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749B1 - 듀얼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듀얼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749B1
KR101218749B1 KR1020100101622A KR20100101622A KR101218749B1 KR 101218749 B1 KR101218749 B1 KR 101218749B1 KR 1020100101622 A KR1020100101622 A KR 1020100101622A KR 20100101622 A KR20100101622 A KR 20100101622A KR 101218749 B1 KR101218749 B1 KR 10121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od
screen
gear
couple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292A (ko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0010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47H23/06Systems consisting of two or more co-operating curtains with transparent or perforated parts behind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볼체인을 이용하여 롤스크린의 투광량 조절과 롤스크린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듀얼 롤 블라인드는,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과,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과,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와,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와,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줄의 회전력을 제1 기어 및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과, 구동휠에 치합되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권취봉을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롤 블라인드{Dual roll blind}
본 발명은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롤스크린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투광량을 조절하는 구조의 롤 스크린으로서, 권취봉을 길게 형성하더라도 하부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란,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광투과율을 갖는 하나의 롤스크린이 하나의 권취봉에 감겨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상부에 고정된 권취봉에 롤스크린이 감겨 올라가는 구조로서, 빛의 투과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롤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롤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여 투광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일부분(하부)은 완전 투광되고 일부분(상부)는 완전 차단되는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투광량을 조절할 수 없어, 전체적으로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투광부와 차광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두 장의 롤스크린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중첩된 양을 조절함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롤스크린은 권취봉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권취봉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롤스크린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특히, 롤스크린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롤스크린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방식은 두 개의 권취봉 중에서 하나의 권취봉을 짧게 형성하고, 짧은 권취봉은 롤스크린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구조로부터 돌출된 축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짧은 권취봉은 이동 방향에 따라 지지구조로부터 돌출된 축과의 중첩량이 변하게 되면서, 중첩량이 크지 않은 부분에서는 권취봉이 하부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쳐짐현상은 롤스크린의 이동량이 큰 구조나, 권취봉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난다.
이에, 롤스크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나 권취봉의 길이가 길더라도 롤스크린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롤스크린이 권취봉에 쉽게 권취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롤 블라인드의 권취봉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는 롤스크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개의 롤 스크린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투광량을 조절하는 구조의 롤 스크린으로서, 권취봉을 길게 형성하더라도 하부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듀얼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는,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과, 상기 제1 권취봉 및 상기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와,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권취봉을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와, 상기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이 수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 권취봉과 평행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구조체와, 기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는 상기 제1 권취봉의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제1 회전축과 제1 권취봉 사이에는 제1 권취봉에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드 실린더가 개재된다.
상기 제1 권취봉 또는 슬라이드 실린더의 양단 둘레면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부에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둘레부에 끼워지는 후크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회전축은 클러치바디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부에 고정결합되는 연장부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기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 외측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방사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이 형성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기단부에 끼워지는 클러치허브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플러그와 클러치허브를 상호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의 외부에는 보호관체가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보호관체의 외부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는 권취봉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롤스크린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취봉이 항상 수평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외관상 우수하다. 이와 같이, 롤스크린이 항상 수평 방향을 유지하게 됨에 따라, 롤스크린의 수평 방향 이동 구조의 내구성이 좋아지며, 이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는 권취봉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권취봉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아 롤 블라인드의 조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권취봉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저항이 거의 없도록 하여 롤스크린의 수평 이동 구조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듀얼 롤 블라인드를 A-A선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구동휠, 클러치링 및 연결구동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클러치 기구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허브와 플러그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클러치 기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듀얼 롤 블라인드의 제1 회전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허브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1)는 하나의 구동줄(51)의 조작만으로 롤스크린(41, 42)의 개폐는 물론 투광량까지 한번에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듀얼 롤 블라인드(1)는 차광부(44)와 투광부(43)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롤스크린(41, 42)과, 두 개의 롤스크린(41, 42)을 각각 권취하는 두 개의 권취봉(31, 32)과, 두 개의 권취봉(31, 32)을 회전시키는 구동줄(51)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프레임(15), 클러치 바디(11) 및 엔드 바디(12)로 구성되는 구조체 내부에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이 각각 권취되는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이 수용된다.
지지 프레임(15)은 클러치 바디(11) 및 엔드 바디(12)와 함께 듀얼 롤 블라인드(1)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을 수용한다. 이와 같은 지지 프레임(15)은 천장 또는 창문틀 등에 듀얼 롤 블라인드(1)가 고정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지지 프레임(15)은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를 연결하며, 내부의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5)은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의 상부 또는 전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전면 및 후면 상단을 연결하는 횡단면이 'ワ'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15)은 지지 구조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을 보호하고, 먼지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의 양단에는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 사이에는 제1 스크린(41)이 권취되는 제1 권취봉(31)과 제2 스크린(42)이 권취되는 제2 권취봉(3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바디(11)의 일측에는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에는 각각 제1 기어(23) 및 제2 기어(24)가 결합된다.
한편, 제1 회전축(13)에는 클러치 기구(70)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60)가 형성된다. 클러치 기구(70)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60)는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듀얼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 기구(70)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60)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클러치 바디(11)는 제1 기어(23) 및 제2 기어(24)가 각각 삽입되는 제1 회전축(13) 및 제2 회전축(14)을 포함한다. 제1 회전축(13)에는 구동 기어인 제1 기어(23)가 삽입되며, 제2 회전축(14)에는 종동 기어인 제2 기어(24)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는 서로 치합되며, 제2 기어(24)는 제1 기어(23)에 종속하여 회전하게 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가 서로 직접 치합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 사이에 하나 이상의 매개 기어(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축(13)은 후술할 슬라이드 구동 기구(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회전축(14)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은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의 크기를 고려하여 치합 가능한 거리에 배치된다.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은 사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은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의 회전축이 되기 때문에,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의 배치 관계는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각각 권취되는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간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초기 간격이 더 커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회전축(13)과 제2 회전축(14)을 사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할 경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클러치 바디(11)의 크기도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회전축(13)에는 제1 기어(23)와 클러치 허브(29), 클러치링(71) 및 구동휠(50)이 연속적으로 삽입된다. 제1 기어(23)와 클러치 허브(29)는 상시적으로 맞물려 있으며, 구동휠(50)은 구동줄(51)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클러치 허브(29)와 클러치링(71)을 통하여 제1 기어(20)에 전달한다.
제1 기어(23)에는 구동줄(51)으로 구동되는 구동휠(50)이 결합되어 있어, 제1 기어(23)는 구동휠(50)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41)을 제1 권취봉(31)에 권출/권취한다. 이와 동시에 제2 기어(24)는 제2 스크린(42)을 제2 권취봉(32)에 권출/권취한다.
엔드 바디(12)는 클러치 바디(11)와 함께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을 지지하며,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엔드 샤프트(25,26)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은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롤스크린(41, 42)을 구성한다. 즉, 롤스크린(41, 42)은 두 겹의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이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개폐 동작을 하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에 각각 포함된 차광부(44)의 중첩 범위를 조절하여 차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있다.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은 각각 차광부(44)와 투광부(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광부(44)는 빛이 차단되는 부분이며, 투광부(43)는 빛이 투과되는 부분을 말하나, 차광부(44)와 투광부(43)의 차광량과 투광량이 각각 100%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부(44)의 투광량이 20%이고, 투광부(43)의 투광량이 80%일 수 있다. 즉, 차광부(44)는 상대적으로 투광량이 적은 부분을 말하며,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전체면에서 투광량이 높은 부분은 투광부(43), 투광량이 낮은 부분은 차광부(44)라 할 수 있다.
한편, 차광부(44)와 투광부(43)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에 수직 방향으로 스트라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광부(44)와 투광부(43)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광부(44)와 투광부(43)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차광부(44)의 폭이 투광부(43)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스크린(41)의 차광부(44)와 제2 스크린(42)의 차광부(44)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롤스크린(41, 42)의 전체가 차광될 수 있도록 적어도 차광부(44)의 폭은 투광부(43)의 폭과 같거나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부(44)와 투광부(43)의 패턴은 가로로 배열된 스트라이프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선으로 배열된 스트라이프 패턴, 도트 형태의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는 서로 직접 치합되어 있어,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가 동시에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권취되는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권취봉(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스크린(41)이 상승하도록 제1 권취봉(31)에 제1 스크린(41)을 감고, 제2 권취봉(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스크린(42)이 상승하도록 제2 권취봉(32)에 제2 스크린(42)을 감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을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감으면,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을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권취방향을 서로 반대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 사이에 매개 기어(미도시)가 삽입되는 경우, 제1 기어(23)와 제2 기어(24)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권취봉(31)과 제2 권취봉(32)에 권취되는 제1 스크린(41)과 제2 스크린(42)의 권취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한편, 제1 권취봉(31)은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 실린더(61)가 삽입되어 있으며, 양측의 슬라이드 실린더(61)는 각각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 권취봉(31)은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에 고정되어 평행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권취봉(31)의 하중은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가 분산하여 지탱하게 된다.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는 각각 클러치 바디(11)와 엔드 바디(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권취봉(31)의 이동량에 따라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달라지게 된다. 특히, 제1 권취봉(31)의 이동량이 큰 경우,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는 증가하게 되어, 제1 권취봉(31)이 하부로 쳐지는 문제가 발생되거나, 제1 회전축(13) 또는 엔드 샤프트(25)가 파손될 우려가 높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80)는 제1 권취봉(31)의 하중을 지지 프레임(15)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권취봉(31)의 하중은 제1 회전축(13), 엔드 샤프트(25) 및 지지 프레임(15)에 의해 분산된다.
지지부재(80)는 상측의 기단부에 결합홈(81)이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15)의 가이드레일(15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레일(15a)은 지지 프레임(15)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권취봉(31) 및 제2 권취봉(32)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80)는 가이드레일(15a)에 삽입된 결합홈(81)에 의해 제1 권취봉(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80)의 선단부에는 슬라이드 실린더(61)의 양단이 결합되는 결합부(82)가 형성된다. 결합부(82)는 전방에 개구부(82a)가 형성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82a)를 통해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재(80)와 슬라이드 실린더(61)의 결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본 명세서 상에는 지지부재(80)가 슬라이드 실린더(61)에 결합되는 형태에 대하여만 도면을 첨부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80)는 제1 권취봉(3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80)는 제1 권취봉(31) 또는 슬라이드 실린더(61) 중 어느 하나의 양단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권취봉(31) 또는 슬라이드 실린더(61) 중 어느 하나의 양단이라 함은, 제1 권취봉(31)의 양단부와 제1 권취봉(31)의 양단에 각각 삽입된 슬라이드 실린더(61)의 각 일측부 뿐만 아니라, 제1 권취봉(31)의 일측과 슬라이드 실린더(61)의 일측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80)의 기단부에 결합홈(81)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 프레임(15)과 결합하여 제1 권취봉(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구동기구 및 클러치 기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듀얼 롤 블라인드를 A-A선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구동휠, 클러치링 및 연결구동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클러치 기구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슬라이드 구동 기구(60)는 제1 회전축(13)의 일측에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양단에 각각 구동기어(62a)와 나사부(62b)가 형성된 연결구동축(62)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휠(50)이 회전하면 연결구동축(62)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실린더(61)가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제1 회전축(13)과 제1 권취봉(31) 사이에 개재되며, 제1 권취봉(31)에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라이드 실린더(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3)과 엔드 샤프트(25)에 각각 결합되며, 제1 권취봉(31)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제1 권취봉(31)과 함께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실린더(61)의 측면에는 제1 회전축(13)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사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홈(61a)은 슬라이드 실린더(6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실린더(61)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61a)은 예를 들어, 슬라이드 실린더(61)의 내측에 제1 회전축(13)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다수의 홈(도 11의 61a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홈(61a)은 연결구동축(62)의 나사부(62b) 중 일단부가 삽입되어, 나사부(62b)가 나사홈(61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나사부(6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동축(62)을 감싸는 코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사부(62b)는 와이어가 연결구동축(6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기어치(齒)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나사부(62b)와 나사홈(61a)은 나사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실린더(61)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때, 나사부(62b)와 나사홈(61a)은 우나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61)는 연결구동축(62)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연결구동축(62)은 일단부에 구동휠(50)과 치합되는 구동기어(62a)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나사홈(61a)과 결합되는 나사부(62b)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기어(62a)와 나사부(62b)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구동휠(50)은 제1 회전축(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구동기어(62a)가 치합되는 기어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기어부(53)는 일종의 내접기어로서, 구동기어(62a)가 구동휠(50)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동축(62)은 제1 회전축(13)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구동휠(50)과 구동기어(62a)는 회전축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한편, 구동휠(50)의 기어부(53)는 반드시 내접기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어부는 구동휠(50)의 외주면에 평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62a)는 기어부와 외접하는 유성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동축(62)은 제1 회전축(13)에 결합된 플러그(21)에 형성된 오목홈(28)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오목홈(28)은 플러그(21)의 외주면에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클러치 기구(70)는 구동휠(50)의 회전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2 권취봉(3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클러치 기구(70)는 구동휠(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시적으로 회전구동력이 제1 기어(23)에 전달되지 않고, 그 기간 동안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평행이동 하도록 제어한다.
클러치 기구(70)는 제1 회전축(13)에 결합된 클러치 허브(29), 및 클러치 허브(29)와 구동휠(50) 사이에 개재된 클러치링(71)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러치 허브(29)는 제1 회전축(13)과 구동휠(50)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서, 제1 기어(23)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허브(29)는 토션스프링(18)을 통해 플러그(21)와 연결되어 있어, 제1 기어(23), 클러치 허브(29) 및 플러그(21)는 일체로 회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플러그(21)는 일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클러치 허브(29)는 플러그(21)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1 회전축(13)의 선단부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고정돌기(13a)가 구비되고, 플러그(21)의 둘레면에는 고정돌기(13a)가 결합되는 결합홈(21c)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21)를 제1 회전축(13)에 끼우면, 고정돌기(13a)가 결합홈(21c)에 끼워져 플러그(21)가 제1 회전축(13)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제1 회전축(13)의 길이는 플러그(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제1 회전축(13)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3a)는 플러그(21)의 중간 부분과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플러그(21)는 제1 회전축(13)에 결합되어 제 1회전축(13)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18)은 탄성이 있는 금속와이어를 코일형태로 감아 제작되며 양단은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허브(29)의 선단부 양측에는 한쌍의 연장아암(29a)이 구비되고, 플러그(21)의 기단부에 형성된 연장관(21a)에는 연장아암(29a)에 대응되는 결합공(21b)이 형성되며, 토션스프링(18)은 양단(18a)이 연장아암(29a)의 사이공간을 통해 결합공(21b)에 끼워지도록 제1 회전축(13)의 외부에 결합되어, 클러치 허브(29)와 플러그(21)가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13)에는 금속재질로 구성된 보호관체(19)가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18)은 상기 보호관체(19)의 외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클러치 허브(29)와 플러그(21)가 제1 회전축(13)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토션스프링(18)의 내주면이 제1 회전축(13)에 접촉되어 제1 회전축(13)의 둘레면이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클러치 허브(29)의 외주면에 나선홈(27)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홈(27)은 예를 들어, 좌나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클러치링(71)은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돌기(71a)와,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돌기(71b)를 포함하고 있다. 클러치링(71)은 내부가 빈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클러치 허브(29)가 삽입된다. 클러치 허브(29)의 나선홈(27)에는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가 삽입되어, 클러치링(71)은 클러치 허브(29)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나선홈(27)은 클러치 허브(29)와 구동휠(50) 사이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일종의 지연 구간이 나타나도록 한다.
이때, 클러치링(71)은 나선홈(27)의 길이에 따라 최대 회전각도가 정해진다. 즉, 클러치링(71)은 내부돌기(71a)가 나선홈(27)을 따라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클러치 허브(29)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나, 내부돌기(71a)가 나선홈(27)의 끝단에 접하면 클러치 허브(29)와 클러치링(71)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클러치링(71)이 클러치 허브(29)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구간은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평행이동하는 구간이 된다. 따라서, 나선홈(27)의 길이가 길수록 슬라이드 실린더(61)의 평행이동 구간이 길어지게 된다. 즉, 롤스크린(41, 42)의 차광부(44) 및 투광부(43)의 간격이 넓은 경우, 나선홈(27)을 길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구동휠(50)은 내부에 클러치링(71)의 외부돌기(71b)가 이동하는 장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장홈(54)은 구동휠(5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제1 회전축(13)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홈(54)은 클러치링(71)의 외부돌기(71b)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장홈(54)의 길이는 클러치링(71)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듀얼 롤 블라인드의 클러치 기구 및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클러치 기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에 포함되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구동줄(51)을 조작하여 구동휠(5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휠(50)은 구동휠(50) 내부에 삽입된 클러치링(71)을 회전시키게 된다. 클러치링(71)은 외부돌기(71b)가 구동휠(50)의 장홈(54)에 삽입되어 있어, 클러치링(71)은 구동휠(50)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한편,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는 나선홈(27)의 끝단부에 접하게 되면서, 클러치링(71)의 회전력은 클러치 허브(29)에 전달된다. 따라서, 클러치 허브(29)는 구동휠(5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클러치 허브(29)와 결합되어 있는 제1 기어(23)와 플러그(21)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구동줄(51)을 조작하여 구동휠(5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휠(50)은 구동휠(50)의 내부에 삽입된 클러치링(71)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클러치링(71)은 구동휠(50)을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나,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는 나선홈(27)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클러치 허브(29)는 클러치링(71)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즉, 클러치링(71)은 클러치 허브(29)의 외곽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클러치링(71)의 외부돌기(71b)는 구동휠(50)의 장홈(54)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링(71)은 제1 회전축(13)을 따라 제1 회전축(13)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휠(50)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되나, 클러치 허브(29)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클러치 허브(29)와 결합된 제1 기어(23) 및 플러그(21)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1의 (c)를 참조하면, 구동휠(50)을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링(71)의 내부돌기(71a)가 나선홈(27)의 다른 쪽 끝단에 접하게 된다. 이경우, 클러치링(71)의 평행이동은 멈추게 되고, 클러치링(71)의 회전력은 클러치 허브(29)에 전달된다. 따라서, 클러치 허브(29)는 구동휠(50)과 동일한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클러치 허브(29)와 결합된 제1 기어(23)와 플러그(2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플러그(21)가 회전하는 도 10의 (a) 및 (c)의 경우, 제1 스크린(41)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간이 되며, 플러그(21)가 회전하지 않는 도 10의 (b)는 제1 스크린(41)이 제1 회전축(13)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구간이 된다.
도 11의 (b) 구간에서, 구동휠(5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플러그(21)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구동휠(50)의 기어부(53)에 접하고 있는 구동기어(62a)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기어(62a)가 회전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동축(62)이 회전하게 되며, 연결구동축(62)이 회전하게 되면 나사부(62b)와 나사홈(61a)의 나사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실린더(61)가 평행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롤 블라인드는 하나의 구동줄을 조작함으로써, 롤스크린의 개폐와 투광량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특히, 롤스크린의 개폐 구조와 투광량 조절 구조를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하나의 기계 구조로 제작하여, 구조의 간소화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가 우수하며, 반복적인 조작에 의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특히, 제1 회전축과 구동휠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휠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1 권취롤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링과 클러치 허브의 결합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지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1 스크린의 가로방향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의 차광부 및 투광부의 폭이 다양하더라도 클러치 허브의 교환만으로 쉽게 여러 가지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권취봉(3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80)는 가이드레일(15a)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권취봉(31)과 함께 지지부재(8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제1 권취봉(31)을 지지하므로, 제1 권취봉(31)이 아래쪽으로 처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80)는 상기 슬라이드실린더(61)에 형성된 가이드홈(61a)에 결합되어 제1 권취봉(31)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지지부재(80)가 비틀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플러그(21)와 클러치 허브(29)를 연결하는 토션스프링(18)이 제1 회전축(13)에 결합된 보호관체(19)의 외부에 끼워져, 토션스프링(18)에 의해 제1 회전축(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홈(61a)은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61)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61a)을 상기 제1 권취봉(31)의 양단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5는 도 1의 듀얼 롤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듀얼 롤 블라인드의 제1 회전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제1 회전축(13)은 클러치바디(11)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된 지지부(16)와, 지지부(16)와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부(16)에 고정결합되는 연장부(17)로 분할제작된다.
지지부(16)는 상기 클러치바디(11)의 내측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선단부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고정돌기(16a)가 구비된다. 연장부(17)는 지지부(16)의 선단부 외측에 끼워지는 결합홈(17a)이 기단부에 형성되며, 결합홈(17a)의 둘레면에는 고정돌기(16a)가 끼워지는 방사방향의 결합공(17b)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6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7)의 결합홈(17a)을 지지부(16)의 선단부에 끼우면 상기 고정돌기(16a)가 결합공(17b)에 끼워져 연장부(17)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축(13)은 상기 제1 회전축(13)은 클러치바디(11)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된 지지부(16)와, 지지부(16)와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부(16)에 고정결합되는 연장부(17)로 분할제작되므로, 클러치바디(11)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부분의 길이를 줄여, 사출성형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으며, 냉각시 제1 회전축(1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허브(29)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히 길게 제작되어, 클러치허브(29)가 플러그(2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2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듀얼 롤 블라인드 11: 클러치 바디
12: 엔드 바디 13: 제1 회전축
14: 제2 회전축 15: 지지프레임
15a: 가이드레일 16: 지지부
17: 연장부 18; 토션스프링
19; 보호관체 21: 플러그
23: 제1 기어 24: 제2 기어
25, 26: 엔드 샤프트 27: 나선홈
28: 오목홈 29: 클러치 허브
31: 제1 권취봉 32: 제2 권취봉
41: 제1 스크린 42: 제2 스크린
50: 구동휠 51: 구동줄
53: 기어부 54: 장홈
60: 슬라이드구동기구 61: 슬라이드 실린더
61a: 나사홈 62: 연결구동축
62a: 구동기어 62b: 나사부
71: 클러치링 71a: 내부돌기
71b: 외부돌기 80: 지지부재

Claims (6)

  1. 투광부와 차광부을 각각 포함하는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각각 권취하는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
    상기 제1 권취봉 및 상기 제2 권취봉이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종속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권취봉을 회동시키는 제2 기어;
    구동줄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권취봉에 전달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권취봉을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
    상기 제1 권취봉 및 제2 권취봉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 권취봉과 평행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구조체; 및
    기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제1 권취봉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는 상기 제1 권취봉의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얼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회전축과 제1 권취봉 사이에는 제1 권취봉에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드 실린더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롤 블라인드.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봉 또는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양단 둘레면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부에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둘레부에 끼워지는 후크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롤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클러치바디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지지부에 고정결합되는 연장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롤 블라인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기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 외측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방사방향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롤 블라인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이 형성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기단부에 끼워지는 클러치허브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플러그와 클러치허브를 상호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의 외부에는 보호관체가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보호관체의 외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롤 블라인드.
KR1020100101622A 2010-10-19 2010-10-19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21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622A KR101218749B1 (ko) 2010-10-19 2010-10-19 듀얼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622A KR101218749B1 (ko) 2010-10-19 2010-10-19 듀얼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292A KR20120040292A (ko) 2012-04-27
KR101218749B1 true KR101218749B1 (ko) 2013-01-07

Family

ID=4614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622A KR101218749B1 (ko) 2010-10-19 2010-10-19 듀얼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618A (ko) * 2020-08-21 2022-03-02 최원용 통합형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6838B (zh) * 2019-08-02 2024-01-05 江苏久誉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水平开合电动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789Y1 (ko) * 2003-02-19 2003-05-22 정연수 롤브라인드
KR200401004Y1 (ko) * 2005-08-11 2005-11-15 유준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KR100770043B1 (ko) *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KR101023033B1 (ko) * 2010-07-20 2011-03-24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789Y1 (ko) * 2003-02-19 2003-05-22 정연수 롤브라인드
KR200401004Y1 (ko) * 2005-08-11 2005-11-15 유준 광량조절용 롤스크린
KR100770043B1 (ko) * 2007-04-23 2007-10-26 곽명숙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KR101023033B1 (ko) * 2010-07-20 2011-03-24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618A (ko) * 2020-08-21 2022-03-02 최원용 통합형 블라인드
KR102620593B1 (ko) * 2020-08-21 2024-01-02 최원용 통합형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292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03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US10711517B2 (en) Lifting device of cordless covering
EP2564008B1 (en)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CA2836120C (en) Chain guide for dual roller blind
US20110265963A1 (en)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2010112049A (ja) 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CA2797850A1 (en) Cord tension control for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218749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JP6670540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6720024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037049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US20050067117A1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WO2006077543A1 (en) System such as shutter or venetian blind comprising displaceable slats
KR101109136B1 (ko) 롤 블라인드
JP7329642B2 (ja) 遮蔽装置
JP6782126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7329643B2 (ja) 遮蔽装置
JP6479413B2 (ja) 昇降コード支持装置及び遮蔽装置
JP7105118B2 (ja) 日射遮蔽装置
JP6463614B2 (ja) ラダーコード支持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KR101097938B1 (ko) 권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JP7210159B2 (ja) ブラインド
JP7025980B2 (ja) ブラインド
KR102310686B1 (ko) 블라인드용 권취봉 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