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13B1 -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13B1
KR101855913B1 KR1020110111342A KR20110111342A KR101855913B1 KR 101855913 B1 KR101855913 B1 KR 101855913B1 KR 1020110111342 A KR1020110111342 A KR 1020110111342A KR 20110111342 A KR20110111342 A KR 20110111342A KR 101855913 B1 KR101855913 B1 KR 10185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heet
tablets
tablet sheet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338A (ko
Inventor
하지메 가와노베
가츠요시 젠마
히로시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엘케스트 코포레이션
캐논 라이프케어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케스트 코포레이션, 캐논 라이프케어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엘케스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7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5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expelling contents, e.g. by squeez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이 정제 공급 장치는,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이며, 1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제 시트 수용부와,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정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 대상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고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재치대는,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정제를 상기 공급 유닛에 낙하시키는 배출구를 가진다.

Description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TABLET SUPPLYING APPARATUS AND UNWRAPPING SYSTEM}
본 발명은, 병원이나 조제 약국 등에서 이용되는 정제 공급 장치에 관하여, 특히,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12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제2010-293276호에 근거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병원이나 조제 약국 등에서는, 의사에 의해 처방된 약제를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정제 공급 장치로서는, 정제를 수납하는 복수의 태블릿 케이스를 갖춘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개 제2003-237702호 공보를 참조).
상기 정제 공급 장치에서는, 개장되어 있지 않은 정제가 태블릿 케이스에 옮길 있어서 이용된다. 개장되어 있지 않은 정제는 판매 단위에 포함되는 수량이 많기 때문에, 재고가 많아지기 쉽다. 특히, 근래에는 후발의약품이 넓게 이용되기 위해, 다종류의 정제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여, 재고가 증대하기 쉽다. 또한, 상기 정제 공급 장치에서는, 정제의 변질을 피하기 위해, 태블릿 케이스 내의 습기 제거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정제를 1정씩 포장한 정제 시트(이른바 PTP 시트)는, 판매 단위에 포함되는 정제가 소수이기 때문에 재고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제의 변질도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제 공급 장치로서 정제 시트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정제 공급 장치에서는, 정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정제를 수작업으로 취출해 상기 태블릿 케이스에 넣는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에 시간이 든다.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장치도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특개 제2004-131149호 공보를 참조), 취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취출된 정제는 상기 태블릿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용하기 위해, 정제 수용 작업이나 변질 예방 조치(습기 제거 등)가 필요하고, 작업성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작업성이 뛰어난 한편 정제의 변질을 막는 것이 가능한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의하면, 정제 공급 장치는,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이며, 1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과,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제 시트 수용부와,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정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 대상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 하고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재치대는,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정제를 상기 공급 유닛에 떨어뜨리는 배출구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재치대가,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벌의 주지지체와,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벌의 단부 지지체를 가지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한 벌의 주지지체와, 상기 한 벌의 단부 지지체에 둘러싸인 개구부이며, 상기 단부 지지체가, 상기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져, 상기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벌의 주지지체의 사이에 배치 가능하고, 상기 단부 지지체가,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경사부에 의해서 상기 한 벌의 주지지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출 기구가,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 하는 정제 압압부와, 이 정제 압압부를 상기 정제 수용부에 접근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정제 압압부는, 상기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을 압압하는 안쪽 압압체와, 상기 정제 수용부의 중앙 부분에서 외측의 부분을 압압하는 외측 압압체를 갖지며, 상기 안쪽 압압체와 상기 외측 압압체와는 독립해 상기 압압 동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정제 시트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서 상기 정제 시트 수용부로부터 반출될 때에, 미리 정해진 수의 적정 자세의 상기 정제 시트만을 선별하는 정제 시트 선별기구를 더 가지고, 상기 정제 시트 선별기구는, 상기 적정 자세 이외가 자세를 취하는 정제 시트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서 반송되는 상기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의 위치를 빛에 의해 검출하는 정제 위치 검출 기구와, 상기 정제 위치 검출 기구에 이르는 정제 시트의 폭방향의 휘어진 상태 변형을 수정하는 수정 기구를 가지고, 상기 수정 기구는, 상기 정제 시트의 측 테두리부에 두께 방향의 힘을 더해 상기 반송 방향에 걸쳐서 휨변형시키는 것으로 상기 휘어진 상태 변형을 작게 하는 두께 방향 압압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이, 상기 배출구에 낙하된 정제를 안내하는 도출 슈트를 각각 가지고, 상기 공급 유닛이, 2이상의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부터의 정제를 안내하는 공통 도출로를 가지며, 상기 2이상의 정제 취출 유닛의 도출 슈트가,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공통 도출로에 접속되고 있어, 상기 공통 도출로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도출 슈트의 출구의 중간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주도출로와, 이들의 내부 아래에 출구를 포함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확대부를 가지고, 상기 확대부는, 상기 주도출로보다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정제 공급 장치는 상기 정제가 취출된 정제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을 더 가지고,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정제가 취출된 정제 시트를 미끄러져 낙하시키는 가이드구부를 가지는 배출 슈트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구부의 내면은, 적어도 일부가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의하면, 제포시스템은, 상기 정제 공급 장치와, 상기 정제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를 가지는 제포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에 의하면, 정제제포방법은, 상기 정제 공급 장치를 이용하고,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해 공급하는 방법이며, 상기 정제 시트를 상기 정제 시트 수용부로부터 반출해 상기 재치 대상에 재치해, 상기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압압해 상기 정제를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취출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공급 유닛에 낙하시키는 정제제포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제 시트 수용부와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취출된 정제를 공급 유닛에 떨어뜨리는 배출구를 가지는 재치대와, 재치 대상의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고 정제를 취출한 압출(押出) 기구를 가지므로, 정제 시트로부터 효율적으로 정제를 취출해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제가 밀봉된 정제 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제의 변질이 일어나기 어렵다. 정제 시트는 판매 단위에 포함되는 정제가 소수이기 때문에, 약국이나 병원 등에 있어서의 재고의 삭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구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재치대(載置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복수 종류의 정제 시트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시트마다 정제 공급 장치의 구성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고,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제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정제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정제 취출(取出) 유닛의 내부 구조를 측면에서 본 구조도이다.
도 4는, 정제 취출 유닛의 내부 구조를 배면에서 본 구조도이다.
도 5는,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를 정면측이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를 배면측이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재치대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재치대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나타내는 정제 시트와는 다른 정제 시트를 이용했을 경우의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를 배면측이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를 확대한 배면도이며, 정제 시트 선별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수정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9a는, 수정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b는, 수정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수정 기구에 있어서의 정제 시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휘어진 상태 변형이 생기지 않은 정제 시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휘어진 상태 변형이 생긴 정제 시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정제 취출 유닛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압출(押出)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압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압출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압출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압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a는, 압출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9b는, 도 29a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0a는, 도 29a에 계속되는 압출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b는, 도 30a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1은, 정제 공급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내는 정제 공급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3은, 정제 공급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배출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내는 배출 유닛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6은, 포장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정제 공급 장치의 일실시 형태인 정제 공급 장치(10)를 이용한 제포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제포시스템은, 정제 공급 장치(10)와, 정제 공급 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5)를 갖추고 있다.
정제 공급 장치(10)는, 정제 시트(51)(도 25 참조)로부터 정제(50)를 취출해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제 공급 장치(10)는, 복수의 정제 취출(取出) 유닛(1)과, 정제 취출 유닛(1)으로 취출된 정제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2)과, 정제(50)가 취출된 정제 시트(51)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3)(도 33 참조)과, 이것들을 수납하는 지지가체(4)를 갖추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있어서의 X1방향을 전방, X2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Y1, Y2방향은, 수평면 내에서 X1, X2방향으로 직행할 방향이며, 각각 좌방 및 우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덧붙여 도시 예의 정제 공급 장치(10)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1)을 갖추고 있지만, 정제 취출 유닛(1)의 수는 1개라도 무방하다.
지지가체(4)는, 기대(71)와, 그 위에 설치된 저벽(72)과, 그 양측단에 입설(立設)된 측벽(73, 73)과, 측벽(73, 73)의 상단에 설치된 천장벽(74)을 갖추고 있다. 저벽(72)과 측벽(73, 73)과 천장벽(74)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1)이 수납되고 있다. 정제 취출 유닛(1)은, 폭방향(좌우 방향)으로 6개를 연장할 수 있어 이 6개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 이루어지는 조가 상하에 3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정제 취출 유닛(1)은, 좌우 6열, 상하 3단으로 배열되고 있다.
도 3 내지 도 6, 도 13, 도 23에 나타내듯이, 정제 취출 유닛(1)은, 정제 시트 수용부(11)와, 정제 시트(51)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12)와, 정제 시트 선별기구(13)와, 정제 시트(51)의 반송로(14)와, 측벽부(15)와, 정제 시트(51)의 휘어진 상태 변형을 수정하는 수정 기구(16)와,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와, 정제 시트(51)가 재치되는 재치대(18)와, 정제 시트(51)로부터 정제(50)를 취출한 압출 기구(19)와, 재치대(18)의 지지체(21, 22)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23)와, 취출된 정제(50)를 안내하는 도출 슈트(24)와, 지지체(25)를 갖추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지지체(25)는, 천장판(31)과, 그 측 테두리로부터 수하(垂下)하는 측판(32, 32)과, 천장판(31)의 전연(前緣: 앞쪽 가장자리)으로부터 수하하는 전판(33)을 갖추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 수용부(11)는, 천장판(31) 상에, 칸막이 판(34)과 한 벌의 가동측판(35, 35)을 가진다. 칸막이 판(34)과 한 벌의 가동측판(35, 35)에 둘러싸인 공간에,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51)를 수용할 수 있다. 정제 시트 수용부(11)에는, 전후방향이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정제 시트(51)가 수용된다. 칸막이 판(34)은, 천장판(31)에 대해서 수직인 한편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있다. 가동측판(35, 35)은, 칸막이 판(34)의 전방 측에, 천장판(31)에 대해서 수직인 한편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있다. 가동측판(35, 35)은, 서로 평행이고,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고 있다.
가동측판(35, 35)은, 위치 조정 기구(23)의 연장부(60, 60)(도 15 참조)에 장착된 구동체(61, 61)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연장부(60, 60)는, 조정 다이얼(57)을 조작해 나사 샤프트(58)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서로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정 다이얼(57)의 조작에 의해 가동측판(35, 35)을 서로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폭방향의 위치를 정제 시트(51)의 폭치수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비교적 폭이 좁은 정제 시트(51)를 사용했을 경우의 예이며, 도 10은 비교적 폭이 넓은 정제 시트(51)를 사용했을 경우의 예이다.
도 25에 나타내듯이, 도시 예의 정제 시트(51)는, 정제(50)를 수용하는 정제 수용부(52)를 가지는 시트 본체(54)의 아래쪽 면에,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 등을 이용한 봉지 시트(55)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정제(50)를 정제 수용부(52)에 밀봉하고 있다. 정제 시트(51)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정제 시트(51)는, 시트부(53) 상에 볼록한 모양의 정제 수용부(52)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2열로 줄선 형태이다.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정제 수용부(52)는 정제 시트(5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줄지어 있다. 덧붙여 정제 시트(51)는, 시트부(53) 상에 정제 수용부(52)가 2열로 줄선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정제 수용부(52)가 정제 시트(51)의 길이 방향으로 1열로 줄선 형태나, 정제 수용부(52)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3열 이상의 복수열로 줄선 형태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반송 기구(12)는, 정제 시트 수용부(11) 내의 정제 시트(51)를 후방을 향해 반송한다. 반송 기구(12)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 제1 내지 제3 하부 롤러(38, 39, 40)와,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 제1 내지 제3 상부 롤러(41, 42, 43)를 갖추고 있다. 제1 내지 제3 하부 롤러(38, 39, 40)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고, 시트부(53)의 아래쪽 면에 접촉해 정제 시트(51)에 후방으로의 힘을 더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상부 롤러(41, 42, 43)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고, 시트부(53)의 표면에 접촉해 정제 시트(51)에 후방으로의 힘을 더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상부 롤러(41, 42, 43)는, 폭방향에 대하여, 2열의 정제 수용부(5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내지 제3 상부 롤러(41, 42, 43)가 정제 수용부(5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하부 롤러(39)와 제1 상부 롤러(41)는, 시트부(53)를 상하로 사이에 두어 정제 시트(51)를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제3 하부 롤러(40)와 제3 상부 롤러(43)는, 시트부(53)를 상하로 사이에 두어 정제 시트(51)를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다. 제2 상부 롤러(42)는, 제1 상부 롤러(41)에 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도 11, 도 12, 도 16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 선별기구(13)는, 미리 정해진 수(예를 들면 1)의 적정 자세(姿勢)의 정제 시트(51)만을 선별한다. 덧붙여 정제 시트(51)의 적정 자세란, 정제 취출 유닛(1)이 정제 시트(51)의 정제 수용부(52)로부터 정제(50)를 취출하기에 적절한 자세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53) 위에 정제 수용부(52)가 있는 자세를 말한다. 정제 시트 선별기구(13)는, 칸막이 판(34)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 저지부(44)를 가진다. 이동 저지부(44)는, 칸막이 판(34)의 폭방향의 중앙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기초부(44a)와, 기초부(44a)의 하단에서 하부로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진 선단 연장부(44b)를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제 시트(51)는, 시트부(53) 위에 정제 수용부(52)가 있는 자세(적정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동 저지부(44)의 길이는, 가장 아래에 있는 정제 시트(51A)의 시트부(53)에는 도달하지 않고, 이것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정제 시트(51B)의 시트부(53)보다 낮은 위치에 선단이 도달하는 길이이다. 이 때문에, 정제 시트(51B)는 이동이 저지되어 정제 시트(51A)만이 이동 저지부(44)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동 저지부(44)는, 폭방향에 대하여, 2열의 정제 수용부(5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동 저지부(44)가 정제 수용부(5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저지부(44)는, 정제 시트(51A)가 역자세(시트부(53) 아래에 정제 수용부(52)가 있는 자세) 때에는 시트부(53)에 접촉하여, 정제 시트(51A)의 이동을 저지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장 아래에 있는 정제 시트(51)이어도, 자세가 적정이 아니면 이동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 저지부(44)는, 1개의 적정 자세의 정제 시트(51)만을 통과시켜, 그 이외의 정제 시트(51)의 이동을 저지한다.이동 저지부(44)는, 소정의 개수의 적정 자세의 정제 시트(51)만을 통과시키는 것이면 그 형상은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저지부(44)는, 예를 들면 경사 부분(선단 연장부(44b))이 없고, 전체 길이에 걸쳐서 하부가 연장되는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13 내지 도 20에 나타내듯이, 측벽부(15, 15)는, 정제 시트(51)가 반송되는 반송로(14)의 양측으로 입설되어 정제 시트(51)의 폭방향의 위치를 규정한다. 측벽부(15, 15)는, 위치 조정 기구(23)의 연장부(60, 60)(도 15 참조)에 장착된 구동체(61, 61)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연장부(60, 60)는, 서로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조정 다이얼(57)의 조작에 의해 측벽부(15, 15)를 서로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폭방향의 위치를 정제 시트(51)의 폭치수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내듯이,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는, 정제 시트(51)의 정제 수용부(52)의 위치를 빛에 의해 검출한다.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는,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부(17a)와, 발광부(17a)로부터 빛을 받는 수광부(17b)와, 수광부(17b)가 빛을 받아 발하는 신호에 근거해 정제 수용부(52)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도시 생략)를 가진다. 발광부(17a)에 이용되는 발광소자로서는,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이 있고, 수광부(17b)에 이용되는 수광 소자로서는 포토 다이오드(PD) 등이 있다. 발광부(17a)는 일방의 측벽부(15)에 설치되고 수광부(17b)는 일방의 측벽부(15)에 설치된다. 발광부(17a)와 수광부(17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51)의 정제 수용부(52)가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에 도달하여, 발광부(17a)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면, 빛이 수광부(17b)에 닿지 않기 때문에, 수광부(17b)는 수광 신호(수광한 것을 나타내 보이는 신호)를 발하지 않는다. 한편, 정제 수용부(52)가 없는 부분에서는, 발광부(17a)로부터의 빛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빛이 수광부(17b)에 닿아, 수광부(17b)는 수광 신호를 발한다. 이 때문에, 수광부(17b)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근거해 정제 수용부(52)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51)의 시트부(53)에 폭방향의 휘어진 상태 변형이 생기지 않은 경우에는, 발광부(17a)로부터 수광부(17b)로 향하는 광(L1)은 시트부(53)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 도 22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51)의 시트부(53)에 폭방향의 휘어진 상태 변형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발광부(17a)로부터 수광부(17b)로 향하는 광(L1)이 시트부(53)의 측 테두리부에 차단되어 검출 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도 19a, 도 19b, 및 도 20에 나타내듯이, 수정 기구(16)는,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에 도달하는 정제 시트(51)의 폭방향의 휘어진 상태 변형을 수정한다. 수정 기구(16)는, 측벽부(15)에 형성된 가이드 볼록부(45)와 받침부(48)를 가진다. 가이드 볼록부(45)는, 측벽부(15, 15)의 내면에서 안쪽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측벽부(15, 15)의 내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다. 가이드 볼록부(45)는, 후방(도 19a, 도 19b, 및 도 20의 좌방)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는 경사부(46)와, 경사부(46)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수평부(47)를 가진다. 도 19b에 나타내듯이, 받침부(48)는, 가이드 볼록부(45)의 아래쪽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받침부(48)는, 경사부(46)의 압압 경사면(46a)에 대향하는 받침 경사면(48a)과, 수평부(47)의 아래쪽 면에 대향하는 받침 수평면(48b)을 가진다. 받침 수평면(48b)은 받침 경사면(48a)의 후단과 같은 높이에 형성되고 있다.
경사부(46)의 단면 형상(정제 시트(51)의 반송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일정폭의 구형이 되고 있다. 경사부(46)의 돌출 높이는, 압압 경사면(46a)(두께 방향 압압부)이 정제 시트(51)의 시트부(53)의 측 테두리부에 표면측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경사부(46)의 압압 경사면(46a)은, 후방을 향해 하강하도록(듯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다. 압압 경사면(46a)의 후단(46b)(도 19b 참조)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2 하부 롤러(39)와 제1 상부 롤러 41(도 3 참조)에 의해 사이에 둔 시트부(53)의 높이 위치(H1)와 거의 같거나, 또는 높이 위치(H1)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폭방향의 휘어진 상태 변형이 생기고 있는 정제 시트(51)가 제2 하부 롤러(39)와 제1 상부 롤러(41)에 의해(도 3 참조) 수평인 상태로 반송되면, 시트부(53)의 측 테두리부(53a)는 경사부(46)의 압압 경사면(46a)에 접촉해, 하부(시트부(53)의 두께 방향)에 압압된다. 압압 경사면(46a)의 압압에 의해서, 시트부(53)에는 반송 방향(도 20의 좌우 방향)에 걸쳐서 하부로 휨변형이 생긴다. 게다가 하부로 굽힐 수 있었던 시트부(53)는, 제2 상부 롤러(42)에 위로부터 압압되는 것과 동시에, 받침부(48)의 받침 수평면(48b)에 접촉하기 때문에, 수평 상태로 돌아올 방향의 휨이 더해진다. 이와 같이, 시트부(53)에는, 압압 경사면(46a) 및 받침 수평면(48b)에 의해서 반송 방향(정제 시트(51)의 길이 방향)에 걸쳐 휨변형이 생긴다. 즉, 시트부(53)는, 압압 경사면(46a)에 의해서 하부로 굽힐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상부 롤러(42)로 받침 수평면(48b)에 의해서 수평 상태로 돌아오도록 굽힐 수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시트부(53)는 대략 크랭크 모양으로 변형한다.
정제 시트(51)는, 시트부(53)의 강성에 의해, 시트부(53)에는 서로 다른 2 방향의 휨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반송 방향(정제 시트(51)의 길이 방향)의 휨에 의해서 폭방향의 휨은 작아진다. 도시예에서는,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보다 전방 위치에서, 압압 경사면(46a) 등에 의해 상기 반송 방향의 휨이 더해지기 위해,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시트부(53)의 폭방향의 휘어진 상태 변형은 해소되고 있다. 따라서, 시트부(53)의 휘어진 상태 변형을 원인으로 하여 광(L1)이 차단되는 것에 의한 검출 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듯이, 재치대(18)는,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벌의 주지지체(21)와,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벌의 단부 지지체(22)와, 한 벌의 기체(26)와, 이들 기체(26)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샤프트(27)와, 탄성 부재(28)와, 주지지체(21)에 설치된 받침부(29)를 갖추고 있다. 이하, 단부 지지체(22, 22)가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을 주접리(主接離) 방향(A1)이라고 한다.
주지지체(21)는 병렬 배치된 긴 판자 모양의 부재이다. 주지지체(21)가 서로 마주 보는 내측연(21a)은, 주접리 방향(A1)에 따르는 주가장자리(21b)로 그 양단 측에 각각 형성된 경사 가장자리(21c, 21c)를 가진다. 경사 가장자리(21c)는, 주접리 방향(A1)에 대해서, 주지지체(21)의 양단 방향을 향함에 따라 안쪽(주지지체(21, 2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 가장자리(21c)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지지체(22)의 일방 및 타방의 외측연(22a)은, 대향하는 단부 지지체(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 주접리 방향(A1)에 대해서 안쪽으로 경사지는 경사 가장자리(22b)(경사부)를 가진다. 경사 가장자리(22b)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가장자리(22b)의 경사 각도는 경사 가장자리(21c)의 경사 각도와 같은 각도로 할 수 있다. 경사 가장자리(22b)의 적어도 일부는, 주지지체(21, 21) 사이에 있는 경사 가장자리(21c)에 접촉 가능하다. 주지지체(21, 21)와 단부 지지체(22, 22)로 둘러싸인 개구부는, 정제 시트(51)로부터 취출된 정제(50)가 낙하하는 배출구(30)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단부 지지체(22, 22)는, 정제 시트(51)의 시트부(53)에 있어서 폭방향으로의 측 테두리부를 지지해, 주지지체(21, 21)는, 폭방향으로 늘어선 한 벌의 정제 수용부(52, 52)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에서 시트부(53)를 지지한다. 부호 20은 배출구(30)의 폭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주지지체(21, 21) 사이에 걸쳐진 보조 지지부를 나타낸다. 보조 지지부(20)는 한 벌의 정제 수용부(52, 52)의 사이의 위치에서 시트부(53)를 지지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위치 조정 기구(23)는, 전판(33)의 전면 측에 설치된 조정 다이얼(57)과, 측판(32, 32) 사이에 축회전에 회동 가능하게 걸쳐진 나사 샤프트(58)와, 조정 다이얼(57)의 구동력을 나사 샤프트(58)에게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59)와, 나사 샤프트(58)가 감합(嵌合)하는 나사구멍(60a)을 가지는 한 벌의 연장부(60, 60)와, 연장부(60, 60)에 각각 장착된 한 벌의 구동체(61, 61)를 갖추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구동력 전달 기구(59)는, 조정 다이얼(57)의 회전 구동력을 나사 샤프트(58)의 축회전 방향의 힘으로 변환해 나사 샤프트(58)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력 전달 기구(59)는 공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조정 다이얼(5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전달 샤프트(62)와, 전달 샤프트(62)의 회동에 따라 나사 샤프트(58)를 회동시키는 변환 기구(63)를 가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 도 15에 나타내듯이, 나사 샤프트(58)의 외주면에는 나사부(58a, 58b)가 형성되고 있다. 일방의 연장부(60)의 나사구멍(60a)에 삽입통과하는 일단측 부분의 나사부(58a)로 타방의 연장부(60)의 나사구멍(60a)에 삽입통과하는 타단측 부분의 나사부(58b)와는 나사의 형성 방향(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다이얼(57)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샤프트(58)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장부(60, 60)는 각각 나사 샤프트(58)의 일단 및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조정 다이얼(57)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샤프트(58)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장부(60, 60)는 나사 샤프트(58)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구동체(61, 61)는 긴 판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천장판(3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체(61, 61)는 연장부(60, 6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있어 연장부(60, 60)에 연동해 서로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7에 나타내듯이, 구동체(61, 61)의 후단부는, 각각 단부 지지체(22, 22)에 장착되고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단부 지지체(22, 22)가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주지지체(21)의 단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부 지지체(22)(경사 가장자리(22b))의 폭은 좁기 때문에, 주지지체(21, 21)는 서로 접근한 위치에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구동체(61, 61)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단부 지지체(22, 22)가 서로 멀어지면, 주지지체(21)의 단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부 지지체(22)(경사 가장자리(22b))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경사 가장자리(22b)에 밀려 주지지체(21, 2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게다가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구동체(61, 61)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단부 지지체(22, 22)를 서로 접근시키면, 주지지체(21)의 단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부 지지체(22)(경사 가장자리(22b))의 폭이 좁아진다. 기체(26)에 의해 압축된 탄성 부재(28)(코일 스프링 등)가 받침부(29)를 안쪽으로 압압하기 위해, 주지지체(21, 21)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동체(61, 61)에 의해서, 주지지체(21) 및 단부 지지체(2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배출구(30)의 크기를 정제 시트(51)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배출구(30)가 너무 크면 시트부(53)가 지지를 받지 않은 범위가 넓어져, 시트부(53)가 휘어 정제(50)의 취출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배출구(30)가 너무 작으면 정제(50)가 지지체(21, 22)에 맞닿아 조작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배출구(30)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정제(50)의 부드러운 취득이 가능해진다.
도 23 내지 도 28에 나타내듯이, 압출 기구(19)는, 정제 압압부(81)와, 정제 압압부(81)를 정제 수용부(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82)를 가진다.
정제 압압부(81)는, 정제 수용부(52)의 중앙 부분을 압압하는 내측 압압체(83)와, 정제 수용부(52)의 중앙 부분에서(보다) 외측의 부분을 압압하는 외측 압압체(84)를 갖추고 있다. 외측 압압체(84)는, 전벽부(86)와, 전벽부(86)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어 전벽부(86)에 평행하게 설치된 후벽부(87)와, 전벽부(86)와 후벽부(87)의 안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내벽부(88)를 가진다. 즉, 외측 압압체(84)는, 서로 마주 보는 한 벌의 대면벽부인 전후벽부(86, 87)와, 이러한 일방의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된 내벽부(88)(일방 측벽부)를 가진다. 외측 압압체(84)의 가장자리(84a)는, 내벽부(88)의 가장자리의 전후단으로부터 각각 전벽부(86) 및 후벽부(87)의 가장자리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외측 압압체(84)가 하강하면, 전후벽부(86, 87) 및 내벽부(88)의 가장자리가 동시에 정제 수용부(52)를 압압한다.
내측 압압체(83)는, 하단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연장 단부(83a)를 가지는 판상체이며, 전벽부(86), 후벽부(87) 및 내벽부(88)에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입통과하여, 이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기구(82)는, 외측 압압체(84)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기구(91)와, 내측 압압체(83)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기구(92)를 가진다.
제1 승강기구(91)는, 외측 압압체(84)가 장착된 제1 승강체(93)와,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회전 구동해 제1 승강체(93)를 승강시키는 캠(94)과, 제1 승강체(93)를 상승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 부재(97)를 갖추고 있다.
제1 승강체(93)는, 전후방향에 걸쳐서 연장되는 기둥 모양체이며, 전단부(93a)에 외측 압압체(84)가 장착되고 있다. 캠(94)은, 외측 압압체(84)의 승강 동작을 고려해 설계된 형상의 판상체이며,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축부(95)에 고정되고 있다. 캠(94)은, 제1 승강체(93)의 표면 측에 설치되어 축부(95)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 구동하여, 제1 승강체(93)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그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서 외측 압압체(84)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승강기구(91)는, 캠(94)의 회전 동작의 타이밍, 캠(94)의 형상, 축부(95)에 대한 캠(94)의 고정 위치 등의 설정에 의해서, 외측 압압체(84)의 승강 동작의 타이밍이나 변위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승강기구(92)는, 내측 압압체(83)가 장착된 제2 승강체(98)와,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회전 구동해 제2 승강체(98)를 승강시키는 캠(99)과, 제1 승강체(93)를 상승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 부재(100)를 갖추고 있다.
제2 승강체(98)는, 전후방향에 걸쳐서 연장되는 기둥 모양체이며, 전단부(98a)에 내측 압압체(83)가 장착되고 있다. 캠(99)은, 내측 압압체(83)의 승강 동작을 고려해 설계된 형상의 판상체이며,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축부(95)에 고정되고 있다. 캠(99)은, 제2 승강체(98)의 표면 측에 설치되어 축부(95)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 구동하여, 제2 승강체(98)를 압압해 그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서 내측 압압체(83)의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승강기구(92)는, 캠(99)의 회전 동작의 타이밍, 캠(99)의 형상, 축부(95)에 대한 캠(99)의 고정 위치 등의 설정에 의해서, 내측 압압체(83)의 승강 동작의 타이밍이나 변위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부(95)의 회전에 수반해 캠(94)과 캠(99)이 모두 회전해도, 제1 승강체(93)와 제2 승강체(98)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내측 압압체(83)와 외측 압압체(84)를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 동작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제1 승강체(93)와 제2 승강체(98)에, 각각 다른 구동 기구가 연결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승강체(93)와 제2 승강체(98)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구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있어도 무방하다.
구동 기구(82)에 있어서의 캠(94, 99)의 회전 동작의 타이밍 등은,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의 검출부(도시 생략)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 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된 정제 수용부(52)의 위치에 맞추어 내측 압압체(83)와 외측 압압체(84)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3,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듯이, 도출 슈트(24)는, 배출구(30)에 낙하된 정제(50)를 안내하는 부재이다. 도출 슈트(24)는, 배출구(30) 이상의 크기의 상부 통로를 가져, 천장판(31)의 아래쪽 면 측에 설치되고 있다. 도출 슈트(24)의 선단(아래 쪽의 선단)은 지지체(25)의 측판(32)에 형성된 철부(32a)를 통해 측판(32)의 외면 측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도출 슈트(24)의 출구(24a)(하부 통로)는 지지체(25)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듯이, 공급 유닛(2)은, 2이상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부터의 정제(50)를 안내하는 공통 도출로(101)와, 공통 도출로(101)부터의 정제(50)를 모으는 공통 슈트(102)와, 공통 슈트(102)로부터의 정제(50)를 포장 장치(5)에 공급하는 공급부(103)를 갖추고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듯이, 공통 도출로(101)는, 상하 다단에 배열된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부터의 정제(50)를 모아 공통 슈트(102)에 공급한다. 공통 도출로(101)에는, 상하에 다단에 설치된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1)의 도출 슈트(24)의 출구(24a)가 접속되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제 취출 유닛(1) 내에 이웃하는 좌우 2열, 상하 3단의 정제 취출 유닛(1)(1A)의 도출 슈트(24)의 출구(24a)가 1개의 공통 도출로(101)(101A)에 접속되고 있다. 도출 슈트(24)의 출구(24a)는 정제 취출 유닛(1)의 지지체(25)의 측면에 있기 때문에, 상단, 중단,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도출 슈트(24)의 출구(24a)가 공통 도출로(101)에 접속되고 있는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는 서로 다르다. 덧붙여 공통 도출로(101)에는, 2 또는 4이상의 정제 취출 유닛(1)의 도출 슈트(24)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접속되고 있어도 무방하다.
공통 도출로(101)는, 정제(50)가 통과 가능한 통 모양에 형성된 주도출로(105)와, 주도출로(105)보다 내부 공간의 단면적(수평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큰 통 모양의 확대부(106)를 갖추고 있다. 주도출로(105)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정제 취출 유닛(1, 1)의 도출 슈트(24, 24)의 출구(24a, 24a)의 중간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도출로(105)는, 상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와 중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와의 사이에 상당하는 높이 위치, 및 중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와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와의 사이에 상당하는 높이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있다.
확대부(106)는, 예를 들면 주도출로(105)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있어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정제 취출 유닛(1, 1)의 도출 슈트(24, 24)의 출구(24a, 24a) 내의 아래 부분인 출구(24a)를 포함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즉, 확대부(106)는, 상기 아래 부분의 출구(24a)와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대부(106)는, 중단과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를 포함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단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부터의 정제(50)가 공통 도출로(101) 내를 낙하할 때에, 중단과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로부터 도출 슈트(24)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중단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부터의 정제(50)가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도출 슈트(24)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정제(50)가 도출 슈트(24)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출구(24a)가 있는 위치의 공통 도출로(101)(확대부(106))가 넓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하는 과정에서 정제(50)가 주도출로(105)의 내면에서 튀어올라도 도출 슈트(24)에 들어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덧붙여 확대부(106)는, 상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를 포함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해도 좋다.
도 33 내지 도 35에 나타내듯이, 배출 유닛(3)은, 정제(50)를 취출한 빈 정제 시트(51)를 미끄러져 낙하시키는 가이드구부(110)를 가지는 배출 슈트(111)를 갖추고 있다. 가이드구부(110)의 내면(110a)은, 적어도 일부가 단면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내면(110a)은, 저면의 폭방향 중앙 부분이 평탄하고 양측부가 단면 원호형상이어도 무방하고, 전면이 단면 원호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면(110a)은, 외측을 향해서 팽출(膨出)하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도 36에 나타내듯이, 포장 장치(5)(도 1, 도 2 참조)는, 정제 공급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정제(50)를 수용하는 호퍼(121)와, 포장 시트(122)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부(123)와, 포장 시트(122)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부(124)와, 정제(50)가 수용된 포장 시트(122)를 실링하는 것과 동시에 분단용 미싱눈(125)을 형성해 정제 분포체(126)로 만드는 스탬프부(127)를 갖추고 있다. 시트 반송부(124)는, 포장 시트(122)를 지지하는 지지축(133), 포장 시트(122)를 반송하는 구동 롤러(134) 등을 갖추고 있다. 스탬프부(127)는, 압압체(128)와, 받침부(129)를 갖추고 있다. 압압체(128)는, L자형의 제1 압압부(130a)와, 제2 압압부(130b)를 포함하는 압압부(130)를 갖추고 있다. 압압부(130)는, 포장 시트(122)의 개구부 측의 바깥 틀을 가열용착할 수 있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분포영역(131, 131)의 경계 부분을 가열용착할 수 있다. 스탬프부(127)의 제1 압압부(130a)와 제2 압압부(130b)의 사이에는 커터(132)가 설치되고 있다.
이하, 정제 공급 장치(10)의 사용 방법(정제제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듯이,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51)를 정제 시트 수용부(11)에 수용한다. 필요에 따라서 조정 다이얼(57)의 조작에 의해 구동체(61, 61)의 위치를 조정해, 가동측판(35, 35)의 폭방향의 위치를 정제 시트(51)의 폭치수에 맞춘다.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제1 하부 롤러(38), 제2 하부 롤러(39), 제1 상부 롤러(41)를 회전 구동시켜, 정제 시트(51)를 후방으로 반송한다. 칸막이 판(34)에는 이동 저지부(44)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적정 자세의 정제 시트(51)만이 정제 시트 수용부(11)로부터 후방으로 반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체(61, 61)의 위치를 정제 시트(51)의 폭치수를 따라 조정한 것에 의해서, 측벽부(15, 15)의 폭방향 위치는 정제 시트(51)의 폭치수에 대응되는 위치이기 때문에, 정제 시트(51)는 측벽부(15, 15)에 의해서 폭방향 위치가 규정되면서 반송된다.
도 19a, 도 19b, 및 도 20에 나타내듯이,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에 의해서 정제 시트(51)에 있어서의 정제 수용부(52)의 위치가 검출된다. 시트부(53)의 폭방향으로의 휨변형이 생기고 있는 경우여도, 시트부(53)가 경사부(46)의 압압 경사면(46a)에 압압되어 하부에의 휨변형이 생기는 것에 의해서 휘어진 상태 변형이 해소된다. 그 때문에, 정제 위치 검출 기구(17)의 발광부(17a)로부터의 빛이 시트부(53)로 차단되는 것에 의한 검출 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구동체(61, 61)의 위치를 조정해, 재치대(18)의 단부 지지체(22, 22)의 폭방향 위치를 정제 시트(51)의 폭치수에 대응되는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서, 배출구(30)는, 정제 시트(51)에 적절한 크기가 된다. 주지지체(21, 21)와 단부 지지체(22)와 보조 지지부(20)는, 각 정제 수용부(52)의 전후측 및 좌우측의 위치의 시트부(53)를 지지함으로써 각 정제 수용부(52)는 배출구(30) 상에 배치된다.
도 23 내지 도 28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51)가 재치대(18) 상에 도달하여, 정제(50)를 취출해야 할 정제 수용부(52)가 배출구(30)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도 29a에 나타내듯이, 축부(95)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1 승강기구(91)의 캠(94)이 회동해, 제1 승강체(93)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외측 압압체(84)가 하강해, 하 가장자리(84a)가, 정제 수용부(52)의 중앙 부분에서(보다) 외측의 부분을 하부로 압압한다.
도 29b에 나타내듯이, 외측 압압체(84)는, 정제 수용부(52)의 중앙 부분에서(보다) 외측의 부분을 압압하기 위해, 중앙 부분을 압압하는 경우에 비해, 정제(50)에 직접적인 힘은 더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정제(50)는 완전하게 취출되지 않지만, 정제(50)의 일부가 봉지 시트(55)를 찢어 정제 수용부(52)로부터 나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봉지 시트(55)의 찢어짐을 적게 하기 위해, 정제(50)는 봉지 시트(55)에 의지해 일부는 정제 수용부(52) 내에 머물고 있다. 또한, 봉지 시트(55)가 크게 깨지고 파편이 생기지 않는다.
그 다음에, 도 30a에 나타내듯이, 축부(95)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2 승강기구(92)의 캠(99)이 회동해(도 23 참조), 제2 승강체(98)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내측 압압체(83)가 하강해, 연장 단부(83a)가, 정제 수용부(52)의 중앙 부분을 하부로 압압한다. 도 30b에 나타내듯이, 내측 압압체(83)는 정제 수용부(52)의 중앙 부분을 압압하기 때문에, 정제(50)에는 직접적인 힘이 더해져 정제(50)는 완전하게 취출된다. 이것에 의해서 봉지 시트(55)의 찢어짐은 확대되고, 외측 압압체(84)에 의해서 생긴 초기 단계의 소수 개소의 찢어짐이, 내측 압압체(83)에 의해 한층 더 넓혀질 수 있다. 그 때문에, 파단 개소가 적고, 봉지 시트(55)의 파편 분리는 일어나기 어렵다. 이것에 대해, 정제 수용부(52)에 한 번에 큰 힘이 더해져 봉지 시트(55)가 깨지는 경우에는, 봉지 시트(55)의 다수 개소에 동시에 찢어짐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파편 분리가 일어나기 쉽다.
또한, 외측 압압체(84)에 의한 제1 단계의 압압에 의해서 정제(50)가 부분적으로 정제 수용부(52)로부터 취출되고 그 다음에, 내측 압압체(83)에 의한 제2 단계의 압압에 의해서 정제(50)가 완전하게 정제 수용부(52)로부터 취출되기 위해, 각 단계에서 정제(50)에 더해지는 압압력은 작아진다. 즉, 정제 수용부(52)에 한 번에 큰 힘이 더해지는 경우에 비해, 정제(50)에 직접적인 힘이 더해지는 내측 압압체(83)에 의한 압압력은 작기 때문에, 정제(50)의 파손이 일어나기 어렵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듯이, 정제 시트(51)로부터 취출된 정제(50)는 배출구(30)에 낙하되어 도출 슈트(24)에 들어가, 출구(24a)로부터 공통 도출로(101)에 도입되어 공통 도출로(101) 내를 낙하한다. 공통 도출로(101)는, 중단과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를 포함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큰 확대부(106)를 가진다. 그 때문에, 상단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부터의 정제(50)가 공통 도출로(101) 내로 낙하할 때에, 중단과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출구(24a)로부터 도출 슈트(24)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중단의 정제 취출 유닛(1)으로부터의 정제(50)가 하단의 정제 취출 유닛(1)의 도출 슈트(24)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제(50)의 공급이 막히는 것을 막아, 제포작업의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공통 도출로(101)를 거친 정제(50)는 공통 슈트(102)를 다니며, 공급부(103)로부터 포장 장치(5)에 공급된다.
도 36에 나타내듯이, 공급부(103)로부터 배출된 정제(50)는, 포장 장치(5)의 호퍼(121)에 들어가, 포장 시트(122)의 분포영역(131)에 도입된다. 포장 시트(122)는 스탬프부(127)의 압압체(128)와 받침부(129)의 사이에 도입되어 압압부(130)에 의한 가열용착보다 실링부(135)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정제(50)는 분포영역(131) 내에 밀봉된다. 서로 이웃하는 분포영역(131, 131)의 경계 부분에는, 커터(132)에 의해서 분단용 미싱눈(125)이 형성된다.
도 33 내지 도 35에 나타내듯이, 정제 취출 유닛(1)에서 정제(50)가 취출된 빈 정제 시트(51)는, 제3 하부 롤러(40)와 제3 상부 롤러(43)에 의해서 후방으로 보내져(도 3 참조), 정제 취출 유닛(1)의 배면 측에 낙하해, 배출 유닛(3)의 배출 슈트(111)에 도입되어 가이드구부(110) 내를 미끄러져 낙하하여 배출된다. 도 35에 나타내듯이, 내면(110a)은, 적어도 일부가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구부(110) 내를 빈 정제 시트(51)가 미끄러져 낙하할 때, 가이드구부 내면이 구형인 경우에 비해, 정제 시트(51)와 내면(110a)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정제 시트(51)와 내면(110a)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져, 정제 시트(51)는 내면(110a)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미끄러져 낙하한다.
정제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정제 시트 수용부(11)와, 정제 시트(51)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12)와, 정제 시트(51)가 재치되는 재치대(18)와, 재치대(18) 상의 정제 시트(51)의 정제 수용부(52)를 압압해 정제(50)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19)를 가지고, 재치대(18)는, 취출된 정제(50)를 공급 유닛(2)에 낙하하는 배출구(30)를 가지므로, 정제 시트(51)로부터 효율적으로 정제(50)를 취출해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제(50)가 밀봉된 정제 시트(51)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제(50)가 변질되기 어렵다. 정제 시트(51)는 판매 단위에 포함되는 정제(50)의 수가 소수이기 때문에, 약국이나 병원 등에 있어서의 재고의 삭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게다가 배출구(30)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재치대(18)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복수 종류의 정제 시트(51)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시트(51)마다 정제 공급 장치(10)의 구성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고, 비용면에서 유리하다고 된다.

Claims (12)

  1.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여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로서,
    1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제 시트 수용부와,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정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대 위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여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치대는,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정제를 떨어뜨려 넣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정제 시트의 폭 치수에 맞춰 간격을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측벽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제 시트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과 연동하여 상기 정제 시트의 상기 반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주지지체로 규정되며,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의 조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주지지체의 간격이 상기 반송 방향으로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정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상기 반송 방향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정제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개구부의 폭은,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단부 지지체로 규정되며,
    상기 단부 지지체는, 상기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주지지체의 사이에 배치 가능하며,
    상기 단부 지지체는,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주지지체의 간격을 조정 가능한 정제 공급 장치.
  4. 삭제
  5.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여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로서,
    1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제 시트 수용부와,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정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대 위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여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와, 상기 정제 시트의 폭 치수에 맞춰 간격을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재치대는,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정제를 떨어뜨려 넣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제 시트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과 연동하여 상기 정제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단부 지지체로 규정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의 조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단부 지지체의 간격이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정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상기 폭 방향의 크기를 조정 가능하며,
    상기 정제 시트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과 연동하여 상기 반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주지지체로 규정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의 조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주지지체의 간격이 상기 반송 방향으로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정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상기 반송 방향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정제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상면 측에 볼록한 모양의 정제 수용부를 복수 개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정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정제를 밀봉하는 봉지 시트가 상기 시트 본체의 하면 측에 마련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여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는 정제 압압부와, 상기 정제 압압부를 상기 정제 수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압압부는 상기 시트 본체의 상면 측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는 압압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정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정제가 상기 봉지 시트에 눌림으로써 상기 봉지 시트를 깨는 제1압압체와, 상기 제1압압체가 압압하는 압압 위치보다 상기 정제 수용부의 폭 방향에 대해 내측의 위치를 압압하는 제2압압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1압압체는 상기 재치대에 반송된 상기 정제 수용부에 수용된 정제를 밀봉하는 상기 봉지 시트와 상기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와, 상기 제1압압체의 압압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마련된,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는 면을 구비하며,
    1개의 정제 수용부로부터 정제를 취출하는 취출 동작으로서, 상기 제1압압체가 상기 봉지 시트와 상기 정제와 상기 압압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서 상기 봉지 시트 및 상기 정제를 향해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면이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고, 그 후 상기 제2압압체가 상기 정제 수용부의 상기 내측의 위치를 압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정제 공급 장치.
  7.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여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로서,
    1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제 시트 수용부와,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정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대 위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여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치대는,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정제를 떨어뜨려 넣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정제 시트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상기 정제 시트 수용부로부터 반출될 때에, 미리 정해진 수의 적정 자세의 상기 정제 시트만을 선별하는 정제 시트 선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제 시트 선별 기구는, 상기 적정 자세 이외의 자세를 취하는 정제 시트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부를 구비하는 정제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 시트의 정제 수용부의 위치를 빛에 의해 검출하는 정제 위치 검출 기구와, 상기 정제 위치 검출 기구에 도달하는 정제 시트의 폭 방향의 휨 변형을 수정하는 수정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정 기구는, 상기 정제 시트의 반송 방향의 좌측 연부 및 우측 연부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제 시트의 측연부에 두께 방향의 힘을 가해 상기 반송 방향에 걸쳐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휨 변형을 작게 하는 두께 방향 압압부를 구비하는 정제 공급 장치.
  9. 복수의 정제가 각각 정제 수용부에 밀봉된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여 공급하는 정제 공급 장치로서,
    1 또는 복수의 정제 취출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1 또는 복수의 정제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제 시트 수용부와, 상기 정제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정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대와, 상기 재치대 위의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압압하여 정제를 취출하는 압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치대는,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정제를 떨어뜨려 넣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정제 취출 유닛은, 상기 개구부로 떨어뜨려 넣어진 정제를 안내하는 도출 슈트를 각각 구비하고,
    공급 유닛은, 2 이상의 상기 정제 취출 유닛으로부터의 정제를 안내하는 공통 도출로를 구비하며,
    상기 2 이상의 정제 취출 유닛의 도출 슈트는,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공통 도출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통 도출로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도출 슈트의 출구의 중간의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주도출로와, 이들 중 낮은 출구를 포함하는 높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확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대부는, 상기 주도출로보다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큰 정제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가 취출된 정제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정제가 취출된 정제 시트를 미끄럽게 떨어뜨려 상기 배출된 정제 시트를 집약하는 가이드 홈부를 갖는 배출 슈트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홈부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폭 방향의 단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정제 공급 장치.
  11.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공급 장치와, 상기 정제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를 구비하는 제포 시스템.
  12.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공급 장치를 이용하고, 정제 시트로부터 정제를 취출하여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제 시트를 상기 정제 시트 수용부로부터 반출하여 상기 재치대 위에 재치하고, 상기 정제 시트의 상기 정제 수용부를 상기 압출 기구에 의해 압압하여 상기 정제를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개구부에 떨어뜨려 넣는 정제 제포 방법.
KR1020110111342A 2010-12-28 2011-10-28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 KR101855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3276 2010-12-28
JP2010293276A JP5290269B2 (ja) 2010-12-28 2010-12-28 錠剤供給装置および除包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38A KR20120075338A (ko) 2012-07-06
KR101855913B1 true KR101855913B1 (ko) 2018-05-10

Family

ID=4640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42A KR101855913B1 (ko) 2010-12-28 2011-10-28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90269B2 (ko)
KR (1) KR101855913B1 (ko)
CN (2) CN1064287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4222B2 (ja) * 2012-03-30 2016-07-2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
JP5585631B2 (ja) * 2012-10-11 2014-09-1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および除電ユニット、除電方法。
JP5803966B2 (ja) * 2013-03-26 2015-11-04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薬剤包装装置、薬剤包装装置の制御方法、薬剤包装システム
JP5888363B2 (ja) * 2013-04-19 2016-03-2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
JP5772870B2 (ja) * 2013-04-30 2015-09-0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取出し装置及び制御方法
JP5840171B2 (ja) * 2013-05-14 2016-01-06 中洲電機株式会社 Ptpシートガイド装置及び錠剤取出装置
JP5839079B2 (ja) * 2013-08-30 2016-01-06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装置に着脱可能な着脱部材、及び錠剤供給システム
JP5920414B2 (ja) * 2013-09-05 2016-05-1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錠剤取出ユニット
JP6123842B2 (ja) * 2014-05-20 2017-05-10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分包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011689B2 (ja) * 2014-07-31 2016-10-1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056910B2 (ja) * 2014-08-27 2017-01-1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取出装置及び錠剤取出方法
IL238387B (en) 2015-04-20 2019-01-31 Paz Ilan Drug dispenser release mechanism
EP3362030B1 (en) * 2015-10-15 2023-09-06 Dosentrx Ltd. Image recognition-based dosage form dispensers
JP6383886B1 (ja) * 2018-01-19 2018-08-29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開封装置、服薬管理システム、および薬剤供給装置
JP7076753B2 (ja) * 2019-05-31 2022-05-30 株式会社トーショー Ptpカセット
CN110451241B (zh) * 2019-09-05 2021-07-23 冯威华 自动分药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49A (ja) * 2002-10-11 2004-04-30 Nakasu Denki Kk 錠剤取出装置
JP6040082B2 (ja) * 2013-03-28 2016-12-07 Dowaサーモテック株式会社 孔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081Y2 (ja) * 1993-03-26 1998-03-11 正二 湯山 除包機
JP2552429B2 (ja) * 1994-02-02 1996-11-13 正二 湯山 除包機
DE19681736D2 (de) * 1996-12-30 2000-05-31 P & P Materialflussystem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Kommissionieren von singulärem Stückgut, insbesondere einer Einzelpille
KR100998105B1 (ko) * 2002-02-20 2010-12-0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 장치
US7992477B2 (en) * 2004-07-12 2011-08-09 Yuyama Mfg. Co., Ltd. Medicine feeding device
DE102006027521B4 (de) * 2006-06-10 2016-01-07 Edwin Kohl Anlage zur personenbezogenen Bestückung von Medikamentenspendern
CN201061614Y (zh) * 2007-03-02 2008-05-21 施安华 一种自动剥药机
ES2336880B1 (es) * 2008-04-02 2011-02-10 Marti Garcia Sala Maquina dispensadora de envases de tipo blister.
JP2009255966A (ja) * 2008-04-18 2009-11-05 Daido Kako Kk 医薬品取出し装置
TWI485093B (zh) * 2008-11-21 2015-05-21 Yuyama Mfg Co Ltd Lozenge delivery device
US8386070B2 (en) * 2009-03-18 2013-02-26 Intelligent Hospital Systems, Ltd Automated pharmacy admixtur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49A (ja) * 2002-10-11 2004-04-30 Nakasu Denki Kk 錠剤取出装置
JP6040082B2 (ja) * 2013-03-28 2016-12-07 Dowaサーモテック株式会社 孔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28778B (zh) 2019-08-23
CN106428778A (zh) 2017-02-22
CN102556418A (zh) 2012-07-11
JP5290269B2 (ja) 2013-09-18
CN102556418B (zh) 2016-07-20
KR20120075338A (ko) 2012-07-06
JP2012139317A (ja)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913B1 (ko) 정제 공급 장치 및 제포시스템
JP5596760B2 (ja) 錠剤供給装置および除包システム
JP5400757B2 (ja) 錠剤供給装置、除包システムおよび錠剤除包方法
JP5413498B2 (ja) 錠剤供給装置、錠剤取出しユニット、錠剤供給方法、錠剤供給システム。
TWI538854B (zh) Dispensing device
JP5623484B2 (ja) 錠剤供給装置および除包システムならびに錠剤取出しユニット
JP6251332B2 (ja) 錠剤取出装置および除包システムならびに錠剤取出装置の制御方法
JP5972331B2 (ja) 錠剤供給装置および除包システムならびに錠剤取出しユニット
JP6476416B2 (ja) 錠剤取出装置
JP5920404B2 (ja) 錠剤取出し装置
JP5742740B2 (ja) 錠剤取出し装置
JP5772922B2 (ja) 錠剤取出し装置
JP5954222B2 (ja) 錠剤供給装置
JP6056910B2 (ja) 錠剤取出装置及び錠剤取出方法
JP6070801B2 (ja) 錠剤取出装置
JP5966576B2 (ja) 錠剤取出し装置
JP6048536B2 (ja) 錠剤シート搬送ユニ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3158461A (ja) 錠剤供給装置
JP5958443B2 (ja) 錠剤取出装置
JP2013212847A (ja) 分包装置
JP2017029221A (ja) 錠剤取出装置と、それを備えた薬品包装装置
JP2015070923A (ja) 錠剤供給システム、分包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