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733B1 -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733B1
KR101862733B1 KR1020160025831A KR20160025831A KR101862733B1 KR 101862733 B1 KR101862733 B1 KR 101862733B1 KR 1020160025831 A KR1020160025831 A KR 1020160025831A KR 20160025831 A KR20160025831 A KR 20160025831A KR 101862733 B1 KR101862733 B1 KR 10186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sensor
detection
detect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129A (ko
Inventor
게이 미우라
도모아키 사사키
고이치로 구이
요시타카 기무라
히로후미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66Field-of-view determination; Aiming or pointing of a photometer; Adjusting alignment; Encoding angular position; Size of the measurement area; Position tracking; Photodetection involving different fields of view for a singl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센서 제어 장치는,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각각의 제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상태와,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상태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SENSOR CONTROL DEVICE, SENSOR SYSTEM, AND LOA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의 부하 기기(機器)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부하 제어 장치로서는, 촬상(撮像) 소자를 가지는 조명 제어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의 조명 제어 단말기는, 촬상 소자에 의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여, 조명 기구(器具)의 조광(調光)을 제어한다. 촬상 소자는, 복수의 조명 기구의 조명 범위가 포함되도록 촬상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조명 제어 단말기는, 각각의 조명 기구의 조명 범위에 대응하는 형태로, 촬상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조명 제어 단말기는, 촬상 화상 중에 입실자를 검출한 경우, 입실자가 있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조명 기구에 대하여 조광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하 제어 장치에 이용 가능한 구성으로서는, 인체의 동작을 촬상하여 화상 처리하는 인체 검출 센서와, 열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적외선 센서를 가지는 인체 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허 문헌 2의 인체 검지 장치에서는, 인체 검출 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체 검출 센서에 의한 화상 처리의 지연을, 검출 속도가 빠른 적외선 센서에 의해 보완하여, 센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의 인체 검지 장치에서는, 인체 검출 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체 검출 센서에 의한 화상 처리의 지연을, 검출 속도가 빠른 적외선 센서에 의해 보완하여, 센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3―431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1―325677호 공보
센서를 제어하는 장치는,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가 높은 구성이 요구되고 있고, 특허 문헌 1의 조명 제어 단말기나 특허 문헌 2의 인체 검지 장치의 구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다른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가 높은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서의 센서 제어 장치는,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각각의 제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상태와,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상태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의 센서 시스템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상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의 부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부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은,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제1 검지 범위 및 제2 검지 범위를 설명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제1 검지 범위 및 제2 검지 범위를 설명하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1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수치, 형상,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및 스텝(단계) 및 스텝의 순서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로 부가할 수 있는 구성 요소이다. 각각의 도면이 나타내는 부재의 크기나 위치 관계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복수의 요소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 하나의 부재로 복수의 요소를 겸용하는 태양이라도 되고, 하나의 부재의 기능을 복수의 부재로 분담하여 실현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를,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30)에 대해서는,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는, 같은 부재에 대하여,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1)과, 커버체(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바닥을 가지는 통형(筒形)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는, 하우징(1)의 개구(1aa)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2)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커버체(2)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평면에서 볼 때, 커버체(2)의 주위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과 커버체(2)로 에워싸인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낸 판단부(3)와, 통신부(4)가 수납되어 있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통신부(4)는, 판단부(3)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5a)는, 도 5에 나타낸 제1 검지 범위(10aa)를 촬상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가 제1 검지 범위(10aa)를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10aa)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적외선 센서(6a)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검지한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적외선 센서(6a)가 검지한 적외선에 기초하여, 제2 검지 범위(10ba)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검지 범위(10aa)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영역(10ab)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분할 영역(10ab) 각각은,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어느 하나의 제2 검지 범위(10ba)와 중복되어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또한 제1 검지 범위(10aa)의 복수의 분할 영역(10ab)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의 도트로 나타낸 분할 영역(10ab)은, 검지 기능이 오프로 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복수의 분할 영역(10ab) 각각에서의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에 따라서,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대응하여 온과 오프로 제어된다. 도 6의 굵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제2 검지 범위(10ba)는, 검지 기능이 오프로 된 분할 영역(10ab)에 따라,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대응하여 오프로 제어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는, 복수의 분할 영역(10ab) 각각에서의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에 따라서,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대응하여 제어되므로,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먼저, 부하 제어 시스템(30) 전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 제어 장치(10)와, 스위치(31)와, 조명 기구(32)와, 전송 유닛(33)과, 전원 트랜스(35)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은, 전송선(30a)을 통하여, 복수의 부하 제어 장치(10)와, 스위치(31)와, 복수의 조명 기구(32)와, 전송 유닛(3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은, 전원선(30b)을 통하여, 전원 트랜스(35)와 부하 제어 장치(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31)는,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이나 조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31)는,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이나 조광을 행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 유닛(33)을 통하여,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31)는, 제어 신호를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조명 기구(32) 중, 소정의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이나 조광의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는, 제어를 행하게 하는 조명 기구(32)를 특정하는 어드레스 정보와, 조명 기구(32)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는, 다중 전송 방식에 의해, 2선의 전송선(30a)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명 기구(32)는, 리모트 콘트롤 릴레이(32a)와, 릴레이 제어용 터미널 유닛(32b)과, 조광 터미널 유닛(32c)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리모트 콘트롤 릴레이(32a)를 리모콘 릴레이(32a)라고 하고, 릴레이 제어용 터미널 유닛(32b)을 제어 유닛(32b)이라고 하고, 조광 터미널 유닛(32c)을 조광 유닛(32c)이라고 한다. 제어 유닛(32b)은, 전송 유닛(3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 리모콘 릴레이(32a)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32b)은, 제어 유닛(32b)마다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 유닛(32b)은, 다중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제어 유닛(32b)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의 내용에 기초하여, 리모콘 릴레이(32a)를 제어한다. 리모콘 릴레이(32a)는, 조명 기구(32)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32a)는, 제어 유닛(32b)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의 온과 오프를 전환한다. 조광 유닛(32c)은, 조광 유닛(32c)마다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조광 유닛(32c)은, 다중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조광 유닛(32c)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인출할 수 있다. 조광 유닛(32c)은, 제어 신호의 내용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의 조광을 제어한다. 조명 기구(32)는, 리모콘 릴레이(32a)와, 제어 유닛(32b)과, 조광 유닛(32c)을 구비한 통신 기능을 가지는 조명 기구로서 기능한다.
전송 유닛(33)은, 2선의 전송선(30a)에 의해 각종 제어 신호를 복수의 조명 기구(32)에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유닛(33)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 유닛(33)은, 복수의 부하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혼신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조명 기구(32)에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유닛(33)은, 예를 들면, 1대로 256회로분의 부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 트랜스(35)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전력으로 변압하는 변압기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트랜스(35)는, 부하 제어 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부하 제어 장치(10)에 공급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는, 복수의 조명 기구(32)를 제어하는 조명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조명 컨트롤러는, 부하 제어 장치(10) 등과 연동하여 조명 기구(32)의 점등 제어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의 부하 제어 장치(10)의 기본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조명 기구(32)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 제어 장치(10)의 검지 범위에 사람이 체재(滯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계속시킨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계속시키는 경우, 소정의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계속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해도 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와의 양쪽에 기초하여, 사람이 부하 제어 장치(10)의 검지 범위로부터 검지 범위의 밖으로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부(3)가 판단하는 경우, 소정의 조명 기구(32)를 감광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한다. 조명 기구(32)는, 조광 유닛(32c)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광 제어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사람이 부하 제어 장치(10)의 검지 범위로부터 검지 범위의 밖으로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예를 들면, 소정의 조명 기구(32)를 100% 출력의 점등 상태로부터 50% 출력의 점등 상태로 감광시킨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소정의 조명 기구(32)를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한다. 조명 기구(32)에서는, 제어 유닛(32b)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32b)이 리모콘 릴레이(32a)를 제어한다. 리모콘 릴레이(32a)는, 제어 유닛(32b)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를 소등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는, 부하 제어 장치(10)가 제어하는 제어 대상의 부하 기기를, 조명 기구(32)로 하고 있다. 제어 대상은, 조명 기구(32)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환기팬, 에어콘 등 각종 부하 기기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하우징(1)이, 바닥판과, 통체(1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바닥판과 통체(1b)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는, 바닥부(2a)와, 통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체(2)는, 바닥부(2a)와 통부(2b)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하우징(1)과 커버체(2)를 끼워맞춘 상태로, 내부가 공동(空洞) 상자체를 구성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하우징(1)과 커버체(2)가 서로 끼워진 상태로, 원기둥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은, 평면에서 볼 때, 한 쌍의 관통공(1ca)을 주위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은, 관통공(1ca)에 삽통(揷通)된 제1 나사가 커버체(2)의 나사공에서 나사 멈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은, 예를 들면, 우레아 수지 등 전기 절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커버체(2)는, 예를 들면, 우레아 수지 등 전기 절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과 커버체(2)는,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되고,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커버체(2)는, 제1 창공(窓孔)(2aa)과, 제2 창공(2ab)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체(2)는, 바닥부(2a)의 중앙부에 있어서, 1개의 제1 창공(2aa)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창공(2aa)은, 바닥부(2a)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1 창공(2aa)의 중심축은, 바닥부(2a)에서의 외저면(外底面)(2ca)의 수선(垂線)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1 창공(2aa)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는, 제1 창공(2aa)의 주위부에 있어서, 4개의 제2 창공(2ab)을 구비하고 있다. 4개의 제2 창공(2ab)의 중심축은, 바닥부(2a)에서의 외저면(2ca)의 수선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바닥부(2a)의 외저면(2ca)에는, 제2 창공(2ab)의 주위부에 외측을 향해 펼쳐지는 오목부(2d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2)는, 통부(2b)의 외주(外周)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c)를 바닥부(2a) 측에 구비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커버체(2)의 외저면(2ca)을 덮는 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원형 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제1 창공(2aa)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제1 개구(12a)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제2 창공(2ab)과 대응하는 주위부에 제2 개구(12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개구(12b)의 주위에는, 오목부(2da)에 대응하는 주위부에 오목부(12da)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12)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화장(化粧)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플레이트(12)의 제1 개구(12a)로부터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노출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플레이트(12)의 제2 개구(12b)로부터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노출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에 더하여, 렌즈부(5b)와, 렌즈 홀더(5c)와, 커버 플레이트(5d)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5a)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촬상 소자(5a)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5b)는, 촬상 소자(5a)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렌즈부(5b)는, 예를 들면, 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촬상 소자(5a)와 렌즈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조정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조정부는, 렌즈를 지지하는 영구 자석과, 영구 자석을 가동(可動)시키는 전자(電磁) 코일로 구성할 수 있다. 렌즈부(5b)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렌즈를 가동시켜, 촬상 소자(5a)와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렌즈 홀더(5c)는, 렌즈부(5b)를 유지한다. 렌즈 홀더(5c)는, 환형(環形)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 플레이트(5d)는, 환형의 렌즈 홀더(5c)의 제3 개구(5c1)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5d)는, 렌즈부(5b)의 전방에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5d)는, 투광성(透光性)을 가지고 있다. 커버 플레이트(5d)는, 외부로부터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내부가 육안 관찰하기 어렵게 되도록, 착색되어 있다. 렌즈 홀더(5c)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형의 일부에 표시부(8)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8)는, 발광 다이오드(8a)를 가지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8a)는, 발광색이나 점등 상태에 따라서, 부하 제어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적외선 센서(6a)에 더하여, 센서 커버(6b)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원기둥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축 방향을 따라 3개의 단자(6a1)를 돌출시키고 있다. 센서 커버(6b)는, 통형부(6b1)와, 원커버형부(6b2)를 가지고 있다. 통형부(6b1)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원커버형부(6b2)는, 통형부(6b1)를 덮고 있다. 원커버형부(6b2)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렌즈를 가지고 있다. 센서 커버(6b)는, 통형부(6b1)와, 원커버형부(6b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6b)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센서 커버(6b)는, 적외선 센서(6a)의 단자(6a1)와는 반대측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사람으로부터 발해지는 적외선을, 센서 커버(6b)를 통하여 적외선 센서(6a)가 검출한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소정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커버체(2)의 외저면(2ca)보다 센서 커버(6b)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커버체(2)를 통하여, 제1 회로 기판(13a)에 실장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제1 회로 기판(13a)에 직접 장착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평면에서 볼 때, 원반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1 삽입공(13b)과, 제2 삽입공(13c)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삽입공(13b)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공(13b)은, 센서 커버(6b)에서의 통형부(6b1)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적외선 센서(6a)의 일부가 제1 회로 기판(13a)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2 삽입공(13c)은, 적외선 센서(6a)의 단자(6a1)가 삽입된다. 제1 회로 기판(13a)은, 1개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대하여, 3개의 제2 삽입공(13c)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삽입공(13c)은, 평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공(13c)은, 제1 회로 기판(13a)의 제1 면(13aa)에 대하여, 단자(6a1)가 경사지게 삽입된다. 적외선 센서(6a)는, 제1 회로 기판(13a)의 제1 삽입공(13b)과 제2 삽입공(13c)에 의해, 제1 회로 기판(13a)의 제1 면(13aa)에 대하여 경사지게 실장(實裝)된다. 적외선 센서(6a)는, 평면에서 볼 때, 커버체(2)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실장된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1 면(13aa)에, 촬상 소자(5a), 발광 다이오드(8a)나 적외선 센서(6a) 외에, FPGA(field―progra㎜able gate array) 등의 전자 소자(5j)를 실장하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1 면(13aa)과 대향하는 제2 면에, IC(Integrated Circuit)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 실장 부품을 실장하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소정 형상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촬상 소자(5a), 발광 다이오드(8a), 적외선 센서(6a), 전자 소자(5j)나 각종 실장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전자 소자(5j)나 실장 부품을 사용하여, 판단부(3)나 통신부(4)가 구성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나사에 의해, 커버체(2)에 고정된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2 회로 기판(13f)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원반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에는, 각종 전자 부품(13e)이 실장되어 있다. 전자 부품(13e)은, 예를 들면, 전해 컨덴서, 포토커플러(photocoupler), 서미스터(thermister), 트랜지스터, 배리스터(varistor)나 다이오드 등을 들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실장된 각종 전자 부품(13e)을 사용하여, DC―DC 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제1 회로 기판(13a)에 급전(給電)하는 전원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제2 나사(13d)에 의해, 하우징(1)에 고정된다. 제2 회로 기판(13f)은, 복수의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하우징(1)에서의 커버체(2)와는 반대측에 복수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있다. 단자부는, 부하 제어 장치(10)에 급전하는 급전 단자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단자부는, 통신부(4)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자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체결(tightening) 나사(10d)와, 협지 금속 기구(10e)를 구비하고 있다. 체결 나사(10d)는, 하우징(1)과 커버체(2)에 걸쳐 형성된 홈부(10m)를 따라 설치된다. 협지 금속 기구(10e)는, 체결 나사(10d)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재(30c) 등의 시공면(施工面)(30ca)에 장착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천정재(30c)에 형성된 관통구(30cb)에 매립되어 배치된다. 플랜지부(2c)는, 부하 제어 장치(10)를 천정재(30c)의 관통구(30cb)에 매립한 상태로, 시공면(30ca)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체결 나사(10d)와 협지 금속 기구(10e)를 이용하여, 플랜지부(2c)와 협지 금속 기구(10e)와 천정재(30c)에 장착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천정재(30c)에 장착함으로써, 제1 사람 검지 센서(5)나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시공면(30ca) 측으로부터 연직(沿直) 방향의 아래쪽을 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판단부(3)와 통신부(4)와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더하여, 전원부(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이며,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시스템이며, 또한 통신부(4)를 통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이기도 하다. 전원부(7)는, 제2 회로 기판(13f)에 형성된 DC―DC 컨버터에 의해 구성된다. 전원부(7)는, 판단부(3)와 통신부(4)와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전력을 공급한다.
판단부(3)는, 제어부(3s)와, 타이머부(3t)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3s)는,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 또는 조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s)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사용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타이머부(3t)는, 시각을 계시(計時)한다. 통신부(4)는, 판단부(3)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4)는, 제어 신호를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s)는,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나서 타이머부(3t)에서 계시한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조명 기구(32)를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3s)는, 타이머부(3t)가 계시 중에,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타이머부(3t)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타이머부(3t)가 리셋 후에 새롭게 카운트 다운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에 더하여, 화상 처리부(5e)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5e)는, 연산 제어부(5f)와, 제1 기억부(5g)와, 제2 기억부(5h)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 제어부(5f)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연산 처리한다. 연산 제어부(5f)는, FPGA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연산 제어부(5f)는, DSP 대신에, 고도 이미지 프로세서 등의 디지털 화상 처리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제1 기억부(5g)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1 기억부(5g)는, 데이터량이 많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도록 대용량 기억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제1 기억부(5g)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큰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기억부(5h)는, 천정재(30c) 측으로부터 본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 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는, 사람과 사람 이외를 변별(辨別)하는 화상 식별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기억부(5h)는, 제1 기억부(5g)와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제2 기억부(5h)는, 형상 데이터를 비교적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5e)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제1 기억부(5g)에 기억시킨다. 화상 처리부(5e)는, 제1 기억부(5g)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연산 제어부(5f)에 읽어들인다. 화상 처리부(5e)는, 제2 기억부(5h)로부터 적절하게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를 연산 제어부(5f)에 읽어들인다. 연산 제어부(5f)에서는, 읽어들여진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차분 처리를 행한다. 화상 차분 처리에서는, 배경 차분으로서, 촬상 소자(5a)에 의해 촬상된 현재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현재 화상과, 사람이 제1 검지 범위(10aa)에 침입하기 전에 미리 촬상 소자(5a)에 의해 촬상된 배경 데이터에 따른 배경 화상이 비교된다. 배경 데이터는, 제1 기억부(5g)에 기억시켜도 되고,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켜도 된다. 연산 제어부(5f)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을 비교하여, 화소마다의 차분을 취한 차분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차분 처리는, 배경 차분에만 한정되지 않고, 촬상 소자(5a)가 읽어들인 시계열이 상이한 2개의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시간 차분에 의해, 차분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연산 제어부(5f)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차분을 취하여 휘도값을 2진수화시킨 차분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가 행해진다.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에서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사이에서 변화가 없는 화소의 휘도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하회한다.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에서는,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사이에서 변화가 생긴다.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에서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사이에서 변화가 있는 화소의 휘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된다.
연산 제어부(5f)는,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를 행한 후, 차분 화소에 대한 인식 처리를 행한다. 인식 처리에서는, 추출된 차분 화소의 집단의 윤곽의 형상에 대하여, 제2 기억부(5h)에 미리 기억된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형상의 패턴 인식에 의한 화상 식별의 처리를 행한다. 연산 제어부(5f)는, 추출한 윤곽의 형상과, 미리 기억시킨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와의 일치율을 판단함으로써, 추출된 윤곽의 형상이 사람인지,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5f)에서는, 예를 들면, 차분 화소에 대한 인식 처리로서, 소벨(sobel) 필터나 프리윗(prewit) 필터 등을 사용하여 윤곽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5f)는, 화상 식별의 처리에 의해, 사람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으면, 사람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1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 측으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마다, 화상 데이터와 배경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검지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정지한 상태의 사람이 존재하고 있을뿐인 상태라도,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서는, 적외선 센서(6a)가, 초전(焦電) 소자(6d)와 신호 처리 회로부(6e)를 구비하고 있다. 초전 소자(6d)는, 사람으로부터 발해지는 적외선을 검출한다. 신호 처리 회로부(6e)는, 증폭 회로(6f)와, 대역 필터(6g)와, 비교 회로(6h)와, 출력 회로(6j)를 구비하고 있다. 증폭 회로(6f)는, 초전 소자(6d)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한다. 대역 필터(6g)는, 증폭된 신호 중, 잡음으로 되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비교 회로(6h)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변별한다. 신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넘고 있는 경우, 출력 회로(6j)는, 사람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2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신호 처리 회로부(6e)는, 초전 소자(6d)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적외선 센서(6a)는, 초전 소자(6d)로부터의 신호가 임계값보다 크면, 단자(6a1)로부터 제2 센서 신호를 판단부(3)에 출력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검지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복수의 조명 기구(32) 각각의 점등, 소등 또는 조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화상 데이터의 차분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제1 검지 범위(10aa)에서의 사람의 체재, 부재, 이동을 판별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사람이 제1 검지 범위(10aa)를 이동 중인 경우에 조명 기구(32)를 감광시켜, 사람이 제1 검지 범위(10aa)에 체재하고 있는 경우에만 조명 기구(32)를 점등시킬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도록, 제1 검지 범위(10aa)가 소정의 밝기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사람으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에 기초하여, 적외선 센서(6a)가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밝기에 관계없이 사람의 존재 유무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를 이용하여, 주위의 밝기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주위의 밝기로서,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 전체의 평균값으로부터 조도를 산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조도 센서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검출한 밝기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도 이상인 경우,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하는 조도의 임계값으로서는, 촬상 소자(5a)의 촬상 성능에도 좌우되지만, 예를 들면, 20 룩스로 할 수 있다. 조도의 임계값은, 예를 들면,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키면 된다.
판단부(3)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주위의 밝기가 소정의 조도 미만인 경우,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만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시킨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의 밝기에 관계없이, 제1 검지 신호와 제2 검지 신호에 따라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에서의 제1 검지 범위(10aa) 및 제2 검지 범위(10ba)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검지 범위(10aa)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람 검지 센서(5)를 정상점(頂点)으로 하는 사각뿔형으로 형성된다. 제2 검지 범위(10ba)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정상점으로 하는 경사원뿔형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는, 4개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1개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검지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도 6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 제1 검지 범위(10aa)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제1 검지 범위(10aa)와 중복되도록, 도 6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 제2 검지 범위(10ba)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평면에서 볼 때, 제2 검지 범위(10ba)의 장축(長軸) 방향이, 도 6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의 제1 검지 범위(10aa)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도 6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 4개의 제2 검지 범위(10ba) 전체가, 제1 검지 범위(10aa)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제1 검지 범위(10aa)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복수의 영역(10ac)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기능의 유효와 무효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역(10ac) 각각은, 예를 들면, 제1 검지 범위(10aa)를 6×6의 격자형으로 분할한 범위 중 하나로 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예를 들면, 기둥이 존재하는 등 설치 장소에 따라서,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것이 불필요한 특정한 영역(10ac)의 검지 기능을 미리 무효로 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영역(10ac)를 적절하게 조합시켜, 소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영역(10ac)을 직사각형으로 함으로써, 소정 범위를 섬세하게 설정을 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영역(10ac)이 조합된 소정 범위를 제2 기억부(5h)에 기억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적절하게 영역(10ac)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검지 기능이 필요한 영역(10ac)의 설정을 간편화하기 위해, 제1 검지 범위(10aa) 전체를 4분할한 분할 영역(10ab)마다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4분할한 분할 영역(10ab)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미리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킬 수 있다. 복수의 분할 영역(10ab) 각각은,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어느 하나의 제2 검지 범위(10ba)와 중복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분할 영역(10ab)마다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를 제어하는 경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어느 하나의 제2 검지 범위(10ba)와 중첩되는 분할 영역(10ab)에서의 검지 기능이 온이나 오프로 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1개의 분할 영역(10ab)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하면, 오프로 한 분할 영역(10ab)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어도 사람의 검지를 행하지 않는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검지 기능이 오프로 된 분할 영역(10ab)과 중첩되는 제2 검지 범위(10ba)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지 않지만,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가 밝은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와의 논리곱으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주위의 밝기가 소정의 조도 이상의 경우,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와의 논리곱의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한 분할 영역(10ab)에서 사람의 존재를 검지해도,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삭제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가 어두운 경우,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제1 사람 검지 센서(5)에 대응하여 제어되고 있지 않으면, 주위가 어두운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촬상 소자(5a)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사람의 존재 유무의 검지를 행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가 어두운 경우,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하는 분할 영역(10ab)과 중복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해도,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에 의해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한 분할 영역(10ab)에 있어서,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사람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낮과 밤과 등 주위의 밝기의 상위에 따라, 검지 범위에 큰 차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는, 판단부(3)가,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검지 기능의 온(on) 또는 오프(off)의 설정 상태와,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설정 상태를 결부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는, 분할 영역(10ab)의 설정 시에,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분할 영역(10ab)에서의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에 따라서, 제어부(3s)에서, 자동적으로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온과 오프로 제어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어부(3s)가 소정의 분할 영역(10ab)에서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설정하면, 오프로 된 분할 영역(10ab)에 대응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기능을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어부(3s)가 소정의 분할 영역(10ab)에서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설정하면, 오프로 된 분할 영역(10ab)에 대응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를 무효로 함으로써,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오프로 해도 된다. 따라서,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온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은,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대한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판단부(3)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를 유효나 무효로 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판단부(3)에 의한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설정 상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온 또는 오프의 설정 상태와의 결부는, 분할 영역(10ab)의 설정 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이밍에 행해도 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한 분할 영역(10ab)과 제2 검지 범위(10ba)가 중복되는 경우,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오프로 하여, 주위의 밝기의 상위에 의하지 않아,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제2 검지 범위(10ba)가, 복수의 분할 영역(10ab)과 중복될 때, 판단부(3)는, 중복 정도가 가장 큰 분할 영역(10ab)에서의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설정 상태와, 복수의 분할 영역(10ab)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설정 상태를 결부시키는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부하 제어 장치(10)는, 1개의 장치가 아니고, 2개 이상의 장치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즉,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와,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와, 통신부(4)를 통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장치(부하 제어부와 함)와의 4개의 장치라도 된다. 이 경우, 센서 제어 장치는, 주로 도 3의 판단부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어도 된다. 부하 제어부는, 주로 도 4의 제어부(3S) 및 통신부(4)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부하 제어 장치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와,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과, 부하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센서 시스템은,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와, 센서 제어 장치가 일체라도 되고, 복수의 장치로 나누어져 구성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센서 제어 장치는,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각각의 제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상태와,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상태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판단부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분할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검지 센서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제2 검지 센서를 결부시켜, 상기 1개 이상의 분할 영역과 상기 1개 이상의 제2 검지 센서에 대응하는 제2 검지 범위와는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판단부는, 결부된 상기 1개 이상의 분할 영역의 검지 기능과 상기 1개 이상의 제2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을 함께 온 또는 오프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를 나타내는 설정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의 상기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에 대응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를 제어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검지 기능을 오프로 설정된 분할 영역에 대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를 무효화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와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와의 양자가 사람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검지 기능이 오프의 상태로 설정된 분할 영역에 대한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를 무효로 함으로써,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분할 영역에 사람이 존재한다는 것의 판단을 회피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온 또는 오프의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로의 급전의 유무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센서 시스템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상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주위에 상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부하 제어 시스템은,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부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부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를 구비해도 된다.

Claims (10)

  1. 촬상(撮像)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각각의 제2 검지 범위 내의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을 유효로 할지 또는 무효로 할지를 전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각각의 검지 기능을 유효로 할지 또는 무효로 할지를 전환하는 판단부를 가지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의 상태와,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의 상태를 일치시키고,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는, 검지 기능이 유효로 된 분할 영역에서는 사람의 검지를 행하고, 검지 기능이 무효로 된 분할 영역에서는 사람이 존재하고 있어도 사람의 검지를 행하지 않고,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는, 검지 기능이 유효로 된 제2 검지 범위에서는 사람의 검지를 행하고, 검지 기능이 무효로 된 제2 검지 범위에서는 사람이 존재하고 있어도 사람의 검지를 행하지 않는,
    센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분할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2 검지 센서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제2 검지 센서를 결부시키고,
    상기 1개 이상의 분할 영역과 상기 1개 이상의 제2 검지 센서에 대응하는 제2 검지 범위와는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판단부는, 결부된 상기 1개 이상의 분할 영역의 검지 기능과 상기 1개 이상의 제2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을 함께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센서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를 나타내는 설정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의 상기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에 대응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을 유효로 할지 또는 무효로 할지를 전환하는, 센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검지 기능이 무효로 설정된 분할 영역에 대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를 무효화하는, 센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가 있다고 검지하고, 또한 상기 제2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가 있다고 검지한 경우에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검지 기능이 무효의 상태로 설정된 분할 영역에 대한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를 무효로 함으로써,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분할 영역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의 판단을 회피하는, 센서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의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분할 영역과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를 가지는 제2 사람 검지 센서로의 급전(給電)의 유무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
  7.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제어 장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
    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주위에 상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센서 시스템.
  9.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제어 장치; 및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부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10.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제어 장치;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부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KR1020160025831A 2015-03-13 2016-03-03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862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1097A JP6447915B2 (ja) 2015-03-13 2015-03-13 負荷制御装置
JPJP-P-2015-051097 2015-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129A KR20160110129A (ko) 2016-09-21
KR101862733B1 true KR101862733B1 (ko) 2018-05-30

Family

ID=5688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831A KR101862733B1 (ko) 2015-03-13 2016-03-03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76895B2 (ko)
JP (1) JP6447915B2 (ko)
KR (1) KR101862733B1 (ko)
CN (1) CN105974490B (ko)
TW (1) TWI6695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013B2 (en) * 2016-10-26 2023-01-03 A9.Com, Inc. Customizable intrusion zone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JP6945161B2 (ja) * 2017-08-31 2021-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赤外線検出装置
JP7017687B2 (ja) * 2018-03-15 2022-02-09 オムロン株式会社 人検知システムおよび人検知方法
JP7018796B2 (ja) * 2018-03-27 2022-02-14 株式会社Lixil 人体検知センサの検知範囲規定部材および便器
CN108662451A (zh) * 2018-05-16 2018-10-16 深圳市强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led灯及远程控制系统
JP7340807B2 (ja) * 2019-02-08 2023-09-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102065658B1 (ko) * 2019-07-11 2020-01-13 주식회사 티더블유라이팅 램프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램프
JP2021050941A (ja) * 2019-09-20 2021-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CN114651292B (zh) * 2019-11-22 2024-05-24 昕诺飞控股有限公司 向多个存在传感器系统分配不同的任务
KR102457149B1 (ko) * 2020-07-14 2022-10-20 (주)엠에이치반도체 센서등 및 센서등을 위한 센서 모듈
KR102225708B1 (ko) * 2020-07-21 2021-03-09 김유성 조명 제어를 위한 모션 감지 방법 및 장치
CN112584589B (zh) * 2020-11-10 2022-12-20 苏州亚谱讯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规模组网的多人感协同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177A (ja) * 2009-01-27 2010-08-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0272441A (ja) * 2009-05-25 2010-1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システム
US20120319596A1 (en) * 2011-06-16 2012-12-20 Panasonic Corporatio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339Y2 (ja) * 1991-06-03 1997-10-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熱源移動検出装置
JP2000172878A (ja) * 1998-12-09 2000-06-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2000348267A (ja) * 1999-06-04 2000-12-15 Atsumi Electric Co Ltd 熱線センサと監視カメラを備える防犯装置
DE10016688C2 (de) * 2000-04-04 2003-12-24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Verfahren zur Detektion von Tieren und/oder Gelegen von Bodenbrütern in deren natürlichem Lebensraum sowie Einrichtunge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904106B2 (ja) 2000-05-18 2007-04-11 株式会社ノーリツ 人体検知装置
CN1383700A (zh) * 2000-06-23 2002-12-0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利用ccd传感器控制照明的照明控制设备和方法
JP2002134282A (ja) 2000-10-20 200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US6614348B2 (en) * 2001-03-23 2003-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ehavior patterns
US6742901B2 (en) * 2001-05-16 2004-06-01 Sony Corporation Imaging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US20050128291A1 (en) * 2002-04-17 2005-06-16 Yoshishige Murakami Video surveillance system
JP2006112910A (ja) * 2004-10-14 2006-04-27 Optex Co Ltd 赤外線検知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06145456A (ja) * 2004-11-24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検知装置
JP4325544B2 (ja) * 2004-11-25 2009-09-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人体検知装置
JP2006209365A (ja) * 2005-01-26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動体検出装置
US8212877B2 (en) * 2007-03-02 2012-07-03 Fujifilm Corporatio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t which an image is captured at a predetermined time
US20080273754A1 (en) * 2007-05-04 2008-11-0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ning an area of interest for image sensing
US8493212B2 (en) * 2007-06-15 2013-07-23 Icore and Associates, LLC Passive microwave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structure from fire threats
US7639907B2 (en) * 2007-11-14 2009-12-29 Elbex Vide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C powered appliances via video interphones, two way IR drivers and remote control devices
FR2925737B1 (fr) * 2007-12-20 2015-01-23 Onera (Off Nat Aerospatiale) Installation de detection de personnes dans un espace delimite.
EP2204670B1 (en) * 2008-12-23 2014-06-11 Sony Corporation Adaptive sensing system
US8159156B2 (en) * 2009-08-10 2012-04-17 Redwood Systems, Inc.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of auto-commissioning
JP2011090604A (ja) * 2009-10-26 2011-05-06 Seiko Epson Corp 光学式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2011163980A (ja) * 2010-02-10 2011-08-2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センサ装置
TW201212672A (en) * 2010-06-10 2012-03-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djusting a building service system
JP5185354B2 (ja) 2010-11-26 2013-04-1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光学モーションセンサー
WO2012114738A1 (ja) * 2011-02-22 2012-08-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子機及び無線親機
GB2494850B (en) * 2011-04-21 2013-09-11 Cp Electronics Ltd Passive infra red detector
JP5698065B2 (ja) * 2011-04-22 2015-04-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障害物検出装置
CN102361496B (zh) * 2011-06-10 2013-05-01 北京联合大学 监控设备、其应用及装有该设备的室内节能系统
JP2013004311A (ja) * 2011-06-16 2013-01-07 Panason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US9311793B2 (en) * 2011-10-24 2016-04-12 Andrew Lohbihler Motion and are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13096947A (ja) 2011-11-04 2013-05-20 Panasonic Corp 人センサ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US9426430B2 (en) * 2012-03-22 2016-08-23 Bounce Imaging, Inc. Remote surveillance sensor apparatus
CN204190968U (zh) * 2012-04-05 2015-03-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系统、以及辅助装置
CN202551470U (zh) 2012-05-18 2012-11-21 南昌绿扬光电科技有限公司 图像识别智能照明控制系统
WO2013187047A1 (ja) * 2012-06-13 2013-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JP2014002943A (ja) * 2012-06-19 2014-01-09 Hitachi Ltd 照明制御装置
EP2733573A1 (en) * 2012-11-16 2014-05-2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Detecting a position or movement of an object
WO2014185033A1 (ja) * 2013-05-17 2014-11-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熱画像センサ、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6639069B2 (ja) * 2013-06-2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014291B2 (ja) * 2013-08-15 2016-10-25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領域における検知
EP3042545B1 (en) * 2013-09-03 2018-12-19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ighting commissioning
EP3061045A4 (en) * 2013-10-24 2017-05-31 Redwood Systems, Inc. Overhead-mounted infrared sensor array based hotel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404924B2 (en) * 2013-11-11 2019-09-03 Osram Sylvania Inc. Human presence detection techniques
US10816945B2 (en) * 2013-11-11 2020-10-27 Osram Sylvania Inc. Human presence detection commissioning techniques
US9288452B2 (en) * 2013-11-21 2016-03-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shutter
US9599975B2 (en) * 2014-05-15 2017-03-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nsor synchronized networks using overlapping sensor fields
US10931934B2 (en) * 2014-09-02 2021-02-23 FLIR Belgium BVBA Watercraft therma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177A (ja) * 2009-01-27 2010-08-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0272441A (ja) * 2009-05-25 2010-1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システム
US20120319596A1 (en) * 2011-06-16 2012-12-20 Panasonic Corporatio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5966A1 (en) 2016-09-15
JP6447915B2 (ja) 2019-01-09
TWI669526B (zh) 2019-08-21
US9976895B2 (en) 2018-05-22
KR20160110129A (ko) 2016-09-21
CN105974490B (zh) 2019-01-11
TW201636642A (zh) 2016-10-16
CN105974490A (zh) 2016-09-28
JP2016170109A (ja)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733B1 (ko)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796136B1 (ko) 검지 장치, 부하 제어 장치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744210B1 (ko)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JP5903634B2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0970750B1 (ko) 외부환경 조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작동장치 및작동방법
US20090268023A1 (en) Surveillance camera device with a light source
KR20140095407A (ko)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6617990B2 (ja) センサ制御装置、センサシステム、負荷制御システム、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56391B2 (ja) センサ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制御システム
KR101228338B1 (ko) Cctv 카메라 및 그의 감시 방법
JP3033469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110069871A1 (en) Indoor energy-saving system
JP200018436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6958160B2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制御システム
JPH08235458A (ja) 照明手段を備えた移動体検知装置
KR20170004436A (ko) 조명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