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10B1 -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10B1
KR101744210B1 KR1020160025826A KR20160025826A KR101744210B1 KR 101744210 B1 KR101744210 B1 KR 101744210B1 KR 1020160025826 A KR1020160025826 A KR 1020160025826A KR 20160025826 A KR20160025826 A KR 20160025826A KR 101744210 B1 KR101744210 B1 KR 10174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sensor
detection
determination
abs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128A (ko
Inventor
게이 미우라
도모아키 사사키
고이치로 구이
요시타카 기무라
히로후미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Abstract

센서 제어 장치는,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지 범위 중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드와,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드를 가지는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일정 시간에서의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값이 소정값보다 클 경우에 제1 판단 모드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상기 변화값이 상기 소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Description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SENSOR CONTROL DEVICE, SENSOR SYSTEM, AND LOA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의 부하 기기(機器)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부하 제어 장치로서는, 촬상(撮像) 소자를 가지는 조명 제어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의 조명 제어 단말기는, 촬상 소자에 의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여, 조명 기구(器具)의 조광(調光)을 제어한다. 촬상 소자는, 복수의 조명 기구의 조명 범위가 포함되도록 촬상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조명 제어 단말기는, 각각의 조명 기구의 조명 범위에 대응하는 형태로, 촬상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조명 제어 단말기는, 촬상 화상 중에 입실자를 검출한 경우, 입실자가 있는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조명 기구에 대하여 조광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하 제어 장치에 이용 가능한 구성으로서는, 인체의 동작을 촬상하여 화상 처리하는 인체 검출 센서와, 열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적외선 센서를 가지는 인체 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허 문헌 2의 인체 검지 장치에서는, 인체 검출 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체 검출 센서에 의한 화상 처리의 지연을, 검출 속도가 빠른 적외선 센서에 의해 보완하여, 센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의 인체 검지 장치에서는, 인체 검출 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인체 검출 센서에 의한 화상 처리의 지연을, 검출 속도가 빠른 적외선 센서에 의해 보완하여, 센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3―431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1―325677호 공보
그런데, 센서를 제어하는 장치는,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가 높은 구성이 요구되고 있고, 특허 문헌 1의 조명 제어 단말기나 특허 문헌 2의 인체 검지 장치의 구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다른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가 높은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제어 장치의 일 태양(態樣)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지 범위 중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드와,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드를 가지는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일정 시간에서의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값이 소정의 변화값보다 클 경우에 제1 판단 모드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밝기의 상기 변화값이 상기 소정의 변화값보다 작을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시스템의 일 태양은, 상기한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한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상기한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하 제어 시스템의 일 태양은, 상기한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은,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제1 검지 범위 및 제2 검지 범위를 설명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세한 타이밍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판단부에서의 제1 판단 모드와 제2 판단 모드와의 전환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판단부에서의 제1 판단 모드에서의 판단 보류에 관한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1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수치, 형상,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및 스텝(단계) 및 스텝의 순서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로 부가할 수 있는 구성 요소이다. 각각의 도면이 나타내는 부재의 크기나 위치 관계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要素)는, 복수의 요소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 하나의 부재로 복수의 요소를 겸용하는 태양이라도 되고, 하나의 부재의 기능을 복수의 부재로 분담하여 실현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를,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30)에 대해서는,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는, 같은 부재에 대하여,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1)과, 커버체(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바닥을 가지는 통형(筒形)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는, 하우징(1)의 개구(1aa)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2)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커버체(2)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정면에서 볼 때 있어서, 커버체(2)의 주위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과 커버체(2)로 에워싸인 내부에는, 도 4에 나타낸 판단부(3)와, 통신부(4)가 수납되어 있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한다. 통신부(4)는, 판단부(3)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5a)는, 도 5에 나타낸 제1 검지 범위(10aa)를 촬상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가 제1 검지 범위(10aa)를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10aa)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적외선 센서(6a)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제2 검지 범위(10ba)의 적외선을 검지한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적외선 센서(6a)가 검지한 적외선에 기초하여, 제2 검지 범위(10ba)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제1 검지 범위(10aa)는,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제2 검지 범위(10ba)와 중복되어 있다. 판단부(3)는, 제1 판단 모드와, 제2 판단 모드를 가지고 있다. 판단부(3)는,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와의 양쪽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제2 판단 모드에 있어서,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소정 타이밍에서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밝기와 그 후에 촬상하여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의 밝기와의 변화값을 산출한다. 판단부(3)는,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는, 판단부(3)가,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하므로,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먼저, 부하 제어 시스템(30) 전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 제어 장치(10)와, 스위치(31)와, 조명 기구(32)와, 전송 유닛(33)과, 전원 트랜스(35)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은, 전송선(30a)을 통하여, 복수의 부하 제어 장치(10)와, 스위치(31)와, 복수의 조명 기구(32)와, 전송 유닛(3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은, 전원선(30b)을 통하여, 전원 트랜스(35)와 부하 제어 장치(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31)는,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이나 조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31)는,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이나 조광을 행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 유닛(33)을 통하여,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31)는, 제어 신호를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조명 기구(32) 중, 소정의 조명 기구(32)만 점등, 소등이나 조광의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는, 제어를 행하게 하는 조명 기구(32)를 특정하는 어드레스 정보와, 조명 기구(32)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는, 다중 전송 방식에 의해, 2선의 전송선(30a)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명 기구(32)는, 리모트 콘트롤 릴레이(32a)와, 릴레이 제어용 터미널 유닛(32b)과, 조광 터미널 유닛(32c)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리모트 콘트롤 릴레이(32a)를 리모콘 릴레이(32a)라고 하고, 릴레이 제어용 터미널 유닛(32b)을 제어 유닛(32b)이라고 하고, 조광 터미널 유닛(32c)을 조광 유닛(32c)이라고 한다. 제어 유닛(32b)은, 전송 유닛(3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 리모콘 릴레이(32a)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32b)은, 제어 유닛(32b)마다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 유닛(32b)은, 다중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제어 유닛(32b)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의 내용에 기초하여, 리모콘 릴레이(32a)를 제어한다. 리모콘 릴레이(32a)는, 조명 기구(32)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리모콘 릴레이(32a)는, 제어 유닛(32b)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의 온과 오프를 전환한다. 조광 유닛(32c)은, 조광 유닛(32c)마다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조광 유닛(32c)은, 다중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조광 유닛(32c)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인출할 수 있다. 조광 유닛(32c)은, 제어 신호의 내용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의 조광을 제어한다. 조명 기구(32)는, 리모콘 릴레이(32a)와, 제어 유닛(32b)과, 조광 유닛(32c)을 구비한 통신 기능을 가지는 조명 기구로서 기능한다.
전송 유닛(33)은, 2선의 전송선(30a)에 의해 각종 제어 신호를 복수의 조명 기구(32)에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유닛(33)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 유닛(33)은, 복수의 부하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혼신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조명 기구(32)에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유닛(33)은, 예를 들면, 1대로 256회로분의 부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 트랜스(35)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전력으로 변압하는 변압기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트랜스(35)는, 부하 제어 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부하 제어 장치(10)에 공급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는, 복수의 조명 기구(32)를 제어하는 조명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조명 컨트롤러는, 부하 제어 장치(10) 등과 연동하여 조명 기구(32)의 점등 제어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의 부하 제어 장치(10)의 기본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조명 기구(32)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 제어 장치(10)의 검지 범위에 사람이 체재(滯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계속시킨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계속시키는 경우, 소정의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계속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해도 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와의 양쪽에 기초하여, 사람이 부하 제어 장치(10)의 검지 범위로부터 검지 범위의 밖으로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부(3)가 판단하는 경우, 소정의 조명 기구(32)를 감광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한다. 조명 기구(32)는, 조광 유닛(32c)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광 제어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사람이 부하 제어 장치(10)의 검지 범위로부터 검지 범위의 밖으로 이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예를 들면, 소정의 조명 기구(32)를 100% 출력의 점등 상태로부터 50% 출력의 점등 상태로 감광시킨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소정의 조명 기구(32)를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한다. 조명 기구(32)에서는, 제어 유닛(32b) 자체에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32b)이 리모콘 릴레이(32a)를 제어한다. 리모콘 릴레이(32a)는, 제어 유닛(32b)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를 소등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30)에서는, 부하 제어 장치(10)가 제어하는 제어 대상의 부하 기기를, 조명 기구(32)로 하고 있다. 제어 대상은, 조명 기구(32)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환기팬, 에어콘 등 각종 부하 기기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하우징(1)이, 바닥판과 통체(1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바닥판과 통체(1b)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는, 바닥부(2a)와, 통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체(2)는, 바닥부(2a)와 통부(2b)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하우징(1)과 커버체(2)를 끼워맞춘 상태로, 내부가 공동(空洞) 상자체를 구성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하우징(1)과 커버체(2)가 서로 끼워진 상태로, 원기둥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은, 정면에서 볼 때, 한 쌍의 관통공(1ca)을 주위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은, 관통공(1ca)에 삽통(揷通)된 제1 나사가 커버체(2)의 나사공에서 나사 멈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은, 예를 들면, 우레아 수지 등 전기 절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커버체(2)는, 예를 들면, 우레아 수지 등 전기 절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과 커버체(2)는,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되고,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커버체(2)는, 제1 창공(窓孔)(2aa)과, 제2 창공(2ab)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체(2)는, 바닥부(2a)의 중앙부에 있어서, 1개의 제1 창공(2aa)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창공(2aa)은, 바닥부(2a)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1 창공(2aa)의 중심축은, 바닥부(2a)에서의 외저면(外底面)(2ca)의 수선(垂線)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1 창공(2aa)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는, 제1 창공(2aa)의 주위부에 있어서, 4개의 제2 창공(2ab)을 구비하고 있다. 4개의 제2 창공(2ab)의 중심축은, 바닥부(2a)에서의 외저면(2ca)의 수선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바닥부(2a)의 외저면(2ca)에는, 제2 창공(2ab)의 주위부에 외측을 향해 펼쳐지는 오목부(2d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2)는, 통부(2b)의 외주(外周)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c)를 바닥부(2a) 측에 구비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커버체(2)의 외저면(2ca)을 덮는 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원형 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제1 창공(2aa)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제1 개구(12a)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제2 창공(2ab)과 대응하는 주위부에 제2 개구(12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개구(12b)의 주위에는, 오목부(2da)에 대응하는 주위부에 오목부(12da)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12)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화장(化粧)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플레이트(12)의 제1 개구(12a)로부터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노출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플레이트(12)의 제2 개구(12b)로부터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노출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에 더하여, 렌즈부(5b)와, 렌즈 홀더(5c)와, 커버 플레이트(5d)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5a)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촬상 소자(5a)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5b)는, 촬상 소자(5a)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렌즈부(5b)는, 예를 들면, 광을 집광하는 렌즈와, 촬상 소자(5a)와 렌즈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조정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조정부는, 렌즈를 지지하는 영구 자석과, 영구 자석을 가동(可動)시키는 전자(電磁) 코일로 구성할 수 있다. 렌즈부(5b)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렌즈를 가동시켜, 촬상 소자(5a)와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렌즈 홀더(5c)는, 렌즈부(5b)를 유지한다. 렌즈 홀더(5c)는, 환형(環形)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 플레이트(5d)는, 환형의 렌즈 홀더(5c)의 제3 개구(5c1)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5d)는, 렌즈부(5b)의 전방에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5d)는, 투광성(透光性)을 가지고 있다. 커버 플레이트(5d)는, 외부로부터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내부가 육안 관찰하기 어렵게 되도록, 착색되어 있다. 렌즈 홀더(5c)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형의 일부에 표시부(8)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8)는, 발광 다이오드(8a)를 가지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8a)는, 발광색이나 점등 상태에 따라서, 부하 제어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적외선 센서(6a)에 더하여, 센서 커버(6b)를 구비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원기둥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축 방향을 따라 3개의 단자(6a1)를 돌출시키고 있다. 센서 커버(6b)는, 통형부(6b1)와, 원커버형부(6b2)를 가지고 있다. 통형부(6b1)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원커버형부(6b2)는, 통형부(6b1)를 덮고 있다. 원커버형부(6b2)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렌즈를 가지고 있다. 센서 커버(6b)는, 통형부(6b1)와, 원커버형부(6b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6b)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센서 커버(6b)는, 적외선 센서(6a)의 단자(6a1)와는 반대측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사람으로부터 발해지는 적외선을, 센서 커버(6b)를 통하여 적외선 센서(6a)가 검출한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소정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커버체(2)의 외저면(2ca)보다 센서 커버(6b)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커버체(2)를 통하여, 제1 회로 기판(13a)에 실장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제1 회로 기판(13a)에 직접 장착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평면에서 볼 때, 원반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1 삽입공(13b)과, 제2 삽입공(13c)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삽입공(13b)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공(13b)은, 센서 커버(6b)에서의 통형부(6b1)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6a)는, 적외선 센서(6a)의 일부가 제1 회로 기판(13a)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2 삽입공(13c)은, 적외선 센서(6a)의 단자(6a1)가 삽입된다. 제1 회로 기판(13a)은, 1개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대하여, 3개의 제2 삽입공(13c)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삽입공(13c)은, 평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공(13c)은, 제1 회로 기판(13a)의 제1 면(13aa)에 대하여, 단자(6a1)가 경사지게 삽입된다. 적외선 센서(6a)는, 제1 회로 기판(13a)의 제1 삽입공(13b)과 제2 삽입공(13c)에 의해, 제1 회로 기판(13a)의 제1 면(13aa)에 대하여 경사지게 실장(實裝)된다. 적외선 센서(6a)는, 평면에서 볼 때, 커버체(2)의 중앙부로부터 외주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실장된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1 면(13aa)에, 촬상 소자(5a), 발광 다이오드(8a)나 적외선 센서(6a) 외에, FPGA(field―progra㎜able gate array) 등의 전자 소자(5j)를 실장하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1 면(13aa)과 대향하는 제2 면에, IC(Integrated Circuit)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 실장 부품을 실장하고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소정 형상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촬상 소자(5a), 발광 다이오드(8a), 적외선 센서(6a), 전자 소자(5j)나 각종 실장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전자 소자(5j)나 실장 부품을 사용하여, 판단부(3)나 통신부(4)가 구성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13a)은, 나사에 의해, 커버체(2)에 고정된다.
제1 회로 기판(13a)은, 제2 회로 기판(13f)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원반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에는, 각종 전자 부품(13e)이 실장되어 있다. 전자 부품(13e)은, 예를 들면, 전해 컨덴서, 포토커플러(photocoupler), 서미스터(thermister), 트랜지스터, 배리스터(varistor)나 다이오드 등을 들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실장된 각종 전자 부품(13e)을 사용하여, DC―DC 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제1 회로 기판(13a)에 급전(給電)하는 전원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회로 기판(13f)은, 제2 나사(13d)에 의해, 하우징(1)에 고정된다. 제2 회로 기판(13f)은, 복수의 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하우징(1)에서의 커버체(2)와는 반대측에 복수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있다. 단자부는, 부하 제어 장치(10)에 급전하는 급전 단자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단자부는, 통신부(4)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자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체결(tightening) 나사(10d)와, 협지 금속 기구(10e)를 구비하고 있다. 체결 나사(10d)는, 하우징(1)과 커버체(2)에 걸쳐 형성된 홈부(10m)를 따라 설치된다. 협지 금속 기구(10e)는, 체결 나사(10d)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재(30c) 등의 시공면(施工面)(30ca)에 장착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천정재(30c)에 형성된 관통구(30cb)에 매립되어 배치된다. 플랜지부(2c)는, 부하 제어 장치(10)를 천정재(30c)의 관통구(30cb)에 매립한 상태로, 시공면(30ca)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체결 나사(10d)와 협지 금속 기구(10e)를 이용하여, 플랜지부(2c)와 협지 금속 기구(10e)와 천정재(30c)에 장착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천정재(30c)에 장착함으로써, 제1 사람 검지 센서(5)나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시공면(30ca) 측으로부터 연직(沿直) 방향의 아래쪽을 검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판단부(3)와 통신부(4)와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더하여, 전원부(7)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7)는, 제2 회로 기판(13f)에 형성된 DC―DC 컨버터에 의해 구성된다. 전원부(7)는, 판단부(3)와 통신부(4)와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전력을 공급한다.
판단부(3)는, 제어부(3s)와, 타이머부(3t)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센서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3s)는,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 또는 조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s)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사용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타이머부(3t)는, 시각을 계시(計時)한다. 통신부(4)는, 판단부(3)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4)는, 제어 신호를 다중 전송 방식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s)는,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나서 타이머부(3t)에서 계시한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조명 기구(32)를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3s)는, 타이머부(3t)가 계시 중에, 제1 센서 신호 및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타이머부(3t)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타이머부(3t)가 리셋 후에 새롭게 카운트 다운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조명 기구(32)의 점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에 더하여, 화상 처리부(5e)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5e)는, 연산 제어부(5f)와, 제1 기억부(5g)와, 제2 기억부(5h)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 제어부(5f)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연산 처리한다. 연산 제어부(5f)는, FPGA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연산 제어부(5f)는, DSP 대신에, 고도 이미지 프로세서 등의 디지털 화상 처리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제1 기억부(5g)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1 기억부(5g)는, 데이터량이 많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도록 대용량 기억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제1 기억부(5g)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용량이 비교적 큰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기억부(5h)는, 천정재(30c) 측으로부터 본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 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는, 사람과 사람 이외를 변별(辨別)하는 화상 식별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기억부(5h)는, 제1 기억부(5g)와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제2 기억부(5h)는, 형상 데이터를 비교적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5e)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제1 기억부(5g)에 기억시킨다. 화상 처리부(5e)는, 제1 기억부(5g)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연산 제어부(5f)에 읽어들인다. 화상 처리부(5e)는, 제2 기억부(5h)로부터 적절하게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를 연산 제어부(5f)에 읽어들인다. 연산 제어부(5f)에서는, 읽어들여진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차분 처리를 행한다. 화상 차분 처리에서는, 배경 차분으로서, 촬상 소자(5a)에 의해 촬상된 현재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현재 화상과, 사람이 제1 검지 범위(10aa)에 침입하기 전에 미리 촬상 소자(5a)에 의해 촬상된 배경 데이터에 따른 배경 화상이 비교된다. 배경 데이터는, 제1 기억부(5g)에 기억시켜도 되고,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켜도 된다. 연산 제어부(5f)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을 비교하여, 화소마다의 차분을 취한 차분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차분 처리는, 배경 차분에만 한정되지 않고, 촬상 소자(5a)가 읽어들인 시계열이 상이한 2개의 화상 데이터를 비교한 시간 차분에 의해, 차분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연산 제어부(5f)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차분을 취하여 휘도값을 2진수화시킨 차분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가 행해진다.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에서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사이에서 변화가 없는 화소의 휘도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하회한다.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에서는,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사이에서 변화가 생긴다.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에서는, 현재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사이에서 변화가 있는 화소의 휘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된다.
연산 제어부(5f)는, 차분 화소의 추출 처리를 행한 후, 차분 화소에 대한 인식 처리를 행한다. 인식 처리에서는, 추출된 차분 화소의 집단의 윤곽의 형상에 대하여, 제2 기억부(5h)에 미리 기억된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형상의 패턴 인식에 의한 화상 식별의 처리를 행한다. 연산 제어부(5f)는, 추출한 윤곽의 형상과, 미리 기억시킨 사람의 윤곽의 형상 데이터와의 일치율을 판단함으로써, 추출된 윤곽의 형상이 사람인지,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5f)에서는, 예를 들면, 차분 화소에 대한 인식 처리로서, 소벨(sobel) 필터나 프리윗(prewit) 필터 등을 사용하여 윤곽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5f)는, 화상 식별의 처리에 의해, 사람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으면, 사람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1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 측으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마다, 화상 데이터와 배경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검지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정지한 상태의 사람이 존재하고 있을뿐인 상태라도,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서는, 적외선 센서(6a)가, 초전(焦電) 소자(6d)와 신호 처리 회로부(6e)를 구비하고 있다. 초전 소자(6d)는, 사람으로부터 발해지는 적외선을 검출한다. 신호 처리 회로부(6e)는, 증폭 회로(6f)와, 대역 필터(6g)와, 비교 회로(6h)와, 출력 회로(6j)를 구비하고 있다. 증폭 회로(6f)는, 초전 소자(6d)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한다. 대역 필터(6g)는, 증폭된 신호 중, 잡음으로 되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비교 회로(6h)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변별한다. 신호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넘고 있는 경우, 출력 회로(6j)는, 사람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2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신호 처리 회로부(6e)는, 초전 소자(6d)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적외선 센서(6a)는, 초전 소자(6d)로부터의 신호가 임계값보다 크면, 단자(6a1)로부터 제2 센서 신호를 판단부(3)에 출력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검지 신호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고, 복수의 조명 기구(32) 각각의 점등, 소등 또는 조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화상 데이터의 차분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제1 검지 범위(10aa)에서의 사람의 체재, 부재, 이동을 판별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사람이 제1 검지 범위(10aa)를 이동 중인 경우에 조명 기구(32)를 감광시켜, 사람이 제1 검지 범위(10aa)에 체재하고 있는 경우에만 조명 기구(32)를 점등시킬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촬상 소자(5a)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 가능하도록, 제1 검지 범위(10aa)가 소정의 밝기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사람으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에 기초하여, 적외선 센서(6a)가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밝기에 관계없이 사람의 존재 유무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를 이용하여, 주위의 밝기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주위의 밝기로서, 촬상 소자(5a)가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 전체의 평균값으로부터 조도를 산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조도 센서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에 의해 검출한 밝기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도 이상인 경우,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로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드로 동작한다. 미리 설정하는 소정의 조도의 임계값으로서는, 촬상 소자(5a)의 촬상 성능에도 좌우되지만, 예를 들면, 20 룩스로 할 수 있다. 조도의 임계값은, 예를 들면,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키면 된다.
판단부(3)는, 부하 제어 장치(10)의 주위의 밝기가 소정의 조도 미만인 경우,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만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드로 동작한다. 판단부(3)는, 제2 모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시킨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의 밝기에 관계없이, 제1 검지 신호와 제2 검지 신호에 따라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통신부(4)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에서의 제1 검지 범위(10aa) 및 제2 검지 범위(10ba)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1 검지 범위(10aa)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람 검지 센서(5)를 정상점(頂点)으로 하는 사각뿔형으로 형성된다. 제2 검지 범위(10ba)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정상점으로 하는 경사원뿔형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는, 4개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1개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검지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바닥면에 있어서, 제1 검지 범위(10aa)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제1 검지 범위(10aa)와 중복되도록, 바닥면에 있어서, 제2 검지 범위(10ba)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와 제2 사람 검지 센서(6)는, 바닥면에서의 제2 검지 범위(10ba)의 장축(長軸) 방향이, 바닥면에서의 제1 검지 범위(10aa)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바닥면에 있어서, 4개의 제2 검지 범위(10ba) 전체가, 제1 검지 범위(10aa)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제1 검지 범위(10aa)를 분할한 복수의 분할 영역마다,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예를 들면, 기둥이 존재하는 등 설치 장소에 따라서,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것이 불필요한 특정한 분할 영역의 검지 기능을 미리 오프로 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분할 영역을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킬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적절하게 분할 영역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은,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어느 하나의 제2 검지 범위(10ba)와 중복되어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분할 영역마다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를 제어하는 경우, 복수의 제2 사람 검지 센서(6) 중 어느 하나의 제2 검지 범위(10ba)와 중첩되는 분할 영역에서의 검지 기능이 온이나 오프로 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1개의 분할 영역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하면, 오프로 한 분할 영역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어도 사람의 검지를 행하지 않는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검지 기능이 오프로 된 분할 영역과 중첩되는 제2 검지 범위(10ba)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지 않지만,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가 밝은 경우, 제1 판단 모드로서,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와의 논리곱으로,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주위의 밝기가 소정의 조도 이상의 경우,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와의 논리곱의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가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한 분할 영역에서 사람의 존재를 검지해도,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가 어두운 경우, 제2 판단 모드로서,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에만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분할 영역의 설정 시에,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지 기능의 온과 오프에 따라서, 제어부(3s)에 의해, 자동적으로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10ba)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온과 오프로 제어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어부(3s)가 소정의 분할 영역(10ab)에서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설정하면, 오프로 된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기능을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어부(3s)가 소정의 분할 영역에서의 검지 기능을 오프로 설정하면, 오프로 된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를 무효로 함으로써,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오프로 해도 된다. 따라서, 제2 사람 검지 센서(6)를 온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은, 제2 사람 검지 센서(6)에 대한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판단부(3)가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를 유효나 무효로 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다음에, 부하 제어 장치(10)의 판단부(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촬상 소자(5a)를 사용하여 조도를 검출함으로써 주위의 밝기를 검지하고, 판단부(3)가 자동적으로 제1 판단 모드와 제2 판단 모드를 서로 전환한다.
그런데, 부하 제어 장치(10)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노광 조정하여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노광 조정은, 예를 들면, 렌즈부(5b)의 렌즈를 가동시켜 조정할 수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노광 조정에 다소의 시간이 걸린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조명 기구(32)가 점등되어 주변의 밝기가 급변하는 경우, 제1 사람 검지 센서(5)의 노광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정확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정확한 노광 조정을 할 수 없으면, 노광 과잉이나 노광 부족이 생겨, 사람의 존재 유무의 오검지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부하 제어 장치(10)에서는, 판단부(3)는,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도 6에서는, 조명 기구(32)의 점등, 소등, 제1 판단 모드에서의 판단부(3)에 의한 판단 기능의 온, 오프, 판단부(3)에서의 판단 모드를 시계열로 예시하고 있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시각 t1에서 조명 기구(32)가 점등되고, 주위가 밝아져 제1 판단 모드로 되었을 경우,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으로 된다.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은,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소정 타이밍에서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조도와, 다음의 타이밍에서 촬상하여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조도와의 시간 미분(微分)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은, 연산 제어부(5f)에서 연산 처리하여 산출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5f)는, 미리 제2 기억부(5h)에 기억시키고 있는 밝기의 변화값의 크기를 판별하는 소정값에 기초하여, 밝기의 변화값의 대소(大小)를 판단한다. 판단부(3)는,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시각 t2까지 보류한다. 판단부(3)는, 주위의 밝기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상태에서는, 제1 사람 검지 센서(5)로부터의 제1 검지 신호를 무효로 하면 된다. 판단부(3)는, 시각 t2의 경과 후,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그리고, 시각 t2에 있어서 제2 판단 모드로부터 제1 판단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다음에, 시각 t3에서 조명 기구(32)가 소등되고, 주위가 어두워지지만 제1 판단 모드의 경우,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가 있다. 판단부(3)는,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시각 t4까지 보류한다. 판단부(3)는, 시각 t4의 경과 후,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다음에, 부하 제어 장치(10)는, 시각 t1과 마찬가지로 시각 t5에서 조명 기구(32)가 점등되고, 주위가 밝아져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시각 t6까지 보류한다. 판단부(3)는, 시각 t6의 경과 후,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다음에,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시각 t7에서 조명 기구(32)가 소등되어 주위가 어두워져 제2 판단 모드로 되는 경우, 화상 데이터의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의 경우라도, 제2 사람 검지 센서(6)로부터의 제2 센서 신호만으로,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부하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면, 시각 t7에서 조명 기구(32)가 소등되고, 주위가 그다지 어둡지 않아 제1 판단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센서 신호와 제2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부하 제어 장치(10)는, 주위의 조도 변화가 급격하게 생긴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밝기의 변화값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하므로, 보다 사람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판단부(3)에서의 제1, 제2 판단 모드의 전환 동작 및 제1 판단 모드에서의 판단을 보류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의 판단부(3)에서의 제1 판단 모드와 제2 판단 모드와의 전환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판단부(3)는, 주위의 밝기 B1이 임계값 Th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81),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제1 판단 모드로 설정하여(S82), 제1 판단 모드의 판단을 실행한다(S83). 제1 판단 모드의 판단이란, 제1 사람 검지 센서(5) 및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양자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임계값 Th1은, 예를 들면, 제1 사람 검지 센서(5)가 촬상 가능한(또는 사람의 검지 가능한) 밝기의 범위의 하한에 대응하는 밝기로 된다.
또한, 판단부(3)는, 주위의 밝기가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제2 판단 모드로 설정하여(S84), 제2 판단 모드의 판단을 실행한다(S85). 제2 판단 모드의 판단이란, 제1 사람 검지 센서(5)는 아니고 제2 사람 검지 센서(6)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의 처리는 항상 반복하거나, 또는 사람에게는 연속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간격으로 반복 실행된다.
다음에,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판단을 보류하는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판단부(3)에서의 제1 판단 모드에서의 판단 보류에 관한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판단부(3)는, 일정 시간에서의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값 C1이 소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91),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 판단 모드에서의 판단을 보류하고(S92), 보류했을 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S93에서 yes), 보류를 해제한다(S94). 상기한 일정 시간 및 변화값은, 제1 사람 검지 센서가 노광 불량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급격한 밝기의 변화에 대응한다. 급격한 밝기의 변화는, 예를 들면, 깜깜한 상태에서 조명 기구(32)가 소등으로부터 점등할 때나, 조명 기구(32)가 점등으로부터의 소등에 의해 단번에 깜깜하게 되었을 때 등이다.
도 9의 처리예에 의하면,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급격한 밝기의 변화가 있었을 때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오동작(즉 사람의 오검지)을 억제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의 판단부(3)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와는 별개의 하나의 센서 제어 장치라도 된다. 또한, 센서 제어 장치와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제2 사람 검지 센서는 1개의 센서 시스템을 구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센서 제어 장치는,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지 범위 중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드와,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드를 가지는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일정 시간에서의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값이 소정값보다 클 경우에 제1 판단 모드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상기 변화값이 상기 소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 중 적어도 한쪽이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았을 때,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았을 때,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했을 때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상기 제1 판단 모드 또는 상기 제2 판단 모드에 의해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판단 모드와 상기 제2 판단 모드를 전환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밝기의 변화값이 상기 소정값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보다 어두울 때, 상기 제2 판단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변화값은, 밝기가 증가했을 때의 변화값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센서 시스템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주위에 복수의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부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와,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Claims (11)

  1. 촬상(撮像)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1 사람 검지 센서와, 적외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지 범위 중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제2 검지 범위에서의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제2 사람 검지 센서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모드와,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모드를 가지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일정 시간에서의 밝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화값이 소정값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노광 조정을 위해 상기 제1 판단 모드에서의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하고,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상기 변화값이 상기 소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하는,
    센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 중 적어도 한쪽이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았을 때,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센서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 판단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았을 때,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센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보류했을 때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상기 제1 판단 모드 또는 상기 제2 판단 모드에 의해 사람의 존재 유무의 판단을 행하는, 센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밝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판단 모드와 상기 제2 판단 모드를 전환하는, 센서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밝기의 변화값이 상기 소정값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 검지 범위의 밝기가 소정의 밝기보다 어두울 때, 상기 제2 판단 모드로 전환하는, 센서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값은, 밝기가 증가했을 때의 변화값인, 센서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센서 제어 장치;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 및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
    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람 검지 센서의 주위에 복수의 상기 제2 사람 검지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센서 시스템.
  10.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제어 장치; 및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기재된 센서 제어 장치;
    상기 센서 제어 장치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
    를 포함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KR1020160025826A 2015-03-13 2016-03-03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744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1096 2015-03-13
JP2015051096A JP6681590B2 (ja) 2015-03-13 2015-03-13 センサ制御装置、センサシステム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128A KR20160110128A (ko) 2016-09-21
KR101744210B1 true KR101744210B1 (ko) 2017-06-07

Family

ID=5688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826A KR101744210B1 (ko) 2015-03-13 2016-03-03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92493B2 (ko)
JP (1) JP6681590B2 (ko)
KR (1) KR101744210B1 (ko)
CN (1) CN105975898B (ko)
TW (1) TWI6274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5341C (en) * 2017-08-24 2023-08-15 Herc Rentals Inc. System,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light tower control
JP6900865B2 (ja) * 2017-09-26 2021-07-07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用センサ機器と照明システム
EP3629033A1 (de) * 2018-09-26 2020-04-01 Friedrich Brück Lichterfassungseinheit zur lichterfassung für eine konstantlichtregelung für zumindest einen präsenzmelder sowie präsenzmelder mit zumindest einer solchen lichterfassungseinheit
US11915571B2 (en) * 2020-06-02 2024-02-27 Joshua UPDIKE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monitoring distancing using a spatial monitoring platform
WO2022053663A1 (en) * 2020-09-14 2022-03-17 Signify Holding B.V. A lighting controller
JP7426590B2 (ja) 2020-09-28 2024-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取得装置及び情報取得システム
TWI826784B (zh) * 2021-05-11 2023-12-21 大陸商星宸科技股份有限公司 物件感測裝置及方法
CN115150558B (zh) * 2022-09-05 2022-11-18 深圳比特微电子科技有限公司 亮度检测方法、摄像装置的控制方法、装置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067A (ja) * 1999-08-16 2001-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人体検知装置
JP2008293926A (ja) * 2007-05-28 2008-12-0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JP2013084518A (ja) * 2011-10-12 2013-05-09 Nakano Engineering Co Ltd 調光型led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265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2000155177A (ja) * 1998-11-20 2000-06-06 Nikon Corp 人体検知装置および人体検知方法
JP4503742B2 (ja) 1999-10-20 2010-07-14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複合型センサ
JP3904106B2 (ja) 2000-05-18 2007-04-11 株式会社ノーリツ 人体検知装置
JP4155159B2 (ja) 2003-10-28 2008-09-24 松下電工株式会社 複合型人感スイッチ
US20070036535A1 (en) * 2005-08-12 2007-02-15 Pro Brand International, Inc. Motion detection automatic camera
US7459672B2 (en) * 2007-01-19 2008-12-02 Jenesis International, Inc. Motion sensor with LED aiming aid
JP2009169717A (ja) * 2008-01-17 2009-07-30 Meidensha Corp 画像処理による侵入者検知装置
US8159156B2 (en) * 2009-08-10 2012-04-17 Redwood Systems, Inc.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of auto-commissioning
JP5406683B2 (ja) 2009-11-25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点灯制御装置
US20110279683A1 (en) * 2010-05-17 2011-11-17 Edward John Yarmchuk Automatic Motion Triggered Camera with Improved Triggering
TW201212672A (en) * 2010-06-10 2012-03-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djusting a building service system
JP5185354B2 (ja) 2010-11-26 2013-04-1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光学モーションセンサー
JP2012155971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センサ装置、センサ装置を用いた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GB2494850B (en) * 2011-04-21 2013-09-11 Cp Electronics Ltd Passive infra red detector
JP2013004311A (ja) 2011-06-16 2013-01-07 Panason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US8659230B2 (en) * 2011-06-16 2014-02-25 Panasonic Corporatio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JP2013096947A (ja) 2011-11-04 2013-05-20 Panasonic Corp 人センサ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CN202551470U (zh) * 2012-05-18 2012-11-21 南昌绿扬光电科技有限公司 图像识别智能照明控制系统
US20140267595A1 (en) * 2013-03-15 2014-09-18 Mark J. Cuddeback Rotating surveillance camera
JP6014291B2 (ja) * 2013-08-15 2016-10-25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領域における検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067A (ja) * 1999-08-16 2001-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人体検知装置
JP2008293926A (ja) * 2007-05-28 2008-12-0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JP2013084518A (ja) * 2011-10-12 2013-05-09 Nakano Engineering Co Ltd 調光型led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71027A (ja) 2016-09-23
KR20160110128A (ko) 2016-09-21
TW201636641A (zh) 2016-10-16
TWI627434B (zh) 2018-06-21
CN105975898B (zh) 2019-04-05
US9792493B2 (en) 2017-10-17
US20160267322A1 (en) 2016-09-15
JP6681590B2 (ja) 2020-04-15
CN105975898A (zh)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136B1 (ko) 검지 장치, 부하 제어 장치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862733B1 (ko)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1744210B1 (ko)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100970750B1 (ko) 외부환경 조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작동장치 및작동방법
JP2014102909A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0727893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 방법
KR20140095407A (ko)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6617990B2 (ja) センサ制御装置、センサシステム、負荷制御システム、センサ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56391B2 (ja) センサ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制御システム
KR101228338B1 (ko) Cctv 카메라 및 그의 감시 방법
US20110069871A1 (en) Indoor energy-saving system
JP2002246189A (ja) 照明装置
JP6958160B2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制御システム
JP2011049005A (ja) 照明器具
JPH11224529A (ja) テレビ照明装置
KR200346592Y1 (ko) 센서등
KR20170004436A (ko) 조명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H08235458A (ja) 照明手段を備えた移動体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