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07B1 -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07B1
KR101870007B1 KR1020150032930A KR20150032930A KR101870007B1 KR 101870007 B1 KR101870007 B1 KR 101870007B1 KR 1020150032930 A KR1020150032930 A KR 1020150032930A KR 20150032930 A KR20150032930 A KR 20150032930A KR 101870007 B1 KR101870007 B1 KR 10187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mandrel
prepreg sheet
rear end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839A (ko
Inventor
요시노리 나카하타
다쿠지 가와무라
다카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6Incorporated in coherent impregnated reinforcing layers, e.g. by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0Thermosetting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303/00 - B29K2307/00, as reinforcement
    • B29K23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6Rods, e.g. connecting rods, rails, s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물고기가 걸렸을 때, 초릿대의 진동이 길게 이어지는 원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투대는,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관 형상으로 형성된 초릿대(10)를 갖고 있고, 초릿대(10)의 선단 영역에, 초릿대(10)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 비중이 3∼6배인 고비중재(20)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LONG CASTING FISHING ROD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OP SECTION OF LONG CASTING FISHING ROD}
본 발명은, 리그(rig)를 먼 곳에 투척하여 낚시를 할 때에 사용되는 원투대, 및 그러한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원투대는 리그를 먼 곳에 투척할 때 사용되며, 사빈이나 하천 등에서 낚시를 할 때에 사용된다. 이러한 낚시법에 사용되는 원투대로서, 리그를 가능한 한 멀리에 던져, 어신 감도를 양호하게 하도록,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키는 가이드의 배치를 고안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원투대를 사용하는 낚시에서는, 리그를 투척한 후, 낚싯줄에 텐션을 부여한 상태에서 원투대를 로드 홀더(낚싯대 걸이)에 기대어 세워 두고, 물고기가 걸렸을 때의 초릿대의 진동을 육안으로 보고 리그를 권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94344호
그런데, 원투대를 로드 홀더에 기대어 세워 두고, 초릿대를 육안으로 보아 물고기의 입질을 관찰하는 것이면, 초릿대는, 가능한 한 진동 감쇠율이 작은(긴 시간 진동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낚시꾼이 초릿대로부터 눈을 떼어도, 초릿대가 긴 시간 진동하고 있으면, 물고기의 입질을 놓치는 일이 적어져, 낚시 성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원투대를 세워 배열한 상태로 하는 경우, 모든 원투대의 초릿대를 항시 빠짐없이 보고 있는 것은 어려우므로, 물고기가 건드렸을 때, 시각으로 파악하기 쉽도록, 초릿대는 긴 시간 진동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투대를 잡은 상태에서는, 초리 부분으로부터 손잡이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은 입질이라도 초릿대는 오래 진동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지의 원투대의 초릿대는, 탄소 섬유나 글래스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프리프레그 시트(섬유 강화 수지 재료)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비중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고기가 걸렸을 때의 진동이 길게 이어지는 일은 없다. 즉,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로 낚시를 하는 경우, 초릿대의 진동을 손잡이 쪽에서 느껴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는 있지만, 그 진동은 길게 이어지지 않으므로, 로드 홀더에 기대어 세워 놓고 초릿대를 시인하는 낚시법에서는, 물고기의 입질을 놓쳐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작은 입질이 있었던 경우, 손잡이 쪽에서 진동을 잘 감지할 수 없어, 물고기의 입질을 놓쳐 버릴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물고기가 걸렸을 때, 초릿대의 진동이 길게 이어지는 원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초릿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초릿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원투대는,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관 형상으로 형성된 초릿대를 갖고 있고, 상기 초릿대의 선단 영역에, 상기 초릿대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 비중이 3∼6배인 고비중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원투대로 낚시를 행하는 경우, 원투대를 로드 홀더에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초릿대가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해 두고 물고기가 걸렸을 때, 그 진동에 의해 초릿대는 진동한다. 이때, 초릿대의 선단 영역에는, 초릿대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고비중인 부재(고비중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초릿대로서의 진동 감쇠율은 작아져, 물고기가 걸린 것에 의한 진동은 한동안 이어지게 된다. 즉, 물고기가 건드린 것에 의한 진동이 한동안 이어지므로, 낚시꾼이 초릿대로부터 다소 눈을 떼고 있어도, 그 입질을 시인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원투대를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작은 입질이 있었을 경우, 초릿대가 한동안 진동하므로, 손잡이 쪽에서 그 진동을 느낄 수 있어, 작은 입질을 놓쳐 버리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원투대의 초릿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제조 방법은, 선단에 소직경부가 형성된 단면 원형의 맨드럴의 상기 소직경부에 금속제의 관 형상체를 끼움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관 형상체가 끼움 삽입된 맨드럴에 대해, 상기 관 형상체보다도 저비중으로 되는 복수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을 가열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을 탈심(脫芯)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초릿대는, 통상법에 따라서, 맨드럴에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이것을 열 경화하고, 탈심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조 방법을 실시할 때, 맨드럴의 선단에 소직경부를 형성해 두고, 이 부분에 프리프레그 시트보다도 고비중으로 되는 금속제의 관 형상체를 끼움 삽입하고, 그 위로부터 통상과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는, 맨드럴을 탈심하면 관 형상의 초릿대의 선단 내주면에, 고비중의 관 형상체가 피착된 상태로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선단 영역에 고비중재가 배치된 초릿대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고기가 걸렸을 때, 초릿대의 진동이 길게 이어져 입질을 놓치는 일을 적게 하는 원투대가 얻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원투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원투대의 초릿대의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초릿대의 주요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 및 (b)는 각각 초릿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초릿대의 제1 변형예를 맨드럴과 함께 도시하는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초릿대의 제2 변형예를 맨드럴과 함께 도시하는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초릿대의 제3 변형예를 맨드럴과 함께 도시하는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8은 초릿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원투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원투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초릿대의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초릿대의 주요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원투대(1)는, 복수의 장대를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대(5), 중간대(7) 및 초릿대(10)의 3개의 장대를 병계식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경우, 중간대(7)에 대해서는 없는 구성이어도 되고, 2개 이상 결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병계식 이외에도 진출식(振出式)의 것이어도 된다.
상기 원대(5)에는, 낚시용 릴(R)을 고정하는 릴 시트(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초릿대(10) 및 중간대(7)에는, 낚시용 릴(R)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키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8A∼8F)가 설치되어 있고, 초릿대(10)의 선단에는, 톱 가이드(9)가 끼움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낚싯줄 가이드는, 각각의 고정 다리부(8a)에 고정 실(8b)을 권회함으로써 장대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도 2, 도 3 참조). 또한, 낚싯줄 가이드의 배치에 대해서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각 장대에 배치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개수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이로 인해, 원대(5)에도 낚싯줄 가이드를 배치해도 된다.
상기 원대(5) 및 중간대(7)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관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강화 섬유(주로 탄소 섬유나 글래스 섬유 등)에,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함침한 섬유 강화 수지 프리프레그(프리프레그 시트)를 코어에 권회하여 가열 공정을 거친 후, 탈심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초릿대(10)도, 원대 및 중간대와 마찬가지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하, 초릿대(10)의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릿대(10)는, 프리프레그 시트(섬유 강화 수지재)를 권회함으로써, 전체 길이에 걸쳐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권회되는 프리프레그 시트는, 공지와 같이, 축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되어 초릿대를 구성하는 본체 프리프레그 시트와, 본체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층을 보강하는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를 갖고 있다.
상기 본체 프리프레그 시트는, 강화 섬유를 축 길이 방향, 둘레 방향, 경사 방향으로 배향한 것, 강화 섬유를 편성한 것 등,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에 대해서도, 본체 프리프레그 시트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된다. 이들 프리프레그 시트는, 복수매가 겹쳐진 상태에서 맨드럴에 권회되거나, 혹은 개별로 권회되어, 원투대로서 적용 가능한 추의 부하 등에 따라서, 프리프레그 시트의 구성(권회수, 강화 섬유의 지향 방향이나 종류, 수지 함침량, 두께 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한 초릿대(10)의 선단 영역에는, 초릿대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 고비중의 재료로 형성된 중량체(고비중재)(20)가 배치되어 있다. 고비중재(20)는, 예를 들어 니켈, 티타늄, 니켈 티타늄 합금, SUS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 형상으로 구성되어 초릿대(1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고비중재(20)는, 원투대를 로드 홀더에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초릿대가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초릿대가 진동하였을 때, 초릿대의 진동 감쇠율을 작게 하는(오랫동안 초릿대를 진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고비중재(20)는, 초릿대의 구성 재료에 대해 무거운 재료로 형성하고, 이것을 초릿대의 선단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초릿대의 진동 감쇠율을 작게 할 수 있지만,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무겁게 하거나, 선단 영역의 1점에 집중되도록 배치하면, 캐스팅 조작에 의해 리그를 멀리 던질 때, 초리 부분이 요동쳐서, 조작성의 악화, 비거리 저하 및 초릿대를 파손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이 된다. 반대로, 고비중재는, 지나치게 가볍게 하면, 초릿대의 진동 감쇠율을 작게 설정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고비중재(20)의 비중에 관해서는, 초릿대(10)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중에 대해 3∼6배의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강화 섬유로서 탄소 섬유를 주체로 한 섬유 강화 수지재(프리프레그 시트)로 초릿대(10)를 형성하는 것이면, 그 비중은 1.5∼1.8이고, 이러한 초릿대에 대해서는, 비중이 6.45인 니켈 티타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도 없어, 초릿대의 진동 감쇠율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비중재(20)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초릿대의 선단 영역이면 좋다. 단, 배치의 용이성이나, 진동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초릿대(10)의 선단 모서리(10a)의 위치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 배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길이 L1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길게 하면, 감쇠 진동률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없고, 지나치게 짧게 하면, 리그 투척시의 조작성이 저하되므로, 초릿대의 전체 길이 L의 5∼25%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비중재(20)의 비중이 낮으면 배치 길이 L1을 짧게 하고, 비중이 높으면 배치 길이 L1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비중재(20)의 후단부 위치는, 낚싯줄 가이드[도 2에서는 2번째의 낚싯줄 가이드(8B)로 하고 있음]를 고정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낚싯줄 가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고정 다리부(8a)를 장대의 표면에 고정 실(8b)에 의해 권취하여 고정되므로, 그 부분은 다소, 강성이 높아 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고비중재(20)의 후단부 위치 상에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는 영역(실 권취하는 영역)을 배치해 둠으로써, 실제 낚시시에 있어서 초릿대가 크게 만곡되어도, 고비중재(20)와 섬유 강화 수지층 사이에서 박리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비중재(20)는, 니켈 티타늄 합금의 관 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초릿대(10)의 선단 영역의 내주면에, 선단 모서리(20a)를 초릿대(10)의 선단 모서리(10a)와 일치시킨 상태에서 부착하고 있다. 이 경우, 고비중재(20)의 축 방향 길이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릿대의 전체 길이 L의 5∼25%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러한 관 형상체에 의한 고비중재(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릿대의 제조시에 일체화(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일체 성형함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초릿대(10)의 내주면에 피착되는 관 형상체에 의한 고비중재(20)에 대해서는, 두께가 두꺼우면 초릿대가 단단해져 버려(굽힘 강성이 높아짐), 캐스트 성능을 저하시켜 버리므로, 그 두께는 가능한 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비중재(20)의 두께 T1은, 초릿대(10)의 두께 T의 2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굽힘 강성에 대해서는, 고비중재(20)가 초릿대(10)의 본래의 굽힘 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초릿대(10)의 고비중재(20)에 대한 강성차는 3배 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초릿대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초릿대(10)는, 통상법에 따라서, 맨드럴(50)에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이것을 열 경화하고, 맨드럴을 탈심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조 방법을 실시할 때, 맨드럴(50)의 선단에 소직경부(51)를 형성해 두고, 이 부분에 초릿대(10)를 성형하는 프리프레그 시트(15)보다도 고비중으로 되는 금속제의 관 형상체[고비중재(20)]를 끼움 삽입하고, 그 위로부터 관 형상체보다도 저비중으로 되는 프리프레그 시트(15)를 권회한다. 이 경우, 금속제의 관 형상체는, 소직경부(51)에 끼움 삽입되면, 그 외주면은, 맨드럴(50)의 외주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주에, 강화 섬유가 축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였을 때 강화 섬유가 절곡되는 일 없이(응력 집중이 방지됨), 안정된 상태에서 섬유 강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대 전체 길이를 형성하는 본체층으로 되는 본체 프리프레그 시트와, 필요한 개소를 보강하는 보강층으로 되는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복수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상기 관 형상체[고비중재(20)]가 끼움 삽입된 상태의 맨드럴(50)에 권회한다[도 4의 (b) 참조]. 그리고, 프리프레그 시트(15)가 권회된 맨드럴(50)을 가열하여, 프리프레그 시트(15)의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50)을 탈심함으로써, 관 형상의 고비중재(20)가 선단측 내주면에 피착된 초릿대가 제조된다.
또한, 상기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50)의 소직경부(51)에 관 형상체[고비중재(20)]를 끼움 삽입한 후, 관 형상체의 표면에, 프리프레그 시트(15)와의 밀착성을 좋게 하는 부재, 예를 들어 글래스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비중은 2.54)(16)를 권회하여 열 경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a) 참조]. 이러한 프리프레그 시트(16)를 권회해 둠으로써, 프리프레그 시트(15)의 권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프리프레그 시트(15)를 권회한 상태에서 가열하면, 관 형상의 고비중재(20)와 프리프레그 시트(15)[초릿대(10)의 내주면]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초릿대로서의 기능이 안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초릿대(1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맨드럴을 탈심하면, 관 형상의 초릿대(10)의 선단 영역의 내주면에 고비중의 관 형상체가 피착된 상태로 되어, 선단 영역에 고비중재(20)가 배치된 초릿대(10)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초릿대(10)를 갖는 원투대(1)에 의하면, 초릿대(10)의 진동 감쇠율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원투대를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에서 물고기가 건드렸을 때, 그 진동이 길게 유지된다. 따라서, 초릿대를 육안으로 보아 입질을 파악하여 리그를 권취하는 낚시법에서는, 입질을 놓쳐 버리는 일이 줄어들어, 낚시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비중재로서 두께가 얇은 관 형상체를 초릿대(10)의 선단 영역의 내주면에 피착하고 있으므로, 리그의 투척시에 초릿대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캐스팅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또한, 원대를 잡은 상태에서 물고기가 건드렸을 때에 있어서도, 초릿대가 오래 진동하고 있으므로, 바람이 강한 등의 상황하이거나, 혹은 작은 입질이라도,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도 5는 상술한 초릿대(10)의 제1 변형예의 주요부를 제조용의 맨드럴(50)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변형예에서는, 초릿대(10)의 내주면에, 초릿대(1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관 형상체(고비중재)(20)의 후단부(20b)에 접합되어 이 관 형상체(20)의 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70)가 설치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초릿대(10)는 맨드럴(50)의 선단측의 소직경부(51)에 금속제의 관 형상체(20)[고비중재(20)]를 끼움 삽입한 상태에서 프리프레그 시트(15)를 맨드럴(50)에 대해 권회하여 가열·탈심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상기 이동 규제부(70)는 이러한 맨드럴(50)의 형상에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제조 공정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맨드럴(50)의 외주면에, 상기 소직경부(51)로 이행할 때, 선단측을 향해 점차 직경 축소되는 이행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이행부(60)의 표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면(50a)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맨드럴(50)의 소직경부(51)에 관 형상체(20)를 끼움 삽입하면, 관 형상체(20)는 테이퍼면(50a)의 상승부(50b)에 접합되어 위치 결정되어, 단면이 대략 직각 삼각 형상으로 된 간극(60A)이 규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15)를 권회한 상태에서 맨드럴(50)을 가열하는 공정시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15)의 합성 수지가 테이퍼 형상의 이행부(60)의 영역[간극(60A)]으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합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관 형상체(20)의 후단부(20b)에 접합되어 이 관 형상체(20)의 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70)가 초릿대(10)의 내주면에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이동 규제부(70)를 설치하면, 관 형상체(20)가 프리프레그 시트(15)로부터 박리되려고 해도, 관 형상체(20)는 이동 규제부(70)에 의해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으므로 박리되기 어려워짐과 함께, 박리가 발생해도 초릿대(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초릿대의 선단에 끼움 삽입, 고정되는 톱 가이드(9)(도 2 참조) 및 이동 규제부(70)에 의해, 관 형상체(20)는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가령 박리가 발생해도, 관 형상체(20)가 빠지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이동 규제부(70)는 관 형상체(20)와 프리프레그 시트(15) 사이의 계면(접촉면)을 시일하므로, 관 형상체(20)와 프리프레그 시트(15) 사이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그 침입에 수반되는 프리프레그 시트(15)로부터의 관 형상체(20)의 박리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전술한 초릿대(10)의 제2 변형예의 주요부를 제조용의 맨드럴(50)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변형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이동 규제부(70)에, 관 형상체(20)의 후단부를 내측에서 받아들이는 환상 오목부(8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환상 오목부(80)는, 도 5와 마찬가지로, 맨드럴(50)의 외주면에 마찬가지의 테이퍼면(50a)을 형성하는 것에 더하여, 맨드럴(50)의 소직경부(51)의 외경 D1을, 끼움 삽입되는 관 형상체(20)의 내경 D2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해 두면 된다.
도 6은 변형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관 형상체(20)의 내경 D2가 소직경부(51)의 외경 D1보다도 약간 크기 때문에, 관 형상체(20)의 끼움 삽입시에, 관 형상체(20)의 내표면과 소직경부(51)의 외표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 G가 발생되어 있고, 또한 관 형상체(20)를 소직경부(51)에 끼움 삽입할 때, 그 단부 모서리를 테이퍼(50a)에 접합되지 않고 근소한 간극(환상 간극) G1이 발생하도록 하여 프리프레그 시트(15)를 권회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맨드럴(50)을 가열하면, 프리프레그 시트(15)의 합성 수지가 테이퍼 형상의 이행부(60)의 영역으로 유입되고, 또한 그 일부는, 간극 G1을 통해 상기 간극 G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합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관 형상체(20)의 후단부를 내측으로 받아들이는 환상 오목부(80)를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관 형상체(20)의 후단부를 내측으로 받아들임과 함께, 관 형상체(20)의 후단부(20b)에 접합되어 관 형상체(20)의 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환상 오목부(80)가 초릿대(10)의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이동 규제부(70)를 강고하게 하여, 관 형상체(20)의 축 방향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전술한 초릿대(10)의 제3 변형예의 주요부를 제조용의 맨드럴(50)과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3 변형예는, 도 5에 도시되는 제1 변형예를 더 변형시킨 것이며, 도 5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맨드럴(50)의 외주면에 테이퍼면(50a)을 형성하는 것에 더하여, 관 형상체(20)의 후단부(20b)를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면(20c)으로 하여 형성하고 있다. 즉, 관 형상체(20)를 끼움 삽입하면, 테이퍼면(20c)의 상승부(20d)와, 테이퍼면(50a)의 상승부(50b)가 접합되어,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된 간극(60A')이 규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15)를 권회한 상태에서 맨드럴(50)을 가열하는 공정시에서는, 프리프레그 시트(15)의 합성 수지가 테이퍼면(20c, 50a) 사이의 상기 간극(60A')에 유입되고, 이 유입된 합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단면 삼각 형상의 이동 규제부(70A)가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이동 규제부(70A)는, 관 형상체(20)를 테이퍼면(20c)으로 받치고 있으므로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프리프레그 시트의 내면으로부터 보다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초릿대를 성형하는 동시에 관 형상의 고비중재(20)를 일체적으로 배치하였지만, 고비중재에 대해서는 초릿대(10)를 성형한 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릿대(10)의 선단 영역의 공동에 합치하도록 끝이 가느다란 원기둥 형상의 고비중재(20A)를 별도로 제작하고, 그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성형된 초릿대(10)의 후단부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선단 영역의 내주면에 접착해도 된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초릿대의 선단이 지나치게 무거워지지 않도록, 비중이 높은 재료이면 축 방향의 길이 L1을 짧게 하고, 비중이 낮은 재료이면, 축 방향의 길이 L1을 길게 하는 등의 조정을 해도 된다.
또한, 고비중재에 대해서는, 초릿대(10)의 중간 위치보다도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고비중재(20, 20A)의 선단부 모서리(20a)를 초릿대(10)의 선단부 모서리(10a)와 일치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고비중재에 대해서는, 초릿대(10)의 외주면에 피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원투대는, 리그를 멀리 던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그를 투척하고 낚싯줄에 텐션을 부여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기다리는 각종 낚시대에 적용된다.
1 : 원투대
3 : 원대
5 : 중간대
8A∼8F : 낚싯줄 가이드
10 : 초릿대
20, 20A : 고비중재
15 : 프리프레그 시트
50 : 맨드럴
70, 70A : 이동 규제부
80 : 환상 오목부

Claims (10)

  1. 섬유 강화 수지재에 의해 관 형상으로 형성된 초릿대를 갖는 원투대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의 선단 영역에, 상기 초릿대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 비중이 3∼6배인 고비중재를 배치하고,
    상기 고비중재의 후단부 위치는,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는 위치이고,
    상기 고비중재는, 상기 초릿대의 선단 영역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관 형상체이고,
    상기 관 형상체는 상기 초릿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섬유 강화 수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 형상체의 후단부에 접합되어 이 관 형상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관 형상체의 후단부를 내측으로 받아들이는 환상 오목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의 길이는, 초릿대 전체 길이의 5∼2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의 두께는, 상기 초릿대의 두께의 2배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대.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체의 후단부는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규제부는, 테이퍼면을 받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대.
  7. 선단에 소직경부가 형성된 단면 원형의 맨드럴의 상기 소직경부에 금속제의 관 형상체를 끼움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관 형상체가 끼움 삽입된 맨드럴에 대해, 상기 관 형상체보다도 저비중으로 되는 복수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는 공정과,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을 가열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합성 수지를 경화한 후, 맨드럴을 탈심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맨드럴의 소직경부의 후단부 위치는, 낚싯줄 가이드를 고정하는 위치이고,
    상기 맨드럴의 외주면은, 상기 소직경부로의 이행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을 가열하는 공정에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합성 수지가 테이퍼 형상의 상기 이행부를 통해 상기 관 형상체의 후단부와 상기 맨드럴 사이에 유입됨으로써, 상기 관 형상체의 후단부에 접합되어 이 관 형상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가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맨드럴의 상기 소직경부에 끼움 삽입되는 관 형상체는, 그 내경이 소직경부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가 권회된 맨드럴을 가열하는 공정에서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합성 수지가 테이퍼 형상의 상기 이행부를 통해, 상기 관 형상체와 소직경부 사이의 환상 간극 내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이동 규제부가 상기 관 형상체의 후단부를 내측에서 받아들이는 환상 오목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소직경부에 관 형상체를 끼움 삽입한 후, 상기 관 형상체의 표면에 글래스 섬유를 갖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여 열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2930A 2014-03-26 2015-03-10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KR101870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3124 2014-03-26
JPJP-P-2014-063124 2014-03-26
JPJP-P-2014-241607 2014-11-28
JP2014241607A JP6441654B2 (ja) 2014-03-26 2014-11-28 投竿、及び投竿の穂先竿杆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39A KR20150111839A (ko) 2015-10-06
KR101870007B1 true KR101870007B1 (ko) 2018-06-22

Family

ID=5247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930A KR101870007B1 (ko) 2014-03-26 2015-03-10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3319B2 (ko)
EP (1) EP2926651B1 (ko)
JP (1) JP6441654B2 (ko)
KR (1) KR101870007B1 (ko)
CN (1) CN104938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365A (ko) * 2018-12-11 2021-08-19 바스프 에스이 관형 입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체
EP3927154A4 (en) * 2019-02-19 2022-11-16 Chambers Technology Inc. FISHING R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212B2 (ja) * 1990-11-30 1997-02-26 東レ株式会社 釣 竿
US20050178040A1 (en) 2004-01-30 2005-08-18 Daiwa Seiko, Inc. Tip rod
JP2007289103A (ja) 2006-04-26 2007-11-08 Shimano Inc トップガイド、穂先竿、及び、釣り竿
JP4328656B2 (ja) * 2004-03-30 2009-09-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穂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9538B2 (ja) 1995-04-27 1999-06-02 富士工業株式会社 投 竿
US6148558A (en) * 1996-11-30 2000-11-21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3877097B2 (ja) * 1997-09-29 2007-02-07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のトップガイド及び中通し竿
DE69931851D1 (de) * 1998-07-24 2006-07-27 Daiwa Seiko Inc Festkörpersportstäbe
AT411415B (de) * 2001-12-11 2003-12-29 Bier Guenther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einem eingangs-datenstrom folgenden wechselspannung
US7043868B2 (en) * 2002-04-03 2006-05-16 David Golden Ahn Fishing rod strengthened with metal
JP4518554B2 (ja) * 2004-11-19 2010-08-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JP2007289067A (ja) * 2006-04-25 2007-11-08 Shimano Inc 穂先竿
US8278389B2 (en) * 2007-05-16 2012-10-02 Toray Industries, Ltd. Epoxy resin composition, prepreg,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212B2 (ja) * 1990-11-30 1997-02-26 東レ株式会社 釣 竿
US20050178040A1 (en) 2004-01-30 2005-08-18 Daiwa Seiko, Inc. Tip rod
JP4328656B2 (ja) * 2004-03-30 2009-09-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穂先
JP2007289103A (ja) 2006-04-26 2007-11-08 Shimano Inc トップガイド、穂先竿、及び、釣り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28656호(2009.09.09.)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6651B1 (en) 2018-10-24
JP2015192650A (ja) 2015-11-05
KR20150111839A (ko) 2015-10-06
EP2926651A2 (en) 2015-10-07
US20150272098A1 (en) 2015-10-01
EP2926651A3 (en) 2016-02-17
CN104938443A (zh) 2015-09-30
JP6441654B2 (ja) 2018-12-19
US10383319B2 (en) 2019-08-20
CN104938443B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786A (ko) 낚싯대
WO2011102398A1 (ja) 釣り竿用ラインガイド(トップラインガイドを含む)及び釣り竿
KR101870007B1 (ko) 원투대 및 원투대의 초릿대의 제조 방법
KR20140029239A (ko) 낚싯대
JP2009039011A (ja) 船竿用の穂先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8236A (ja) 穂先竿
JP4900638B2 (ja) 穂先竿用竿体
TWI803819B (zh) 釣竿用捲線器座、釣竿用握把構件及釣竿
JP6433331B2 (ja) 釣竿及び穂先竿
JP2003102344A (ja) 穂先竿
JP2000093050A (ja) 釣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9027B2 (ja) 釣竿
JP3977777B2 (ja) 釣竿
JP4022124B2 (ja) 釣竿
JP2009207616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7285B2 (ja) 釣竿の製造方法
JP2016214110A (ja) 釣り竿用のグリップ構造及び釣り竿
JP7088823B2 (ja) インロー継式の釣竿
EP0880891B1 (en) Fishing rod
JP4618711B2 (ja) 伸縮式釣り竿
JP4292318B2 (ja) 竿体の連結構造
JP7116021B2 (ja) へら竿、及び、へら竿用グリップ
JP6691014B2 (ja) 改善された剛性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穂先竿を備えた釣り竿
JP2016136926A (ja) 釣竿
JPH01285138A (ja) 釣竿穂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