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78B1 -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78B1
KR101936378B1 KR1020180060387A KR20180060387A KR101936378B1 KR 101936378 B1 KR101936378 B1 KR 101936378B1 KR 1020180060387 A KR1020180060387 A KR 1020180060387A KR 20180060387 A KR20180060387 A KR 20180060387A KR 101936378 B1 KR101936378 B1 KR 10193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rush
rotating
pushing devic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덕
Original Assignee
김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덕 filed Critical 김병덕
Priority to KR102018006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08B1/002
    • B08B1/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7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e.g.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and having conveyors
    • B08B9/32Rotating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 대상 용기(C)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100)와, 용기(C)를 누르면서 파지하는 용기푸시장치(240), 용기푸시장치(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2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30)가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푸시부(200) 및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측면브러쉬(320)와,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바닥브러쉬(340)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어 있는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가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상기 이송트레이(310) 위로 지나가게 하되, 상기 용기(C)는 상기 제1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상기 제1 바닥브러쉬(34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일종인 콤팩트의 내부용기에 화장품 원료가 담긴 후 외부용기에 조립되기 전에 내부용기의 외부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내부용기의 외부표면인 측면과 바닥 부분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기 중에서 파우더 분말 등이 담기는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의 공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화장품의 원료인 색조화장품 등의 파우더 분말이 용기에 수납되어 용기본체에 담기고 그 위에 퍼프나 솔 등의 화장용구가 위치하며 용기본체는 힌지 방식 또는 회전 방식에 의해 개폐되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콤팩트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콤팩트 용기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그릇 형상의 외부용기와 이와 힌지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 개폐가 가능한 덮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40), 상부가 개방된 그릇 형상을 하고 내부에는 화장품 재료가 수용되어 상기 용기본체(40)의 외부용기 내에 안착되는 내부용기(30), 평편한 플레이트 형상을 하되 중앙 부분은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로 이루어진 퍼프접시(20) 및 퍼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용기본체(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용기(30)는 화장품 재료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퍼프접시(20)는 투명성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콤팩트 용기에 화장품 재료가 수용되어 조립 제작되기 위해서는, 먼저, 파우더 분말과 같은 화장품 재료를 내부용기(30)에 넣고 압착하여 한다. 이렇게 화장품 재료의 주입이 끝난 내부용기(30)를 준비된 용기본체(40)에 삽입한 후에 차례로 퍼프접시(20)와 퍼프(10)를 안착시키고 용기본체(40)의 덮개를 닫아 조립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를 조립할 때에 내부용기(30)에 화장품 재료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내부용기(30) 외부에 화장품 재료나 기타 이물질들이 묻어날 수밖에 없어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콤팩트 용기의 경우에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본래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는 상품마다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제조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용기(30)도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래서 화장품용 콤팩트를 조립하는 일반적인 자동화 과정에서 내부용기(30)를 세척하는 것이 어려워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 작업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제조효율이 떨어지고 그 만큼 인건비 등의 제조비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화장품용 콤팩트를 조립하는 자동화 과정에서도 이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 제20-0476950호(2015.04.13. 등록) : 파운데이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에 오일을 분사하는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용 콤팩트를 조립하는 자동화 과정에서도 이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는, 세척 대상 용기(C)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100)와, 용기(C)를 누르면서 파지하는 용기푸시장치(240), 용기푸시장치(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2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30)가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푸시부(200) 및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측면브러쉬(320)와,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바닥브러쉬(340)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어 있는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가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상기 이송트레이(310) 위로 지나가게 하되, 상기 용기(C)는 상기 제1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상기 제1 바닥브러쉬(34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세척부(300)는, 상기 이송트레이(310)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는 제2 측면브러쉬(330)와, 제2 바닥브러쉬(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트레이(310)는, 용기푸시부(200)가 지나가는 경로에 위치한 좁고 긴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인 베이스프레임(3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11)의 양쪽 측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311)과 수직이 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인 측면프레임(312)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1)의 상부면에 부착된 얇은 테이프 형상의 내마모성 소재인 내마모부재(3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2 바닥브러쉬(340, 350)는 바닥브러쉬구동모터(360)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370)과, 원통 형상의 브러쉬가 삽입 결합된 후 상기 회전축(370) 종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마감프레임(380)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프레임(380)은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는, 세척 대상 용기(C)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100)와, 용기(C)를 누르면서 파지하는 용기푸시장치(240), 용기푸시장치(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2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30)가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푸시부(200) 및 상기 용기(C)가 공급되는 진입대(310′),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측면브러쉬(320′) 및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회전축(350′)에 감겨서 회전하는 일정 폭의 바닥세척벨트(330′)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가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이송시키되, 상기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상기 바닥브러쉬(33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세척벨트(330)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고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세척부(300′)는 상기 회전축(350′) 종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마감프레임(360′)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프레임(360′)은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표면에 나사선을 따라 홈이 형성된 가는 막대 형상의 이송가이드축(120)과,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을 회전시키는 수평이송모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푸시부(200)는,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에 삽입 결합되는 장착프레임(2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평이송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착프레임(210)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장치(230)는,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수단(231)과, 상기 회전수단(23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벨트풀리(233) 및 상기 회전수단(231)과 벨트풀리(233)에 결합되는 타이밍벨트(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는, 일정 두께의 원형 판재 형상을 하고 상기 벨트풀리(233)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이송용홀더(242)와, 상기 용기이송용홀더(242)와 벨트풀리(233) 사이에 구비되는 원형의 스프링(2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이송용홀더(242)는, 일정 두께의 판재 형상을 하는 몸체(242a)와, 상기 몸체(242a)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마찰재인 마찰용패드(242b) 및 상기 몸체(242a)의 하부면과 마찰용패드(242b)의 하부면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턱으로 형성된 내부단차(242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용 콤팩트의 내부용기 외부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기푸시장치로 누르면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측면과 바닥을 세척할 수 있는 용기세척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용 콤팩트를 조립하는 과정을 모두 자동화 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용 콤팩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트레이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는 도 6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는 수평이송부(100), 용기푸시부(200) 및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부(200)를 수평으로 이송시켜 용기푸시부(200)에 고정된 세척 대상 용기(C)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수평이송모터(110)와 이송가이드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송모터(110)는 이송가이드축(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을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이송가이드축(120)의 표면은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이송모터(110)가 이송가이드축(120)을 회전 시키는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가이드축(120)에 삽입 결합된 용기푸시부(200)가 정면에서 보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수평이송모터(11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가 수평이송모터(11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는 용기푸시부(200)가 공급되는 세척 대상 용기(C)를 누르며 고정 시키면, 수평이송모터(110)를 일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켜 용기세척부(300)가 이송가이드축(120)을 따라 이송트레이(310) 위를 지나가게 한 후 멈추도록 한다. 다시 제어부는 용기세척부(300)에서 세척이 끝난 용기(C)가 배출되고 나면 수평이송모터(110)를 역 방향으로 일정시간동안 회전시켜 용기푸시부(200)가 이송가이드축(120)을 따라 처음 위치로 되돌아오게 한다.
위에서 언급한 수평이송모터(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를 구동 시키는 다양한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PLC 장치인 것을 예시하였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제어부는 PLC 장치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또 다른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송가이드축(120)은 표면에 나사선을 따라 홈이 형성된 가는 막대 형상을 하는 구조체로서 회전 방향에 따라 삽입 결합된 용기푸시부(200)가 정면에서 보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용기푸시부(200)는 이송트레이(310)로 공급되어 용기푸시장치(240) 아래에 위치하게 된 세척 대상 용기(C)를 누르면서 고정 시킴과 동시에 용기(C)를 제자리에서 회전 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장착프레임(210), 승강실린더(220), 회전장치(23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프레임(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가이드축(120)에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과 승강실린더(220)가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하고 있는 프레임 구조체로서, 수평이송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이송가이드축(120)이 회전하면 이송가이드축(12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을 따라 좌우 수평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를 나타내기 위해 도 3 상부에 수평 화살표를 표시하였다.
이에 따라 장착프레임(210)에 최종단에 연결 결합되어 있는 용기푸시장치(240)가 이송트레이(310) 위를 지나가게 되고 용기푸시장치(2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세척 대상 용기(C)가 세척될 수 있게 한다.
승강실린더(220)는 실린더 축이 승하강할 수 있는 작동 실린더의 일종으로서 일단이 장착프레임(210)에 결합되어서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장치(23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나타내기 위해 도 3 중간에 수직 화살표를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승강실린더(220)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가정하였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유압실린더 등과 같이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는 또 다른 실린더로 얼마든지 대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승강실린더(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용기푸시부(200)가 처음의 위치에 있을 때는 상승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세척 대상 용기(C)가 용기푸시장치(240) 아래로 진입하게 되면 하강하여 용기푸시장치(240)가 용기(C)를 누르면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에 용기푸시부(200)가 이송트레이(310)를 지나갈 때까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세척이 끝난 용기(C)가 배출되고 나면 다시 상승하고, 용기푸시부(200)는 상승된 상태로 처음 위치로 되될아 가게 된다.
회전장치(230)는 승강실린더(220)의 측면에 결합되어서 용기푸시장치(240) 아래에 고정되어 있는 세척 대상 용기(C)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회전수단(231), 타이밍벨트(232), 벨트풀리(233) 및 벨트풀리축(2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나타내기 위해 도 3 하부에 곡선 화살표를 표시하였다.
먼저, 회전장치(230)는 용기이송용홀더(242)에 고정되어 있는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2 측면브러쉬(320, 330)의 양쪽 브러쉬 사이를 지나가며 측면 세척이 이루어 질 때나, 제1, 2 바닥브러쉬(340, 350)를 지나가며 바닥 세척이 이루어 질 때, 용기(C)를 제자리에서 회전 시켜서 브러쉬가 닿지 않는 측면 부분도 브러쉬에 의해 세척되게 하거나 회전에 의해 용기(C) 바닥면 부분이 더욱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 된다.
회전수단(231)은 구비된 피스톤 축이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장치의 일종으로서 상술한 승강실린더(2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 시켜 용기이송용홀더(242)에 고정되어 있는 세척 대상 용기(C)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회전수단(231)은 회전하는 피스톤 축에 풀리가 결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풀리에 벨트 등이 연결되어서 후술하게 될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수단(2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텝 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스텝 모터는 펄스 모양의 전압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 하는 전동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회전 속도 및 각도 제어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회전수단(231)이 위에서 예를 든 스텝 모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된 공기에너지를 이용하는 공압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또 다른 회전수단으로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회전수단(231)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용기푸시부(200)가 처음의 위치에 있을 때는 멈춰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용기푸시부(200)의 용기이송용홀더(242)에 의해 고정된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의 제1, 2 측면브러쉬(320, 330)를 지나갈 때 90ㅀ 회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용기(C)의 측면 중 이동 방향의 전후 방향에 놓여 있던 측면이 이동 방향의 좌우 방향에 놓여지게 되어서 용기(C)의 모든 측면이 세척될 수 있게 한다.
타이밍벨트(232)는 회전수단(231) 실린더 축의 풀리와 벨트풀리(233)에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용기푸시장치(240)의 용기이송용홀더(242)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타이밍벨트(2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일반적인 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의 벨트 치형은 면사, 면모 와이어로프 등이 함유된 것을 예시하였다.
벨트풀리(233)는 벨트풀리축(234)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수단(23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원판 상의 구조체로서, 타이밍벨트(232)에 의해 연결되어서 회전수단(231)의 회전력을 용기푸시장치(240)의 용기이송용홀더(242)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벨트풀리축(234)은 상단부에 벨트풀리(233)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용기푸시장치(240)가 결합되는 축이다.
용기푸시장치(240)는 회전장치(230)의 하부에 위치하여서 그 아래로 진입하는 세척 대상 용기(C)를 누르면서 파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스프링(241)과 용기이송용홀더(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푸시장치(240)가 누르는 세척 대상 용기(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그 형상이 원형인 것을 예를 들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상술한 용기(C)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의 용기(C)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241)은 용기이송용홀더(242)와 벨트풀리(233) 사이에 구비되고 벨트풀리축(234)에 끼워지는 원형의 스프링으로서, 승강실린더(220)에 의해 용기이송용홀더(242)가 하강할 때 용기이송용홀더(242) 아래에 놓인 세척 대상 용기(C)의 상단부가 용기이송용홀더(242)의 하부면과 맞닿을 때 일정부분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용기(C)를 누르는 힘, 즉, 스프링 압축력을 계속하여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241)에 의해 용기이송용홀더(242) 아래에 파지된 용기(C)에는 계속하여 누르는 힘, 즉, 스프링(241)의 압축력이 존재하게 되어서 용기(C)가 이송 도중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3의 원형 부분 안에 표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용기이송용홀더(242)는 일정 두께의 원형 판재 형상을 하고 상기 벨트풀리(233)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체로서, 몸체(242a), 마찰용패드(242b) 및 내부단차(24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용기이송용홀더(242)는 몸체(242a)의 하부면이 그 아래에 위치한 용기(C)의 상단과 맞닿도록 하여 이송 중 용기(C)가 이탈되지 않게 파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몸체(242a)는 파지되는 용기(C)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이송용홀더(242)의 몸체(242a)에 의해 눌리는 세척 대상 용기(C)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이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의 용기(C)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찰용패드(242b)는 용기이송용홀더(242) 몸체(242a)의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와 용기(C)가 회전된 후 각도 유지를 위해 덧붙여진 마찰재를 말하는 것으로, 몸체(242a)의 하부면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홈에 삽입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마찰용패드(24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실리콘 패드가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었는데, 본 발명에서 마찰용패드(242b)가 실리콘 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 등과 같이 표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마찰용패드(242b) 표면을 도트형식 등으로 다양한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할 수도 있다.
내부단차(242c)는 용기이송용홀더(242) 몸체(242a)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홈과 마찰용패드(242b)의 하부면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턱으로 형성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홈으로 용기(C)가 삽입될 때 내부단차(242c)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내부단차(242c)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홈은 다양한 형상의 용기(C)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용기이송용홀더(242)에서 용기(c)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기이송용홀더(242) 자체를 용기(C) 형상의 지그로 한 후 탈부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용기세척부(300)는 이송되는 세척 대상 용기(C)의 외부 표면, 즉, 측면과 바닥을 세척하는 장치로서, 이송트레이(310) 및 이송트레이(310) 상의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측면브러쉬(320), 제1 바닥브러쉬(340)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밖에 바닥브러쉬구동모터(360), 회전축(370), 마감프레임(3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세척부(300)는 이송트레이(310)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는 제2 측면브러쉬(330)와, 제2 바닥브러쉬(350)를 더 포함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트레이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송트레이(310)는 베이스프레임(311), 측면프레임(312), 내마모부재(313) 및 브러쉬통공(3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311)은 용기푸시부(200)가 지나가는 경로에 위치한 좁고 긴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를 말한다.
측면프레임(312)은 한 쌍의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로서 베이스프레임(311)의 양쪽 측면 중앙 위치에 베이스프레임(311)과 수직이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측면브러쉬(320), 제2 측면브러쉬(330), 제1 바닥브러쉬(340), 제2 바닥브러쉬(350)의 브러쉬에 의해 세척될 때 혹시라도 용기(C)가 베이스프레임(311)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마모부재(313)는 베이스프레임(311)의 상부면에 부착된 얇은 테이프 형상의 내마모성 소재로서 그 위를 지나가는 용기(C)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용기(C)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내마모부재(3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내마모성 및 저마찰성을 갖고 있는 플라스틱 소재, 유리섬유 소재 등을 테이프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테이프 형태의 소재에 내마모성 및 저마찰성의 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내마모부재(313)는 베이스프레임(311)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교환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통공(314)은 베이스프레임(311) 중간에 일렬로 제1 측면브러쉬(320), 제2 측면브러쉬(330), 제1 바닥브러쉬(340), 제2 바닥브러쉬(350)의 브러쉬가 베이스프레임(311)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차례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사각형의 통공,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형의 통공이 번갈아 가며 형성되도록 하였는데, 이 때, 통공의 개수나 위치는 설치되는 브러쉬의 개수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1 측면브러쉬(320)와 제2 측면브러쉬(33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로 이루어져 그 사이로 세척 대상 용기(C)가 지나가며 브러쉬에 의해 용기(C)의 측면을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는 세척 대상 용기(C)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제1 측면브러쉬(3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송트레이(310)의 중간 부분, 첫 번째로 위치하고 있고, 제2 측면브러쉬(330)는 제1 바닥브러쉬(340) 다음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하지만 제1 측면브러쉬(320)와 제2 측면브러쉬(33)가 위치하는 순서는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1 바닥브러쉬(340)와 제2 바닥브러쉬(350)는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러쉬로서, 이송트레이(310)의 길이방향과는 수직이 되도록 설치된다.
제1 바닥브러쉬(340)와 제2 바닥브러쉬(350)는 바닥브러쉬구동보터(360)에서 연장된 회전축에 브러쉬가 삽입 결합된 구조를 갖고 있어 원통 형상의 브러쉬가 회전할 때 그 위를 지나가는 세척 대상 용기(C)의 바닥면을 세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2 바닥브러쉬(340, 350)는 바닥브러쉬구동모터(360), 회전축(370) 및 마감프레임(3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브러쉬구동모터(360)는 이송트레이(310)의 측면에, 이송트레이(310)의 길이방향과는 수직이 되도록 위치한다.
회전축(370)은 바닥브러쉬구동모터(360)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하여 원통 형상의 브러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마감프레임(380)은 회전축(370)의 종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구조체로서 회전축(370)에 끼워진 원통 형상의 브러쉬를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마감프레임(380)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통 형상의 브러쉬도 따라서 탈착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기(C)는 상부가 개방된 그릇 모양을 하고 그 평면의 모양이 원형과 사각형인 것을 예로 들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기(C)가 원형과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용기(C)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원형과 사각형의 용기(C)가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에서 세척되는 기본적인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원형의 용기(C)의 경우에는 제1, 2 측면브러쉬(320, 330)를 지나갈 때 회전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사각형의 용기(C)의 경우에는 제1 측면브러쉬(320)를 지나가면서 한 쪽 측면이 세척되고 제1 바닥브러쉬(340)를 지나갈 때 90도 회전한 후 제2 측면브러쉬(330)를 지나가며 또 다른 측면이 세척이 된다.
이를 도 5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5에서는 원형의 용기(C)가 세척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만약 사각형(C)의 용기(C)라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단에서부터 차례로 세척 대상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제1 측면브러쉬(320), 제1 바닥브러쉬(340), 제2 측면브러쉬(330), 제2 바닥브러쉬(350)를 지나가는 것을 나타내었다.
먼저, 승강실린더(220)가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상기 이송트레이(310) 위로 지나가게 하고, 상기 용기(C)는 상기 제1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상기 제1 바닥브러쉬(34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된다.
다만, 용기(C)가 제1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된다고 하였으나, 용기(C)회전 되는 시점은 제1 측면브러쉬(320)를 지나갈 때일 수도 있고, 제1 바닥브러쉬(340)를 지나갈 때일 수도 있다. 제1 측면브러쉬(320)를 지나갈 때 용기(C)가 회전하면 제1 측면브러쉬(320)에 의해 용기(C)의 모든 측면이 모두 세척될 수 있고, 제1 측면브러쉬(320)를 지나서 용기(C)가 회전하게 되면 추가적으로 남아 있는 용기(C)의 측면을 세척한다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첫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제1 측면브러쉬(320)의 한 쌍의 브러쉬 사이를 지나갈 때 용기(C)의 좌우 측면, 즉, 진행방향과 나란한 측면이 제1 측면브러쉬(320)에 의해 세척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용기(C)가 첫 번째 제1 측면브러쉬(320)를 지나갈 때 회전하지 않고 다음 제1 바닥브러쉬(340)를 지나갈 때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1 측면브러쉬(320)를 지나갈 때 회전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두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제1 바닥브러쉬(340)를 지나갈 때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러쉬에 의해 용기(C)의 바닥이 세척됨과 동시에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여 제1 측면브러쉬(320)에 의해 아직 세척되지 않은 용기(C)의 전후 측면이 좌우 측면이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의 세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제2 측면브러쉬(330)의 한 쌍의 브러쉬 사이를 지나갈 때 용기(C)의 바뀐 좌우 측면, 즉, 회전에 의해 이전의 전후 측면이 좌우 측면으로 바뀌어 제2 측면브러쉬(330)에 의해 세척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용기(C)가 제2 측면브러쉬(330)를 지나갈 때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회전 하게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네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용기(C)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제2 바닥브러쉬(345)를 지나갈 때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러쉬에 의해 용기(C)의 바닥이 세척되도록 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용기(C)가 제2 바닥브러쉬(350)를 지나갈 때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회전 하게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모든 세척이 끝난 용기(C)는 이송트레이(310) 상에서 배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는 수평이송부(100), 용기푸시부(200) 및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면, 수평이송부(100), 용기푸시부(200)를 공통 구성요소로 하되, 용기세척부(300′)의 구조를 달리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수평이송부(100), 용기푸시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고 용기세척부(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세척부(300′)는 이송되는 세척 대상 용기(C)의 외부 표면, 즉, 측면과 바닥을 세척하는 장치로서,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진입대(310′), 측면브러쉬(320′), 바닥세척벨트(330′)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밖에 바닥세척벨트구동모터(340′), 회전축(350′), 마감프레임(360′)을 포함할 수 있다.
진입대(310′)는 세척 대상 용기(C)가 공급되는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로서 상부에는 용기푸시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측면브러쉬(32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를 포함하고 있고, 진입대(310′)에 이어지도록 근접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는 세척 대상 용기(C)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측면브러쉬(3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세척벨트(330′) 이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예로 하였는데,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측면브러쉬(320′)와 바닥세척벨트(330′)의 설치 위치는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바닥세척벨트(330′)는 일정 간격 이격되고 용기(C)의 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한 한 쌍의 회전축(350′)에 감겨서 회전하는 일정 폭의 세척용 벨트이다.
여기서 바닥세척벨트(330′)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고 에탄올이 함유되도록 할 수 있다. 에탄올은 무색의 휘발성과 가연성을 가진 액체로서 용질을 녹여 용액을 만드는 용도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어 용기(C)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좋다.
바닥세척벨트(330′)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에탄올이 함유된 섬유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였지만, 바닥세척벨트(330′)에 함유되는 액체는 그 밖에도 유사한 용도를 가지는 다양한 세제가 함유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바닥세척벨트구동모터(340′)는 용기(C)가 이동하는 경로의 측면에 수직이 되도록 위치하여 회전축(350′)을 회전시켜 감겨있는 바닥세척벨트(330)를 회전시키게 된다.
바닥세척벨트구동모터(3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서 한 쌍의 회전축(350′) 중에서 후단의 회전축(350′)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바닥세척벨트구동모터(340′)는 한 쌍의 회전축(350′) 중 어느 것하고도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겠다.
회전축(350′)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용기(C)의 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한 한 쌍의 축으로서, 겉에 바닥세척벨트(330′)가 감겨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마감프레임(360′)은 한 쌍의 회전축(350′) 종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구조체로서 회전축(350′)에 끼워진 바닥세척벨트(330′)를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마감프레임(360′)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끼워진 바닥세척벨트(330′)도 따라서 탈착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기(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그릇 모양을 하고 그 평면의 모양이 원형과 사각형인 것을 예로 들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기(C)가 원형과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용기(C)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원형과 사각형의 용기(C)가 본 발명의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에서 세척될 때 모두 회전과 동시에 이송하며 세척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원형과 사각형의 용기(C) 모두, 측면브러쉬(320′)를 지나갈 때 회전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측면브러쉬(320′)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측면브러쉬(320′)에서 용기(C)의 모든 측면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단에서부터 차례로 세척 대상 용기(C)가 측면브러쉬(320′), 바닥브러쉬(330′)를 지나가는 것을 나타내었다.
먼저, 승강실린더(220)가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이송시키되, 상기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바닥브러쉬(33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된다.
여기서, 용기(C)가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된다고 하는 것은, 하나의 측면브러쉬(320′)에 의해 용기(C)의 모든 측면이 모두 세척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2개의 측면브러쉬가 있을 때처럼 용기(C)의 측면이 따로 나뉘어져 세척되지 않는다. 그리고, 바닥브러쉬(33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용기(C)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더 깨끗하게 용기(C)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8의 첫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용기(C)가 측면브러쉬(320′)의 한 쌍의 브러쉬 사이를 지나갈 때 용기(C)의 좌우 측면, 즉, 진행방향과 나란한 측면이 제1 측면브러쉬(320)에 의해 세척되고, 중간에 90도 회전하면서 진행방향의 전후 측면이였던 부분이 진행방향과 나란한 측면 위치로 옮겨져 마저 세척된다.
다음으로, 도 8의 두 번째 그림에서와 같이 용기(C)가 바닥세척벨트(330′) 위를 지나갈 때 회전하는 바닥세척벨트(330′)에 의해 용기(C)의 바닥이 세척된다. 여기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용기(C)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회전하게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모든 세척이 끝난 용기(C)는 배출된다.
본 발명은 화장품용 콤팩트의 내부용기 외부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기푸시장치로 누르면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측면과 바닥을 세척할 수 있는 용기세척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용 콤팩트를 조립하는 과정을 모두 자동화 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푸시장치에 스프링과 원형의 용기이송용홀더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품용 콤팩트의 내부용기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따로 구성 부품을 교체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수평이송부 110: 수평이송모터
120: 이송가이드축 200: 용기푸시부
210: 장착프레임 220: 승강실린더
230: 회전장치 231: 회전수단
232: 타이밍벨트 233: 벨트풀리
234: 벨트풀리축 240: 용기푸시장치
241: 스프링 242: 용기이송용홀더
300, 300′: 용기세척부 310: 이송트레이
310′: 진입대 320: 제1 측면브러쉬
320′: 측면브러쉬 330: 제2 측면브러쉬
330′: 바닥세척벨트 340: 제1 바닥브러쉬
340′: 바닥세척벨트구동모터 350: 제2 바닥브러쉬
360: 바닥브러쉬구동모터 370, 350′: 회전축
380, 360′: 마감프레임

Claims (12)

  1. 세척 대상 용기(C)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100);
    용기(C)를 누르면서 파지하는 용기푸시장치(240), 용기푸시장치(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2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3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 회전장치(230) 및 용기푸시장치(240)가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푸시부(200); 및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측면브러쉬(320)와,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제1 바닥브러쉬(340)가 이송트레이(310) 상의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어 있는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가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상기 이송트레이(310) 위로 지나가게 하되, 상기 용기(C)는
    상기 제1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상기 제1 바닥브러쉬(34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표면에 나사선을 따라 홈이 형성된 가는 막대 형상의 이송가이드축(120);과,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을 회전시키는 수평이송모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세척부(300)는,
    상기 이송트레이(310) 중간 위치에 일렬로 결합되는 제2 측면브러쉬(330);와, 제2 바닥브러쉬(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트레이(310)는,
    용기푸시부(200)가 지나가는 경로에 위치한 좁고 긴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인 베이스프레임(311);
    상기 베이스프레임(311)의 양쪽 측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311)과 수직이 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인 측면프레임(312);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1)의 상부면에 부착된 얇은 테이프 형상의 내마모성 소재인 내마모부재(3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닥브러쉬(340, 350)는 바닥브러쉬구동모터(360)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370)과, 원통 형상의 브러쉬가 삽입 결합된 후 상기 회전축(370) 종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마감프레임(380)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프레임(380)은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5. 세척 대상 용기(C)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부(100);
    용기(C)를 누르면서 파지하는 용기푸시장치(240), 용기푸시장치(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20) 및 용기푸시장치(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3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 회전장치(230) 및 용기푸시장치(240)가 상기 수평이송부(100)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푸시부(200); 및
    상기 용기(C)가 공급되는 진입대(310′),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사각형 브러쉬를 포함하는 측면브러쉬(320′) 및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회전축(350′)에 감겨서 회전하는 일정 폭의 바닥세척벨트(330′)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용기세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20)가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를 하강시켜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용기(C)를 누르면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용기푸시장치(240)에 고정된 상기 용기(C)를 이송시키되, 상기 측면브러쉬(32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상기 회전장치(230)에 의해 90도 회전하며 측면이 세척되고 상기 바닥세척벨트(330′)가 설치된 위치를 지나갈 때 바닥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닥세척벨트(330')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고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용기세척부(300′)는 상기 회전축(350′) 종단에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마감프레임(360′)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프레임(360′)은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100)는,
    표면에 나사선을 따라 홈이 형성된 가는 막대 형상의 이송가이드축(120);과,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을 회전시키는 수평이송모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푸시부(200)는,
    상기 이송가이드축(120)에 삽입 결합되는 장착프레임(2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평이송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착프레임(210)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10.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230)는,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수단(231);
    상기 회전수단(23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벨트풀리(233); 및
    상기 회전수단(231)과 벨트풀리(233)에 결합되는 타이밍벨트(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기푸시장치(240)는,
    일정 두께의 원형 판재 형상을 하고 상기 벨트풀리(233)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이송용홀더(242);와, 상기 용기이송용홀더(242)와 벨트풀리(233) 사이에 구비되는 원형의 스프링(2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이송용홀더(242)는,
    일정 두께의 판재 형상을 하는 몸체(242a);
    상기 몸체(242a)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마찰재인 마찰용패드(242b); 및
    상기 몸체(242a)의 하부면과 마찰용패드(242b)의 하부면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턱으로 형성된 내부단차(242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KR1020180060387A 2018-05-28 2018-05-28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KR10193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87A KR101936378B1 (ko) 2018-05-28 2018-05-28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87A KR101936378B1 (ko) 2018-05-28 2018-05-28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378B1 true KR101936378B1 (ko) 2019-04-03

Family

ID=6616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87A KR101936378B1 (ko) 2018-05-28 2018-05-28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0816A (zh) * 2021-12-26 2022-04-08 肖旻 一种激光打印生产用墨盒回收翻新装置
CN115194658A (zh) * 2022-08-11 2022-10-18 湖南恒岳重钢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风电塔筒成型后表面除锈处理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23Y1 (ko) * 1992-09-04 1995-03-25 우영기 콩나물재배통 세척기
KR200368991Y1 (ko) * 2004-09-07 2004-12-03 문동해 컵 자동 세척기
KR200436254Y1 (ko) * 2006-11-08 2007-07-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파우더 접시의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36781B1 (ko) * 2006-10-19 2008-06-10 김종국 컵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0476950Y1 (ko) 2013-07-17 2015-04-21 펌텍코리아 (주) 파운데이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에 오일을 분사하는 장치
KR101860754B1 (ko) * 2017-09-29 2018-05-24 장만순 형상에 따라 대응 적용 가능한 브러쉬부재를 갖는 화장품용 케이스의 표면 코팅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23Y1 (ko) * 1992-09-04 1995-03-25 우영기 콩나물재배통 세척기
KR200368991Y1 (ko) * 2004-09-07 2004-12-03 문동해 컵 자동 세척기
KR100836781B1 (ko) * 2006-10-19 2008-06-10 김종국 컵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0436254Y1 (ko) * 2006-11-08 2007-07-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파우더 접시의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76950Y1 (ko) 2013-07-17 2015-04-21 펌텍코리아 (주) 파운데이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에 오일을 분사하는 장치
KR101860754B1 (ko) * 2017-09-29 2018-05-24 장만순 형상에 따라 대응 적용 가능한 브러쉬부재를 갖는 화장품용 케이스의 표면 코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0816A (zh) * 2021-12-26 2022-04-08 肖旻 一种激光打印生产用墨盒回收翻新装置
CN115194658A (zh) * 2022-08-11 2022-10-18 湖南恒岳重钢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风电塔筒成型后表面除锈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30032A1 (en) Automatic cleaning and recycling device for glass bottles
KR101936378B1 (ko) 화장품용기 외부표면 자동세척장치
CN109665135B (zh) 一种瓶装牙签灌装机
CN107476139B (zh) 一种植物纤维环保餐具生产线及制备方法
KR20120019286A (ko) 농산물의 정량 공급장치
KR102460569B1 (ko) 용기 이동 기구
CN210794787U (zh) 改良式牙膏管自动排管机
KR101721446B1 (ko) 칫솔핸들 자동정렬 공급장치
ITBO990171A1 (it) Macchina depallettizzatrice .
CN109130591B (zh) 一种全自动铅笔芯灌装机的盖体传送组装系统
KR100344031B1 (ko) 종균접종장치의종균용기공급기구
KR102250287B1 (ko) 용기손잡이 자동조립시스템의 손잡이 자동공급장치
CN114273155A (zh) 一种彩盒自动补胶生产线
CN209880570U (zh) 高效型硅片导片机
CN220243697U (zh) 一种电子计量包装机
CN217919808U (zh) 一种用于斗式提升机的料斗结构
CN220885000U (zh) 一种带限位的多工位灌装设备
CN220970265U (zh) 一种化工桶清洗装置
CN209520089U (zh) 一种钮扣电池自动清洗及装盘装置
CN218790277U (zh) 一种糖果输送穿插把棒装置
CN212738665U (zh) 一种圆形物料的清洗烘干包装一体机
CN213446170U (zh) 全自动口服液灌装机
CN212916862U (zh) 一种等离子清洗机
CN214732633U (zh) 一种灵芝紧致提拉霜生产线上的包装瓶清洗储存系统
KR102394472B1 (ko) 피부미용 겔패치 성형 및 충진 자동화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