20060056755 A KR 20060056755A KR 100757626 B1 KR100757626 B1 KR 10075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gas
cushions
airbag device
mai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해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626B1/ko
Priority to US11/466,553 priority patent/US20070296186A1/en
Priority to CN2006101409603A priority patent/CN10109212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쿠션에 관한 것으로써,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제 1 쿠션과; 상기 제 1 쿠션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쿠션으로부터 가스를 전달받아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는 제 2 쿠션과; 상기 제 2 쿠션을 제 1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쿠션의 가스를 제 2 쿠션의 내부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제 2 쿠션과 제 1 쿠션 사이에 형성된 쿠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상해가 최소화됨과 아울러 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보호 성능도 충분히 확보되고, 에어백 장치의 비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성능 시험시 1세 영아, 3세 유아, 6세 유아에 대한 모든 시험 조건에서 상해 저감 전개가 충족되며, 종래의 에어백 장치에 필요한 승객 감지 센서와 복수개의 플랩이 생략되어 에어백 장치의 부품수와 비용 및 중량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에어백 장치, 인플레이터, 쿠션, 제 1 쿠션, 제 2 쿠션, 쿠션 연결부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쿠션{Cushion of air ba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쿠션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인스트루먼트 패널 4: 에어백 하우징
6: 인플레이터 8: 리테이너
20: 쿠션 22: 메인 패널
24: 사이드 패널 30: 제 1 쿠션
32: 제 2 쿠션 34: 쿠션 연결부
36: 벤트홀 40: 재봉부
42: 오리피스부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상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운전석 또는 조수석 등에 착좌된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 장치로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 에어백 장치 및 측면 에어백 장치 등이 있는 바, 상기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 전면을 보호하고, 상기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 전면을 보호하며, 상기 측면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 루프 레일이나 좌석의 측면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가스를 방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에 의해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어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상기 쿠션과 인플레이터 등이 수납되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쿠션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쿠션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어 차량의 충돌로 인한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의 탑승자 반대쪽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의 내부에는 쿠션의 전개를 제어하는 한 개 이 상의 테더(TETHER)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쿠션은 차량의 좌석에 탑승자가 비정상인 자세로 앉아 있는 비정상 착좌(OOP, OUT-OF-POSITION) 상태이면, 상기 전개된 쿠션에 의해 탑승자가 보호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쿠션의 전개압에 의해 탑승자가 더 큰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에어백 장치에는 탑승자의 착석 상태를 인식하는 승객 감지 센서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승객 감지 센서에 의해 탑승자가 비정상 착좌 상태로 인식되면, 상기 쿠션이 전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쿠션이 상해 저감 전개(LRD, LOW RISK DEPLOYMENT)되어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쿠션의 상해 저감 전개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압력을 낮추는 방법과, 상기 쿠션에 유입된 가스를 전개 초기에 외부로 많이 방출시키는 방법과, 상기 쿠션의 초기 전개를 별도의 구조물로 잡아주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압력을 낮추거나 상기 쿠션에 유입된 가스를 전개 초기에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면, 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복수개의 플랩(FLAP)이 겹치게 배치되면, 상기 플랩 간의 마찰 저항에 의해 쿠션의 초기 전개가 지연되나, 상기 플랩 간의 마찰 저항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에어백 장치의 성능을 균일하게 설계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상기 복수개의 플랩이 추가됨에 따라 에어백 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도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백 장치의 성능 규정이 강화되는 추세인 바, 특히 1세 영아, 3세 유아, 6세 유아에 해당하는 비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에어백 장치의 성능이 요구되며, 이 요구 성능을 만족하지 못할 시에는 영업상에 불이익을 받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백 장치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성인과 체형이 비슷한 6세 유아의 비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성능은 확보 가능하나, 성인과 체형이 많이 다른 1세 영아와 3세 유아의 비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성능 확보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쿠션이 제 1,2 쿠션으로 구성되어 제 1 쿠션이 먼저 전개된 다음 제 2 쿠션이 전개됨으로써,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상해가 최소화되고, 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보호 성능도 확보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쿠션에 의해 비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상해 저감 전개가 구현됨으로써, 승객 감지 센서와 복수개의 플랩이 생략되어 에어백 장치의 부품수와 비용 및 중량이 저감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을 제공하는데 있 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쿠션은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제 1 쿠션과; 상기 제 1 쿠션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쿠션으로부터 가스를 전달받아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는 제 2 쿠션과; 상기 제 2 쿠션을 제 1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쿠션의 가스를 제 2 쿠션의 내부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제 2 쿠션과 제 1 쿠션 사이에 형성된 쿠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 쿠션과 쿠션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쿠션의 양측면에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벤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 연결부는 상기 제 1,2 쿠션보다 협소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쿠션은, 상기 제 1,2 쿠션의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과; 상기 제 1,2 쿠션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연결부는 상기 제 1,2 쿠션 사이에 위치된 메인 패널과 사이드 패널의 일부가 재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 연결부는, 상기 메인 패널의 상부에 하부의 일부가 재봉된 재봉부와; 상기 재봉부 이외의 메인 패널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가스 유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오리피스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봉부는 상기 메인 패널의 상부 중앙에 하부의 중앙이 재봉되어 형성 되고,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재봉부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메인 패널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쿠션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설치되는 에어백 하우징(4)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4)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6)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4)의 내측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의 가스를 방출시키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리테이너(8)와, 상기 리테이너(8)의 홀을 통해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조수석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4)의 내부에 수납된 쿠션(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4)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쿠션(20)이 내부에 수납되는 쿠션 하우징(10)과, 상기 쿠션 하우징(10)의 후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가 내부에 수납된 캔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쿠션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플랜지(10A)가 형성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캔 하우징(12)의 측면 일측에는 마운팅 브래킷(14)이 형성되어 카울 크로스 멤버(16)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인플레이터(6)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미도시)와 연결 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폭발되고, 상기의 가스압력에 의해 쿠션 하우징(10)의 전면으로 쿠션(20)이 전개된다.
상기 쿠션(20)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4)의 내부에 여러 번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는 바, 상기 쿠션(20)의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통 형상의 메인 패널(22)과, 상기 쿠션(20)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 패널(22)에 재봉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패널(22)은 상기 쿠션(20)의 전개시 탑승자가 밀착되어 충격이 작용되는 부위로써, 상기 인플레이터(6)의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구가 형성된 부위는 상기 리테이너(8)에 의해 에어백 하우징(4)에 고정된다.
상기 메인 패널(22)과 사이드 패널(24)은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재봉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이 충돌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6)가 폭발되면서 가스가 방출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의 가스는 에어백 하우징(4)을 따라 이동된 다음 상기 리테이너(8)의 홀을 통해 쿠션(20)의 내부로 유동되어 상기 쿠션(20)을 전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20)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형성된 절개선(2A)을 파단시킨 다음 조수석에 착석된 승객의 전면으로 전개되어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쿠션(20)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 이너(8)에 의해 에어백 하우징(4)에 고정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의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쿠션(30)과, 상기 제 1 쿠션(30)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쿠션(30)으로부터 가스를 전달받아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는 제 2 쿠션(32)과, 상기 제 2 쿠션(32)을 제 1 쿠션(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쿠션(32)의 내부로 제 1 쿠션(30)의 가스를 유동시키도록 상기 제 2 쿠션(32)과 제 1 쿠션(30) 사이에 형성된 쿠션 연결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 쿠션(30)(32)은 상기 탑승자가 밀착되어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쿠션(30)에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 2 쿠션(32)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2 쿠션(32)의 내부 가스압이 과다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방출되는 벤트홀(36)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벤트홀(36)은 상기 쿠션(20)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4)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 연결부(34)는 상기 제 1,2 쿠션(30)(32)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 1,2 쿠션(30)(32)보다 매우 협소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쿠션(30) 내부의 가스가 제 2 쿠션(32)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가스 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쿠션 연결부(34)는 상기 제 1,2 쿠션(30)(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제 1,2 쿠션(30)(32) 사이에 위치되는 메인 패널(22)의 상부 패널(22A)에 하부 패널(22B)의 일부가 재봉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패널(22A)과 하부 패널(22B)의 중앙이 재봉되어 쿠션 연결부(34)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쿠션 연결부(34)는 상기 상부 패널(22A)에 하부 패널(22B)의 중앙 부위가 재봉되어 형성된 재봉부(40)와, 상기 재봉부(40)의 좌측과 우측에 가스 유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부 패널(22A)과 하부 패널(22B) 및 사이드 패널(24)에 의해 형성된 오리피스부(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쿠션(20)은 상기 쿠션 연결부(34)를 중심으로 제 2 쿠션(32)이 제 1 쿠션(3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쿠션(30)이 전개된 다음 상기 오리피스부(42)를 통해 전달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제 2 쿠션(32)이 전개된다.
상기와 같은 제 1,2 쿠션(30)(32)과 쿠션 연결부(34)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작동과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충돌을 충돌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6)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인플레이터(6)는 폭발되면서 가스를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가스는 에어백 하우징(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리테이너(8)의 홀을 통해 쿠션(20)의 가스 유입구로 유동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를 통해 쿠션(20)의 내부로 가스가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가스에 의해 상기 쿠션(20)의 제 1 쿠션(30)이 먼저 전 개되되, 상기 제 1 쿠션(3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절개선(2A)을 파단시킨 다음 조수석에 착석된 승객의 전면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쿠션(30)이 완전히 전개되면, 상기 제 1 쿠션(30) 내부의 가스는 쿠션 연결부(34)의 오리피스부(42)를 통해 제 2 쿠션(32)의 내부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쿠션(32)이 전개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20)은 한 번에 전개되지 않고 2단에 걸쳐 단계적으로 전개되므로,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 뿐만 아니라 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에어백 장치의 성능이 충분하게 확보된다.
상기 쿠션(20)의 전개 초기에는 상기 제 1 쿠션(30)만이 전개되므로, 차량의 좌석에 탑승자가 비정상인 자세로 앉아 있는 비정상 착좌 상태이더라도, 탑승자의 보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쿠션(20)의 전개압에 의해 탑승자가 더 큰 상해를 입는 현상도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쿠션(20)의 전개 후반에는 상기 제 1 쿠션(30)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쿠션(32)이 전개되고 상기 제 2 쿠션(32)은 회동 가능하게 제 1 쿠션(3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종래의 쿠션과 마찬가지로 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쿠션(32)이 회동되면서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를 누르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에어백 장치의 성능 시험에는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에어백 장치의 안전성 검사가 있는 바, 1세 영아가 유아용 시트에 착석된 비정상 착좌 상태에서의 상해 저감 전개 시험과, 3세와 6세 유아가 차량의 좌석에 앉아 있는 비 정상 착좌 상태에서의 상해 저감 전개 시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3세와 6세 유아에 대한 상해 저감 전개 시험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 쪽에 유아의 가슴이 있는 경우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 쪽에 유아의 머리가 있는 경우로 나뉜다.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 쪽에 가슴이 있는 3세,6세 유아의 경우에는, 상기 쿠션(20)의 초기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으나, 본 발명의 쿠션(20)과 같이 제 1 쿠션(30)과 제 2 쿠션(32)이 단계적으로 전개되면 쿠션(20)의 전개 초기에 유아에 전달되는 압력이 감소되어 상해가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 쪽에 머리가 있는 3세,6세 유아 또는 유아용 시트에 있는 1세 영아의 경우에는, 상기 쿠션(20)이 전개 방향보다 머리나 유아용 시트가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쿠션(20)에 의해 하측으로 눌러지게 되어 더 큰 사고가 유발되나, 본 발명의 쿠션(20)과 같이 제 1 쿠션(30)에 제 2 쿠션(32)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제 2 쿠션(32)이 전개되면서 머리나 유아용 시트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제 2 쿠션(32)이 쿠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누르는 하중이 감소되어 상해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쿠션(20)은 에어백 장치의 성능 시험을 충분히 만족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장치에 대한 각 국의 규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2 쿠션(30)(32)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서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차량의 충격에 의해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제 2 쿠션(32)은 벤트홀(36)을 통해 가스를 방출하면서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나, 상기 제 1 쿠션(30)에는 벤트홀(36)이 형성되지 않아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전개 초기에는 탑승자의 충격이 흡수되고 전개 후반에는 가스의 부족으로 인해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탑승자가 부딪히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쿠션을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쿠션은 실시예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뿐만 아니라,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측면 에어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쿠션 내부에는 쿠션의 전개를 제어하는 테더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오리피스부는 쿠션 연결부의 중앙과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한 쪽에만 형성되거나, 쿠션 연결부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쿠션은 쿠션 연결부에 의해 제 1,2 쿠션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쿠션이 먼저 전개된 다음 제 2 쿠션이 전개되므로, 비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상해가 최소화되고, 정상 착좌 상태의 탑승자에 대한 보호 성능도 충분히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쿠션이 단계적으로 전개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쿠션이 제 1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이므로, 에어백 장치의 비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성능 시험시 1세 영아, 3세 유아, 6세 유아에 대한 모든 시험 조건에서 상해 저감 전개가 충족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에 의해 비정상 착좌 상태와 정상 착좌 상태에 대한 보호 성능이 확보됨으로써, 종래의 에어백 장치에 필요한 승객 감지 센서와 복수개의 플랩이 생략되어 에어백 장치의 부품수와 비용 및 중량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의 제 1,2 쿠션이 단계적으로 전개되므로, 인플레이터의 설계 압력이 감소되어 작은 용량의 인플레이터가 사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쿠션에만 벤트홀이 형성되고 제 1 쿠션에는 벤트홀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 2 쿠션은 벤트홀에 의해 가스를 방출하면서 탑승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고, 상기 제 1 쿠션은 전개 초기에 탑승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전개 후반에는 가스 부족으로 인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탑승자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제 1 쿠션과;
    상기 제 1 쿠션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쿠션으로부터 가스를 전달받아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는 제 2 쿠션과;
    상기 제 2 쿠션을 제 1 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쿠션의 가스를 제 2 쿠션의 내부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제 2 쿠션과 제 1 쿠션 사이에 형성된 쿠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제 1,2 쿠션의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과; 상기 제 1,2 쿠션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쿠션 연결부는 상기 제 1,2 쿠션 사이에 위치된 메인 패널과 사이드 패널의 일부가 재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2 쿠션과 쿠션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쿠션의 양측면에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결부는 상기 제 1,2 쿠션보다 협소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연결부는, 상기 메인 패널의 상부에 하부의 일부가 재봉된 재봉부와; 상기 재봉부 이외의 메인 패널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가스 유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오리피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봉부는 상기 메인 패널의 상부 중앙에 하부의 중앙이 재봉되어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재봉부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메인 패널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20060056755A 2006-06-23 2006-06-23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075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55A KR100757626B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11/466,553 US20070296186A1 (en) 2006-06-23 2006-08-23 Cushion of air bag system
CN2006101409603A CN101092126B (zh) 2006-06-23 2006-10-19 安全气囊系统的气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755A KR100757626B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백 장치의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626B1 true KR100757626B1 (ko) 2007-09-10

Family

ID=3873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755A KR100757626B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백 장치의 쿠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96186A1 (ko)
KR (1) KR100757626B1 (ko)
CN (1) CN1010921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224A (ko) * 2014-10-21 2017-06-21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자체-일치형 에어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054A1 (en) * 2007-04-16 2008-10-16 Hyundai Mobis Co., Ltd. Air bag cushion
US7740275B2 (en) * 2007-10-24 2010-06-22 Hyundai Mobis Co., Ltd Air bag cushion
JP5837285B2 (ja) * 2010-04-28 2015-12-24 芦森工業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272921B1 (ko) * 2011-09-08 2013-06-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에어백쿠션
DE102011119564A1 (de) * 2011-11-26 2013-05-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Gassack für ein Fußgängerschutzsystem und da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DE102013002982A1 (de) * 2013-02-20 2014-08-21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system für den Insassenschutz
EP2769886B1 (en) * 2013-02-21 2017-04-26 Autoliv Development AB An inflatable airbag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US8851508B1 (en) 2013-03-15 2014-10-07 Autoliv Asp, Inc. Delayed vent in airbag curtain
US9505370B2 (en) * 2014-07-03 2016-11-29 Hyundai Mobis., Ltd. Airbag apparatus
US10525927B2 (en) 2014-10-21 2020-01-07 Trw Automotive Gmbh Self-conforming rearseat air bag
KR101731808B1 (ko) * 2015-11-26 2017-05-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WO2017177236A1 (en) 2016-04-08 2017-10-12 Tk Holdings Inc. Rear seat airbag module
JP7180577B2 (ja) * 2019-09-27 2022-11-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126A (ja) * 2002-07-04 2004-02-05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505B2 (en) * 2001-08-17 2004-09-07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US7073619B2 (en) * 2001-12-19 2006-07-11 Universal Propolusion Company Vehicle frontal airbag system
JP3948332B2 (ja) * 2002-04-15 2007-07-25 タカタ株式会社 乗員脚部保護装置
KR100447751B1 (ko) * 2002-07-16 2004-09-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듀얼스테이지 조수석 에어백모듈
KR100500287B1 (ko) * 2002-07-18 2005-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US7090245B2 (en) * 2002-12-16 2006-08-15 Takata Corporation Leg protection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DE10301715A1 (de) * 2003-01-14 2004-07-29 Takata-Petri Ag Airbagsystem
JP4285633B2 (ja) * 2003-01-31 2009-06-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932380B2 (en) * 2003-10-01 2005-08-23 Autoliv Asp, Inc. Overhead airbag having an external side cushion panel
KR100547175B1 (ko) * 2003-10-17 2006-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47173B1 (ko) * 2003-10-17 2006-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0510709B1 (ko) * 2003-10-17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47174B1 (ko) * 2003-10-17 2006-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29496B1 (ko) * 2003-10-17 2005-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4534525B2 (ja) * 2004-02-27 2010-09-01 タカタ株式会社 ニーバッグ及び乗員脚部保護装置
US7614654B2 (en) * 2005-12-07 2009-11-10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diffuser with cinch tube to vent gas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US7549672B2 (en) * 2004-05-27 2009-06-23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JP2006205830A (ja) * 2005-01-26 2006-08-10 Tkj Kk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811028B2 (ja) * 2005-03-07 2011-11-0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735021B2 (ja) * 2005-04-26 2011-07-2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377548B2 (en) * 2005-05-06 2008-05-27 Tk Holdings Inc. Adaptive depth airbag
US7350807B2 (en) * 2005-05-25 2008-04-01 Autoliv Asp, Inc. Divided airba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126A (ja) * 2002-07-04 2004-02-05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4-39126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224A (ko) * 2014-10-21 2017-06-21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자체-일치형 에어백
KR101996573B1 (ko) * 2014-10-21 2019-07-04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자체-일치형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96186A1 (en) 2007-12-27
CN101092126A (zh) 2007-12-26
CN101092126B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626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0747379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2614143B1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US6554313B2 (en) Air bag system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KR10108127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8851509B1 (en) Center airbag for vehicle
US9126563B2 (en) Airbag module
US7735858B2 (en) Airbag device
KR20200003413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07511419A (ja) エアバッグ
WO2006089144A1 (en) Air bag
KR101708203B1 (ko)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KR101294985B1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1294923B1 (ko) 에어백 장치
KR20080008460A (ko)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0862504B1 (ko)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100980929B1 (ko)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977598B1 (ko) 팽창충격 완화 에어백장치
KR100529145B1 (ko) 조수석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튜브의 구조
KR20080112001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50082716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20230065043A (ko) 차량의 도어 에어백
US20210155188A1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