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033B1 - 듀얼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듀얼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033B1
KR101023033B1 KR1020100070008A KR20100070008A KR101023033B1 KR 101023033 B1 KR101023033 B1 KR 101023033B1 KR 1020100070008 A KR1020100070008 A KR 1020100070008A KR 20100070008 A KR20100070008 A KR 20100070008A KR 101023033 B1 KR101023033 B1 KR 10102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creen
winding rod
driving wheel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0007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033B1/ko
Priority to EP11809793.0A priority patent/EP2596196B1/en
Priority to US13/807,301 priority patent/US9334687B2/en
Priority to PCT/KR2011/004352 priority patent/WO2012011666A2/en
Priority to JP2013518233A priority patent/JP5662570B2/ja
Priority to CN201180032898.5A priority patent/CN10298563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볼체인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의 투광량 조절과 롤 스크린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듀얼 롤 블라인드는, 투광부와 차광부을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과,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과,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와,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와,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줄의 회전력을 제1 기어 및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과, 구동휠에 치합되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권취봉을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롤 블라인드{Dual roll blind}
본 발명은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볼체인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의 투광량 조절과 롤 스크린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란,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광투과율을 갖는 하나의 롤 스크린이 하나의 권취봉에 감겨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상부에 고정된 권취봉에 롤 스크린이 감겨 올라가는 구조로서, 빛의 투과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롤 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롤 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여 투광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일부분(하부)은 완전 투광되고 일부분(상부)은 완전 차단되는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투광량을 조절할 수 없어, 전체적으로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투광부와 차광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두 장의 롤 스크린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중첩된 양을 조절함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장치들은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기능에만 중점을 두면서, 복잡하고 조잡한 장치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즉,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장치가 지나치게 크거나 복잡하여 실용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권취봉을 동작하기 위한 볼체인과 별도로 두 개의 롤 스크린의 중첩량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 기구가 필요로하여 롤 블라인드의 작동이 복잡하고 장치의 복잡화에 따른 비용 증가와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떨어져 시장에서 제품이 외면받게 되었다.
이에, 하나의 볼체인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의 승하강이 가능하고, 두 장의 롤 스크린의 중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기계적 구조가 간단하면서 반복적인 동작에도 신뢰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롤 블라인드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볼체인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의 투광량 조절과 롤 스크린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듀얼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는,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과, 상기 제1 권취봉 및 상기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와,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권취봉을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구동기구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권취봉 사이에 개재되며 측면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실린더와, 일단부에 상기 구동휠과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연결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구동축은 상기 오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휠은 내주면에 내접기어 형태의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구동휠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부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휠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제1 권취봉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와, 상기 클러치 허브와 상기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며, 내측에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는 내부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돌기가 형성된 클러치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휠은 내주면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는 하나의 구동줄을 조작함으로써, 롤 스크린의 개폐와 투광량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특히, 롤 스크린의 개폐 구조와 투광량 조절 구조를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하나의 기계 구조로 제작하여, 구조의 간소화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가 우수하며, 반복적인 조작에 의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특히, 제1 회전축과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휠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권취롤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링과 클러치 허브의 결합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지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1 스크린의 가로방향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차광부 및 투광부의 폭이 다양하더라도 클러치 허브의 교환만으로 쉽게 여러 가지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듀얼 롤 블라인드를 A-A선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구동휠, 클러치링 및 연결구동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클러치 기구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클러치 기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1)는 하나의 구동줄(51)의 조작만으로 롤 스크린(41, 42)의 개폐는 물론 투광량까지 한번에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듀얼 롤 블라인드(1)는 차광부(44)와 투광부(43)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롤 스크린(41, 42)과, 두 개의 롤 스크린(41, 42)을 각각 권취하는 두 개의 권취봉(31, 32)과, 두 개의 권취봉(31, 32)을 회전시키는 구동줄(51)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프레임(15), 클러치 바디(11) 및 엔드 바디(12)로 구성되는 구조체 내부에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이 각각 권취되는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이 수용된다.
지지 프레임(15)은 클러치 바디(11) 및 엔드 바디(12)와 함께 듀얼 롤 블라인드(1)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을 수용한다. 이와 같은 지지 프레임(15)은 천장 또는 창문틀 등에 듀얼 롤 블라인드(1)가 고정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지지 프레임(15)은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를 연결하며, 내부의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5)은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의 상부 또는 전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15)은 지지 구조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을 보호하고, 먼지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의 양단에는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 사이에는 제1 스크린(41)이 권취되는 제1 권취봉(31)과 제2 스크린(42)이 권취되는 제2 권취봉(3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바디(11)의 일측에는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에는 각각 제1 기어(23) 및 제2 기어(24)가 결합된다.
한편, 제1 회전축(13)에는 클러치 기구(70)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60)가 형성된다. 클러치 기구(70)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60)는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듀얼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 기구(70)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60)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클러치 바디(11)는 제1 기어(23) 및 제2 기어(24)가 각각 삽입되는 제1 회전축(13) 및 제2 회전축(14)을 포함한다. 제1 회전축(13)에는 구동 기어인 제1 기어(23)가 삽입되며, 제2 회전축(14)에는 종동 기어인 제2 기어(24)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는 서로 치합되며, 제2 기어(24)는 제1 기어(23)에 종속하여 회전하게 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가 서로 직접 치합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 사이에 하나 이상의 매개 기어(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축(13)은 후술할 슬라이드 구동 기구(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회전축(14)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은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의 크기를 고려하여 치합 가능한 거리에 배치된다.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은 사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은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의 회전축이 되기 때문에,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의 배치 관계는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각각 권취되는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간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초기 간격이 더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을 사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할 경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클러치 바디(11)의 크기도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회전축(13)에는 제1 기어(23)와 클러치 허브(29), 클러치링(71) 및 구동휠(50)이 연속적으로 삽입된다. 제1 기어(23)와 클러치 허브(29)는 상시적으로 맞물려 있으며, 구동휠(50)은 구동줄(51)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클러치 허브(29)와 클러치링(71)을 통하여 제1 기어(20)에 전달한다.
제1 기어(23)에는 구동줄(51)으로 구동되는 구동휠(50)이 결합되어 있어, 제1 기어(23)는 구동휠(50)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41)을 제1 권취봉(31)에 권출/권취한다. 이와 동시에 제2 기어(24)는 제2 스크린(42)을 제2 권취봉(32)에 권출/권취한다.
엔드 바디(12)는 클러치 바디(11)와 함께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을 지지하며,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엔드 샤프트(25)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은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롤 스크린(41, 42)을 구성한다. 즉, 롤 스크린(41, 42)은 두 겹의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이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개폐 동작을 하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에 각각 포함된 차광부(44)의 중첩 범위를 조절하여 차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있다.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은 각각 차광부(44)와 투광부(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광부(44)는 빛이 차단되는 부분이며, 투광부(43)는 빛이 투과되는 부분을 말하나, 차광부(44)와 투광부(43)의 차광량과 투광량이 각각 100%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부(44)의 투광량이 20%이고, 투광부(43)의 투광량이 80%일 수 있다. 즉, 차광부(44)는 상대적으로 투광량이 적은 부분을 말하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전체면에서 투광량이 높은 부분은 투광부(43), 투광량이 낮은 부분은 차광부(44)라 할 수 있다.
한편, 차광부(44)와 투광부(43)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에 수직 방향으로 스트라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광부(44)와 투광부(43)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광부(44)와 투광부(43)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차광부(44)의 폭이 투광부(43)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스크린(41)의 차광부(44)와 제2 스크린(42)의 차광부(44)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롤 스크린(41, 42)의 전체가 차광될 수 있도록 적어도 차광부(44)의 폭은 투광부(43)의 폭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부(44)와 투광부(43)의 패턴은 가로로 배열된 스트라이프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선으로 배열된 스트라이프 패턴, 도트 형태의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는 서로 직접 치합되어 있어,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가 동시에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권취되는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권취봉(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스크린(41)이 상승하도록 제1 권취봉(31)에 제1 스크린(41)을 감고, 제2 권취봉(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스크린(42)이 상승하도록 제2 권취봉(32)에 제2 스크린(42)을 감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을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감으면,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을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권취방향을 서로 반대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 사이에 매개 기어(미도시)가 삽입되는 경우,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권취되는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권취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구동기구 및 클러치 기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듀얼 롤 블라인드를 A-A선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구동휠, 클러치링 및 연결구동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클러치 기구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슬라이드 구동 기구(60)는 제1 회전축(13)의 일측에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구동기어(62a)와 나사부(62b)가 형성된 연결구동축(62)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휠(50)이 회전하면 연결구동축(62)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실린더(61)가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제1 회전축(13)과 제1 권취봉(31) 사이에 개재되며, 제1 권취봉(31)에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라이드 실린더(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에 각각 결합되며, 제1 권취봉(31)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제1 권취봉(31)과 함께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실린더(61)의 측면에는 제1 회전축(13)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사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홈(61a)은 슬라이드 실린더(6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61a)은 예를 들어, 슬라이드 실린더(61)의 내측에 제1 회전축(13)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다수의 홈(도 11의 61a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홈(61a)은 연결구동축(62)의 나사부(62b) 중 일단부가 삽입되어, 나사부(62b)가 나사홈(61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나사부(6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동축(62)을 감싸는 코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사부(62b)는 와이어가 연결구동축(6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기어치(齒)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나사부(62b)와 나사홈(61a)은 나사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실린더(61)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때, 나사부(62b)와 나사홈(61a)은 우나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연결구동축(62)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연결구동축(62)은 일단부에 구동휠(50)과 치합되는 구동기어(62a)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나사홈(61a)과 결합되는 나사부(62b)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기어(62a)와 나사부(62b)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휠(50)은 제1 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구동기어(62a)가 치합되는 기어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기어부(53)는 일종의 내접기어로서, 구동기어(62a)가 구동휠(50)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동축(62)은 제1 회전축(13)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구동휠(50)과 구동기어(62a)는 회전축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한편, 구동휠(50)의 기어부(53)는 반드시 내접기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어부는 구동휠(50)의 외주면에 평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62a)는 기어부와 외접하는 유성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동축(62)은 제1 회전축(13)에 결합된 플러그(21)에 형성된 오목홈(28)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오목홈(28)은 플러그(21)의 외주면에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클러치 기구(70)는 구동휠(50)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2 권취봉(3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클러치 기구(70)는 구동휠(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시적으로 회전구동력이 제1 기어(23)에 전달되지 않고, 그 기간 동안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평행이동 하도록 제어한다.
클러치 기구(70)는 제1 회전축(13)에 결합된 클러치 허브(29), 및 클러치 허브(29)와 구동휠(50) 사이에 개재된 클러치링(71)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러치 허브(29)는 제1 회전축(13)과 구동휠(50)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서, 제1 기어(23)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허브(29)는 플러그(21)와 연결되어 있어, 제1 기어(23), 클러치 허브(29) 및 플러그(21)는 일체로 회전된다.
클러치 허브(29)의 외주면에 나선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홈(27)은 예를 들어, 좌나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클러치링(71)은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돌기(71a)와,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돌기(71b)를 포함하고 있다. 클러치링(71)은 내부가 빈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클러치 허브(29)가 삽입된다. 클러치 허브(29)의 나선홈(27)에는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가 삽입되어, 클러치링(71)은 클러치 허브(29)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나선홈(27)은 클러치 허브(29)와 구동휠(50) 사이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일종의 지연 구간이 나타나도록 한다.
이때, 클러치링(71)은 나선홈(27)의 길이에 따라 최대 회전각도가 정해진다. 즉, 클러치링(71)은 내부돌기(71a)가 나선홈(27)을 따라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클러치 허브(29)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나, 내부돌기(71a)가 나선홈(27)의 끝단에 접하면 클러치 허브(29)와 클러치링(71)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클러치링(71)이 클러치 허브(29)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구간은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평행이동하는 구간이 된다. 따라서, 나선홈(27)의 길이가 길수록 슬라이드 실린더(61)의 평행이동 구간이 길어지게 된다. 즉, 롤 스크린(41, 42)의 차광부(44) 및 투광부(43)의 간격이 넓은 경우, 나선홈(27)을 길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구동휠(50)은 내부에 클러치링(71)의 외부돌기(71b)가 이동하는 장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장홈(54)은 구동휠(5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제1 회전축(13)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홈(54)은 클러치링(71)의 외부돌기(71b)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장홈(54)의 길이는 클러치링(71)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기구 및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클러치 기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10의 (a)를 참조하면, 구동줄(51)을 조작하여 구동휠(5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휠(50)은 구동휠(50) 내부에 삽입된 클러치링(71)을 회전시키게 된다. 클러치링(71)은 외부돌기(71b)가 구동휠(50)의 장홈(54)에 삽입되어 있어, 클러치링(71)은 구동휠(50)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한편,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는 나선홈(27)의 끝단부에 접하게 되면서, 클러치링(71)의 회전력은 클러치 허브(29)에 전달된다. 따라서, 클러치 허브(29)는 구동휠(5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클러치 허브(29)와 결합되어 있는 제1 기어(23)와 플러그(21)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의 (b)를 참조하면, 구동줄(51)을 조작하여 구동휠(5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휠(50)은 구동휠(50)의 내부에 삽입된 클러치링(71)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클러치링(71)은 구동휠(50)을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나,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는 나선홈(27)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클러치 허브(29)는 클러치링(71)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즉, 클러치링(71)은 클러치 허브(29)의 외곽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클러치링(71)의 외부돌기(71b)는 구동휠(50)의 장홈(54)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링(71)은 제1 회전축(13)을 따라 제1 회전축(13)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휠(50)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되나, 클러치 허브(29)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클러치 허브(29)와 결합된 제1 기어(23) 및 플러그(21)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0의 (c)를 참조하면, 구동휠(50)을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가 나선홈(27)의 다른 쪽 끝단에 접하게 된다. 이경우, 클러치링(71)의 평행이동은 멈추게 되고, 클러치링(71)의 회전력은 클러치 허브(29)에 전달된다. 따라서, 클러치 허브(29)는 구동휠(50)과 동일한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클러치 허브(29)와 결합된 제1 기어(23)와 플러그(2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플러그(21)가 회전하는 도 10의 (a) 및 (c)의 경우, 제1 스크린(41)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간이 되며, 플러그(21)가 회전하지 않는 도 10의 (b)는 제1 스크린(41)이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구간이 된다.
도 10의 (b) 구간에서, 구동휠(5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플러그(21)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구동휠(50)의 기어부(53)에 접하고 있는 구동기어(62a)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62a)가 회전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동축(62)이 회전하게 되며, 연결구동축(62)이 회전하게 되면 나사부(62b)와 나사홈(61a)의 나사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평행이동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권취봉(31)의 양단에는 각각 슬라이드 실린더(61)가 삽입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제1 회전축(13) 및 엔드 샤프트(25)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권취봉(31)은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권취봉(31)이 평행이동을 하면, 제1 스크린(41)이 평행이동을 하게 된다.
최초, 도 13의 (a)와 같이, 제1 스크린(41)의 투광부(43)와 제2 스크린(42)의 투광부(43)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 빛은 롤 스크린(41, 42)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제1 권취봉(31)이 평행이동을 하여, 제1 스크린(41)의 투광부(43)와 제2 스크린(42)의 차광부(44)가 중첩하게 되면, 빛은 롤 스크린(41, 42)을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듀얼 롤 블라인드 11: 클러치 바디
12: 엔드 바디 13: 제1 회전축
14: 제2 회전축 21: 플러그
23: 제1 기어 24: 제2 기어
25, 26: 엔드 샤프트 27: 나선홈
28: 오목홈 29: 클러치 허브
31: 제1 권취봉 32: 제2 권취봉
41: 제1 스크린 42: 제2 스크린
50: 구동휠 51: 구동줄
52: 결합홈 53: 기어부
54: 장홈 61: 슬라이드 실린더
61a: 나사홈 62: 연결구동축
62a: 구동기어 62b: 나사부
71: 클러치링 71a: 내부돌기
71b: 외부돌기

Claims (6)

  1.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
    상기 제1 권취봉 및 상기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 및
    상기 구동휠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권취봉을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구동기구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권취봉 사이에 개재되며 측면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실린더; 및
    일단부에 상기 구동휠과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연결 구동축을 포함하는 듀얼 롤 블라인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이 형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구동축은 상기 오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듀얼 롤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내주면에 내접기어 형태의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구동휠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는 듀얼 롤 블라인드.
  5.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
    상기 제1 권취봉 및 상기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
    상기 구동휠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권취봉을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휠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제1 권취봉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클러치 허브; 및
    상기 클러치 허브와 상기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며, 내측에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는 내부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돌기가 형성된 클러치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휠은 내주면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홈이 형성된 듀얼 롤 블라인드.

  6. 삭제
KR1020100070008A 2010-07-20 2010-07-20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02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08A KR101023033B1 (ko) 2010-07-20 2010-07-20 듀얼 롤 블라인드
EP11809793.0A EP2596196B1 (en) 2010-07-20 2011-06-14 Dual roll blind
US13/807,301 US9334687B2 (en) 2010-07-20 2011-06-14 Dual roll blind
PCT/KR2011/004352 WO2012011666A2 (en) 2010-07-20 2011-06-14 Dual roll blind
JP2013518233A JP5662570B2 (ja) 2010-07-20 2011-06-14 デュアルロールブラインド
CN201180032898.5A CN102985633B (zh) 2010-07-20 2011-06-14 双卷式百叶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08A KR101023033B1 (ko) 2010-07-20 2010-07-20 듀얼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033B1 true KR101023033B1 (ko) 2011-03-24

Family

ID=4393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08A KR101023033B1 (ko) 2010-07-20 2010-07-20 듀얼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4687B2 (ko)
EP (1) EP2596196B1 (ko)
JP (1) JP5662570B2 (ko)
KR (1) KR101023033B1 (ko)
CN (1) CN102985633B (ko)
WO (1) WO2012011666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38B1 (ko) 2011-09-16 2011-12-26 (주)한국윈텍 권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KR101218749B1 (ko) * 2010-10-19 2013-01-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410055B1 (ko) 2013-06-17 2014-06-20 유상원 상하 이동거리를 조정하여 차광을 조절하는 듀얼롤 블라인드장치
CN105078184A (zh) * 2015-08-31 2015-11-25 郑丽玉 建筑物中万向悬挂窗帘杆结构及其使用方法
CN106285434A (zh) * 2015-05-15 2017-01-04 郑立铭 斑马帘
US9890583B2 (en) 2011-05-16 2018-02-13 Maxxmar Inc.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WO2019182190A1 (en) * 2018-03-19 2019-09-26 Wintec Korea Inc. Extensible blind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0632B2 (en) * 2009-06-08 2014-08-12 Andrew Paul Cooper Smoke or fire barrier
CA2815318C (en) 2009-10-26 2018-03-27 Rajiva Dwarka Architectural apparatus and method
JP5680923B2 (ja) * 2010-01-25 2015-03-04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US8659246B2 (en) 2010-02-23 2014-02-2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US9249623B2 (en) 2010-02-23 2016-02-02 Qmotion Incorporated Low-power architectural covering
US9194179B2 (en) 2010-02-23 2015-11-24 Qmotion Incorporated Motorized shade with the transmission wir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shaft
US8575872B2 (en) 2010-02-23 2013-11-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JP5548013B2 (ja) * 2010-04-14 2014-07-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US8550142B2 (en) * 2010-10-21 2013-10-08 Robert D. Gaskill Vertical hung window shade assembly with roll up and side shifting dual panel or panels
US9347258B2 (en) * 2011-05-11 2016-05-24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20170009524A1 (en) * 2011-05-11 2017-01-12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and enhanced stiffeners
US20160319593A1 (en) * 2011-05-11 2016-11-03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9249621B2 (en) 2012-01-18 2016-02-02 Rajiva A. Dwarka Coil brush curtain assembly
US8820386B2 (en) * 2012-05-18 2014-09-02 Qmotion Incorporated Multiple shade apparatus and method
US9540873B1 (en) * 2012-12-05 2017-01-10 MCD Innovations, Inc. Laterally repositionable roller shade
USD764212S1 (en) * 2013-03-14 2016-08-23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9567802B2 (en) 2013-03-15 2017-02-14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945177B2 (en) 2013-03-15 2018-04-17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JP6138559B2 (ja) * 2013-04-12 2017-05-31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CN104389501B (zh) * 2014-09-12 2016-07-13 汕头市荣达新材料有限公司 无绳可控前后遮阳系统
US9556672B2 (en) * 2014-10-28 2017-01-31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Rolling windbars for roll-up doors
CA160778S (en) * 2015-02-04 2016-01-07 Zmc Metal Coating Inc End cap for dual roller shade
US9702187B2 (en) 2015-02-13 2017-07-11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tubes
DE102017121642B4 (de) * 2017-09-19 2020-06-04 Reflexa-Werke Albrecht Gmbh Schienengeführte Markise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zum Auf- und Abwickeln eines Markisentuchs dieser Markise
EP4321723A3 (en) * 2017-11-29 2024-05-01 Smart Shade Innovations Inc. Roller shade assembly
CN207847237U (zh) * 2017-12-20 2018-09-11 浙江永强集团股份有限公司 帐篷
DE102020127555A1 (de) 2020-10-20 2022-04-21 Reflexa-Werke Albrecht Gmbh Rollladen zum Abdunkeln einer Gebäudeöffnung und Verfahren hierfü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4Y1 (ko) * 2005-08-11 2005-11-15 유준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KR100770043B1 (ko) *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8A (en) * 1852-06-15 David kood
US2581433A (en) * 1945-09-29 1952-01-08 North John Window shade
US2702081A (en) * 1951-12-05 1955-02-15 North John Window shade
JPS56149954A (en) * 1980-04-16 1981-11-20 Giken Kanamono Kk Winder for roll screen or the like
JP2003082962A (ja) * 2001-09-11 2003-03-19 Okamura Corp ロールスクリーン付間仕切装置
KR200398864Y1 (ko) * 2005-07-25 2005-10-17 (주)한국윈텍 다중롤유닛을 이용한 멀티블라인드장치
KR100768403B1 (ko) * 2006-07-05 2007-10-18 김정민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US20090173454A1 (en) * 2008-01-09 2009-07-09 Li-Ming Cheng Double-layer window covering and transverse moving apparatus thereof
KR100866344B1 (ko) * 2008-05-07 2008-10-31 김성철 롤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US8550142B2 (en) * 2010-10-21 2013-10-08 Robert D. Gaskill Vertical hung window shade assembly with roll up and side shifting dual panel or pan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4Y1 (ko) * 2005-08-11 2005-11-15 유준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KR100770043B1 (ko) *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49B1 (ko) * 2010-10-19 2013-01-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US9890583B2 (en) 2011-05-16 2018-02-13 Maxxmar Inc.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KR101097938B1 (ko) 2011-09-16 2011-12-26 (주)한국윈텍 권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KR101410055B1 (ko) 2013-06-17 2014-06-20 유상원 상하 이동거리를 조정하여 차광을 조절하는 듀얼롤 블라인드장치
CN106285434A (zh) * 2015-05-15 2017-01-04 郑立铭 斑马帘
CN105078184A (zh) * 2015-08-31 2015-11-25 郑丽玉 建筑物中万向悬挂窗帘杆结构及其使用方法
WO2019182190A1 (en) * 2018-03-19 2019-09-26 Wintec Korea Inc. Extensible bli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85633B (zh) 2015-05-27
JP5662570B2 (ja) 2015-02-04
US9334687B2 (en) 2016-05-10
WO2012011666A3 (en) 2012-04-19
WO2012011666A2 (en) 2012-01-26
EP2596196A2 (en) 2013-05-29
CN102985633A (zh) 2013-03-20
EP2596196B1 (en) 2017-01-11
US20130098564A1 (en) 2013-04-25
JP2013530327A (ja) 2013-07-25
EP2596196A4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03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KR10076840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시스템
JP6054530B2 (ja) 間欠歯車旋回機構付きのブラインドのプーリー機構
BR112015018893B1 (pt) Cobertura de abertura para arquitetura e sistema operacional para a mesma
WO2011129181A1 (ja) ブラインド
US10871029B2 (en) Screen with head rail, bottom rail and middle rail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the middle rail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the bottom rail
CA2797850A1 (en)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037049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JP6720024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218749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102533086B1 (ko) 차광을 위한 미세조정 기능을 갖는 콤비 롤 블라인드
KR101097938B1 (ko) 권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JP6782126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7329642B2 (ja) 遮蔽装置
JP7329643B2 (ja) 遮蔽装置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20150086790A (ko) 듀얼 블라인드 구동장치
CN219034579U (zh) 一种透光可调的卷帘
KR102199482B1 (ko) 분할된 테잎벨트가 구비된 이중블라인드커튼
KR20130088249A (ko) 이중운동 구조의 블라인드 기구
CN219840569U (zh) 一种可调光的玻璃门窗
JP697174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