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208B1 -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208B1
KR101878208B1 KR1020167023142A KR20167023142A KR101878208B1 KR 101878208 B1 KR101878208 B1 KR 101878208B1 KR 1020167023142 A KR1020167023142 A KR 1020167023142A KR 20167023142 A KR20167023142 A KR 20167023142A KR 101878208 B1 KR101878208 B1 KR 10187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iece
shutter
piece
food
mol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656A (ko
Inventor
시게루 하시모토
다케시 오데라오토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21C11/103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utting elements slidably or rotably mounted in a diaphragm-lik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23P30/25Co-extrusion of different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셔터편에 의하여 둘러싸인 포위부를 개폐할 수 있는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편으로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위치(0)와 셔터편(19)의 선단부(35) 사이에, 셔터편(19)의 폐쇄동작 시에 셔터편(19)의 선단측 부분(43)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휨 허용부(39)를 구비하고, 상기 휨 허용부(39)는, 슬릿(41) 또는 노치부(45) 또는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43)의 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휨 허용부(41)에 휨량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SHUTTER PIECE AND FOOD SHAP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만두나 팥빵과 같이 외피재(外皮材)에 의하여 내포재(內包材)가 덮인 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식품성형장치(食品成形裝置)의 셔터편(shutter piece) 및 식품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원주상에 회전축(回轉軸)을 갖고, 각각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셔터편에 의하여 그들의 중심에 형성되는 포위부(enclosure)를 개폐하여, 막대모양의 생지(dough)를 분할성형(分割成形)하기 위한 또는 생지편(dough piece)에 의하여 내재(內材)를 감싸는 래핑성형(wrapping成形)하기 위한 식품성형장치의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포재와 외피재의 이중구조로 되어 연속하여 토출(吐出)되는 막대모양 생지를,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편에 의하여 주위를 닫은 포위부 내에 공급하고, 상기 포위부를 개폐하여 포피절단(包皮切斷)하는 분할성형용 셔터장치 및 그 셔터편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셔터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한 일본국 특허 제2729898호, 일본국 특허 제2799941호, 일본국 특허 제3403660호 등이 있다.
또한 대략 원반모양의 생지편에 의하여 내재를 감싸는 래핑성형을 하는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편을 구비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587459호 등이 있다.
: 일본국 특허 제2729898호 : 일본국 특허 제2799941호 : 일본국 특허 제3403660호 : 일본국 특허 제3587459호
종래의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에 있어서는, 생지를 분할성형 혹은 래핑성형을 할 때에 생지 찌꺼기(dough residue)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생지 찌꺼기는 인접하는 셔터편 사이의 간극에 생지가 삽입되어 셔터편에 부착됨으로써 발생한다. 이 간극에 생지가 삽입되는 원인으로서는, 셔터편 조형(造形) 시의 비뚤어짐이나 셔터장치의 셔터편 구동부의 백래시(backlash)에 의한 위상의 어긋남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품 상호간이 슬라이딩 하는 장소가 마모되는 것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상기 간극은 셔터장치의 가동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마모에 의한 셔터편 상호간의 간극의 증대는, 생지 찌꺼기의 증가를 초래하여 작업환경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종래의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셔터장치(回轉shutter裝置)에 있어서는, 상기의 생지 찌꺼기 증가의 문제에 대하여, 인접한 셔터편 상호간을 슬라이딩 하도록 압접(壓接)함으로써 해결을 도모하고 있었다. 즉 셔터편의 칼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인접한 셔터편 상호간을 서로 가압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의 간극을 축소시켜서 생지 찌꺼기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이 방법은 생지 찌꺼기의 발생을 감소시키지만, 셔터편의 마모를 촉진하게 되어, 다시 칼날조정이나 새로운 셔터편으로의 교환 등 조작성이나 경제성의 과제는 남는다.
또한 인접한 셔터편 상호간이 서로 압접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장시간 가동 또한 고온의 생지를 성형할 때에는 셔터편의 열팽창이 발생하여, 셔터편 상호간이 더 강하게 압접된다. 그 결과 구동부에 대한 부하가 과중하게 되어 구동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부가하여 이 때에 서로 압접된 셔터편도 또한 슬라이딩 장소가 마모되기 때문에, 생지 찌꺼기 방지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한다고는 예상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셔터편의 선단부(先端部)가 인접한 셔터편과 슬라이딩 하도록 접촉되는 접촉압(接觸壓)이 항상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복수의 셔터편에 의하여 둘러싸인 포위부를 개폐할 수 있는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편으로서, 셔터편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위치와 셔터편의 선단부 사이에, 셔터편의 폐쇄동작 시에 셔터편의 선단측 부분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휨 허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상기 제1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에 있어서, 상기 휨 허용부는 슬릿 또는 노치부 혹은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상기 제1어스펙트 또는 제2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에 있어서, 상기 셔터편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의 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휨 허용부에 휨량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3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에 있어서, 상기 휨 허용부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슬릿 내에, 상기 선단부측이 휘어질 때에 있어서의 슬릿간격의 축소를 제한할 수 있는 슬릿간격 제한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4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부분에 셔터편의 방열을 하기 위한 방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5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선단측 부분의 양면으로 개구된 구멍 또는 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은,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6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에 있어서,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의 회전축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구비한 부착 베이스 부재에, 동일한 형상의 반셔터편을 대칭으로 또한 서로 접근이반하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어스펙트에 관한 식품성형장치는,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7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관한 셔터편을 구비한 식품성형장치로서, 상기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축에 각각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기 셔터편과, 상기 각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동작되는 각 셔터편의 사이에 외피재 및 내포재의 식품생지를 공급하는 식품생지 공급수단과, 상기 각 셔터편의 폐쇄동작에 의하여 성형된 식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셔터편에 구비된 상기 휨 허용부에 의하여 각 셔터편의 선단측 부분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여 폐쇄동작을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편에는, 폐쇄동작 시에 선단측 부분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휨 허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편의 선단부가 인접한 셔터편과 슬라이딩 하도록 접촉되는 접촉압은 항상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의 문제는 해소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성형장치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3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상면 설명도이다.
도4에 있어서, 도4(A) 내지 도4(D)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5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6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상면 설명도이다.
도7은, 제3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설명도이다.
도8은, 제4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9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10은, 편심조절기구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11은, 슬릿부분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로 하여 휨량조절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성형장치(食品成形裝置) 및 당해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shutter裝置)에 사용되는 셔터편(shutter piece)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성형장치(1)는 도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이다. 이 식품성형장치(1)의 전체적 구성은 이미 공지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식품성형장치(1)는 본체 프레임(本體 frame)(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프레임(3) 위에는, 예를 들면 외피재(外皮材)를 공급하는 제1호퍼(第1hopper)(5)를 구비한 외피재 공급장치(外皮材 供給裝置)(7)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내포재(內包材)를 공급하는 제2호퍼(9)를 구비한 내포재 공급장치(內包材 供給裝置)(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3)에는 중합노즐장치(重合nozzle裝置)(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합노즐장치(13)는, 상기 내포재 공급장치(11)로부터 공급된 막대모양의 내포재의 주위에 외피재를 피복한 상태로 중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중합노즐장치(13)의 하측에는, 당해 중합노즐장치(13)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흘러 내려가는 막대모양의 식품생지(food dough)를 절단하는 셔터장치(1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셔터장치(15)는, 동일한 원 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비된 복수의 회전축(回轉軸)(17)에 셔터편(19)을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셔터장치(15)는, 복수의 셔터편(19)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 내를 막대모양의 식품생지가 하강할 때에, 상기 셔터편(19)을 개폐동작하여 상기 식품생지를 포피절단(包皮切斷)함으로써, 외피재로 내포재를 감싼 상태의 식제품(食製品)(21)을 제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셔터장치(15)의 하측에는, 제조된 상기 식제품(21)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 등과 같은 반송장치(搬送裝置)(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품성형장치(1)에는, 식품성형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制御裝置)(8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은 식품성형장치(1)에 의하여 식제품(2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셔터장치(15)에 있어서의 각 셔터편(19)의 선단부(先端部)는, 인접한 셔터편(19)에 접촉된 상태로 개폐동작을 반복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하면, 마찰열(摩擦熱)에 의하여 셔터편(19)이 열팽창되거나 셔터편(19)의 선단부에 마모를 발생시키기 쉽다. 또 식품성형장치로서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특허문헌4에 기재된 것과 같이 식품생지 공급수단에 의하여, 개폐동작하는 각 셔터편의 사이에 편평한 모양의 외피재를 공급함과 아울러 내포재를 공급하고, 상기 외피재의 주연부(周緣部)를 중앙에 모아서 식제품을 제조하는 식제품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에서도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19)은 도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셔터편(19)은, 상기 셔터장치(15)에 있어서의 회전축(17)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25)을 형성한 부착 베이스(附着 base)(2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 베이스(27)에는, 동일한 형상의 판모양의 반셔터편(half shutter piece)(29)이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반셔터편(29)은, 상기 부착구멍(25)의 축심(軸心)(O)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點對稱)으로 구비되어 있다. 즉 셔터편(19)은, 동일한 형상의 반셔터편(29)을 점대칭으로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셔터편(19)은, 반셔터편(29)을 미리 일체화한 형태 즉 셔터편(19)의 전체를 1매의 판재(板材)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셔터편(19)에 구비된 각 반셔터편(29)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일방(一方)의 반셔터편(29)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타방(他方)의 반셔터편(29)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상기 반셔터편(29)은, 판상부재(板狀部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 베이스(27)에 부착된 기단부(基端部)측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멀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셔터편(19)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을 형성하고 폐쇄동작 시에 식품생지의 외피재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는 가압측면(加壓側面)(31)은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의 비가압측면(非加壓側面)(33)은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측면(31)과 비가압측면(33)의 교차위치가 선단부(先端部)(35)로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측면(31)은, 도4(도4에 있어서는 셔터편(19)은 점대칭형이기 때문에, 셔터편(19)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장치(15)에 있어서의 각 회전축(17)을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복수의 셔터편(19)에 의하여 둘러싸인 포위영역(surround area)(37)을 폐쇄동작할 때에, 상기 포위영역(37)이 0이 될 때까지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가 슬라이딩(sliding) 하는 슬라이딩면(sliding面)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측면(31)은, 반셔터편(29)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즉 셔터편(19)의 회전방향(화살표(R)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突出部)를 구비한 볼록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셔터편(29)에 있어서의 상하의 평면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돌출량은, 상기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35)로 근접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가압측면(33)은, 상기 포위영역(37)이 0이 된 후에 각 셔터편(19)이 화살표(R)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개방동작할 때에, 인접한 셔터편(19)의 선단부(35)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비가압측면(33)은, 반셔터편(29)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즉 셔터편(19)의 회전방향(화살표(R) 방향)으로 움푹하게 파인 오목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셔터편(29)에 있어서의 상하의 평면에 대하여 오목한 양은, 상기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35)로 근접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는 형상이다.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셔터편(19)에 의하여 둘러싸인 포위영역(37)을 작게 하기 위하여 각 셔터편(19)을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폐쇄동작할 때에, 각 셔터편(19)의 선단부(35)는,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가압접촉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각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와,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과의 사이의 간극(클리어런스(clearance))은 거의 0으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가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에 항상 가압접촉된 상태에 있으면, 선단부(35)가 마모되기 쉬움과 아울러,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셔터편(19)이 열팽창되어 셔터장치(15)에 있어서의 부하가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셔터편(19)의 폐쇄동작 시에 셔터편(19)의 선단부측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셔터편(19)을 구성하는 상기 각 반셔터편(29)에 있어서 상기 부착 베이스(27)와 상기 선단부(35)의 사이에, 선단부측이 폐쇄동작방향의 반대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휨 허용부(flexure 許容部)(3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휨 허용부(39)로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반셔터편(29)에 있어서의 비가압측면(33)측으로부터 가압측면(31)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slit)(41)에 의하여 예시되어 있다. 이 슬릿(41)의 선단위치(41A)는, 반셔터편(29)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43)이 휘어질 때의 지점(支點)으로 된다.
상기 선단위치(41A)의 형상 및 위치는 임의의 형상,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선단측 부분(43)의 휘어짐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착구멍(25)의 중심위치(O)와 상기 선단부(35)를 연결하는 직선위치 부근 또는 상기 직선위치와 상기 가압측면(31) 사이의 원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편(19)의 폐쇄동작을 할 때에 셔터편(19)의 선단부(35)가 인접한 셔터편(19)의 가압측면(31)에 강하게 가압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41)의 간격을 작게 하도록 선단측 부분(43)에 휘어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셔터편(19)의 가압측면(31)에 대한 선단부(35)의 강고한 가압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는,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에 항상 원활하게 슬라이딩 함으로써 부하가 과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셔터편(19)의 가압측면(31)에 대하여, 인접한 셔터편(19)의 선단부(35)가 슬라이딩 하도록 접촉되는 접촉압(接觸壓)은, 항상 적정한 접촉압으로 유지된다.
또한 셔터편(19)의 선단부(35)가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에 항상 슬라이딩 하여 폐쇄동작을 함으로써, 슬라이딩 부분에 마찰열이 발생하여 셔터편(19)이 열팽창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셔터편(19)의 열팽창에 의하여,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는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을 더 견고하게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슬릿(41)의 존재에 의하여, 상기 가압 시의 반력(反力)에 의하여 선단측 부분(43)에 휘어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셔터편(19)에 열팽창이 발생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와,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과의 슬라이딩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접촉압은 항상 적정한 접촉압으로 유지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경을 함으로써 그 이외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휨 허용부(39)의 구성으로서, 상기 슬릿(41)을 대신하여 도5,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가압측면(33)측에 적절한 형상, 크기의 노치부(notch部)(45)를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휨 허용부(39)는,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선단부(35)와, 인접한 셔터편(19)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과의 접촉압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슬릿(41)을 대신하여 원형의 구멍이나 장공(長孔)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릿(41)의 형상으로서는 직선적인 슬릿, 만곡(彎曲)한 슬릿, 파형(波形)의 슬릿, L형상의 슬릿 등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7은 셔터편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3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19A)은, 상기 특허문헌1의 도13, 특허문헌2의 도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셔터편에 슬릿(41)을 구비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8,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셔터편(19B)을 나타낸다. 이 셔터편(19B)은, 상기 셔터편(19)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 베이스(27)에 상당하는 부착 베이스(27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부착 베이스(27A)에는, 복수의 부착나사(47)를 통하여 상기 반셔터편(29)에 상당하는 반셔터편(29A)이 부착되어 있다. 이 반셔터편(29A)에는, 상기 가압측면(31) 및 비가압측면(33)에 상당하는 가압측면(31A) 및 비가압측면(33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반셔터편(29A)에는, 상기 선단부(35)에 상당하는 선단부(35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착 베이스(27A)에 대하여, 상기 반셔터편(29A)은 서로 접근이반(接近離反)하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부착 베이스(27A)의 복수 장소에는 편심조절기구(偏心調節機構)(4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편심조절기구(49)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상기 부착 베이스(27A)의 하면에는 원형모양의 오목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51)의 중심위치에는 나사구멍(53)이 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구멍(53)의 주위에는 복수의 결합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도8, 도9를 참조).
상기 반셔터편(29A)에는, 상기 오목부(51)에 결합될 수 있는 축부(軸部)(57A)를 구비하는 편심부재(偏心部材)(57)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편심부재(57)에는, 편심캠부(偏心cam部)(5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편심캠부(57B)에는, 상기 결합구멍(55)에 대하여 착탈(着脫)될 수 있는 결합핀(5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셔터편(29A), 편심부재(57)를 관통하여 선단부를 상기 나사구멍(53)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는 상기 부착나사(4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반셔터편(29A)에 대하여 편심부재(57)를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당해 편심부재(57)의 축부(57A)를 부착 베이스(27A)의 오목부(51)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편심부재(57)의 편심캠부(57B)에 구비된 결합핀(59)을 적절한 위치의 결합구멍(55)에 결합시킴으로써 부착 베이스(27A)에 대하여 반셔터편(29A)은, 도10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약간 위치조절된다. 그리고 부착나사(47)를 나사구멍(53)에 나사결합시켜서 체결함으로써 부착 베이스(27A)와 반셔터편(29A)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부착 베이스(27A)에 대하여 각 반셔터편(29A)은 개별적으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반셔터편(29A)의 선단부(35A)가 마모되었을 경우에 그 마모량에 대응하여, 부착 베이스(27A)에 대하여 각 반셔터편(29A)의 부착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편(29A)에 있어서의 선단부(35A)와, 인접한 셔터편(29A)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A)과의 가압접촉상태를 항상 적정한 접촉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에 부착 베이스(27A)에 대하여 각 반셔터편(29A)은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반셔터편(29A)에 만약 제조오차나 열팽창의 차이가 있는 것과 같은 경우이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각 반셔터편(29A)에는, 휨 허용부로서 슬릿(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41B)에는,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43A)의 휨량을 조절하기 위한 휨량조절기구(61)가 구비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슬릿(41B)에는 복수의 핀삽입부(pin揷入部)(63A, 63B, 63C)가 적절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적절한 위치의 핀삽입부(63A, 63B, 63C)에는, 슬릿간격 제한부재(slit間隔 制限部材)의 일례로서의 조절핀(調節pin)(65)이 삽입이탈(揷入離脫)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측 부분(43A)에 휘어짐을 발생시켜서 슬릿(41B)의 간격을 좁히려고 하면, 슬릿(41B) 내에 조절핀(65)을 끼움으로써 선단측 부분(43A)의 휨량이 제한된다. 또 선단측 부분(43A)의 휨량을 조절할 때에는 핀삽입부(63A, 63B, 63C)를 선택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핀(65)을 구비하고, 원하는 지름의 조절핀(65)을 선택하여 원하는 핀삽입부(63A, 63B, 63C)에 삽입함으로써도, 조절핀(65)의 외주면과 핀삽입부(63A, 63B, 63C)의 내주면과의 클리어런스를 조절할 수 있어, 선단측 부분(43A)의 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계수(彈性係數)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핀(65)을 구비하고, 원하는 탄성계수의 조절핀(65)을 선택함으로써도, 상기 선단측 부분(43A)의 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핀(65)을 구비하는 경우에 또는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조절핀(65)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핀삽입부(63A, 63B, 63C)는 원하는 위치의 1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휨량조절기구(61)의 구성으로서는 도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슬릿(41B) 내의 적절한 위치에, 경사면(傾斜面)(67S)이 대향(對向)한 슬릿간격 제한부재의 일례로서의 경사부재(67)를 슬릿(41B)의 간격방향으로 대향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적어도 일방의 경사부재(67)를 슬릿(41B)의 길이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사부재(67)에 있어서의 경사면(67S)의 간격을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반셔터편(29A)에 있어서의 선단측 부분(43A)의 휨량을 제한할 수 있어, 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휨량조절기구(61)의 구성으로서는, 슬릿(41B)에 병렬시켜서 적절한 클리어런스, 적절한 길이의 별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휨량조절기구(61)로서는 슬릿(41B)의 간격치수(폭치수)가 필요 이상으로 작아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으며, 예를 들면 슬릿(41B) 내에 적절한 두께의 스페이서(spacer) 또는 블록(block)을 배치하는 구성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선단부(35A)가 인접한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A)을 가압하여 슬라이딩 할 때의 접촉압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편(19B)이 열팽창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접촉압을 적정의 접촉압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편(19B)의 선단부(35A)가 인접한 셔터편(19B)의 가압측면(31A)에 가압접촉되어 슬라이딩 함으로써 마찰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셔터편(19B)의 방열(放熱)을 하기 위한 방열부(放熱部)(69)가 구비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각 반셔터편(29A)의 선단측 부분(43A)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71) 내에는, 열전도(熱傳導)가 좋은 금속제(金屬製)의 파이프재(pipe材)(73)가 결합(삽입)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반셔터편(29A)의 선단부(35A)와, 인접한 반셔터편(29A)에 있어서의 가압측면(31A)과의 슬라이딩 마찰에 의하여 발생된 열은, 반셔터편(29A)에 축열(蓄熱)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반셔터편(29A)의 열이 상기 방열부(69)에 전달되면, 당해 방열부(69)에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셔터편(29A)에 축열되어 반셔터편(29A)이 고온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6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셔터편(29A)을 상하로 관통한 관통구멍(71) 내에 금속제의 파이프재(73)를 결합한 구성이기 때문에, 파이프재(73) 내에 있어서는 공기의 상승류가 발생함으로써 반셔터편(29A)의 방열냉각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방열부(69)의 구성으로서는, 반셔터편(29A)의 표면적을 더 크게 하기 위하여 관통구멍을 대신하여 상하 양면으로 개구된 구멍 또는 홈 혹은 그들의 조합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에 반셔터편(29A)의 회전 시에, 반셔터편(29A)의 표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흐르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더 크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셔터편(19B)에 있어서의 반셔터편(29A)에 방열부(6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편(19B)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열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은 셔터편을 상기 식품성형장치(1)에 있어서의 셔터장치(15)의 회전축(17)에 부착하여 식품생지의 포피절단을 하는 경우에, 각 셔터편에 구비된 휨 허용부의 작용에 의하여 각 셔터편의 선단측 부분을, 각 셔터편이 폐쇄동작을 하는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것을 허용하여 폐쇄동작을 한다. 따라서 셔터편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인접한 셔터편에 있어서의 가압측면에 접촉하는 접촉압을 항상 적정의 접촉압으로 유지하여 포피절단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편에 있어서의 선단부와, 인접한 셔터편의 가압측면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셔터편의 열팽창에 기인하는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셔터편을 1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식품생지의 포피절단을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셔터편을 왕복회전(스윙(swing))시킴으로써 포피절단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4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시트모양의 외피재의 주연부를 중앙부에 모으기 위한 셔터장치에 있어서의 셔터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원 발명을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212346호(2014년 10월 17일 출원) 및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14735호(2014년 1월 29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원 명세서에 구비되어 있다.

Claims (8)

  1. 복수의 셔터편(shutter piece)에 의하여 둘러싸인 포위부(enclosure)를 개폐할 수 있는 식품성형장치(食品成形裝置)에 있어서의 셔터편으로서,
    셔터편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위치와 셔터편의 선단부(先端部)의 사이에, 셔터편의 폐쇄동작 시에 셔터편의 선단측 부분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휨 허용부(flexure 許容部)를 구비하고,
    상기 휨 허용부는, 슬릿(slit) 또는 노치부(notch部) 혹은 구멍(hole)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 허용부는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 내에, 상기 선단부측이 휘어질 때에 있어서의 슬릿간격의 축소를 제한할 수 있는 슬릿간격 제한부재(slit間隔 制限部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부분에, 셔터편의 방열(放熱)을 하기 위한 방열부(放熱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선단측 부분의 양면으로 개구(開口)된 구멍 또는 홈(groove)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편.
  5. 제1항에 있어서,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의 회전축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구비한 부착 베이스 부재(附着 base 部材)에, 동일한 형상의 반셔터편(half shutter piece)을 대칭으로 또한 상기 부착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편.
  6. 제1항에 기재되어 있는 셔터편을 구비한 식품성형장치로서,
    상기 식품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셔터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축에 각각이 착탈(着脫)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기 셔터편;
    상기 각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동작되는 각 셔터편의 사이에 외피재(外皮材) 및 내포재(內包材)의 식품생지(food dough)를 공급하는 식품생지 공급수단; 및
    상기 각 셔터편의 폐쇄동작에 의하여 성형된 식제품(食製品)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搬送手段);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셔터편에 구비된 상기 휨 허용부에 의하여 각 셔터편의 선단측 부분이 폐쇄동작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허용하여 폐쇄동작을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성형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67023142A 2014-01-29 2015-01-14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 KR101878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4735 2014-01-29
JPJP-P-2014-014735 2014-01-29
JP2014212346A JP5984892B2 (ja) 2014-01-29 2014-10-17 シャッタ片及び食品成形装置
JPJP-P-2014-212346 2014-10-17
PCT/JP2015/050777 WO2015115178A1 (ja) 2014-01-29 2015-01-14 シャッタ片及び食品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656A KR20160113656A (ko) 2016-09-30
KR101878208B1 true KR101878208B1 (ko) 2018-07-13

Family

ID=5375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142A KR101878208B1 (ko) 2014-01-29 2015-01-14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82576B2 (ko)
EP (1) EP3103346B1 (ko)
JP (1) JP5984892B2 (ko)
KR (1) KR101878208B1 (ko)
CN (1) CN105939608B (ko)
ES (1) ES2701337T3 (ko)
RU (1) RU2644188C1 (ko)
TW (1) TWI627909B (ko)
WO (1) WO2015115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1202B2 (ja) * 2018-07-05 2021-05-1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片
CN110150347A (zh) * 2019-05-08 2019-08-23 中山市顶盛食品机械有限公司 饼干浇注机构
CN110150351A (zh) * 2019-05-08 2019-08-23 中山市顶盛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饼干浇注成型机
CN112790206B (zh) * 2021-03-04 2022-03-22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馅料分切注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520A (en) * 1990-09-11 1991-07-16 Tsay Shih C Cutting and forming device for an apparatus for making buns
JP2003009838A (ja) * 2001-06-28 2003-01-14 Kobird Co Ltd 食品分割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90011A (ja) * 2005-12-21 2007-08-02 Rheon Autom Mach Co Ltd 成形用シャッタ装置及びそのシャッタ片
JP4246789B1 (ja) * 2008-09-11 2009-04-02 株式会社コバード 包被切断装置及びシャッタ片の寸法確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4578A1 (ru) * 1951-02-17 1951-11-30 В.С. Булатов Округлитель дл кусков теста
US4636158A (en) 1985-11-14 1987-01-13 Huang Der S Apparatus for making bun
JPH03175925A (ja) * 1989-12-01 1991-07-31 Rheon Autom Mach Co Ltd 包被球断装置
US5190770A (en) 1989-01-12 1993-03-02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d shaping a spherical body
JP2916515B2 (ja) 1990-05-01 1999-07-05 レオン自動機 株式会社 包被球断装置
JPH084443B2 (ja) * 1992-01-30 1996-01-24 株式会社コバード 可塑性棒状食品切断機
JP2729898B2 (ja) 1993-06-18 1998-03-1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棒状生地の分割成形用多面体および分割成形装置
JP2799941B2 (ja) 1993-06-11 1998-09-2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棒状生地の分割成形用多面体および分割成形装置
TW253831B (ko) * 1993-06-11 1995-08-11 Reon Zidoki Kk
TW339262B (en) * 1993-08-26 1998-09-01 Kenbart Kk Method of cutting strip-shaped food and the device
JP2540446B2 (ja) * 1994-03-09 1996-10-02 株式会社コバード 棒状食品切断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位置補正機構
TW306868B (ko) * 1995-03-07 1997-06-01 Reon Zidoki Kk
JP2934206B2 (ja) * 1997-05-19 1999-08-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接合吐出装置、及び食品成形機
JP3403660B2 (ja) 1999-02-15 2003-05-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方法および包被切断装置
EP1380211B1 (en) 2001-04-09 2010-03-03 Kobird Co., Ltd. Food forming method and device
JP4045313B2 (ja) * 2001-09-11 2008-02-13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成形装置
JP3400441B1 (ja) * 2001-12-18 2003-04-28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4276800B2 (ja) * 2001-08-17 2009-06-10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の包み込み成形方法とその装置
JP3587458B2 (ja) * 2002-04-16 2004-11-10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成形装置
JP3587459B2 (ja) * 2002-04-30 2004-11-10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成形装置
JP3786897B2 (ja) * 2002-05-21 2006-06-1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切断用シャッタ装置
US6477944B1 (en) * 2002-05-28 2002-11-12 Robert Ou-Young Molding device for pastry products
JP3587465B2 (ja) * 2002-07-10 2004-11-10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成形装置
JP3811786B2 (ja) * 2002-12-20 2006-08-23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成形装置
US6892630B1 (en) 2004-01-22 2005-05-17 Lien-Fu Huang Device for molding spheroidal food products
RU2379895C1 (ru) * 2005-12-21 2010-01-27 Реон Отомэтик Машинери Ко., Лтд. Формующий затворный аппарат и его звено затвора
US20090139383A1 (en) 2007-11-29 2009-06-04 Cheng-Yen Tsai Food Processor Cutting Device Having 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JP4316662B1 (ja) * 2008-11-08 2009-08-19 株式会社コバード 食品加工装置
JP5897377B2 (ja) * 2011-06-02 2016-03-30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包み方法並びに包被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6008508B2 (ja) * 2011-07-26 2016-10-19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FR2988266B1 (fr) * 2012-03-20 2015-02-13 Marel Stork Food Systems France Sas Procede et machine de fabrication de portions avec moyens d'ejection desdites por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520A (en) * 1990-09-11 1991-07-16 Tsay Shih C Cutting and forming device for an apparatus for making buns
JP2003009838A (ja) * 2001-06-28 2003-01-14 Kobird Co Ltd 食品分割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90011A (ja) * 2005-12-21 2007-08-02 Rheon Autom Mach Co Ltd 成形用シャッタ装置及びそのシャッタ片
JP4246789B1 (ja) * 2008-09-11 2009-04-02 株式会社コバード 包被切断装置及びシャッタ片の寸法確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63062A (ja) 2015-09-10
TW201534227A (zh) 2015-09-16
CN105939608B (zh) 2018-02-09
US20160353750A1 (en) 2016-12-08
ES2701337T3 (es) 2019-02-21
RU2644188C1 (ru) 2018-02-08
KR20160113656A (ko) 2016-09-30
EP3103346B1 (en) 2018-10-31
WO2015115178A1 (ja) 2015-08-06
EP3103346A1 (en) 2016-12-14
CN105939608A (zh) 2016-09-14
US10182576B2 (en) 2019-01-22
EP3103346A4 (en) 2017-08-16
JP5984892B2 (ja) 2016-09-06
TWI627909B (zh) 201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208B1 (ko) 셔터편 및 식품성형장치
JP5430626B2 (ja) ダイリップ調整装置
JP2011161626A (ja) 材料帯を加工するための装置
JP2010522645A (ja) 切断装置
KR20110110133A (ko) 치즈 덩어리로부터 조각들로의 절단
KR20010072995A (ko) 절삭간격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BRPI0514145A (pt) máquina de empacotamento de pirulitos
US4763722A (en) Modular element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extrusion cylinders, injection molding machines, drawing machines and the like plastics processing machines
US201802725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a food product strand
WO2014162222A1 (en) Knife-holder rotor with improved knives, for a machine for processing swine meat, in particular for producing mortadella or other sausages
KR101986717B1 (ko) 턴테이블식 육가공기
EP2110227B1 (en) A device for supporting counter-rotating elements
TWI517910B (zh) 鍊布齒條連續製造機之鍊齒用金屬線材的傳送裝置
JP4246789B1 (ja) 包被切断装置及びシャッタ片の寸法確認装置
JP2015202565A (ja) 冷凍されたストランド状の食品をスライスに切断する装置及び方法
JP6393313B2 (ja) 食品形成ドラム用の密閉部材
US20190090430A1 (en) Agricultural round baler
JP2016198024A (ja) 包被切断装置
JP2020005531A (ja) 食品生地の包被切断方法及びシャッタ装置並びにシャッタ片
JP2015066047A (ja) 皮むき器
JP6727926B2 (ja) シート加工装置
KR101631528B1 (ko) 담배 포장지 절단장치
KR20170136218A (ko) 히터핀 제작 기계장치
US1142972A (en) Resawing-machine and the like.
US482085A (en) fi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