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766B1 - 반사 필름 - Google Patents

반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766B1
KR101876766B1 KR1020147024638A KR20147024638A KR101876766B1 KR 101876766 B1 KR101876766 B1 KR 101876766B1 KR 1020147024638 A KR1020147024638 A KR 1020147024638A KR 20147024638 A KR20147024638 A KR 20147024638A KR 101876766 B1 KR101876766 B1 KR 10187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reflectance
resi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560A (ko
Inventor
와타루 고다
시게토시 마에카와
?이치 오사다
코조 타카하시
히토미 후루카와
테루야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 G02B5/0841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32B27/2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the fillers creating voids or cavities, e.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7Polyolefin particles, e.g.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omopolymers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8Thermoform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높은 광택감을 유지하고, 반사광이 높은 지향성을 얻어서 디스플레이 등에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고휘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성형 시에 우수한 성형성을 발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이 교대로 200층 이상 적층된 제 1 부위와 이하의 (Ⅰ)~(Ⅲ)의 조건 중, 적어도 1개를 만족하는 수지 C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배치된 필름의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에 대한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며,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이 상기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10% 이상이다.
(Ⅰ)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공극률이 5%~90%이다
(Ⅱ)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5질량%~50질량%이다
(Ⅲ)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3질량%~45질량%이다

Description

반사 필름{REFLECTIVE FILM}
본 발명은 확산 반사 성분이 제어된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명광이 종래의 형광관이나 백열 전구로부터 저소비 전력, 장수명, 공간 절약인 특징을 갖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크게 변화되는 흐름에 있어서,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주택 조명, 차재 조명, 휴대 기구 조명, 간판 조명,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일루미네이션 조명 등의 조명 디자인도 다종 다양성이 요구되도록 되어 와 있다. 이러한 조명에 있어서,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낭비 없이 설계된 지향 방향으로 광을 유도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재료로서 반사 부재가 있다. 이 반사 부재는 조명 설계에 의해 평면형상, 3차원 곡면형상으로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고, 그 반사 성능에 있어서도 저소비 전력의 관점으로부터 고반사율화, 조명 디자인의 관점으로부터 광의 지향성의 제어, 또한 저비용의 관점으로부터 조명 기구의 캐비티의 형상으로 3차원 형상 추종하는 성형성이 요구되도록 되어 왔다.
종래부터 알려지는 반사 성능을 겸비한 필름은 크게 나누어서 2종류 존재한다. 한쪽은 입사한 광의 대부분을 확산 반사하는 백색 필름, 다른쪽은 입사한 광의 대부분을 정반사하는 경면 반사 필름이다. 백색 필름은 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부에 황산 바륨, 산화티탄, 탄산 칼슘 등의 무기 입자를 고농도 첨가한 것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내부에 기포(공극)를 무수히 형성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2). 또한, 전자의 백색 필름은 입자 기인에 의해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성형성이 나쁘고, 후자의 백색 필름에 있어서는 성형성이 좋은 반면, 컬링성, 탄성의 약함의 관점으로부터 표층에는 고농도의 무기 입자가 첨가되어 있다. 반면, 경면 반사 필름은 주로 은, 알루미나 등의 금속을 필름 표면에 증착한 금속 증착 필름 또는 굴절률이 다른 수지를 광학 파장 레벨에서 교대로 1000층 이상 적층하고, 광 간섭을 이용한 다층 필름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4).
백색 필름은 원리상 확산 반사가 지배적이기 때문에 강한 정반사가 요구되는 용도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 이유는 지나치게 광 확산되어버려 조명 디자인의 설계상 휘도를 필요로 하는 개소로 광을 유도할 수 없어 광 손실이 크고, 조명 디자인성도 뒤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종래부터 정반사성 향상의 대책으로서 표면의 평탄화가 있지만, 큰 개선 효과에는 이르지는 않는다. 한편, 경면 반사 필름은 정반사가 대부분이며, 확산성 향상의 대책으로서 표면의 조면화가 있지만, 매트감(백색을 띰)이 나오기 쉬워 질감으로서의 광택감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증착 필름은 녹이나 크랙 등이 문제로 성형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광판이나 확산 소자 등의 광학적으로 두꺼운 층과 다층 필름을 인접시켜서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광학적으로 두꺼운 층으로 유도하여 높은 반사율을 제공하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면에 똑같은 광 전파를 목적으로 한 도광판의 설계이며, 전파 거리가 길어 광 흡수에 의한 광 손실이 일어난다. 면 외로 광을 인출하기 위해서 매우 번잡한 광학 설계가 필요해진다(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2006-284689호 공보(제 2 페이지) 일본 특허 공개 2005-125700호 공보(제 2 항) 일본 특허 공개 2002-117715호 공보(제 2 페이지) 일본 특허 공표 평 11-508702호 공보(제 2 페이지) 일본 특허 공표 2009-532720호 공보(제 2 페이지)
이와 같이 종래의 반사 필름에는 높은 광택감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정반사성과 확산 반사성의 관계를 크게 변화시키는 반사광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있었다. 즉, 본 발명은 높은 광택감을 유지하고, 반사광의 높은 지향성을 얻어서 디스플레이 등에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고휘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성형 시에 우수한 성형성을 더 발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1)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이 교대로 200층 이상 적층된 제 1 부위와 이하의 (Ⅰ)~(Ⅲ)의 조건 중, 적어도 1개를 만족하는 수지 C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층 배치된 필름의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에 대한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며,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이 상기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Ⅰ)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공극률이 5%~90%이다
(Ⅱ)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5질량%~50질량%이다
(Ⅲ)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3질량%~45질량%이다
(2) (1)에 있어서, 2매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와 제 2 부위가 포개지도록 배치했을 때의 60℃, 24hr, 하중 2㎫의 에이징 처리 전후에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 Ra의 변화율이 100% 미만인 반사 필름.
(3)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배치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사이에 투명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층의 굴절률이 공기 또는 상기 투명층과 접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각각의 계면을 형성하는 층의 굴절률 이하의 굴절률이며, 그 두께가 0.5㎛ 이상 10㎛ 이하가 되는 투명 접착층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반사 필름.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의 값 이상이 되는 파장대역이 가시광선 영역에 존재하는 반사 필름.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층 배치되는 계면에 있어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가 20㎚ 이하이며, 제 2 부위의 표면 거칠기가 35㎚ 이하인 반사 필름.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위가 3층 구조이며, 내층이 확산 반사층이며, 표층 두께가 5㎛ 이상인 반사 필름.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의 한쪽 최표층의 두께가 5㎛ 이상인 반사 필름.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지 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반사 필름.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지 A 또는 상기 수지 B가 데카인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반사 필름.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지 C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반사 필름.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부위의 반사대역 400~70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의 반사대역 400~70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 이상인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반사 필름.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명도 L*(SCE)이 22 이상 70 이하인 반사 필름.
(13)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의 입사각도가 30° 이상 90° 미만의 조건에서 파장 450㎚±30㎚, 파장 550㎚±30㎚ 중 어느 하나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반사 필름.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판.
(15) LED 광원, 반사 필름, 도광판, 광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로 구성된 LCD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LED 광원으로부터의 청색 발광 스펙트럼의 파장에서의 광의 입사각 30° 이상 90° 미만에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사용한 LCD 백라이트 시스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광택감이 높고, 광의 정반사 성분과 확산 반사 성분이 제어된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섭 반사와 확산 반사의 상승 효과에 의해 반사율이나 휘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3차원 성형이 가능하며, 여러 가지 조명 용도의 캐비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반사 필름을 제공한다. 특히, LCD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확산 반사 성분이 제어된 반사 필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1 부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 도이며, 도 2(a)는 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2(b), 도 2(c), 도 2(d)는 각각 L-L', M-M', N-N'으로 자른 수지 유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1 부위의 층의 배열 순서-층두께의 관계(층두께 분포)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한 조명 장치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한 백라이트 시스템의 예이다.
도 6은 구멍 형성 가공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예이다.
도 7은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의 분광 반사율 곡선이다.
도 8은 비교예 3의 반사 필름의 분광 반사율 곡선이다.
도 9는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각도 가변의 절대 반사율 곡선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사 필름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3)은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이 교대로 200층 이상 적층된 제 1 부위(1)와, 이하의 (Ⅰ)~(Ⅲ)의 조건 중, 적어도 1개를 만족하는 수지 C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위(2)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Ⅰ)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공극률이 5%~90%이다
(Ⅱ)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중량 농도가 5질량%~50질량%이다
(Ⅲ)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유기 입자의 중량 농도가 3질량%~45질량%이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수지 A, B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아세탈 등의 쇄상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류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부가 중합, 다른 올레핀류와의 부가 공중합체인 지환족 폴리올레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폴리머,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머, 폴리아세탈, 폴리글리콜산,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스티렌 공중합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4불화에틸렌 수지, 3불화에틸렌 수지, 3불화염화에틸렌 수지,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압출 성형이 좋고, 강도·내열성·투명성 및 범용성의 관점으로부터 특히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호모폴리머이어도 공중합 폴리머, 또한 혼합물이어도 좋다.
이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박산, 다이머산, 도데칸디온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데카인산과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굴절률을 발현하는 테레프탈산과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고, 또한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 등을 일부 공중합해도 좋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소르베이트, 스피로글리콜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올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높은 반사율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제 1 부위에 사용되는 수지 A는 2축 연신과 열처리에 의해 배향 결정화를 부여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나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범용성과 성형성의 면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배향 결정화는 굴절률의 상승을 유발하여 높은 내열성이나 탄성의 강함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제 1 부위에 사용되는 수지 B는 층간 박리 및 적층 혼란에 의한 플로우 마크 등의 외관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이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부위에 사용되는 수지 C는 범용성, 입자에 기인한 공극을 형성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이들 공중합체, 또한 얼로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200층 이상 적층한 적층 필름은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가 된다. 이것은 일본 특허 4552936호 기재의 적층 장치를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단, 슬릿판의 공극, 길이는 설계하는 층두께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한다. 즉,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적층 필름의 층두께 분포는 다르게 되어 하나하나의 층의 두께 및 그 배열은 상기 문헌에 기재된 것과는 다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도 1에 기재된 광원으로부터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광(4)에 대하여 정반사광(5)과 확산 반사광(6)을 서로 더한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며,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광(4)에 대한 반사광 중,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이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1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은 높은 광택감을 유지하는 관점으로부터이다. 만약, 제 2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다면 파장 400~700㎚의 평균 반사율이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확산 반사에 의존해버려 광택감은 없고, 또한 제 1 부위에 의한 반사광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곤란해져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반사율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70% 미만이면 반사재료로서는 광의 손실이 크고, 조명, LCD 백라이트 등의 여러 가지 조명 용도에 있어서 휘도가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여기에서의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은 광의 파장 400㎚~700㎚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며, 산화알루미늄의 표준판으로 한 상대 반사율이다. 이들은 공지의 적분구를 사용한 분광 광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에 대한 반사광 중,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이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1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종래의 백색 필름만의 표면 반사에서는 달성 곤란한 영역이며, 여러 가지 조명 디자인에 있어서의 광택감 및 휘도의 관점으로부터 필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또한 광을 유효 이용하여 저소비 전력으로 연결되는 저광 손실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상한에 대해서는 99.9%를 초과하면 경면 반사 필름이 되고, 본원발명인 확산 반사 성분과 정반사 성분이 제어된 반사 필름으로는 되지 않는다. 즉, 확산 반사를 전혀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 관점으로부터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은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9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3% 이하이다. 정반사 성분이 지나치게 낮으면 광의 상승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운 관점으로부터 4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부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에 있어서의 제 2 부위(2)는 수지 C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이다. 이 백색 필름은 이하의 (Ⅰ)~(Ⅲ)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적어도 1개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지 않으면 확산 반사율이 낮아 반사 필름(3)으로서의 반사 기능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이다. 높은 확산 반사율의 관점으로부터 2개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Ⅰ) 공극률이 5%~90%이다
(Ⅱ) 무기 입자의 중량 농도가 5질량%~50질량%이다
(Ⅲ) 유기 입자의 중량 농도가 3질량%~45질량%이다
본 발명의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률이란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단면 SEM(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했을 때에 확인되는 시야에 있어서의 제 2 부위의 필름 영역에 대한 그 내부의 공극 영역의 면적비에 1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조건(Ⅰ)을 만족하는 층이 적어도 1개는 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서의 공극이란 여러 가지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백색 필름 내부에 형성된 구멍이다.
이어서,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내부에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발포제 또는 탄산 가스를 수지 내부에 함침시킴으로써 시트 내부에 공극을 형성시키는 발포 압출법을 들 수 있다. 결정과 비결정 및 폴리머 얼로이 등에 의한 폴리머 상분리 후에 형성된 3차원 망눈 구조를 양빈 용매성의 용매에 의해 한쪽의 상을 용해함으로써 공극을 형성하는 용매 추출법, 또한 필름의 연신에 의해 상의 계면에 공극을 형성하는 계면 박리법이 있다. 가장 간편한 건식 프로세스이며 또한 저비용인 관점으로부터 계면 박리법이 바람직하다. 계면 박리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결정과 비결정부, 2개의 다른 결정형의 상의 계면을 연신에 의해 개열·박리시키는 방법, 또한 매트릭스 수지 중에 비상용 수지 입자 또는 무기 입자를 미분산시켜 해도 구조를 형성하고, 용융 압출에 의해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여 드럼 상에 냉각 고화하고, 이어서 연신에 의해 입자와 매트릭스 수지의 계면을 박리시켜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주로 다결정계이며, 유리점 이전이 낮고, 라멜라 구조의 결정 사이즈가 큰 폴리올레핀으로 달성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의 α결정과 β결정 사이의 계면 개열·박리 등이 일례이다. 한편, 후자는 주로 연신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 선정하고, 매트릭스 수지에 대하여 비상용성, 또는 연신 시에 고강성인 특징을 갖는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를 선정함으로써 연신 시에 입자와 매트릭스 수지의 계면에 응력 집중을 일으킴으로써 박리를 야기하여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공극률은 5% 미만이면 공극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 횟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반사율이 낮아진다. 또한, 90% 이상이면 자기 지지성이 없어짐과 아울러 제조 공정에서의 필름 찢어짐이 많이 발생한다. 공극률은 3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이다.
본 발명의 제 2 부위에 사용되는 무기 입자란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산화아연, 탄산 바륨, 티탄산 바륨, 염화바륨, 수산화바륨, 산화바륨, 알루미나, 세리나이트, 산화규소(실리카), 탄산 칼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규산 알루미늄, 마이카, 펄 마이카, 납석 클레이, 소성 클레이, 벤토나이트, 탈크, 카올린, 인산 칼슘, 운모 티탄, 불화리튬, 불화칼슘, 기타 복합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렴하며 높은 반사율의 백색 필름을 달성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산화티탄, 황산 바륨, 탄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위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5질량% 미만이면 반사율이 낮고, 또한 50질량% 이상이면 제조 공정에서 필름 찢어짐이 빈발한다. 그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20질량% 미만이다. 함유량이란 제 2 부위를 구성하는 수지 C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질량 비율이다. 조건(Ⅱ)을 만족하는 층이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위에 사용되는 유기 입자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입자가 함유되는 매트릭스 수지(수지 C)가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펜텐-1), 폴리아세탈 등의 쇄상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류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부가 중합, 다른 올레핀류와의 부가 공중합체인 지환족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가교 폴리에틸렌, 가교 또는 무가교의 폴리스티렌 수지, 가교 또는 무가교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 스테아르산 아미드, 올레산 아미드, 푸마르산 아미드 등의 각종 아미드 화합물로 생성된 입자나 아크릴 비즈를 들 수 있다. 특히, 높은 반사율의 백색 필름을 달성하는 관점으로부터 노르보르넨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폴리(4-메틸펜텐-1) 등의 유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제 2 부위의 유기 입자의 함유량은 3질량% 미만이면 공극에 의한 계면의 수가 적기 때문에 반사율이 낮고, 또한 45질량% 이상이면 해도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공극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필름 찢어짐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30질량%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제 2 부위의 두께는 광의 광로 길이에 있어서의 산란 횟수에 크게 관계되기 때문에 반사율과 상관이 있다. 따라서, 반사율을 높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사용의 편리함으로부터 그 상한은 3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2매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 제 1 부위의 면과 제 2 부위가 겹쳐지도록 배치했을 때의 60℃, 24hr, 하중 2㎫의 조건에서 완화 처리 전후에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 Ra의 변화율이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거칠기의 변화율이 100% 이상이면 제 2 부위의 요철의 표면 거칠기가 제 1 부위의 표면에 전사되기 때문에 정반사성이 손상되어 외관 불량을 초래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이다. 여기에서의 표면 거칠기 Ra란 중심선 평균 거칠기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적층 배치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사이가 투명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투명층의 굴절률이 공기 또는 투명층과 접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각각의 계면을 형성하는 층의 굴절률 이하의 굴절률이며, 그 두께가 10㎛ 이하가 되는 투명층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명층은 도 1(b)에 있어서 제 1 부위의 표면(1-1)과 제 2 부위의 표면(2-1)이 마주 보는 관계에 있고, 그 사이에 공기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층(30)이 개재된다. 투명층의 굴절률은 공기, 제 1 부위의 표면(1-1)층과 제 2 부위의 표면(2-1)층의 굴절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단체의 반사율 이상으로 하는 반사율의 상승 효과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로 이용한 2축 연신 필름이기 때문에 배향 결정화에 의한 굴절률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서는 1.66,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에서는 1.79의 값이 대표적이다. 투명층의 굴절률이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투명층과의 계면을 형성하는 층의 굴절률보다 높으면 투명층은 자신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의 상하 계면에 덮인 광도파로의 구성으로 간주된다. 즉, 광이 투명층 내에 머물러 제 2 부위에서 반사된 광(6)이 인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반사율이 향상되지 않는다. 투명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 접착층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범용 수지를 이용한 것이다. 이 관점으로부터 투명층의 굴절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굴절률은 1.6 이하이다. 지나치게 낮으면 광 손실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사이에 존재하는 투명층의 두께는 0.5㎛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하의 두께에서는 확산된 인코히어런트한 가시광의 광은 머무르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투명층으로서는 투명 접착층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투명 접착층으로서는 웨트나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한 접착제와 핫 멜트나 테이프 라미네이트법에 의한 점착제가 있다. 웨트나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이란, 예를 들면 리버스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로드 코팅법, 바 코팅법, 마이어 바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에 의해 제 1 부위의 필름과 제 2 부위의 필름을 접합할 때에 물이나 용제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이다. 접착제로서는 페놀 수지계 접착제, 레조르시놀 수지계 접착제, 페놀-레조르시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우레아 수지계 접착제,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폴리아로마틱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등을 사용한 반응형 접착제; 아세트산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염화비닐 수지, 나일론,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 클로로프렌계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접착제, SBR계 접착제, 천연 고무계 접착제 등의 고무계 접착제; 메타크릴 수지, 광 경화형 폴리클로로비페닐, 지환 에폭시 수지,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SI, F 함유),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불소화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한 광 경화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일의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경우이어도 혼합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투명 접착층은 내열성, 성형 시의 추종성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이 있다. 또한, 비스페놀A,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과 혼합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비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폭시계 수지(중량비)=50/50~90/10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비로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단체에 비해 높은 접착력이 얻어진다.
또한, 테이프 라미네이트법이란 필름이나 시트 기재 상의 점착제를 직접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이나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에 접합하는 방법이다. 접합한 후 중심이 되는 기재는 박리 제거되게 된다.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폴리알킬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핫 멜트법이란 열가소성 수지계 점착제를 열에 의해 녹여서 접착하는 방법이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수지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염화비닐 수지, 나일론,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들 혼합물이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압착이 용이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나 폴리비닐부티랄이 바람직하다. 또한, 핫 멜트법에 의한 접합 방법으로서는 압출 라미네이트법이나 필름 인서트 성형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접착층에 사용되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나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 가교제로서 폴리에폭시드 화합물이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폭시드 화합물로서는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o-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p-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파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멜라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메틸롤화 또는 알킬롤화한 우레아계, 아크릴아미드계, 폴리아미드계 수지, 각종 실란 커플링제, 각종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제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에폭시계 수지인 가교제로서는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나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의 첨가량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라미네이트법에서는 투명 접착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제 2 부위의 표면의 요철이 제 1 부위의 표면에 전사되기 어려워지는 관점으로부터 1~200㎛가 바람직하다. 접착층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접합한 후에 버(burr) 등의 결점이 발생하기 쉽고, 지나치게 얇으면 입자 돌기에 의해 전사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이다.
투명 접착층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점도 조정제, 가소제, 레벨링제, 겔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이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 충전제, 내전 방지제, 핵제, 경화제 등이 배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부위의 한쪽 표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부위의 표면의 요철이 제 1 부위의 표면에 전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하드 코팅층은 세라믹이나 광 및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는 너무 지나치게 두꺼우면 성형 시의 균열 등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0.05~10㎛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이다. 세라믹스로서 바람직한 것은 투명 금속 또는 투명 비금속 산화물이며, 특히 알루미나, SiO2가 저렴한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이들은 스퍼터링 등의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광 경화형으로서는 메타크릴 수지, 광 경화형 폴리클로로비페닐, 지환 에폭시 수지,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SI, F 함유),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불소화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형으로서는 가교제가 포함된 에폭시, 페놀, 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실란, 폴리실록산계 등 중 어느 수지이어도 좋다. 막을 구성하는 수지는 단일의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경우이어도 혼합물이어도 좋다.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바람직한 것은 컬링하기 어렵고, 또한 기재와의 밀착성이 좋은 것이 필요해져 저수축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서 구체적으로는 Kyoeisha Chemical Co., Ltd.제의 AT-600, UA-1011, UF-8001, UF-8003 등, 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제의 UV-7550B, UV-7600B 등, Shin-nakamura Chemical Co. Ltd.제의 U-2PPA, UA-NDP 등, Daicel Ucb Co. Ltd.제의 Ebecryl-270, Ebecryl-284, Ebecryl-264, Ebecryl-9260 등, 또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Daicel Corporation제의 EHPE 3150, GT 300, GT 400, 셀록사이드 2021 등, Nagase ChemteX Corporation제의 EX-321, EX-411, EX-622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다 고경도를 달성할 수 있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모노머는 다가 알코올,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및 수산기 함유 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Kyoeisha Chemical Co., Ltd.제의 UA-306H, UA-306T, UA-306l 등, 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제의 UV-1700B, UV-6300B, UV-7600B, UV-7605B, UV-7640B, UV-7650B 등, Shin-nakamura Chemical Co. Ltd.제의 U-4HA, U-6HA, UA-100H, U-6LPA, U-15HA, UA-32P, U-324A 등, Daicel Ucb Co. Ltd.제의 Ebecryl-1290, Ebecryl-1290K, Ebecryl-5129 등, Negami chemical industrial co., ltd.제의 UN-3220HA, UN-3220HB, UN-3220HC, UN-3220HS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나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각각 단체로 사용해도,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가교하는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α-히드록시케톤류, 벤질메틸케탈류, α-아미노케톤류,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등을 단체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Ciba Specialty Chemicals Inc.제의 Irgacure 184, Irgacure 651, Darocure 1173, Irgacure 907, Irgacure 369, Irgacure 819, Darocure TPO 등을 들 수 있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루이스산 등의 양이온 중합 촉매를 생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아조늄염, 요오드늄염,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릴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아릴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아릴디아조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아릴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아릴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아릴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아릴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도 좋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시판된 광 양이온 개시제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Union Carbide Corporation제의 UVI-6990, Dow Chemical Japan Limited제의 UVI-6992, Daicel Ucb Co. Ltd.제의 Uvacure 1591, ADEKA CORPORATION제의 아데카옵토머 SP-150, 아데카옵토머 SP-170, Midori Kagaku Co., Ltd.제의 DPI-101, DPI-105, MPI-103, MPI-105, BBI-101, BBI-103, BBI-105, TPS-102, TPS-103, TPS-105, MDS-103, MDS-105, DTS-102, DTS-103, Ciba Specialty Chemicals Inc.제의 Irgacure 25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에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류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류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이성체, 알킬 치환체, 할로겐화물, 벤젠환으로의 수소 첨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류, 4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는 내열성의 관점으로부터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착색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시판된 이소시아네이트 프레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Sumika Bayer Urethane Co., Ltd.제의 데스 모듈 E3265, E4280, TPLS2010/1, E1160, E1240, E1361, E14, E15, E25, E2680, 스미듈 E41, E22, Asahi Kasei Corporation.제의 데라네이트 D-101, D-201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블록화 화합물은 소정의 화합물과 블록제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블록제 유래의 기로부터 일시적으로 불활성화되어 있는 화합물이며, 소정 온도에서 가열하면 그 블록제 유래의 기가 분해되어 활성기를 생성한다.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란 상기 비블록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화제로 블록화한 것이며, 상기 블록화제로서는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등의 페놀계; ε-카프로락탐, δ-발레로락탐, γ-부티로락탐, β-프로피오락탐 등의 락탐계;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포름아미드옥심, 아세트알도옥심, 아세톡심, 메틸에틸케토옥심, 디아세틸모노옥심, 벤조페논옥심, 시클로헥산옥심 등의 옥심계; 말론산 디메틸, 말론산 디에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틸아세톤 등의 활성 메틸렌계 등의 블록화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페놀계 블록화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페놀류로서는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트리메틸페놀, 부틸페놀, 페닐페놀, 나프톨 등의 단관능 페놀류,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카테콜, 비스페놀A, 비스페놀F, 비페놀, 나프탈렌디올, 디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등의 2관능 페놀류와 그 이성체 및 할로겐화물, 피로갈롤, 히드록시히드로퀴논, 플루오로글루신, 페놀노볼락, 크레졸노볼락, 비스페놀A노볼락, 나프톨노볼락, 레졸 등의 다관능 페놀류 등이 있다.
블록제는 이소시아네이트류의 이소시아네이트기 1.0당량에 대하여 블록제의 활성 수소가 0.5~3.0당량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당량 미만이면 블록이 불완전해져 고분자량 에폭시 중합체가 겔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3.0당량을 초과하면 블록제가 과잉이 되어 형성한 필름에 블록제가 남아 내열성이나 내약품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시판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스미듈 BL-3175, 동 BL-4165, 동 BL-1100, 동 BL-1265, 동 BL-3272, 데스 모듈 TPLS-2957, 동 TPLS-2062, 동 TPLS-2957, 동 TPLS-2078, 동 TPLS-2117, 데스모섬 2170, 데스모섬 2265(이상, Sumitomo Bayer Urethane Co., Ltd.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2512, 코로네이트 2513, 코로네이트 2520(이상,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제, 상품명), B-830, B-815, B-846, B-870, B-874, B-882(MITSUI TAKEDA CHEMICALS, INC.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미듈 BL-3175, BL-4265은 블록제로서 메틸에틸옥심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것이며, 스미듈 BL-3272은 블록제로서 ε-카프로락탐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있어서의 블록제 유래의 기의 해리 온도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전자 부품의 구성 재료로의 영향, 제조 환경, 공정조건, 재료 보관 온도 등의 관점으로부터 120~200℃이면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에폭시 중합체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류의 배합량은 알코올성 수산기 당량 1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 당량 0.1~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이면 가교되기 어렵고, 2를 초과하면 필름 중에 이소시아네이트류가 남아 내열성, 내약품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접착층이나 하드 코팅층의 도포에 사용하는 적당한 유기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텔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수종류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들 용제는 조성물 중에 조성물 전체의 95중량%까지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용제는 용액을 상기 투명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형분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의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모노머를 희석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제 화합물의 희석제로서는 Daicel Corporation제의 셀록사이드 3000, 셀록사이드 20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제 1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의 값 이상이 되는 파장대역이 가시광선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의 값 미만이면 정반사체인 제 1 부위와 확산 반사체인 제 2 부위의 기능 통합에 의한 광의 반사의 상승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광의 반사의 상승 효과란 제 1 부위 단체의 반사율(R1), 제 2 부위 단체의 반사율(R2)보다 반사 필름의 반사율(R)이 커지는 것이다. 이어서, 반사율의 상승 효과의 이론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중 반사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광의 강도를 1로 하면 이론적인 반사율은 이하의 (1)식 또는 (2)식에 따른다.
R=R1+(1-R1)·R2···(1)식
R=R2+(1-R2)·R1···(2)식
즉, 반사율의 상승 효과란 (1) 또는 (2)식의 우변의 제 2 항이 양의 값을 취하는 것이다. 또한, 광의 상승 효과에 대해서 분광 반사율 곡선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9의 반사율의 상승 효과를 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의 분광 반사율 곡선(40), 제 2 부위의 분광 반사율 곡선(41), 제 1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실시예 9의 분광 반사율 곡선(42)을 도 7(a)에 나타낸다. 제 1 부위 단체의 반사율이 높은 영역인 파장 450~550㎚ 근방에서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에서는 반사율의 상승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분광 반사율 곡선(42)과 제 2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분광 반사율 곡선(43)을 나타낸다. 제 2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에는 제 2 부위 단체의 반사율 곡선(41)과 같은 분광 반사율 곡선(43)을 나타내고 있고, 모든 파장에 걸쳐 반사율의 상승 효과는 보이지 않는다. 한편, 제 1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는 제 2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에 비해 파장 450~550㎚의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반사율의 상승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있는 예로서 비교예 3의 반사 필름의 분광 반사율 곡선(44), 제 1 부위 단체의 분광 반사율 곡선(45), 및 제 2 부위 단체의 분광 반사율 곡선(46)을 도 8에 나타낸다. 반사 필름의 반사율은 구성하고 있는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반사율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층 배치되는 계면에 있어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가 20㎚ 이하이며, 제 2 부위의 표면 거칠기가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배치되는 계면에 있어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가 20㎚ 이하란 도 1(b)에서 나타내어진 제 2 부위와 대향하고 있는 표면(1-1)의 표면 거칠기가 20㎚ 이하인 것이다. 20㎚ 이하이면 평탄하다고 간주할 수 있고, 광의 확산에 기여하지 않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제 2 부위의 표면 거칠기는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배치되는 계면에 있어서의 제 2 부위의 표면 거칠기란 도 1(b)의 표면(2-1)의 표면 거칠기이다. 표면 거칠기가 35㎚ 이하이면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투과해 온 광이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과의 계면 및 내부에서의 반사 시에 광을 효율 좋게 제 1 부위의 밖으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에 의한 반사율의 상승 효과가 얻어진다. 계면이 조면이면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제 1 부위로 매우 넓은 각도인 범위에서 침입하기 때문에 제 1 부위에서의 반사에 의한 광의 리턴 효과가 강해져 투명 접착층(30)이나 제 2 부위로 광이 리턴되어 반사 필름의 단면에서의 광 누설이나 내부에서의 광 흡수에 의한 광 손실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반사율이 향상되지 않는다.
여기에서의 표면 거칠기란 중심선 평균 거칠기이다. 그 달성 방법은 제 2 부위를 적어도 2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하고, 표층측에는 무기 및 유기 입자를 거의 존재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활층으로서의 기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의 무기 입자 첨가량에 머무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자 농도는 층의 총 질량에 대하여 0.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이다. 가장 바람직한 달성 방법으로서는 최표층의 수지 내부에는 윤활제로서의 입자 첨가는 행하지 않고, 소량의 입자를 포함한 코팅에 의해 이활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표면 거칠기가 10㎚ 이하에서는 거의 이상적인 평탄함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1(b)에 기재된 제 2 부위의 다른 한쪽 표면(2-2)에 대해서도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할 때에는 제 1 부위의 적층 필름 표면(1-2)과 접촉하는 면이다. 백색 필름인 제 2 부위의 표면(2-2)의 표면 거칠기가 35㎚ 이하이면 표면이 거의 평탄하기 때문에 제 1 부위의 표면(1-2)에 요철은 거의 전사되지 않아 외관의 불량이 없는 높은 광택감을 겸비한 반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다.
제 2 부위의 양쪽 표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제 2 부위는 내층이 확산 반사층인 3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a)/(b)/(a) 또는 (a)/(b)/(c)의 3층 적층 구조를 취하고, (b)층이 확산 반사층이다. 이러한 적층 구조를 취함으로써 (b)층의 확산 반사층에 관계없이 (a)층 또는 (c)층의 표층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a), (c)층은 이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 등의 관점으로부터 (a)/(b)/(a)의 3층 구조가 바람직하다. (a) 또는 (c)층은 이활 표면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코팅층이어도 상관없다. 그 두께는 평탄성과 이활성을 양립하는 관점으로부터 0.1~10㎛가 바람직하다.
통상,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은 나노 레벨의 층두께가 200층 이상 적층된 필름에 기인해서 일반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표면 요철이 전사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의 최표층의 두께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 두께가 5㎛ 미만이면 적층 혼란이 일어나기 쉬워 외관 불량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기계 물성으로서의 탄성이 약하고, 유연하기 때문에 제 2 부위의 표면의 요철이 전사되기 쉽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의 수지 A 또는 수지 B가 데카인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카인산 성분은 수지 A 또는 수지 B의 주쇄 골격이 배향 결정화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유리 전이점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굴절률을 저하시키는 관점으로부터 2몰%~50몰%의 공중합량이 바람직하다. 특히, 데카인산 공중합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는 성형성의 개선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제 1 부위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의 반사율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부위의 반사율이란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 단체에서의 반사대역 400~70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상대 반사율이며, 이것이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 단체에서의 상대 반사율을 상회하는 반사 파장이 존재하는 것이다.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반사율 쪽이 상당히 높을 경우에는 광의 입사 에너지 전체 중, 확산 반사 성분이 높아져 광의 리턴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여 광 간섭 반사와 확산 반사의 상승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어느 파장 또는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에서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단체에서의 상대 반사율의 차가 30% 이상 있을 경우에는 광의 리턴 효과가 현저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명도 L*(SCE)는 22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SCE란 반사광을 대상으로 한 밝기의 측정의 방식이다. 검출측에 광 트랩이 있어 정반사광을 제거해서 색을 측정하는 방법을 SCE(정반사광 제거) 방식이라고 하고, 광 트랩이 없어 정반사광을 제거하지 않고 색을 측정하는 방법을 SCI(정반사광 포함) 방식이라고 한다. 즉, 명도 L*(SCE)는 반사광의 탁도 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명도 L*(SCE)가 22 미만이면 거울에 가까워 확산성과 정반사성을 양립한 존재가 되지 않는다. 한편, 명도 L*(SCE)가 70을 초과하면 정반사광에 비해 압도적으로 확산 반사광이 지배적이 되어 적층 필름의 표면이 백색을 띠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명도 L*(SCE)가 30 이상 6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제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구체적인 예로서 도 2를 참조해서 적층 구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적층 장치(7)는 3개의 슬릿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적층 장치(7)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구조의 층두께 분포의 예를 도 3에 나타낸다. 가로축에 층의 정렬 순서(18), 세로축에 각 층의 두께(㎚)(19)를 취하면 적층 구조는 도 2에 기재된 슬릿판(71)에 의해 형성된 수지 적층류에 의한 층두께의 경사 구조(11), 도 2에 기재된 슬릿판(72)에 의해 형성된 수지의 적층류에 의한 층두께의 경사 구조(12), 도 2에 기재된 슬릿판(73)에 의해 형성된 수지의 적층류에 의한 층두께의 경사 구조(13)의 3개의 경사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경사 구조는 다른 어느 하나의 경사 구조와 방향이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류의 불안정 현상에 의한 발생하는 플로우 마크를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최표층에는 두께 1㎛ 이상의 두께막층(2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1개의 슬릿판으로 형성되는 경사 구조는 열가소성 수지 A의 층두께 분포(21)와 열가소성 수지 B의 층두께 분포(22)로 이루어지고, 그 적층비는 2대의 압출기의 열가소성 수지 A 및 열가소성 수지 B의 압출량의 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높은 반사율 및 높은 성형성의 관점으로부터 적층비는 0.5~2.5가 바람직하다. 각 경사 구조에 있어서의 층두께의 범위는 가시광 전역의 광을 강하게 반사시키기 때문에 평균 층두께가 60㎚~170㎚인 층두께의 범위가 되도록 적층 필름의 두께를 조정해서 제막을 행한다.
적층 장치(7)를 구성하는 각각의 슬릿판으로부터 유출된 적층 구조를 갖는 수지류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장치의 유출구(11L, 12L, 13L)로부터 유출되고, 이어서 합류기(8)에서 도 2(c)에 나타낸 11M, 12M, 13M의 단면형상으로 재배치된다. 이어서, 접속관(9) 내부에서 유로 단면의 필름 폭 방향의 길이가 폭이 확대되어서 구금(7)으로 유입되고, 또한 매니폴드에서 폭이 넓혀져서 구금(10)의 립으로부터 용융 상태로 시트상으로 압출되고, 캐스팅 드럼 상에 냉각 고화되어서 미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구금 내부에서의 확폭비인 구금 립의 필름 폭 방향 길이(17)를 구금의 유입구부에서의 필름 폭 방향의 길이(15)로 나눈 값을 5이하로 함으로써 필름 폭 방향에서 반사율 및 반사대역이 균일한 적층 필름인 반사재가 얻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확폭비는 3 이하이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 전이점 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이때의 연신의 방법은 높은 반사율, 열 치수 안정성 및 대면적화의 실현의 관점으로부터 공지의 축차 2축 연신법 또는 동시 2축 연신법으로 2축 연신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의 2축 연신법이란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폭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 행하면 좋고, 길이 방향의 연신, 폭 방향의 연신을 복수 회 조합하여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연신 필름의 경우,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연신 온도는 80℃ 이상 150℃ 이하이며, 연신 배율은 2배 이상 7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수지 A층은 축차 2축 연신에 의해 배향 결정화시키고, 반사율이 높아지도록 A층의 면 내 굴절률의 상승을 유발하는 관점으로부터 연신 온도는 90℃ 이상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의 연신 방법은 롤 사이의 둘레 속도 변화를 이용해서 행한다. 또한, 폭 방향의 연신 방법은 공지의 텐터법을 이용한다. 즉,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해서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또한, 동시 2축 연신법으로서는 동시 2축 텐터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해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동시 및/또는 단계적으로 연신한다. 길이 방향의 연신은 텐터의 클립 간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또한 폭 방향은 클립이 주행하는 레일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신·열처리를 실시하는 텐터 클립은 리니어 모터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팬터그래프 방식, 스크루 방식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리니어 모터 방식은 각각의 클립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연신 배율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필름이 통상의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연신 배율, 연신 온도, 및 열처리 온도는 축차 2축 연신의 조건과 유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신 공정에서 발생한 수지 A에 있어서의 배향을 유지하여 소실시키지 않고, 또한 수지 B를 배향 완화 처리하는 관점으로부터 210℃ 이상 230℃ 이하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열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2~10% 정도의 이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제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백색 필름의 구성은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1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단층 및/또는 2층 이상의 복합 필름이 바람직하고, 그 적어도 1층 이상에 공극, 무기 입자, 유기 입자 중 어느 1종 이상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구성은 3층 구조이다.
이어서, 백색 필름의 제조 방법 중, 계면 박리법에 의해 얻어지는 백색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히 바람직한 3층 구성의 백색 필름(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가 되는 입자를 함유한 마스터 펠렛과, 매트릭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마스터 펠렛을 준비한다. 이들을 건조시켜서 L/D=42의 2축 압출기에 의해 270~300℃에서 용융 혼련하고, 3층 피놀 (a)/(b)/(a) 구조의 확산 반사층이 되는 (b)층에 공급한다.
또한, 무기 입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무기 입자로서 산화티탄, 황산 바륨, 탄산 칼슘이 함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마스터 펠렛을 준비한다. 유기 입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비상용 수지로서 노르보르넨계의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를, 상용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공중합물,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몰%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마스터 펠렛을 준비한다.
한편, 무기 및/또는 유기 입자를 이활제로서 첨가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공지의 단축 압출기에 의해 혼련하고, 3층 피놀 (a)/(b)/(a) 구조의 이활층이 되는 (a)층에 공급한다. 이어서, 피놀 내에서 (a)/(b)/(a)의 3층 구조를 형성하고, T다이 구금으로 유도되어 다이립으로부터 시트상으로 토출된다. 이 용융 상태의 3층 적층 시트를 캐스트 드럼에서 정전 인가를 함으로써 밀착시키고,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80~120℃로 가열한 롤군으로 유도하여 길이 방향으로 2.0~5.0배 연신하고, 이어서 이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90~14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가로 방향으로 3.0~5.0배로 연신한다. 또한, 2축 연신된 필름에 평면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150~230℃의 열고정을 행하여 균일하게 서냉하고, 또한 실온까지 냉각한 후 권취기로 권취하여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을 얻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부위가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공지의 백색 필름의 예를 나타낸다. 단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상표) E20(TORAY INDUSTRIES, INC.제), SY64, SY70(SKC제), 화이트레프스타(등록상표) WS-220(Mitsui Chemicals, Inc.제) 등을 들 수 있고, 2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Z1, UXSP(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제), PLP230(Mitsubishi Plastics, Inc.제) 등을 들 수 있고, 3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상표) E60L, E6SL, E6SR, E6SQ, E6Z, E80, E80A, E80B(TORAY INDUSTRIES, INC.제), 테트론(등록상표) 필름 UX, UXH(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구성인 백색 시트의 예로서 OptIlon ACR3000, ACR3020(Du Pont Kabushiki Kaisha제), MCPET(등록상표)(Furukawa Electric Co., Ltd.제)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제조 방법은 공압출에 의한 용융 압출법으로서, 제 1 부위를 형성하기 위한 피드 블록과 제 2 부위를 제 1 부위에 합류하기 위한 합류기를 구비한 반사 필름의 제조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을 후가공에서 접합하면 좋지만, 생산성,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계면의 평탄성을 부여하는 관점으로부터 공압출에 의한 일괄 성형이 바람직하다. 일괄 성형을 행할 때에는 적층 필름의 수지 A와 수지 B가 각각에 대응한 압출기 2대와, 백색 필름의 수지 C에 대응한 압출기 1대를 필요로 하고, 2층 피놀에 의해 1층째를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류, 2층째를 백색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류로 함으로써 상기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시트화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축차 2축 연신에 의해 필름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광의 입사각도가 30° 이상 90° 미만의 조건에서 파장 450㎚±30㎚, 파장 550㎚±30㎚ 중 어느 하나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의 입사각도 30° 이상 90° 미만의 범위에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이며, 각도 가변 절대 반사율 장치로 측정할 수 있다. 절대 반사율은 파장 450㎚±30㎚, 파장 550㎚±30㎚ 중 어느 하나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의 광의 입사각도에 대한 특성을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각도 가변의 절대 반사율의 측정 결과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적층 필름 단체에서의 광의 입사각도 20°의 절대 반사율 곡선(47)의 실선, 40°의 절대 반사율 곡선(48)의 파선, 60°의 절대 반사율 곡선(49)의 점선, 일반적인 백색 LED 조명광의 강도 분포(50)를 도 9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입사각도에 의해 파장 시프트를 하여 반사율이 증가하는 특징을 갖는다. 파장 450±30㎚에 있어서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은 반사대역을 유지하고 있다. 백색 광원의 LED의 청색의 발광 중심 파장 450㎚ 대하여 모든 각도의 광의 입사에 대하여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한 조명 장치의 예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a)은 LED 광원(23)이 평면 위에 배열되어 있고, 본 발명의 반사 필름(3)으로 둘러싸인 상자형의 조명 장치이다. 광의 조사측에는 투명 확산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4(b)는 반사 필름(3)이 포물선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LED 광원(23)으로부터의 광을 효율 좋게 인출할 수 있는 광 설계를 한 조명 장치이다. 또한, 도 4(c)는 복수의 LED 광원(23)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성형된 반사 필름(3)의 성형체이며, 도 4(b)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캐비티 내로부터 LED 광원(23)의 광이 인출되어 그들이 규칙 바르게 배열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3)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에 사용된 구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종래형의 직하형 백라이트의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5(b)는 LED 광원을 사용한 사이드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한 반사 필름은 LED 광원을 사용한 사이드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LCD 백라이트 시스템은 LED 광원(23), 반사 필름(3), 도광판(28), 광 확산 시트(25), 프리즘 시트(24)로 구성된 LCD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LED 광원으로부터의 청색 발광 스펙트럼의 파장에서의 광의 입사각 30° 이상 90° 미만에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반사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요하다면 확산판(26)을 사용해도 좋다. 도 5(b)에 그 예를 나타낸다. LED 광원의 조명광는 일반적으로 청색 발광 스펙트럼과, 이 휘선을 여기광으로 한 형광체에 의한 발광에 의해 제작되는 녹색~적색의 브로드한 발광 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진다. 청색 발광 스펙트럼의 파장은 파장 450㎚±30㎚의 범위에 있고, LED 광원을 사용한 사이드 라이트형의 LCD 백라이트 시스템에서는 그 파장의 광이 도광판으로부터 입사각 30° 이상 90° 미만의 각도의 범위에서 주로 반사 필름으로 출사된다. 그 때문에, 그 광을 효율적으로 앞면으로 반사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향상된다. 청색 발광 스펙트럼은 강도가 강하고, 이것을 집중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황색 문제도 해결한다.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도광판, 확산 시트, 광학 접착제 등의 광학 부재는 청색 광을 흡수하는 재료가 사용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흰색이 황색을 띠는 것이 자주 문제가 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휘도 향상과 황색 개선의 관점으로부터 반사 필름의 광의 입사각 30° 이상 90° 미만에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LCD 백라이트 시스템은 면 내의 색 편차 Δx, Δy가 각각 0.03 이하인 LCD 백라이트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x, y는 색도이며, Δx, Δy는 면 내에서의 색도 편차를 나타내고, 측정 영역 내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로부터 구해진다. 그 달성 방법은 백라이트의 광학 설계에 따라서지만, 반사 필름의 명도 L*(SCE)가 15 미만이면 정반사성이 지나치게 강해서 색 불균일을 일으키기 쉽다. 그 때문에, 적당한 확산성을 갖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반사 필름의 명도 L*(SCE)가 22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높은 반사율과 높은 정반사성을 겸비한 관점으로부터 프로젝터용 반사 스크린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프로젝터란 스크린(표시부)에 화상 정보를 확대 투사하는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을 투과하고, 이 액정 패널 상의 화상을 렌즈를 사용해서 스크린 상에 확대 투영하는 액정 프로젝터나, 방식이 다른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CRT 프로젝터, GLV(Grating Light Valve) 프로젝터, LCOS(Liquid Crystal On Sillicon) 프로젝터이다. 이들 광원에는 수은 메탈할라이드, 할로겐, 형광 램프, 백색 LED 램프, RGB의 3파장 LED 램프 등이 탑재되어 있고, 저소비 전력의 면에서 우수한 LED 램프가 바람직하다. 확대 투사할 때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없는 등의 편리성의 면으로부터 레이저 프로젝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태양 전지용 백시트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셀 아래의 태양 전지 백시트에 의해 광을 반사함으로써 태양 전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거나, 광을 재이용하여 발전 효율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 전지에는 자외선이 유해하기 때문에 백시트가 되는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반사 필름에 사용되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입자에 있어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관점으로부터 산화티탄, 산화아연, 티탄산 바륨 등의 입자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제 1 부위가 구멍 형성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일례를 나타낸다.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에 펀칭 가공,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다. 구멍의 사이즈는 φ1㎛~1㎜ 이하이며, 인접하는 구멍 간 거리는 1㎛~1㎜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구멍의 형상은 디자인 등에 따라 타원, 원, 육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그 외에 기하학 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단위 면적당 개공률은 10~90%가 바람직하다.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반사 성능이 가성 법칙은 아니고, 상승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으로부터는 개공률은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반사 성능이 상승 효과가 발현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멍 형성 가공이 없을 경우, 통상 제 1 부위를 통과한 광은 제 2 부위에서 확산 반사된다. 그때, 모든 광이 제 1 부위의 면 외로 인출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의 광은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사이에서 필름 내부에서의 흡수나 단부에서의 광 누설이 일어나 광 손실된다. 구멍 형성 가공을 행함으로써 이 광 손실을 억제하여 효율 좋게 제 1 부위의 표면측 외로 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성형체로서 다른 부재와 복합하여 부형할 수 있다. 다른 부재로서 수지 부재를 사용할 때의 성형법으로서는 인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필름 인서트 성형에 적합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성형품이 얻어진다. 달성 방법으로서는 디자인 인쇄를 실시한 반사 필름을 플라스틱 성형의 금형(mold)에 삽입하고, 압공 성형, 진공 성형, 진공 압공 성형, 초압공 성형 등의 사전 성형을 행한다. 이어서, 사전 성형품을 사출 성형기의 금형에 끼워 넣고, 가열 유동화한 성형 재료(수지)를 그 금형에 흘려 넣음으로써 성형품이 얻어진다. 그 외, 금형을 수지 성형품으로 판단하여 디자인이 인쇄된 반사 필름을 상기 진공·압공을 이용한 열성형에 의해 수지 성형품에 가식(加飾)하는 3차원 표면 가식 기술인 TOM 공법[Fu-se Vacuum Forming Ltd.의 홈페이지(http://www.fvf.co.jp/) 참조]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물성값의 평가법을 기재한다.
(물성값의 평가법)
(1) 제 1 부위의 층두께, 적층 수, 적층 구조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은 마이크로톰을 사용해서 단면을 잘라낸 샘플에 대해서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관찰에 의해 구했다. 즉, 투과형 전자현미경 H-7100FA형(Hitachi, Ltd.제)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75㎸의 조건에서 필름의 단면을 10000~40000배로 확대 관찰하고, 단면 사진을 촬영하여 층 구성 및 각 층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콘트라스트를 높게 얻기 위해서 공지의 RuO4나 OsO4 등을 사용한 염색 기술을 사용했다.
상기 장치로부터 얻은 약 4만배의 TEM 사진 화상을 프린트 배율 6.2만배의 처리에 의해 화상을 압축 화상 파일(JPEG)로 퍼스널 컴퓨터에 보존하고, 이어서 화상 처리 소프트 Image-Pro Plus ver.4(판매원 Planetron, Inc.)를 사용해서 이 파일을 열어 화상 해석을 행했다. 화상 해석 처리는 수직 프로파일 모드로 두께 방향 위치와 폭 방향의 2개의 라인 사이에 끼워진 영역의 평균 밝기의 관계를 수치 데이터로서 판독했다. 표 계산 소프트(Excel 2003)를 사용해서 위치(㎚)와 밝기의 데이터에 대하여 샘플링 스텝(6)[세선화(6)]에 의해 데이터 채용한 후에 3점 이동 평균의 수치 처리를 실시했다. 또한, 이 얻어진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화되는 데이터를 미분하고, VBA(비쥬얼·베이식·포어·어플리케이션즈) 프로그램에 의해 그 미분곡선의 극대값과 극소값을 판독하고, 이웃하는 이들 간격을 1층의 층두께로서 산출했다. 이 조작을 사진마다 행하여 모든 층의 층두께를 산출했다. 얻어진 층두께 중 박막층은 500㎚ 이하의 두께의 층으로 했다. 한편, 500㎚를 초과하는 층을 두께막층으로 했다.
(2) 제 2 부위의 층 구성 및 공극률의 관찰
필름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샘플을 잘라내고,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두께 방향과 필름 폭 방향(TD 방향)의 절삭 단면을 마이크로톰으로 제작했다. 이어서, 절삭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형 전자현미경 JSM-6700F(JEOL Ltd.)를 사용해서 배율 2000~10000배로 층 구성, 유기 입자, 무기 입자의 분산 지름, 및 공극 상황을 관찰했다.
(3)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측정
반사 필름의 필름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5㎝×5㎝의 샘플을 잘라냈다. 이어서,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제 분광 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를 사용해서 입사각도φ=10°에 있어서의 상대 반사율을 측정했다. 부속의 적분구의 내벽은 황산 바륨이며, 표준판은 산화알루미늄이다. 측정 파장은 250㎚~1750㎚, 슬릿은 5㎚(가시)/자동 제어(적외)로 하고, 게인은 2로 설정하고, 주사 속도를 600㎚/분으로 측정했다. 이어서, 파장 범위 400~700㎚의 평균 반사율 Rave를 구했다. 또한, 광조사면을 적층 필름측으로 했다. 또한, 단색을 나타내는 반사 필름에 대해서는 파장 범위 450~550㎚의 상대 평균 반사율 Rave에 대해서도 구했다.
(4) 절대 반사율의 측정
ⅰ)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
상기 (3)과 같은 장치를 사용해서 부속의 각도 가변 절대 반사율 장치(20-60°) P/N 134-0115(개정)을 설치함으로써 각도 가변 절대 반사율의 측정을 행했다. 측정 조건은 (3)항과 마찬가지로 하고, 입사각도 20°와 반사 각도 20°에 있어서의 P파 및 S파의 파장 구간 250~1750㎚의 절대 반사율 측정을 행했다. 또한, 광원 마스크 사이즈나 샘플 사이즈는 장치 메뉴얼에 따라 변경했다. P파와 S파에 있어서의 파장 구간 400㎚~700㎚에 있어서의 절대 평균 반사율 Rave(20°)[입사각도 20°: 400㎚≤λ≤700㎚]를 구하고, 하기 (1)식에 의해 (3)항의 Rave와의 비를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로 했다.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Rave(20°)/Rave×100(%)···(1)
ⅱ) 각도 가변의 절대 반사율
상기 ⅰ)항과 마찬가지로 해서 입사각도 40°, 60°의 반사 필름의 절대 반사율을 측정했다. 반사율은 각 파장의 P파와 S파의 반사율의 평균값을 채용했다. 본 발명에서는 입사각도가 30° 이상 90° 미만인 대표값으로서 60°의 값을 채용하고, 파장 450±30㎚ 또는 파장 550㎚±30㎚의 파장 범위에서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의 최대값을 구했다.
ⅲ) 반사율의 상승 효과
반사율의 상승 효과에 대해서는 반사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 및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과 비교하고, 그 대소에 의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금속조를 나타내는 것은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을 채용하고, 단색을 나타내는 것은 파장 450~550㎚의 평균 반사율을 채용했다.
○(양호): 적층 필름 단체 및 백색 필름 단체보다 반사율이 상회한다.
△(가): 적층 필름 단체 및 백색 필름 단체에 비해 반사율이 동등하거나 또는 2% 이내의 차로 하회한다.
×(불가): 적층 필름 단체 및 백색 필름 단체에 비해 반사율이 2% 초과하는 차로 하회한다.
(5) 입자 농도
폴리에스테르를 용해하고 불활성 입자는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선택하고, 불활성 입자를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원심분리하여 입자의 전체 중량에 대한 비율(중량%)을 입자 농도로 했다.
(6) 표면 거칠기
필름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길이 4.0×폭 3.5㎝의 치수로 잘라낸 것을 샘플로 하고,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 및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 각각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했다. 표면 거칠기(중심선 평균 거칠기 Ra)는 Kosaka Laboratory Ltd.제의 3차원 조도계 SE-3AK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Z.magnication: 20000, Y.drive.pitch: 10㎛, X.magnication: 200, X.drive: 100㎛/s, X.mesure length: 2000㎛
(7) 공극률의 측정
(2)항에 의해 얻어진 촬영 배율 5000배의 화상을 퍼스널 컴퓨터 내부로 도입했다. 이어서, 화상 처리 소프트 Image-Pro Plus ver.4(판매원 Planetron, Inc.)를 사용해서 이 파일을 열고, 수지부와 공극부에 대해서 소프트 부속의 2값화 처리를 자동으로 행했다.
공극률을 구하는 방법은 상기 2값화 화상 처리 결과를 사용해서 수지부(매트릭스 수지와 유기 입자)와 공극부를 구별하여 공극률을 구한다. 즉, Count/Size 다이얼로그 박스의 측정 메뉴로부터 측정 항목 중, "Area(면적)"과 "pre-Area(면적비)"를 선택하고, Count 버튼을 눌러 자동 측정을 행했다. 또한, 대상물은 공극부로 하고, 선별 레인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어서, 측정 결과의 통계에 표시된 합계의 면적비를 구했다. 또한, 화상 해석이 곤란할 경우에는 얻어진 백색 필름의 비중을 측정하고, 기지의 입자 밀도, 폴리에스테르의 밀도 1.6으로 해서 계산했다.
(8) 외관
2매의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의 면과 제 2 부위의 면을 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60℃, 24hr, 하중 2㎫의 에이징 처리 전후에서의 제 1 부위의 광택도의 변화율을 바탕으로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변화율은 에이징 전후의 광택도의 차를 에이징 전의 광택도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서 구했다.
○(양호): 광택도의 저하율이 5% 미만
△(가): 광택도의 저하율이 5% 이상 10% 미만
×(불가): 광택도의 저하율이 10% 이상.
(9) 성형성
금형의 형상은 4각기둥이며, 몰드의 볼록 높이는 저변의 한 변이 10㎝, 높이 5㎝로 했다. Bayer·Niebling사제 HDVF 초고압 성형기 SAMK400(대리점 MINO GROUP CO.,LTD.)을 사용해서 성형 테스트를 행했다. 성형 조건은 필름 온도로 220℃, 압력 10㎫, 몰드 온도 70℃로 했다. 성형성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했다.
○(양호): 성형 후, 주름·필름 찢어짐 없고 색조도 변화 없음
△(가): 성형 후, 주름 또는 색조의 변화 조금 있음.
×(불가): 성형 후, 주름, 필름 찢어짐·균열, 색변화 있음.
(10) 표면 거칠기 Ra의 변화율(%)
2매의 확산 반사 성분이 제어된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의 면과 제 2 부위의 면을 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60℃, 24hr, 하중 2㎫의 에이징 처리 전후에 있어서 (6)항에 따라 측정한 Ra의 차를 에이징 전의 Ra로 나누고, 100을 곱함으로써 그 변화율을 구했다.
(11) 광택도계
디지털 변각 광택도계 UGV-5D(Suga Test Instruments Co., Ltd.제)를 사용해서 60°의 입사각·반사각에 있어서의 광택도를 측정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부위의 표면은 고광택이기 때문에 1/10 감광 필터를 설치하여 측정을 행했다. 조사 측면을 제 1 부위의 면으로 했다. JIS K7105에 준거한다.
(12) 측색값[명도 L*(SCE)]
반사 필름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5㎝×5㎝로 잘라내고, Konica Minolta, Inc.제 CM-3600d를 사용해서 측정 지름 φ8㎜의 타겟 마스크(CM-A106) 조건 하에서 정반사광을 제거한 SCE 방식 및 정반사광을 포함시킨 SCI 방식에 의해 각각 명도 L*값을 측정하고, n수 5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백색 교정판 및 제로 교정 박스는 하기의 것을 사용해서 교정을 행했다. 또한, 측색값의 계산에 사용하는 광원은 D65를 선택했다.
백색 교정판 : CM-A103
제로 교정 박스 : CM-A104.
(13) 휘도 측정
도 5의 (b)의 구성의 확산판(26)을 확산 시트로 변경하고, 프리즘 시트의 위가 되도록 배치해서 휘도 측정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이 되는 반사 필름 폭 방향 중앙부의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158㎜×폭 방향 203㎜ 사이즈로 잘라냈다. 이어서, 평가용 9.7인치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Apple Inc.제 iPad2)을 이용하고, 내장의 반사 필름을 본 발명의 반사 필름으로 변경해서 평가를 행했다. 60분간 점등해서 광원을 안정시킨 후에 EYESCALE-3(i-system Co., Ltd.)을 사용해서 부속의 CCD 카메라를 백라이트 표면으로부터 45㎝의 지점에 백라이트면에 대하여 정면이 되도록 설치하고, 게인 3, 스피드 1/100의 조건으로 면 전체의 정면 휘도(cd/㎡)를 측정했다. 측정 부분은 발광면을 40×30매스로 분할하고, 중앙부의 10×10매스 영역에 있어서 최대가 되는 휘도값을 채용했다. 휘도 향상율은 측정한 최대의 정면 휘도를 블랭크 상태의 정면 휘도의 최대값으로 나누고, 100을 곱함으로써 구했다.
또한, 휘도 향상율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구했다. 평가하는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휘도를 기준으로 한 휘도의 비율로서 구했다. 평가는 이하와 같다. 여기에서의 블랭크 상태란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 단체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했을 때의 휘도이다.
○(양호): 휘도 향상
△(가): 휘도 동등
×(불가): 휘도 저하.
(14) 백라이트 시스템의 면 내 편차
(13)항에서 사용한 EYESCALE-3(i-system Co., Ltd.에 의해 x, y값도 휘도와 동시에 데이터를 채취했다. 중앙부의 10×10매스 영역에 있어서 색도 x, y, 각각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Δx, Δy로 하여 구했다.
(15) 투명 접착층의 굴절률
투명 접착층의 굴절률은 JIS K7142(1996) A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투명 접착층은 미리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을 접합시키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투명 접착층을 10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메타바로 도포한 후, 경화 처리함으로써 고화시킨 투명 접착층을 2㎝×2㎝의 샘플 사이즈로 잘라냈다. 이것을 아베의 굴절률계(ATAGO CO., LTD,제 NAR-4T)로 그 굴절률을 평가했다.
(열가소성 수지)
수지 A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수지 A-1) 테레프탈산 디메틸 100중량부, 에틸렌글리콜 60중량부의 혼합물에 테레프탈산 디메틸량에 대하여 아세트산 마그네슘 0.09중량부, 3산화안티몬 0.03중량부를 첨가하고, 상법에 따라 가열 승온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한다. 이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에 테레프탈산 디메틸량에 대하여 인산 85% 수용액 0.020중량부를 첨가한 후, 중축합 반응층으로 이행한다. 또한, 가열 승온하면서 반응계를 서서히 감압해서 1㎜Hg의 감압 하, 290℃에서 상법에 따라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IV=0.6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얻었다.
(수지 A-2)
IV=0.57의 나프탈렌 2,6-디카르복실산 디메틸에스테르(NDC)와 에틸렌글리콜(EG)을 상법에 따라 중축합해서 얻어진 IV=0.43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A-3)
IV=0.73 스피로글리콜(SPG 10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A-4)
IV=0.58의 데카인산 성분을 5몰%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한편, 수지 B로서는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수지 B-1) IV=0.72 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 30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2) 수지 A-1과 수지 B-1을 1:3으로 혼합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3) IV=0.73 스피로글리콜(SPG 30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CHDA 20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4) IV=0.63 테레프탈산(TPA 50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B-4) IV=0.63 데카인산(2,6-데카히드로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메틸)성분 10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성분 20몰%, 스피로글리콜 성분 20몰%를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5) IV=0.64 이소프탈산 성분 17몰%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접착층으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이접착 Ⅰ)
입자 지름 80㎚의 콜로이달 실리카 5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조성의 아크릴·우레탄 공중합 수지 및 가교제 125중량부의 수계 도포제
「조성」
아크릴·우레탄 공중합 수지(A): 아크릴·우레탄 공중합 수지 음이온성 수분산체[SANNAN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산나론" WG-353(시작품)]. 아크릴 수지 성분/우레탄 수지 성분(폴리카보네이트계)의 고형분 중량비가 12/23, 트리에틸아민을 2중량부 사용해서 수분산체화.
옥사졸린 화합물(B): 옥사졸린 함유 폴리머 수계 분산체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C): 카르보디이미드 수계 가교제
폴리티오펜 수지(D):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고형분 중량비: (A)/(B)/(C)/(D)=100중량부/30중량부/30중량부/8중량부.
투명 접착층으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투명 접착층)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를 접합하기 위한 투명 접착층의 재료로서 이하의 웨트 코팅법에 의해 접착제(Ⅰ), (Ⅳ)~(Ⅵ)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을 형성한 것과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점착제(Ⅱ), (Ⅲ)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했다. 또한, 접착제(Ⅳ)~(Ⅵ)에 대해서 라미네이트 후, 80℃·2분간의 조건으로 에이징 처리하고, 그 후 접착제(V)와 (Ⅵ)에 대해서는 6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고, 경화시켰다. 또한, 도포 두께 3~20㎛에 의해 사용하는 메타바를 #6~40까지 변경시켰다.
(Ⅰ) 웨트 코팅법에 사용하는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폭시 수지(A)=70/30 혼합 용액(AD76P1 Toyo-Morton, Ltd.제)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B)(CAT10 Toyo-Morton, Ltd.제) 10중량부
용제[톨루엔/메틸에틸케톤=1/1(중량비) 혼합 용매]로 고형분율이 32중량%가 되도록 용해하여 조정했다. 이것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 (Ⅰ)을 제작했다. 굴절률은 1.55이었다.
(Ⅱ)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사용하는 점착제(OCA)
TOMOEGAWA CO., LTD.제 아크릴계 점착제 TD06A를 사용했다. 이것을 두께 25㎛가 되도록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투명 접착층 (Ⅱ)을 제작했다. 굴절률은 1.5이었다.
(Ⅲ)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있어서의 점착제(OCA)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제 광학 점착제 SK-1478을 사용했다. 이것을 두께 25㎛가 되도록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투명 접착층 (Ⅲ)을 제작했다. 굴절률은 1.48이었다.
(Ⅳ) 웨트 코팅법에 사용하는 접착제
주제 A TAKAMATSU OIL & FAT CO., LTD.제 폴리에스테르 수지(페스레진S-180)
경화제 B Sumika Bayer Urethane Co., Ltd.제 이소시아네이트(N3300)
용제 C MEK
A/B/C=65/13/22의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용제를 혼합하여 조정하고, 이것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 (Ⅳ)를 제작했다. 굴절률은 1.59이었다.
(V) 웨트 코팅법에 있어서의 접착제
주제 A Shin-nakamura Chemical Co. Ltd.제 아크릴(B100H)
경화제 B BASF사제 광개시제(IR184)
용제 C MEK
A/B/C=61/3/36의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용제를 혼합하여 조정하고, 이것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 (V)를 제작했다. 굴절률은 1.53이었다.
(Ⅵ) 웨트 코팅법에 있어서의 접착제
주제 A TOAGOSEI CO., LTD.제 아크릴(아로닉스 M-215)
경화제 B BASF사제 광개시제(IR184)
용제 C MEK
A/B/C=59/3/38의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용제를 혼합하여 조정하고, 이것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 (Ⅵ)을 제작했다. 굴절률은 1.5이었다. 이어서,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으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백색 필름 A)
공지의 L/D=45의 2축 압출기에 의한 콤파운딩에 의해 평균 입자 지름 0.3㎛의 루틸형 산화티탄 입자를 (수지 A-1)에 50중량% 함유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을 마스터 펠렛 1로 했다. 이어서, 상기 마스터 펠렛 1을 수 평균 입자 지름 0.3㎛의 입자의 산화티탄의 중량 농도가 15중량%가 되도록 더 희석하고, 또한 평균 입자 지름 4㎛의 응집 실리카, 0.08중량%가 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을 마스터 펠렛 2로 했다.
상기 마스터 펠렛 2를 180℃에서 3시간 건조하여 벤트식 2축 혼련 압출기에 공급하고, 280℃에서 용융했다. 그 폴리머를 고정밀도 여과한 후, T형 다이로 이송하고, 다이립으로부터 시트상으로 해서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준비해서 30℃의 캐스팅 드럼에 권취해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이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85℃에서 3.3배로 연신하고, 이어서 폭 방향으로 90~100℃의 온도에서 3.5배로 연신한 후에 220℃의 열처리 온도에서 열고정하고, 폭 방향으로 6%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50㎛의 백색 필름 A를 얻었다.
(백색 필름 B)
마스터 펠렛 1에 있어서 입자의 산화티탄의 함유량이 15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을 180℃에서 3시간 건조하여 벤트식 2축 혼련 압출기 1에 공급하고, 280℃에서 용융했다(폴리머 A). 또한, 다른 1대의 압출기 2을 준비하고, 수 평균 입자 지름 2.5㎛의 응집 실리카를 0.04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펠렛을 마스터 펠렛 3으로 하여 180℃에서 3시간 건조하고, 압출기에 공급해서 280℃에서 용융했다(폴리머 B). 이 2개의 폴리머를 각각 고정밀도 여과한 후, 직사각형 적층부를 구비한 3층 합류 블록에서 확산 반사층이 되는 기층부에 폴리머 A를, 양면 표층부에 폴리머 B가 오도록 적층하여 T형 다이로 이송하고, 다이립으로부터 시트상으로 해서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준비해서 30℃의 캐스팅 드럼에 권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85℃에서 3.3배로 연신하고, 이어서 폭 방향으로 90~100℃의 온도에서 3.5배로 연신한 후에 220℃의 열처리 온도에서 열고정하고, 폭 방향으로 6%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60㎛의 3층 적층 구조의 백색 필름 B를 얻었다. 표층 두께는 5㎛이었다.
(백색 필름 C)
공지의 L/D=45의 2축 압출기에 의한 콤파운딩에 의해 노르보르넨-에틸렌 코폴리머(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20질량%, 시클로헥산디메탄올 30몰% 포함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B-1) 20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A-1) 60질량%를 용융 혼련에 의해 유기 입자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의 마스터 펠렛 4를 제작했다.
상기 마스터 펠렛 4를 150℃에서 3시간 건조하여 벤트식 2축 혼련 압출기 1에 공급하여 280℃에서 용융했다(폴리머 A). 또한, 다른 1대의 압출기 2를 준비하고, 마스터 펠렛 3을 180℃에서 3시간 건조하고, 압출기에 공급해서 280℃에서 용융했다(폴리머 B). 이 두개의 폴리머를 각각 고정밀도 여과한 후, 직사각형 적층부를 구비한 3층 합류 블록에서 기층부에 폴리머 A를, 양면 표층부에 폴리머 B가 오도록 적층하여 T형 다이로 이송하고, 다이립으로부터 시트상으로 해서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준비해서 30℃의 캐스팅 드럼에 권취하고,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85℃에서 3.3배로 연신하고, 이어서 폭 방향으로 90~100℃의 온도에서 3.5배로 연신한 후에 220℃의 열처리 온도로 열고정하고, 폭 방향으로 6%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60㎛의 3층 적층 구조의 백색 필름 C를 얻었다. 표층 두께는 5㎛이었다.
(백색 필름 D)
공지의 L/D=45의 2축 압출기에 의한 콤파운딩에 의해 노르보르넨-에틸렌 코폴리머(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12질량%, 평균 입자 지름 0.6㎛의 황산 바륨을 18질량%, 이소프탈산 17몰% 포함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B-5) 15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A-1) 55중량%를 용융 혼련에 의해 유기와 무기 입자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의 마스터 펠렛 5를 제작했다.
이 마스터 펠렛 5를 기층부의 폴리머 A로 해서 사용했다. 마스터 펠렛 3을 표층부의 폴리머 B로 해서 사용했다.
백색 필름 C와 기층부의 폴리머 A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150㎛의 3층 적층 구조의 백색 필름 D를 얻었다. 표층 두께는 평탄하며, 그 두께는 5㎛이었다.
(백색 필름 E)
공지의 L/D=45의 2축 압출기에 의한 콤파운딩에 의해 노르보르넨-에틸렌 코폴리머(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12질량%, 평균 입자 지름 0.3㎛의 산화티탄을 18질량%, 시클로헥산디메탄올 30몰% 포함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B-1) 9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A-1) 58질량%, 상용화제 3질량%를 첨가하고, 용융 혼련에 의해 유기와 무기 입자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의 마스터 펠렛 6을 제작했다. 이 마스터 펠렛 6을 폴리머 A로 해서 기층부에 사용했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 0.6㎛의 황산 바륨을 12질량%, 이소프탈산 17몰% 포함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B-5) 20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A-1) 68질량%의 펠렛을 용융 혼련에 의해 마스터 펠렛 7을 제작했다. 이 마스터 펠렛 7을 폴리머 B로 해서 표층부에 사용했다.
기층부의 폴리머 A, 표층부의 폴리머 B 이외에는 백색 필름 C와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150㎛의 3층 적층 구조의 백색 필름 E를 얻었다. 표층 두께는 5㎛이었다.
(백색 필름 F)
백색 필름 D의 유기와 무기 입자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의 마스터 펠렛 5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하여 폴리머 A로 해서 기층부에 사용했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 4㎛의 응집 실리카를 2.4질량%, 이소프탈산 17몰% 포함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B-5) 50질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A-1) 47.6질량%의 펠렛을 용융 혼련에 의해 마스터 펠렛 8을 제작했다. 이 마스터 펠렛을 폴리머 B로 해서 표층부에 사용했다.
기층부의 폴리머 A, 표층부의 폴리머 B 이외에는 백색 필름 C와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150㎛의 3층 적층 구조의 백색 필름 E를 얻었다. 표층 두께는 5㎛이었다.
각종 A~F의 백색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수지는 표 1-2~표 1-4에 기재한 것과 같은 조합으로 했다.
[실시예 1]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제막)
수지 A-2를 180℃, 3시간의 진공 건조 후, 한편 수지 B-3을 100℃의 질소 하의 건조 후, 각각 폐쇄계의 반송 라인에서 2대의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각각 290℃와 280℃의 압출 온도에서 용융시켜서 혼련했다. 한편, 호퍼 하부에는 질소 퍼지를 행했다. 이어서, 2개의 벤트 구멍에서 그 진공압을 0.1㎪ 이하에서 진공 벤트에 의해 올리고머나 불순물 등의 이물을 제거했다. 또한, 2축 압출기로의 공급 원료와 스크루 회전수의 비인 Q/Ns를 각각 2와 1.5로 설정했다. 각각, 여과 정밀도 6㎛의 FSS 타입의 리프 디스크 필터를 10매 개재한 후, 기어 펌프로 토출비(적층비)가 열가소성 수지 A/열가소성 수지 B=1/1이 되도록 계량하면서 일본 특허 4552936호에 기재된 적층 장치와 같은 방법에 의해 801층 적층 장치에서 합류시켜서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801층 적층된 적층체로 했다. 단, 층두께 분포는 일본 특허 공개 2011-129110 공보 [0034]~[0036]에 기재했다, A층, B층 각각에 대해서 도 3에 기재한 3개의 경사 구조를 갖는 적층체로 하고, 최표층을 두께막층으로 했다. 1개의 경사 구조에는 A층과 B층이 교대로 267층 적층되어 있고, 적층 필름의 양쪽 표면 근방이 가장 층두께가 얇아지도록 3개의 경사 구조를 배치하는 설계로 했다. 또한, 3개의 경사 구조에 있어서, A층 또는 B층의 경사 구조의 박막층의 설계에 있어서 최대 층 두께/최소 두께의 비인 경사도를 2.8로 하는 슬릿 설계를 채용했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를 T다이에 공급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와이어로 8㎸의 정전인가 전압을 가하면서 표면 온도가 25℃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랭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종연신기로 145℃, 필름 길이 방향으로 3.2배의 연신을 행하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4의 메타바로 이접착층 I을 편면에 부여했다. 이어서,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는 텐터로 유도하여 150℃, 필름 폭 방향으로 3.4배 횡연신한 후, 이어서 240℃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150℃에서 약 3%의 필름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100㎛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층두께 분포는 A층 및 B층 각각에 대해서 3개의 경사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박막층에 대해서 표층측으로부터 267층째까지 A층 및 B층 모두 표층측으로부터 층두께가 단조 증가해 가는 경사 구조를 갖고 있었다. 필름 두께 방향 중앙부 나머지의 267층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사 구조를 갖고 있었다. 또한, 표층의 두께막층은 5㎛이었다. 광택감을 갖는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분광 광도계에 의한 상대 반사율은 파장 400~700㎚의 범위에 있어서 균일하며, 상대 평균 반사율이 100%이며, 금속조를 나타내는 무색의 은백색이었다.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과의 접합)
얻어진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C를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한 접합을 행했다. 투명 접착층 (Ⅰ)을 사용해서 그라비어 코터에 의해 적층 필름의 비이접착면측에 도포하고, 롤 닙에 의해 백색 필름과 접합을 행하고, 이어서 용제를 건조 제거하기 위해서 70℃의 열풍 오븐 안을 통과하고, 롤 위에 권취되어 반사 필름을 얻었다. 투명 접착층의 두께는 4㎛이며, 얻어진 반사 필름은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매우 높고, 완전한 경면이며, 한편 파장 400㎚ 이하의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는 거의 반사되지 않는 필름이었다. 얻어진 필름을 60℃의 이완 처리를 해도 권취 중심과 표층에서 광택도의 변화도 없고, 적층 필름측에 요철은 보이지 않았다. 2매 접합함으로써 상대 평균 반사율이 101%가 되고,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었다. 표 1-1, 표 1-2에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수지 A-2를 수지 A-3으로 변경하고, 열처리 온도를 220℃로 낮추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무색의 경면이며, 또한 성형성이 우수한 반사 필름이었다. 적층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은 98%이었다. 2매 접합함으로써 상대 평균 반사율이 99%가 되고,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어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수지로부터 수지 A-1과 수지 B-1로 변경하고, 2대의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280℃에서 용융시켜서 혼련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종연신기로 95℃, 필름 길이 방향으로 3.2배의 연신을 행하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4의 메타바로 이접착층 I을 편면에 부여했다. 이어서,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는 텐터로 유도하여 110℃, 필름 폭 방향으로 3.5배 횡연신한 후, 이어서 230℃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150℃에서 약 3%의 필름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100㎛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층두께 분포는 A층 및 B층 각각에 대해서 도 3에 기재한 3개의 경사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박막층에 대해서 표층측으로부터 267층째까지 A층 및 B층 모두 표층측으로부터 층두께가 단조 증가해 가는 경사 구조를 갖고 있었다. 필름 두께 방향 중앙부의 나머지의 267층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사 구조를 갖고 있었다. 또한, 표층의 두께막층은 5㎛이었다. 광택감을 가진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분광 광도계에 의한 상대 반사율은 파장 400~700㎚의 범위에 있어서 균일하며, 상대 평균 반사율 50%의 금속조를 나타내는 무색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2매 접합함으로써 상대 평균 반사율이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어 있었다.
[실시예 4]
수지 A-2와 수지 B-4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종연신기를 패스하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4의 메타바로 이접착층 I을 편면에 부여했다. 이어서,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는 텐터로 유도하여 150℃, 필름 폭 방향으로 5배 횡연신한 후, 이어서 160℃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150℃에서 약 3%의 필름 폭 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100㎛의 1축 연신 배향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분광 광도계에 의한 상대 반사율은 파장 400~700㎚의 범위에 있어서 균일하며, 상대 평균 반사율 52%의 금속조를 나타내는 무색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2매 접합함으로써 평균 반사율이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어 있었다. 적층 필름의 이방성이 강하기 때문에 성형성에서 불충분한 점이 보여졌다.
[실시예 5]
표 1-2의 기재에 따라 원료를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두께 100㎛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적층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은 70%로 파장 400~800㎚에 있어서 균일한 반사율을 갖기 때문에 금속조를 나타내는 무색이었다. 또한,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제막 후에 펀칭 가공에 의해 φ300㎛, 공극률 35%, 구멍의 간격 100㎛의 가공을 행했다. 펀칭 가공 후의 평균 반사율은 45%이었다. 또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Ⅱ)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한 점착제(OCA)를 사용해서 백색 필름과 접합시킴으로써 반사 필름을 제작했다. 도 6에 나타낸 디자인성이 우수하며 또한 반사율의 효율이 높아진 필름이 얻어졌다. 2매 접합함으로써 상대 평균 반사율이 펀칭 가공 후의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어 있었다.
[실시예 6~7]
표 1-2의 기재에 따라 원료를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두께 100㎛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의 적층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은 37%이며, 실시예 7의 상대 평균 반사율은 70%이었다. 얻어진 반사 필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라미네이트 방법에 의해 2매 접합함으로써 상대 평균 반사율이 각각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어 있었다. 또한, 실시예 7은 백색 필름에 무기 입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성에서 불충분한 점이 보였다.
[비교예 3]
표 1-2의 기재에 따라 원료를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두께 100㎛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에서는 권취 후의 에이징 처리에 있어서 백색 필름 A의 표면 거칠기가 전사되었다. 비교예 3에서는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제 2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대향하는 계면이 거칠어져 있기 때문에 얻어진 반사 필름은 2매 접합하는 것에 의한 상대 평균 반사율의 향상이 보이지 않았다. 즉,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하가 되어 있었다. 도 8에 반사율의 특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1]
표 1-2의 기재에 따라 원료를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은 백색 필름 A를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라미네이트를 행했다. 권취 공정 후, 60℃의 이완 처리 후, 백색 필름 A의 표면 거칠기가 반대면의 적층 필름측에 전사되어버려 표면의 광택이 권취 중심부에서는 저감되어 있었다.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제 2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계면이 거칠어져 있기 때문에 얻어진 반사 필름은 2매 접합함으로써 평균 반사율이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하가 되어 있었다.
[비교예 2]
수지 A-1과 수지 B-2의 원료를 사용해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제작하고, 이것을 반사 필름으로 했다. 통상의 투명 필름에 비해 광택감은 있지만, 반사율이 34%로 낮아 조명 용도 등의 반사재로서는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실시예 9~11]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제막)
표 1-3의 기재에 따라 원료를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두께 100㎛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최표층부의 두께는 5㎛이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은 파장 400~800㎚에 걸쳐 균일하게 반사되어 있고, 그 상대 평균 반사율은 97%이며, 금속조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과의 접합)
얻어진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접합시키는 백색 필름 D, E, F를 준비했다. 투명 접착층 (Ⅲ)을 적층 필름의 비이접착면측에 접합시켜서 롤 닙에 의해 백색 필름과 접합을 행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투명 접착층의 두께는 25㎛이며, 얻어진 반사 필름은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이 매우 높아 완전한 경면이었다. 한편, 파장 400㎚ 이하의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는 거의 반사되지 않는 필름이었다. 표면이 평탄한 백색 필름 D, E를 사용해서 얻어진 반사 필름을 60℃의 이완 처리를 해도 롤 권취 중심과 표층에서 광택도의 변화도 없고, 적층 필름측에 요철은 보이지 않았다. 백색 필름 F를 사용해서 얻어진 반사 필름은 표면이 백색 필름의 표면의 요철이 크기 때문에 특히 2매 접합하는 것에 의한 상대 평균 반사율의 상승 효과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 9과 실시예 10에 대해서는 반사율이 98% 이상이 되고,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각각의 반사율 이상이 되었다. 표 1-1, 표 1-3에 이들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2~14]
표 1-3의 기재에 따라 원료를 변경하고, 801층 적층 장치로부터 491층 적층 장치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두께 52㎛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최표층부의 두께는 5㎛이었다. 적층 필름의 평균 반사율은 59%이며, 청록으로부터 청색을 띤 옥충색의 단색조이었다. 반사 파장대역은 파장 450~550㎚인 협대역인 간섭 반사 필름이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층두께 분포는 표층으로부터 필름 두께 방향 중앙부를 향해서 층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 구조가 표리 대상에 2개 존재하는 경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장치의 경사도는 1.4로 하는 슬릿 설계를 채용했다.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과의 접합)
얻어진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접합시키는 백색 필름 D, E, F를 준비하고, 실시예 9~1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에 대해서는 어느 반사 필름도 원래의 백색 필름보다 저하되어 있지만, 파장 450~550m의 반사대역에 있어서는 반사율의 상승 효과가 보인다. 표 1-1, 표 1-3, 도 7에 이들 분광 반사 특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5]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의 최표층의 두께를 1㎛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백색 필름 F를 접합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백색 필름 F의 표면의 요철이 크기 때문에 적층 필름측에 요철이 전사되어 외관 불량이 되고, 또한 그 반사율의 상승 효과도 전혀 보이지 않았다. 표 1-1, 표 1-3에 이들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5]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펀칭 가공 없음)의 최표층 두께를 1㎛로 변경하고, 표 1-3에 따라서 백색 필름 D와의 접합에 의한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백색 필름 D의 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외관은 특별히 문제없었다. 그러나, 백색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98% 이하이어서 반사율의 상승 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표 1-1, 표 1-3에 이들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6]
적층 필름의 수지 A를 평균 입자 지름 0.6㎛의 응집 실리카 0.32중량% 첨가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마찬가지로 해서 100㎛ 두께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의 제 1 부위의 적층 필름에 비해 매트감이 있고, 평균 반사율은 68%로 낮고, 그 표면도 거친 것이었다. 이어서,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백색 필름 D와 접합하여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백색 필름 D의 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외관은 특별히 문제없었지만 백색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 98%에 비해 95%로 대폭 저하되는 결과가 되었다. 표 1-1, 표 1-3에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7]
실시예 6에서 얻은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백색 필름 D를 접합해서 반사 필름을 얻었다. 백색 필름 D의 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외관은 특별히 문제없었지만, 백색 필름의 상대 평균 반사율 98%에 비해 제 1 부위가 되는 상대 평균 반사율이 크게 낮기 때문에 광의 리턴 효과가 크고, 상대 평균 반사율은 94%로 대폭 저하되는 결과가 되었다. 표 1-1, 표 1-3에 특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6~7]
실시예 9~11 및 실시예 12~14에 사용한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만의 반사 필름은 각각 평균 반사율 97%, 59%이었다. 정반사성이 강하고, 확산성이 전혀 없는 반사 필름이었다. 표 1-1, 표 1-3, 도 7에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8~20]
여기에서는 실시예 9의 제 1 부위의 적층 필름과 제 2 부위의 백색 필름 D와 동일한 필름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 (Ⅳ)를 개재하여 접합하고, 투명 접착층 (Ⅳ)의 두께에 의한 반사율의 상승 효과의 검토를 행했다. 실시예 18~2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98% 이상이기 때문에 반사율의 상승 효과는 모두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투명 접착층의 두께가 3㎛로 얇은 실시예 18이 가장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1, 표 1-4에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1~24]
여기에서는 실시예 12의 제 1 부위의 적층 필름과 제 2 부위의 백색 필름 D와 동일한 필름을 사용해서 투명 접착층 (Ⅳ)~(Ⅵ) 또는 공기를 개재하여 접합하고, 투명 접착층의 굴절률에 의한 반사율의 상승 효과의 검토를 행했다. 굴절률이 1.59인 실시예 23의 반사 필름이 가장 반사율의 상승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1 부위의 적층 필름은 단색조이므로 본 효과는 반사대역인 파장 450~550㎚의 상대 평균 반사율에 있어서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4에서는 투명층을 공기로 했기 때문에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를 겹쳐서 배치한 반사 필름으로 했다. 평가 결과는 표 1-1, 표 1-4에 기재했다.
[실시예 25]
표 1-4에 기재된 원료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백색 필름 D와 접합을 실시했다. 외관 및 반사율의 상승 효과도 확인할 수 있어 양호한 반사 필름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1, 표 1-4에 기재했다.
[실시예 26]
표 1-4에 기재된 원료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백색 필름 D와 접합을 실시했다. 외관, 성형성, 및 반사율의 상승 효과도 높아 양호한 반사 필름이었다. 평가 결과는 표 1-1, 표 1-4에 기재했다.
[실시예 27]
실시예 25와 마찬가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제 1 부위의 적층 필름에 대해서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 A-1과 수지 B-5를 각각 2대의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280℃에서 용융시켜서 혼련했다. 이어서, 491층 적층 장치(피드 블록)에 의해 교대 적층되고, 491층의 적층류로서 유로 내부를 흘러 피놀(합류기 2층 복합α/β)의 α층의 유로로 이송했다. 한편, 제 3 압출기를 준비하여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 D의 기층부가 되는 마스터 펠렛 5를 투입하고, 용융시켜서 혼련했다. 이어서, 피놀의 β층의 유로로 이송하고, α층으로부터 제 1 부위가 되는 적층류와, β층으로부터 제 2 부위가 되는 폴리머 얼로이의 수지류를 피놀 내부에서 합류시켜서 용융 일체 성형된 상태로 구금 립으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3의 제막 조건과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202㎛의 반사 필름을 얻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단면을 확인한 결과, 제 1 부위의 최표층을 5㎛의 두께막층으로 했기 때문에 제 1 부위측의 적층 계면은 평탄하며, 또한 종래의 투명 접착층에 상당하는 개소가 동일 수지이기 때문에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확인했다. 제 2 부위에서의 확산 반사가 상기 후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투명 접착층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율의 상승 효과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형성, 외관도 문제없이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표 1-1, 표 1-4에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8~실시예 36 및 비교예 8~비교예 13]
여기에서는 주로 LCD 백라이트 시스템의 반사판으로서의 성능을 갖는 백색 필름 D, E, F를 휘도의 기준값으로 해서 본원발명인 실시예 9~14, 15~17의 반사 필름및 비교예 5~7의 반사 필름을 사용했을 때의 휘도 향상률을 조사했다.
평가하는 필름에 반사율의 상승 효과가 있는 실시예 28, 29, 31, 32에서는 모두 기초가 되는 제 2 부위가 되는 백색 필름의 값을 상회하는 휘도 향상 결과를 얻고 있는 것을 표 1-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한편, 반사 필름으로서도 평균 반사율의 성능에 변화가 없는 실시예 30과 실시예 33에서는 휘도도 거의 변화되지 않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반사 성능이 저하되는 비교예 8, 실시예 34, 실시예 35, 실시예 36에서는 백색 필름과의 계면이 평탄함에도 불구하고, 기초가 되는 제 2 부위의 백색 필름에 비해 반사율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반사율의 상승 효과는 발현되지 않고, 휘도도 마찬가지의 경향을 나타냈다. 비교예 9는 금속조의 반사 필름이지만 그 단체에서는 백색 필름 이하의 휘도가 되었다. 또한, 비교예 10의 단색의 반사 필름, 경사로부터의 반사색은 청색을 띠며, LED 광원으로부터의 입사각 60°에서의 광의 입사각 30~60°에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은 95% 이상이지만, 단체에서는 백색 필름에 비하면 휘도가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한, 휘도 향상이 확인된 실시예 28, 29, 31, 32를 사용한 백라이트 시스템의 면 내의 편차 Δx, Δy는 모두 0.03 이하이며, 충분히 실용 가능한 LCD 백라이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다.
[비교예 14]
실시예 12의 반사 필름에 사용된 제 2 부위가 되는 적층 필름과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만 90㎛로 변경한 적층 필름을 제막했다. 이 적층 필름의 반사대역은 파장 700㎚~900㎚를 반사하는 협대역 간섭 반사 필름이었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해서 백색 필름과 접합해서 휘도 평가를 행했다. 광의 입사각도 30~60℃에 있어서, 파장 450±30㎚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 필름의 절대 반사율은 95% 미만이었다. 또한, 휘도의 향상은 확인할 수 없고, 또한 디스플레이의 색조도 색을 띠고 있어서 반사 필름으로서는 이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표 1-1]
Figure 112014083822091-pct00001
[표 1-2]
Figure 112014083822091-pct00002
[표 1-3]
Figure 112014083822091-pct00003
[표 1-4]
Figure 112014083822091-pct00004
[표 1-5]
Figure 112014083822091-pct00005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전자 게시판, 휴대전화나 카메라의 플래시부, 가전 제품, 자동차, 게임기 등의 조명 부재의 반사재, 또한 태양 전지의 백시트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 제 1 부위(적층 필름)
1-1: 제 2 부위와 대향하고 있는 제 1 부위의 표면
1-2: 제 1 부위의 다른 한쪽 표면(반사 필름의 표면)
2: 제 2 부위(백색 필름)
2-1: 제 1 부위와 대향하고 있는 제 2 부위의 표면
2-2: 제 2 부위의 다른 한쪽 표면(반사 필름의 표면)
3: 반사 필름 4: 광원으로부터의 광
5: 정반사 6: 확산 반사
7: 적층 장치 71: 슬릿판
72: 슬릿판 73: 슬릿판
8: 합류기 9: 접속관
10: 구금
11: 슬릿판(71)에 의해 형성된 층두께의 경사 구조
12: 슬릿판(72)에 의해 형성된 층두께의 경사 구조
13: 슬릿판(73)에 의해 형성된 층두께의 경사 구조
11L: 슬릿판(71)의 유출구로부터의 수지 유로
12L: 슬릿판(72)의 유출구로부터의 수지 유로
13L: 슬릿판(73)의 유출구로부터의 수지 유로
11M: 슬릿판(71)의 유출구에 연통하고, 재합류기에 의해 배치된 수지 유로
12M: 슬릿판(72)의 유출구에 연통하고, 합류기에 의해 배치된 수지 유로
13M: 슬릿판(73)의 유출구에 연통하고, 합류기에 의해 배치된 수지 유로
14: 수지 유로의 폭 방향 길이
15: 구금의 유입구부로부터의 필름 폭 방향의 길이
16: 구금 유입구부로부터의 유로의 단면
17: 구금 립의 필름 폭 방향 길이 18: 층의 배열 순서
19: 층두께 20: 두께막층의 두께를 나타내는 점
21: 수지 A의 층두께 분포 22: 수지 B의 층두께 분포
23: LED 광원 24: 프리즘 시트
25: 확산 시트 26: 확산판
27: 형광관 28: 도광판
29: 펀칭 구멍 가공에 의한 반사 필름의 예
30: 투명 접착층 (투명층)
40: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의 분광 반사율 곡선
41: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2 부위의 분광 반사율 곡선
42: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분광 반사율 곡선
43: 실시예 9의 반사 필름의 제 2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분광 반사율 곡선
44: 비교예 3의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측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의 분광 반사율 곡선
45: 비교예 3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부위 단체의 분광 반사율 곡선
46: 비교예 3의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제 2 부위 단체의 분광 반사율 곡선
47: 실시예 9의 적층 필름 단체의 입사각도 20°의 절대 반사율 곡선
48: 실시예 9의 적층 필름 단체의 입사각도 40°의 절대 반사율 곡선
49: 실시예 9의 적층 필름 단체의 입사각도 60°의 절대 반사율 곡선
50: 일반적인 백색 LED 조명광의 강도 분포(절대 반사율 곡선)

Claims (15)

  1.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이 교대로 200층 이상 적층된 제 1 부위와 이하의 (Ⅰ)~(Ⅲ)의 조건 중, 적어도 1개를 만족하는 수지 C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위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제 2 부위가 확산 반사체이며, 상기 반사 필름의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파장 250~1750㎚의 광에 대한 정반사광과 확산 반사광을 서로 더한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며, 제 1 부위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에 대한 반사광 중, 정반사 성분의 반사율이 상기 파장 400~700㎚의 상대 평균 반사율의 10% 이상이고,
    상기 상대 평균 반사율은 산화알루미늄 표준판을 100%로 했을 때, 반사 필름의 5nm 간격으로 파장 범위400~700nm에서 측정한 반사율의 평균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Ⅰ)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공극률이 5%~90%이다
    (Ⅱ)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5질량%~50질량%이다
    (Ⅲ) 제 2 부위에 있어서의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3질량%~45질량%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2매의 반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와 제 2 부위가 겹쳐지도록 배치했을 때의 60℃, 24hr, 하중 2㎫의 에이징 처리 전후에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 Ra의 변화율은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배치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 사이에 투명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투명층의 굴절률은 공기 또는 그 투명층과 접하는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각각의 계면을 형성하는 층의 굴절률 이하의 굴절률이며, 그 두께가 0.5㎛ 이상 10㎛ 이하가 되는 투명 접착층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측 표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율의 값 이상이 되는 파장대역이 가시광선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배치되는 계면에 있어서의 제 1 부위의 표면 거칠기는 20㎚ 이하이며, 제 2 부위의 표면 거칠기는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위는 3층 구조이며, 내층은 확산 반사층이며, 표층 두께는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의 한쪽 최표층의 두께는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A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A 또는 상기 수지 B는 데카인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C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위의 반사대역 400~70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제 2 부위의 반사대역 400~700㎚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 이상인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 필름의 명도 L*(SCE)는 22 이상 70 이하이고,
    상기 명도 L*(SCE)는 정반사광을 제거한 SCE 방식으로 명도 L*값을 측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광의 입사각도가 30° 이상 90° 미만의 조건에서 파장 450㎚±30㎚, 파장 550㎚±30㎚ 중 어느 하나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4. 제 1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판.
  15. 제 1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사용한 LCD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LED 광원, 반사 필름, 도광판, 광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로 구성된 LCD 백라이트 시스템으로서, LED 광원으로부터의 청색 발광 스펙트럼의 파장에서의 광의 입사각 30° 이상 90° 미만에 있어서의 절대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 백라이트 시스템.
KR1020147024638A 2012-02-13 2013-02-12 반사 필름 KR101876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7998 2012-02-13
JPJP-P-2012-027998 2012-02-13
PCT/JP2013/053183 WO2013122025A1 (ja) 2012-02-13 2013-02-12 反射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560A KR20140123560A (ko) 2014-10-22
KR101876766B1 true KR101876766B1 (ko) 2018-07-10

Family

ID=4898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638A KR101876766B1 (ko) 2012-02-13 2013-02-12 반사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23054A1 (ko)
JP (1) JP6225706B2 (ko)
KR (1) KR101876766B1 (ko)
CN (1) CN104169749B (ko)
TW (1) TWI596385B (ko)
WO (1) WO2013122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7043B2 (en) 2013-03-15 2018-12-04 Ppg Industries Oh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xture assessment of a coating formulation
US10586162B2 (en) 2013-03-15 2020-03-10 Ppg Industries Oh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coating formulation
NZ631047A (en) 2013-11-08 2015-10-30 Ppg Ind Ohio Inc Texture analysis of a coated surface using kepler’s planetary motion laws
NZ631068A (en) 2013-11-08 2015-10-30 Ppg Ind Ohio Inc Texture analysis of a coated surface using electrostatics calculations
NZ631063A (en) 2013-11-08 2015-10-30 Ppg Ind Ohio Inc Texture analysis of a coated surface using cross-normalization
JP6424474B2 (ja) * 2014-06-04 2018-11-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KR102288704B1 (ko) * 2014-08-07 2021-08-1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다층 적층 필름
US9607403B2 (en) 2014-10-28 2017-03-28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identification of complex coating mixtures with sparkle color
CN111016055A (zh) 2014-12-11 2020-04-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该壳体的制备方法及应用该壳体的电子装置
WO2016111234A1 (ja) * 2015-01-05 2016-07-14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直下型面光源
KR20170115621A (ko) * 2015-03-20 2017-10-1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마이크로-셀 구조를 포함하고 개선된 반사율을 가지는 반사 물품
CN107430222A (zh) * 2015-03-20 2017-12-01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包括微孔结构且具有改善的反射率的反射物品
EP3305517B1 (en) * 2015-05-27 2020-08-19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848433B2 (ja) * 2015-07-17 2021-03-24 凸版印刷株式会社 メタルマスク基材、メタルマスク基材の管理方法、メタルマスク、および、メタルマスクの製造方法
US10725207B2 (en) * 2015-08-19 2020-07-28 Young Optics Inc. Optical apparatus having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
US10351077B2 (en) 2015-08-25 2019-07-16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member
CN106908989B (zh) * 2016-01-13 2020-09-01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层叠合反射膜的制造方法
US9818205B2 (en) 2016-02-19 2017-11-14 Ppg Industries Ohio, Inc. Simplified texture comparison engine
US10613727B2 (en) 2016-02-19 2020-04-07 Ppg Industries Ohio, Inc. Color and texture match ratings for optimal match selection
JP6786853B2 (ja) * 2016-04-14 2020-11-18 凸版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のヒートシール性の評価方法
TWI598232B (zh) * 2016-07-01 2017-09-11 長興材料工業股份有限公司 聚醯亞胺乾膜及其用途
CN106199797A (zh) * 2016-08-12 2016-12-07 苏州柯创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加工性能优良的pet反射膜
JP6978493B2 (ja) 2016-09-21 2021-12-08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gic Leap, Inc. 射出瞳エクスパンダを伴う光学システム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116017A (zh) * 2016-11-30 2018-06-05 东丽先端材料研究开发(中国)有限公司 一种太阳能发电用反射板
JP2020114626A (ja) * 2017-05-10 2020-07-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反射光学素子、反射光学素子の成形方法及び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9009316A1 (ja) * 2017-07-07 2019-01-10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US10422491B2 (en) 2017-07-20 2019-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mall size side-emitting LED lighting strip
JP2019049684A (ja) * 2017-09-07 2019-03-28 東レ株式会社 トレイ形状を有する反射板
CN109686276B (zh) * 2017-10-19 2021-09-14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智能橱窗系统
US10970879B2 (en) 2018-04-26 2021-04-06 Ppg Industries Ohio, Inc. Formulatio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target coating data results
US11119035B2 (en) 2018-04-26 2021-09-14 Ppg Industries Oh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coating composition determinations
US10871888B2 (en) 2018-04-26 2020-12-22 Ppg Industries Ohio, Inc.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rapid coating generation
US11874220B2 (en) 2018-04-26 2024-01-16 Ppg Industries Ohio, Inc. Formulatio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target coating data results
CN109031794B (zh) * 2018-10-26 2024-01-30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反射片、背光模组、显示装置
CN109188781A (zh) * 2018-11-23 2019-01-1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7308475B2 (ja) * 2019-01-25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色変換素子
KR20200133862A (ko) 2019-05-20 2020-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1096533A1 (en) * 2019-11-15 2021-05-20 Applied Materials, Inc. Optical reflector film, display with optical reflector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reflector film
JP7468064B2 (ja) * 2020-03-30 2024-04-16 Jnc株式会社 カチオン重合性組成物
CN112339356A (zh) * 2020-10-21 2021-02-09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漫反射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8699B1 (en) * 1995-06-26 2002-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olymer film with additional coatings or layers
US20090296023A1 (en) * 2008-05-28 2009-12-03 Junghoon Lee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0052329A (ja) * 2008-08-29 2010-03-11 Toray Ind Inc 液晶反射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548430B2 (ja) * 2006-03-02 2010-09-22 東レ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77714C (en) * 1993-12-21 2005-08-09 Andrew J. Ouderkirk Multilayered optical film
AU1434795A (en) * 1993-12-21 1995-07-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flective polarizer display
US5882774A (en) * 1993-12-21 1999-03-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lm
AU716525B2 (en) * 1995-06-26 2000-02-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acklight system with multilayer optical film reflector
US5867316A (en) * 1996-02-29 1999-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film having a continuous and disperse phase
US5825543A (en) * 1996-02-29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ffusely reflecting polarizing element including a first birefringent phase and a second phase
US6654085B1 (en) * 1999-02-10 2003-11-25 Kimoto Co., Ltd. Front scattering film with a light scattering layer and a peelable substrate
JP2004151707A (ja) * 2002-10-11 2004-05-27 Yupo Corp 光反射体
JPWO2004097468A1 (ja) * 2003-04-28 2006-07-13 三菱樹脂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反射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反射シー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115243A (ja) * 2003-10-10 2005-04-28 Sony Corp 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1731930A1 (en) * 2004-03-30 2006-12-1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Refle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388331B2 (en) * 2004-05-31 2013-03-05 Toray Industries, Inc. Liquid flow converg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film
JP4110482B2 (ja) * 2004-10-21 2008-07-02 東洋紡績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鏡面反射フィルム
US7679823B2 (en) * 2004-12-08 2010-03-16 Kimoto Co., Ltd. Reflective screen
JP2008537797A (ja) * 2005-04-06 2008-09-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特定の機能層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を備えた光学体
JP2007003764A (ja) * 2005-06-23 2007-01-11 Toray Ind Inc 反射フィルム
KR20070071346A (ko) * 2005-12-30 2007-07-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굴절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용 광학필름복합체
US7320823B2 (en) * 2006-02-14 2008-01-22 Kimoto Co., Ltd. Light diffusing body and a transmission type screen
CN101441285A (zh) * 2007-11-22 2009-05-27 王嘉庆 反射片
CN101932444B (zh) * 2008-02-01 2013-12-25 东丽株式会社 层叠膜、成形体以及反射体
KR100962442B1 (ko) * 2008-05-28 2010-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0201644A (ja) * 2009-02-27 2010-09-16 Fujitsu Component Ltd 装飾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712571B2 (ja) * 2009-11-20 2015-05-07 東レ株式会社 ハーフミラー調タッチセンサ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8699B1 (en) * 1995-06-26 2002-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olymer film with additional coatings or layers
JP4548430B2 (ja) * 2006-03-02 2010-09-22 東レ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90296023A1 (en) * 2008-05-28 2009-12-03 Junghoon Lee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0052329A (ja) * 2008-08-29 2010-03-11 Toray Ind Inc 液晶反射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025A1 (ja) 2013-08-22
CN104169749B (zh) 2017-04-12
JP6225706B2 (ja) 2017-11-08
JPWO2013122025A1 (ja) 2015-05-11
TWI596385B (zh) 2017-08-21
TW201339652A (zh) 2013-10-01
KR20140123560A (ko) 2014-10-22
CN104169749A (zh) 2014-11-26
US20150023054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766B1 (ko) 반사 필름
JP5211433B2 (ja) Led用反射体
US9561629B2 (en) Optical bodies including rough strippable boundary layers and asymmetric surface structures
KR101238791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시트
TW527507B (en) White film for surface light source
JP5292812B2 (ja) 光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64056B (zh) 積層薄膜及成形體、反射體
JP5157707B2 (ja)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00709B2 (ja) 偏光反射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1260A (ja)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00099761A (ko) 반사 시트용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935393B2 (ja) 積層フィルム
JP2007307893A (ja) マット調フィルムおよび成形品
JP5127306B2 (ja) 感光性粘着樹脂用保護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41408A (ja) 偏光反射体
KR20090022940A (ko) 반사판용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141528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817165B2 (ja)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2015031893A (ja) 照明装置用レンズフィルム積層体
JP6336308B2 (ja)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
TW201634955A (zh)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薄膜及使用此的直下型面光源
JP2008114587A (ja) 積層フィルム
JP2010231143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反射光拡散フィルム
JP2018101116A (ja) 反射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エッジライト方式の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