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621B1 - 차량용 램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621B1
KR101802621B1 KR1020157019031A KR20157019031A KR101802621B1 KR 101802621 B1 KR101802621 B1 KR 101802621B1 KR 1020157019031 A KR1020157019031 A KR 1020157019031A KR 20157019031 A KR20157019031 A KR 20157019031A KR 101802621 B1 KR101802621 B1 KR 10180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ens
ramp
ligh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884A (ko
Inventor
유지 노리타케
겐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9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8/22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4Adaptations of signalling devices having a part on the vehicle body and another on the boot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21S48/23
    • F21W2101/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별체형으로 된 램프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를 얻는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는, 제 1 LED (22), 제 1 하우징 (20), 및 제 1 렌즈 (24) 를 갖는 도어측 램프부 (12) 와, 제 2 LED (60), 제 2 하우징 (62), 및 제 2 렌즈 (64) 를 갖는 펜더측 램프부 (1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는 차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 (62) 과 제 2 렌즈 (64) 사이에는, 제 2 LED (60) 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2 렌즈 (64) 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일부는, 제 1 렌즈 (24) 와 제 2 렌즈 (64) 사이에 제 2 LED (60) 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간극 반사부 (66A) 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구조{VEHICLE LAMP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너링 램프 및 사이드턴 램프를 구비한 일체형의 차량용 램프 (차량용 콤비 램프) 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3046호 참조). 이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차량용 램프에는, 램프 보디와 램프 렌즈 사이에 구획된 영역의 차량 전방측과 차량 후방측에 각각 코너링 램프 밸브와 사이드턴 램프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 영역과 차량 후방측 영역의 경계부에는 확산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턴 램프 밸브로부터 조사된 광이 확산부에 의해 확산됨으로써 차량 측방으로부터의 사이드턴 램프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3046호에 기재된 차량용 램프를 코너링 램프와 사이드턴 램프의 별체형으로 함과 함께, 코너링 램프와 사이드턴 램프를 근접하게 배치한 경우, 코너링 램프와 사이드턴 램프 사이가 빛나지 않거나 혹은 코너링 램프와 사이드턴 램프 사이가 어두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램프의 일체감이 결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별체형이 된 램프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제 1 광원이 장착된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 광원을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렌즈를 갖는 제 1 램프와, 제 2 광원이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광원을 덮음과 함께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렌즈를 갖고, 상기 제 1 램프와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램프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렌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제 2 렌즈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램프측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 2 램프측 다리부와, 그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상기 제 2 하우징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램프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의 일부는,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와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 사이에 반사시키는 간극 반사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간극 반사부와 상기 연출부의 일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제 1 램프와 제 2 램프가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하우징에 지지된 제 1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이 광이 제 1 렌즈를 투과한다. 즉, 제 1 램프가 점등된다. 또, 제 2 하우징에 지지된 제 2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이 광은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를 투과한다. 즉, 제 2 램프가 점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의 일부가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로 반사시키는 간극 반사부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램프가 점등되면, 제 1 램프와 제 2 램프 사이가 빛난다.
삭제
또, 제 2 렌즈가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 및 연출부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의 간극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가 연출부를 투과하여 제 1 램프와 제 2 램프 사이를 빛나게 한다. 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의 간극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의 다른 일부는, 연출부 내에 도입된 후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제 2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제 2 램프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부근이 어두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에는, 상기 간극 반사부로부터 상기 연출부를 향하여 조사된 광을 상기 제 2 렌즈 내에 도입시키는 렌즈 커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제 2 렌즈의 연출부에 상기 렌즈 커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의 간극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이 연출부를 통해서 제 2 렌즈 내에 되입되기 쉬워진다. 또, 연출부 내에 도입된 광은,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제 2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제 2 램프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부근이 어두워지는 것이 보다 더 억제된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와 상기 제 2 렌즈 사이에는, 상기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에는, 상기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가,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와 제 2 렌즈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에 의해 확산되어 제 2 렌즈를 투과한다. 이로써, 제 2 램프가 보다 균일하게 빛난다. 또,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내에 도입된 광은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를 향하여 진행되고, 이 광은 제 2 렌즈의 제 2 램프측 다리부에 형성된 단차부로부터 그 제 2 램프측 다리부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제 2 램프측 다리부 내에 도입된 광은, 그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상기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렌즈 사이에는,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제 1 렌즈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및 이 제 1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에는, 상기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및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가 제 1 하우징과 제 1 렌즈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에 의해 확산되어 제 1 렌즈를 투과한다. 이로써, 제 1 램프가 보다 균일하게 빛난다. 또,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내에 도입된 광은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를 향하여 진행되고, 이 광은 제 1 렌즈의 제 1 램프측 다리부에 형성된 단차부로부터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제 1 램프측 다리부 내에 도입된 광은,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제 1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상기 제 1 양태 ∼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는,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 또는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가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전반사 각도 미만의 각도로 설정된 코너부로 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제 1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제 1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가 상기 코너부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광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광은, 각각 제 1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단부로부터 조사된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별체형으로 된 램프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삭제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제 2 램프에 있어서의 제 1 램프에 근접하는 부위가 어두워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제 2 램프를 보다 균일하게 빛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 2 램프에 있어서의 제 1 램프에 근접하는 부위가 어두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제 1 램프를 보다 균일하게 빛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램프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에 근접하는 부위가 어두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램프 구조는, 제 1 램프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에 근접하는 부위 및 제 2 램프에 있어서의 제 1 램프에 근접하는 부위가 어두워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도 4 에 나타낸 1-1 선을 따라 절단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차량의 후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연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램프 구조는, 차량의 후부에 형성된 차량용 램프로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에 적용되어 있다.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는, 백 도어 개구부를 폐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백 도어에 장착된 제 1 램프로서의 도어측 램프부 (12) 와, 도시되지 않은 리어 펜더의 후단부에 장착된 제 2 램프로서의 펜더측 램프부 (14)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는, 백 도어가 폐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하, 먼저 도어측 램프부 (12) 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펜더측 램프부 (14) 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측 램프부 (12))
도어측 램프부 (12) 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대략 백색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차량이 후퇴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키는 백 램프 (16) 와,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적색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차량의 존재를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키는 테일 램프 (18)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램프 (16) 및 테일 램프 (18) 를 갖는 도어측 램프부 (12) 는, 백 도어에 고정됨으로써 도어측 램프부 (12) 를 지지함과 함께 백 램프 (16) 및 테일 램프 (18) 의 광원 (백 램프용 백열구 및 제 1 광원으로서의 제 1 LED (22)) 을 지지하는 제 1 하우징 (20) 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어측 램프부 (12) 는, 제 1 하우징 (20) 에 고정됨으로써 백 램프용 백열구 (도시 생략) 및 제 1 LED (22) 를 덮음과 함께 백 램프용 백열구 및 제 1 LED (22) 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렌즈 (2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 (20) 과 제 1 렌즈 (24) 사이에는, 제 1 LED (22) 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1 렌즈 (24) 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및 이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20) 은,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개방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제 1 하우징 (20) 은, 백 도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백 도어 패널 (30) 에 고정되는 바닥벽 (32)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바닥벽 (32) 에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볼록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가 장착되는 리플렉터 장착부 (3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하우징 (20) 은, 바닥벽 (32)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벽 (34)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벽 (34)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제 1 렌즈 (24) 가 고정되는 고정부 (34A) 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 (20) 은, 바닥벽 (32)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벽 (36)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벽 (36) 은,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차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또 외벽 (36)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제 1 렌즈 (24) 가 고정되는 고정부 (36A) 로 되어 있다.
제 1 렌즈 (24) 는,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개방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렌즈 (24) 는, 차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후방측에서 보았을 때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므라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벽 (38)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바닥벽 (38) 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 부위는 무색 투명으로 된 백 램프 광투과부 (38A) 로 되어 있다. 또, 백 램프 광투과부 (38A) 의 하방측 부위는 적색 투명으로 된 테일 램프 광투과부 (38B) 로 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38)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제 1 하우징 (20) 의 고정부 (34A)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렌즈 (24) 는, 바닥벽 (38)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차량 후방측 부위는 차폭 방향의 판두께가 두꺼운 후육부 (40A) 로 되어 있고, 또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차량 전방측 부위는 후육부 (40A) 에 비하여 차폭 방향의 판두께가 얇은 박육부 (40B) 로 되어 있다. 또, 박육부 (40B) 의 전단부는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이 굴곡된 부위의 선단은 제 1 하우징 (20) 의 고정부 (36A)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에 있어서의 후육부 (40A) 와 박육부 (40B) 의 경계부 또한 차폭 방향 내측의 면에는 단차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후육부 (40A) 의 후단부 (제 1 하우징 (20) 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는, 후육부 (40A) 가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 θ1 이 전반사 각도 미만의 각도로 설정된 코너부 (44) 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렌즈 (24) 가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도 θ1 은 42.2 deg 미만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는, 차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제 1 하우징 (20) 의 리플렉터 장착부 (32A) 에 지지되는 지지부 (46) 가 수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의 차량 후방측의 면은, 알루미늄 증착 등에 의해 경면화되어 있다.
제 1 LED (22) 는 기판 (48)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 제 1 LED (22) 는 기판 (48) 을 개재하여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발광한다. 또한, 제 1 LED (22) 는, 기판 (48) 이 제 1 하우징 (20) 에 지지됨으로써 도어측 램프부 (12) 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 1 LED (22) 의 후방측에는 오목상의 리플렉터 (5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상의 리플렉터 (50) 에 의해 제 1 LED (22) 의 광이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의 차량 후방측의 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구성이다.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는, 차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에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에 의해 반사된 제 1 LED (22) 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렌즈 커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LED (22) 의 광이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를 투과함으로써 제 1 LED (22) 의 광이 차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의 광범위에 확산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전술한 리플렉터 (50) 에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는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에 형성된 단차부 (42) 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펜더측 램프부 (14))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더측 램프부 (14) 는, 도어측 램프부 (12) 의 테일 램프 (18) 와 대략 동일한 조도로 점등됨으로써 차량의 존재를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킴과 함께, 차량이 감속할 때에 보다 높은 조도로 점등됨으로써 차량이 감속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키는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와, 이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와 독립적으로 점등됨으로써 차량이 감속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키는 2 개의 스톱 램프 (54) 와, 소정 주기로 점멸됨으로써 차량이 진로 변경 등을 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키는 턴 시그널 램프 (56) 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더측 램프부 (14) 는, 리어 펜더의 후단부 (58) 에 고정됨으로써 펜더측 램프부 (14) 를 지지함과 함께,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스톱 램프 (54) 및 턴 시그널 램프 (56) 의 광원 (제 2 광원으로서의 제 2 LED (60), 스톱 램프용 LED (도시 생략) 및 턴 시그널 램프용 백열구 (도시 생략)) 을 지지하는 제 2 하우징 (62) 을 구비하고 있다. 또, 펜더측 램프부 (14) 는, 제 2 하우징 (62) 에 고정됨으로써 제 2 LED (60), 스톱 램프용 LED 및 턴 시그널 램프용 백열구를 덮음과 함께 제 2 LED (60), 스톱 램프용 LED 및 턴 시그널 램프용 백열구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렌즈 (6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 (62) 과 제 2 렌즈 (64) 사이에는, 제 2 LED (60) 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2 렌즈 (64) 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와, 이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62) 은,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개방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제 2 하우징 (62) 은, 리어 펜더의 후단부 (58) 에 고정되는 바닥벽 (70) 을 구비하고 있다. 또, 바닥벽 (70) 의 차폭 방향의 중간부에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팽출되는 팽출부 (70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벽 (70)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 (7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 (72)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는 제 2 렌즈 (64) 가 고정되는 고정부 (72A) 로 되어 있다. 또, 제 2 하우징 (62) 은, 바닥벽 (70)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내벽부 (74) 와, 제 1 내벽부 (74) 의 후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차량 후방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벽부 (76) 와, 경사벽부 (76)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내벽부 (78)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경사벽부 (76) 와 제 2 내벽부 (78) 의 경계부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되어 있는 부분 (80) 의 선단이 제 2 렌즈 (64) 와의 고정부 (80A) 로 되어 있다.
제 2 렌즈 (64) 는,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개방된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렌즈 (64) 는, 차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후방측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벽 (82)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바닥벽 (82) 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 부위는 적색 투명으로 된 테일 램프 및 스톱 램프 광투과부 (82A) 로 되어 있고, 또 바닥벽 (82) 의 차량 하방측 부위는 오렌지색 투명으로 된 턴 시그널 램프 광투과부 (82B) 로 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렌즈 (64) 는, 바닥벽 (82)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다리부 (8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측 다리부 (84) 의 선단은 제 2 하우징 (62) 의 고정부 (72A)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측 다리부 (84) 의 차폭 방향 외측에는 가니시 (8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렌즈 (64) 는, 바닥벽 (82)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를 따라 연장되는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차량 후방측 부위는 차폭 방향의 판두께가 두꺼운 후육부 (88A) 로 되어 있고, 또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차량 전방측 부위는 후육부 (88A) 에 비하여 차폭 방향의 판두께가 얇은 박육부 (88B) 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에 있어서의 후육부 (88A) 와 박육부 (88B) 의 경계부 또한 차폭 방향 외측의 면에는 단차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후육부 (88A) 의 후단부 (제 2 하우징 (62) 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는, 후육부 (88A) 가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 θ2 가 전반사 각도 미만의 각도로 설정된 코너부 (92) 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1 렌즈 (24) 와 동일하게, 제 2 렌즈 (64) 가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도 θ2 는 42.2 deg 미만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렌즈 (64) 는,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전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출 (延出) 부 (94)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출부 (94) 는, 기단측이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부 (94A) 와, 선단측 (차폭 방향 내측) 이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절곡된 경사벽부 (94B) 를 갖고 있다. 또, 대향부 (94A) 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간극 반사부 (66A) 로부터 대향부 (94A) 를 향하여 조사된 광을 제 2 렌즈 (64) 내에 도입시키는 렌즈 커트 (9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벽부 (94B) 의 선단은 제 2 하우징 (62) 의 고정부 (80A) 에 고정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는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차량 전방측의 면에는 제 2 하우징 (62) 에 지지되는 지지부 (98) 가 수직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차량 후방측의 면은, 알루미늄 증착 등에 의해 경면화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LED (60) 로부터 조사된 광을 제 2 렌즈 (64) 의 바닥벽 (82) 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제 2 하우징 (62) 의 경사벽부 (76) 를 따라 배치된 간극 반사부 (66A) 로 되어 있고, 이 간극 반사부 (66A) 는 제 2 렌즈 (64) 의 대향부 (94A) 와 차량 전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LED (60) 로부터 조사된 광을 간극 반사부 (66A) 를 개재하여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사이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구성이다.
제 2 LED (60) 는 기판 (100) 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 제 2 LED (60) 는 전술한 제 1 LED (22) 와 동일하게 기판 (100) 을 개재하여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발광한다. 또한, 제 2 LED (60) 는, 기판 (100) 이 제 2 하우징 (62) 에 지지됨으로써 펜더측 램프부 (14) 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 2 LED (60) 의 후방측에는 오목상의 리플렉터 (10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상의 리플렉터 (102) 에 의해 제 2 LED (60) 의 광이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차량 후방측의 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구성이다.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와 대략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에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에 의해 반사된 제 2 LED (60) 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렌즈 커트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LED (60) 의 광이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를 투과함으로써 제 2 LED (60) 의 광이 차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의 광범위에 확산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의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에 형성된 단차부 (90) 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LED (22) 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이 광이 제 1 렌즈 (24) 를 투과한다. 즉, 테일 램프 (18) (도 4 참조) 가 점등된다. 또, 제 2 LED (60) 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이 광은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에 의해 반사된 후 제 2 렌즈 (64) 를 투과한다. 즉,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가 점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일부가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사이에 제 2 LED (60) 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간극 반사부 (66A) 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가 점등되면,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사이가 빛난다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사이가 빛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별체형으로 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렌즈 (64) 가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및 대향부 (94A) 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간극 반사부 (66A) 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가 대향부 (94A) 를 투과하여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사이를 빛나게 한다. 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간극 반사부 (66A) 에 의해 반사된 광의 다른 일부는, 대향부 (94A) 내에 도입된 후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단부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부근이 어두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렌즈 (64) 의 대향부 (94A) 에 상기 렌즈 커트 (9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간극 반사부 (66A) 에 의해 반사된 광이 대향부 (94A) 를 통해서 제 2 렌즈 (64) 내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또, 대향부 (94A) 내에 도입된 광은,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단부 (제 2 하우징 (62) 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부근이 어두워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가,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와 제 2 렌즈 (6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에 의해 확산되어 제 2 렌즈 (64) 를 투과한다. 이로써,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를 보다 균일하게 빛나게 할 수 있다. 또,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내에 도입된 광은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의 단부 (차폭 방향 내측의 단부) 를 향하여 진행되고, 이 광은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에 형성된 단차부 (90) 로부터 그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내에 도입된 광은, 그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단부 (제 2 하우징 (62) 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에 있어서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부근이 어두워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및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가 제 1 하우징 (20) 과 제 1 렌즈 (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에 의해 확산되어 제 1 렌즈 (24) 를 투과한다. 이로써, 테일 램프 (18) 를 보다 균일하게 빛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내에 도입된 광은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의 단부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를 향하여 진행되고, 이 광은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에 형성된 단차부 (42) 로부터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내에 도입된 광은,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단부 (제 1 하우징 (20) 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일 램프 (18) 에 있어서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부근이 어두워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후단부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후단부가 상기 코너부 (44, 92) 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후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광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후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광은, 각각 코너부 (44, 92) 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후단부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후단부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의 경계부가 어두워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렌즈 (64) 의 연출부 (94) 의 선단 (경사벽부 (94B) 의 선단) 이 제 2 하우징 (62) 의 고정부 (80A) 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제 2 하우징 (62) 측의 단부를 제 2 하우징 (62) 에 고정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고정부 (80A) 의 차폭 방향의 치수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를 근접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를 구성하는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를 근접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별체형으로 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테일 램프 (18) 및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가 점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렌즈 (64) 의 바닥벽 (82) 등을 향하여 태양광 등이 조사됨으로써, 당해 태양광 등의 광이 제 2 렌즈 (64) 내에 침입하면, 이 광은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로부터 연출부 (94) 를 향하여 진행되고, 또한, 이 광은 연출부 (94) 의 대향부 (94A) 로부터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사이를 향하여 조사된다. 이로써,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와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사이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사이의 간극) 가 어둡게 보이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일 램프 (18) 및 테일 앤드 스톱 램프 (52) 가 점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가 도어측 램프부 (12) 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가 펜더측 램프부 (14) 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태양광 등의 광이 확산 이너 내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및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내) 에 도입되면, 이 광은 그 확산 이너의 단부를 향하여 진행되고, 또한, 이 광은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및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에 형성된 단차부 (42, 90) 로부터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내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내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내에 도입된 광은, 그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단부 (차량 후방측의 단부) 로부터 조사된다. 이로써, 도어측 램프부 (12) 와 펜더측 램프부 (14) 의 경계부가 어둡게 보이는 것이 억제되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의 일체감이 보다 더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렌즈 (24) 의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및 제 2 렌즈 (64) 의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에 단차부 (42, 90) 를 형성함과 함께, 확산 이너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 (28) 및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 (68)) 의 단부를 단차부 (42, 90) 에 근접하게 배치한 예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차부 (42, 90) 를 형성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또, 확산 이너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단차부 (42, 90) 및 확산 이너를 형성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리플렉터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26) 및 제 2 램프측 리플렉터 (66)) 의 광의 반사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후단부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후단부를 상기 코너부 (44, 92) 로 한 예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램프측 다리부 (40) 의 후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광, 및 제 2 램프측 다리부 (88) 의 후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광이 각각의 후단부에 있어서 전반사되었다고 해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의 일체감이 손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코너부 (44, 92) 를 형성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삭제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10) 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 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별체형으로 된 다른 차량용 램프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6)

  1. 제 1 광원이 장착된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 광원을 덮음과 함께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렌즈를 갖는 제 1 램프와,
    제 2 광원이 장착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광원을 덮음과 함께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렌즈를 갖고, 상기 제 1 램프와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램프와,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렌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되고 오목상 리플렉터에 반사된 광을 상기 제 2 렌즈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2 램프측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렌즈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램프측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 2 램프측 다리부와, 그 제 2 램프측 다리부의 상기 제 2 하우징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램프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의 일부는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조사되고 오목상 리플렉터에 반사된 광을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와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 사이에 반사시키는 간극 반사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간극 반사부와 상기 연출부의 일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에는, 상기 간극 반사부로부터 상기 연출부를 향하여 조사된 광을 상기 제 2 렌즈 내에 도입시키는 렌즈 커트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와 상기 제 2 렌즈 사이에는, 상기 제 2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에는, 상기 제 2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렌즈 사이에는,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제 1 렌즈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및 이 제 1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에는, 상기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렌즈 사이에는,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제 1 렌즈측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램프측 리플렉터 및 이 제 1 램프측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에는, 상기 제 1 램프측 확산 이너의 단부가 근접하게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하우징과 이간되는 측의 단부는, 상기 제 1 램프측 다리부 또는 상기 제 2 램프측 다리부가 연장되는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전반사 각도 미만의 각도로 설정된 코너부로 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구조.
KR1020157019031A 2013-01-17 2013-12-19 차량용 램프 구조 KR101802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6471 2013-01-17
JP2013006471A JP5733323B2 (ja) 2013-01-17 2013-01-17 車両用ランプ構造
PCT/JP2013/084116 WO2014112287A1 (ja) 2013-01-17 2013-12-19 車両用ランプ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884A KR20150095884A (ko) 2015-08-21
KR101802621B1 true KR101802621B1 (ko) 2017-11-28

Family

ID=5120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031A KR101802621B1 (ko) 2013-01-17 2013-12-19 차량용 램프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7045B2 (ko)
EP (1) EP2947377B1 (ko)
JP (1) JP5733323B2 (ko)
KR (1) KR101802621B1 (ko)
CN (1) CN104937329B (ko)
WO (1) WO2014112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2482B2 (ja) * 2013-01-17 2015-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構造
FR3049522B1 (fr) * 2016-03-31 2018-04-27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en au moins deux parties pour un vehicule automobile
JP6885718B2 (ja) * 2016-12-27 2021-06-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灯具
US10215360B1 (en) * 2018-05-18 2019-02-26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ing device and method
US10400981B1 (en) 2018-05-18 2019-09-03 Honda Motor Co., Ltd. Lighting device
JP7140944B2 (ja) * 2018-09-05 2022-09-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2021190315A (ja) * 2020-05-29 2021-12-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CN111947104A (zh) * 2020-07-23 2020-11-17 爱驰汽车有限公司 一种集成式贯穿尾灯组件和应用其的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644A (ja) * 2004-03-25 2005-10-06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7053046A (ja) * 2005-08-19 2007-03-01 Isuzu Motors Ltd 車両用コンビ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9002A (en) * 1980-05-13 1981-12-08 Ichikoh Industries Ltd Lamp for vehicle
JPS6276102A (ja) * 1985-09-30 1987-04-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FR2621100A1 (fr) * 1987-09-30 1989-03-31 Koito Mfg Co Ltd Feu avant de type a double faisceau pour vehicule automobile
DE3828522C2 (de) * 1988-08-23 1995-10-19 Hella Kg Hueck & Co Kraftfahrzeugleuchte
JPH0638105U (ja) * 1992-10-23 1994-05-20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灯具
JPH07235201A (ja) * 1993-12-27 1995-09-05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3172692B2 (ja) * 1997-06-09 2001-06-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標識灯
JPH1125714A (ja) * 1997-07-07 1999-01-2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4038267B2 (ja) * 1998-03-05 2008-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642012B2 (ja) * 2006-12-27 2011-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996951B2 (ja) * 2007-03-23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ランプ構造
JP5521260B2 (ja) * 2010-03-09 2014-06-1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526373B2 (ja) * 2010-12-07 2014-06-1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乗用車の複合ランプユニット
JP5952086B2 (ja) * 2012-05-24 2016-07-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159166B2 (ja) * 2012-11-21 2017-07-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652482B2 (ja) * 2013-01-17 2015-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644A (ja) * 2004-03-25 2005-10-06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7053046A (ja) * 2005-08-19 2007-03-01 Isuzu Motors Ltd 車両用コンビ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7377B1 (en) 2018-04-25
EP2947377A1 (en) 2015-11-25
EP2947377A4 (en) 2016-12-28
JP2014137924A (ja) 2014-07-28
KR20150095884A (ko) 2015-08-21
CN104937329B (zh) 2017-04-26
US9857045B2 (en) 2018-01-02
JP5733323B2 (ja) 2015-06-10
CN104937329A (zh) 2015-09-23
WO2014112287A1 (ja) 2014-07-24
US20150345731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621B1 (ko) 차량용 램프 구조
KR101747267B1 (ko) 차량용 램프 구조
US6543923B2 (en) Vehicle lamp
US9248776B2 (en) Vehicular light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US10400981B1 (en) Lighting device
KR20190068808A (ko) 차량의 루프 간접조명 구조
JP6221589B2 (ja) 車両用灯具
JP4733064B2 (ja) 車両用ランプ
KR101591727B1 (ko) 차량 후방용 램프 구조
WO2023083150A1 (zh) 用于车辆的贯穿灯和具有它的车辆
CN108237963B (zh) 车辆用组合灯具
JP6502120B2 (ja) 車両用灯具
JP6485801B2 (ja) 車両用灯具
CN110023674B (zh) 车辆用照明装置
JP6521667B2 (ja) 車両用灯具
KR20150004587U (ko) 리어윈도용 스포일러
JP5116430B2 (ja) 車両用ターンランプ
JP5911380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220035687A (ko) 차량용 통합 조명장치
JP2015137056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11165532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