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681B1 - 차량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681B1
KR101871681B1 KR1020177036110A KR20177036110A KR101871681B1 KR 101871681 B1 KR101871681 B1 KR 101871681B1 KR 1020177036110 A KR1020177036110 A KR 1020177036110A KR 20177036110 A KR20177036110 A KR 20177036110A KR 101871681 B1 KR101871681 B1 KR 10187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jig
restraint
restrai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871A (ko
Inventor
토시미치 다카하시
마사오 후루사와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0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와이어 로프, 등을 이용하여 차량 시험 장치의 롤러들 위에 차량이 구속되는 차량 구속 장치에서, 와이어 로프, 등에 결합하기 위한 후크 부분을 차량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와이어 로프, 등에 의하여 롤러들에 대해 차량을 가압하는 것에 기인하여, 차량의 피칭 운동 거동을 재생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차량 시험 장치의 롤러(7)들 위에 설치된 차량(1)을 구속하는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각각 차량(1)에 일 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9) 위의 좌측 또는 우측 기둥(10) 위에 다른 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12), 및 차량 구속 지그(12)의 요잉 운동을 허용하도록 이러한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를 기둥(10)에 결합시키는 제2 링크 기구(501)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차량 구속 장치
본 발명은 롤러들 위에 차량을 배치하고, 연료 소비, 배기 가스 등의 시험들을 시행하는 샤시 다이나모미터(dynamometer)와 같은 차량 시험 장치에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39 도시와 같이, 차량 구속 장치로서, 와이어 로프(101)의 일 단부 측면(101a)을 차량(102)에 연결하고, 다른 단부 부분(101b)을 바닥 면(103)에 장착된 기둥(pole)(104)에 연결하는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101)를 사용하여 차량(102)의 타이어(102a)들을 샤시 다이나모미터(105)의 롤러(106)들 위에 구속하는 하나의 유형(예컨대, 특허 공보 1 및 2)이 있다.
더욱이, 도 40(A) 및 (B) 도시와 같이, 차량 구속 장치(112)가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일 형태(예컨대, 특허 공보 3)가 개발되었는 데, 이 차량 구속 장치(112)의 아암 지지 부분(113)에 구비된 아암 부분(114)이 차량 커플링 어댑터(115)를 가진 단부 부분에 형성되고, 이 어댑터(115)는 차량을 구속하기 위하여 차량(116)의 샤시(117)에 구비된 어댑터 삽입 부분(118) 내에 삽입된다.
특허 공보 1: JP 특허출원공개 헤이세이 10-307082A. 특허 공보 2: JP 특허출원공개 2007-212154A 특허 공보 3: JP 특허출원공개 2011-033517A(단락[0002] 내지 단락[0005] 및 도 6과 도 7 참조). 특허 공보 4: JP 특허출원공개 헤이세이 1-279131A. 특허 공보 5: JP 특허출원공개 헤이세이 10-67376A. 특허 공보 6: JP 특허출원공개 쇼와 64-83743A. 특허 공보 7: JP 특허출원공개 2001-80583A. 특허 공보 8: JP 실용신안출원공개 헤이세이 2-118849U. 특허 공보 9: JP 실용신안출원공개 헤이세이 1-167642U. 특허 공보 10: JP 실용신안출원공고 헤이세이 4-28045Y2.
실제 도로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에서, 각각의 타이어에 부가되는 수직 하중은 가속과 감속에 따라 변화한다. 대조적으로, 샤시 다이나모미터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각각의 자유도가 제한되므로 도로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수직 하중과 다르다.
도로 위에서 실제 주행하는 경우와 샤시 다이나모미터를 사용하는 경우 사이에, 수직 하중의 적용 방식은 차량의 피칭(pitching) 운동의 차이에 기인하여 다르며, 따라서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수직 하중 변화의 차이는 차량 성능시험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차량의 피칭 운동 거동을 재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9의 도시와 같은 체인들이나 와이어 로프(101)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체인들이나 와이어 로프(101)들은 롤러(106)들에 대해 차량(102)의 타이어(102a)들을 가압한다. 그러므로, 차량의 피칭 운동 거동을 재생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대조적으로, 특허 공보 3의 차량 구속 장치는,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된 차량 구속 장치(112)의 커플링 어댑터(115)가 차량을 구속하기 위하여 차량(116)의 샤시(117)에 구비된 어댑터 삽입 부분(118)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이것은 특허 공보 1 및 2와 같이 체인들이나 와이어 로프(101)에 의하여 롤러들에 대해 차량의 타이어들을 가압하는 것이 시행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피칭 운동 거동을 재생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 이하의 문제점들을 가진다.
(1) 어댑터 삽입 부분은 일반적으로 차량 바닥 부분의 측면 문턱(side sill)에 제공되며, 따라서 측면 문턱이 없는 차량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측면 문턱이 없는 차량의 경우, 차량의 바닥 부분에 어댑터 삽입 부분을 가진 부착물을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어댑터 삽입 부분은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높은 강성이 필요하나, 측면 문턱은 차량의 전체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강성이 높은 부분은 아니다.
(3) 측면 문턱이 차량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량의 무게 중심을 제한하지 않은 것에 기인해서, 도로에서 주행할 때의 차량의 피칭 운동 거동과 다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구속 장치는 차량 시험 장치의 롤러들 위에 설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 장치이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및 차량 구속 지그들의 요잉(yawing) 운동을 허용하도록 차량 구속 지그들의 다른 측 단부들을 기둥들에 연결하는 연결 기구(mechanism)를 포함한다.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에서, 차량 구속 지그들의 일 측 단부들은 각각 차량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들에 연결된다.
연결 기구의 하나의 모드는 기둥에 제공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여 연장하고차량 구속 지그의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기둥의 브래킷 부분에 고정된 구형(spherical)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한다.
연결 기구의 하나의 모드는 차량 구속 지그의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기둥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차량 구속 지그의 브래킷 부분에 고정되는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한다.
연결 기구의 하나의 모드는 기둥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여 지나고 차량 구속 지그의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그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기둥의 브래킷 부분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를 가지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연결 기구의 하나의 모드는 차량 구속 지그의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여 지나고 기둥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그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차량 구속 지그의 브래킷 부분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를 가지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에서, 기둥의 브래킷과 차량 구속 지그의 브래킷 부분 사이의 샤프트 부분 위치에 매개 부재(intermediate member)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는 후방 시트 도어들을 가지며 차량 시험 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 장치로서: 차량의 차량 무게중심 근처에서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 차량의 후방 시트 룸에서 차량 구속 지그들의 다른 측 단부들이 연결되는 링크 기구; 및 차량의 좌우 후방 시트 도어들 근처에서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시트 도어들의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링크 기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차량 외부 고정 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차량의 후방 시트 룸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차량 외부 고정 기구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좌우 부착 부재들; 상기 쌍의 부착 부재들을 연결하고 보강하는 제1 보강 지그;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요잉 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둘레(주변)에 상기 차량 보강 지그의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그를 포함한다.
연결 지그의 하나의 모드는 상기 제1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주위에 장착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한다.
차량 구속 지그의 하나의 모드는 추가로 상기 좌우 시트벨트 고정 필라들에 부착된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들; 상기 쌍의 필라 부착 부재들을 연결하고 보강하며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보강 지그; 상기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둘레로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일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그; 및 상기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지그에 구비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들을 포함한다.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는 추가로 차량의 상기 좌우 시트벨트 고정 필라들에 부착된 연결 샤프트;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일 측 단부를 상기 연결 샤프트에 연결하는 연결 지그; 및 상기 연결 지그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에 장착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한다.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의 하나의 모드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는 차량 시험 장치에 의한 차량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의 횡방향 이탈(lateral deviation)을 억제하기 위한 횡방향 이탈 억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횡방향 이탈 억제 기구의 하나의 모드는 차체에 탄성 접촉하는 완충 소재; 차량의 폭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도록 완충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가 부착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한다.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는 추가로 차량 시험 장치에 의한 차량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의 휨(deflection)을 흡수하는 휨 흡수 기구를 포함한다.
휨 흡수 기구의 하나의 모드는 중력 방향으로 휨을 가지는 차량 구속 지그와 탄성 접촉하는 완충 소재를 가지는 지그 수용 부분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그 수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분을 포함한다.
차량 구속 장치의 하나의 모드는 추가로 차량 구속 지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차량 구속 장치에 의하여 차량 시험시에 생성되는 차량 구속 지그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vibration damping) 장치를 포함한다.
진동 감쇠 장치의 하나의 모드는 차량 구속 지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부착 부재; 부착 부재의 하단부 부분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탄성 부재; 길이가 조정가능하고 탄성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일 단부를 가지는 샤프트 부분; 및 무게 조정가능하고 샤프트 부분의 다른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웨이트(weight)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구속 지그의 일 측 단부는 그 품질에서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차량에 결합되고, 차량 구속 지그의 다른 측 단부는 기둥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차량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구속할 수 있으며, 차량의 피칭 운동 거동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A)는 차량 시트벨트 고정 필라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B)는 필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및 도 1(C)는 필라의 주요 부분의 확대된 도면이며;
도 2(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2(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A), 3(B) 및 3(C)는 제1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면이며;
도 4(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5(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은 제3 실시예의 제1 링크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7은 제3 실시예의 제1 링크 기구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제3 실시예의 제1 링크 기구의 샤프트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9는 제3 실시예의 길이조정 기구와 제2 링크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10(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0(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제1 링크 기구의 확대된 도면이며;
도 11은 제4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12(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2(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3(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3(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4(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4(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5(A), 15(B) 및 15(C)는 제8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면이며;
도 16(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4(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17(A), 17(B) 및 17(C)는 제8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면이며;
도 18(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8(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19(A), 19(B) 및 19(C)는 제8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면이며;
도 20(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0(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21(A), 21(B) 및 21(C)는 제8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면이며;
도 22(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2(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23(A)와 23(B)들은 제9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면이며;
도 24(A)는 제 9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지그가 부착된 상태의 설명 도면이며, 도 24(B)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동일한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5(A)는 시험 차량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5(B)는 그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26은 제 9 실시예에서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차량 구속 지그가 부착된 상태의 설명 도면이며,
도 27(A)는 제10 실시예에서 휨 흡수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7(B)는 동일한 기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28(A)는 제10 실시예에서 휨 흡수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8(B)는 동일한 기구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29는 제10 실시예에서 휨 흡수 기구와 진동 감쇠 장치가 차량 구속 지그에 부착된 상태의 설명 도면이며;
도 30(A)와 30(B)는 제11 실시예에서 진동 감쇠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들이며;
도 31(A)는 시험 차량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에서의, 동일한 차량의 횡방향 이탈 억제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1(B)는 동일한 억제 기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2는 제12 실시예의 횡방향 이탈 억제 기구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며;
도 33(A)는 제13 실시예에서 제2 링크 기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3(B)는 동일한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4(A)는 제13 실시예의 제2 링크 기구의 또 다른 모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4(B)는 동일한 모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5(A)는 제14 실시예의 제2 링크 기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5(B)는 동일한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6(A)는 제14 실시예의 제2 링크 기구의 또 다른 모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6(B)는 동일한 모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7(A)는 제14 실시예에서의 베어링의 사시도이며, 도 37(B)는 동일한 베어링의 단면도이며;
도 38은 제14 실시예의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의 또 다른 모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9는 종래 예의 설명 도면이며; 및
도 40(A)는 또 다른 종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0(B)는 차량 구속장치의 어댑터 삽입 부분 및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구속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차량 구속 장치를 사용하는 차량이 간략하게 설명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차량 구속 장치를 사용하는 차량(1)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차량(1)에는 그 도어 측부에 시트벨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들이 부착된 시트벨트 고정 필라(2)들이 구비된다.
도 1(C) 도시와 같이, 복수의 나사(3)들에 의하여 시트벨트(seatbelt) 고정 필라(2)의 상 하단부들에 상부 및 하부 시트벨트 고정 부분(4, 5)들이 부착된다. 시트벨트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이들 상부 및 하부 시트벨트 고정 부분(4, 5)에 부착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부호(6)가 차량의 무게 중심(gravity center)을 표시한다.
[제1 실시예]
도 2(A)와 2(B)들은 제1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를 사용하는 차량(1)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평면도들이다.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일 측 단부들에서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롤러(7)들 위에 설치되는 타이어(8)를 가진 차량의 좌우 고정 필라(2)가 연결되고, 다른 측 단부들에서 바닥면(9) 위에 있는 좌측 및 우측 기둥(10)들에 연결된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12, 12)들이 구비된다.
차량 구속 지그(12, 12)들은 차량의 전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필요한, 강판 등과 같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료의 판 부재, 강 파이프 부재 등과 같은,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를 가진 소재로 제조된다. 차량 구속 지그(12, 12)들에는 그들의 일 측 단부들에 차량 길이에 합치하도록 그들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턴버클(turnbuckle)과 같은, 길이 조정 기구(13)들이 구비된다. 더욱이, 한 쌍의 좌우측 차량 구속 지그(12, 12)에는 길이 방향으로 그 중심 부분에서 양측을 결합하는 타이 로드(14)들이 구비된다. 타이 로드(14)들은 길이방향으로 중심 부분에서 차량 폭에 합치하도록 차량 구속 지그(12, 12)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턴 버클과 같은 길이 조정 기구(15)가 구비된다.
차량 구속 지그(12, 12)들은 길이 방향으로 일 측 단부들에서 제1 링크 기구(16)를 통해 시트벨트 고정 필라(2)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측 단부들에서 제2 링크 기구(17)를 통해 기둥(10)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기구(16)는 샤프트(18)가 차량 무게 중심(6)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다. 또한, 제2 링크 기구(17)의 샤프트(21)도 차량의 무게 중심(6)의 높이와 일반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된 기둥(10)에 부착된다. 차량 무게 중심(6)의 인접 위치는 차량의 무게 중심(6)에 가능한 근접하도록 설정된 위치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기구(16)에는 샤프트(18), 샤프트(1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19), 및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이 베어링 부재(19)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이하 필라 부착 부재로 표시)가 구비된다.
제1 링크 기구(16)는 차량 구속 지그(12, 12)의 길이 방향의 일 측 단부들을 샤프트(18), 베어링 부재(19), 및 필라 부착 부재(20)들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필라 부착 부재(20)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합치하도록 길다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벨트 고정 부분(4, 5) 대신에,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다.
더욱이, 제2 링크 기구(17)에는 차량 구속 지그(12, 12)의 또 다른 측에 배치된 샤프트(21), 베어링 부재(22)가 구비되고, 베어링 부재(22)를 통해 기둥(10)에 부착된다.
다음에,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여 차량 구속 지그(12)를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예가 설명된다.
이 예에서, 우선, 도 3(A) 도시와 같이, 쌍을 이루는 좌 및 우측 차량 구속 지그들의 일 측 단부는 샤프트(18)와 베어링 부재(19)를 통해 필라 부착 부재(20)의 중심 부분에 부착된다. 다른 한편, 시트벨트 고정 부분(4, 5)들은 시트벨트 고정 필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도 3(B)와 3(C) 도시와 같이, 필라 부착 부재(20)는 시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다. 필라 부착 부재(20)의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의 부착은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나사 구멍(23)을 필라 부착 부재(20)의 나사 구멍(24)에 합치시키며 나사 구멍(23, 24)들 내에 나사(25)들을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도 3(C)에서, 부호(26, 27 및 28)들은 각각 차량 프레임, 차량 내부, 및 차량 외부를 표시한다.
제1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러한 용도에서, 우선, 도 2 도시와 같이, 차량(1)은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롤러(7)들 위에 배치된다.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는 제1 링크 기구(16)를 통해 차량(1)의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연결되고, 이로써 제1 링크 기구(16)의 샤프트(18)를 차량 무게 중심(6)의 근처에 배치한다. 다른 한편,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제2 링크 기구(17)를 통해 기둥(10)에 부착된다. 기둥(1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제2 링크 기구(17)의 샤프트(21)는 일반적으로 차량 무게 중심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일반적으로 수평 상태에 차량 구속 지그(12)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1)은 쌍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차량 구속 지그(12)들에 의하여 구속되고, 롤러(7)들은 차량(1)의 다양한 시험을 시행하도록 회전된다.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는 높은 강성의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연결되므로, 차량 구속 지그(12)에 의하여 차량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구속할 수 있다.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는 차량 무게 중심(6) 근처에서 제1 링크 기구(16)를 통해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차량의 무게 중심(6)과 동일한 높이에서 일반적으로 제2 링크 기구(7)를 통해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차량의 (병진적인) 전후 운동이 구속되나, 차량 (회전)의 피칭 운동과 차량의 (병진) 수직 운동이 자유롭다. 이로써, 수직 하중이 도로 위의 하중에 유사한 차량의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가속 및 감속 조건들을 포함하는 주행 상태에서의 하중에 동일한 수직 하중이 타이어들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차량 성능 시험들의 시험을 포함하는 차량 거동과 모드 작동에 의하여 연료 소비 및 배출가스 시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길이조정 기구(13)에 의하여 차량 구속 지그(12)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길이는 차량(1)의 차량 길이에 따라 자유로이 조정가능하다.
기둥(10)은 차량의 폭 방향과 차량의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 폭, 차량 길이, 등에 따라 차량 구속 지그(12)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들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는 제1 실시예 모드에서 제2 링크 기구(17)와 기둥(10) 사이의 구속 강도 검출기(29)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속 검출기(29)는 차량의 구속 강도를 검출한다. 구속 검출기(29)의 부착 위치는 제2 링크 기구(17)와 기둥(10) 사이로 한정되지 않으나, 차량(1)의 구속 강도가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차량 구속 지그(12)와 제2 링크 기구(17) 사이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링크 기구(16)와 시트벨트 고정 필라(2), 등 사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는 차량의 구속 강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예의 바람직한 효과에 부가해서 차량 스프링에 대한 특성의 측정 및 분석/평가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5 내지 도 9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5 도시와 같이,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를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링크 기구(31)에는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관형 샤프트 부분(32)과 이 샤프트 부분(32)을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부착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 아암(33)이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 도시와 같이, 샤프트 지지 아암(33)은 일반적으로 T-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일 측 단부에 샤프트 부분(32)이 구비되고, 다른 측 단부에서 나사(34)들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부착된다. 시트벨트 고정 필라(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 구멍들(35)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샤프트 지지 아암(33)의 부착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샤프트 지지 아암(33)이 일반적으로 T-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샤프트 지지 아암(33)이 부착된 때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위치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샤프트 부분(32)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 부분(32)과 운전자의 시트 또는 전방 승객 시트 사이의 저촉(interferrence)을 피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저촉을 피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샤프트 지지 아암(33)과 샤프트 부분(32)을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9 도시와 같이,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를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제2 링크 기구(41)에는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샤프트 부분(42)과 이 샤프트 부분(4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브래킷(44)을 통해 기둥(10)에 부착된 베어링 부재(43)가 구비된다.
브래킷(44)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높이 조정 기구에 의하여 기둥(10)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제2 링크 기구(41)의 높이 위치는 조정가능하다.
한 쌍의 좌우측 차량 구속 지그(12)의 베어링 부재(43) 측의 단부 부분들에는 턴버클과 같은 길이 조정 기구(45)가 구비된다. 길이 조정 기구(45)에서, 중심 부분에서의 회전 작동체(46)가 회전될 때, 회전 작동체(46)의 좌,우측에 구비된 볼트(47, 48)들은 대향하는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차량 구속 지그(12)의 길이는 차량 길이에 대응하도록 조정가능하다. 다른 구조들은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같은 구조의 부품들이 같은 부호로 표시되고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 제3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의 사용방법의 예가 설명된다.
먼저,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의 제1 링크 기구(31)의 샤프트 지지 아암(33)이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부착된다. 이어서, 필요하면, 샤프트 지지 아암(33) 및/또는 샤프트 부분(32)의 길이가 운전자 시트 또는 전방 승객 시트와 제1 링크 기구(31)의 샤프트 부분(32)의 저촉을 피하도록 조정된다.
다음,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가 제2 링크 기구(41)와 브래킷(44)을 통해 기둥(10)에 부착된다.
쌍을 이루는 좌우측 차량 구속 지그(12, 12)의 길이 및/또는 폭은 차량(1)을 구속하도록 조정되고, 롤러(7)들이 회전되고, 차량(1)의 다양한 시험이 시행된다.
제3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서, 차량 구속 지그(12, 12)의 길이 조정 및 폭 조정에 더하여, 차량 구속 지그(12, 12)들의 일 측 단부가 그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제1 링크 기구(31)의 샤프트 부분(32)의 위치가 샤프트 지지 아암(33)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위치로부터 이격되므로, 제1 링크 기구(31)의 샤프트 부분(32)의 운전자 시트 또는 전방 승객의 시트와의 저촉이 피해질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기구(41)는 기둥(10)에 승강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러므로, 여러 시험을 실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평 상태로 차량 구속 지그(12)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링크 기구(31)의 높이 위치로 제2 링크 기구(41)를 조정하도록 제2 링크 기구(41)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유익한 효과가 존재한다. 다른 구조 및 효과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의 구조 및 효과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
도 10과 도 11은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는 제1 실시예 모드의 제1 링크 기구(16) 대신에 제1 링크 기구(51)가 구비된다.
제1 링크 기구(51)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차량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20)를 연결하고 보강시키는 보강 지그(52)와, 차량 구속 지그(12)를 이 보강 지그(52)의 양 단부들 근처의 차량의 외부 후방 방향으로 전방향으로(omni-directionally)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지그(53)가 구비된다.
보강 지그(52)는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20)들을 연결하기 위한 가로 부재로 형성된다. 보강 지그(52)에는 그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 기구(54)가 구비된다. 보강 지그(52)는 차량 높이 방향으로 (예컨대, 일반적으로 차량 무게 중심(6)과 같은 높이로) 그의 배치가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20)들에 부착된다.
연결 지그(53)는 보강 지그(52)의 일 단부 근처에 장착되고 고정된 받침(pillow) 볼(55), 이 받침 볼(55)을 수용하기 위한 구형 베어링 부분(56), 및 차량 구속 지그(12)와 이러한 구형 베어링(57)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지그(57)로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의 예시적인 사용이 설명된다.
예컨대, 후방 시트 도어(121)들을 가지는 차량(1)에서, 먼저, 후방 시트 도어(121)들이 분리되는 상태 또는 개방된 후방 시트 도어(121)들이 도어 구속 지그(58)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차량(1)의 운전자 시트와 전방 승객의 시트의 도어(120)들이 분리되는 상태 또는 개방된 도어(120)들이 도어 구속 지그(58)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가 형성된다.
도어 구속 지그(58)로서, 흡입 컵들에 의해 고정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구속 지그들이 예시될 수 있다. 후방 시트 도어(121)들과 차량 구속 지그(12)들 사이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방식으로 고정을 달성하면 충분하므로, 공지의 후방 구속 지그는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후방 시트 도어(121)들과 차량 구속 지그(12)들 사이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방식으로 고정을 달성하면 충분하므로, 도어 구속 지그(58)의 배치 위치 및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차량(1)의 후방 측 위치로부터 차량(1) 내로 경사되어 삽입된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들은 차량(1) 내측에 부착된 제1 링크 기구(51)에서 양측 연결 지그(53)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지그(53)에 연결된 차량 구속 지그(12)는 차량(1)의 외부 후방 방향으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차량 무게 중심(6)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제2 링크 기구를 통해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어서, 차량 구속 지그(12)의 길이들은 길이 조정 기구(13)에 의하여 조정되고, 차량 구속 지그(12, 12)들 사이의 거리는 길이 조정 기구(15)에 의하여 조정된다. 더욱이, 바닥면 위의 베이스 부분(100)에서, 기둥(10)은 그 높이가 적절하게 조정되고, 차량(1)의 전후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의 배치, 및 차량 구속 지그(12)에 대한 연결 방향이 조정된다.
위와 같이, 차량(1)을 구속한 후, 차량(1)의 여러 시험들이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롤러(7)들을 회전시켜 실행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라,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는 제1 링크 기구(51)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조적으로,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제2 링크 기구(17)에 의하여 기둥(10)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유사하게, 차량(1)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구속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의 (병진적) 전후 운동이 제한되나, 차량의 (회전) 피칭 운동과 차량의 (병진) 수직 운동은 자유롭게 된다. 이와 함께, 연직 하중(vertical load)이 도로 위의 하중과 유사한 차량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가속과 감속 상태를 포함하여, 주행 상태에서의 하중과 같은 연직 하중이 타이어들에 부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차량 성능 시험들의 시험을 포함한 차량 거동 및 모드 동작에 의한 연료 소비 및 배기 가스 시험들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차량(1)의 후방 시트 도어(121)가 분리되거나 또는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1)의 후방 외측 위치로부터 연결 지그(53)를 통해 차량(1)의 보강 지그(52)의 일 단부 주위로 차량 구속 지그(12)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과 차량 구속 지그(12) 사이의 연결 위치를 차량(1)의 차량 무게중심(6) 주위로 조정하는 것은 후방 시트, 트렁크 룸,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해진다. 또한, 차량 시험 장치에 차량(1)을 적용할 때 필요하였던, 차량(1) 리모델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시험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12)들은 필라 부착 부재(20) 근처에서(본 실시예에서 보강 지그(52)의 양측 단부들 주변에서) 연결 지그(53)들에 의해 차량(1)의 외측 후방 방향으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가 삽입된 차량(1) 내 공간에 따라 차량 무게 중심(6) 근처 높이까지 차량 구속 지그(12)를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량(1)의 후방 시트, 트렁크 룸, 등과 물리적으로 저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차량 무게 중심(6)으로부터 멀리 있는 높이 위치에 차량을 구속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서 차량(1)의 시험시에 발생할 수 있고 도로 위에서 주행하는 것과는 다른, 차량(1)의 피칭 운동(예컨대, 과잉 선회(overswing))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1)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20)들은 보강 지그(52)에 의하여 연결되고 보강된다. 또한, 차량 구속 지그(12)가 연결 지그(53)를 통해 이러한 보강 지그(52)의 양측 단부들 주변에 연결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보강 지그(52)에 대한 차량 구속 지그(12)의 모멘트(토크)의 하중 인자가 감소된다. 이로써, 보강 지그(52)의 변형 및 필라 부착 부재(20)의 후속되는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지그(52)의 길이가 길이 조정 기구(54)에 의하여 조정가능하므로, 차량(1)의 크기에 따라 자유로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보강 지그(52)는 쌍을 이루는 필라 부착 부재(20)에서 차량(1)의 차량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므로, 차량(1)의 높이에 따라 차량 무게 중심(6) 근처 높이까지 보강 지그(52)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는 차량(1), 예컨대, 4개 도어 유형의 차량을 구속하는 데 효과적이다.
필라 부착 부재(20)가 그들의 구조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강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경우, 제1 링크 기구(51)는 반드시 보강 지그(52)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컨대, 연결 지그(53)의 받침 볼(55)이 필라 부착 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된 짧은 고정 샤프트에 장착 고정된다.
[제5 실시예]
도 12는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는 제4 실시예의 모드에 차량 구속 지그(12)와 제2 링크 기구(17) 사이의 구속 강도 검출기(29)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속 검출기(29)는 차량의 구속 강도를 검출한다. 구속 검출기(29)의 부착 위치는, 차량 구속 지그(12)와 제2 링크 기구(17) 사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차량(1)의 구속 강도가 확실히 검출될 수 있는 위치이면, 제2 링크 기구(17)와 기둥(10) 사이 또는 제1 링크 기구(16)와 시트벨트 고정 필라(2) 사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는 차량의 구속 강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4 실시예의 바람직한 효과에 부가해서 차량 스프링에 대한 특성의 평가/분석 및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3(A)와 13(B)는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동일한 모드를 가지지만, 단,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들이 차량(1)의 후방 내측 위치들로부터 차량 무게 중심(6) 근처 위치들에 있는 제1 링크 기구(51)를 통해 차량(1)의 한 쌍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들에 경사지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의 예시적인 사용이 설명된다.
예컨대, 시험 차량이 해치-백(hatch-back) 유형의 차량들로 예시된 후방 도어를 가지는 차량인 경우, 이 차량(1)의 후방 도어가 개방되고, 이 도어는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도어 구속 지그(58)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어서, 차량(1)의 후방 내측 위치들로부터 차량(1)에 경사지게 삽입된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단부들은 차량(1)의 내측에 부착된 제1 링크 기구(51)의 연결 지그(53)들에 연결된다. 이 연결 지그(53)에 연결된 차량 구속 지그(12)는 차량(1)의 내측 후방 방향으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일반적으로 차량 무게 중심(6)과 같은 높이 위치에서 제2 링크 기구(17)를 통해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12)의 길이들과 그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 길이 조정 기구(13, 15)들에 의하여 조정된다. 기둥(10)은 또한 높이, 전후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의 배치, 및 차량 구속 지그(12)에 대한 연결 방향에서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1)을 구속한 후, 차량(1)의 여러 시험들이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롤러(7)들을 회전시켜 실행된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는 경우에도,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는 제1 링크 기구(51)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대조적으로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제2 링크 기구(17)에 의하여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4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유사하게, 차량(1)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구속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의 (병진적인) 전후 운동은 제한되나, 차량의 (회전) 피칭 운동과 차량의 (병진) 수직 운동은 자유롭게 된다. 이로써, 그의 연직 하중이 도로 위의 하중에 유사한 차량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차량(1)의 후방 내측 위치로부터 차량(1)의 보강 지그(52)의 일 단부 주변에 차량 구속 지그(12)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무게 중심(6) 주변에 차량(1)과 차량 구속 지그(12) 사이의 연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용이해지고, 차량(1)의 후방 타이어 하우스, 후방의 도어 개방 부분, 등과의 물리적 저촉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차량 시험 장치에 차량(1)을 설치할 때 필요한 차량(1)의 리모델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시험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12)들이 필라 부착 부재(20)의 근처에서(이 실시예에서는 보강 지그(52)의 양측 단부들 주변에서) 연결 지그(53)에 의하여 차량(1)의 내측 후방 방향으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가 삽입되는 차량(1)의 공간에 따라 차량의 무게 중심(6) 근처 높이까지 차량 구속 지그(12)를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1)의 후방 타이어 하우스, 후방의 도어 개방 부분, 등과의 물리적 저촉을 피하기 위하여, 차량의 무게 중심(6)으로부터 멀리 있는 높이 위치에서 차량(1)을 구속하도록 강제되는 경우에 차량(1)의 시험시 발생할 수 있는, 그리고 도로 위의 주행과 다른, 차량(1)의 피칭 운동(예컨대, 과잉 선회)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1)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20)들은 보강 지그(52)에 의하여 연결되며, 연결 지그(53)를 통해 이러한 보강 지그(52)의 양 단부들 주변에서 차량 구속 지그(12)가 연결되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필라 부착 부재(20)들이 보강된다. 더욱이, 보강 지그(52)에 대한 차량 구속 지그(12)들의 모멘트(토크)의 하중 인자가 감소되므로, 보강 지그(52)의 변형과 후속되는 필라 부착 부재(20)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지그(52)의 길이가 길이 조정 기구(54)에 의하여 조정가능하므로, 차량(1)의 크기에 따라 자유로이 적용될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는, 예컨대, 두 개의 도어 유형의 차량(1) 또는 후방 도어를 가지는 차량(1)을 구속하기 위하여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역시, 필라 부착 부재(20)들이 그들의 구조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강성이 충분히 보장되는 경우, 제1 링크 기구(51)는 반드시 보강 지그(52)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경우 역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연결 지그(53)의 받침 볼(55)이 필라 부착 부재(20)에 형성된 짧은 고정 샤프트에 장착되고 고정되는 모드를 채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7 실시예]
도 14(A)와 14(B)는 제7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는 제6 실시예 모드의 제2 링크 기구(17)와 기둥(10) 사이의 구속 강도 검출기(29)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속 검출기(29)는 차량의 구속 강도를 검출한다. 구속 검출기(29)의 부착 위치는 제2 링크 기구(17)와 기둥(10) 사이로 한정되지 않으나, 차량(1)의 구속 강도가 확실히 검출될 수 있는 위치이면, 차량 구속 지그(12)와 제2 링크 기구(17) 사이 또는 제1 링크 기구(16)와 시트벨트 고정 필라(2) 사이, 등일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가 차량(1)의 구속 강도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6 실시예의 바람직한 효과에 부가해서 차량 스프링에 대한 특성 평가/분석 및 측정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8 실시예]
도 15, 16에 도시된 제8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제4 실시예 모드의 제1 링크 기구(51) 대신에 제1 링크 기구(71)가 구비된다.
제1 링크 기구(71)에는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에 부착된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72a)들과, 이러한 필라 부착 부재(72a)의 외면들에 부착된 연결 샤프트(73), 차량(1)의 외측 후방 방향의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차량 구속 지그(12)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 연결 샤프트(73) 위에 장착된 연결 지그(53)들, 및 필라 부착 부재(72a)들에 대해 연결 샤프트(73)를 가압하고 고정하는 가압 부재(74)가 구비된다.
필라 부착 부재(72a)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에 이러한 필라 부착부재(72a)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25)들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24a)들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필라 부착 부재(72a) 위에 가압 부재(7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25)들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24b)들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필라 부착 부재(72a)에서, 연결 샤프트(73)의 배치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의 예시적인 사용이 설명된다.
먼저, 차량(1)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 위에, 후방 시트 도어들과 도어 힌지 금속 부재들을 부착하기 위한 부분으로부터, 도어 및 힌지 금속 부재들이 제거된다.
다른 한편, 그 위에 장착 고정되는 연결 지그(53)를 가지는 연결 샤프트(73)는 필라 부착 부재(72a)의 외면에 돌출하여 배치된다. 더욱이, 이러한 연결 샤프트(73)가 가압되는 상태에서 가압 부재(74)는 필라 부착 부재(72a) 위에 고정된다.
다음에, 필라 부착 부재(72a)의 나사 구멍(24a)들이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 위의 부착 부분(70)의 나사 구멍(23)에 합치되는 상태에서, 나사(25)는 이들 나사 구멍(23, 24a)들 내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필라 부착 부재(72a)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 위에 고정되고, 이로써 외면(2b)에 제1 링크 기구(71)를 고정한다. 차량(1)의 후방 외측 위치로부터 차량(1) 내로 경사지게 삽입된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단부는 도 15(C)의 차량 무게 중심(6)에 근접하여 위치된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에 부착된 제1 링크 기구(71)의 연결 지그(53)에 연결된다. 연결 지그(53)에 연결된 이러한 차량 구속 지그(12)는 연결 지그(53)의 받침 볼(55)(도 10)에 의하여 차량(1)의 외측 후방 방향으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 구속 지그(12, 12)들의 길이는 길이 조정 기구(13)에 의하여 조정된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12, 12)의 다른 단부들은 차량 무게 중심(6)과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제2 링크 기구(17)를 통해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어서, 바닥면 위의 베이스 부분(100)에서, 기둥(10)은 그의 높이, 차량(1)의 전후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의 배치, 및 차량 구속 지그(12)에 대한 연결 방향의 측면에서 적절하게 조정된다.
위와 같이, 차량(1)을 구속 후에, 차량(1)의 다양한 시험들이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롤러(7)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는 제1 링크 기구(51)에 의하여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한편으로,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는 제2 링크 기구(17)에 의하여 기둥(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4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와 유사하게 바람직한 효과를 달성한다. 즉, 확실하고 강력하게 차량(1)을 구속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의 (병진) 전후 운동은 제한되나, 차량의 (회전) 피칭 운동과 차량의 (병진) 수직 운동은 자유로워 진다. 이로써, 도로 위의 하중에 유사한 연직 하중을 가지는 차량의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시험 차량이 후방 시트 도어(121)들을 가지는 차량인 경우, 후방 시트 도어(121)들은 제거되고, 제1 링크 기구(71)는 차량(1)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에 부착되고,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측 단부들은 이들 제1 링크 기구(71)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모드에 따르면, 차량(1)을 시험할 때, 운전자의 시트 및/또는 전방 승객의 시트를 자유로이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종 휠과 운전자 시트 사이의 거리를 자유로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의 신체 유형, 측정 기구 설비, 등에 기인하여 조종 휠과 운전자 시트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경우, 차량(1)의 시험 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운전자의 시트 위치를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필라 부착 부재(72a)에서 차량(1)의 차량 높이 방향으로 연결 샤프트(73)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의 크기에 따라 차량의 무게중심(6) 근처의 높이까지 연결 샤프트(73)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7, 18 도시와 같이, 필라 부착 부재(72a) 대신에, 필라 부착 부재(72b)를 장착할 수 있다.
필라 부착 부재(72b)는 필라 부착 부재(72a)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도 17(B) 도시와 같이, 일 측 단부 위에 그의 긴 쪽 단부가 시트벨트 고정 필라(2) 근처에서 후방 위치(휠 베이스 방향)로 돌출한 상태로 이러한 필라 부착 부재(72b)는 필라(2)의 외면(2b)에 부착된다.
외측 후방 방향으로 차량 구속 지그(12)를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지그(53)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근처 후방 위치에서 필라 부착 부재(72b)의 외면으로 가압 부재(74)에 의하여 돌출 고정되는 연결 샤프트(73)에 부착된다. 이 모드의 연결 샤프트(73)의 배치는 또한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를 통한 차량(1)에서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서의 필라 부착 부재(72b)는 연결 샤프트(73)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조정가능한 보강 지그(52)와 연결되어 보강된다. 이 모드의 보강 지그(52)의 배치는 또한 차량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보강 지그(52)는 연결 샤프트(73)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도 17, 18의 실시예에서, 필라 부착 부재(72b)의 폭은 차량 휠의 베이스 방향(휠의 베이스 방향에 비스듬히)으로 넓어지며, 차량 구속 지그(12)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 근처의 후방 위치에서 필라 부착 부재(72b)의 외면 위에 차량(1)의 외측 후방 방향으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러므로, 도 15, 1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7, 18의 실시예에서 역시, 차량(1)을 시험할 때, 운전자 시트 및/또는 전방 승객의 시트를 자유로이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조종 휠과 운전자 시트 사이의 거리를 자유로이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을 통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서의 필라 부착 부재(72b)들은 길이가 조정가능한 보강 지그(52)에 의하여 연결되어 보강된다. 그러므로, 필라 부착 부재(72b)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보강 지그(52)와 연결 샤프트(73)들은 필라 부착 부재(72b)에서 차량(1)의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1)의 크기에 따라 차량 무게 중심(6) 근처의 높이까지 보강 지그(52)와 연결 샤프트(73)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 도 19, 20 도시와 같이, 연결 지그(53)들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 샤프트(73)는 필라 부착 부재(72b)의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모드의 연결 샤프트(73)의 배치는 차량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연결 샤프트(73)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근처에서 후방 위치에 대응하는 필라 부착 부재(72b)의 내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고정되며, 차량(1)에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서 필라 부착 부재(72b)를 연결하고 보강하는 보강 지그(52)에 연결된다.
도 17, 18의 실시예의 효과에 유사한 바람직한 효과가 이 실시예에서 역시 달성될 수 있음은 명확하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연결 샤프트(73)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74)는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링크 기구(71)들의 부품 수가 감소하고, 차량(1)에의 차량 구속 장치(11)의 조립 작동이 단순화된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 도 21, 22 도시와 같이, 전체 길이가 필라 부착 부재(72b)보다 더 넓고 전체 길이가 긴 필라 부착 부재(72c)는 연결 샤프트(73)와 보강 지그(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필라 부착 부재(72c)는 차량(1)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연결 지그(53)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샤프트(73)가 필라 부착 부재(72c)와 필라 부착 부재(72b)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나사(25)에 의하여 부착된다.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72c)들은 연결 샤프트(73)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조정가능한 보강 지그(52)에 연결되어 보강된다. 이러한 보강 지그(52)는 또한 연결 샤프트(들)(73)에 연결될 수 있다. 보강 지그(52)와 연결 샤프트(들)(73)의 배치는 차량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역시, 도 17, 18 실시예에 유사한 바람직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음은 명확하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그(53)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연결 샤프트(73)는 차량의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외면(2b)에 부착된 필라 부착 부재(72b)와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 필라 부착 부재(72c)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1)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필라 부착 부재(72c)는 길이가 조정가능한 보강 지그(52)에 연결되어 보강된다. 이로써, 차량 구속 지그(12)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링크 기구(71)는 강성이 향상된다.
[제9 실시예]
도 23-26들은 제9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는, 차량 구속 지그(12)들 대신에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12)보다 더 짧은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82)를 가지고, 기둥(10) 대신에 차량 외부 고정 장치(83)들이 구비된, 제4 내지 제7 실시예들의 모드가 구비된다.
도 23, 24 도시와 같이, 쌍으로서의 차량 구속 지그(82)들은 각각 일 측 단부에서 후방 시트 도어(121)를 가지는 차량(1)의 좌우측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 필라 부착 부재(20)의 제1 링크 기구(51)에 연결되고, 다른 측 단부들에서 차량(1)의 후방 시트 룸(122)에 구비된 링크 기구(84)에 연결된다.
제1 링크 기구(51)의 보강 지그(52)의 배치는 필라 부착 부재(20)의 차량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제1 링크 기구(51)의 설명과 그 요소로서의 연결 지그(53)의 구조와 기능은 도 4와 연관된 제4 실시예의 연결 지그(53)의 구조와 기능 및 제1 링크 기구(51)에 따른다.
한 쌍으로서의 차량 외부 고정 장치(83)는 차량의 좌우측 후방 시트 도어(121)들 근처에서 바닥면에 장착되고 후방 시트 도어(121)들의 구멍 부분(123)을 통해 링크 기구(84)를 지지한다.
도 25 도시와 같이, 링크 기구(84)에는 후방 시트 도어(121) 쪽에 차량(1)의 후방 시트 룸(122)에 수직으로 대향해서 배치된 한 쌍의 좌우측 부착 부재(85)들과, 이러한 부착 부재(85)들을 연결하고 보강하며 길이가 조정가능한 제1 보강 지그(86), 및 차량 구속 지그(82)들의 다른 단부들을 이러한 제1 보강 지그(86)의 양측 단부들 주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지그(53)들이 구비된다.
차량(1)에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부착 부재(85)들에 대한 배치가 차량(1)의 높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제1 보강 지그(86)가 부착된다. 연결 지그(53)의 받침 볼(509)(도 10)은 우선 제1 보강 지그(86)의 일 단부 주위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다른 한편, 서로 대향되는 쌍으로서의 부착 부재(85)들은 더욱이 길이가 조정가능한 제2 보강 지그(87)에 의해 보충적으로 연결되어 보강된다.
차량 고정 장치(83)에는 차량(1)에서 링크 기구(84)의 한 쌍의 부착 부재(85)들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831)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 부재(831)의 쌍은 차량 외부 고정 장치(83)의 주 몸체에 의해 소유되는 수평 지지 부재(832)들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되고, 차량(1)의 후방 시트룸(122)에 점유된 연결 보강 부재(833)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보강된다.
제1 내지 제8 실시예의 기둥(10)에 유사하게, 차량 외부 고정 장치(83)는 바닥면(9)에 장착되어 그의 위치는 차량 폭 방향, 차량 길이 방향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든 조정가능하다.
도 23-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의 예시적인 사용이 설명된다.
먼저, 차량 구속 지그(82)의 일 단부가 제1 링크 기구(51)의 연결 지그(53)에 연결된 필라 부착 부재(20)는 시트벨트 고정 필라(2)의 내면(2a)에 부착된다. 이로써, 차량 무게 중심(6)의 근처에서, 차량 구속 지그(82)는 차량(1)에서 후방의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차량 구속 지그(82)의 다른 측 단부는 차량의 무게 중심(6)과 일반적으로 같은 높이 위치에서 후방 시트 룸(122)에 지지된 링크 기구(84)의 연결 지그(53)에 연결된다. 이어서, 차량 구속 지그(82, 82)들이 길이 조정 기구(13)에 의하여 길이가 조정된다. 더욱이, 차량 외부 고정 장치(83)의 위치는 차량 폭 방향, 차량 길이 방향 및 차량 높이 방향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도 조정된다. 위와 같이, 차량(1)을 구속 후에, 차량(1)의 다양한 시험들이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롤러(7)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시행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제6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유사하게, 차량(1)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구속할 수 있다. 차량의 (병진적인) 전후 운동이 구속되고, 그러나 차량의 (회전) 피칭 운동 및 차량의 (병진적인) 수직 운동은 자유롭게 된다. 이로써, 그의 연직 하중이 도로 위의 하중과 유사한 차량의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제6 실시예의 바람직한 효과에 부가해서, 시험 차량이 후방 시트 도어(121)들을 가지는 차량(1)인 경우, 차량 구속 지그(82)의 다른 단부가 연결되는 링크 기구(84)는 후방 시트 도어(121)의 개구 부분(123)을 통해 차량 외부 고정 장치(8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므로, 차량 시험에 사용되는 차량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강 지그(52)와 제1 보강 지그(86)가 각각 필라 부착 부재(20)와 부착 부재(85)에 차량(1)의 높이 방향에서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의 크기에 따라 차량의 무게 중심(6) 근처의 높이까지 보강 지그(52)와 제1 보강 지그(86)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82)의 다른 단부들은 연결 지그(53)를 통해 이러한 제1 보강 지그(86)의 양측 단부들 주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 보강 지그(86)에 대한 차량 구속 지그(82)의 모멘트(토크)의 하중 인자는 감소된다. 이로써, 제1 보강 지그(86)의 변형을 방지하고 따라서 부착 부재(85)의 변형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쌍을 이루는 부착 부재(85)들의 사이에는, 추가로 길이가 조정가능한 제2 보강 지그(87)가 있어서, 이들은 보충적으로 연결되어 보강된다. 부착 부재(85)들이 보강될 때, 제1 보강 지그(86)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6 도시와 같이, 제5 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 구속 지그(82)에는 구속 강도 검출기(29)가 구비됨이 유익하다. 이러한 모드에 따라, 차량(1)의 구속 강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구속 강도의 측정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구속 지그(82)에는 이러한 지그(82)의 자연적인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진동 감쇠 장치(89)가 구비되는 것이 유익하다. 진동 감쇠 장치(89)로서,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편심적으로 또는 동축이 아니도록 부착된 공지의 진동 감쇠 장치가 예시된다.
진동 감쇠 장치(89)에는 차량 구속 지그(8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부착 부재(89a), 이 부재(89a)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고무와 스프링 같은, 탄성 부재(89b), 및 무게가 조정가능하고 이 부재(89b)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웨이트(weight)(89c)가 구비된다.
동일한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의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82)의 자연 진동이 감쇠된다. 그러므로, 구속 강도 검출기(29)는 차량 구속 지그(82)의 효과가 감소된 구속 강도의 측정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 27과 도 28은 제10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제1 내지 제9 실시예들에서 샤시 다이나모미터에 의하여 차량(1)의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휨을 흡수하는 휨 흡수(deflection absorbing) 기구(90)가 구비된다.
도 27 도시의 휨 흡수 기구(90)에는 시험에서 중력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에 탄성 접촉하도록 하는 완충 소재(900)를 가지는 지그 수용 부분(901), 및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러한 지그 수용 부분(901)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902)이 구비된다. 완충 소재(900)로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공지의 탄성 부재로 제조된 후판, 등이 적용된다.
지지 부분(902)은 차량(1)의 차량의 폭 방향, 차량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나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바닥면(9)에 장착된 베이스 부분(903)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위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9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효과에 부가해서, 휨 흡수 기구(90)를 배치한 결과, 완충 소재(900)는 샤시 다이나모미터에 의한 차량(1)의 시험시 중력 방향으로 휘어지는 구속 지그(12, 82)들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컨대, 제동 작동 시험, 등에 의해 차량(1)의 급속 감속의 결과로서 차량 구속 지그(12, 82)가 휘어져도, 이러한 휨은 지그 수용 부분(901) 위의 완충 소재(900)에 의하여 흡수된다. 그러므로, 측정 신호에 대한 구속 강도 검출기(29)의 구속 강도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버클링에 의하여 야기된 제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그 수용 부분(901)은 차량 구속 지그(12, 82) 아래 (중력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러므로, 어느 방향으로나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휨에 반응할 수 있고 이러한 휨을 흡수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8 도시와 같이, 지그 수용 부분(901)에는 수평 방향으로 휨을 가지는 차량 구속 지그에 탄성 접촉되는 완충 소재(900)를 가지는 한 쌍의 수용 부분(904)이 구비된다. 이 모드(실시형태)에 따라, 중력 방향 및 차량의 폭 방향으로의 휨에 대한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충격은 완충 소재(900)에 의하여 확실히 흡수된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보다 감소된 영향을 가지면서 구속 강도의 측정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클링 현상에 의한 차량 구속 지그(12, 82)들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9 도시와 같이, 이 실시예도, 제9 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진동 감쇠 장치(89)를 분리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런 모드에 따르면, 차량(1)의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82)의 자연 진동은 감쇠된다. 그러므로, 구속 강도 검출기(29)가, 차량(1)의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82)의 효과가 감소된 구속 강도의 측정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11 실시예]
도 30은 제11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샤시 다이나모미터에 의한 차량(1)의 시험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자연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진동 감쇠 장치(89)가 구비된다.
도 30 도시와 같이, 진동 감쇠 장치(89)로서,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편심되게 또는 비-동축적으로 부착된 진동 감쇠 장치가 예시된다.
도 30(A)에 도시된 진동 감쇠 장치(89)에는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부착 부재(891)와, 이 부착 부재(891)의 하단부 부분(891c)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탄성 부재(892), 그 일 단부에서 이러한 탄성 부재(89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길이가 조정가능한 샤프트 부분, 및 이 샤프트 부분의 다른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무게가 조정가능한 웨이트 부분(894)이 구비된다.
부착 부재(891)에는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상단부 부분(891a)과, 이러한 상단부 부분(891a)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주 몸체 부분(891b), 및 이 주 몸체 부분(891b)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하단부 부분(891c)이 구비된다.
주 몸체 부분(891b)은 상단부 부분(891a)(차량 구속 지그(12, 82)의 부착 위치) 둘레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단부 부분(891a)으로서, 전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예컨대, 받침 볼이 그의 상단부에 구비된 것이 적용된다.
주 몸체 부분(891b)은 상단부 부분(891a)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그러므로, 다른 길이들을 가진 주 몸체 부분(891b)들로부터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주 몸체 부분(891b)에는 길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면, 주 몸체 부분(891b)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하단부 부분(891c)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예컨대, 주 몸체 부분(891b)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록 하는 암나사 부분이 형성된 것이 하단부 부분(891c)으로서 설치되면, 하단부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탄성 부재(892)로서, 예컨대, 공지의 진동 차단 댐퍼에 적용되는 탄성 고무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적용된다. 샤프트 부분(893)으로서, 예컨대, 탄성 부재(892)와 나사 결합되고 길이가 조정가능한 나사 샤프트가 적용된다. 웨이트 부분(894)으로서, 예컨대, 샤프트 부분(893)에 나사 결합되는 공지 형상의 분리가능한 웨이트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위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감쇠 장치의 배치에 기인하여,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의 유익한 효과에 부가해서, 차량(1)의 시험에서 발생하는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자연 진동은 감쇠된다. 그러므로, 구속 강도 검출기(29)가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효과가 감소된 구속 강도의 측정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시험에 사용된 차량(1)이 급속하게 가속되거나 감속되는 경우도,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자연 진동(고유진동)의 감쇠율(damping factor)은 진동 감쇠 장치(89)에 의해 감소되고,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진폭 시간(amplitude time)이 단축된다. 그러므로, 측정 신호들에 대한 구속 강도 검출기(29)의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봉-형상(rod-shaped) 부재의 자연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종래의 진동 감쇠 장치로서, 특허 공보 4 내지 7에 개시된 진동 감쇠 장치가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들 진동 감쇠 장치는 일 단부가 자유 단부이며 이러한 봉-형상의 부재에 동심으로 또는 동축으로 부착된 구조를 가지는 봉-형상 부재의 자연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그러므로, 양측 단부들이 고정된 차량 구속 지그(12, 82)와 같은, 봉-형상 부재의 자연 진동이 특허 공보 4 내지 7의 진동 감쇠 장치에 의하여 감쇠되는 경우, 감쇠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중량을 교체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차량 구속 지그(12, 82)로부터 이격되도록 진동 감쇠 장치(89)를 편심으로 또는 비동축적으로 그리고 분리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 단부들이 고정되므로 자연 주파수의 조정이 어려운 차량 구속 지그(12, 82)와 같은 봉-형상 부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부착 후에도, 웨이트(894)의 중량 조정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자연 진동 주파수와 감쇠율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진동 감쇠 장치(89)에서, 상단부(891a)가 차량 구속 지그(12, 82)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부착 부재(891)는 구성되고, 주 몸체 부분(891b)은 상단부 부분(891a)으로부터 분리가능하며, 하단부 부분(891c)은 주 몸체 부분(891b)으로부터 분리가능하고, 탄성 부재(892)는 하단부 부분(891c)으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샤프트 부분(893)은 탄성 부재(892)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웨이트 부분(894)은 샤프트 부분(893)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 82)에의 상단부 부분(891a)의 부착 위치, 주 몸체 부분(891b), 샤프트 부분(893) 및 탄성 부재(892)의 길이, 탄성 부재(892)의 탄성력, 및 웨이트(894)의 중량을 자유로이 그리고 별개로 설정할 수 있게 되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자연 진동 주파수의 신축적 조정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하단부 부분(891c)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조정 효과가 보다 향상된다.
도 30(B) 도시와 같이, 탄성 부재(892)가 기존의 탄성 부재(892)에 대향하도록 부착 부재(891)의 하단부 부분(891c)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그리고 부가적으로 부착되고, 길이가 조정가능한 샤프트 부분(893)은 이 탄성 부재(892)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중량이 조정가능한 웨이트 부분(894)은 이러한 샤프트 부분(893)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것이 유익하다. 이 모드에 따라, 자연 진동 주파수의 조정 범위 및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감쇠율이 더욱 증가된다.
위에서 설명된 진동 감쇠 장치(89)는 차량 구속 지그(12, 82)의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차량 구속 지그(12, 82)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진동 감쇠 장치는 진동 현상을 생성하는 다른 봉-형상 부재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그러한 다른 부재들의 자연 진동을 감쇠한다.
[제12 실시예]
도 31과 도 32는 제1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추가로 제1 내지 제11 실시예의 어느 모드에서의 샤시 다이나모미터에 의한 차량(1)의 시험시에 발생되는 차량(1)의 횡방향 편차(lateral deviation)를 억제하는 횡방향 편차 억제 기구(61)가 구비된다.
횡방향 편차 억제기구(61)는 전방 휠 측 위치들에서 한 쌍의 좌우측 기구들로서 그리고 차량(1)의 후방 휠측 위치들에서 한 쌍의 좌우측 기구들로서 배치된다. 특히, 제4 내지 제5 실시예들에서, 차량 구속 지그(12)와 저촉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횡방향 편차 억제기구(61)에는 차량(1)의 몸체에 탄성 접촉되는 완충 소재(62), 완충 소재(62)의 배치가 차량(1)의 폭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완충 소재(6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이러한 지지부재(63)에 부착된 지지 부분(64)을 구비한다.
완충 소재(62)는 스폰지나 공기 볼들을 충진하여 형성된다. 차량 구속 지그(12)에 유사하게, 지지 부재(63)와 지지 부분(64)은 판재 및 금속 튜브 소재와 같은 차량(1)의 횡방향 힘을 제한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를 가지며, 강판과 같은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제조된다.
도 32 도시와 같이, 지지 부재(63)는 지지 부분(64)에 고정된 수평지지 부재(65)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된다. 다른 한편, 지지 부분(64)은 차량(1)의 차량의 폭 방향, 차량의 길이 방향 및 차량 높이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수직 장착부와 지지 부재(66)에 의하여 바닥면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고정된다.
위의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횡방향 편차 억제 기구(61)가 배치된다. 따라서, 샤시 다이나모미터에 의한 차량(1)의 시험에서 발생하는 차량(1)의 횡방향 편차(횡방향 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피칭 및 수직 운동을 제외하고 차량(1)의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샤시 다이나모미터의 차량 구속 장치로서, 예컨대, 특허 공보 1-3에 개시된 차량 구속 장치들 외에, 특허 공보 8, 9에 개시된 차량 고정 장치가 공지된다. 특허 공보 8의 차량 고정 장치에서, 시험 차량의 고정 기구는 차량의 4 코너들의 상응하는 부분들에 배치된다. 특허 공보 9의 차량 고정 장치는 시험 차량의 전후측을 고정하기 위한 정지 바(bar)와 시험 차량의 좌우측을 고정하기 위한 횡방향 홀딩 부분들을 구비한다.
특허 공보 8, 9의 차량 고정 장치에서, 시험 차량의 전방, 후방, 좌우가 일반적으로 완전히 고정된다. 그러므로, 차량 피칭 운동이 불필요하게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특허 공보 1-3에 유사하게, 도로 위의 차량 거동과 유사한 차량 거동이 재생될 수 없는 경우들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제1 내지 제11 실시예들의 차량 구속 지그(12)와 횡방향 편차 억제 기구(61)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이로써, 차량 피칭 운동의 이완을 확보하면서, 차량(1)의 시험에서 발생하는 차량(1)의 횡방향 힘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도로 위의 연직 하중에 유사한 연직 하중을 가지는 차량의 거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한 쌍의 좌우측 횡방향 편차 억제 기구(61)가 차량(1)의 전방 휠 측 위치와 후방 휠 측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로써, 차량(1)의 좌우측 전방 펜더(fender) 부분 근처의 위치에서 및 좌우측 후방 펜더 부분 근처 위치에서의 차량(1)의 횡방향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상적으로, 차량(1)의 전방에 장착된 차량(1)의 엔진 냉각용 냉각팬 방열 포트와 저촉하지 않고 운전이 가능하다. 더욱이, 탑승, 등의 시기에 차량(1)의 도어 개방 및 닫힘과 저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량(1)에 측정 장비를 장착하는 경우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횡방향 편차 억제 기구(61)에서, 완충 소재(62)는 차량(1)의 주 몸체에 탄성 접촉된다. 그러므로, 차량(1)의 피칭 운동과의 저촉하는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완충 소재(62)의 배치 위치는 지지 부재(63)들에 의하여 차량의 폭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그러므로, 차량(1)의 차량 폭에 따라 완충 소재(62)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지지 부분(64)의 배치 위치를 차량 길이 방향과 차량 높이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의 차량 폭, 차량 길이 및 차량 높이에 따라 완충 소재(62)의 배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제13 실시예]
도 33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제1 내지 제12 실시예들의 어느 모드에 따른 제2 링크 기구(17) 대신에 이하의 제2 링크 기구(커플링 기구)가 구비된다.
제2 링크 기구(501)는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를 기둥(10)에, 이러한 차량 구속 지그(12)의 요잉 운동(도 33의 화살표(Y)에 의하여 도시된 수평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연결한다.
제2 링크 기구(501)에는 기둥(10)에 구비되는 브래킷 부분(502)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분(125)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503)과, 이 샤프트 부분(503)에 장착되고 브래킷 부분(502) 내에 고정된 받침 볼(구형 슬라이드 베어링)(504)이 구비된다.
더욱이, 너트들과 같은 패스너(505)들이 브래킷 부분(125)으로부터의 샤프트 부분(503)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샤프트 부분(503)의 양단부들에 장착된다.
위의 제2 링크 기구(501)가 구비된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제1 내지 제12 실시예들의 유익한 효과에 부가해서 이하의 유익한 효과가 달성된다.
바닥면(9) 위의 기둥(10)의 베이스 부분(100)의 배치의 확실한 조정 없이, 받침 볼(504)에 의한 기둥(10)의 브래킷 부분(502)에 대한 차량 구속 지그(12)의 설정 각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구속 장치(11)를 부착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특허 공보 10에 개시된 종래의 차량 구속 장치에서, 기둥의 임의 위치에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체인이 연결되는 후크를 구비한 가동성 금속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드 베어링을 제공함으로써, 기둥의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축으로서의 기둥 둘레로 가동성 금속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구속 장치에서, 가동성 금속 부재가 한번 기둥에 고정되면, 기둥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었다. 더욱이, 차량의 요잉 운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량을 기둥들에 연결 후, 차량의 가동 범위가 기둥의 과잉-회전과 같은 보호 조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정되거나 제한된다. 즉, 차량의 요잉 운동은 상당히 제한된다. 더욱이, 차량을 구속 후의 주행 상태에서, 차량의 요잉을 고려하는 것이 역시 필요하다. 따라서, 체인과 기둥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의 일정 각도를 허용하는 경우, 갭과 같은 기계적인 유격이 증가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서, 차량 구속 지그(12) 측면의 브래킷 부분(125)에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503) 위에 장착된 받침 볼(504)은 기둥(10) 측면의 브래킷 부분(502)에 고정되므로, 샤프트 부분(503)과 브래킷 부분(502) 사이의 갭을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차량(1)과 바닥면(9) 위의 기둥(10)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의 차량(1)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바닥면(9)에서의 기둥(10)의 보호 조정에 부가해서 받침 볼(504)에 의한 차량 폭 방향으로의 차량(1)의 확대 회전에 기인하여, 받침 볼(504)의 가동 범위에서의 차량(1)의 요잉 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둥(10)의 브래킷 부분(502)과 차량 구속 지그(12)의 브래킷 부분(125) 사이의 샤프트(503)의 위치에서 받침 칼라(중간 부재)(506)들을 각각 장착하는 것이 유익하다. 브래킷 부분들(502, 125) 사이의 기계적인 유격이 추가로 제거되므로, 차량(1)과 기둥(10)을 훨씬 더 확실하고 강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시험자에 의하여 의도된, 도로상에서의 거동에 유사한 차량 거동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링크 기구(501) 대신에, 이하의 제2 링크 기구(커플링 기구)(50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링크 기구(501)에는 브래킷(126)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기둥(10)에 제공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507)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503)과, 샤프트 부분(503)에 장착되고 차량 구속 지그(12)의 브래킷 부분(126)에 고정되는 받침 볼(506)이 구비되며, 브래킷(126)은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에 이 지그(12)에 동축상으로 제공된다. 그러한 모드에 의하여, 이러한 차량 구속 지그(12)의 요잉 운동(도 34의 화살표(Y)에 의하여 도시된 수평방향으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차량 구속 지그(12)는 기둥(10)에 연결된다.
상기 쌍의 브래킷 부분(507)은 기둥(10)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502)의 일 단부에 고정된다. 브래킷 부분(507)으로부터 샤프트 부분(503)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샤프트 부분(503)의 양측 단부들에 패스너(505)들이 장착된다.
위의 제2 링크 기구(501)가 구비된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도 33의 제2 링크 기구(501)를 구비한 차량 구속 장치(11)의 효과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제2 링크 기구(501)에도, 기둥(1)의 브래킷 부분(502)과 차량 구속 지그(12)의 브래킷 부분(126) 사이의 샤프트(503) 위치에 각각 받침 칼라(중간 부재)(506)들을 장착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 모드에 따르면, 브래킷 부분(502, 126)들 사이의 기계적인 유격은 추가로 제거된다. 그러므로, 차량(1)과 기둥(10)을 더욱 확실하고 강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14 실시예]
더욱이, 제13 실시예의 제2 링크 기구(501) 대신에, 도 35 도시의 제2 링크 기구(커플링 기구)(501)를 대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링크 기구(501)는, 단지 받침 볼(504) 대신에 베어링(508)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3의 제2 링크 기구(501)와 실질적으로 같다.
즉, 제2 링크 기구(501)에는, 기둥(10)에 구비된 브래킷(502)을 통해 연장되고,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측 단부에 제공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125)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503), 및 이 샤프트 부분(503)에 장착되고 브래킷 부분(502) 내에 고정되는 베어링(508)이 구비된다.
베어링(508)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즉,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08)에는 샤프트 부분(503)에 장착된 내측 베어링 부분(581)과, 브래킷 부분(502)에 고정된 외측 베어링 부분(582), 및 내측 베어링 부분(581)과 외측 베어링 부분(582)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583)가 구비된다. 완충 소재로서의 탄성 부재(583)는 예컨대 탄성 합성 고무로 형성된다.
그러한 제2 링크 기구(501)의 모드에 의하여, 이러한 차량 구속 지그(12)는, 이 차량 구속 지그(12)의 요잉 운동(도 35의 화살표(y)에 의하여 도시된 수평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기둥(10)에 연결된다.
제13 실시예의 효과에 유사한 유익한 효과가 위의 제2 링크 기구(501)를 구비한 차량 구속 장치(11)에 의하여 역시 달성될 수 있다.
즉, 바닥면(9) 위의 기둥(10)의 베이스 부분(100)의 배치의 엄격한 조정 없이, 탄성 부재(583)를 구비한 베어링(508)에 의하여 기둥(10)의 브래킷 부분(502)에 대해 차량 구속 지그(12)의 장착 각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구속 장치(11)를 부착하기 위한 조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차량 구속 지그(12) 측면에 브래킷 부분(125)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503) 위의 베어링(508)은 기둥(10) 측의 브래킷 부분(502)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베어링(508)의 탄성 부재(583)의 완충 소재 특성에 의하여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매우 작은 운동만이 허용된다. 더욱이, 차량 구속 지그(12)에서 비교적 큰 토션 각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와 기둥(10)이 연결될 때, 차량 구속 지그(12)와 기둥(10)에 대한 응력 하중이 감소된다. 이어서, 바닥면(9) 위의 기둥(10)의 보호 조정에 부가해서, 차량 폭방향으로의 회전은 탄성 부재(583)에 의하여 확장되고, 탄성 부재(583)의 완충 소재 특성에 의하여 차량(1)의 요잉 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시험자에 의하여 의도된, 도로 위의 거동과 유사한 차량 거동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된 제2 링크 기구(501) 대신에, 도 36의 제2 링크 기구(커플링 기구)(501)를 대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모드(실시형태)의 제2 링크 기구(501)는 받침 볼(504) 대신에 베어링(508)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4의 제2 링크 기구(501)와 실질적으로 같은 모드를 가진다.
즉, 도 36의 제2 링크 기구(501)에는, 차량 구속 지그(12)의 다른 단부 측면에 이 지그(12)에 동축이도록 구비되는 브래킷 부분(126)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그리고 기둥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507)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503)과, 이 샤프트 부분(503)에 장착되고 차량 구속 지그(12)의 브래킷 부분(126)에 고정된 베어링(508)이 구비된다. 그러한 모드에 의하여, 이 차량 구속 지그(12)는 요잉 운동(도 36의 화살표(Y)에 의하여 도시된 수평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기둥(10)에 연결된다.
위의 제2 링크 기구(501)를 구비한 차량 구속 장치(11)에 따르면, 도 34의 제2 연결 기구를 구비한 차량 구속 장치(11)의 효과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유익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도 33의 브래킷 부분(502) 또는 도 34의 브래킷 부분(126)에는 받침 볼(504) 대신에 도 38에 도시된 받침 볼 부시에 의하여 예시된 탄성 부재(593)가 구비된 받침 볼(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이 구비된다.
받침 볼(509)에는 샤프트 부분(503)에 장착되고 구형 외부 둘레면을 가지는 내측 슬리브 부분(591)과, 브래킷 부분(502, 126)의 하나의 단부에 연결된 외측 슬리브 부분(592), 및 내측 슬리브 부분(591)과 외측 슬리브 부분(592)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593)가 구비된다.
이 받침 볼(509)이 설치되는 제2 링크 기구에 따르면, 도 33 및 도 34의 차량 구속 지그(12)들에서 비교적 큰 토션 각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3 실시예(도 33 및 도 34의 모드)의 바람직한 효과에 부가해서, 차량 구속 지그(12)와 기둥(10)이 연결될 때, 차량 구속 지그(12)와 기둥(10)에 대한 응력 하중이 감소된다.
더욱이, 보강 지그(52)와 제1 보강 지그(86)양 단부 둘레에 또는 보강 지그(52)와 도 25의 제1 보강 지그(86)의 어느 하나에 연결된 연결 지그(53)에는 도 38의 받침 볼(509)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10-14, 20 및 23의 보강 지그(52)의 양측 단부들 둘레에 연결된 연결 지그(53) 또는 도 15, 17, 19 및 21의 연결 샤프트(73)에 연결된 연결 지그(53)에는 도 38의 받침 볼(509)이 구비됨이 유익하다. 이어서, 차량 구속 장치(11)에는 이러한 연결 지그(53)와 도 33-36의 제2 링크 기구(501) 및 상기 설명한 받침 볼(509)을 가지는 브래킷 부분(502, 126)의 어느 하나의 결합이 구비된다.
받침 볼(509)이 상기 설명한 보강 지그(52) 및/또는 제1 보강 지그(86) 또는 상기 설명한 연결 샤프트(73)의 양측 단부들 주위에 장착된다. 즉, 받침 볼(509)에는 보강 지그(52) 및/또는 제1 보강 지그(86) 또는 연결 샤프트(73)의 양측 단부들 둘레에 장착되고 구형 외부 둘레면을 가지는 내측 슬리브 부분(591)과, 차량 구속 지그(12)의 일 단부 또는 차량 구속 지그(82)의 일 단부 또는 다른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 지그(53)의 연결 지그(57)에 연결된 외측 슬리브 부분(592), 및 내측 슬리브 부분(591)과 외측 슬리브 부분(592)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 합성 고무로 제조된 탄성 부재(593)를 구비한다.
위의 받침 볼(509)을 구비한 모드에 따르면, 차량 구속 지그(12, 82)에서 보다 더 상대적으로 큰 토션 각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구속 지그(12, 82)와 보강 지그(52), 제1 보강 지그(86)와 연결 샤프트(73)를 연결할 때,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효과들에 부가해서, 차량 구속 지그(12, 82), 보강 지그(52), 제1 보강 지그(86) 및 연결 샤프트(73)에 대한 응력 부하가 감소된다.

Claims (19)

  1.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의 좌우 시트벨트 고정 필라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구속장치.
  2.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기둥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상기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상기 브래킷 부분에 고정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장치.
  3.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기둥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상기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브래킷 부분에 고정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장치.
  4.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기둥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상기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상기 브래킷 부분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를 가지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장치.
  5.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다른 측 단부에 구비된 브래킷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기둥에 구비된 한 쌍의 브래킷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샤프트 부분; 및
    상기 샤프트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브래킷 부분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를 가지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장치.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기 브래킷과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브래킷 부분 사이의 상기 샤프트 부분의 위치에 중간 부재가 장착된 차량 구속 장치.
  7. 후방 시트 도어들을 가지며 차량 시험 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 장치로서:
    상기 차량의 차량 무게 중심 근처에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상기 차량의 후방 시트 룸에 연결된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다른 측 단부 들이 연결된 링크 기구; 및
    상기 차량의 좌우 후방 시트 도어들 근처에서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시트 도어들의 열린 부분들을 통해 상기 링크 기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차량 외부 고정 기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차량의 상기 후방 시트 룸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차량 외부 고정 기구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좌우 부착 부재들;
    상기 쌍의 부착 부재들을 연결하고 보강하는 제1 보강 지그;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요잉 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둘레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지그를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그는 상기 제1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근처에 장착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시트벨트 고정 필라들에 부착된 한 쌍의 필라 부착 부재들;
    상기 쌍의 필라 부착 부재들을 연결하고 보강하며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보강 지그;
    상기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둘레로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일 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지그; 및
    상기 보강 지그의 양 단부들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 지그에 구비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들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좌우 시트벨트 고정 필라들에 부착된 연결 샤프트;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상기 일 측 단부를 상기 연결 샤프트에 연결하는 연결 지그; 및
    상기 연결 지그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에 장착된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1. 청구항 2, 3, 8, 9, 1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슬라이드 베어링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5 및 청구항 7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험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의 시험시 발생하는, 상기 차량의 횡방향 편차를 억제하는 횡방향 편차 억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편차 억제기구는:
    상기 차량의 차체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완충 소재;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상기 완충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부착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4.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 및
    상기 차량 시험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시험시 발생하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휨(deflection)을 흡수하는 휨 흡수 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5 및 청구항 7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험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시험시 발생하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휨(deflection)을 흡수하는 휨 흡수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휨 흡수 기구는:
    중력 방향으로 휨을 가지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완충 소재를 가지는 지그 수용 부분; 및
    수평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지그 수용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7. 차량 시험장치의 롤러들 위에 배치된 차량을 구속하기 위한 차량 구속장치로서: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 측 단부들과 바닥면 위의 좌우측 기둥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측 단부들을 가지는 한 쌍의 차량 구속 지그들;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들에 상기 차량 구속 지그들의 상기 다른 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 및
    상기 차량 구속 지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차량 구속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시험시 발생하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8. 청구항 1 내지 5, 청구항 7 내지 10 및 청구항 1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속 지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차량 구속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시험시 발생하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의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 장치는:
    상기 차량 구속 지그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부착 부재;
    상기 부착 부재의 하단 부분 외측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일 단부를 가지며 길이가 조정가능한 샤프트 부분; 및
    중량이 조정가능하고 상기 샤프트 부분의 다른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웨이트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장치.
KR1020177036110A 2015-05-15 2016-04-22 차량 구속 장치 KR101871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0385A JP6032322B1 (ja) 2015-05-15 2015-05-15 車両拘束装置
JPJP-P-2015-100385 2015-05-15
PCT/JP2016/062728 WO2016185869A1 (ja) 2015-05-15 2016-04-22 車両拘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71A KR20180002871A (ko) 2018-01-08
KR101871681B1 true KR101871681B1 (ko) 2018-07-31

Family

ID=5731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110A KR101871681B1 (ko) 2015-05-15 2016-04-22 차량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32076B2 (ko)
JP (1) JP6032322B1 (ko)
KR (1) KR101871681B1 (ko)
WO (1) WO2016185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0403B1 (ja) * 2015-10-15 2017-03-08 株式会社明電舎 車両拘束装置
AT519997B1 (de) * 2017-05-26 2019-03-15 Seibt Kristl & Co Gmbh Ermittlung einer Fahrzeuglängsbeschleunigung am Prüfstand
CN109141917B (zh) * 2018-08-14 2020-10-27 合肥工业大学 消声室内转鼓试验台上车辆动态平衡拉紧方法及束紧装置
CN113091788A (zh) * 2021-04-06 2021-07-09 浙江汉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故障检测装置
DE102021129687A1 (de) * 2021-11-15 2023-05-17 Dürr Assembly Products GmbH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eines Fahrzeugs auf einem Fahrzeugprüfst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1189A (ja) 2000-10-23 2002-05-09 Meidensha Corp 車両拘束装置
JP2007132766A (ja) 2005-11-10 2007-05-31 Meidensha Corp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横振れ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866A (en) * 1982-09-22 1984-06-26 Barrigar Robert H Motor vehicle testing apparatus
JPS6156934A (ja) * 1984-08-28 1986-03-22 Toyota Motor Corp 車輌拘束装置
US4593557A (en) * 1985-02-26 1986-06-10 Uniroyal Tire Company, Inc. Tire testing apparatus
JPH0428045Y2 (ko) * 1986-05-29 1992-07-07
JPS6483743A (en) 1987-09-25 1989-03-29 Bridgestone Corp Vibration absorber
JPH01279131A (ja) 1988-04-28 1989-11-09 Nippon Cable Syst Inc クラッチ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系の防振装置
JPH0613473Y2 (ja) * 1988-05-17 1994-04-06 株式会社明電舎 車両の固定装置
US4862737A (en) * 1988-12-15 1989-09-05 Mts Systems Corporation Roadway loading simulator
JPH0645234Y2 (ja) 1989-03-13 1994-11-16 株式会社明電舎 車両の固定装置
US5111685A (en) * 1989-12-20 1992-05-12 Mts Systems Corporation Roadway simulator restraint
JPH0428045U (ko) 1990-06-26 1992-03-05
JP3175587B2 (ja) * 1996-05-21 2001-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拘束装置
JP2899566B2 (ja) 1996-08-29 1999-06-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バーの防振装置
JPH10307082A (ja) 1997-05-02 1998-11-17 Meidensha Corp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固定装置
JP2001080583A (ja) 1999-09-14 2001-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振構造型操縦桿
US6446501B1 (en) * 2000-09-08 2002-09-10 Smithers Scientific Services, Inc. Restrained vehicle dynamometer
JP4732911B2 (ja) 2006-02-07 2011-07-27 株式会社小野測器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固定装置
JP5027629B2 (ja) * 2007-11-27 2012-09-19 株式会社小野測器 車両固定装置及び車両固定方法
US8607626B2 (en) * 2008-03-03 2013-12-17 Mts Systems Corporation Restraint system for restraining a test article in a selected vertical position relative to a movable belt
WO2009154660A1 (en) * 2008-03-03 2009-12-23 Mts Systems Corporation Strut assembly
WO2010030974A1 (en) * 2008-09-12 2010-03-18 Mts Systems Corporation Autopilot system for use in a wind tunnel
JP5141651B2 (ja) * 2009-08-04 2013-02-13 株式会社明電舎 車両固定構造
DE102012014893B4 (de) * 2012-07-27 2014-09-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rüfsystem zur dynamischen und/oder zyklischen Belastungsprüfung einer Probe
CN105814425B (zh) * 2013-12-11 2018-10-09 株式会社明电舍 车辆约束设备
JP6090403B1 (ja) * 2015-10-15 2017-03-08 株式会社明電舎 車両拘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1189A (ja) 2000-10-23 2002-05-09 Meidensha Corp 車両拘束装置
JP2007132766A (ja) 2005-11-10 2007-05-31 Meidensha Corp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車両横振れ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32076B2 (en) 2020-08-04
JP6032322B1 (ja) 2016-11-24
JP2016217786A (ja) 2016-12-22
KR20180002871A (ko) 2018-01-08
WO2016185869A1 (ja) 2016-11-24
US20180299350A1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8278B2 (en) Vehicle restraining device
KR101871681B1 (ko) 차량 구속 장치
KR0146010B1 (ko) 차량 측면 충격을 모의실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266091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における振動減衰装置
WO2015087768A1 (ja) 車両拘束装置
JPH0843264A (ja) 車両拘束装置
US20030089541A1 (en) Truck cab suspension with lateral locating wheel
CN219348132U (zh) 一种二轮和四轮车辆跌落耐久试验台
JP5817902B1 (ja) 車両拘束装置
JP5880656B2 (ja) 車両拘束装置
KR20060003998A (ko) 진자 방식의 자동차 충돌 성능 시험 장치
CN111122173A (zh) 一种驾驶室白车身加载用的约束装置
JP5880655B1 (ja) 車両拘束装置
JP6187539B2 (ja) 車両拘束装置
WO2017183071A1 (ja) 車両拘束装置
JP5812161B1 (ja) 車両拘束装置
JP2016075528A (ja) 振動減衰装置
KR20180001127A (ko) 차량 샤시 모듈 시험 장치
CN214118839U (zh) 发动机检测仪减震装置
JPH106894A (ja)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CN113848109A (zh) 一种低地板转向架构架强度测试装置及系统
JPH018429Y2 (ko)
KR20090052007A (ko) 차량의 시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