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249B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249B1
KR101768249B1 KR1020127027949A KR20127027949A KR101768249B1 KR 101768249 B1 KR101768249 B1 KR 101768249B1 KR 1020127027949 A KR1020127027949 A KR 1020127027949A KR 20127027949 A KR20127027949 A KR 20127027949A KR 101768249 B1 KR101768249 B1 KR 10176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aft
transmitting member
transmitt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589A (ko
Inventor
타카키 에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니찌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니찌베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니찌베이
Publication of KR2013006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5Pleated screens, e.g. concertina- or accordion-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차폐재를 가지는 블라인드에서 서로 다른 조작을 1개의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작장치를 적은 부품수로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는 조작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조작축(46); 조작축(46)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면서 조작축(46)상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클러치(48); 및 클러치(48)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구동축(54)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부재(50) 및 제2 구동축(56)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부재(52)를 가지며, 조작축(46)의 회전방향에 의해 클러치(48)의 슬라이드 방향이 결정되어 조작축(46)상을 슬라이드한 클러치(48)가 한쪽 전달부재(50 혹은 52)와 걸림결합함으로써, 조작축(46)의 회전이 한쪽 전달부재(50 혹은 52)를 통해 어느 한쪽의 구동축(54, 56)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BLIND}
본 발명은 2개의 차폐재를 가지는 블라인드에서 서로 다른 조작을 1개의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블라인드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블라인드에서는, 제1 및 제2 승강동작부, 제1 및 제2 일사차폐재의 자중(自重)강하를 저지하는 상태와 자중강하를 허용하는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한 제1 및 제2 스토퍼유닛, 조작코드 중 한쪽의 조작에 의해 제1 승강동작부 및 제1 스토퍼유닛을 작동시켜 제2 일사차폐재를 승강하지 않고도 제1 일사차폐재의 끌어올림동작, 자중에 의한 하강동작 및 자중강하 방지동작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1 클러치유닛, 및 조작코드 중 다른쪽의 조작에 의해 제2 승강동작부 및 제2 스토퍼유닛을 작동시켜 제1 일사차폐재를 승강하지 않고도 제2 일사차폐재의 끌어올림동작, 자중에 의한 하강동작 및 자중강하 방지동작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2 클러치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클러치유닛은 헤드박스 내에 전후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제1 및 제2 클러치유닛에는 이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기어로부터 구동력이 각각 전달된다.
제1 일사차폐재를 끌어올릴 때에는 실내측에 매달린 조작코드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조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1 일사차폐재가 끌어올려지게 되고, 제1 일사차폐재를 원하는 위치까지 끌어올린 후에 조작코드를 놓으면 자중강하가 저지되어 제1 일사차폐재가 원하는 위치에 매달려 지지된다. 제1 일사차폐재를 하강시킬 때에는 실내측에 매달린 조작코드를 약간 아래쪽으로 당기면 제1 일사차폐재가 자중으로 강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일사차폐재를 끌어올릴 때에는 실외측에 매달린 조작코드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조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2 일사차폐재가 끌어올려지게 되고, 제2 일사차폐재를 원하는 위치까지 끌어올린 후에 조작코드를 놓으면 자중강하가 저지되어 제2 일사차폐재가 원하는 위치에 매달려 지지된다. 제2 일사차폐재를 하강시킬 때에는 실외측에 매달린 조작코드를 약간 아래쪽으로 당기면 제2 일사차폐재가 자중으로 강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일사차폐재의 승강조작은 실내측에 매달린 조작코드를 조작함으로써 이룰 수 있고, 또한 제2 일사차폐재의 승강조작은 실외측에 매달린 조작코드를 조작함으로써 이룰 수 있어, 1개의 조작코드의 조작에 의해 제1 일사차폐재의 승강조작과 제2 일사차폐재의 승강조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16422호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에서는, 제1 및 제2 클러치유닛의 각 동작의 전환은 구성부품이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행하고 있어, 이 구성부품을 가지는 제1 및 제2 클러치유닛을 헤드박스의 전후방향으로 병렬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일사차폐재마다 클러치유닛을 하나씩 설치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많아짐과 더불어 조작장치 전체로서의 수납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조작을 1개의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장치를 적은 부품수로 소형화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승방향 또는 하강방향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하에 있는 제1 차폐재;
상승방향 또는 하강방향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하에 있는 제2 차폐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제1 차폐재에 연결되어 그 회전방향이 제1 차폐재의 승강동작에 대응하는 제1 구동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제2 차폐재에 연결되어 그 회전방향이 제2 차폐재의 승강동작에 대응하는 제2 구동축;
제1 차폐재의 힘이 가해진 방향에 대응하는 제1 구동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1 스토퍼; 및
제2 차폐재의 힘이 가해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구동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2 스토퍼를 구비한 블라인드에 있어서,
조작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조작축;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면서 조작축상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클러치; 및
클러치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부재 및 제2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부재를 가지며,
조작축의 회전방향에 의해 클러치의 슬라이드 방향이 결정되어 조작축상을 슬라이드한 클러치가 한쪽 전달부재와 걸림결합함으로써, 조작축의 회전이 한쪽 전달부재를 통해 어느 한쪽의 구동축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축을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도록 조작함으로써, 그 회전방향에 따라 결정하는 클러치의 슬라이드 방향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전달부재가 전환되고, 전달부재를 통해 어느 한쪽의 구동축으로 회전이 전달된다.
또한 클러치의 축방향 양측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전달부재에는 클러치가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클러치의 한쪽 측부의 돌기와 걸림결합하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제2 전달부재에는 클러치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클러치의 다른쪽 측부의 돌기와 걸림결합하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클러치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돌기가 한쪽 전달부재의 돌기와 맞닿아 축방향으로 압출되어 다른쪽 전달부재의 돌기와 걸림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클러치의 조작축의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는 클러치와 한쪽 전달부재의 테이퍼 형상의 돌기끼리 상대 회전하면서 맞닿음으로써, 클러치가 한쪽 전달부재에 의해 다른쪽 전달부재 방향으로 압출되어 클러치와 다른쪽 전달부재가 걸림결합함으로써 실현되므로, 클러치의 전환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클러치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 중 하나의 홈부에는 조작축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걸림결합자가 걸림결합하고 있고, 상기 걸림결합자는 클러치가 조작축상을 슬라이드할 때에 하나의 홈부로부터 이웃한 홈부 사이의 경계를 넘어 다른 홈부에 걸림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조작축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걸림결합자가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복수의 홈부 중 하나의 홈부에 걸림결합하므로, 클러치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조작축에 대한 클러치의 축방향의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달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전달부재는 부세(付勢)수단에 의해 클러치와 걸림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환 도중에 전달부재가 부세수단에 대항하여 일시적으로 클러치와 이간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달부재와 클러치 사이에서 로킹하게 되는 것을 저지하여 클러치의 회전과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축에 조작력을 부여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조작코드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차폐재의 승강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에, 해당하는 전달부재, 클러치 및 조작축을 통해 조작코드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차폐재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 움직이고 있는 조작코드를 멈추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되므로, 조작자는 조작해야 할 조작방향을 순식간에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조작방향을 헤매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클러치로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장치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수납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블라인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차폐재 생략)이다.
도 3은 헤드박스 내의 각 부재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조작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조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클러치가 제1 전달부재와 걸림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b)는 클러치가 제2 전달부재와 걸림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c)는 클러치가 제1 전달부재와 제2 전달부재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라인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라인드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10은 브라켓(11)에 의해 창틀이나 벽면 등에 고정되는 헤드박스이며, 헤드박스(10)에는 제1 차폐재(14) 및 제2 차폐재(16)의 상단이 각각 장착된다.
헤드박스(10)로부터는 제1 승강코드(22)가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제1 승강코드(22)의 일단은 제1 차폐재(14)를 따라 제1 차폐재(14)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코드링(15)을 삽입통과하여 최하단의 코드링(15)에 연결된다. 제1 승강코드(22)의 타단은 헤드박스(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1 권취드럼(24)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권취드럼(24)에는 제1 구동축(26)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1 차폐재(14)는 자중(自重)에 의해 제1 차폐재(14)를 하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하에 있고, 그 제1 차폐재(14)의 하강방향에 대응하는 제1 구동축(26)의 제1 승강코드(22)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1 스토퍼(27)가 제1 구동축(26)에 설치된다.
동일하게, 헤드박스(10)로부터는 제2 승강코드(32)가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제2 승강코드(32)의 일단은 제2 차폐재(16)를 따라 제2 차폐재(16)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코드링(25)을 삽입통과하여 최하단의 코드링(25)에 연결된다. 제2 승강코드(32)의 타단은 헤드박스(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2 권취드럼(34)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 권취드럼(34)에는 제2 구동축(36)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2 차폐재(16)는 자중에 의해 제2 차폐재(16)를 하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하에 있고, 그 제2 차폐재(16)의 하강방향에 대응하는 제2 구동축(36)의 제2 승강코드(32)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2 스토퍼(37)가 제2 구동축(36)에 설치된다.
제1 구동축(26) 및 제2 구동축(36)은 헤드박스(10)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것들의 각 일단은 헤드박스(10)의 일단에 설치된 조작유닛(조작장치)(40)에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5를 기초로 조작유닛(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유닛(40)은 대략적으로 엔드리스 형상의 조작코드(42), 조작코드(42)가 감겨걸쳐지는 풀리(44), 풀리(4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조작축(46), 조작축(46)상에 배치되는 클러치(48), 동일하게 조작축(46)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전달부재(50 및 52), 제1 및 제2 전달부재(50 및 52)와 걸림결합하는 제1 및 제2 구동축(54 및 56), 및 헤드박스(10)에 고정되는 케이스(58)를 구비한다.
조작축(46)은 풀리(44) 내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일단이 삽입되어 헤드박스(10)의 길이방향을 연장하고 있고, 케이스(5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축(46)상을 풀리(44)측으로부터 차례로 제2 전달부재(52), 클러치(48), 제1 전달부재(50)가 배치된다. 조작축(46)은 제2 전달부재(52) 및 제1 전달부재(5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는 반면, 클러치(48)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관통한다. 또한 조작축(46)에 대해 클러치(48) 및 제1 전달부재(50)는 각각 케이스(58)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러치(48)의 축방향 양측면에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소(도면의 예에서는 3개소)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48a 및 48b)가 형성된다. 각 돌기(48a) 및 각 돌기(48b)는 각각 축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수직인 평면(48a1 및 48b1), 및 축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경사진 테이퍼면(48a2 및 48b2)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48)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제1 홈부(48c) 및 제2 홈부(48d)가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홈부(48c 및 48d)에는 케이스(58)에 형성된 오목부(58a)에 끼워넣어진 걸림결합자(60)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결합자(60)는 판스프링(64)(도 6 참조) 등에 의해 클러치(48) 방향으로 상시 압압되어 있고, 그 압압력에 대항하여 클러치(48)가 조작축(46)상을 슬라이드할 때에 한쪽 홈부(48c 혹은 48d)로부터 다른쪽 홈부(48d 혹은 48c)와 이웃한 홈부(48c 및 48d) 사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경계(48e)를 넘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전달부재(50) 및 제2 전달부재(52)의 클러치(48)와의 대향면에는 클러치(48)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클러치(48)의 돌기(48a 및 48b)와 각각 걸림결합 가능해진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50a 및 52b)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소(도면의 예에서는 3개소)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50a) 및 각 돌기(52b)는 각각 축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수직인 평면(50a1 및 52b1), 및 축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경사진 테이퍼면(50a2 및 52b2)을 가지고 있다.
제1 전달부재(50)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소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결합구멍(50c)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구동축(54)에는 그 걸림결합구멍(50c)에 걸림결합하는 걸림결합돌기(5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전달부재(50)와 제1 구동축(54) 사이에서 걸림결합돌기(54a)의 외측에 스프링(62)이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결합구멍(50c)과 걸림결합돌기(54a)의 걸림결합에 의해 제1 전달부재(50)는 제1 구동축(54)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스프링(62)에 의해 제1 구동축(54)과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축(54)은 상기 제1 구동축(26)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제2 전달부재(52)에는 외주면에 기어(52c)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52c)는 제2 구동축(56)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56a)와 맞물려 있다. 제2 구동축(56)은 제1 구동축(54)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축(36)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도 6의 (a) 내지 (c)를 기초로 조작유닛(4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구동축(26)을 회전시켜 제1 승강코드(22)를 동작시키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조작코드(42)의 실내측(앞측)을 아래쪽으로 당기도록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풀리(44)의 회전이 조작축(46) 및 클러치(48)에 전달된다. 이 때, 도 6의 (a)에 나타낸 상태이면, 클러치(48)와 제1 전달부재(50)가 걸림결합하고 있고, 클러치(48)의 돌기(48a)와 제1 전달부재(50)의 돌기(50a)가 걸림결합하는 한편, 클러치(48)의 돌기(48b)와 제2 전달부재(52)의 돌기(52b)가 이간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48)의 제2 홈부(48d)에 걸림결합자(60)가 걸림결합하고 있어 클러치(48)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클러치(48)의 회전력이 제1 전달부재(50)에 전달되고 제2 전달부재(52)에는 전달되지 않아, 풀리(44)의 회전이 조작축(46), 클러치(48), 제1 전달부재(50) 및 제1 구동축(54)을 통해 제1 구동축(26)으로 전달된다. 이 때의 풀리(44) 및 조작축(46)의 회전방향은 도 6의 (a)에서 클러치(48) 돌기(48a)의 평면(48a1)이 제1 전달부재(50) 돌기(50a)의 평면(50a1)에 맞닿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클러치(48)와 제1 전달부재(50)가 걸림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러치(48)로부터 제1 전달부재(50), 제1 구동축(54) 및 제1 구동축(26)으로 회전이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제1 구동축(26)에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제1 승강코드(22)는 제1 권취드럼(24)에 감겨 제1 차폐재(14)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코드(42)의 조작을 정지하면 제1 스토퍼(27)에 의해 제1 구동축(26)의 제1 승강코드(22)의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제1 스토퍼(27)에 의해 제1 구동축(26)의 제1 승강코드(22)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게 하는 경우에는, 조작코드(42)의 실내측(앞측)을 아래쪽으로 조금 당김으로써, 제1 구동축(26)이 제1 승강코드(22)의 감김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제1 스토퍼(27)가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승강코드(22)가 권취드럼(24)으로부터 풀려 자중에 의해 제1 차폐재(14)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전환 작용을 수행하는 제1 스토퍼(27)는 공지되어 있다.
하강 시에, 제1 구동축(26)의 회전은 제1 구동축(54), 제1 전달부재(50), 클러치(48), 조작축(46)을 통해 풀리(44)로 전달되어 조작코드(42)가 실내측에서 윗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제1 구동축(26)의 회전방향은 도 6의 (a)에서 제1 전달부재(50) 돌기(50a)의 평면(50a1)이 클러치(48) 돌기(48a)의 평면(48a1)에 맞닿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클러치(48)와 제1 전달부재(50)가 걸림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구동축(26)으로부터 풀리(44)로 회전이 전달되어 조작코드(42)가 이동한다. 하강을 정지시키고 싶을 때에 조작자는 이 조작코드(42)의 이동에 반하는 방향으로 조작코드(42)를 당김으로써, 필연적으로 조작코드(42)는 실내측이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토퍼(27)가 전환되어 제1 구동축(26)의 제1 승강코드(22)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므로, 제1 차폐재(14)는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정지시키고 싶을 때에 조작자는 조작코드(42)의 움직임을 멈추도록 조작하면 되므로, 조작해야 할 조작방향을 순식간에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조작방향을 헤매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제2 구동축(36)을 회전시켜 제2 승강코드(32)를 동작시키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조작코드(42)의 실외측(안측)을 아래쪽으로 당기도록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와 반대인 풀리(44)의 회전이 조작축(46) 및 클러치(48)에 전달된다. 이 때, 제1 전달부재(50)는 제1 스토퍼(27)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48)와 동일한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도 6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클러치(48) 돌기(48a)의 테이퍼면(48a2)이 제1 전달부재(50) 돌기(50a)의 테이퍼면(50a2)으로 미끄러져 접하고, 클러치(48)가 제1 전달부재(50)에 의해 제2 전달부재(52) 방향으로 압출되어 클러치(48)가 제2 전달부재(52)와 걸림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클러치(48)의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제2 홈부(48d)에 걸림결합하고 있던 걸림결합자(60)가 경계(48e)를 넘어 제1홈부(48c)에 걸림결합하므로, 클러치(48)가 제2 전달부재(52)와 걸림결합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계속해서, 조작코드(42)의 실외측을 아래쪽으로 당김으로써, 도 6의 (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도 6의 (b)에 나타낸 상태가 되면, 클러치(48)와 제2 전달부재(52)가 걸림결합하여 클러치(48)의 돌기(48b)와 제2 전달부재(52)의 돌기(52b)가 걸림결합하는 한편, 클러치(48)의 돌기(48a)와 제1 전달부재(50)의 돌기(50a)가 이간된다.
따라서, 클러치(48)의 회전력이 제2 전달부재(52)에 전달되고 제1 전달부재(50)에는 전달되지 않아, 풀리(44)의 회전이 조작축(46), 클러치(48), 제2 전달부재(52), 제2 구동축(56)을 통해 제2 구동축(36)으로 전달된다. 이 때의 풀리(44) 및 조작축(46)의 회전방향은 도 6의 (b)에서 클러치(48) 돌기(48b)의 평면(48b1)이 제2 전달부재(52) 돌기(52b)의 평면(52b1)에 맞닿는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클러치(48)와 제2 전달부재(52)가 걸림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러치(48)로부터 제2 전달부재(52), 제2 구동축(56) 및 제2 구동축(36)으로 회전이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제2 구동축(36)에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제2 승강코드(32)는 제2 권취드럼(34)에 감겨 제2 차폐재(16)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코드(42)의 조작을 정지하면 제2 스토퍼(37)에 의해 제2 구동축(36)의 제2 승강코드(32)의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제2 스토퍼(37)에 의해 제2 구동축(36)의 제2 승강코드(32)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게 하는 경우에는, 조작코드(42)의 실외측(안측)을 아래쪽으로 조금 당김으로써, 제2 구동축(36)이 제2 승강코드(32)의 감김방향으로 조금 회전하므로, 제2 스토퍼(37)가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제2 승강코드(32)가 권취드럼(34)으로부터 풀려 자중에 의해 제2 차폐재(16)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전환 작용을 수행하는 제2 스토퍼(37)는 공지되어 있다.
하강 시에, 제2 구동축(36)의 회전은 제2 구동축(56), 제2 전달부재(52), 클러치(48), 조작축(46)을 통해 풀리(44)로 전달되어 조작코드(42)가 실내측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의 제2 구동축(36)의 회전방향은 도 6의 (b)에서 제2 전달부재(52) 돌기(52b)의 평면(52b1)이 클러치(48) 돌기(48b)의 평면(48b1)에 맞닿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클러치(48)와 제2 전달부재(52)가 걸림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구동축(36)으로부터 풀리(44)로 회전이 전달되어 조작코드(42)가 이동한다. 하강을 정지시키고 싶을 때에 조작자는 이 조작코드(42)의 이동에 반하는 방향으로 조작코드(42)를 당김으로써, 필연적으로 조작코드(42)는 실외측이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스토퍼(37)가 전환되어 제2 구동축(36)의 제2 승강코드(32)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므로, 제2 차폐재(16)는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정지시키고 싶을 때에 조작자는 조작코드(42)의 움직임을 멈추도록 조작하면 되므로, 조작해야 할 조작방향을 순식간에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조작방향을 헤매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다시 제1 구동축(26)을 회전시켜 제1 승강코드(22)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조작코드(42)의 실내측(앞측)을 아래쪽으로 당기도록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클러치(48)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러치(48) 돌기(48b)의 테이퍼면(48b2)이 제2 전달부재(52) 돌기(52b)의 테이퍼면(52b2)에 미끄러져 접하고, 클러치(48)가 제2 전달부재(52)에 의해 제1 전달부재(50) 방향으로 압출되어 제1 전달부재(50)와 걸림결합한다. 이 때, 걸림결합자(60)는 경계(48e)를 넘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홈부(48d)에 걸림결합하므로, 클러치(48)는 제1 전달부재(50)와 걸림결합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계속해서, 조작코드(42)의 실내측을 아래쪽으로 당김으로써, 클러치(48)와 제1 전달부재(50)는 도 6의 (a)에 나타낸 상태가 되며, 이 후의 동작은 클러치(48)와 제1 전달부재(50)가 걸림결합한 경우의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된다.
도 6의 (c)는 클러치(48)가 제1 전달부재(50)와 제2 전달부재(52)의 어느쪽에 걸림결합하기 위해 조작축(46)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과도(過渡) 상태를 나타낸다. 클러치(48) 돌기(48a)의 선단이 제1 전달부재(50) 돌기(50a)의 선단을 넘을 때에, 제1 전달부재(50)가 스프링(62)의 부세력(付勢力)에 대항하여 일시적으로 클러치(48)로부터 떨어진 다음, 제1 전달부재(5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돌기(48a 및 50a)의 선단끼리 맞물려 로킹하게 되는 것을 저지하여 클러치(48)의 회전과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축(46)의 회전방향에 의해 클러치(48)의 슬라이드 방향이 결정되어 원하는 전달부재(50, 52)에 걸림결합할 수 있으므로, 1개의 조작코드(42)의 조작방향을 선택함으로써 구동시키는 권취드럼(24, 34)을 전환하여 서로 다른 차폐재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1개의 클러치(48)의 축방향의 슬라이드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전달부재(50, 52)가 전환되므로, 조작장치(40)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수납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예는 블라인드로서 로만쉐이드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블라인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제1 차폐재와 제2 차폐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박스(10)에 제1 차폐재(114)의 상단이 장착되어 있고, 제1 차폐재(114)의 하단에는 중간바(118)가 장착되고, 중간바(118)에는 제2 차폐재(116)의 상단이 장착되고, 제2 차폐재(116)의 하단은 바텀레일(120)로 이루어져, 제1 차폐재(114) 및 제2 차폐재(116)는 각각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힘 가능해진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플리츠 스크린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헤드박스(10)로부터는 승강코드(122)가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승강코드(122)의 일단은 제1 차폐재(114)의 각 주름, 중간바(118) 및 제2 차폐재(116)의 각 주름을 삽입통과하여 바텀레일(120)에 연결된다. 승강코드(122)의 타단은 헤드박스(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1 권취드럼(24)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일하게, 헤드박스(10)로부터는 조광코드(132)가 승강 가능하게 매달려 있고, 조광코드(132)의 일단은 제1 차폐재(114)의 각 주름을 삽입통과하여 중간바(118)에 연결된다. 조광코드(132)의 타단은 헤드박스(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2 권취드럼(34)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코드(42)를 한쪽으로 당겨 바텀레일(120)의 승강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제2 차폐재(116)의 승강 및 제1 차폐재(114)의 승강을 수행할 수 있고, 조작코드(42)를 다른쪽으로 당겨 중간바(118)의 승강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제1 차폐재(114)의 승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차폐재와 제2 차폐재를 가지는 블라인드에서 서로 다른 동작을 1개의 조작코드(42)에 대한 서로 다른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인드로서 롤 스크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롤 스크린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브라켓(20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2개의 제1 권취파이프(202)와 제2 권취파이프(212)를 구비하고 있고, 제1 권취파이프(202) 및 제2 권취파이프(212)에는 제1 차폐재(204), 제2 차폐재(214)의 일단이 감김, 풀림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권취파이프(202) 및 제2 권취파이프(212) 내에는 각각 스토퍼가 내장된다. 이 스토퍼로는 예를 들면 스토퍼(27, 37)와 동일한 구성의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제1 구동축(54)을 제1 권취파이프(20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 구동축(56)을 제2 권취파이프(21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개의 조작코드(42)의 조작방향을 선택함으로써 구동시키는 권취파이프(202, 212)를 전환하여 서로 다른 차폐재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블라인드로서 롤 스크린으로 한 경우에, 권취파이프 내부에 권취파이프를 상시 차폐재 감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권취스프링을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작코드(42)의 앞측을 아래쪽으로 당겨 차폐재가 당긴 양에 맞추어 하강하고, 조작코드(42)의 앞측을 조금 아래쪽으로 당겨 차폐재가 자중이 아닌 권취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점에서 서로 다르지만, 다른 전환 동작에 관해서는 동일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14: 제1 차폐재 16: 제2 차폐재
26: 제1 구동축 27: 제1 스토퍼
36: 제2 구동축 37: 제2 스토퍼
42: 조작코드 46: 조작축
48: 클러치 48a, 48b: 돌기
48c: 제1 홈부 48d: 제2 홈부
48e: 경계 50: 제1 전달부재
50a: 돌기 52: 제2 전달부재
52b: 돌기 54: 제1 구동축
56: 제2 구동축 60: 걸림결합자
62: 스프링(부세수단) 114: 제1 차폐재
116: 제2 차폐재 204: 제1 차폐재
214: 제2 차폐재

Claims (5)

  1. 상승방향 또는 하강방향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하에 있는 제1 차폐재;
    상승방향 또는 하강방향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하에 있는 제2 차폐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제1 차폐재에 연결되어 그 회전방향이 제1 차폐재의 승강동작에 대응하는 제1 구동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제2 차폐재에 연결되어 그 회전방향이 제2 차폐재의 승강동작에 대응하는 제2 구동축;
    제1 차폐재의 힘이 가해진 방향에 대응하는 제1 구동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1 스토퍼; 및
    제2 차폐재의 힘이 가해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구동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규제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2 스토퍼를 구비한 블라인드에 있어서,
    조작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조작축(46);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면서 조작축상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클러치(48); 및
    클러치(48)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구동축(54)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부재(50) 및 제2 구동축(56)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부재(52)를 가지며,
    조작축(46)의 회전방향에 의해 클러치(48)의 슬라이드 방향이 결정되어 조작축(46)상을 슬라이드한 클러치(48)가 한쪽 전달부재(50, 52)와 걸림결합함으로써, 조작축(46)의 회전이 한쪽 전달부재(50, 52)를 통해 어느 한쪽의 구동축(54, 56)으로 전달되는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48)의 축방향 양측부에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48a, 48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전달부재(50)에는 클러치(48)가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클러치(48)의 한쪽 측부의 돌기(48a)와 걸림결합하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50a)가 형성되고, 제2 전달부재(52)에는 클러치(48)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클러치(48)의 다른쪽 측부의 돌기(48b)와 걸림결합하는 테이퍼 형상의 돌기(52b)가 형성되고, 클러치(48)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돌기(48a, 48b)가 한쪽 전달부재(50, 52)의 돌기(50a, 52b)와 맞닿아 축방향으로 압출되어 다른쪽 전달부재(50, 52)의 돌기(50a, 52b)와 걸림결합하는
    블라인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러치(48)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48c, 48d)가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그 복수개 중 하나의 홈부(48c, 48d)에는 조작축(46)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걸림결합자(60)가 걸림결합하고, 상기 걸림결합자(60)는 클러치(48)가 조작축(46)상을 슬라이드할 때에 하나의 홈부(48c, 48d)로부터 이웃한 홈부(48c, 48d) 사이의 경계(48e)를 넘어 다른 홈부(48c, 48d)에 걸림결합하는
    블라인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달부재(50, 52) 중 적어도 한쪽의 전달부재(50)는 부세(付勢)수단(62)에 의해 클러치(48)와 걸림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블라인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에 조작력을 부여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조작코드(42)가 설치되는
    블라인드.
KR1020127027949A 2010-04-14 2011-03-23 블라인드 KR101768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3459 2010-04-14
JP2010093459A JP5548013B2 (ja) 2010-04-14 2010-04-14 ブラインド
PCT/JP2011/056960 WO2011129181A1 (ja) 2010-04-14 2011-03-23 ブライン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589A KR20130066589A (ko) 2013-06-20
KR101768249B1 true KR101768249B1 (ko) 2017-08-14

Family

ID=4479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949A KR101768249B1 (ko) 2010-04-14 2011-03-23 블라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7237B2 (ko)
EP (1) EP2546451B1 (ko)
JP (1) JP5548013B2 (ko)
KR (1) KR101768249B1 (ko)
CN (1) CN102859106B (ko)
WO (1) WO2011129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7408B (zh) * 2009-11-02 2014-12-17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遮蔽装置及用于遮蔽装置的离合器
JP5877151B2 (ja) * 2010-04-12 2016-03-02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ロールアップ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操作プーリー
JP5548013B2 (ja) * 2010-04-14 2014-07-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JP5718130B2 (ja) * 2011-04-05 2015-05-13 トーソー株式会社 ツインタイプの日射遮蔽装置
CN204126527U (zh) * 2014-08-19 2015-01-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遮蔽结构的升降控制模块
US9359812B2 (en) 2014-09-05 2016-06-07 Whole Space Indsutries Ltd. Window covering
USD773208S1 (en) 2014-09-22 2016-12-06 Whole Space Industries Ltd Window covering
US10697235B2 (en) 2015-02-19 2020-06-30 Rollease Acmeda Pty Ltd Unidirectional winder
KR101950588B1 (ko) * 2016-06-17 2019-02-20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차양
EP3434857B1 (en) * 2017-07-25 2020-02-12 Coulisse B.V. Screen with head rail, bottom rail and middle rail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the middle rai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the bottom rail
CN112437826B (zh) 2018-07-31 2023-06-09 株式会社日米 遮蔽装置
CN109057681B (zh) * 2018-08-08 2019-10-25 宁波艺造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挡光的智能家居遮阳帘
JP7105684B2 (ja) * 2018-12-11 2022-07-25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及びクラッチ装置
CN109898979A (zh) * 2019-03-27 2019-06-18 宁波杜亚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垂直帘
USD970923S1 (en) * 2020-04-15 2022-11-2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urtain controller
USD963576S1 (en) * 2020-04-15 2022-09-1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tor for curtain control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913A (ja) 2008-05-12 2008-10-02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5666965B2 (ja) 2011-04-08 2015-02-12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7268B2 (ja) * 1990-07-19 1997-08-0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3282981B2 (ja) * 1996-12-18 2002-05-2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DE20019522U1 (de) * 2000-11-17 2001-03-22 Lee Song Ming Umschaltbare Ratschenmechanik
JP4119692B2 (ja) 2002-06-14 2008-07-1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4474090B2 (ja) * 2002-06-14 2010-06-02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4161637B2 (ja) 2002-08-20 2008-10-08 サクサ株式会社 ボタン電話装置
JP4423979B2 (ja) * 2004-01-26 2010-03-03 トーソー株式会社 ツイン型日射遮蔽装置
TWM260213U (en) * 2004-08-06 2005-04-0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Structure of curtain which can replace each other
US7571756B2 (en) * 2006-12-20 2009-08-11 Hunter Douglas Inc. System for operating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4982172B2 (ja) * 2006-12-27 2012-07-2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5075501B2 (ja) * 2007-06-25 2012-11-21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方法及び遮蔽材昇降装置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JP5166307B2 (ja) 2009-01-30 2013-03-21 株式会社立花エレテック 接続機器利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2597408B (zh) * 2009-11-02 2014-12-17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遮蔽装置及用于遮蔽装置的离合器
JP5548013B2 (ja) * 2010-04-14 2014-07-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KR100998173B1 (ko) *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023033B1 (ko) * 2010-07-20 2011-03-24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US8820386B2 (en) * 2012-05-18 2014-09-02 Qmotion Incorporated Multiple shade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913A (ja) 2008-05-12 2008-10-02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材昇降装置
JP5666965B2 (ja) 2011-04-08 2015-02-12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57237B2 (en) 2014-06-24
WO2011129181A1 (ja) 2011-10-20
KR20130066589A (ko) 2013-06-20
JP2011220077A (ja) 2011-11-04
US20130056162A1 (en) 2013-03-07
JP5548013B2 (ja) 2014-07-16
EP2546451A4 (en) 2015-03-04
CN102859106B (zh) 2015-04-08
EP2546451B1 (en) 2017-03-01
CN102859106A (zh) 2013-01-02
EP2546451A1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249B1 (ko) 블라인드
JP507550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方法及び遮蔽材昇降装置
EP3199743B1 (en) Window blind
TWI509146B (zh) A shielding device and a clutch for a shielding device
JP4982172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AU2015203311B2 (en) Window Blind and Lift Control Module of Covering Structure Thereof
US20220205320A1 (en) Top-down bottom-up window covering
JP2020020132A (ja) 遮蔽装置
KR101323021B1 (ko) 원코드 타입 블라인드 장치
JP2008013950A (ja) 窓用調光部材昇降装置
CN106232929B (zh) 横式百叶窗
JP5376708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JP5315009B2 (ja) ブラインド
JP6300450B2 (ja) 日射遮蔽材昇降装置
WO2012137786A1 (ja) 日射遮蔽装置及びその操作装置
JP5493129B2 (ja) ブラインド
JP6082088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2013231346A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昇降装置
JP2022025142A (ja) 電動遮蔽装置
JP7328867B2 (ja) 遮蔽装置
JP7076185B2 (ja) 速度調整装置
WO2006009033A1 (ja) 日射遮蔽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6509053B2 (ja) 遮蔽装置
JP3173314U (ja) 日射遮蔽装置
JP2019044503A (ja) 速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