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999B1 -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999B1
KR101875999B1 KR1020150147787A KR20150147787A KR101875999B1 KR 101875999 B1 KR101875999 B1 KR 101875999B1 KR 1020150147787 A KR1020150147787 A KR 1020150147787A KR 20150147787 A KR20150147787 A KR 20150147787A KR 101875999 B1 KR101875999 B1 KR 10187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compound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553A (ko
Inventor
유제선
남기영
황용연
심재용
배선형
배재연
김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4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999B1/ko
Priority to PCT/KR2016/011712 priority patent/WO2017069499A1/ko
Priority to CN201680005228.7A priority patent/CN107109024B/zh
Priority to JP2017529758A priority patent/JP6510647B2/ja
Priority to EP16857757.5A priority patent/EP3214128B1/en
Priority to US15/533,973 priority patent/US10011710B2/en
Publication of KR2017004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 1 내지 30 중량부; (C) 안티몬계 화합물 0.5 내지 8 중량부; 및 (D) 폴리올 화합물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기재에 따르면, 고온고압고속 사출시에도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본 기재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고압고속 사출시에도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이하, ABS라 칭함)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의 강성과 내화학성, 부타디엔과 스티렌의 가공성과 기계적 강도로 인하여 전기·전자 제품과 사무용 기기 등의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ABS 수지는 그 자체가 쉽게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난연성이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다.
ABS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 제조시 난연성 단량체를 포함시켜 중합하는 방법과 제조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혼합하는 방법 등이 있고, 상기 난연제로는 할로겐계 난연제와 인계 난연제 등의 비할로겐계 난연제가 있으며, 상기 난연조제로는 안티몬계 화합물, 아연계 화합물, 폴리실록산계 화합물 등이 있다.
그러나, ABS 수지 내 잔류 유화제가 난연제의 분해를 더욱 가속화 시켜 TVOCs 또는 트리브로모페놀 등의 발생이 증가되며 체류 안정성이 급격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할로겐계 난연제 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브롬계 난연제는 난연성이 우수하지만 고온고압고속 사출시 가스가 발생되고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22579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고온고압고속 사출시에도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 1 내지 30 중량부; (C) 안티몬계 화합물 0.5 내지 8 중량부; 및 (D) 폴리올 화합물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의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르면 잔류 유화제가 감소되어 고온고압고속 사출시에도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 1 내지 30 중량부; (C) 안티몬계 화합물 0.5 내지 8 중량부; 및 (D) 폴리올 화합물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범위 내에서 고온고압고속 사출시에도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기본수지
상기 기본수지는 일례로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5 내지 35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65 내지 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반응형 유화제는 일례로 술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 소디움 스티렌 술포네이트, 소디움 도데실 알릴술포숙시네이트, 스티렌과 소디움 도데실 알릴술포숙시네이트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암모늄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 알킬에테르 술포릭 에스터, 알케닐 C16~C18 숙신산 포타슘염, 알케닐 C16~C18 숙신산 디-포타슘염 및 소듐 메트알릴 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고온고압고속 사출시에도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반응형 유화제는 일례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2 중량부, 0.01 내지 1.5 중량부, 또는 0.1 내지 1.0 중량부이며, 이 범위 내에서 라텍스가 안정되고 잔류 유화제가 감소하고 TVOCs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B) 브롬계 난연제
상기 (B) 브롬계 난연제는 일례로 10 내지 27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난연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브롬계 난연제는 일례로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테트라브로모사이클로옥탄, 모노클로로펜타브로모사이클로헥산,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옥타브로모디페닐옥시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트리스(트리브로모페닐) 시아누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알릴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C) 안티몬계 화합물
안티몬계 화합물은 브롬계 난연제와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C) 안티몬계 화합물은 일례로 1 내지 7 중량부, 또는 2 내지 6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난연성이 더욱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C) 안티몬계 화합물은 일례로 삼산화 안티몬, 오산화 안티몬, 금속 안티몬 및 삼염화 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D) 폴리올 화합물
상기 (D) 폴리올 화합물은 일례로 0.1 내지 3 중량부, 또는 0.2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잔류 유화제가 감소되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D) 폴리올 화합물은 일례로 2개 이상, 또는 2개 내지 20개의 알코올기를 함유한 화합물; 또는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일 수 있고, 2개 이상 알코올기를 함유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부탄디올, 헥산디올, 글리세롤, 아다만탄올, 소르비톨, 갈락시톨, 만니톨, 아라빈이톨, 자일리톨, 아돈이톨, 펜타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잔류 유화제가 감소되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활제, 열안정제 및 적하방지제를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차단게, 안료 및 무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체류 광택(ΔG) 이 10 이하, 8 이하 또는 2 내지 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트리브로모페놀(TBP) 함량이 3% 이하, 또는 1 내지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잔류 유화제 함량이 18000ppm 미만, 15000ppm 이하, 또는 1500 내지 14000ppm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열안정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체류 열변색(ΔE)이 8 이하, 또는 4 내지 7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TGA 로스(loss)율(230℃, 30분)이 3 이하, 또는 1.5 내지 2.5일 수 있다.
본 기재의 난연 열가소성 수지는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 1 내지 30 중량부; (C) 안티몬계 화합물 0.5 내지 8 중량부; 및 (D) 폴리올 화합물 0.1 내지 5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혼련은 일례로 210 내지 250℃, 또는 220 내지 240℃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ABS-1: 반응형 유화제인 알케닐 C16-18 숙시네이트 포타슘염(Eloplas AS100) 0.2 중량부로 중합된 ABS 수지
* ABS-2: 반응형 유화제인 소듐도데실 알릴 술포숙시네이트(TREMLF-40) 0.2 중량부로 중합된 ABS 수지
* ABS-3: 반응형 유화제인 디포타슘염(Latemul ASK) 0.2 중량부로 중합된 ABS 수지
* ABS-4: 일반적인 유화제인 지방산 비누 0.2 중량부로 중합된 ABS 수지
* SAN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 및 스티렌 76 중량%인 수지
* 브롬계 난연제: 트리스(트라이브로모 페놀)시아누레이트
* 안티몬계 화합물: 삼산화안티몬
* 폴리올 화합물-1: 펜타에리트리톨
* 폴리올 화합물-2: 자일리톨
* 폴리올 화합물-3: 소르비톨
* 활제: 에틸렌비스스테아레이트
* 열안정제: IR1076(Ciba Geigy)
* 적하방지제: CD145E(Ashahi kasei)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된 대로 각각의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230℃ 조건 하에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펠렛 형태로 제조하고, 이 펠렛으로 사출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난연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 잔류유화제(ppm): 수지 0.2g을 50ml vial에 정확히 취한다. 아세톤 10ml를 가하고 2hr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하여 시료를 용해한 다음 메탄올 30ml를 천천히 가하여 고분자 침전시켰다. 1hr 초음파 처리하고 첨가제를 추출하였다. 상등액을 취한 후 여과하고 HPLC/DAD/MSD(Agilent 1100 system)를 이용하여 잔류유화제 함량을 측정하였다.
* 충격강도(1/4", kgf·cm/cm): ASTM D256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표면광택(45°): 시편을 45°각도에서 ASTM D52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체류열변색(ΔE): 압출기에서 얻어지 펠렛을 사출기에 넣고 실린더에서 250℃, 15분간 체류시킨 후 광택시편을 얻고, 동일한 방식으로 200℃에서 연속사출로 광택시편을 얻어 이를 시편을 헌터랩 칼라미터를 사용하여 시편의 color 값인 LAB 값을 측정하였다. ΔE는 체류 전후의 산술 평균값이며, 0에 가까울수록 체류안정성이 우수하다.
[수학식 1]
Figure 112015102995680-pat00001
* 체류광택(ΔG): 체류열변색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편을 제조하여 광택편차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값이 낮을수록 체류안정성이 우수하다.
* TBP 함량(%): 220℃에서 압출한 후 LC로 펠렛내에 생성된 트리브로모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값이 낮을수록 난연제의 열분해가 적다.
* TGA 로스율(%): 230℃에서 등온(isothermal)로 30분간 가열감량을 진행하여 감량된 질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값이 낮을수록 열안정성이 우수하다.
* TVOCs(ppm):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난연성: 수직 연소 시험법에 의해 V-0, V-1 및 V-2 등급으로 나누는 난연성 평가 표준 방법인 UL94 실험법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ABS-1 30 30 30 30 30 30
ABS-2 30
ABS-3 30
ABS-4 30 30
SAN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난연제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삼산화
안티몬
4 4 4 4 4 4 4 4 4 4
폴리올-1 0.5 0.5 0.5 0.2 0.5 10
폴리올-2 0.5
폴리올-3 0.5
활제 1 1 1 1 1 1 1 1 1 1
열안정제 0.4 0.4 0.4 0.4 0.4 0.4 0.8 0.4 0.4 0.4
적하
방지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잔류유화제 15000 14000 14500 14000 14000 15000 24000 18000 25000 17000
충격강도 16.1 16.0 16.3 15.9 17.2 16.5 14.2 15.3 13.6 5.4
표면광택 104 105 105 107 105 104 99 102 98 82
체류열변색 7.5 7.0 7.7 7.9 6.5 6.4 11.6 9.5 9.3 18.9
체류광택 4.2 5.4 4.7 5.0 6.8 5.9 15.2 14.8 15.7 14.2
TBP함량 2.2 2.1 2.0 2.4 2.1 1.7 5.5 4.4 4.1 1.2
TGA로스율 1.8 2.1 2.0 1.9 2.1 2.3 4.2 3.8 4.7 9.8
T
V
O
Cs
아크릴로니트릴 7 8 7 9 7 9 34 15 34 9
톨루엔 49 44 47 49 45 44 51 50 51 42
에틸벤젠 110 117 112 109 117 113 102 110 107 120
스티렌 568 572 557 559 570 555 1002 678 997 611
α-메틸스티렌 197 207 201 180 189 207 214 197 220 221
아세토페논 129 114 127 121 124 119 142 140 135 132
TDDM 4.2 4.7 4.2 4.7 4.7 7.3 60.7 7.8 72 5.6
난연성 V-0 V-0 V-0 V-0 V-0 V-0 V-1 V-0 V-0 V-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6은 잔류 유화제, TBP 함량, TGA 로스율, 및 TVOCs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충격강도가 우수하면서도, 표면광택, 체류열변색, 체류광택 등의 열안정성이 상승된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일반 유화제로 중합된 ABS 수지를 포함한 비교예 1 및 3은 잔류 유화제, TBP 함량, TGA 로스율, 및 TVOCs 발생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2는 표면광택, 체류열변색, 체류광택 등의 열안정성이 저하되었고, 폴리올 화합물이 과량 포함된 비교예 4는 충격강도 및 열안정성이 저하되었다.

Claims (15)

  1.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 1 내지 30 중량부;
    (C) 안티몬계 화합물 0.5 내지 8 중량부; 및
    (D) 폴리올 화합물 0.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유화제는 술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 소디움 스티렌 술포네이트, 소디움 도데실 알릴술포숙시네이트, 스티렌과 소디움 도데실 알릴술포숙시네이트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암모늄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 알킬에테르 술포릭 에스터, 알케닐 C16~C18 숙신산 포타슘염, 알케닐 C16~C18 숙신산 디-포타슘염 및 소듐 메트알릴 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유화제는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브롬계 난연제는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테트라브로모사이클로옥탄, 모노클로로펜타브로모사이클로헥산,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옥타브로모디페닐옥시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브로미네이티드 에폭시 올리고머,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트리스(트리브로모페닐) 시아누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알릴에테르)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안티몬계 화합물은 삼산화 안티몬, 오산화 안티몬, 금속 안티몬 및 삼염화 안티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폴리올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알코올기를 함유한 화합물, 또는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알코올기를 함유한 화합물은 부탄디올, 헥산디올, 글리세롤, 아다만탄올, 소르비톨, 갈락시톨, 만니톨, 아라빈이톨, 자일리톨, 아돈이톨,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열안정제 및 적하방지제를 0.01 내지 1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차단게, 안료 및 무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체류 광택(ΔG)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트리브로모페놀(TBP) 함량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체류 열변색(ΔE)이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TGA 로스(loss)율(230℃, 30분)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A) 반응형 유화제로 그라프트 중합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기본수지 100 중량부; (B) 브롬계 난연제 1 내지 30 중량부; (C) 안티몬계 화합물 0.5 내지 8 중량부; 및 (D) 폴리올 화합물 0.1 내지 5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50147787A 2015-10-23 2015-10-23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7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87A KR101875999B1 (ko) 2015-10-23 2015-10-23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CT/KR2016/011712 WO2017069499A1 (ko) 2015-10-23 2016-10-18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201680005228.7A CN107109024B (zh) 2015-10-23 2016-10-18 具有优异的热稳定性的阻燃性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由其制备的模制品
JP2017529758A JP6510647B2 (ja) 2015-10-23 2016-10-18 熱安定性に優れた難燃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EP16857757.5A EP3214128B1 (en) 2015-10-23 2016-10-18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product prepared therefrom
US15/533,973 US10011710B2 (en) 2015-10-23 2016-10-18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thermal stabilit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from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87A KR101875999B1 (ko) 2015-10-23 2015-10-23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553A KR20170047553A (ko) 2017-05-08
KR101875999B1 true KR101875999B1 (ko) 2018-08-02

Family

ID=5855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787A KR101875999B1 (ko) 2015-10-23 2015-10-23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11710B2 (ko)
EP (1) EP3214128B1 (ko)
JP (1) JP6510647B2 (ko)
KR (1) KR101875999B1 (ko)
CN (1) CN107109024B (ko)
WO (1) WO2017069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07A (ko)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수지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317B1 (ko) 2018-01-05 2021-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90388B1 (ko) * 2018-12-19 2023-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501598B1 (ko) * 2019-10-21 2023-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60610B1 (ko) * 2020-04-21 2020-09-28 주식회사 비즈부스터 다기능성 휴대폰 케이스 성형용 조성물
KR20220049181A (ko)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수지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0667A (ja) * 1984-02-16 1985-09-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耐熱着色性に優れた難燃性樹脂組成物
JP3076419B2 (ja) * 1991-09-24 2000-08-14 旭電化工業株式会社 難燃化ゴム強化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FR2763075B1 (fr) * 1997-05-06 1999-07-23 Gen Electric Plastics Abs Euro Compositions de polymeres et copolymeres styreniques et d'alliages de ceux-ci et articles moules resistant aux marques de frottement obtenus a partir de ces compositions
KR100225796B1 (ko) 1997-08-30 1999-10-15 성재갑 내충격성이 우수한 영구 대전 방지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JPH11116769A (ja) * 1997-10-15 1999-04-27 Asahi Chem Ind Co Ltd スチレン系高衝撃難燃性樹脂組成物
KR100513658B1 (ko) * 2002-12-26 2005-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 및 분체 특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US7544745B2 (en) * 2005-10-25 2009-06-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816981B1 (ko) * 2006-06-29 2008-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101578B1 (ko) * 2006-09-11 2012-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378736B2 (ja) * 2008-09-22 2013-12-25 帝人株式会社 難燃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267267B1 (ko) * 2009-12-30 2013-05-27 제일모직주식회사 색상발현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92350B1 (ko) * 2010-09-17 2013-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67494B1 (ko) * 2010-12-02 2017-08-1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열안정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JPWO2013051205A1 (ja) * 2011-10-07 2015-03-30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反応性乳化剤を用いた乳化重合方法、それにより得られる水系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及びポリマーフィルム
KR20130079175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착색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34378B1 (ko) * 2012-01-11 2015-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 안정화제 프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5380B1 (ko) * 2012-11-22 2015-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사출성형품
WO2015016520A1 (ko) * 2013-08-02 2015-02-05 (주) 엘지화학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07A (ko)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수지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1710B2 (en) 2018-07-03
EP3214128A1 (en) 2017-09-06
US20170342254A1 (en) 2017-11-30
CN107109024A (zh) 2017-08-29
KR20170047553A (ko) 2017-05-08
JP6510647B2 (ja) 2019-05-08
EP3214128B1 (en) 2019-04-17
EP3214128A4 (en) 2018-09-19
CN107109024B (zh) 2019-04-26
JP2018507922A (ja) 2018-03-22
WO2017069499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999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787772B1 (ko) 내후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009849B1 (ko)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수지 조성물
KR101040447B1 (ko) 충격강도와 광택성이 우수한 난연수지 조성물
KR101100453B1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92350B1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133374A (ko) 5산화안티몬을 포함하는 난연성 스티렌계 조성물
KR101545380B1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사출성형품
KR102318927B1 (ko)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하는 복합난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413819B1 (ko) 열 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33531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10054574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985356B1 (ko) 신율이 우수한 초내후성 내열 난연수지 조성물
KR102672669B1 (ko)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683339B1 (ko) 스티렌계 난연수지용 적하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렌 난연수지 조성물
KR20180076638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사출 성형품
KR20130136031A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용 난연제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76918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69295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KR10113624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2918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10038025A (ko)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558637B1 (ko) 안티몬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10036439A (ko)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765696B1 (ko) 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한 비할로겐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