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310B1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310B1 KR101932310B1 KR1020147009942A KR20147009942A KR101932310B1 KR 101932310 B1 KR101932310 B1 KR 101932310B1 KR 1020147009942 A KR1020147009942 A KR 1020147009942A KR 20147009942 A KR20147009942 A KR 20147009942A KR 101932310 B1 KR101932310 B1 KR 101932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elete delete
- electronic parts
- outermost
- atom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alloy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3/00—Alloys based on ti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3/00—Alloys based on tin
- C22C13/02—Alloys based on tin with antimony or bismuth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7—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cobal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0—Alloys based on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6—Alloys based on chrom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6—Alloys based on silv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6—Alloys based on silver
- C22C5/08—Alloys based on silver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6—Alloys based on silver
- C22C5/10—Alloys based on silver with cadm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23C18/1651—Two or more layers only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89—After-treatment
- C23C18/1692—Heat-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25D5/12—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25D5/605—Surface topography of the layers, e.g. rough, dendritic or nodular layers
- C25D5/611—Smooth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27—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layers, e.g. colour, brightness or mat appear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4—Finish plating of conductors, especially of copper conductors, e.g. for pads or la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1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nickel or cobalt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i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tin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silv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platinum group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567—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platinum group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6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gold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64—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silv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25D5/50—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 C25D5/505—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of electroplated tin coatings, e.g. by melt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41—Intermediate metal, e.g. before reinforcing of conductors by pl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681—Ga-, In-, Tl- or Group VA metal-base compon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08—Sn-base compon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08—Sn-base component
- Y10T428/12715—Next to Group IB metal-base compon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08—Sn-base component
- Y10T428/12722—Next to Group VIII metal-base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재 (11) 와, 기재 (11) 의 최표층을 구성하고, Sn, In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된 A 층 (14) 과, 기재 (11) 와 A 층 (14) 사이에 형성되어 중층을 구성하고,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된 B 층 (13) 을 구비하고, 최표층 (A 층) (14) 의 두께가 0.002 ∼ 0.2 ㎛ 이고, 중층 (B 층) (13) 의 두께가 0.001 ∼ 0.3 ㎛ 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민생용 및 차재용 전자 기기용 접속 부품인 커넥터에는, 황동이나 인청동의 표면에 Ni 나 Cu 의 하지 도금을 실시하고, 추가로 그 위에 Sn 또는 Sn 합금을 도금한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Sn 또는 Sn 합금 도금은, 일반적으로 저접촉 저항 및 고땜납 젖음성이라는 특성이 요망되고, 또한 최근에 도금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한 수컷 단자 및 암컷 단자의 감합시의 삽입력 저감화도 요망되고 있다. 또, 제조 공정에서 도금 표면에 단락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침상 결정인 위스커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 이 위스커를 양호하게 억제할 필요도 있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1 에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0.05 ㎛ 이상의 표층이 Ni, Co 또는 이들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상에, Ag 또는 Ag 합금을 부분 피복하고, 노출되는 기재 표면과 부분 피복된 Ag 또는 Ag 합금층 상에, In, Zn, Sn, Pd 또는 이들 합금을 0.01 ∼ 1.0 ㎛ 의 두께로 피복한 은 피복 전기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르면 전기 재료로서의 우수한 납땜성이나 기계적 전기 접속에 있어서의 접속성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Cu 또는 Cu 합금 기재 표면에 Ni, Co 또는 이것들을 함유하는 합금의 제 1 피복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Ag 또는 Ag 합금의 제 2 피복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그 표면에 Sn 또는 Sn 합금의 피복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Sn 또는 Sn 합금 피복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르면, 고온에서의 사용과 관계없이, 표면의 산화 변색이 없고 접촉 저항의 증가가 적어 장기간에 걸쳐 외관 및 접촉 특성이 양호한 Sn 또는 Sn 합금 피복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Cu 또는 Cu 합금 기재 표면에 Ni, Co 또는 이것들을 함유하는 합금의 제 1 피복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Ag 또는 Ag 합금의 제 2 피복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그 표면에 Sn 또는 Sn 합금의 용융 응고 피복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Sn 또는 Sn 합금 피복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르면, 고온에서의 사용과 관계없이, 표면의 산화 변색이 없고 접촉 저항의 증가가 적어 장기간에 걸쳐 외관 및 접촉 특성이 양호한 Sn 또는 Sn 합금 피복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 에는, 도전성의 대조체의 편면에 Ag 층 또는 Ag 합금층이 피복되고, 타면에 Sn 층 또는 Sn 합금층이 피복되어 있는 전기 접점용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면, 황화 환경 등에 노출되어도 납땜성의 열화가 적은 전기 접점용 재료 또는 전기 접점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5 에는, (a) 은, 팔라듐, 백금, 비스무트, 인듐, 니켈, 아연, 티탄, 지르코늄, 알루미늄, 크롬, 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지용의 금속 박막의 어느 것을 피도금물 상에 형성한 후, (b) 상기 하지용의 금속 박막 상에 주석 또는 주석 합금의 도금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처리에 의한 주석 위스커의 방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면, 구리계 소지를 비롯한 피도금물의 표면 상에 납땜성 등을 양호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주석계 피막에 있어서, 간편한 조작으로 주석 위스커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6 에는, 도금용 기체의 표면에 은 도금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은 도금층의 표면에 두께 0.001 ∼ 0.1 ㎛ 의 주석 또는 인듐 또는 아연의 도금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은 도금 구조체를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도금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면,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은의 황화에 의한 반사율 저하가 적은 발광 소자 수납용 지지체, 및 황화로 인해서 잘 변색되지 않아, 은 본래의 광택을 갖고, 접촉 저항이 작은 전기 부품용 피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Sn 이 극박으로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접촉 저항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2 ∼ 5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땜납 젖음성 또는 접촉 특성은 양호하지만, 삽입 발출성이나 위스커의 억제에 관해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6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접촉 저항은 개선되고 있지만, 땜납 젖음성에 관해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Sn/Ag/Ni 하지 도금 구조를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에는 삽입 발출성이나 위스커에 문제가 있고, 삽입 발출성이나 위스커에 문제가 없는 사양으로 해도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고땜납 젖음성) 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는 사양으로 하기는 어렵고, 밝혀지지 않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저삽입 발출성 (저삽입 발출성이란 수컷 단자와 암컷 단자를 감합시켰을 때에 발생되는 삽입력이 낮은 것을 말한다),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 상에 중층과 최표층을 차례로 형성하고, 중층 및 최표층을 소정의 금속을 사용하고, 또한, 소정의 두께 또는 부착량으로 형성함으로써,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 모두를 구비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이상의 지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본 발명은 1 측면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최표층을 구성하고 Sn, In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된 A 층과, 상기 기재와 A 층 사이에 형성되어 중층을 구성하고,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된 B 층을 구비하고, 상기 최표층 (A 층) 의 두께가 0.002 ∼ 0.2 ㎛ 이고, 상기 중층 (B 층) 의 두께가 0.001 ∼ 0.3 ㎛ 인,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이다.
본 발명은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최표층을 구성하고 Sn, In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된 A 층과, 상기 기재와 A 층 사이에 형성되어 중층을 구성하고,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된 B 층을 구비하고,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In 의 부착량이 1 ∼ 150 ㎍/㎠ 이고,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Ir 의 부착량이 1 ∼ 330 ㎍/㎠ 인,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합금 조성이 Sn, In 또는 Sn 과 In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나머지 합금 성분이 Ag, As, Au, Bi, Cd, Co, Cr, Cu, Fe, Mn, Mo, Ni, Pb, Sb, W,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층 (B 층) 의 합금 조성이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Ag 와 Au 와 Pt 와 Pd 와 Ru 와 Rh 와 Os 와 Ir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나머지 합금 성분이 Bi, Cd, Co, Cu, Fe, In, Mn, Mo, Ni, Pb, Sb, Se, Sn, W, Tl,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3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미소 경도 시험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여 얻어진 경도인,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압입 경도가 250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10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미소 경도 시험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여 얻어진 경도인,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압입 경도가 1000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산술 평균 높이 (Ra) 가 0.1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최대 높이 (Rz) 가 1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반사 농도가 0.3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최표면으로부터 D1, D2 의 순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두께가 0.01 ∼ 0.1 ㎛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In 의 부착량이 7 ∼ 75 ㎍/㎠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층 (B 층) 의 두께가 0.005 ∼ 0.1 ㎛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Ir 의 부착량이 4 ∼ 120 ㎍/㎠ 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B 층 사이에 형성되어 하층을 구성하고, Ni, Cr, Mn, Fe, Co, Cu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으로 형성된 C 층을 한층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층 (C 층) 의 합금 조성이 Ni, Cr, Mn, Fe, Co, Cu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또한 B, P, Sn,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3) 가 최표면으로부터 D1, D2, D3 의 순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 및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각각 10 at% 이상이고,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가 25 % 이상인 깊이가 5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의 두께가 0.05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Cu 의 부착량이 0.03 mg/㎠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3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의 비커스 경도와 두께가 하기 식 :
비커스 경도 (Hv) ≥ -376.22 Ln (두께 ㎛) + 86.411
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미소 경도 시험에 의해서,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여 얻어진 경도인,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의 압입 경도가 250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미소 경도 시험에 의해서,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여 얻어진 경도인,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의 압입 경도와 두께가 하기 식 :
압입 경도 (㎫) ≥ -3998.4 Ln (두께 ㎛) + 1178.9
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10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초미소 경도 시험에 의해서,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여 얻어진 경도인, 상기 하층 (C 층) 의 표면의 압입 경도가 1000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금속 기재이고, 상기 금속 기재의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9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금속 기재이고, 초미소 경도 시험에 의해서, 상기 금속 기재의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여 얻어진 경도인, 상기 금속 기재의 표면의 압입 경도가 100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금속 기재이고, JIS C 6511 에 따라서, 상기 금속 기재의 압연 평행 방향에 대해서, 인장 속도를 50 ㎜/min 으로 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측정한 상기 금속 기재의 연신율이 5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금속 기재로서, W 자형의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금속 기재의 두께와 굽힘 반경의 비가 1 이 되는 조건에서 90°굽힘 시험을 실시했을 때, 상기 금속 기재의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최소 굽힘 반경/금속 기재의 두께인, 상기 금속 기재의 최소 굽힘 반경비 (MBR/t) 가 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와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Cu 또는 Z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3) 사이에,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에 대해서 40 at% 이상의 영역이 1 ㎚ 이상의 두께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Sn, In 이 2 at%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이 7 at%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O 가 50 at% 미만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커넥터 단자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를 사용한 커넥터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FFC 단자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FPC 단자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FFC 단자를 사용한 FFC 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FPC 단자를 사용한 FPC 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외부 접속용 전극에 사용한 전자 부품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1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최표층 (A 층) 및 상기 중층 (B 층) 을 각각 습식 도금에 의한 표면 처리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습식 도금 방법이 전기 도금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은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을 산성 도금액을 사용한 도금 처리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은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층 (B 층) 을 시안 함유 도금액을 사용한 도금 처리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은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을 술파민산욕 또는 와트욕을 사용한 도금 처리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은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술파민산욕 및 상기 와트욕에서 사용하는 도금액이 광택 Ni 도금액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은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액에, 첨가제로서 사카린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61 에 관련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Depth 측정 결과이다.
도 3 은 실시예 61 에 관련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 결과이다.
도 2 는 실시예 61 에 관련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Depth 측정 결과이다.
도 3 은 실시예 61 에 관련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10) 는, 기재 (11) 표면에 하층 (C 층) (12) 이 형성되고, 하층 (C 층) (12) 표면에 중층 (B 층) (13) 이 형성되고, 중층 (B 층) (13) 표면에 최표층 (A 층) (14)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C 층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가 아니고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구성>
(기재)
기재 (11) 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구리 및 구리 합금, F e계재, 스테인리스, 티탄 및 티탄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금속 기재에 수지층을 복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금속 기재에 수지층을 복합시킨 것이란, 예를 들어 FPC 또는 FFC 기재 상의 전극 부분 등이 있다.
기재 (11) 의 비커스 경도는 Hv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11) 의 비커스 경도가 Hv 90 이상이면, 단단한 기재에 의해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삽입 발출력이 보다 저하된다.
기재 (11) 의 압입 경도는 10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11) 의 압입 경도가 1000 ㎫ 이상이면, 단단한 기재에 의해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삽입 발출력이 보다 저하된다.
기재 (11) 의 연신율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11) 의 연신율이 5 % 이상이면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성형된 부분에 크랙이 잘 발생되지 않아 내가스 부식성 (내구성) 저하를 억제한다.
기재 (11) 의 최소 굽힘 반경비 (MBR/t) 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11) 의 최소 굽힘 반경비 (MBR/t) 가 3 이하이면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성형된 부분에 크랙이 잘 발생되지 않아 내가스 부식성 (내구성) 저하를 억제한다.
(최표층 (A 층))
최표층 (A 층) (14) 은 Sn, In 또는 이들 합금일 필요가 있다. Sn 및 In 은 산화성을 갖는 금속이지만, 금속 중에서는 비교적 연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Sn 및 In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고 있어도, 예를 들어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재료로 하여 수컷 단자와 암컷 단자를 감합할 때, 용이하게 산화막이 깎여 접점이 금속끼리로 되기 때문에 저접촉 저항이 얻어진다.
또, Sn 및 In 은 염소 가스, 아황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가스에 대한 내가스 부식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중층 (B 층) (13) 에 내가스 부식성이 열등한 Ag, 하층 (C 층) (12) 에 내가스 부식성이 열등한 Ni, 기재 (11) 에 내가스 부식성이 열등한 구리 및 구리 합금을 사용한 경우에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내가스 부식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다. 또한 Sn 및 In 에서는, 후생노동성의 건강 장해 방지에 관한 기술 지침에 기초하여, In 은 규제가 엄격하기 때문에 Sn 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의 조성은 Sn, In 또는 Sn 과 In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나머지 합금 성분이 Ag, As, Au, Bi, Cd, Co, Cr, Cu, Fe, Mn, Mo, Ni, Pb, Sb, W,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최표층 (A 층) (14) 이, 예를 들어 Sn-Ag 도금으로 형성되거나 함으로써, 그 조성이 합금이 되는 점에서,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및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최표층 (A 층) (14) 의 두께는 0.002 ∼ 0.2 ㎛ 일 필요가 있다. 최표층 (A 층) (14) 의 두께는 0.01 ∼ 0.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의 두께가 0.002 ㎛ 미만이면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이 얻어지지 않고,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염소 가스, 아황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가스 부식 시험을 실시하면 부식되어, 가스 부식 시험 전과 비교하여 크게 접촉 저항이 증가된다. 보다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이 얻어지기 위해서는 0.01 ㎛ 이상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또, 두께가 커지면, Sn 이나 In 의 응착 마모가 커지고, 삽입 발출력이 커지며, 위스커도 발생되기 쉬워진다. 보다 충분한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을 얻기 위해서는 0.2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또한, 두께를 0.1 ㎛ 이하로 하면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다. 위스커는 나선 전위가 발생됨으로써 발생되는데, 나선 전위가 발생되기 위해서는 수백 ㎚ 이상의 두께의 벌크가 필요하다. 최표층 (A 층) (14) 의 두께가 0.2 ㎛ 이하에서는, 나선 전위가 발생되는 충분한 두께가 아니고, 기본적으로는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 최표층 (A 층) 과 중층 (B 층) 은 상온에서 단회로 (短回路) 확산이 진행되기 쉽고, 합금이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다.
최표층 (A 층) (14) 의 Sn, In 의 부착량은 1 ∼ 150 ㎍/㎠ 일 필요가 있다. 최표층 (A 층) (14) 의 부착량은 7 ∼ 7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착량으로 정의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최표층 (A 층) (14) 의 두께를 형광 X 선 막두께 합계로 측정할 경우, 최표층 (A 층) 과 그 아래의 중층 (B 층) 사이에 형성된 합금층에 의해서, 측정되는 두께의 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부착량으로 제어하는 경우, 합금층의 형성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보다 정확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다. 최표층 (A 층) (14) 의 Sn, In 의 부착량이 1 ㎍/㎠ 미만이면,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이 얻어지지 않고,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염소 가스, 아황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가스 부식 시험을 실시하면 부식되어, 가스 부식 시험 전과 비교하여 크게 접촉 저항이 증가된다. 보다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이 얻어지기 위해서는 7 ㎍/㎠ 이상의 부착량이 바람직하다. 또 부착량이 많아지면 Sn 이나 In 의 응착 마모가 커지고, 삽입 발출력이 커지고, 위스커도 발생되기 쉬워진다. 보다 충분한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을 얻기 위해서는 150 ㎍/㎠ 이하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이다. 또한, 부착량을 75 ㎍/㎠ 이하로 하면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다. 위스커는 나선 전위가 발생됨으로써 발생되는데, 나선 전위가 발생되기 위해서는 수백 ㎍/㎠ 이상의 부착량의 벌크가 필요하다. 최표층 (A 층) (14) 의 부착량이 150 ㎍/㎠ 이하에서는 나선 전위가 발생되는 충분한 부착량이 아니고, 기본적으로는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 최표층 (A 층) 과 중층 (B 층) 은 상온에서 단회로 확산이 진행되기 쉽고, 합금이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다.
(중층 (B 층))
중층 (B 층) (13) 은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이들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Ag, Au, Pt, Pd, Ru, Rh, Os, Ir 은 금속 중에서는 비교적 내열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재 (11) 나 하층 (C 층) (12) 의 조성이 최표층 (A 층) (14) 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또, 이들 금속은 최표층 (A 층) (14) 의 Sn 이나 In 과 화합물을 형성하여 Sn 이나 In 의 산화막형성을 억제하고, 땜납 젖음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Ag, Au, Pt, Pd, Ru, Rh, Os, Ir 중에서는 도전율의 관점에서 Ag 가 보다 바람직하다. Ag 는 도전율이 높다. 예를 들어 고주파의 신호 용도에 Ag 사용한 경우, 표면 효과에 의해서 임피던스 저항이 낮아진다.
중층 (B 층) (13) 의 합금 조성이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Ag 와 Au 와 Pt 와 Pd 와 Ru 와 Rh 와 Os 와 Ir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나머지 합금 성분이 Bi, Cd, Co, Cu, Fe, In, Mn, Mo, Ni, Pb, Sb, Se, Sn, W, Tl,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층 (B 층) (13) 이, 예를 들어 Sn-Ag 도금으로 형성되거나 함으로써, 그 조성이 합금이 되는 점에서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및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등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중층 (B 층) (13) 의 두께는 0.001 ∼ 0.3 ㎛ 일 필요가 있다. 중층 (B 층) (13) 의 두께는 0.005 ∼ 0.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001 ㎛ 미만이면, 기재 (11) 나 하층 (C 층) (12)과 최표층 (A 층) 이 합금을 형성하고, 내열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나 땜납 젖음성이 나쁘다. 보다 충분한 내열성이나 땜납 젖음성이 얻어지기 위해서는 0.005 ㎛ 이상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또 두께가 커지면, 단단한 기재 (11) 또는 하층 12 (C 층) 에 의한 박막 윤활 효과가 저하되어 삽입 발출력이 커지기 때문에, 보다 충분한 저삽입 발출성을 얻기 위해서는 0.3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이들 합금의 부착량은 1 ∼ 330 ㎍/㎠ 일 필요가 있다. 중층 (B 층) (13) 의 부착량은 4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착량으로 정의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중층 (B 층) (13) 의 두께를 형광 X 선 막두께 합계로 측정할 경우, 최표층 (A 층) (14) 과 그 아래의 중층 (B 층) (13) 사이에 형성된 합금층에 의해서, 측정되는 두께의 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부착량으로 제어하는 경우, 합금층의 형성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보다 정확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다. 부착량이 1 ㎍/㎠ 미만이면 기재 (11) 나 하층 (C 층) (12)과 최표층 (A 층) 이 합금을 형성하여, 내열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나 땜납 젖음성이 나쁘다. 보다 충분한 내열성이나 땜납 젖음성이 얻어지기 위해서는 4 ㎍/㎠ 이상의 부착량이 바람직하다. 또 부착량이 많으면 단단한 기재 (11) 또는 하층 (C 층) 에 의한 박막 윤활 효과가 저하되어 삽입 발출력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충분한 저삽입 발출성을 얻기 위해서는 3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하이다.
(하층 (C 층))
기재 (11) 와 중층 (B 층) (13) 사이에는, Ni, Cr, Mn, Fe, Co, Cu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층 (C 층) (12)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Cr, Mn, Fe, Co, Cu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을 사용하여 하층 (C 층) (12) 을 형성하는 점에서, 단단한 하층 (C 층) 형성에 의해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고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되고, 하층 (C 층) (12) 은 기재 (11) 의 구성 금속이 중층 (B 층) 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열성 시험이나 내가스 부식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 증가 및 땜납 젖음성 열화를 억제하는 등 내구성이 향상된다.
하층 (C 층) (12) 의 합금 조성이, Ni, Cr, Mn, Fe, Co, Cu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또한 B, P, Sn,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하층 (C 층) (12) 의 합금 조성이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하층 (C 층) 이 보다 경화됨으로써 추가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되고, 하층 (C 층) (12) 의 합금화는 기재 (11) 의 구성 금속이 중층 (B 층) 으로 확산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여, 내열성 시험이나 내가스 부식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 증가 및 땜납 젖음성 열화를 억제하는 등 내구성이 향상된다.
하층 (C 층) (12) 의 두께는 0.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두께가 0.05 ㎛ 미만이면, 단단한 하층 (C 층) 에 의한 박막 윤활 효과가 저하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나빠지고, 기재 (11) 의 구성 금속은 중층 (B 층) 으로 확산되기 쉬워져, 내열성 시험이나 내가스 부식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 증가 및 땜납 젖음성 열화되기 쉬운 등, 내구성이 나빠진다.
하층 (C 층) (12) 의 Ni, Cr, Mn, Fe, Co, Cu 의 부착량이 0.03 m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착량으로 정의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하층 (C 층) (12) 의 두께를 형광 X 선 막두께 합계로 측정하는 경우, 최표층 (A 층) (14), 중층 (B 층) (13) 및 기재 (11) 등으로 형성된 합금층에 의해서, 측정되는 두께의 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부착량으로 제어하는 경우, 합금층의 형성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보다 정확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다. 또 부착량이 0.03 mg/㎠ 미만이면, 단단한 하층 (C 층) 에 의한 박막 윤활 효과가 저하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나빠지고, 기재 (11) 의 구성 금속은 중층 (B 층) 으로 확산하기 쉬워져, 내열성 시험이나 내가스 부식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 증가 및 땜납 젖음성 열화되기 쉬운 등, 내구성이 나빠진다.
(열처리)
최표층 (A 층) (14) 을 형성시킨 후,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열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열처리에 의해서 최표층 (A 층) (14) 과 중층 (B 층) (13) 이 합금층을 형성하기 쉬워지고, Sn 의 응착력을 더욱 작게 함으로써 저삽입 발출성을 얻을 수 있고, 또 저위스커성 및 내구성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이 열처리에 대해서는 처리 조건 (온도 × 시간) 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특별히 이 열처리는 하지 않아도 되다.
(후처리)
최표층 (A 층) (14) 상 또는 최표층 (A 층) (14) 상에 열처리를 실시한 후, 저삽입 발출성이나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후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후처리에 의해서 윤활성이 향상되어 추가적인 저삽입 발출성을 얻을 수 있고, 또 최표층 (A 층) 과 중층 (B 층) 의 산화가 억제되어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및 땜납 젖음성 등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인 후처리로는 인히비터를 사용한 인산염 처리, 윤활 처리, 실란 커플링 처리 등이 있다. 또한, 이 열처리에 대해서는 처리 조건 (온도 × 시간) 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특별히 이 열처리는 하지 않아도 되다.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특성>
최표층 (A 층) 의 표면 (최표층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의 비커스 경도는 Hv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300 이상이면, 단단한 최표층 (A 층) 에 의해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또 한편으로, 최표층 (A 층) (14) 표면 (최표층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의 비커스 경도는 Hv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Hv 1000 이하이면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성형된 부분에 크랙이 잘 발생되지 않아 내가스 부식성 (내구성) 저하를 억제한다.
최표층 (A 층) (14) 의 표면 (최표층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의 압입 경도는 25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압입 경도가 2500 ㎫ 이상이면 단단한 최표층 (A 층) 에 의해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또 한편으로, 최표층 (A 층) (14) 의 표면 (최표층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의 압입 경도는 10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압입 경도가 10000 ㎫ 이하이면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성형된 부분에 크랙이 잘 발생되지 않아 내가스 부식성 (내구성) 저하를 억제한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산술 평균 높이 (Ra) 는 0.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산술 평균 높이 (Ra) 가 0.1 ㎛ 이하이면 비교적 부식되기 쉬운 볼록부가 적어져 평활해지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향상된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최대 높이 (Rz) 는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최대 높이 (Rz) 가 1 ㎛ 이하이면 비교적 부식되기 쉬운 볼록부가 적어져 평활해지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향상된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반사 농도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표면의 반사 농도가 0.3 이상이면 비교적 부식되기 쉬운 볼록부가 적어져 평활해지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향상된다.
하층 (C 층) (12) 의 비커스 경도는 Hv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비커스 경도가 Hv 300 이상이면, 하층 (C 층) 이 보다 경화됨으로써 추가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또 한편으로, 하층 (C 층) (12) 의 비커스 경도는 Hv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비커스 경도가 Hv 1000 이하이면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성형된 부분에 크랙이 잘 발생되지 않아 내가스 부식성 (내구성) 저하를 억제한다.
하층 (C 층) (12) 의 비커스 경도와 하층 (C 층) (12) 의 두께가 하기 식 :
비커스 경도 (Hv) ≥ -376.22 Ln (두께 ㎛) + 86.41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비커스 경도와 하층 (C 층) (12) 의 두께가 상기 식을 만족하면, 하층 (C 층) 이 보다 경화됨으로써 추가로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Ln (두께 ㎛)」이란 두께 (㎛) 의 자연대수의 수치를 의미한다.
하층 (C 층) (12) 의 압입 경도는 25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압입 경도가 2500 ㎫ 이상이면, 하층 (C 층) 이 보다 경화됨으로써 더욱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또 한편으로, 하층 (C 층) (12) 의 압입 경도가 10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압입 경도가 10000 ㎫ 이하이면 굽힘 가공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경우, 성형된 부분에 크랙이 잘 발생되지 않아 내가스 부식성 (내구성) 저하를 억제한다.
하층 (C 층) (12) 의 압입 경도와 하층 (C 층) (12) 의 두께가 하기 식 :
압입 경도 (㎫) ≥ -3998.4 Ln (두께 ㎛) + 1178.9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C 층) (12) 의 압입 경도와 하층 (C 층) (12) 의 두께가 상기 식을 만족하면, 하층 (C 층) 이 보다 경화됨으로써 더욱 박막 윤활 효과가 향상되어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최표면으로부터 D1, D2 의 순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면으로부터 D1, D2 의 순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이 얻어지지 않고,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염소 가스, 아황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가스 부식 시험을 실시하면 부식되어, 가스 부식 시험 전과 비교하여 크게 접촉 저항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이 얻어지지 않고,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염소 가스, 아황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가스 부식 시험을 실시하면 부식되어, 가스 부식 시험 전과 비교하여 크게 접촉 저항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미만인 경우, 기재 (11) 나 하층 (C 층) (12)과 최표층 (A 층) 이 합금을 형성하여 내열성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나 땜납 젖음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하층 (C 층) (12)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3) 가 최표면으로부터 D1, D2, D3 의 순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면으로부터 D1, D2, D3 의 순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충분한 내가스 부식성을 얻지 못하고,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염소 가스, 아황산 가스, 황화수소 가스 등의 가스 부식 시험을 실시하면 부식되어, 가스 부식 시험 전과 비교하여 크게 접촉 저항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 및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각각 10 at% 이상이고, 하층 (C 층) (12)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가 25 at% 이상인 깊이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 및 중층 (B 층) (13)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각각 10 at% 미만이고, 하층 (C 층) (12)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가 25 at% 이상인 깊이가 50 ㎚ 미만인 경우, 저삽입 발출성이나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은, 기재 성분이 최표층 (A 층) (14) 또는 중층 (B 층) (13) 으로 확산되어 나빠질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최표층 (A 층) (14)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와, 하층 (C 층) (12) 의 Ni, Cr, Mn, Fe, Co, Cu 또는 Z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3) 사이에,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에 대해서 40 at% 이상의 영역이 1 ㎚ 이상의 두께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미만의 두께로 존재하면, 예를 들어 Ag 의 경우, 땜납 젖음성이나 내열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Sn, In 이 1 a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Sn, In 이 2 at% 미만이면, 예를 들어 Ag 의 경우, 내황화성이 열등하여 접촉 저항이 크게 증가될 우려가 있다. 또, 예를 들어 Pd 의 경우, Pd 가 산화되어 접촉 저항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이 7 at%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이 7 at% 이상이면, 예를 들어 Ag 의 경우, 내황화성이 열등하여 접촉 저항이 크게 증가될 우려가 있다. 또, 예를 들어 Pd 의 경우, Pd 가 산화되어 접촉 저항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O 가 50 at%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O 가 50 at% 이상이면 접촉 저항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용도>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커넥터 단자,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FFC 단자 또는 FPC 단자,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외부 접속용 전극에 사용한 전자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자에 대해서는 압착 단자, 납땜 단자, 프레스 피트 단자 등 배선측과의 접합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외부 접속용 전극에는, 탭에 표면 처리를 실시한 접속 부품이나 반도체의 언더 범프 메탈용에 표면 처리를 실시한 재료 등이 있다.
또, 이와 같이 형성된 커넥터 단자를 사용하여 커넥터를 제작해도 되고, FFC 단자 또는 FPC 단자를 사용하여 FFC 또는 FPC 를 제작해도 된다.
커넥터는 수컷 단자와 암컷 단자의 양방이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이어도 되고, 수컷 단자 또는 암컷 단자의 편방이어도 된다. 또한 수컷 단자와 암컷 단자의 양방을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로 함으로써 더욱 저삽입 발출성이 향상된다.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는, 습식 (전기, 무전해) 도금, 건식 (스퍼터, 이온 도금 등) 도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건식 도금보다 습식 도금 쪽이, 도금 피막 중에, 도금액 중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불순물 성분이 공석 (共析) 되어 위스커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 전착 조직이 딱딱해짐으로써 저삽입 발출성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는 습식 도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도금 중에서는 전기 도금 쪽이 바람직하다. 전기 도금은 무전해 도금과 비교하여 균일한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최표층 (A 층) (14) 은, 산성 도금액을 사용한 도금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도금을 사용함으로써, 중층 (B 층) (13) 과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중층 (B 층) (13) 은, 시안 함유 도금액을 사용한 도금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안 함유 도금을 사용함으로써, 치밀한 피막이 형성되어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이 향상된다.
하층 (C 층) (12) 은, 술파민산욕 또는 와트욕을 사용한 도금 처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술파민산욕 또는 와트욕을 사용함으로써,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 술파민산욕 또는 와트욕에서 사용하는 도금액이, 광택 Ni 도금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액으로서 광택 Ni 도금을 사용함으로써 피막이 평활하고 딱딱해져, 저삽입 발출성이나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이 향상된다.
또 술파민산욕 또는 와트욕에 첨가제로서 사카린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카린을 첨가함으로써 치밀하고 단단한 피막이 되어 피막이 평활하고 딱딱해져, 저삽입 발출성이나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이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나타내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기재, 하층 (C 층), 중층 (B 층), 최표층 (A 층) 을 이 순서대로 형성하고,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시료를 이하의 표 1 ∼ 7 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각각 제작하였다. 또, 하층 (C 층) 에 대해서는 형성되지 않는 예도 제작하였다.
표 1 에 기재의 제작 조건을, 표 2 에 하층 (C 층) 의 제작 조건을, 표 3 에 중층 (B 층) 의 제작 조건을, 표 4 에 최표층 (A 층) 의 제작 조건을, 표 5 에 열처리 조건을 각각 나타낸다. 또, 표 6 (표 6-1, 표 6-2, 표 6-3) 에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층의 제작 조건 및 열처리의 조건을, 표 7 에 각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층의 제작 조건 및 열처리의 조건 각각 나타낸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1]
[표 6-2]
[표 6-3]
[표 7]
(두께의 측정)
최표층 (A 층), 중층 (B 층), 하층 (C 층) 의 두께는, 최표층 (A 층), 중층 (B 층), 하층 (C 층) 의 조성을 갖지 않는 기재에 각각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각각 형광 X 선 막후계 (Seiko Instruments 제조 SEA5100, 콜리메이터 0.1 ㎜Φ) 로 실제 두께를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Sn 도금의 경우에는, 기재가 Cu-10 질량%Sn-0.15 질량%P 이면 기재에 Sn 을 갖고 있고, 정확한 Sn 도금의 두께를 모르기 때문에, Sn 이 기재의 조성을 갖지 않는 Cu -30 질량%Zn 으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부착량의 측정)
각 시료를 황산이나 질산 등으로 산분해하여, ICP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광 분석에 의해서 각 금속의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산은 각각의 샘플을 갖는 조성에 따라서 상이하다.
(조성의 결정)
측정된 부착량에 기초하여 각 금속의 조성을 산출하였다.
(층 구조의 결정)
얻어진 시료의 층 구조는 XPS (X 선 광전자 분광) 분석에 의한 깊이 (Depth) 프로파일로 결정하였다. 분석된 원소는 최표층 (A 층), 중층 (B 층), 하층 (C 층) 의 조성과 C 및 O 이다. 이들 원소를 지정 원소로 한다. 또, 지정 원소의 합계를 100 % 로 하여 각 원소의 농도 (at%) 를 분석하였다. XPS (X 선 광전자 분광) 분석에서의 두께는, 분석에 의한 차트의 가로축의 거리 (SiO2 환산에서의 거리) 에 대응한다.
또, 얻어진 시료의 표면은, XPS (X 선 광전자 분광) 분석에 의한 Survey 측정에 의해서 정성 분석도 실시하였다. 정성 분석의 농도 분해능은 0.1 at% 로 하였다.
XPS 장치로는, 알박·파이 주식회사 제조 5600 MC 를 사용하여 도달 진공도 : 5.7 × 10-9 Torr, 여기원 : 단색화 AlKα, 출력 : 210 W, 검출 면적 : 800 ㎛Φ, 입사각 : 45 도, 취출각 : 45 도, 중화 총 (銃) 없음으로 하여 이하의 스퍼터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온종 : Ar+
가속 전압 : 3 ㎸
소인 (掃引) 영역 : 3 ㎜ × 3 ㎜
레이트 : 2.8 ㎚ /min. (SiO2 환산)
(평가)
각 시료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A. 삽입 발출력
삽입 발출력은, 시판되는 Sn 리플로 도금 암컷 단자 (090 형 스미토모 TS/야사키 090 Ⅱ 시리즈 암컷 단자 비(非)방수/F090-SMTS) 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된 도금한 수컷 단자와 삽입 발출 시험을 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측정 장치는 아이코 엔지니어링 제조 1311 NR 로서, 수컷 핀의 슬라이딩 거리 5 ㎜ 에서 평가하였다. 샘플수는 5 개로 하고, 삽입 발출력은 삽입력과 발출력이 동등하기 때문에, 각 샘플의 최대 삽입력의 값을 평균한 값을 채용하였다. 삽입 발출력의 블랭크재로는 비교예 1 의 샘플을 채용하였다.
삽입 발출력의 목표는, 비교예 1 의 최대 삽입 발출력과 비교하여 90 % 미만이다. 이것은, 비교예 4 가 비교예 1 의 최대 삽입력과 비교하여 90 % 이고, 내구성 (내열성, 내가스 부식성, 땜납 젖음성 등) 도 양호하고, 이 비교예 4 보다, 보다 큰 삽입 발출력의 감소를 목표로 하였다.
B. 위스커
위스커는 JEITA RC-5241 의 하중 시험 (구압자법) 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즉, 각 샘플에 대해서 하중 시험을 실시하고, 하중 시험을 끝낸 샘플을 SEM (JEOL 사 제조, 형식 JSM-5410) 에 의해서 100 ∼ 10000 배의 배율로 관찰하여 위스커의 발생 상황을 관찰하였다. 하중 시험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구압자 (球壓子) 의 직경 : Φ1 ㎜ ± 0.1 ㎜
시험 하중 : 2 N ± 0.2 N
시험 시간 : 120 시간
목표로 하는 특성은 길이 20 ㎛ 이상의 위스커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지만, 최대 목표로는 위스커가 하나도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C. 접촉 저항
접촉 저항은 야마자키 정밀 기계 제조 접점 시뮬레이터 CRS-113-Au 형을 사용하고, 접점 하중 50 g 의 조건에서 4 단자법 의해서 측정하였다. 샘플수는 5 개로 하고, 각 샘플의 최소치 내지 최대치의 범위를 채용하였다. 목표로 하는 특성은 접촉 저항 10 mΩ 이하이다. 접촉 저항은 1 ∼ 3 mΩ, 3 ∼ 5 mΩ 및 5 mΩ < 으로 구분하였다.
D. 내열성
내열성은 대기 가열 (155 ℃ × 500 h) 시험 후의 샘플의 접촉 저항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목표로 하는 특성은 접촉 저항 10 mΩ 이하이지만, 최대 목표로는 접촉 저항이 내열성 시험 전후에서 변화가 없는 (동등한) 것으로 하였다. 내열성은, 접촉 저항이 1 ∼ 4 mΩ, 2 ∼ 4 mΩ, 2 ∼ 5 mΩ, 3 ∼ 6 mΩ, 3 ∼ 7 mΩ, 6 ∼ 9 mΩ, 10 mΩ < 으로 구분하였다.
E. 내가스 부식성
내가스 부식성은 하기의 (1) ∼ (3) 에 나타내는 3 개의 시험 환경에서 평가하였다. 내가스 부식성의 평가는 (1) ∼ (3) 의 환경 시험을 끝낸 시험 후의 샘플의 접촉 저항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목표로 하는 특성은 접촉 저항 10 mΩ 이하이지만, 최대 목표로는 접촉 저항이 내가스 부식성 시험 전후로 변화가 없는 (동등한) 것으로 하였다. 내가스 부식성은, 접촉 저항이 1 ∼ 3 mΩ, 1 ∼ 4 mΩ, 2 ∼ 4 mΩ, 2 ∼ 6 mΩ, 3 ∼ 5 mΩ, 3 ∼ 7 mΩ, 4 ∼ 7 mΩ, 5 ∼ 8 mΩ, 6 ∼ 9 mΩ, 10 mΩ < 으로 구분하였다.
(1) 염수 분무 시험
염수 농도 : 5 %
온도 : 35 ℃
분무 압력 : 98 ± 10 ㎪
폭로 시간 : 96 h
(2) 아황산 가스 부식 시험
아황산 농도 : 25 ppm
온도 : 40 ℃
습도 : 80 % RH
폭로 시간 : 96 h
(3)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아황산 농도 : 3 ppm
온도 : 40 ℃
습도 : 80 % RH
폭로 시간 : 96 h
F. 땜납 젖음성
땜납 젖음성은 도금 후의 샘플을 평가하였다. 솔더 체커 (레스카사 제조 SAT-5000) 를 사용하고, 플럭스로서 시판되는 25 % 로진 메탄올 플럭스를 사용하여 메니스코그래프법에 의해서 땜납 젖음 시간을 측정하였다. 땜납은 Sn-3Ag-0.5Cu (250 ℃) 를 사용하였다. 샘플수는 5 개로 하고, 각 샘플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의 범위를 채용하였다. 목표로 하는 특성은 제로 크로스 타임 5 초 이하이다. 제로 크로스 타임은 1 ∼ 3 s, 2 ∼ 3 s, 3 ∼ 5 s, 4 ∼ 5 s, 5 s < 로 구분하였다.
G. 굽힘 가공성
굽힘 가공성은 W 자형의 금형을 사용하여 시료의 판두께와 굽힘 반경의 비가 1 이 되는 조건에서 90°굽힘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굽힘 가공부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크랙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의 실용상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 으로 하고, 크랙이 인정된 경우를 × 로 하였다.
H. 비커스 경도
최표층 (A 층) 의 비커스 경도는, 샘플 표면으로부터 하중 980.7 mN (Hv 0.1), 하중 유지 시간 15 초에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였다.
또, 하층 (C 층) 의 비커스 경도는, 하층 (C 층) 단면으로부터 하중 980.7 mN (Hv0.1), 하중 유지 시간 15 초에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였다.
I. 압입 경도
최표층 (A 층) 의 압입 경도는, 초미소 경도 시험 (에이오닉스 제조 ENT-2100) 에 의해서, 샘플 표면에 하중 0.1 mN 으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였다.
또, 하층 (C 층) 의 압입 경도는, 하층 (C 층) 단면으로부터 하중 980.7 mN (Hv0.1), 하중 유지 시간 15 초로 화살촉을 쏘아 측정하였다.
J. 표면 조도
표면 조도 (산술 평균 높이 (Ra) 및 최대 높이 (Rz)) 의 측정은, JIS B 0601 에 준거하여 비접촉식 삼차원 측정 장치 (미타카 광기사 제조, 형식 NH-3) 를 사용하고 실시하였다. 절단은 0.25 ㎜, 측정 길이는 1.50 ㎜ 이고, 1 시료당 5 회 측정하였다.
K. 반사 농도
반사 농도는 덴시토미터 (ND-1,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 연신율
연신율은 JIS C 6511 에 따라서 각 샘플의 압연 평행 방향에 대해서 인장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인장 속도는 50 ㎜/min 로 하였다.
M. 최소 굽힘 반경비 (MBR/t)
최소 굽힘 반경비는, 굽힘 가공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최소 굽힘 반경/시험편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8 ∼ 22 에 나타낸다.
[표 8]
[표 9]
[표 10]
[표 11]
[표 12]
[표 13]
[표 14]
[표 15]
[표 16]
[표 17]
[표 18]
[표 19]
[표 20]
[표 21]
[표 22]
실시예 1∼ 97 은, 저삽입 발출성, 저위스커성 및 내구성이 모두 우수한 전자 부품 금속 재료이었다.
비교예 1 은 블랭크재이다.
비교예 2 는, 비교예 1 의 블랭크재의 Sn 도금을 얇게 하여 제작한 것인데, 땜납 젖음성이 나빴다.
비교예 3 은,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이 목표보다 높았다.
비교예 4 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중층에 Cu 도금을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은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90 % 였다.
비교예 5 는, 비교예 4 와 비교하여 Sn 도금을 얇게 하여 제작한 것인데, 땜납 젖음성이 나빴다.
비교예 6 은, 비교예 5 와 비교하여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이 목표보다 높았다.
비교예 7 은, 비교예 1 의 블랭크재와 비교하여 하층에 Cu 도금을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비교예 1 과 특성은 다르지 않았다.
비교예 8 은, 비교예 1 의 블랭크재와 비교하여 하층의 Ni 도금을 두껍게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비교예 1 과 특성은 다르지 않았다.
비교예 9 는, 실시예 1 과 비교하여 최표층의 Sn 도금을 두껍게 하여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이 목표보다 높았다.
비교예 10 은, 비교예 9 와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얇게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은 목표를 밑돌기는 했지만, 위스커는 목표로 하는 20 ㎛ 이상의 길이인 것은 없었지만 20 ㎛ 미만의 위스커는 1 개 이상 확실하게 발생되어 있었다.
비교예 11 은, 실시예 1 과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두껍게 하여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이 목표보다 높았다.
비교예 12 는, 비교예 11 과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하지 않고 제작한 것인데, 땜납 젖음성이 나빴다.
비교예 13 은, 실시예 4 와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두껍게 하여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삽입 발출력이 목표보다 높았다.
비교예 14 는, 비교예 13 과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하지 않고 제작한 것인데, 땜납 젖음성이 나빴다.
비교예 15 는, 실시예 4 와 비교하여 최표층의 Sn 도금을 얇게 하여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16 은, 실시예 5 와 비교하여 최표층의 Sn 도금을 얇게 하여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XPS (X 선 광전자 분광) 에 의한 Depth 측정에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하이고,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17 은, 실시예 3 과 비교하여 Sn 과 Ag 의 도금 순서를 반대로 하여 제작한 것인데, XPS (X 선 광전자 분광) 에서의 Depth 측정에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D2, D1 의 순서로 존재하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18 은, XPS (X 선 광전자 분광) 에 의한 Depth 측정에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D1 ≒ D2 이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19 는, 실시예 60 과 비교하여, Sn 과 Ag 의 도금 순서를 반대로 하여 제작한 것인데, XPS (X 선 광전자 분광) 에 의한 Depth 측정에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D2, D1 의 순서로 존재하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20 은, XPS (X 선 광전자 분광) 에 의한 Depth 측에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D1 ≒ D2 이기 때문에,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21 은, 실시예 79 와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하지 않고 제작한 것인데, 땜납 젖음성이 나빴다.
비교예 22 는, 실시예 79 와 비교하여 최표층의 Sn 도금을 얇게 하여 실시하여 제작한 것인데, XPS (X 선 광전자 분광) 에 의한 Depth 측정에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가 10 at% 이하이고, 내가스 부식성이 나빠, 황화수소 가스 부식 시험 후의 접촉 저항이 목표를 웃돌았다.
비교예 23 은, 실시예 84 와 비교하여 중층의 Ag 도금을 실시하지 않고 제작한 것인데, 땜납 젖음성이 나빴다.
또, 도 2 에 실시예 61 에 관련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Depth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로부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D1, D2 의 순서로 존재하고, D1 이 35 at%, D2 가 87 % 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3 에 실시예 61 에 관련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으로부터 O 가 24.1 at% 이고, Ag 가 2.6 at% 이고, Sn 이 7.3 at% 인 것을 알 수 있다.
10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11 : 기재
12 : 하층 (C 층)
13 : 중층 (B 층)
14 : 최표층 (A 층)
11 : 기재
12 : 하층 (C 층)
13 : 중층 (B 층)
14 : 최표층 (A 층)
Claims (52)
- 기재와,
상기 기재의 최표층을 구성하고 Sn 또는 In 으로 형성되거나, Sn 및 I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된 A 층과,
상기 기재와 A 층 사이에 형성되어 중층을 구성하고,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로 형성되거나, 이들 원소 중 하나 이상의 합금으로 형성된 B 층을 구비하고,
상기 최표층 (A 층) 은 하기 (i) 또는 (ii) 의 구성을 구비하고,
(i) 두께가 0.002 ~ 0.2 ㎛ 임;
(ii) Sn 및 In 중 하나 이상의 총 부착량이 1 ~ 150 ㎍/㎠ 임;
상기 중층 (B 층) 은 하기 (iii) 또는 (iv) 의 구성을 구비하고,
(iii) 두께가 0.005 ~ 0.3 ㎛ 임;
(iv) Ag, Au, Pt, Pd, Ru, Rh, Os 및 Ir 중 하나 이상의 총 부착량이 1 ~ 330 ㎍/㎠ 임;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Sn, In 이 2 at% 이상이며, 또한,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이 7 at% 미만인,
저위스커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합금 조성이 Sn 및 In 중 하나 이상의 총량이 50 질량 % 이상이고, 나머지 합금 성분이 Ag, As, Au, Bi, Cd, Co, Cr, Cu, Fe, Mn, Mo, Ni, Pb, Sb, W,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 (B 층) 의 합금 조성이 Ag, Au, Pt, Pd, Ru, Rh, Os, Ir 또는 Ag 와 Au 와 Pt 와 Pd 와 Ru 와 Rh 와 Os 와 Ir 의 합계로 50 질량% 이상이고, 나머지 합금 성분이 Bi, Cd, Co, Cu, Fe, In, Mn, Mo, Ni, Pb, Sb, Se, Sn, W, Tl,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가 최표면으로부터 D1, D2 의 순서로 존재하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상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10 at% 이상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두께가 0.01 ~ 0.1 ㎛ 이고,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및 In 중 하나 이상의 총 부착량이 7 ~ 75 ㎍/㎠ 인, 위스커가 프리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 (B 층) 의 두께가 0.005 ~ 0.1 ㎛ 이고,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및 Ir 중 하나 이상의 총 부착량이 4 ~ 120 ㎍/㎠ 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B 층 사이에 형성되어 하층을 구성하고, Ni, Cr, Mn, Fe, Co, Cu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으로 형성된 C 층을 추가로 구비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9 항에 있어서,
하층 (C 층) 의 합금 조성이 Ni, Cr, Mn, Fe, Co 및 Cu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총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이고, 또한 B, P, Sn, Z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9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2),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3) 가 최표면으로부터 D1, D2, D3 의 순서로 존재하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9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 및 상기 중층 (B 층) 의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가 각각 10 at% 이상이고,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또는 Cu 의 원자 농도 (at%) 가 25 % 이상이고, 깊이가 50 ㎚ 이상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C 층) 의 두께가 0.05 ㎛ 이상이고,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및 Cu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총 부착량이 0.03 mg/㎠ 이상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9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로 Depth 분석을 실시했을 때, 상기 최표층 (A 층) 의 Sn 또는 I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1) 와 상기 하층 (C 층) 의 Ni, Cr, Mn, Fe, Co, Cu 또는 Zn 의 원자 농도 (at%) 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 (D3) 사이에, Ag, Au, Pt, Pd, Ru, Rh, Os 또는 Ir 에 대해서 40 at% 이상의 영역이 1 ㎚ 이상의 두께로 존재하는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XPS (X 선 광전자 분광) 의 Survey 측정에 의해서 상기 최표층 (A 층) 의 표면의 원소 분석을 실시했을 때, O 가 50 at% 미만인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커넥터 단자.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FFC 단자.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접점 부분에 사용한 FPC 단자.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를 외부 접속용 전극에 사용한 전자 부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05371 | 2011-09-20 | ||
JP2011205371 | 2011-09-20 | ||
JP2012033265A JP5086485B1 (ja) | 2011-09-20 | 2012-02-17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12-033265 | 2012-02-17 | ||
PCT/JP2012/073095 WO2013042572A1 (ja) | 2011-09-20 | 2012-09-10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1984A Division KR20160134876A (ko) | 2011-09-20 | 2012-09-10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1537A KR20140061537A (ko) | 2014-05-21 |
KR101932310B1 true KR101932310B1 (ko) | 2018-12-24 |
Family
ID=47435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1984A KR20160134876A (ko) | 2011-09-20 | 2012-09-10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KR1020147009942A KR101932310B1 (ko) | 2011-09-20 | 2012-09-10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1984A KR20160134876A (ko) | 2011-09-20 | 2012-09-10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9576693B2 (ko) |
EP (1) | EP2759622B1 (ko) |
JP (1) | JP5086485B1 (ko) |
KR (2) | KR20160134876A (ko) |
CN (1) | CN103814158B (ko) |
AU (1) | AU2012310742B2 (ko) |
CA (1) | CA2849410C (ko) |
MX (1) | MX2014003374A (ko) |
MY (1) | MY167229A (ko) |
RU (1) | RU2566103C1 (ko) |
SG (1) | SG11201400688YA (ko) |
TW (1) | TWI577542B (ko) |
WO (1) | WO20130425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84526B1 (ja) | 2011-10-04 | 2013-09-11 |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TWI493798B (zh) | 2012-02-03 | 2015-07-21 |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 Push-in terminals and electronic parts for their use |
JP6050664B2 (ja) | 2012-06-27 | 2016-12-21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JP6029435B2 (ja) | 2012-06-27 | 2016-11-24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TWI488733B (zh) * | 2012-10-04 | 2015-06-21 |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 Metal material for electronic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6503159B2 (ja) * | 2014-04-22 | 2019-04-17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JP6553333B2 (ja) * | 2014-06-05 | 2019-07-31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JP6441040B2 (ja) * | 2014-11-19 | 2018-12-19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ES2764394T3 (es) * | 2014-12-15 | 2020-06-03 | Senju Metal Industry Co | Aleación de soldadura para galvanización y componentes electrónicos |
JP6332043B2 (ja) * | 2015-01-09 | 2018-05-30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用端子対 |
KR101986599B1 (ko) * | 2015-04-14 | 2019-06-07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의 세퍼레이터용 금속판 |
JP6805547B2 (ja) * | 2015-09-18 | 2020-12-23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プレスフィット端子 |
US20170085016A1 (en) * | 2015-09-18 | 2017-03-23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Press-fit terminal |
JP6377599B2 (ja) * | 2015-12-08 | 2018-08-22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端子対およびコネクタ |
KR101797660B1 (ko) | 2016-04-25 | 2017-11-15 | (주)인광 | 내흑변성이 우수한 인듐합금 전해도금층을 갖는 전기, 전자기기 부품 및 그 제조방법 |
CN105970069B (zh) * | 2016-05-16 | 2018-10-02 | 昆明贵金属研究所 | 多主元等摩尔比贵金属高熵合金 |
JP6750545B2 (ja) * | 2016-05-19 | 2020-09-02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プレスフィット端子接続構造 |
WO2018077874A1 (en) | 2016-10-24 | 2018-05-03 | Atotech Deutschland Gmbh | A method of depositing a tin layer on a metal substrate and a use of a structure comprising a nickel/phosphorous alloy underlayer and said tin layer with said method |
CN106435324A (zh) * | 2016-10-31 | 2017-02-22 | 张家港沙工科技服务有限公司 | 一种机械设备用低电阻复合管 |
JP2017082337A (ja) * | 2016-12-22 | 2017-05-18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端子金具 |
FR3074193B1 (fr) * | 2017-11-28 | 2020-07-10 | Linxens Holding | Circuit electrique, module electronique pour carte a puce realise sur ce circuit electrique e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tel circuit electrique. |
JP6850365B2 (ja) * | 2017-12-27 | 2021-03-31 | 株式会社徳力本店 | 析出硬化型Ag−Pd−Cu−In−B系合金 |
CN109991304B (zh) * | 2017-12-29 | 2022-07-08 | 东莞东阳光科研发有限公司 | 一种测定高压电子光箔表层不同厚度铅含量的方法 |
JP6653340B2 (ja) * | 2018-02-01 | 2020-02-26 | Jx金属株式会社 | バーンインテストソケット用表面処理金属材料、それを用いたバーンインテストソケット用コネクタ及びバーンインテストソケット |
JP7148793B2 (ja) | 2018-09-27 | 2022-10-06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光半導体装置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半導体装置 |
JP7111000B2 (ja) * | 2019-01-18 | 2022-08-02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金属材および接続端子 |
DE102019115243A1 (de) * | 2019-06-05 | 2020-12-10 | Erni International Ag | Elektrisches Kontaktelement für hohe Betriebsspannungen |
MX2021014156A (es) * | 2019-06-05 | 2022-01-04 | Erni Int Ag | Elemento de contacto electrico. |
CN211208718U (zh) * | 2019-09-05 | 2020-08-07 | 华为机器有限公司 | 连接器引脚、连接器和电子设备 |
CN110747412B (zh) * | 2019-10-08 | 2021-03-23 | 新乡学院 | 一种NiFeBMo基开合锁紧器多层复合结构材料的制备方法 |
JP7520550B2 (ja) * | 2020-03-31 | 2024-07-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積層体、金属めっき液、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
CN111394606B (zh) * | 2020-05-06 | 2021-03-16 | 贵研铂业股份有限公司 | 一种金基高阻合金、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
JP2023056187A (ja) * | 2021-10-07 | 2023-04-19 | Eeja株式会社 | PtRu合金めっき液及びPtRu合金膜のめっき方法 |
EP4386113A1 (en) * | 2022-12-13 | 2024-06-19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Electrical terminal with metal conductive layer comprising silver |
Family Cites Families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30587B1 (ko) | 1969-07-02 | 1975-10-02 | ||
EP0033644A1 (en) | 1980-02-05 | 1981-08-12 | Plessey Overseas Limited | Intermetallic connector finishes |
JPS61124597A (ja) | 1984-11-20 | 1986-06-12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銀被覆電気材料 |
SU1381614A1 (ru) * | 1986-01-30 | 1988-03-15 |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308 | Контактное покрытие дл магнитоуправл емых контактов |
JP2726434B2 (ja) * | 1988-06-06 | 1998-03-11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SnまたはSn合金被覆材料 |
JP2670348B2 (ja) | 1989-05-15 | 1997-10-29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SnまたはSn合金被覆材料 |
DE4005836C2 (de) | 1990-02-23 | 1999-10-28 | Stolberger Metallwerke Gmbh | Elektrisches Steckverbinderpaar |
JPH04160200A (ja) * | 1990-10-24 | 1992-06-03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電気接点材料の製造方法 |
JP2959872B2 (ja) | 1991-06-18 | 1999-10-06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気接点材料とその製造方法 |
JPH05311495A (ja) | 1991-12-25 | 1993-11-22 | Nikko Kinzoku Kk | 貴金属めっき材の封孔処理方法 |
JP2925986B2 (ja) | 1995-09-08 | 1999-07-28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接点部と端子部とからなる固定接点用材料又は電気接点部品 |
JP3701448B2 (ja) * | 1997-10-17 | 2005-09-28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嵌合型接続端子 |
JP4086949B2 (ja) * | 1998-02-10 | 2008-05-14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金属被覆部材 |
JPH11350188A (ja) | 1998-06-03 | 1999-12-21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電気・電子部品用材料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材料を用いた電気・電子部品 |
JPH11350189A (ja) | 1998-06-03 | 1999-12-21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電気・電子部品用材料とその製造方法、その材料を用いた電気・電子部品 |
JP4489232B2 (ja) * | 1999-06-14 | 2010-06-23 | 日鉱金属株式会社 | コネクタ用めっき材料 |
JP3910363B2 (ja) * | 2000-12-28 | 2007-04-25 | 富士通株式会社 | 外部接続端子 |
US20020185716A1 (en) * | 2001-05-11 | 2002-12-12 | Abys Joseph Anthony | Metal article coated with multilayer finish inhibiting whisker growth |
US6924044B2 (en) | 2001-08-14 | 2005-08-02 | Snag, Llc | Tin-silver coatings |
JP3513709B2 (ja) | 2001-10-16 | 2004-03-31 | 石原薬品株式会社 | 前処理によるスズホイスカーの防止方法 |
JP3519727B1 (ja) | 2002-12-09 | 2004-04-19 | Fcm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
JP3442764B1 (ja) | 2002-08-22 | 2003-09-02 | エフシーエム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
JP3519726B1 (ja) | 2002-11-26 | 2004-04-19 | Fcm株式会社 | 端子およびそれを有する部品 |
TWI225322B (en) * | 2002-08-22 | 2004-12-11 | Fcm Co Ltd | Terminal having ruthenium layer and a connector with the terminal |
KR100495184B1 (ko) * | 2002-12-02 | 2005-06-14 |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 테이프기판 및 그의 주석도금방법 |
US7391116B2 (en) | 2003-10-14 | 2008-06-24 | Gbc Metals, Llc | Fretting and whisker resistant coating system and method |
JP2005126763A (ja) | 2003-10-23 | 2005-05-19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被覆材、それを用いた電気・電子部品、それを用いたゴム接点部品、及び被覆材の製造方法 |
JP4302545B2 (ja) | 2004-02-10 | 2009-07-2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プレスフィット端子 |
JP2005353542A (ja) | 2004-06-14 | 2005-12-22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導電性被覆材料とその製造方法、この被覆材料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または接点 |
JP2006127939A (ja) | 2004-10-29 | 2006-05-18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電気導体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
JP4111522B2 (ja) | 2004-11-30 | 2008-07-02 | 日鉱金属株式会社 | Sn被覆銅系材料及び端子 |
RU2279149C1 (ru) * | 2004-12-14 | 2006-06-27 |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язанский завод металлокерамических приборов" (ОАО "РЗМКП") | Контактное покрытие магнитоуправляемых контактов |
WO2006077827A1 (ja) | 2005-01-18 | 2006-07-27 |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フィット端子-回路基板間の接続構造 |
RU2282678C1 (ru) * | 2005-02-11 | 2006-08-27 | Институт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ой электрохимии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ев благородных металлов на изделиях из благородных металлов и их сплавов |
TW200712254A (en) | 2005-06-24 | 2007-04-01 | Technic | Silver barrier layers to minimize whisker growth tin electrodeposits |
JP2008021501A (ja) | 2006-07-12 | 2008-01-31 | Hitachi Cable Ltd | 配線用電気部品及び端末接続部並びに配線用電気部品の製造方法 |
JP5286893B2 (ja) * | 2007-04-27 | 2013-09-11 | 日立化成株式会社 | 接続端子、接続端子を用いた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
JP5215305B2 (ja) | 2007-07-06 | 2013-06-19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する電子部品 |
JP5151950B2 (ja) | 2008-12-11 | 2013-02-27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Snめっき材及びその製造方法 |
CA2747858C (en) | 2008-12-19 | 2014-07-08 |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 Fuel cell separator material, fuel cell separator using same, fuel cell stack, and method for producing fuel cell separator material |
CN102395713B (zh) * | 2009-04-14 | 2014-07-16 | 三菱伸铜株式会社 | 导电部件及其制造方法 |
JP5396139B2 (ja) | 2009-05-08 | 2014-01-22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プレスフィット端子 |
JP5679216B2 (ja) * | 2009-06-29 | 2015-03-04 | オーエム産業株式会社 | 電気部品の製造方法 |
JP5479789B2 (ja) * | 2009-07-03 | 2014-04-23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用金属材料 |
JP5612355B2 (ja) * | 2009-07-15 | 2014-10-22 | 株式会社Kanzacc | メッキ構造及び電気材料の製造方法 |
JP5280957B2 (ja) | 2009-07-28 | 2013-09-04 | 三菱伸銅株式会社 | 導電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2036436A (ja) | 2010-08-05 | 2012-02-23 | Mitsubishi Materials Corp | Sn合金めっき付き導電材及びその製造方法 |
JP5284526B1 (ja) | 2011-10-04 | 2013-09-11 |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JP5427945B2 (ja) | 2012-06-27 | 2014-02-26 |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JP6029435B2 (ja) | 2012-06-27 | 2016-11-24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JP6050664B2 (ja) | 2012-06-27 | 2016-12-21 | Jx金属株式会社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 |
-
2012
- 2012-02-17 JP JP2012033265A patent/JP5086485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9-10 SG SG11201400688YA patent/SG11201400688YA/en unknown
- 2012-09-10 AU AU2012310742A patent/AU2012310742B2/en active Active
- 2012-09-10 RU RU2014115775/02A patent/RU2566103C1/ru active
- 2012-09-10 KR KR1020167031984A patent/KR201601348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9-10 CN CN201280045596.6A patent/CN103814158B/zh active Active
- 2012-09-10 EP EP12834344.9A patent/EP2759622B1/en active Active
- 2012-09-10 CA CA2849410A patent/CA2849410C/en active Active
- 2012-09-10 WO PCT/JP2012/073095 patent/WO201304257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9-10 MY MYPI2014700600A patent/MY167229A/en unknown
- 2012-09-10 US US14/346,025 patent/US9576693B2/en active Active
- 2012-09-10 MX MX2014003374A patent/MX2014003374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10 KR KR1020147009942A patent/KR1019323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11 TW TW101133108A patent/TWI577542B/zh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59622A1 (en) | 2014-07-30 |
CA2849410C (en) | 2016-05-31 |
AU2012310742A1 (en) | 2014-04-03 |
US9576693B2 (en) | 2017-02-21 |
US20140329107A1 (en) | 2014-11-06 |
CA2849410A1 (en) | 2013-03-28 |
CN103814158B (zh) | 2017-02-08 |
KR20160134876A (ko) | 2016-11-23 |
JP2013079439A (ja) | 2013-05-02 |
EP2759622A4 (en) | 2016-03-16 |
TWI577542B (zh) | 2017-04-11 |
EP2759622B1 (en) | 2018-11-28 |
TW201325890A (zh) | 2013-07-01 |
AU2012310742B2 (en) | 2015-05-14 |
RU2566103C1 (ru) | 2015-10-20 |
KR20140061537A (ko) | 2014-05-21 |
SG11201400688YA (en) | 2014-09-26 |
WO2013042572A1 (ja) | 2013-03-28 |
CN103814158A (zh) | 2014-05-21 |
MY167229A (en) | 2018-08-14 |
JP5086485B1 (ja) | 2012-11-28 |
MX2014003374A (es) | 201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2310B1 (ko)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
JP5284526B1 (ja)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88290B1 (ko)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 |
TWI432316B (zh) | Electronic parts with a metallic material, using the same connector terminals, connectors and electronic components | |
KR102095624B1 (ko)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11186B1 (ko) | 전자 부품용 금속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
TW201412511A (zh) | 電子零件用金屬材料及其製造方法、使用其之連接器端子、連接器及電子零件 | |
JP5298233B2 (ja) | 電子部品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4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16 Effective date: 20180917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