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81B1 -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81B1
KR101888881B1 KR1020160155312A KR20160155312A KR101888881B1 KR 101888881 B1 KR101888881 B1 KR 101888881B1 KR 1020160155312 A KR1020160155312 A KR 1020160155312A KR 20160155312 A KR20160155312 A KR 20160155312A KR 101888881 B1 KR101888881 B1 KR 10188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mixture
preparing
weight
g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102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한길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한길웰바이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한길웰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15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05Sweet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띄는 앙금과 상기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황금색을 띄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띄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띄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METHOD FOR MANUFACTURING GOLD-SEDIMENT, AND THE GOLD-SEDIME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THE FOOD HAVING THE GOLD-SEDIMENT}
본 발명은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과 상기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은, 고구마페이스트, 호박앙금 및 정백당을 혼합하여 앙금혼합물을 제조하고, 소금, 고구마향, 단호박분말, 치자황색소 및 버터를 혼합한 뒤 중탕하여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며,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란, 고과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당질혼합물을 제조한 뒤, 상기 앙금혼합물과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혼합하여 기초앙금을 제조하고, 상기 기초앙금과 당질혼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고구마페이스트 62~72중량%, 호박앙금 10~16중량%, 정백당 4~8중량%, 버터 1.5~2.5중량%, 소금 0.1~0.3중량%, 고구마향 0.07~0.13중량%, 단호박분말 0.04~0.08중량%, 치자황색소 0.005~0.015중량%, 카스타드크림 1.5~2.5중량%, 물엿 1.1~1.7중량%, 전란 0.7~1.1중량%, 고과당 3.0~3.6중량% 및 정제수 2.5~3.3중량%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속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음식은 당류와 정제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이러한 속 재료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속, 소 또는 앙금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우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빵이나 떡 등의 속 재료로 사용되는 앙금에 관련된 것인데, 앙금이란 통상적으로 앙금의 주재료를 잘고 부드럽게 가루내고 물에 가라앉힌 뒤 물의 상측부를 버리고 남은 것을 끓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앙금은, 주 재료에 따라 제조방법이 일부 상이하긴 하지만, 대부분이 위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앙금에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001호에 채소 앙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감자, 고구마 또는 단호박 등의 녹말성 재료; 및 당근, 오이, 양파 또는 양배추 등의 채소를 포함하는 채소 앙금을 포함하는 앙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을 참조하면 '녹말성 재료를 증숙하는 단계; 채소를 데치는 단계; 및 상기 증숙된 녹말성 재료 및 상기 데친 채소를 파쇄 및 혼합하는 단계'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위 방법으로 제조된 앙금은 감자, 고구마 및 단호박을 주 재료로 하는데, 앙금이 보유하게 되는 색상이 각 주 재료의 고유 색상을 그대로 갖게 된다.
한편, 앙금은 상기와 같이 빵이나 떡의 속 재료로 사용되면서 반으로 잘라 보여주는 등의 행위로 먹음직스러움을 강조하고, 시각적인 풍미를 강조함으로써 마케팅의 일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앙금은 케이크 등의 축하목적의 음식을 고급화하기 위하여 데코(장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있어서, 외관으로 나타나는 부드러운 식감과, 시각적인 만족감이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앙금을 제조하되, 고급의 대표상징인 황금계통의 생상을 보유하는 앙금을 제조함으로써, 시각적인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시각적으로도 부드러워 보일 수 있는 앙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001(2016.06.22.)
본 발명의 목적은,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나아가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과 상기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구마페이스트, 호박앙금 및 정백당을 혼합하여 앙금혼합물을 제조하고, 소금, 고구마향, 단호박분말, 치자황색소 및 버터를 혼합한 뒤 중탕하여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며,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란, 고과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당질혼합물을 제조한 뒤, 상기 앙금혼합물과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혼합하여 기초앙금을 제조하고, 상기 기초앙금과 당질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앙금을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고구마페이스트 62~72중량%, 호박앙금 10~16중량%, 정백당 4~8중량%, 버터 1.5~2.5중량%, 소금 0.1~0.3중량%, 고구마향 0.07~0.13중량%, 단호박분말 0.04~0.08중량%, 치자황색소 0.005~0.015중량%, 카스타드크림 1.5~2.5중량%, 물엿 1.1~1.7중량%, 전란 0.7~1.1중량%, 고과당 3.0~3.6중량% 및 정제수 2.5~3.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앙금은, 황금색 계통의 색을 보유하는 앙금을 제공함으로써, 섭취자의 시각적인 식감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음식의 고급화 및 고급화된 장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금색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소비유도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업계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과 상기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실시예 1에 따른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한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 조성물은, 고구마페이스트 62~72중량%, 호박앙금 10~16중량%, 정백당 4~8중량%, 버터 1.5~2.5중량%, 소금 0.1~0.3중량%, 고구마향 0.07~0.13중량%, 단호박분말 0.04~0.08중량%, 치자황색소 0.005~0.015중량%, 카스타드크림 1.5~2.5중량%, 물엿 1.1~1.7중량%, 전란 0.7~1.1중량%, 고과당 3.0~3.6중량% 및 정제수 2.5~3.3중량%를 포함한다.
(1)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술된 조성물 중에서 고구마페이스트, 호박앙금 및 정백당을 혼합 교반하여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반은 가열교반, 진동교반 및 스팀교반 등 종래의 다양한 교반을 이용할 수 있으나, 부드러운 앙금의 교반을 위해 스팀교반을 이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구마페이스트 및 호박앙금의 제조방법은 종래에 공개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2)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술된 조성물 중에서 소금, 고구마향, 단호박분말 및 치자황색소을 혼합한 뒤, 버터를 더 섞어서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혼합도, 상기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마찬가지로 교반기를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일예로서 상술된 조성물들을 단순 혼합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3)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는, 상기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식감조절혼합물을 55~65℃의 온도가 되도록 중탕하는 단계이다.
이때 중탕의 조건은, 식감조절혼합물이 55~65℃가 될 수 있는 조건이면 충분하며, 예를 들어 100~120℃의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물에 상기 식감조절혼합물이 담긴 열전도율이 높은 그릇을 담근 뒤, 10~20분 동안 중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따른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로 지칭한다.
이때, 상술된 55~65℃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 설명하면, 본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 55℃ 미만의 온도가 되도록 중탕하는 경우, 이후에 앙금혼합물과 섞을 때 제대로 섞이지 않음을 발견하였고, 65℃를 초과하는 경우, 식감조절혼합물에 포함된 버터성분이 쉽게 풀어져 이후의 앙금혼합물과의 혼합이 불가능했다.
(4)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술된 조성물 중에서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란, 고과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를 끓이다가 60℃의 온도가 되면,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랑 및 고과당을 첨가하며 저어줌으로써 혼합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60℃ 미만으로 정제수를 끓이면 물엿, 카스타드크림 및 전란의 풀림이 용이하지 않아서 혼합이 어려웠고, 60℃를 초과하는 경우 정제수 증발이 시작되고 전란의 익힘현상 등에 의해 단계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상술된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본 단계인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본 명세서의 발명의 설명에서는 방법의 시계열적인 과정을 서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번호를 붙여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3개의 단계는 순서에 관계없이 진행되어도 무관하다.
(5)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는, (a)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앙금혼합물과; (b)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교반 혼합하여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반은 15~20℃의 상온을 갖는 실내에서 믹서기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는,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만 수행된 이후에 진행 가능할 수도 있다.
(6) 황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
황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기초앙금과;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당질혼합물을 교반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황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반 역시 15~20℃의 상온을 갖는 실내에서 믹서기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이용하여 앙금을 포함하는 모든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식품은 찹쌀떡(모찌떡), 찐빵, 앙금빵, 데코(장식)용 음식, 케이크 등 통상의 기술자들이 예측할 수 있는 모든 식품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조성물과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에 있어서, 조성물의 함량이 앙금의 황금색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조성물의 함량이 황금색 발현에 미치는 영향 측정
(실험과정)
실험예 1에 따른 실험은, 아래 [표 1]과 같이 조성물을 준비하였으며, 준비된 조성물을 갖고 상술된 실시예 1에 비롯하여 제조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목(一目)에 보여지는 색상을 관찰하도록 한다.
(실험결과)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고구마페이스트 61 62 72 75
호박앙금 17 16 12.225 9.6
정백당 8 8 4 4
버터 2.5 1.535 2.5 1.5
소금 0.3 0.1 0.3 0.1
고구마향 0.053 0.07 0.13 0.2
단호박분말 0.08 0.08 0.04 0.09
치자황색소 0.005 0.015 0.005 0.01
카스타드크림 2.5 2.5 1.5 1
물엿 1.5 1.7 1.1 1.5
전란 1 1.1 0.7 1
고과당 2.762 3.6 3.0 3.5
정제수 3.3 3.3 2.5 2.5
발현 색상 짙은 노랑색 노랑(황금)색 노랑(황금)색 연한 갈색
위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고구마페이스와 호박앙금의 함량을 주로 변경하면서, 이에 맞춰 다른 조성물들의 함량에는 일부 변경만 주는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실험군 2 및 실험군 3에서 출원인이 유도하는 황금색이 발현되었으나, 호박앙금의 함량이 증가된 실험군 1의 경우 색이 짙은 노랑으로 나타났고, 고구마페이스트의 함량이 증가된 실험군 4의 경우에는, 노랑을 넘어서 갈색의 색상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출원인이 요구하는 색상을 갖을 수 있는 조성물의 함량을 대상으로 본 출원인은,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탕의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 중탕의 온도가 앙금의 제조에 미치는 영향 검토
(실험과정)
실험예 2에서는 실시예 1에 비롯한 조성물과 제조방법으로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를 수행하면서,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할 때의 온도를 [표 2]와 같이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중탕의 온도가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온도 평가
45℃ 앙금혼합물과의 혼합이 미용이
50℃ 앙금혼합물과의 혼합은 가능하나, 이후 60℃의 온도를 갖는 당질혼합물과 혼합하는 과정에서 당질혼합물의 열을 빼앗아 당질혼합물이 식감조절혼합물에 제대로 섞이지 않는 현상 발견
55℃ 양호
60℃ 양호
65℃ 양호
70℃ 평가 불가능
[표 2]와 같이, 중탕의 온도를 70℃로 한 경우, 앙금혼합물과 식감조절혼합물의 혼합이 불가능하여 평가가 불가능했다.
상기 70℃의 경우, 버터의 풀림이 과도하여 혼합이 불가능한 반면, 중탕의 온도가 45℃인 경우, 버터의 풀림이 용이하지 않아서 혼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탕의 온도를 50℃로 하는 경우, 식감조절혼합물의 중탕도 비교적 용이하고, 앙금혼합물과의 혼합도 가능은 했으나,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최종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60℃의 온도를 갖는 당질혼합물과 혼합할 때,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이 당질혼합물의 열을 흡수하여 당질혼합물의 온도가 빠르게 떨어져, 당질혼합물과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 간의 교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Claims (10)

  1. 고구마페이스트, 호박앙금 및 정백당을 혼합하여 앙금혼합물을 제조하고, 소금, 고구마향, 단호박분말, 치자황색소 및 버터를 혼합한 뒤 중탕하여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며,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란, 고과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당질혼합물을 제조한 뒤,
    상기 앙금혼합물과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혼합하여 기초앙금을 제조하고,
    상기 기초앙금과 당질혼합물을 혼합하여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되,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은,
    고구마페이스트 62~72중량%, 호박앙금 10~16중량%, 정백당 4~8중량%, 버터 1.5~2.5중량%, 소금 0.1~0.3중량%, 고구마향 0.07~0.13중량%, 단호박분말 0.04~0.08중량%, 치자황색소 0.005~0.015중량%, 카스타드크림 1.5~2.5중량%, 물엿 1.1~1.7중량%, 전란 0.7~1.1중량%, 고과당 3.0~3.6중량% 및 정제수 2.5~3.3중량%의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은,
    고구마페이스트, 호박앙금 및 정백당을 혼합 교반하여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소금, 고구마향, 단호박분말 및 치자황색소을 혼합한 뒤, 버터를 더 섞어서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후,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란, 고과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앙금혼합물과 상기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를 통해 획득된 '중탕된 식감조절혼합물'을 교반 혼합하여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조된 기초앙금에 당질혼합물을 교반 혼합하여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제조하는, 황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는,
    상기 식감조절혼합물이 55~65℃의 온도가 되도록 중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60℃까지 끓인 뒤, 상기 카스타드크림, 물엿, 전란 및 고과당을 첨가하면서 저어주어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황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는 15~20℃의 온도에서 믹서기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식감조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당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순서에 관계없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기초앙금을 제조하는 단계는,
    앙금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식감조절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만 수행된 이후에 진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및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10. 청구항 9에 기재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KR1020160155312A 2016-11-21 2016-11-21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KR10188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312A KR101888881B1 (ko) 2016-11-21 2016-11-21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312A KR101888881B1 (ko) 2016-11-21 2016-11-21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02A KR20180057102A (ko) 2018-05-30
KR101888881B1 true KR101888881B1 (ko) 2018-09-20

Family

ID=6230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312A KR101888881B1 (ko) 2016-11-21 2016-11-21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21B1 (ko) 2022-12-02 2023-11-06 (주)학화1934 앙금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01A (ja) * 2001-05-08 2002-11-19 Miyoko Hase さつまいもを用いた菓子
JP2003219831A (ja) * 2002-01-31 2003-08-05 Asahi Denka Kogyo Kk サツマイモペースト
JP2003310202A (ja) 2002-04-25 2003-11-05 Tanaka Shokuhin Kogyosho:Kk 加工食品用耐熱性さつまいもフィ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60B1 (ko) * 2001-02-21 2003-08-09 오영섭 고구마 빵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01A (ja) * 2001-05-08 2002-11-19 Miyoko Hase さつまいもを用いた菓子
JP2003219831A (ja) * 2002-01-31 2003-08-05 Asahi Denka Kogyo Kk サツマイモペースト
JP2003310202A (ja) 2002-04-25 2003-11-05 Tanaka Shokuhin Kogyosho:Kk 加工食品用耐熱性さつまいもフィ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21B1 (ko) 2022-12-02 2023-11-06 (주)학화1934 앙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102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2223B (zh) 一种不含食品添加剂的红薯营养幼儿粉
CN103598546B (zh) 萝卜糕的制作方法
KR101093422B1 (ko) 고구마앙금과 그를 이용한 고구마가공식품
KR101888881B1 (ko)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KR101091031B1 (ko) 수박 냉면의 면 제조 방법
KR101810364B1 (ko) 배 절편의 착색방법
JP2008212080A (ja) 玄米飯、玄米飯の炊飯方法及び冷凍玄米飯製品
CN102232509A (zh) 酱面的制作方法
CN102450368A (zh) 无糖苦瓜食品制作方法
CN101422224A (zh) 一种夹心藕及其生产工艺
KR101325643B1 (ko) 따개비 및 게가 첨가된 녹차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2171B1 (ko) 단호박죽 제조방법
KR101604295B1 (ko) 다슬기 짜장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다슬기 짜장면
KR102425208B1 (ko) 단호박과 생강을 이용한 디저트 제조방법
KR20190061567A (ko) 배건과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KR102138371B1 (ko) 삶은 감자를 이용한 감자떡 제조방법
KR20180115003A (ko) 닭가슴살 샌드위치튀김 의 제조방법
KR20110095227A (ko) 각설탕 머랭 공예작품 제작방법
KR101845901B1 (ko) 포도즙 및 동부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JPS59187760A (ja) ポテトもちの製造方法
KR101626947B1 (ko) 부추빵의 제조방법
JP2002253175A (ja) 魚肉すり身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Sharbo Foods From Faculty Files
BG109127A (bg) Състав и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 на локум
JPH04248964A (ja) 羊かん風寒天冷菓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