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316B1 -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316B1
KR101798316B1 KR1020157033337A KR20157033337A KR101798316B1 KR 101798316 B1 KR101798316 B1 KR 101798316B1 KR 1020157033337 A KR1020157033337 A KR 1020157033337A KR 20157033337 A KR20157033337 A KR 20157033337A KR 101798316 B1 KR101798316 B1 KR 10179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nium
wastewater
added
oxidizing ag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33A (ko
Inventor
스스무 오키노
가즈히데 가미무라
데츠야 이토
모리카타 니시다
히로유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칸쿄 솔루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칸쿄 솔루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칸쿄 솔루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6Sele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 C02F2103/365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from petrochemical industry (e.g. refin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3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9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water trea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의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당해 셀레늄의 가수를 변화시키는 가수 변경 공정과,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가수 변경 공정에서 가수를 변화시킨 셀레늄을 포함하는 응집물을 형성시키고, 당해 응집물을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METHOD FOR REMOVING SELENIUM AND APPARATUS FOR REMOVING SELENIUM}
본 발명은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의 배수(排水)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기 위한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을 연료로 하는 발전 방법으로서, 석탄 연소 화력발전이 있다. 석탄 연소 화력발전에서는, 산화 분위기에서 석탄을 연소시키고, 그 때에 연소열로 생성된 증기 등을 발전에 이용한다.
연료로서 사용되는 석탄에는 불소, 셀레늄 등의 유해 물질이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석탄을 연소시켜서 발전하는 설비에서 발생한 배수에는 유해 물질이 포함된다. 유해 물질의 함유량은 석탄의 산지 등에 따라 다양하다. 사용되는 석탄의 종류에 따라서는, 배수 중의 불소 또는 셀레늄 등의 유해 물질의 농도가 수질 오염 방지법에 기초한 배출 기준을 초과한다. 이러한 유해 물질이 포함된 배수는 바다나 하천 등의 공공 용수역에 배출하기 전에, 적절히 유해 물질을 제거해야 한다(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배수 중에 포함되는 셀레늄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석탄 연소 화력발전 설비에서 발생한 배수에 있어서, 셀레늄은 +4가 셀레늄(아셀레늄산 이온/SeO3 2 -) 또는 +6가 셀레늄(셀레늄산 이온/SeO4 2 -) 이온 상태로 물에 용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4가 셀레늄은 염화제2철 등의 철 화합물을 사용하여 응집침전시킴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배수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6가 셀레늄은 환원되기 어려워, 철 등과 난용해성의 금속염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6가 셀레늄은 응집침전 또는 막분리 등의 고액 분리 처리로 배수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6가 셀레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6가 셀레늄을 일단 +4가 셀레늄으로 환원한 후, 당해 환원된 +4가 셀레늄을 응집침전시켜서 배수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Fe, Mn, Ni 및 Cu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금속을 배수에 접촉시킴으로써 +6가 셀레늄을 +4가 셀레늄으로 환원하여 셀레늄을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생물 반응에 의해 +6가 셀레늄을 +4가 셀레늄으로 환원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47790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5097호
근년, 석탄을 연료로 하는 발전의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석탄 가스화 발전이 개발되고 있다. 석탄 가스화 발전은 저산소 조건 하에서 석탄을 때서 열분해 반응을 일으켜 연료 가스를 생성시키고, 이 연료 가스를 발전에 이용한다. 연료 가스의 주성분은 수소 및 일산화탄소이다.
석탄 가스화 발전에 있어서도, 석탄을 연료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석탄의 종류에 따라, 배수 중에 셀레늄이 함유된다. 따라서, 석탄 연소 화력발전과 동일하게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법을 사용하여,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에서 발생한 셀레늄 함유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즉, 셀레늄을 함유하는 배수 중의 당해 셀레늄을 환원시켜서 +4가 셀레늄으로 한 후, 응집침전 또는 막분리 등의 고액 분리를 하였다. 그러나, 배수 중의 셀레늄 농도를 수질 오염 방지법에 기초한 배출 기준 이하로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에서 발생한 셀레늄 함유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분리 제거하는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이하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석탄 연소 화력발전에서는, 석탄이 산화 분위기에서 연소되기 때문에, 배수 중에 포함되는 셀레늄은 +4가 셀레늄 또는 +6가 셀레늄으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석탄 가스화 발전에서는, 석탄을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하기 때문에, 셀레늄은 가수가 +4가보다 낮은 이온 형태로 배수 중에 존재하게 된다.
즉, 석탄 연소 발전과 석탄 가스화 발전에서는, 배수 중에 포함되는 셀레늄의 이온 상태가 상이하다. 그로 인해, 석탄 연소 발전의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석탄 가스화 발전의 배수에 적용할 수 없다.
석탄 연소 발전에서는, 배수 중에서의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이온화한 셀레늄의 존재는 알려져 있지 않아, 그 처리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이온화한 셀레늄은 응집침전 등의 고액 분리로는 제거하는 것이 곤란해서, +6가 셀레늄처럼 환원시켜서 응집침전시킬 수도 없다.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의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셀레늄을 함유하는 상기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당해 셀레늄의 가수를 변화시키는 가수 변경 공정과, 상기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상기 가수 변경 공정에서 가수를 변화시킨 셀레늄을 포함하는 응집물을 형성시키고, 당해 응집물을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제거 장치는,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의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장치이며, 셀레늄을 함유하는 상기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당해 셀레늄의 가수를 변화시키는 가수 변화부와, 상기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상기 가수 변화부에서 가수를 변화시킨 셀레늄을 포함하는 응집물을 형성시키고, 당해 응집물을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로부터의 배수 중에서, 셀레늄의 대부분은 +4가 셀레늄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4가 셀레늄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으로서는, ±2가 셀레늄 또는 0가 셀레늄 등을 들 수 있다.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이온화한 셀레늄은 응집침전 처리에 의해 배수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4가 셀레늄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일단 +4가 셀레늄으로 한다. +4가 셀레늄은 응집제를 사용한 응집침전 처리에 의해 배수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수 중의 셀레늄 농도를 수질 오염 방지법에 기초한 배출 기준 이하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가수 변경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수에 철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가수 변화부가, 상기 배수에 철염을 첨가하는 철염 첨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와 아울러, 배수에 철염을 첨가함으로써, 배수에 포함되는 셀레늄 농도를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가수 변경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한다.
산화환원 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란 산화환원 전극의 평형 전극 전위이며, 용액의 산화력 또는 환원력의 강도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산화환원 전위의 값이 클수록, 용액의 산화 경향은 강해진다.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산화 경향의 용액이 되도록 제어하면, 배수 중에 포함되는 셀레늄이 산화되기 쉬워진다. 그것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셀레늄을 산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산화제가 과산화수소,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오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면 좋다.
과산화수소는 그 첨가량에 따라서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완만하게 상승시킨다. 그로 인해,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가 너무 커지는 것을 걱정하지 않고, 산화제의 첨가량을 설정할 수 있다.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은 그 첨가량에 따라서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산화제로서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수의 바람직한 산화환원 전위의 범위 내에서, 산화 경향이 강한 배수를 조정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셀레늄의 산화 반응을 촉진하여, 셀레늄 제거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및 공정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응집제가 무기 응집제, 또는, 무기 응집제 및 고분자 응집제가 되면 좋다.
가수 변경 공정을 거친 배수에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면, +4가 셀레늄을 포함하는 응집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응집물은 고액 분리에 의해 배수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가수 변경 공정을 거친 배수 중에는, +4가까지 산화가 진행되지 않은 0가 셀레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무기 응집제와 고분자 응집제를 병용함으로써, +4가 셀레늄 및 0가 셀레늄을 배수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수 중으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셀레늄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는 배수 중의 셀레늄 농도를 배출 기준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에 의하면, 배수 중에 포함되는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4가 셀레늄 또는 0가 셀레늄으로 함으로써, 응집침전 등의 고액 분리에 의해 용이하게 셀레늄을 제거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에서 발생한 배수의 셀레늄 농도를 배수 기준 이하로 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장치는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의 배수 처리 기구의 일부에 편입되는 것이 된다. 셀레늄 제거 장치는 가수 변화부와 고액 분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셀레늄 제거 장치는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할 수 있다.
가수 변화부는 산화제 첨가부 및 철염 첨가부를 갖는다. 산화제 첨가부는, 배수에 포함되는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당해 셀레늄의 가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셀레늄을 포함하는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철염 첨가부는, 셀레늄을 포함하는 배수에 철염을 첨가할 수 있다. 철염은 염화제2철, 황산제1철 등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철염으로서 염화제2철을 사용한다. 철염 첨가부는, 배수의 pH를 조정할 수 있는 pH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액 분리부는 가수 변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고액 분리부는 응집제 첨가 수단을 구비하고, 가수 변화부를 경유한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고액 분리부는, 상이한 종류의 응집제를 각각 임의의 타이밍에 배수에 첨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응집제 첨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가수 변경 공정과 고액 분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셀레늄 제거의 처리 대상이 되는 배수는,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의 배수가 된다.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란, 예를 들어 석탄을 가리킨다.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란, 예를 들어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IGCC)의 가스화 로(爐)를 가리킨다. 가스화 로를 경유하여, 수중에 포집된 셀레늄은, 배수 중에서 +4가 셀레늄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 화합물 이온으로서 주로 존재한다.
<가수 변경 공정>
셀레늄을 포함하는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한다. 산화제를 첨가한 배수를 적절히 교반하여, 소정 시간 셀레늄을 산화시킨다. 그것에 의하여, 배수에 포함되는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의 가수가 변화하여, 대부분이 +4가 셀레늄이 된다.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오존에서 선택된다. 산화제의 첨가량은 배수 중의 셀레늄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 과산화수소의 첨가량은 100mg/l 이상 600mg/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mg/l 이상 400mg/l 이하로 된다. 과산화수소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셀레늄의 산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2가 셀레늄 등의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이 잔존한다. 한편, 과산화수소를 600mg/l보다 과잉으로 첨가해도, 과산화수소의 첨가량에 걸맞는 정도로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변화시킬 수 없다.
산화제로서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의 첨가량은 200mg/l 이상 800mg/l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200mg/l 이상 500mg/l가 된다.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셀레늄의 산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셀레늄이 잔존한다. 한편,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을 800mg/l보다 많이 첨가하면,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가 너무 높아진다.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너무 높게 하면, 셀레늄의 산화 반응이 촉진되어 +6가 셀레늄이 되는 비율이 많아진다.
가수 변경 공정에 있어서, 산화제를 첨가하기 전에, 배수에 염화제2철 등의 철염을 첨가하면 좋다. 예를 들어, 염화제2철의 첨가량은 철(Fe)로서 50mg/l 이상 1000mg/l 이하, 바람직하게는 50mg/l 이상 200mg/l 이하가 된다.
또한, 철염의 첨가 타이밍은, 산화제를 첨가하기 전으로 한정되지 않고, 산화제를 첨가한 후여도 된다.
가수 변경 공정에서는,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한다.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는 배수가 산화 경향의 용액이 되도록 제어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는 200mV 이상 1500mV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mV 이상 1000mV 이하가 된다.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는 산화제 또는 염화제2철의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가 너무 높으면, +6가 셀레늄의 비율이 많아진다.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가 너무 낮으면, 셀레늄의 산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배수 중에 +4가보다 가수가 낮은 이온화한 셀레늄이 잔존한다. +6가 셀레늄 또는 -2가 셀레늄은 고액 분리 처리에 의해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셀레늄 제거율이 저하된다.
<고액 분리 공정>
가수 변경 공정을 거친 배수에 적절히 알칼리제를 첨가하여, 배수를 중성 용액으로 한다. 알칼리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소석회 등이 된다.
이어서,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한다. 응집제는 무기 응집제, 또는, 무기 응집제 및 고분자 응집제가 된다. 무기 응집제 및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하는 경우, 무기 응집제를 첨가한 후에,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한다.
무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염(PAC), 황산알루미늄 또는 염화제2철 등이 된다. 고분자 응집제는 음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또는 비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등이 된다. 음이온계 고분자 응집제는, 예를 들어, 히시프록 H-305(미쓰비시 쥬코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또는 히시프록 HA-510(미쓰비시 쥬코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등이 된다.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한 후, 배수를 적절히 교반하여 응집물을 형성시킨다. 그 후, 배수를 소정 시간 정치하여, 응집물을 침전시키고, 상청을 분리한다. 응집물에는 +4가 셀레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응집물을 제거함으로써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할 수 있다.
고액 분리 공정은, 필요에 따라 복수회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다른 유해 물질의 제거 공정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의 제거 처리는 일반적으로 응집제를 사용한 응집·분리 공정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응집·분리 공정에서 셀레늄 농도를 배출 기준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불소의 제거 처리와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은 수은 등의 중금속 제거 처리와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레늄 제거 방법의 설계 근거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시험 1>
상기 실시 형태의 셀레늄 제거 방법에 기초하여, IGCC으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한다.
IGCC의 배수 처리 설비에서는, 일반적으로, IGCC의 각 공정에서 발생한 배수를 원수조에 모으고 나서,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처리를 한다. 그로 인해, 각 공정의 배수 비율로부터 셀레늄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공정 배수를 희석한 것을 원수로 하였다.
산화제는 과산화수소(H2O2, 와코 쥰야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였다.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다키 가가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및 히시프록 H-305를 사용하였다. 킬레이트제는 에포프록(등록 상표) L-1(미요시 유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을 사용하였다.
수순 1: pH 조정
원수에 황산(H2SO4)을 첨가하여 pH를 7로 조정하여, 처리수 A로 하였다.
수순 2: 가수 변경 공정(pH 조정/염화제2철 첨가/산화제 첨가/탈기)
처리수 A에 황산을 첨가하여 pH 4의 용액(처리수 B)으로 하였다. 처리수 B에 염화제2철(철염) 및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였다. 염화제2철의 첨가량은 0mg/l부터 100mg/l로 하였다. 과산화수소의 첨가량은 0mg/l부터 600mg/l로 하였다. 그 후, 처리수 B를 30분간 교반한 용액을 처리수 C로 하였다.
수순 3: 제1 고액 분리 공정(중화/응집제 첨가/침전/상청 분리)
처리수 C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pH 7의 용액으로 했다(처리수 D). 처리수 D에 PAC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한 용액을 처리수 E로 하였다. PAC의 첨가량은 3600mg/l로 하였다.
처리수 E에 히시프록 H-305를 첨가하고, 5분간 교반하였다. 히시프록 H-305의 첨가량은 10mg/l로 하였다. 그 후, 처리수 E를 5분간 정치하고, 응집물을 침전시켰다. 응집물을 침전시킨 처리수 E로부터 상청을 분리하여, 처리수 F로 하였다.
수순 4: 제2 고액 분리 공정
처리수 F에 킬레이트제를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은 40mg/l로 하였다. 그 후, 제1 고액 분리 공정과 동일하게, NaOH, PAC, 히시프록 H-305를 사용하여 응집물을 형성시킨 후, 정치하였다. 응집물을 침전시킨 처리수 F로부터 상청을 분리하여, 처리수 G로 하였다.
원수, 처리수 F 및 처리수 G에 대해서, 셀레늄 농도를 측정하였다. 셀레늄 농도는 JIS K 0102 67.2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표 1에, 과산화수소 및 염화제2철의 첨가량과, 처리수 F 및 처리수 G의 셀레늄 농도를 나타낸다. 원수의 셀레늄 농도는 0.75mg/l였다.
Figure 112015113794533-pct00001
원수에 산화제(과산화수소)를 첨가한 처리수 G(No.1부터 No.6)에 있어서의 셀레늄 농도는 0.1mg/l 이하였다. 한편, 원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염화제2철을 첨가한 처리수 G(No.7부터 No.8)에 있어서의 셀레늄 농도는 0.3mg/l 정도였다. 수질 오염 방지법에 기초한 셀레늄의 배출 기준은 0.1mg/l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산화제를 첨가하여 처리함으로써, 처리수 G에 포함되는 셀레늄의 농도를 배출 기준 이하로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과산화수소를 100mg/l 첨가한 처리수 G(No.1)의 셀레늄 농도는 0.075mg/l였다. 과산화수소를 100mg/l 첨가하고, 또한 염화제2철을 첨가한 처리수 G(No.2 및 No.3)의 셀레늄 농도는 0.03mg/l 및 0.025mg/l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산화제뿐만 아니라 염화제2철도 아울러 첨가함으로써, 처리수 G에 포함되는 셀레늄의 농도를 더욱 저하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 1에 의하면, 처리수 G의 셀레늄 농도는 과산화수소 및 염화제2철의 첨가량에 따라서 조금 변화하였다. 한편, 처리수 F의 셀레늄 농도는 과산화수소 및 염화제2철의 첨가량에 따라서 보다 크게 변화하였다.
상세하게는, 염화제2철의 첨가량을 50mg/l로 한 처리수 F(No.2)의 셀레늄 농도는 0.27mg/l였다. 염화제2철의 첨가량을 100mg/l로 한 처리수 F(No.3부터 No.5)의 셀레늄 농도는 0.1mg/l을 하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염화제2철의 첨가량을 100mg/l로 하면, 제1 고액 분리 공정을 종료한 단계에서 처리수 중의 셀레늄 농도를 배수 기준 이하로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염화제2철을 100mg/l 첨가한 처리수 F(No.3부터 No.5)의 셀레늄 농도는 과산화수소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서 저하 경향을 나타냈다.
<시험 2>
산화제를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으로 하였다. 제1 고액 분리 공정까지 시험 1과 동일하게 원수를 처리하여, 처리수 F를 얻었다.
원수 및 처리수 F에 대해서, 셀레늄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원수 및 탈기하기 직전의 처리수 B에 대해서, 산화환원 전위(ORP)를 측정하였다. 산화환원 전위는, 가부시끼가이샤 호리바 세이사꾸쇼 제조의 D-5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2에,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및 염화제2철의 첨가량, 처리수 F의 셀레늄 농도, 및 탈기하기 직전의 처리수 B의 산화환원 전위를 나타낸다. 원수는 셀레늄 농도 0.71mg/l, 산화환원 전위 40mV, pH 12.8이었다.
Figure 112015113794533-pct00002
표 2에 의하면,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을 원수에 첨가하여 처리함으로써, 처리수 F의 셀레늄 농도를 배출 기준 이하로 할 수 있다.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의 첨가량을 220mg/l로 했을 때에, 처리수 F의 셀레늄 농도가 가장 낮아졌다.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처리수 F의 셀레늄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수 B의 산화환원 전위도,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의 첨가량 증가에 수반하여 상승하였다. 따라서 처리수 B의 산화환원 전위를 너무 크게 했기 때문에, 셀레늄의 산화가 너무 진행되어버려, +6가 셀레늄이 증가한 것에 의해, 셀레늄 농도가 증가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6가 셀레늄은 응집제를 사용하여 응집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산화에 의한 셀레늄의 가수 변화는 +4가 셀레늄으로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으로부터, 셀레늄을 산화시킬 때, 처리수의 산화환원 전위에 바람직한 범위가 있음을 알았다.
(과산화수소와 산화환원 전위의 관계에 대해서)
황산을 사용하여 원수의 pH를 4로 조정하였다. 그 원수에 염화제2철 및 과산화수소를 첨가하고, 산화환원 전위를 측정하였다. 표 3에, 염화제2철 및 과산화수소의 첨가량과, 산화환원 전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113794533-pct00003
표 3에 따르면, 과산화수소의 첨가량을 100mg/l로부터 1000mg/l까지 증가시키면, 원수의 산화환원 전위는 조금 상승하였다.

Claims (8)

  1.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의 배수(排水)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셀레늄을 함유하는 상기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당해 셀레늄의 가수를 +4가까지 변화시키는 가수 변경 공정과,
    상기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상기 가수 변경 공정에서 가수를 변화시킨 셀레늄을 포함하는 응집물을 형성시키고, 당해 응집물을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가수 변경 공정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의 가수를 +4까지 변화시키도록 상기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하는 것인,
    셀레늄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 변경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수에 철염을 첨가하는 것인 셀레늄 제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가 과산화수소,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오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셀레늄 제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가 무기 응집제, 또는, 무기 응집제 및 고분자 응집제가 되는 것인 셀레늄 제거 방법.
  5. 셀레늄을 포함하는 연료를 환원 분위기에서 가스화시키는 설비의 배수로부터 셀레늄을 제거하는 장치이며,
    셀레늄을 함유하는 상기 배수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셀레늄을 산화시켜서 당해 셀레늄의 가수를 +4가까지 변화시키는 가수 변화부와,
    상기 배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상기 가수 변화부에서 가수를 변화시킨 셀레늄을 포함하는 응집물을 형성시키고, 당해 응집물을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수 변화부가, 상기 셀레늄의 가수를 +4까지 변화시키도록 상기 배수의 산화환원 전위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하는 것인,
    셀레늄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 변화부가, 상기 배수에 철염을 첨가하는 철염 첨가부를 구비하는 것인 셀레늄 제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셀레늄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석탄 가스화 발전 설비.
  8. 삭제
KR1020157033337A 2013-06-28 2013-06-28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 KR101798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7843 WO2014207905A1 (ja) 2013-06-28 2013-06-28 セレン除去方法及びセレン除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33A KR20160003033A (ko) 2016-01-08
KR101798316B1 true KR101798316B1 (ko) 2017-11-15

Family

ID=5170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337A KR101798316B1 (ko) 2013-06-28 2013-06-28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9790B2 (ko)
JP (1) JP5591417B1 (ko)
KR (1) KR101798316B1 (ko)
CN (2) CN105246839A (ko)
WO (1) WO2014207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4146B2 (ja) * 2013-10-16 2017-09-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CN105712569B (zh) * 2014-12-05 2018-04-1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含硒废水的深度处理方法
EP3416918A4 (en) * 2016-02-17 2019-10-23 Phillips 66 Company REMOVAL OF CONTAMINANT FROM WASTEWATER
JP2017148728A (ja) * 2016-02-24 2017-08-31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排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石炭ガス化発電設備
CN105668528B (zh) * 2016-04-05 2017-02-08 中南大学 一种催化还原硒的方法
JP6789779B2 (ja) * 2016-11-25 2020-11-25 三菱パワー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石炭ガス化発電設備
JP2018083172A (ja) * 2016-11-25 2018-05-3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排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石炭ガス化発電設備
US10947142B2 (en) 2017-09-01 2021-03-16 Suncor Ener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US10947137B2 (en) * 2017-12-07 2021-03-16 Teck Resources Limited Process for treatment of mine impacted water
CN108315569B (zh) * 2018-03-05 2020-03-31 云南驰宏锌锗股份有限公司 一种吸附、沉淀脱除硫酸锌溶液中微量硒和碲的方法
CN108455657B (zh) * 2018-03-05 2020-08-14 云南驰宏锌锗股份有限公司 一种氧化复合吸附脱除硫酸锌溶液中微量硒和碲的方法
JP7297512B2 (ja) * 2019-04-24 2023-06-26 三菱重工パワー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JP7358202B2 (ja) * 2019-11-07 2023-10-10 三菱重工パワー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0848A (ja) * 2010-03-26 2011-10-13 Chiyoda Kako Kensetsu Kk 排水の処理方法
JP4970972B2 (ja) * 2007-02-05 2012-07-11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セレン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2013522008A (ja) * 2010-03-10 2013-06-13 ナルコ カンパニー 製油所廃液からセレンの除去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68A (zh) * 1992-09-02 1993-03-24 杨蔺孝 重金属废水处理回用方法及装置
JP3385137B2 (ja) 1995-08-04 2003-03-10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排煙脱硫排水の処理方法
US5993667A (en) 1997-10-20 1999-11-30 Texaco Inc. Process for removing selenium from refinery process water and waste water streams
JPH11158681A (ja) 1997-11-20 1999-06-1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セレン含有被処理水の処理方法
US6214238B1 (en) * 1998-07-27 2001-04-10 Tosco Corporation Method for removing selenocyanate ions from waste water
DE10026051C2 (de) * 2000-05-25 2002-04-18 Oechsler Ag Kraftfahrzeugspiegel-Verschwenkeinrichtung
US6932909B2 (en) * 2002-01-15 2005-08-23 Kroff Chemical Company, Inc. Method of treating mine drainage
JP4035347B2 (ja) * 2002-02-28 2008-01-2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セレン酸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処理剤
JP2005224771A (ja) 2004-02-16 2005-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水処理装置
JP2005279409A (ja) 2004-03-29 2005-10-13 Kubota Corp 有機金属化合物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4670004B2 (ja) 2004-11-15 2011-04-13 Dowaメタルマイン株式会社 セレン含有水の処理方法
JP2006205097A (ja) 2005-01-31 2006-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水の生物学的処理方法
US7378022B2 (en) * 2006-06-06 2008-05-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biological selenium removal from water
JP5579414B2 (ja) 2009-09-30 2014-08-27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還元性セレン含有排水の処理方法
CN102939259A (zh) * 2010-02-25 2013-02-20 菲利浦66公司 硒脱除的处理阶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972B2 (ja) * 2007-02-05 2012-07-11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セレン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2013522008A (ja) * 2010-03-10 2013-06-13 ナルコ カンパニー 製油所廃液からセレンの除去
JP2011200848A (ja) * 2010-03-26 2011-10-13 Chiyoda Kako Kensetsu Kk 排水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5053A1 (en) 2016-04-28
US10919790B2 (en) 2021-02-16
JPWO2014207905A1 (ja) 2017-02-23
KR20160003033A (ko) 2016-01-08
CN105246839A (zh) 2016-01-13
WO2014207905A1 (ja) 2014-12-31
JP5591417B1 (ja) 2014-09-17
CN110040836A (zh)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316B1 (ko) 셀레늄 제거 방법 및 셀레늄 제거 장치
JP5828969B2 (ja) 石炭ガス化排水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石炭ガス化排水の処理方法
CN102001734B (zh) 处理含汞废水的重金属沉降剂
JP5637713B2 (ja) 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17148728A (ja) 排水処理方法、排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石炭ガス化発電設備
JP5579414B2 (ja) 還元性セレン含有排水の処理方法
CN109292933B (zh) 一种用于污水处理中具备氧化和絮凝复合功能的cod去除剂
KR101834438B1 (ko) 탈황 폐수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Weiss et al. Mechanisms behind pH changes during electrocoagulation
JP2007252969A (ja) 鉄鋼製造排水の浄化処理方法
JP2017104802A (ja) シア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2007260586A (ja) コークス炉で発生する廃水の処理方法
JP5179242B2 (ja) 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JP2018083172A (ja) 排水処理方法、排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石炭ガス化発電設備
US11008240B2 (en) Process for reduction of sulfide from water and wastewater
JP2010075849A (ja) 塩素含有微粉状廃棄物の処理方法
CN111470712B (zh) 一种含盐废水的处理方法
JP2018130717A (ja) 脱硫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JP6623288B2 (ja) 硫化水素を含む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TW201313618A (zh) 化學鍍鎳廢水回收處理方法
JP2021074663A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CN113710621B (zh) 废水处理方法和废水处理系统
JP6560149B2 (ja) 金属シアノ錯体含有廃水の処理方法
CN115367907A (zh) 一种pcb板多种废液综合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